KR20020012154A -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20012154A
KR20020012154A KR1020010086691A KR20010086691A KR20020012154A KR 20020012154 A KR20020012154 A KR 20020012154A KR 1020010086691 A KR1020010086691 A KR 1020010086691A KR 20010086691 A KR20010086691 A KR 20010086691A KR 20020012154 A KR20020012154 A KR 200200121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server
scoring
voice
sco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866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백종관
이윤근
Original Assignee
백종관
(주) 보이스웨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백종관, (주) 보이스웨어 filed Critical 백종관
Priority to KR10200100866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20012154A/ko
Publication of KR200200121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1215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01Assessment or evaluation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은 문장 또는 단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갖는 콘텐츠 서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이용자의 전화기에 연결되고,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불러와서 상기 전화기에 전송하고, 상기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연결 서버; 및 상기 연결 서버에서 수신한 상기 음성의 정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결과를 점수로 환산하기 위한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서버는 상기 스코어링 서버에서 환산한 점수를 상기 전화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아울러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응답의 정확도를 스코어링 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Scoring System Using Voice Recognition Technology and Method thereof}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점수를 매기는 스코어링(scoring)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이용자의 전화기에 출력되는 음성이나 문자를 이용자가 발음한 경우에 음성인식기가 그 정확도를 측정하여 점수를 매기는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문자를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서 훨씬 사용하기가 용이하고 편리함으로 인하여 근자에는 음성인식기술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외국어학습시스템, 음성/문자 변환시스템 및 각종 음성실행시스템 등이 개발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수요도 점차 증대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외국어학습시스템 등에 있어서는 이용자의 발음을 정확히 인식하거나 또는 이용자가 한 발음의 정확도 측정에만 주된 관심이 있었고 이를 점수로 환산하여 이용자에게 그 결과를 알려주는 시스템은 부재한 상태였다. 그 결과 이용자는 자신의 발음에 대한 정확도가 어느 정도인지를 알 수가 없고 단지 운영자에 의해 사전에 설정된 특정 방식을 따라하는 수밖에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발음의 정확도를 점수로 환산하는 스코어링 시스템을 개발하게 되었으며, 아울러 이러한 스코어링 시스템에 최근에 널리 사용되는 유무선 통신망을 결합하여 편리하면서도 다양한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게 되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발음의 정확도를 점수로 환산하여 알려주는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이용자의 발음의 정확도를 점수로 환산하여 알려주는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이용자의 발음의 정확도를 점수로 표현함으로써 자신의 발음에 대한 정확한 정보를 알 수 있도록 하는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음성인식기술을 영어발음, 광고멘트 및 성대모사 등에 대한 스코어링에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서비스 분야를 개척할 수 있는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방법의 일 구체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호에 대한 간단한 설명 *
10 : 유무선 전화기 20 : 유무선 통신망
30 : 연결 서버 40 : 무선 인터넷 서버
50 : ARS 서버 60 :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
70 : 콘텐츠 서버 80 : 관리 서버
90 : 인터넷 서버
발명의 요약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은 문장 또는 단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갖는 콘텐츠 서버;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이용자의 전화기에 연결되고, 상기 콘텐츠 서버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불러와서 상기 전화기에 전송하고, 상기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연결 서버; 및 상기 연결 서버에서 수신한 상기 음성의 정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결과를 점수로 환산하기 위한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서버는 상기 스코어링 서버에서 환산한 점수를 상기 전화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며, 아울러 이러한 시스템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응답의 정확도를 스코어링하기 위한 방법을 포함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의 내용을 하기에 상세히 설명한다.
발명의 구체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구성도이다. 상기 스코어링 시스템은 크게 이용자 전화기(10), 통신망(20), 연결서버(30), 콘텐츠 서버(70), 및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60)로 나뉘어진다. 이용자가 유무선 전화기(10)를 이용하여 연결서버(30)에 접속하면 상기 연결서버(30)가 콘텐츠 서버(70)로부터 문장이나 단어에 대한 음성정보를 불러와서 상기 이용자의 유무선 전화기(10)에 전송한다. 상기 이용자가 전송된 음성정보에 대응하여 응답을 하면, 상기 이용자의 음성은 상기 연결서버(30)를 경유하여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60)에 전송되고 상기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60)가 그 정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점수로 환산하게 된다. 상기 환산된 점수는 상기 이용자의 유무선 전화기(10)에 다시 전송된다.
상기 유무선 전화기(10)는 일반 유선 전화기 및 휴대폰과 같은 무선 전화기 모두를 포함하며, 이용자는 상기 유무선 전화기를 사용하여 유무선 통신망(20)을 경유하여 본 발명에 따른 스코어링 시스템에 접속한다.
