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8760A - 통신 매체를 통한 필요 오디오 정보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매체를 통한 필요 오디오 정보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8760A
KR20000048760A KR1019990702746A KR19997002746A KR20000048760A KR 20000048760 A KR20000048760 A KR 20000048760A KR 1019990702746 A KR1019990702746 A KR 1019990702746A KR 19997002746 A KR19997002746 A KR 19997002746A KR 20000048760 A KR20000048760 A KR 2000004876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generating
signal
metering
cr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7027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2526B1 (ko
Inventor
하싼아머
완용빙
카라비니스피터디
Original Assignee
도날드 디. 먼둘
에릭슨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도날드 디. 먼둘, 에릭슨 인크. filed Critical 도날드 디. 먼둘
Publication of KR200000487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87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252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2526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12Comfort noise or silence coding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9/00Speech or audio signals analysis-synthesis techniques for redundancy reduction, e.g. in vocoders; Coding or decoding of speech or audio signals, using source filter models or psychoacoustic analysis
    • G10L19/005Correction of errors induced by the transmission channel, if related to the coding algorithm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Multimedia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rror Detection And Correction (AREA)
  • Detection And Prevention Of Errors In Transmission (AREA)
  •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z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AREA)
  • Reduction Or Emphasis Of Bandwidth Of Signal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Abstract

필요 오디오 정보가 제1오디오 신호에 존재할 때 통신 매체에서 제1통신 신호를 발생함으로써 제1오디오 신호에 간헐적으로 존재하는 필요 오디오 정보가 통신 매체를 통하여 전송되고, 제1통신 신호는 소정의 코드에 따라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서 인코딩된 제1오디오 신호를 나타낸다. 제2통신 신호는 통신 매체로부터 수신된다. 수신된 제2통신 신호는 처리되어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 이어서 다수의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계량이 결정되고, 계량이 소정 범위내에 있을 때 다수의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2오디오 신호가 발생된다. 계량이 소정 범위밖에 있을 때에는, 바람직하게는, 선행해서 수신된 통신 신호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안락 잡음 등의 충전 오디오 신호가 발생된다. 바람직하게는 필요 오디오 정보가 오디오 신호에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명백한 불연속 메시지를 발생하지 않고, 제1통신 신호의 발생이 중지된다. 불연속 송신 기능은 별개의 순환 중복 코딩 방법(CRC)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도 있고, 또는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 방법으로부터 추출된 통합 디코딩 계량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도 있다.

Description

통신 매체를 통한 필요 오디오 정보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DESIRED AUDIO INFORMATION OVER A COMMUNICATIONS MEDIUM}
통신 시스템에서 사용자들 간의 통상적인 통신 회합 진행중에, 전송되는 매우 많은 정보는 중요하지 않을 수도 있고, 배경 잡음 또는 최종 사용자에게 소용이 적거나 필요가 없는 기타의 정보를 포함하고 있을 수도 있다. 예로서, 무선 전화 등의 오디오 장치에 있어서, 각 사용자는 통신 회합 시간의 50% 이상을, 예로서, 음성 또는 기타 필요한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지 않고, 「침묵으로」 있을 수도 있다. 채널을 통한 침묵 또는 기타의 내용없는 배경 오디오의 전송은 통상적으로, 예를 들면, 대역폭, 채널 용량, 전력, 및 기타 등의 시스템 자원의 비효율적인 사용을 나타낸다. 따라서, 통신국에서의 오디오 신호가 아무런 음성 정보를 보유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유휴 기간 동안에 에너지를 절약하고 기타의 사용자가 채널을 사용하도록 하기 위하여, 채널을 통한 통신국으로부터의 송신을 중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이유로 인하여, 불연속 송신(DTX; discontinuous transmission)이 통신 시스템에 때때로 사용된다. 종래의 셀룰러 무선 전화기 시스템에서, 송신국의 상태의 변환, 예로서, 활성화에서 유휴, 유휴에서 활성화, 및 기타 등에 대해서 정보를 포함하는 명백한 메시지를, 수신을 제어하기 위하여 수신국에 전송함으로써, 예를 들면 DTX가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상태 메시지는 전용의 상태 채널로써 또는 통신 채널을 통한 메시지로써 전송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침묵 설명어(silience descriptor)」, 즉, 음성 활동의 결핍을 나타내는 명백한 메시지는, 사사키(Sasaki)에게 부여한 미합중국 특허 제 5,475,712호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음성 정지를 나타내기 위하여 송신국으로부터 송신될 수 있다.
