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0272B1 -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0272B1
KR102460272B1 KR1020200080188A KR20200080188A KR102460272B1 KR 102460272 B1 KR102460272 B1 KR 102460272B1 KR 1020200080188 A KR1020200080188 A KR 1020200080188A KR 20200080188 A KR20200080188 A KR 20200080188A KR 102460272 B1 KR102460272 B1 KR 10246027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evaluation
foreign language
pronunciation
nati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01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86939A (ko
Inventor
한상종
Original Assignee
한상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상종 filed Critical 한상종
Priority to CN202011523361.6A priority Critical patent/CN113128824A/zh
Publication of KR202100869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869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02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02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0Education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자의 모국어(한글)를 핵심 포인트로 외국어(영어) 듣기평가 학습, 발음평가 학습, 영작 그리고 녹음된 음원을 원 사이클로 반복 수행하고, 반복 수행에 따른 학습수행의 결과를 점수화하여 표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국어 학습의 외국어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고, 외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ONE CYCLE FOREIGN LANGUAGE LEARNING SYSTEM USING MOTHER TOUNGUE AND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학습자의 모국어(한글)를 핵심 포인트로 외국어(영어) 듣기평가 학습, 발음평가 학습, 영작 그리고 녹음된 음원을 원 사이클로 반복 수행하고, 반복 수행에 따른 학습수행의 결과를 점수화하여 표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국어 학습의 외국어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고, 외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우리나라에서 매년 한 해 동안 외국어 교육에만 쏟아 붓는 돈은 학원, 수험서, 학습지, 참고서, 교재 등을 포함해서 수조원이 넘고 있을 뿐만 아니라 해외여행 유학, 연수비 등으로 매월 1조원이 지출됨에도 불구하고 세계적으로 영어수준은 하위를 맴돌고 있다.
종래의 영어 학습은 단순히 단어를 암기하는 방법이 주를 이루었다. 단순히 단어만 암기하는 방식으로 학습하는 경우 단어를 암기하고 있더라도 이를 즉각적으로 문장으로 표현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때문에 암기한 단어들을 문장화하기 위하여 단어 및 그 단어에 해당하는 품사를 암기하고, 문장 형식에 맞는 품사(品詞)의 배치에 따라 단어를 구성하여 문장을 만드는 방법이 주를 이룬다. 하지만, 한자를 기반으로 표현되어 있는 각 품사의 명칭은 학습자에게 직관적이지 않아 이해하기가 어려워 학습 의욕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된다.
즉, 영어 학습은 1. 영어문자학습과 2. 단어학습이 선행되어야 하고 그 후에 3. 문법학습을 통해 4. 해석법을 익혀야 의미를 이해할 수 있으며, 최종적으로 5. 외국어학습성취에 근접할 수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각각의 단계는 매우 힘겹고 많은 시간을 소모해야 하므로, 학습자는 지치게 되고, 5번째 단계인 외국어 학습성취단계에 접근하지도 못하고 중도에 포기해 왔으며, 영어는 어렵다는 인식을 심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다양한 방식의 외국어 학습방법이 개발되었고, 외국어 학습 방식의 하나로서, 등록특허 제10-1911735호에 한글 기반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대화 주제를 한글 문장 및 한글 문장에 대응하는 영어 문장의 발음을 한글로 병기한 병기 문장이 인쇄된 목차 표시부, 목차 표시부 하부에 대화를 진행하는 제 1 화자 및 제 2 화자의 대화 내용을 한글 문장 및 한글 문장에 대응하는 영어 문장의 발음을 한글로 병기한 병기 문장이 인쇄된 대화 표시부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 기술은 영어 문장의 발음을 한글로 병기하여 표시됨에 따라 영어 발음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장점은 있으나, 영어 발음에 대한 의미를 알 수 없고 단어 및 문장의 의미를 파악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등록특허공보 제10-1826714호에 말하기 학습 기능을 구비한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 방법이 개시되었다.
상기 기술은 말하기 학습 모드에서, 학습 시스템이 원어민의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고 학습자가 이를 따라하는 따라하기 모드, 및 교대로 학습자가 발음하고 학습 시스템이 음원 데이터를 출력하는 회화 모드를 제공하도록 구성된다.