상기 연결서버(30)는 본 발명에 따른 스코어링 시스템에 접속한 이용자에게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한 정보를 전송하고 또한 상기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한 정보에 대응하여 상기 이용자가 응답한 음성을 다시 전송 받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연결서버(30)는 상기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한 정보를 문자서비스의 형태는 물론이고 음성서비스의 형태로 상기 이용자의 전화기에 전송할 수도 있다. 아울러 상기 연결서버(30)는 무선 인터넷을 통한 무선 인터넷 서버(40)이거나 또는 ARS를 이용한 ARS 서버(50)로 구현함으로써 유무선 전화기(10)에 대해서 모두 연결서버로서의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콘텐츠 서버(70)는 본 발명에 따른 스코어링 시스템에 접속한 이용자에게 제공할 콘텐츠를 저장하고 이를 상기 연결서버(30)를 통하여 이용자에게 전송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콘텐츠는 단어나 문장으로 이루어진 외국어이거나 유명 연예인의 목소리 또는 광고업체의 광고멘트일 수도 있다. 즉 외국어로 된 단어나 문장을 제공하고 이에 대한 이용자의 발음의 정확도를 점수로 환산하여 제공함으로써 이용자로 하여금 자신의 발음의 정확도에 대한 객관적인 지표를 얻을 수 있도록 하거나, 또는 특정 광고업체의 광고멘트를 따라하게 유도함으로써 광고 효과를 거둘 수도 있다. 또한 유명 연예인 등의 성대모사를 얼마나 정확히 하였는가를 스코어링하고 그 점수에 따라 다양한 경품 등을 제공하는 서비스의 제공도 가능하다고 할 것이다. 아울러 광고멘트의 경우에 있어서도 이용자가 일정 이상의 점수를 획득한 경우에는 경품이나 이에 대응하는 보상을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이와 같이 상기 콘텐츠는 운영자의 필요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퀴즈와 같은 콘텐츠를 이용자에게 제공할 수도 있다.
상기 이용자가 일정 점수 이상을 획득한 경우에 있어서 이에 대한 보상으로 경품 등을 지급함에 있어서는 오프 라인을 통한 경품 등의 지급뿐만이 아니라 이용자의 회원 가입과 더불어 사이버 머니의 지급 내지는 적립을 통한 방법도 가능하다. 이러한 경우에는 상기 사이버 머니를 사용할 수 있는 제휴사를 사전에 확보함으로써 새로운 이윤 창출이 가능한 시장이 형성되는 효과도 거둘 수 있다.
상기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60)는 상기 이용자가 상기 콘텐츠 서버(70)를 통하여 제공된 문자나 음성에 대하여 응답을 한 경우, 상기 이용자의 응답 음성의 발음의 정확도를 측정하고 이를 점수로 환산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60)는 상기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에 대응하는 정확한 응답에 대한 데이터 베이스를 구비하고 있어야 하며, 상기 데이터 베이스에 저장된 정확한 응답과 상기 이용자의 응답을 상호 비교함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응답의 정확도를 측정할 수가 있다. 이러한 기술은 음성인식의 정확도 판정에 관련된 기술 분야에서는 이미 공지된 것이다. 다만 상기 데이터 베이스는 반드시 상기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60)에 포함될 필요는 없으며 필요에 따라 상기 콘텐츠 서버(70)에 포함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존재할 수도 있다.
다만, 상기 정확도의 측정 방법은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의 종류 및 운영자의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외국어 발음에 관한 정확도의 측정 및 유명인의 성대모사에 있어서는 사전에 구축해 놓은 표본신호와 이용자의 응답에 대한 음성신호를 발음, 액센트, 억양 및 장단 등의 다양한 형태로 그 정확도를 측정함에 반하여 광고업체의 광고용 멘트의 경우에 있어서는 발음에 대한 정확도 판단으로 충분하다고 할 것이다.
상기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60)는 상기 이용자의 응답에 대한 정확도를 측정한 후 그 측정결과를 점수로 환산한다. 이를 위하여 상기 스코어링 서버(60)는 정확도의 측정결과와 이에 대응하는 점수에 대한 상관관계를 규정한 데이터베이스를 필요로 하며, 상기 측정결과에 대응하는 점수를 데이터 베이스로부터 불러옴으로써 상기 이용자의 응답의 정확도에 대한 점수를 출력하게 된다. 상기 환산된 점수의 출력 방법은 상기 이용자의 유무선 전화기(10)에 문자 또는 음성으로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점수를 그래프로 표현하여 상기 이용자의 전화기 LCD 창에 표시할 수도 있다. 이를 위하여 상기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60)는 그래픽 모듈을 더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하여 그래프로 표현된 점수를 상기 이용자의 전화기 LCD 창에 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스코어링 시스템은 관리서버(80)를 더 포함하여, 상기 시스템에 접속한 이용자가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을 이용한 시간 또는 이용한 회수를기초로 하여 요금을 정산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인터넷 서버(90)를 구비함으로써 이용자가 본 시스템의 회원으로 가입하거나 또는 인터넷에 있는 정보를 추가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에 의해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다.