DTX는 유휴 기간 동안에 기타의 사용자가 사용하도록 채널을 개방함으로써 스펙트럼 효율을 향상하는 데에 도움이 된다. 추가로, 불연속 송신은 채널간의 충돌 가능성을 감소시킴으로써, 공동-채널 방해를 감소시킬 수 있다. 공동-채널 방해의 감소로 인하여, 허용할 수 없는 채널간의 방해 가능성이 감소됨에 따라서, 이번에는 채널 밀도를 더 높게 할 수 있다.
DTX는 이동 위성 무선 전화기 장치 등의 전력에 민감한 장치에 대하여 추가적인 편익을 제공한다. 한정적인 대역폭 및 채널 용량을 갖는 것에 추가하여, 위성 또는 이동 장치로부터의 통신 신호의 송신에 이용 가능한 에너지는 제한되기 쉽다. 따라서, 통상적으로 중요하지 않은 오디오 정보의 통신에 대한 위성 에너지의 낭비를 피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DTX를 사용함으로써, 위성 기지 통신 시스템은 중요하지 않은 오디오 정보에 해당하는 통신 신호의 송신을 방지하여 위성 및 이동 장치의 전력을 절약할 수 있다.
그러나, 불운하게도, 종래의 DTX 기술은 아직 상당한 양의 시스템 자원을 소비한다. 전용 신호 전송 채널은, 그렇지 않으면 통신에 이용 가능한 대역폭을 점유하고, 상태 신호의 전송에 에너지를 소비한다. 유사하게, 침묵 설명어의 사용은 이용 가능한 채널 용량을 감소시키고, 침묵 설명어의 송신에 있어서 전력 소비를 증가시킨다.
본 발명은 통신 시스템 및 방법, 특히, 통신 시스템에서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을 나타내는 개략도.
도 2A-B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1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3A-B는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의 제2실시예를 나타내는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기 의한 동작 설명 계통도.
도 5A-B는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특징에 따라서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기 의한 동작 설명 계통도.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통신 데이터의 유효성 계량을 결정하기 위한 동작 설명 계통도.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의 발생을 나타내는 개략도.
상기의 관점에서, 통신 매체를 통하여 오디오 정보를 효율적으로 전송하는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목적은 전용 신호 전송 채널, 침묵 설명어, 또는 기타의 불연속 메시지를 필요로 함이 없이 필요한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러한 목적과 기타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통신 시스템에서의 본 발명, 및 필요 오디오 정보가 오디오 신호에 존재할 때 소정의 코드에 따라서 인코드(encode)된 제1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제1통신 신호가 통신 매체에서 발생되는 방법에 따라서 제공된다. 이어서 제2통신 신호가 수신되고 처리되어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다수의 블록의 유효성의 계량(計量; metric), 예로서, 블록 시퀀스(sequence)에서 오류의 수의 계수(計數)가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 제2오디오 신호가 다수의 처리된 블록으로부터 생성된다. 만일 계량이 불연속 송신을 나타내면서 소정 범위밖에 있으면, 충전(充塡)(filler) 오디오 신호, 바람직하게는 종전에 수신된 통신 신호로부터 추출된 「안락 잡음(comfort noise)」이 생성된다. 불연속 송신의 검출에 대한 디코딩(decoding)은 오류 검출 및 복구를 위한 디코딩 장치와는 별도의 디코딩 장치를 사용하여 실행되거나, 또는 오류 검출 및 정정을 위한 블록 당 계량을 생성하고, 다수의 블록에 대한 블록 당 계량을 결합하여 불연속 송신의 검출을 실행하는 단일 디코딩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불연속 송신을 이용하여, 본 발명은 바람직하지 않은 배경 또는 기타의 오디오 정보의 불필요한 송신을 방지함으로써 효율을 증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증가된 효율은 전력 자원을 절약하는데 도움을 주며, 이것은 이동 위성 장치에 있어서 특히 중요하다. 불연속 송신을 검출하기 위하여 코딩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본 발명이 전용의 신호 전송 채널 또는 침묵 설명어의 송신 또는 기타의 명백한 불연속 메시지를 필요로 함이 없이 불연속 송신을 할 수 있게 한다. 불연속 송신에 사용되는 코딩 기능은 기존의 오류 검출 및 정정 코딩 기능과 효율적으로 통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하면, 제1오디오 신호에 간헐적으로 존재하는 필요 오디오 정보를 통신 매체를 통하여 전송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은 필요 오디오 정보가 오디오 신호에 존재할 때 통신 매체에서 제1통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고, 제1통신 신호는 소정의 코드에 따라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서 인코딩된 제1오디오 신호를 나타낸다. 통신 신호 수신 수단은 통신 매체로부터 제2통신 신호를 수신한다. 통신 신호 처리 수단은 수신된 제2통신 신호를 처리하여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 계량 결정 수단은 다수의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계량을 결정한다.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은 계량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 다수의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2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계량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에는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한다.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은 필요 오디오 정보가 제1오디오 신호에 존재하지 않을 때 제1통신 신호의 발생을 중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필요 오디오 정보는 음성 정보이고, 발생을 중지하기 위한 수단은 제1오디오 신호에 음성 활동이 존재하지 않을 때 제1통신 신호의 발생을 중지하는 음성 활동성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1통신 신호의 발생 중지는 명백한 불연속 메시지를 발생함이 없이 일어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은 또한 소정의 코드에 따라서 제1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인코딩 수단, 및 인코딩 수단에 응답하여,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1통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실시예에 의하면, 인코딩 수단은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제1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인코딩 수단, 및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1통신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한다. 