그런데 상기 기술은 학습자의 발음과 음원 데이터의 유사도를 계산하여 제공하는 것이나, 유사도의 계산에 대한 구체적인 기술 내용이 기재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학습자의 발음에 대한 평가가 객관적으로 이루어지지 않는 문제점이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11735호 (2018. 10. 19.) 등록특허공보 제10-1826714호 (2018. 02. 01.)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원어민 발음의 고저, 엑센트, 리듬, 연음 및 속도에 따른 단계별로 분류된 발음데이터와 학습자의 발음을 비교하여, 학습자의 발음을 점수화하여 제공함으로써, 학습자의 발음 수준을 쉽게 확인할 수 있는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학습에 대한 공부시간 및 낭비시간을 누적 관리함으로써 학습 효과를 증진시키고, 부정학습을 방지할 수 있도록 하는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또한, 듣기학습, 발음학습, 영작학습 및 녹음을 통한 일련의 학습과정을 사이클로 하여 반복 학습을 통해 외국어 학습의 지루함을 방지하고, 학습의 성취효과를 부여함으로써, 외국어 학습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접속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통해 접속을 허용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접속된 상태에서 이벤트 요청에 따라 외국어 학습을 제공하는 학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서버는 사용자 정보, 학습내역, 발음평가, 듣기평가 및 학습시간에 대한 학습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DB; 학습 콘텐츠, 듣기평가 콘텐츠, 발음평가 콘텐츠 및 영작 콘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학습콘텐츠DB; 상기 학습콘텐츠DB에 저장된 각각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수행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 이벤트에 근거하여 산출된 학습시간을 저장 관리하는 시간산출부; 녹음된 사용자 음원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녹음부; 및 상기 사용자DB, 발음평가부 및 시간산출부에 저장된 학습정보, 발음점수 및 학습시간에 근거하여 작성된 학습결과를 저장 관리하는 의견서작성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학습 콘텐츠는 외국어와 상기 외국어에 대응되는 원어민 발음의 음원; 및 상기 외국어 배열 순서에 대응되는 모국어와 상기 모국어에 대한 외국어의 원어민 발음의 음원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듣기 콘텐츠는 외국어 문장, 상기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문구, 상기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단어, 상기 외국어 문장에 대한 원어민 발음의 음원, 상기 외국어 문장에 대한 모국어 문장 및 상기 외국어 문장에 대한 모국어 문구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평가수행부는 상기 학습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평가를 수행하는 학습평가모듈; 상기 듣기평가 콘텐츠를 이용하여 듣기평가를 수행하는 듣기평가모듈; 상기 발음평가 콘텐츠를 이용하여 발음평가를 수행하는 발음평가모듈; 및 상기 영작 콘텐츠를 이용하여 영작평가를 수행하는 영작평가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발음평가모듈은 발음속성에 따라 레벨별 원어민 발음이 저장된 원어민 발음 저장DB; 상기 원어민 발음 저장DB에 저장된 레벨별 원어민 발음과 발음평가 콘텐츠에 의해 표시되는 발음평가절차에 따라 녹음된 음성파일을 비교하고, 비교에 따른 원어민 발음에 대한 레벨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레벨점수 중에서 최고점수에 해당되는 레벨을 선정하는 비교유닛; 및 상기 비교유닛에서 선정된 레벨에 대한 가중치와 산출된 레벨점수에 근거하여 발음점수로 산출하는 평가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시간산출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 이벤트에 근거하여 카운팅되는 학습시간; 상기 학습시간 외의 비학습시간에 근거하여 카운팅되는 낭비시간; 및 상기 학습시간과 낭비시간의 합산시간을 카운팅하는 총시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방법은 학습콘텐츠DB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평가를 수행하는 학습평가 수행단계; 상기 학습콘텐츠DB에 저장된 듣기평가 콘텐츠를 이용하여 듣기평가를 수행하는 듣기평가 수행단계; 상기 학습콘텐츠DB에 저장된 발음평가 콘텐츠를 이용하여 발음평가를 수행하는 발음평가 수행단계; 상기 학습콘텐츠DB에 저장된 영작 콘텐츠를 이용하여 영작평가를 수행하는 영작 수행단계; 녹음된 사용자 음성을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녹음 단계; 및 사용자DB, 발음평가부 및 시간산출부에 저장된 학습정보, 발음점수 및 학습시간에 근거하여 작성된 학습결과를 저장 관리하는 의견서 작성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고, 상기 학습평가 수행단계, 듣기평가 수행단계 및 발음평가 수행단계는 선택된 하나의 외국어 문장으로 수행되되, 순차적인 원 사이클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의 발음을 원어민 발음과 비교 분석하여 점수로 표시됨으로써, 학습자 발음 수준을 원어민 발음 수준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고, 학습자의 발음 수준에 대한 비교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총 학습시간에 대한 공부시간과 낭비시간을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비대면 학습의 부정학습을 방지할 수 있고, 실제 공부시간의 누적을 통한 비대면 수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학습서버의 구성도,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학습평가모듈의 외국어를 이용한 학습 인터페이스와 모국어를 이용한 학습 인터페이스,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듣기평가모듈의 외국어를 이용한 학습 인터페이스와 모국어를 이용한 학습 인터페이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듣기평가모듈에 대한 복습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발음평가모듈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인터페이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발음평가모듈에서 사용자 발음에 대한 산출된 레벨점수의 일 실시 예의 테이블,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서 학습평가모듈, 듣기평가모듈 및 발음평가모듈의 학습내역을 나타낸 테이블,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시간산출부를 통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시간산출부에서 산출된 득점표를 나타낸 테이블,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녹음부를 통해 녹음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의견서작성부를 통해 작성된 일 실시 예의 의견서를 나타낸 화면,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방법의 흐름도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이하에서 동일한 기능을 하는 기술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사용하고, 중복 설명을 피하기 위하여 반복되는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이하에 설명하는 실시 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효과적으로 보여주기 위하여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학습자의 모국어(한글)를 핵심 포인트로 외국어(영어) 듣기평가 학습, 발음평가 학습, 영작 그리고 녹음된 음원을 원 사이클로 반복 수행하고, 반복 수행에 따른 학습수행의 결과를 점수화하여 표시되도록 구성함으로써, 외국어 학습의 외국어 성취도를 평가할 수 있고, 외국어 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시켜 학습 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은 사용자단말기(10)와 학습서버(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입력 모듈, 디스플레이 모듈, 메모리, 마이크, 스피커, 프로세서 등을 포함하는 것으로서, 학습자별로 소유하게 되는 개인용 PC, 스마트폰 및 타블렛PC와 같은 휴대기기 또는 노트북 및 데스크 탑이 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학습자뿐만 아니라, 관리자 또는 학습자의 부모가 소지한 단말기일 수 있다.
상기에서 입력 모듈은 사용자의 인터랙션(interaction)에 의한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는 것으로서, 키보드, 마우스, 조이스틱 및 터치 패드와 같은 입력장치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인터랙션은 사용자가 입력모듈을 통하여 입력하는 클릭(click), 탭(tap), 더블 탭(double tap), 드래그 앤 드롭(drag and drop), 스와이프(swipe), 핀치 인/아웃(pinch in/out), 플릭(flick) 및 포스터치(force touch) 중 적어도 하나가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상기 사용자단말기(10)는 유무선 통신망을 통해 학습서버(20)에 접속하고, 상기 학습서버(20)로부터 외국어 학습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하게 된다.