제2도는 본 발명에 따른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방법의 일 구체예를 도시한 흐름도이다. 본 발명에 따른 스코어링 시스템을 이용하고자 하는 이용자는 유무선 전화기(10)를 이용하여 사전에 정해진 특정 전화번호로 전화를 걸어서 본 시스템에 접속한다(S1). 이 과정에서 이용자는 본 시스템의 유도에 따라 서비스 종류를 결정하거나 또는 회원 여부에 대한 확인 등의 추가적인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코어링 시스템이 콘텐츠 서버(70)에 저장된 콘텐츠를 상기 이용자에게 전송한다(S2). 이 때 상기 콘텐츠는 상기 이용자의 전화기에 문자 또는 음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이용자는 전송 받은 콘텐츠의 내용에 따라 적합한 응답을 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에 자신의 음성을 다시 전송한다(S3). 외국어 발음 교정 서비스의 경우에는 이용자가 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한 발음을 따라 함으로써 자신의 음성을 전송하고, 광고의 경우에는 본 시스템으로부터 전송된 광고멘트를 이용자가 그대로 따라함으로써 자신의 음성을 전송하며, 그리고 퀴즈 등에 있어서는 그에 대한 정답을 말하는 것으로 충분하다고 하겠다.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60)는 상기 전송된 이용자의 응답에 대한 음성신호의 정확도를 측정한다(S4). 위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상기정확도의 측정 방법은 이용자에게 제공되는 콘텐츠의 종류 및 운영자의 필요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이용자의 응답에 대한 정확도를 측정한 후에는 그 측정결과를 점수로 환산한다(S5). 그리고 상기 환산된 점수를 상기 이용자의 유무선 전화기로 다시 전송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환산된 점수의 출력 방법은 상기 이용자의 유무선 전화기(10)에 문자 또는 음성으로 통지하거나 또는 상기 점수를 그래프로 표현하여 상기 이용자의 전화기 LCD 창에 표시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은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한 이용자의 발음의 정확도를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하여 점수로 환산하여 알려줌으로써 자신의 발음의 정확도에 대한 정보를 간편하게 알 수 있도록 하는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1)

  1. 문장 또는 단어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콘텐츠를 갖는 콘텐츠 서버(70);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이용자의 전화기에 연결되고, 상기 콘텐츠 서버(70)로부터 상기 콘텐츠를 불러와서 상기 전화기에 전송하고, 상기 전화기로부터 전송된 상기 이용자의 음성을 수신하기 위한 연결 서버(30); 및
    상기 연결 서버(30)에서 수신한 상기 음성의 정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결과를 점수로 환산하기 위한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60);
    로 이루어지고, 상기 연결서버(30)는 상기 스코어링 서버(60)에서 환산한 점수를 상기 전화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스코어링 서버(60)는 환산된 점수를 그래프로 표현하기 위한 그래픽 모듈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용자가 상기 연결서버(30)에 접속한 시간을 통하여 요금을 정산하기 위한 관리 서버(8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서버(30)는 상기 콘텐츠를 음성 또는 문자의 형태로 상기 이용자의 전화기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5. 제3항에 있어서, 인터넷을 통하여 상기 이용자가 회원으로서 가입을 가능하게 하는 인터넷 서버(90)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외국어로 된 단어 또는 문장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60)는 상기 이용자의 응답의 발음, 억양, 및 액센트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광고멘트의 문장에 대한 음성정보이고, 상기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60)는 상기 이용자의 응답의 발음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유명연예인의 음성에 대한 정보이고, 상기 음성인식 스코어링 서버(60)는 상기 이용장의 응답의 발음, 억양 및 장단의 정확도를 측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9. 유무선 통신망을 통하여 접속한 이용자의 전화기에 콘텐츠를 전송하고;
    상기 이용자의 응답에 따라 상기 전화기로부터 전송되는 음성을 수신하고;
    상기 수신된 음성의 정확도를 측정하고;
    상기 측정된 결과를 점수로 환산하고; 그리고
    상기 점수를 상기 이용자의 전화기에 전송하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환산된 점수를 그래픽으로 표현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방법.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콘텐츠는 단어 또는 문장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방법.