통신 신호 처리 수단은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수신된 제2통신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순방향 오류 제어 디코딩 수단, 및 각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에 대한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을 포함하고,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은 대응하는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낸다. 계량 결정 수단은, 순방향 오류 제어 디코딩 수단에 응답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들을 통합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의 통합 계량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은 통합 계량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2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통합 계량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에는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을 통합하기 위한 수단은 순차적인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을 통합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순방향 오류 정정 인코딩 수단은 중첩 코드(convolutional code)에 따라서 제1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중첩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중첩 인코딩 수단, 및 중첩 코드에 따라서 수신된 제2통신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중첩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수단과, 각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에 대한 중첩 디코딩 계량을 포함할 수도 있고, 중첩 디코딩 계량은 대응하는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낸다.
제2실시예에 의해서, 인코딩 수단은 순환 중복 코드(CRC;cyclic redundancy code)에 따라서 제1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CRC 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CRC 인코딩 수단, 및 CRC 인코딩 수단에 응답하여,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CRC 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순방향 오류 정정 인코딩 수단을 포함한다.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은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수신된 제2통신 신호를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수단, 및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수단에 응답하여, CRC에 따라서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디코딩하여, CRC 디코딩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각 CRC 디코딩 통신 데이터 블록에 대한 CRC 계량을 결정하기 위한 CRC 디코딩 수단을 포함한다. 계량 결정 수단은 다수의, 바람직하게는, 순차적인 CRC 디코딩 통신 데이터 블록의 CRC 계량을 통합하여, 다수의 CRC 디코딩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의 통합 계량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한다. 다수의 CRC 디코딩 통신 데이터 블록의 CRC 계량을 통합하기 위한 수단은 통합 계량을 소정 범위내의 초기치에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CRC 디코딩 수단에 응답하여, 오류를 표시하는 CRC 계량을 갖는 다수의 CRC 디코딩 통신 데이터 블록의 각 CRC 디코딩 블록에 대한 통합 계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은 계량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안락 잡음을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시스템은 또한 선행해서 수신된 통신 신호로부터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방법의 특징에 따라서, 통신 신호는 통신 매체로부터 수신된다. 수신된 통신 신호는 처리되어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 이어서 다수의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계량이 결정된다. 계량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 다수의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오디오 신호가 발생되고, 계량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에는 충전 오디오 신호가 발생된다. 따라서,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효율적인 기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을 본 발명의 실시예를 나타낸 첨부 도면을 참조로 하여 이하에서 더욱 완전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많은 상이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고,여기에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되며, 오히려, 본 개시가 철저하고 완전하도록 이 들 실시예가 제공되어서 전문 기술자들에게 본 발명의 범위를 완전하게 전달한다. 도면에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숫자는 유사한 소자를 의미한다.
이어서,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통신 시스템(100)은 통신 매체(20)에서 제1통신 신호(15)를 발생하기 위한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10), 및 통신 매체(20)로부터 제2통신 신호(25)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신호 수신 수단(30)을 포함한다. 통신 신호 처리 수단(40)은 수신된 제2통신 신호(35)를 처리하여 통신 데이터(45) 블록을 생성하고, 계량 결정 수단(50)은 다수의 통신 데이터(45) 블록의 유효성의 계량(55)을 결정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계량(55)은, 예로서, 통신 신호 처리 수단(40)에 의하여 생성된 디코딩 계량(47)으로부터 결정될 수도 있다. 시스템(100)은 또한 계량(55)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 다수의 통신 데이터(45) 블록으로부터 발생되는 제2오디오 신호이거나, 또는 계량(55)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 발생되는 충전 오디오 신호,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43)로부터 발생되는 안락 잡음인 오디오 출력(65)을 발생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60)을 포함한다.