이때, 상기 통신망은 유선인터넷 기반, 이동통신망 기반 또는 Wi-fi 무선랜에 기반한 기술 등을 의미하며,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학습서버(20)는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접속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통해 접속을 허용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접속된 상태에서 이벤트 요청에 따라 외국어학습 콘텐츠를 제공한다.
상기 학습서버(20)에는 외국어(영어) 학습을 실행하기 위한 학습용 프로그램이 미리 등록되어 있고, 사용자단말기(10)가 접속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의한 이벤트 신호를 수신하고, 수신된 이벤트 신호에 대하여 응답하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학습서버의 구성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2를 참조하면, 상기 학습서버(20)는 사용자DB(100), 학습콘텐츠DB(200), 평가수행부(300), 시간산출부(400), 녹음부(500) 및 의견서작성부(60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사용자DB(100)는 사용자 정보, 학습내역, 발음평가, 듣기평가 및 학습시간에 대한 학습정보를 저장 관리한다.
상기 사용자 정보에는 사용자 성명, 아이디, 패스워드, 전화번호, 부모 성명, 부모 전화번호, 학교, 학년, 성별, 외국어 학습 능력 및 외국어 학습 경력 등 개인정보로 이루어진다.
상기에서 학습내역, 발음평가, 듣기평가 및 학습시간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을 통해 학습 결과로서,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한다.
학습콘텐츠DB(200)는 학습 콘텐츠, 듣기평가 콘텐츠, 발음평가 콘텐츠 및 영작 콘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학습 콘텐츠는 학습자의 연령, 학습하고자 하는 내용, 학습자의 학습능력 등을 고려하여 복수 개의 세부화된 학습단계로 구성되고, 외국어와 상기 외국어에 대응되는 모국어 및 상기 외국어의 원어민 발음 음원 등을 포함한다.
즉, 상기 학습 콘텐츠에는 외국어와 상기 외국어에 대응되는 원어민 음원; 및 상기 외국어 배열 순서에 대응되는 모국어와 상기 모국어에 대한 외국어의 원어민 음원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 2개 이상 단어의 조합은 문구(또는 구절, 이하 '문구'라 한다)라 하고, 2개 이상 문구의 조합은 문장인 것으로 설명한다.
듣기평가 콘텐츠는 외국어의 문장, 상기 외국어의 문구, 상기 외국어의 단어, 상기 외국어에 대한 원어민 발음의 음원, 상기 외국어에 대한 모국어 문장, 상기 모국어의 문구을 포함한다.
발음평가 콘텐츠는 모국어 문구, 모국어 문장 및 상기 모국어의 문구 및 문장에 대한 원어민 음원을 포함한다.
영작 콘텐츠는 외국어 단어, 외국어 문구, 외국어 문장, 상기 외국어 문구 및 문장에 대한 원어민 음원 및 상기 외국어 단어와 유사 또는 변경 가능한 단어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평가수행부(300)는 학습콘텐츠DB(200)에 저장된 각각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외국어 학습을 통한 평가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학습평가모듈(310), 듣기평가모듈(320), 발음평가모듈(330) 및 영작평가모듈(340)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학습평가모듈(310), 듣기평가모듈(320), 발음평가모듈(330) 및 영작평가모듈(340)의 수행에 따라 각 모듈의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기(10)의 디스플레이 모듈에 표시되고, 표시된 인터페이스에 사용자의 인터랙션에 의한 학습결과는 학습서버(20)로 전송되어 처리되게 된다.
학습평가모듈(310)은 학습콘텐츠DB(200)의 학습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평가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3 및 도 4는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학습평가모듈의 외국어를 이용한 학습평가 인터페이스와 모국어를 이용한 학습평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학습평가모듈(310)의 외국어를 이용한 학습평가 인터페이스에는 외국어가 문장으로 표시되는 외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311) 및 상기 외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311)에 표시되는 문장의 선택 버튼(312)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학습평가모듈(310)의 모국어를 이용한 학습평가 인터페이스에는 모국어가 문장으로 표시되는 모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3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에서 외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311)에 표시되는 외국어 문장 및 모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313)에 표시되는 모국어 문장은 문구별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고, 문구의 선택(클릭)에 따라 선택된 문구에 대한 원어민 음원이 출력된다.
또한, 상기 모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313)에 표시되는 모국어 문장은 외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311)에 표시되는 외국어 문장의 배열 순으로 표시된다. 즉, 외국어 문장의 배열 순으로 모국어 문장이 배열되도록 하여, 외국어 문장과 모국어 문장의 순서가 매칭되도록 구성된다.
듣기평가모듈(320)은 듣기평가 콘텐츠를 이용하여 듣기평가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도 5 및 도 6은 각각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듣기평가모듈의 외국어를 이용한 듣기평가 인터페이스와 모국어를 이용한 듣기평가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5를 참조하면, 선택된 외국어 문장에 대한 듣기편가 모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321), 상기 듣기평가 모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321)에 표시된 문장에 대한 원어민 음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1 음원출력 인터페이스(322), 상기 듣기평가 모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321)에 표시된 문장에 대응되는 외국어 문장을 구성하는 제1 단어표시 인터페이스(323), 상기 단어표시 인터페이스(323)에 표시된 단어의 선택(클릭)에 따라 문장을 완성하는 외국어 문장선택 인터페이스(324)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1 단어표시 인터페이스(323)에 표시된 단어의 순서는 무작위 배열로 이루어진다.
이에, 사용자(학습자)는 듣기편가 모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321)에 표시되는 모국어를 보고, 제1 음원출력 인터페이스(322)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청취한 후, 제1 단어표시 인터페이스(323)에 표시된 단어의 선택(클릭)에 따라 외국어 문장선택 인터페이스(324)에 표시되게 된다. 즉, 상기 듣기평가모듈(320)은 모국어 문장과 원어민 음원으로 외국어 문장을 완성하는 학습으로 이루어진다.