KR1020010086691A 2001-12-28 2001-12-28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02001215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691A KR20020012154A (ko) 2001-12-28 2001-12-28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86691A KR20020012154A (ko) 2001-12-28 2001-12-28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12154A true KR20020012154A (ko) 2002-02-15

Family

ID=197177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86691A KR20020012154A (ko) 2001-12-28 2001-12-28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20012154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428A (ko) * 2002-10-14 2004-04-28 주식회사 다날 음성인식을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36769A (ko) * 2000-03-28 2000-07-05 이헌 이동통신 단말기(또는 pc 또는 고정단말기)를 이용한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KR20000049500A (ko) * 2000-03-31 2000-08-05 백종관 음성 인식 및 음성 합성을 이용한 외국어 교육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00049483A (ko) * 2000-03-28 2000-08-05 이헌 음성신호 비교를 이용한 외국어회화 학습장치
KR20000049703A (ko) * 2000-04-24 2000-08-05 이헌 인터넷(피씨 네트웍)을 이용한 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KR20010076517A (ko) * 2000-01-26 2001-08-16 김욱 대화식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88141A (ko) * 2000-03-10 2001-09-26 백승헌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학습 시스템
KR20010092176A (ko) * 2000-03-21 2001-10-24 이동익 언어 학습 방법과 그의 인터넷을 이용한 구현 방법 및그를 위한시스템
KR20020007597A (ko) * 2000-07-18 2002-01-29 윤덕용 인터넷 상에서의 자동발음 비교방법을 이용한 외국어 발음학습 및 구두 테스트 방법
KR20020067870A (ko) * 2001-02-19 2002-08-24 보이스미디어텍(주)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영어 발음 학습 방법 및 시스템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76517A (ko) * 2000-01-26 2001-08-16 김욱 대화식 어학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88141A (ko) * 2000-03-10 2001-09-26 백승헌 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어학학습 시스템
KR20010092176A (ko) * 2000-03-21 2001-10-24 이동익 언어 학습 방법과 그의 인터넷을 이용한 구현 방법 및그를 위한시스템
KR20000036769A (ko) * 2000-03-28 2000-07-05 이헌 이동통신 단말기(또는 pc 또는 고정단말기)를 이용한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KR20000049483A (ko) * 2000-03-28 2000-08-05 이헌 음성신호 비교를 이용한 외국어회화 학습장치
KR20000049500A (ko) * 2000-03-31 2000-08-05 백종관 음성 인식 및 음성 합성을 이용한 외국어 교육 서비스방법 및 그 시스템
KR20000049703A (ko) * 2000-04-24 2000-08-05 이헌 인터넷(피씨 네트웍)을 이용한 외국어 회화 학습 시스템
KR20020007597A (ko) * 2000-07-18 2002-01-29 윤덕용 인터넷 상에서의 자동발음 비교방법을 이용한 외국어 발음학습 및 구두 테스트 방법
KR20020067870A (ko) * 2001-02-19 2002-08-24 보이스미디어텍(주) 음성인식 기술을 이용한 영어 발음 학습 방법 및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3428A (ko) * 2002-10-14 2004-04-28 주식회사 다날 음성인식을 통한 양방향 광고 시스템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7607B1 (ko) 상황 및 의도인지 기반의 언어 표현 장치 및 그 방법
KR101583181B1 (ko) 응답 스티커 추천방법 및 컴퓨터 프로그램
CN107707745A (zh) 用于提取信息的方法和装置
US20150079554A1 (en) Language learning system and learning method
US20130282359A1 (en) Method and apparatus of translating language using voice recognition
CN108431883B (zh) 语言学习系统以及语言学习程序
JPS59225635A (ja) 極狭帯域通信システム
KR20080066913A (ko) 컴퓨터에 의한 구두 언어 능력 평가
KR20120061801A (ko) 언어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853422A (zh) 一种沉浸式语言学习系统及其学习方法
KR20130050197A (ko)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사용자 맞춤 광고 장치, 및 음성 인식 단문 메시지 서비스 기반의 사용자 맞춤 광고 노출 방법
CN109461459A (zh) 语音评分方法、装置、计算机设备及存储介质
KR20130136768A (ko) 어학 학습정보 제공 시스템, 이를 이용한 어학 학습정보 제공방법 및 이를 위한 외국어 교정 처리방법
CN110289015A (zh) 一种音频处理方法、装置、服务器、存储介质及系统
CN109584906A (zh) 口语发音评测方法、装置、设备及存储设备
JP2006208644A (ja) 語学会話力測定サーバシステム及び語学会話力測定方法
JP6233867B2 (ja) 音声認識用辞書登録システム、音声認識システム、音声認識サービスシステム、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020012154A (ko) 음성인식기술을 이용한 스코어링 시스템 및 그 방법
JP4808763B2 (ja) 音声情報収集装置、その方法およびそのプログラム
CN112185186B (zh) 一种发音纠正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US20080046230A1 (en) Reception support system and program therefor
JP6855021B2 (ja) 広告システム及び広告方法
CN112116832A (zh) 一种口语练习方法及装置
CN113822029A (zh) 客服辅助方法、装置和系统
JP2009237386A (ja) 音声文字変換装置、音声文字変換方法及び音声文字変換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