전문 기술자는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10), 통신 신호 수신 수단(30), 통신 신호 처리 수단(40), 계량 결정 수단(50),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60) 및 그 구성 요소는 신호 처리기, 필터(filter), 변조기, 증폭기, 송신기, 안테나 및 기타 등의 여러 가지 통신 구성 소자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있다. 이러한 소자는 특정 목적의 하드웨어, 컴퓨우터 또는 기타의 데이터 처리 하드웨어에서 동작하는 소프트웨어, 또는 그 것들의 조합을 사용하여 실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한 이하의 설명 목적으로, 이러한 소자의 동작은 전문 기술자들에게 공지되어 있고 여기에서는 상세하게 논의할 필요가 없다.
전문 기술자에 의하여 평가되겠지만, 통신 시스템은 데이터 블록을 나타내는 통신 신호를 송신하고 수신함으로써 통상적으로 정보를 전송한다. 예로서, GSM(Global System for Mobile Telecommunication; 유럽의 이동 전화 방식) 무선 전화 시스템에서, 통상적으로 음성 통신은 소정의 수의 기호 또는 비트(bit)를 포함하는 블록으로 송신되고, 각 블록은 블록의 시작과 끝을 표시하는 구분 문자를 포함한다. 블록의 사용은, 예로서, 블록 또는 한정 제약적인 중첩 디코더에서 수신 신호의 디코딩을 용이하게 한다. GSM 시스템에서 사용되는 코딩 방법 및 블록 포맷은 1992년, 모울리(Mouly) 및 파우텟(Pautet)에 의한 「The GSM for Mobile Communications」에 상세하게 기재되어 있다.
필요 오디오 정보가 제1오디오 신호(5)에 존재할 때,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10)은 소정의 코드에 따라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서 인코딩된 제1오디오 신호(5)를 나타내는 제1통신 신호(15)를 발생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10)은 소정 코드에 따라서 제1오디오 신호(5)를 인코딩하여 코딩된 통신 데이터(13) 블록을 생성하는 인코딩 수단(12), 및 코딩된 통신 데이터(13) 블록으로부터 제1통신 신호(15)를 발생하기 위한 통신 신호 발생 수단(14)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불연속 신호 발생 수단(10)은 또한 필요 오디오 데이터가 제1오디오 신호(5)에 존재하지 않을 때, 예로서, 통신 신호 발생 수단(14)에 금지 신호(17)를 발생함으로써, 제1통신 신호(15)의 발생을 중지하기 위한 수단(16)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수단(16)은 필요 오디오 정보가 제1오디오 신호(5)에 존재하지 않을 때, 제1오디오 신호(5)에 필요 정보의 부재(不在)로 인한 불연속 송신을 표시하는 침묵 설명어 또는 기타의 명백한 불연속 메시지를 발생하지 않고, 제1통신 신호(15)의 발생을 중지하는 것이다.
전문 기술자에 의하여 평가되겠지만, 통신 신호가 통신 매체, 예로서, 대기(大氣)에서 발생될 때, 수신될 때의 신호는 다중 경로 페이딩(fading), 공동 채널 방해 및 기타 등의 메카니즘으로 인하여 통상적으로 왜곡된다. 그러므로, 이 신호는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10)에 의해서 생성되는 제1통신 신호(15)중의 어느 정도 또는 모든 정보 내용을 포함할 수도 있지만, 통신 신호 수신 수단(30)에 의해서 수신되는 제2통신 신호(25)는 그럼에도 불구하고 통상적으로 발생된 제1통신 신호(15)에 비해서 상이한 통신 신호, 즉, 발생된 신호(15)가 왜곡된 또는 그렇지 않으면 변형된 것을 나타내는 신호이다. 추가로,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10)이 제1통신 신호를 발생하지 않는 기간 동안에, 즉, 아무런 음성 활동이 발생하지 않을 때, 통신 신호 수신 수단(30)에 의하여 수신되는 제2통신 신호(25)는 통상적으로 「배경 잡음」, 예로서, 기타 송신기, 방해 소오스(source) 및 기타 등으로부터의 신호의 조합을 나타낸다.