첨부된 도 6을 참조하면, 선택된 외국어 문구에 대한 모국어 문구표시 인터페이스(325), 상기 모국어 문구표시 인터페이스(325)에 표시된 문구에 대한 원어민 음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2 음원출력 인터페이스(326), 상기 모국어 문구표시 인터페이스(325)에 표시된 문구에 대응되는 외국어 문구를 구성하는 제2 단어표시 인터페이스(327), 상기 제2 단어표시 인터페이스(327)에 표시된 단어의 선택(클릭)에 따라 문구를 완성하는 외국어 문구선택 인터페이스(328) 및 문구를 여러 개의 문구로 분리한 문구 리스트 인터페이스(329)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단어표시 인터페이스(327)에 표시된 단어의 순서는 무작위 배열로 이루어진다.
이에, 사용자(학습자)는 모국어 문구표시 인터페이스(325)에 표시되는 모국어를 보고, 제2 음원출력 인터페이스(326)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청취한 후, 제2 단어표시 인터페이스(327)에 표시된 단어의 선택(클릭)에 따라 외국어 문구선택 인터페이스(328)에 표시되게 된다. 즉, 상기 듣기평가모듈(320)은 모국어 문구와 원어민 음원으로 외국어 문구를 완성하는 학습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하나의 문구를 완성하는 문구 리스트 인터페이스(329)의 선택으로 다음 문구를 학습하게 된다.
첨부된 도 5 및 도 6은 각각 문장과 문구에 대한 외국어 학습으로서, 문장을 완성하는 데 어려움이 있는 사용자(학습자)는 문구에 대한 외국어 학습을 선행하고, 그 후 문장에 대한 외국어 학습을 진행하도록 유도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듣기평가모듈에 대한 복습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듣기평가모듈에 대한 복습을 수행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에는 외국어 문구와 상기 문구의 결합으로 이루어지는 외국어 문장이 표시되는 외국어 표시 인터페이스(도면부호 미표시)가 구성된다. 이때, 상기 외국어 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문구 또는 문장의 선택(클릭)에 따라 원어민 음원이 출력되도록 구성된다.
발음평가모듈(330)은 발음평가 콘텐츠를 이용하여 발음평가를 수행하는 것으로서, 발음 속성에 따라 레벨별 원어민 발음이 저장된 원어민 발음 저장DB(331), 상기 원어민 발음 저장DB(331)에 저장된 레벨별 원어민 발음과 발음평가 콘텐츠에 의해 표시되는 발음평가절차에 따라 녹음된 음성파일을 비교하고, 비교에 따른 원어민 발음에 대한 레벨별 레벨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레벨점수 중에서 최고점수에 해당되는 레벨을 선정하는 비교유닛(332) 및 상기 비교유닛(332)에서 선정된 레벨에 대한 가중치와 산출된 레벨점수에 근거하여 발음점수로 산출하는 평가유닛(333)을 포함한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발음평가모듈을 수행하기 위한 학습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8을 참조하면, 선택된 외국어에 대응하는 모국어의 문구 및 문장이 표시되는 모국어 표시 인터페이스(334)와 상기 모국어 표시 인터페이스(334)에 표시된 문구 또는 문장의 선택(클릭)에 따라 원어민 음원을 출력하는 원어민 음원출력 인터페이스(335), 사용자(학습자)의 발음을 입력받기 위한 녹음하기 버튼(336), 상기 녹음하기 버튼(336)의 수행에 따라 녹음된 발음(음원)을 재생하기 위한 재생버튼(337) 및 상기 녹음하기 버튼(336)의 수행에 따라 녹음된 발음(음원)을 학습서버(20)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버튼(338)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의 인터페이스 구성으로, 사용자는 모국어 표시 인터페이스(334)에 표시되는 문구 또는 문장을 선택(클릭)하고, 선택(클릭)에 따라 원어민 음원출력 인터페이스(335)를 통해 선택된 문구(또는 문장)에 대한 원어민 발음을 청취하게 된다.
원어민 발음을 청취한 후, 녹음하기 버튼(336)의 선택(클릭)에 따라 사용자단말기(10)의 마이크를 이용하여 사용자(학습자) 발음을 입력하게 된다. 입력된 사용자 발음은 사용자단말기(10)의 메모리에 저장되고, 재생버튼(337)을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발음을 확인할 수 있다. 아울러, 사용자는 전송버튼(338)을 통해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사용자 발음 중에서 선택된 발음을 학습서버(20)로 전송되게 된다.
이에, 상기 발음평가모듈(330)은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발음을 평가하게 된다.
상기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전송된 사용자 발음은 비교유닛(332)에서 원어민 발음 저장DB(331)과 비교하여 각 레벨별 산출점수를 산출한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발음평가모듈에서 사용자 발음에 대한 산출된 레벨점수의 일 실시 예의 테이블을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레벨은 1 ~ 10으로 구분되고, 각 레벨의 점수범위는 1 ~ 100으로 세분화된다. 또한, 가중치는 1레벨 10점부터 10레벨 1점까지 점진적으로 낮아지게 부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레벨을 분류하는 발음 속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상기 원어민 발음 저장DB(331)에 저장된 원어민 음원은 엑센트, 발음 속도, 발음의 고저, 리듬, 연음 등에 의해 1 ~ 10 레벨으로 분류하여 저장된다.
상기에서 연음은 하나의 음소가 인접한 음소와 연결되어 이루어지는 음으로서, 동화(同化), 탈락(脫落), 첨가(添加) 등의 음운 현상을 겪어 나타나는 것이며, 이은소리 또는 이음소리이다.
상기에서 1레벨로 분류되는 원어민 음원은 원어민 사이에서 이루어지는 대화와 근접한 것이고, 10레벨로 분류되는 원어민 음원은 외국어를 배우는 초보수준의 학습자 수준으로 볼 수 있다.
예를 들어, 발음 속도와 연음이 많이 포함될수록 1레벨에 근접하고, 반대인 경우에는 10레벨에 근접하게 된다.
상기 레벨과 가중치를 대비하여 보면, 도 9에 표시된 가중치는 1레벨 10점이 부여되고, 10레벨에서는 1점이 부여되어 점진적으로 작아지도록 구성되었으나, 설계조건에 따라서 상기 가중치는 5 ~ 7레벨에 중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레벨에 최고점이 부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7레벨의 가중치를 10점으로 설정된 경우, 8레벨 및 6레벨의 가중치는 8점, 9레벨 및 5레벨의 가중치는 6점, 10레벨 및 4레벨의 가중치는 4점, 3레벨은 3점, 2레벨은 2점, 1레벨은 1점의 가중치가 적용될 수 있다.
첨부된 도 9의 예시와 같이 비교유닛(332)에서 레벨점수가 산출되는 경우, 상기 비교유닛(332)은 레벨 5의 레벨점수가 최고치이기 때문에 레벨5와 레벨점수 75점을 출력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비교유닛(332)은 분류된 레벨별 원어민 음원과 사용자 발음의 음원을 비교하고, 비교에 따른 레벨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레벨점수에 근거하여 최고점수를 갖는 레벨을 선정한다.
평가유닛(333)은 상기 비교유닛(332)에서 선정된 레벨에 대한 가중치와 산출된 레벨점수에 근거하여 발음점수로 산출한다.
즉, 첨부된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평가유닛(333)은 상기 비교유닛(332)에서 선정된 레벨에 대한 가중치와 선정된 상기 레벨의 레벨점수를 곱하여 최종적인 발음점수를 산출하게 된다. 예를 들어 첨부된 도 9에서 보인 바와 같은 결과의 테이블인 경우, 상기 발음점수는 최저 100부터 최고 1,000점의 범위 내에서 산출될 수 있다. 5레벨의 레벨점수가 75점이고, 가중치가 6이므로, 발음점수는 450점(75×6)으로 산출된다.
상기의 구성에 따르면, 원어민 음원이 엑센트, 발음 속도, 발음의 고저, 리듬, 연음 등에 의해 1 ~ 10레벨로 분류되고, 레벨별 가중치가 연계되어 발음점수가 산출되기 때문에, 외국어 문구 또는 문장을 빠른 속도로만 발음한 경우라면 높은 발음점수를 획득할 수 없다. 따라서 발음 평가의 점수가 다양한 요소(파라미터)에 의해 산출됨으로써, 발음 평가에 대한 객관성을 유지할 수 있고, 발음 평가에 대한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서 학습평가모듈, 듣기평가모듈 및 발음평가모듈의 학습내역을 나타낸 테이블이다.
첨부된 도 10을 참조하면, 과제(학습 콘텐츠), 발음(발음평가), 구절(문구 듣기평가), 문장(문장 듣기평가), 연음(발음평가의 연음)에 대한 학습 횟수를 제공하여, 학습에 대한 성과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영작평가모듈(340)은 영작 콘텐츠를 이용하여 영작평가를 수행한다.
상기 영작평가모듈(340)은 상기 학습평가모듈(310), 듣기평가모듈(320) 및 발음평가모듈(320)의 수행에 따른 학습 내용에 근거하여, 외국어 학습 내용의 문구 또는 문장에 포함된 단어 중 1 ~ 3개의 범위 내의 단어를 비슷한 단어 또는 변경가능한 단어로 교체하여 표시하거나 원어민 음원으로 출력하고, 이를 순서대로 맞춰 외국어를 학습하고, 이를 평가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도 3에 표시된 "with his old mother"의 학습 문구를 "with his old father"로 변환되어 출력하고, 사용자는 출력되는 문구를 통해 외국어를 학습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러한, 영작평가모듈(340)을 통해 학습되는 단어를 확장함으로써, 외국어 학습에 대한 응용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추가 단어를 통한 단어 학습의 늘릴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시간산출부(400)는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 이벤트에 근거하여 산출된 학습시간을 저장 관리하고, 학습에 대한 반응 시간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등급을 산출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상기 시간산출부(400)는 사용자단말기(10)로부터 입력 이벤트에 근거하여 카운팅되는 학습시간, 상기 학습시간 외의 비학습시간에 근거하여 카운팅되는 낭비시간 및 상기 학습시간과 낭비시간의 합산시간을 카운팅하는 총시간을 포함는 학습관여 시간 및 학습의 반응시간을 통해 등급을 산출하는 시간반응 등급시간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상기 시간산출부(400)를 통해 산출된 시간은 학습평가모듈(310), 듣기평가모듈(320), 발음평가모듈(330) 및 영작평가모듈(340)의 인터페이스에 표시될 수 있다.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시간산출부를 통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를 설명하기 위한 화면이다.
상기 시간산출부(400)에 의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에는 외국어 학습의 반영시간이 표시되는 공부한 시간표시 인터페이스(401), 외국어 학습의 반영시간 이외의 시간이 표시되는 낭비한 시간표시 인터페이스(402) 및 공부한 시간과 낭비한 시간을 합산한 총 시간표시 인터페이스(403)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인터랙션에 의한 이벤트의 입력으로 외국어 학습이 진행된다. 이때, 인터랙션은 주로 마우스 또는 손가락 등의 입력장치를 이용히여 클릭에 의해 이루어진다. 따라서 인터랙션이 발생은 외국어 학습시간으로 간주될 수 있고, 일정시간 동안 인터랙션이 없는 경우에는 비학습시간으로 간주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인터랙션이 발생된 시점부터 소정의 설정시간까지는 학습시간으로 판단하여 공부한 시간으로 누적되고, 설정시간의 경과 전에 다른 인터랙션이 입력되지 않은 경우 상기 설정시간 이후의 경과시간은 비학습시간으로 판단하여 낭비한 시간으로 누적되게 된다.