본 발명에 의해서, 통신 신호 처리 수단(40)은, 제1통신 신호(15)의 정보 내용이건 또는 배경 잡음을 포함하건 간에, 수신된 제2통신 신호(25)를 처리하고, 수신된 제2통신 신호(25)에 대응하는 통신 데이터(45) 블록을 생성한다. 계량 결정 수단(50)은 다수의 처리된 블록(45)의 유효성의 계량(55), 바람직하게는 수신된 통신 신호(25)의 처리에서 생성된 디코딩 계량의 통합에 대응하는 통합 계량을 결정한다. 이어서 계량(55)은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60)에서 제2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하여, 처리된 블록(45)을 추가로 처리하도록 인도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도 2A-B는 본 발명에 의한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2A를 참조하면,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10)은 여러 가지 오디오 신호 처리 구성 소자, 예로서, 제1오디오 신호(5)를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115)로 변환하는 오디오 아날로그-디지털(A/D) 컨버터(1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115)를 인코딩하여 코딩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125)를 생성하기 위한 음성 인코딩 수단(120)은, 예로서, 디지털 오디오 데이터(115)를 압축하여 중복성이 감축된 코딩된 오디오 데이터(125)를 생성하기 위하여 포함될 수도 있다.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10)의 중지 수단(16)은 필요 오디오 정보, 바람직하게는 음성 정보의 부재를 검출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로서, 중지 수단(16)은 필요 음성 정보의 존재 또는 부재에 따라서 통신 신호 발생 수단(14)의 동작을 할 수 있게 하거나 또는 금지하는 신호(17)를 발생하는 음성 활동 검출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음성 활동 검출기의 예는 크라우스(Crouse) 등에게 부여한 미합중국 특허 제 4,351,983호에 기재되어 있다.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20)의 인코딩 수단(12)은 또한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제1오디오 신호(5)를 인코딩하기 위한 순방향 오류 정정 인코딩 수단을 포함하고 있어서 코딩된 통신 데이터(13)가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도 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신호 처리 수단(40)은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수신된 제2통신 신호(35)를 디코딩하기 위한, 또 통신 데이터(45) 블록, 및 각각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에 대하여 대응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47)을 생성하기 위한,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수단을 포함할 수도 있다. 계량 결정 수단(50)은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45) 블록에 대하여 생성된디코딩 계량(47)을 통합하여 통합 계량(55)을 생성하기 위한 디코딩 계량 통합 수단을 포함한다. 만일 통합 계량(55)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다면,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60)은, 아마도 음성 디코딩 수단(62)에서 음성 디코딩한 후에,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45) 블록으로부터 제2오디오 신호를 생성한다. 그렇지 않으면, 충전 오디오 신호가 발생된다.
전문 기술자에 의하여 평가되겠지만, 주어진 통신 데이터 블록을 디코딩함에 있어서, 종래의 디코더는 통상적으로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블록의 유효성의 기준을 제공하는 계량을 발생한다. 통상적으로 특정의 디코딩 블록에 대한 계량은 통신 매체를 통한 송신에서 블록이 손상되었는 가를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다수의 디코딩된 블록으로부터의 개별 계량은 통합되어 불연속 송신을 검출하는데 사용되는 계량을 생성한다.
본 발명에 의해서 불연속 송신의 코딩은 다수의 방법으로 실행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불연속 송신을 위한 코딩은 상기에 나타낸 실시예에서와 같이, 또는 별개의 코딩 기능으로써,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과 통합될 수 있다. 도 3A-B에 나타낸 제2실시예에 의하면, 인코딩 수단(12)은 CRC에 따라서 제1오디오 신호(5)를 인코딩하여 CRC 코딩 오디오 데이터(135)를 생성하기 위한 CRC 인코딩 수단(130)을 포함한다. 인코딩 수단(12)은 또한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 예로서, CRC 코딩된 오디오 데이터(135)를 중첩 코드에 따라서 인코딩하여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된 통신 데이터(13) 블록을 생성하는, 여기에서는 중첩 인코딩 수단을 포함하는 것으로 나타낸 순방향 오류 정정 인코딩 수단(140)을 포함한다. 도 3B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신 신호 처리 수단(40)은 수신된 제2통신 신호(35)를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155) 블록을 생성하는, 여기에서는 중첩 디코딩 수단으로서 나타낸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수단(150)을 포함한다. 이어서,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155) 블록은 CRC 디코딩 수단(160)에서 CRC에 따라서 디코딩되어,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45) 블록, 및 각 블록에 대한 CRC 계량(47)을 생성한다. 각 CRC 계량은 대응하는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45) 블록의 유효성을 표시한다.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45) 블록에 대한 CRC 계량(47)은 디코딩 계량 통합 수단(50)에서 통합되어, 이번에는 상기에서와 같이 오디오 출력(65)의 생성을 인도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통합 계량(55)을 생성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라서 오디오 신호에서 필요 오디오 정보를 통신 매체를 통하여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낸다(블록 400). 만일 필요 오디오 정보가 오디오 신호에 존재하면(블록 410), 통신 매체에서 통신 신호가 발생된다(블록 420). 통신 신호는 통신 매체로부터 수신되고(블록 430), 수신된 통신 신호는 처리되어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블록 440). 이어서, 다수의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의 계량이 결정된다(블록 450). 만일 계량이 소정 범위내에 있다면(블록 460), 다수의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2오디오 신호가 발생된다(블록 470). 만일 계량이 소정 범위밖에 있다면(블록 460),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가 발생된다(블록 480).