또한, 상기 시간산출부(400)는 학습의 반응시간을 통해 등급을 산출하는 시간반응 등급시간을 포함한다.
즉, 첨부된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외국어 학습은 외국어 원어민 음원을 듣고 단어표시 인터페이스(323)에 표시된 단어의 선택(클릭)에 따라 외국어 문장선택 인터페이스(324)에 청취한 원어민 음원에 대한 문장을 완성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원어민 음원이 종료되는 시점부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문장이 완료되는 문장완료시간을 산출하고, 산출된 문장완료시간에 근거하여 사용자의 외국어 등급의 정도를 가늠하는 척도로 사용된다.
예를 들어, 원어민 음원의 출력시간이 10초인 경우, 산출된 문장완료시간에 따라 A, B, C 및 D 등급으로 분류하고, 이를 득점으로 하여 표시되게 된다. 부연하면, 산출된 문장완료시간이 짧을수록 높은 등급이 적용되도록 구성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득점은 학습을 수행한 횟수도 포함된다.
즉, 득점을 산출하는 방식으로 학습의 도전횟수 및 상기 시간산출부에서 산출된 시간에 대응하는 외국어 등급을 기준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시간산출부(400)는 총 시간에 대한 학습시간을 산출하여 제공할뿐만 아니라, 학습 등급을 산출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시간산출부에서 산출된 득점표를 나타낸 테이블이다.
첨부된 도 12를 참조하면, 오늘공부시간과 월공부시간, 득점 등을 표시함으로써, 실제 공부한 시간이 어느 정도인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이 비대면 수업에 적용되는 경우, 사용자(학습자)의 외국어 학습에 대한 충실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녹음부(500)는 녹음된 사용자 음성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관리한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녹음부를 통해 녹음하기 위한 인터페이스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3을 참조하면, 상기 녹음부를 통해 표시되는 인터페이스는 사용자단말기의 마이크 등을 이용하여 사용자의 외국어 발음을 녹음하기 위한 녹음버튼(501) 및 상기 녹음버튼(501)의 수행에 따라 녹음된 발음 중에서 하나의 녹음 파일을 선택하기 위한 파일선택버튼(502) 및 상기 파일선택버튼(502)을 통해 선택된 파일을 학습서버(20)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버튼(503)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에서 녹음되는 사용자의 외국어 발음은 학습된 내용일 수 있고, 별도의 외국어 발음이 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의 외국어 발음을 학습서버(20)에 저장 관리됨으로써, 피학습자(선생)는 사용자의 외국어 발음을 청취할 수 있는 여건이 마련된다. 또한, 학습서버(20)에 저장된 사용자의 외국어 발음은 시간 경과에 따라 누적 관리될 수 있다.
이러한 녹음부(500)의 구성에 의하면, 사용자의 외국어 발음은 다수의 관리자(또는 선생)이 청취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에 대한 외국어 발음 평가를 통해 발음 지도할 수 있게 된다.
의견서작성부(600)는 사용자DB, 발음평가부 및 시간산출부에 저장된 학습정보, 발음점수 및 학습시간에 근거하여 작성된 학습결과를 저장 관리한다.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에 적용된 의견서작성부를 통해 작성된 일 실시 예의 의견서를 나타낸 화면이다.
첨부된 도 14를 참조하면, 상기 의견서작성부(600)를 통해 작성된 의견서에는 일별로 학습한 내역의 외국어 문장/문구가 표시되고, 표시된 문장 및 문구에 대한 학습 횟수와 진행률(%), 득점 점수, 학습에 대한 총 소요시간, 공부시간, 낭비시간 등을 포함한다.
이와 같이, 상기 의견서작성부(600)에 의해 작성된 사용자(학습자)의 외국어 학습에 대한 충실여부를 판단할 수 있는 자료로 활용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방법의 흐름도를 나타낸 것이다.
첨부된 도 15를 참조하면,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방법은 학습평가 수행단계(S10), 듣기평가 수행단계(S20), 발음평가 수행단계(S30), 영작 수행단계(S40), 녹음 단계(S50) 및 의견서 작성단계(S6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각 단계는 사용자단말기가 통신망을 통해 학습서버에 접속되어 인증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것으로서, 사용자단말기가 학습서버에 접속하여 인증받는 과정은 생략한다.
1. 학습평가 수행단계(S10)
학습평가 수행단계(S10)는 학습콘텐츠DB에 저장된 학습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평가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상기 학습평가는 외국어와 상기 외국어에 대응되는 원어민 음원 및 상기 외국어 배열 순서에 대응되는 모국어와 상기 모국어에 대한 외국어의 원어민 음원을 청취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2. 듣기평가 수행단계(S20)
듣기평가 수행단계(S20)는 학습콘텐츠DB에 저장된 듣기평가 콘텐츠를 이용하여 듣기평가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듣기평가 수행단계(S20)는 모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모국어를 보고, 음원출력 인터페이스로부터 출력되는 음원을 청취한 후, 단어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단어의 선택(클릭)에 따라 외국어 문장선택 인터페이스에 표시되게 되도록 하여 모국어 문장과 원어민 음원으로 외국어 문장을 완성하는 학습이다.
3. 발음평가 수행단계(S30)
발음평가 수행단계(S30)는 학습콘텐츠DB에 저장된 발음평가 콘텐츠를 이용하여 발음평가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이때, 상기 발음평가는 발음 속성에 따라 레벨별 원어민 발음이 저장된 원어민 발음 저장DB에 저장된 레벨별 원어민 발음과 발음평가 콘텐츠에 의해 표시되는 발음평가절차에 따라 녹음된 음성파일을 비교하고, 비교에 따른 원어민 발음에 대한 레벨별 레벨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레벨점수 중에서 최고점수에 해당되는 레벨을 선정하고, 선정된 레벨에 대한 가중치와 산출된 레벨점수에 근거하여 발음점수로 산출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진다.
4. 영작 수행단계(S40)
영작 수행단계(S40)는 학습콘텐츠DB에 저장된 영작 콘텐츠를 이용하여 영작평가를 수행하는 단계이다.
즉, 상기 영작 수행단계(S40)는 외국어 학습 내용의 문구 또는 문장에 포함된 단어 중 1 ~ 3개의 범위 내의 단어를 비슷한 단어 또는 변경가능한 단어로 교체하여 표시하거나 원어민 음원으로 출력하고, 이를 순서대로 맞춰 외국어를 학습하고, 이를 평가하는 단계이다.
5. 녹음 단계(S50)
녹음 단계(S50)는 녹음된 사용자 음성을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하는 단계이다.
6. 의견서 작성단계(S60)
의견서 작성단계(S60)는 사용자DB, 발음평가부 및 시간산출부에 저장된 학습정보, 발음점수 및 학습시간에 근거하여 작성된 학습결과를 저장 관리하는 단계이다.
상기의 과정에서 학습평가 수행단계(S10), 듣기평가 수행단계(S20) 및 발음평가 수행단계(S30)는 선택된 하나의 외국어 문장으로 수행된다. 또한, 상기 학습평가 수행단계(S10), 듣기평가 수행단계(S20) 및 발음평가 수행단계(S30)는 순차적으로 진행되어 원 사이클로 수행되도록 구성된다.
부연하면, 선택된 하나의 문장에 대한 학습평가, 듣기평가 및 발음평가가 원 사이클로 반복 수행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외국어 학습에 대한 완성도를 높일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학습자의 발음을 원어민 발음과 비교 분석하여 점수로 표시됨으로써, 학습자 발음 수준을 원어민 발음 수준과 비교하여 확인할 수 있고, 학습자의 발음 수준에 대한 비교 평가가 가능한 장점이 있다.
또한, 총 학습시간에 대한 공부시간과 낭비시간을 구분하여 표시함으로써, 비대면 학습의 부정학습을 방지할 수 있고, 실제 공부시간의 누적을 통한 비대면 수업의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청구범위 및 발명의 설명, 첨부한 도면의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로 변형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고, 이 또한 본 발명의 범위에 속한다.
10: 사용자단말기 20: 학습서버
100: 사용자DB 200: 학습콘텐츠DB
300: 평가수행부 310: 학습평가모듈
320: 듣기평가모듈 330: 발음평가모듈
331: 원어민 발음 저장DB 332: 비교유닛
340: 영작평가모듈 333: 평가유닛
400: 시간산출부 500: 녹음부
600: 의견서작성부

Claims (7)

  1. 사용자단말기; 및
    상기 사용자단말기와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고, 상기 사용자단말기의 접속요청에 따라 사용자 인증을 통해 접속을 허용하며, 상기 사용자단말기가 접속된 상태에서 이벤트 요청에 따라 외국어학습을 제공하는 학습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서버는,
    사용자 정보, 학습내역, 발음평가, 듣기평가 및 학습시간에 대한 학습정보를 저장 관리하는 사용자DB;
    학습 콘텐츠, 듣기평가 콘텐츠, 발음평가 콘텐츠 및 영작 콘텐츠를 저장 관리하는 학습콘텐츠DB;
    상기 학습콘텐츠DB에 저장된 각각의 콘텐츠를 이용하여 평가를 수행하는 평가수행부;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 이벤트에 근거하여 산출된 학습시간을 저장 관리하는 시간산출부;
    녹음된 사용자 음원을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저장 관리하는 녹음부; 및
    상기 사용자DB, 발음평가부 및 시간산출부에 저장된 학습정보, 발음점수 및 학습시간에 근거하여 작성된 학습결과를 저장 관리하는 의견작성부;
    를 포함하고,
    상기 학습 콘텐츠는,
    외국어와 상기 외국어에 대응되는 원어민 발음의 음원; 및
    상기 외국어 배열 순서에 대응되는 모국어와 상기 모국어에 대한 외국어의 원어민 발음의 음원;
    을 포함하고,
    상기 평가수행부는,
    상기 학습 콘텐츠를 이용하여 학습평가를 수행하는 학습평가모듈;
    상기 듣기평가 콘텐츠를 이용하여 듣기평가를 수행하는 듣기평가모듈;
    상기 발음평가 콘텐츠를 이용하여 발음평가를 수행하는 발음평가모듈; 및
    상기 영작 콘텐츠를 이용하여 영작평가를 수행하는 영작평가모듈;
    을 포함하며,
    상기 학습평가모듈은,
    외국어가 문장으로 표시되되, 문구별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고 문구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문구에 대한 원어민 음원이 출력되는 외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와 상기 외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문장의 선택 버튼을 포함하는 외국어를 이용한 학습평가 인터페이스; 및
    모국어가 문장으로 표시되되, 문구별로 다른 색으로 표시되고 문구의 선택에 따라 선택된 문구에 대한 원어민 음원이 출력되는 모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모국어를 이용한 학습평가 인터페이스;
    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모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모국어 문장은 상기 외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되는 외국어 문장의 배열 순으로 표시되며,
    상기 듣기평가모듈은,
    외국어를 이용한 듣기평가 인터페이스와 모국어를 이용한 듣기평가 인터페이스로 구성되고,
    상기 외국어를 이용한 듣기평가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외국어 문장에 대한 듣기평가 모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 상기 듣기평가 모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문장에 대한 원어민 음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1 음원출력 인터페이스, 상기 듣기평가 모국어 문장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문장에 대응되는 외국어 문장을 구성하는 제1 단어표시 인터페이스, 상기 제1 단어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단어의 선택에 따라 문장을 완성하는 외국어 문장선택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모국어를 이용한 듣기평가 인터페이스는,
    선택된 외국어 문구에 대한 모국어 문구표시 인터페이스, 상기 모국어 문구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문구에 대한 원어민 음원을 출력하도록 하는 제2 음원출력 인터페이스, 상기 모국어 문구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문구에 대응되는 외국어 문구를 구성하는 제2 단어표시 인터페이스, 상기 제2 단어표시 인터페이스에 표시된 단어의 선택에 따라 문구를 완성하는 외국어 문구선택 인터페이스 및 문구를 여러 개의 문구로 분리한 문구 리스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발음평가모듈은,