도 5A-B는 본 발명의 또 하나의 방법의 특징에 따라서 오디오 신호에서 필요 오디오 정보를 전송하는 동작을 나타낸다(블록 500). 만일 필요 오디오 정보가 오디오 신호에 존재하면(블록 505), 제1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오디오 데이터는 CRC에 따라서 인코딩되어 CRC 코딩된 통신 데이터를 생성한다(블록 510). 이어서 CRC 코딩된 통신 데이터는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 예로서, 중첩 코드에 따라서 인코딩되어,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블록 515), 통신 매체에서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된 통신 데이터로부터 제1통신 신호가 발생된다(520). 통신 매체로부터 제2통신 신호가 수신되고(블록 525), 제2의 수신된 통신 신호는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디코딩되어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한다(블록 530). 이어서,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은 CRC에 따라서 디코딩되어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 및 각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에 대한 CRC 계량을 생성한다(블록 535). 이어서,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에 대한 CRC 계량이 통합되어 통합 계량을 결정한다(540). 만일 통합 계량이 소정 범위내에 있다면(블록 545),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2오디오 신호가 발생된다(블록 550). 만일 통합 계량이 소정 범위밖에 있다면(블록 545), 바람직하게는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가 발생된다(블록 555).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블록은 순차적인 다수의 통신 데이터 블록을 나타내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수의 CRC 디코딩된 블록에 대한 CRC 계량은 통합되어 통합 계량을 소정 범위내에서 초기치에 첫 번째로 설정함으로써 통합 계량을 결정한다(605).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디코딩하는 단계(도 5의 블록 530)는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것과, 예로서, 표본 버퍼(sample buffer)에서 블록을 저장하는 것을 포함한다(블록 610, 615). 다수의 CRC 디코딩된 블록에 대한 CRC 계량을 통합하는 단계(도 5의 블록 540)는 대응하는 블록에서 오류를 표시하는 CRC 계량을 갖는 각 저장된 블록에 대한 통합 계량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한다(블록 620, 625). 표본 버퍼를 채울 때(블록 630), 통합 계량이 소정 범위내에 있다면 제2오디오 신호는 저장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발생된다(블록 545, 550). 만일 통합 계량이 소정 범위밖에 있다면, 충전 오디오 신호가 발생된다(블록 555). 이어서 통합 계량은 초기치에 재설정된다(블록 605).
상기와 같이, 충전 오디오 신호는, 바람직하게는 종전에 수신된 통신 신호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발생된 안락 잡음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43)는 종전에 수신된 통신 신호로부터 생성된 통신 데이터 블록(45)으로부터 추출되고, 예를 들면, 음성 디코딩 수단(62)에 의해서 디코딩되어, 오디오 데이터 저장 수단(64), 예로서, 디지털 기억 장치 또는 기타의 저장 장치에 저장된다. 오디오 데이터 저장 수단(64)에 저장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43)는, 예로서, 오디오 데이터 저장 수단으로부터 주기적으로 데이터를 검색하는 수단(66),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수신되는 통신 데이터의 유효성의 계량(55)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 기억 장소에 순차적으로 액세스(access)하는 번지 생성기(address generator)에 의하여 검색될 수도 있다. 유사하게, 저장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43)는 임의적으로 검색되어서, 더욱 임의적인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한다. 전문 기술자는 본 발명이 설명된 방법에 부가해서 다수의 방법으로 발생된 충전 오디오 신호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예를 들면, 종전에 수신된 신호로부터 추출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는 여파(濾波) 및 기타의 신호 처리 기술로써 처리되어 음성 또는 기타 정보를 제거하고 차후에 충전 신호로서 사용되는 배경 오디오를 남겨둘 수 있다.