    엑센트, 발음 속도, 발음의 고저, 리듬, 연음으로 구성되는 발음속성에 따라 레벨별 원어민 발음이 저장된 원어민 발음 저장DB;
    상기 원어민 발음 저장DB에 저장된 레벨별 원어민 발음과 발음평가 콘텐츠에 의해 표시되는 발음평가절차에 따라 녹음된 음성파일을 비교하고, 비교에 따른 원어민 발음에 대한 레벨점수를 산출하며, 산출된 레벨점수 중에서 최고점수에 해당되는 레벨을 선정하는 비교유닛; 및
    상기 비교유닛에서 선정된 레벨에 대한 가중치와 산출된 레벨점수에 근거하여 발음점수로 산출하는 평가유닛;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2. 삭제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듣기평가 콘텐츠는,
    외국어 문장, 상기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문구, 상기 외국어 문장에 포함된 단어, 상기 외국어 문장에 대한 원어민 발음의 음원, 상기 외국어 문장에 대한 모국어 문장 및 상기 외국어 문장에 대한 모국어 문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4. 삭제
  5. 삭제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시간산출부는,
    상기 사용자단말기로부터 입력 이벤트에 근거하여 카운팅되는 학습시간;
    상기 학습시간 외의 비학습시간에 근거하여 카운팅되는 낭비시간; 및
    상기 학습시간과 낭비시간의 합산시간을 카운팅하는 총시간;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7. 삭제
KR1020200080188A 2019-12-30 2020-06-30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4602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011523361.6A CN113128824A (zh) 2019-12-30 2020-12-21 基于母语文字的一周期在线外语学习系统及其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0177361 2019-12-30
KR1020190177361 2019-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939A KR20210086939A (ko) 2021-07-09
KR102460272B1 true KR102460272B1 (ko) 2022-10-31

Family

ID=768650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0188A KR102460272B1 (ko) 2019-12-30 2020-06-30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60272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304B1 (ko) * 2017-01-06 2018-05-18 박진하 언어 학습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73291A (ko) * 2004-01-08 2004-08-19 정보통신연구진흥원 외국어 발음 평가 시스템 및 그 평가 방법
KR20090009626U (ko) * 2008-03-20 2009-09-24 박준혁 말하기, 듣기, 읽기, 쓰기 4대 요소를 이용한 영어학습프로그램
KR101170214B1 (ko) * 2009-04-06 2012-07-31 최종근 소리에 의한 외국어 단어 속성암기를 위한 소리 구성 방법
KR20160111275A (ko) 2015-03-16 2016-09-26 최병선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외국어 학습 방법
KR101911735B1 (ko) 2017-04-04 2018-10-25 전산 한글 기반 영어 학습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45304B1 (ko) * 2017-01-06 2018-05-18 박진하 언어 학습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86939A (ko)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78650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oviding scalable educational content
US6305942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ed language fluency through interactive comprehension, recognition and generation of sounds, words and sentences
JP5318572B2 (ja) 音声発音教育装置並びに音声発音教育方法および音声発音教育プログラム
US20080027731A1 (en) Comprehensive Spoken Language Learning System
US20060216685A1 (en) Interactive speech enabled flash card method and system
US20040176960A1 (en) Comprehensive spoken language learning system
Russell Technology and assessment: The tale of two interpretations
US10957210B2 (en) Language-adapted user interfaces
Kaldahl Teachers' voices on the unspoken oracy construct:" Oracy-the taken-for-granted competence"
Kaiser Mobile-assisted pronunciation training: The iPhone pronunciation app project
KR102031482B1 (ko) 외국어 학습 관리 시스템 및 학습 방법
JP2002258729A (ja) 外国語学習システム、その情報処理端末、及びサーバ
Geranpayeh et al. Examining listening: Developments and issues in assessing second language listening
KR20190143057A (ko) 한자와 중국어의 병행 학습이 가능한 온라인 학습 시스템 및 방법
KR100981427B1 (ko) 강제 반복 학습을 통한 외국어의 완성 문장 학습 방법
US20230282130A1 (en) Reading level determination and feedback
KR102460272B1 (ko) 모국어 문자기반 원 사이클 온라인 외국어 학습 시스템 및 그 방법
Alsunaidi et al. Abjad: Towards interactive learning approach to arabic reading based on speech recognition
KR101080092B1 (ko) 외국어 단어 학습방법 및 이를 이용한 외국어 학습 장치
US20220044589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helping language learners learn more
KR102651631B1 (ko) 온라인 기반 한국어 능숙도 평가 장치 및 방법
Walesiak Mobile apps for pronunciation training
Watanabe et al. Investigating the Effect of Chinese Pronunciation Teaching Materials Using Speech Recognition and Synthesis Functions.
Pennington et al. Assessing Pronunciation
Van Moere Automated spoken language testing: Test construction and scoring model development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