도면 및 설명에서, 본 발명의 전형적인 실시예가 개시되었고, 특정의 용어가 사용되었지만, 그 것들은 일반적이고 설명적인 의미로만 사용되었고 제한의 목적은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후속하는 청구 범위에서 설명된다.

Claims (34)

  1. 제1오디오 신호에 간헐적으로 존재하는 필요 오디오 정보를 통신 매체를 통하여 전송하기 위한 통신 시스템에 있어서, 이 통신 시스템은,
    필요 오디오 정보가 제1오디오 신호에 존재할 때 통신 매체에서 제1통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으로서, 제1통신 신호는 소정의 코드에 따라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서 인코딩된 제1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과,
    통신 매체로부터 제2통신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통신 신호 수신 수단과,
    상기 통신 신호 수신 수단에 응답하여, 수신된 제2통신 신호를 처리하여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통신 신호 처리 수단과,
    상기 통신 신호 처리 수단에 응답하여, 다수의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계량을 결정하기 위한 계량 결정 수단, 및
    계량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 다수의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2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계량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에는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요 오디오 정보 전송을 위한 통신 시스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은 필요 오디오 정보가 제1오디오 신호에 존재하지 않을 때 통신 매체에서 제1통신 신호의 발생을 중지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3. 제2항에 있어서, 필요 오디오 정보는 음성 정보이고, 발생을 중지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음성 활동성 검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은 명백한 불연속 메시지를 발생함이 없이 제1통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불연속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은,
    소정의 코드에 따라서 제1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인코딩 수단, 및
    상기 인코딩 수단에 응답하여,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1통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수단은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제1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순방향 오류 정정 인코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은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1통신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신호 처리 수단은 수신된 제2통신 신호를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순방향 오류 제어 디코딩 수단, 및 각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에 대한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인, 대응하는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을 포함하고,
    상기 계량 결정 수단은, 상기 순방향 오류 제어 디코딩 수단에 응답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들을 통합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의 통합 계량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및
    상기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은 통합 계량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2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통합 계량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에는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을 통합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순차적인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을 통합하여 순차적인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의 통합 계량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순방향 오류 정정 인코딩 수단은 중첩 코드(convolutional code)에 따라서 제1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중첩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중첩 인코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은 중첩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1통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수단은 수신된 제2통신 신호를 중첩 코드에 따라서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중첩 디코딩 수단, 및 각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에 대한 중첩 디코딩 계량을 포함하고, 중첩 디코딩 계량은 대응하는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내며, 및
    디코딩 계량을 통합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중첩 디코딩 계량을 통합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의 통합 계량을 결정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인코딩 수단은,
    순환 중복 코드(CRC;cyclic redundancy code)에 따라서 제1오디오 신호를 인코딩하여, CRC 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생성하기 위한 CRC 인코딩 수단, 및
    상기 CRC 인코딩 수단에 응답하여,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CRC 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인코딩하여,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순방향 오류 정정 인코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은 순방향 오류 정정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1통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통신 신호 처리 수단은,
    수신된 제2통신 신호를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수단, 및
    상기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수단에 응답하여,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CRC에 따라서 디코딩하여,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각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에 대한 CRC 계량인, 대응하는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각 CRC 계량을 결정하기 위한 CRC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계량 결정 수단은,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CRC 계량을 통합하여,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의 통합 계량을 결정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은 대응하는 통합 계량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2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통합 계량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에는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CRC 계량을 통합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순차적인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CRC 계량을 통합하기 위한 상기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1. 제9항에 있어서,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CRC 계량을 통합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통합 계량을 소정 범위내에서 초기치에 설정하기 위한 수단, 및
    CRC 디코딩 수단에 응답하여, 오류를 표시하는 CRC 계량을 갖는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각 CRC 디코딩된 블록에 대한 통합 계량을 증가시키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2. 제9항에 있어서,
    순방향 오류 정정 인코딩 수단은 CRC 코딩된 오디오 데이터를 중첩 코드에 따라서 인코딩하여 중첩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중첩 인코딩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통신 신호 발생 수단은 중첩 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1통신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며,
    상기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수단은 수신된 제2통신 신호를 중첩 코드에 따라서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기 위한 중첩 디코딩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3. 제1항에 있어서, 계량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 상기 음향 신호 발생 수단은 안락 잡음을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음향 신호 발생 수단은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5. 제14항에 있어서, 선행해서 수신된 통신 신호로부터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수단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6. 제15항에 있어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상기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에 응답하여,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오디오 데이터 저장 수단을 포함하고, 및 상기 오디오 신호 발생 수단은, 상기 오디오 데이터 저장 수단에 응답하여, 계량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 저장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7. 제16항에 있어서, 저장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저장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주기적 오디오 데이터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주기적 검색 수단에 응답하여, 주기적 오디오 데이터 시퀀스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8. 제16항에 있어서, 저장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상기 수단은,
    저장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를 임의적으로 검색하여, 임의적 오디오 데이터 시퀀스를 생성하기 위한 수단, 및
    상기 임의적 검색 수단에 응답하여, 임의적 오디오 데이터 시퀀스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19. 통신 매체를 통하여 송신된 오디오 정보의 수신 방법에 있어서, 이 방법은,
    통신 매체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통신 신호를 처리하여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와,
    다수의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계량을 결정하는 단계, 및
    계량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 다수의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신호를 발생하고, 계량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에는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는 수신된 통신 신호를 순방향 오류정정 코드에 따라서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 및 각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에 대한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인, 대응하는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각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량 결정 단계는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을 통합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의 통합 계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및
    상기 발생 수단은 통합 계량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2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통합 계량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에는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을 통합하는 상기 단계는 순차적인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순방향 오류 정정 디코딩 계량을 통합하여 순차적인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의 통합 계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디코딩 단계는 수신된 통신 신호를 중첩 코드에 따라서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 및 각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에 대한 중첩 디코딩 계량을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각 중첩 디코딩 계량은 대응하는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내며, 및
    상기 통합 단계는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중첩 디코딩 계량을 통합하여 다수의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의 통합 계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0항에 있어서,
    상기 처리 단계는,
    수신된 통신 신호를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디코딩하여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는 단계, 및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CRC에 따라서 디코딩하여,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을 생성하고, 및 각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에 대한 CRC 계량인, 대응하는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을 나타내는 각 CRC 계량을 결정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계량 결정 단계는,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CRC 계량을 통합하여,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유효성의 통합 계량을 결정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며, 및
    상기 발생 단계는 대응하는 통합 계량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제2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통합 계량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에는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23항에 있어서,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CRC 계량을 통합하는 상기 단계는 순차적인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CRC 계량을 통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5. 제23항에 있어서, 디코딩된 통신 블록을 CRC에 따라서 디코딩하는 상기 단계는 통합 계량을 소정 범위내에서 초기치에 설정하는 단계에 의하여 선행되고, 및
    디코딩된 통신 블록을 CRC에 따라서 디코딩하는 상기 단계는 순차적인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블록을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CRC 계량을 통합하는 상기 단계는 저장된 CRC 디코딩된 통신 데이터 블록의 각 CRC 계량에 대한 통합 계량을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발생 단계는 통합 계량이 소정 범위내에 있을 때, 저장된 다수의 CRC 디코딩된 통신 블록으로부터 제2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통합 계량이 소정 범위밖에 있을 때에는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및
    상기 발생 단계는 통합 계량을 초기치에 설정하는 단계에 의하여 후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23항에 있어서, 수신된 통신 신호를 순방향 오류 정정 코드에 따라서 디코딩하는 상기 단계는 수신된 통신 신호를 중첩 코드에 따라서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단계는 계량이 소정의 범위내에 있을 때, 다수의 처리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부터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고, 계량이 소정의 범위밖에 있을 때에는, 안락 잡음을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8.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단계는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스템.
  29. 제28항에 있어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단계는, 선행해서 수신된 통신 신호로부터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를 추출하는 단계에 의하여 선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0. 제29항에 있어서,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단계는,
    통신 매체로부터 통신 신호를 수신하는 단계와,
    수신된 통신 신호를 처리하여 처리된 통신 데이터를 생성하는 단계와,
    처리된 통신 데이터로부터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를 발생하는 단계와, 및
    발생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를 저장하는 단계들에 의하여 선행되고, 및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단계는, 저장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1. 제30항에 있어서, 저장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단계는,
    저장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를 주기적으로 검색하여, 주기적 오디오 데이터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주기적 오디오 데이터 시퀀스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2. 제30항에 있어서, 저장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상기 단계는,
    저장된 소정의 오디오 데이터를 임의적으로 검색하여, 임의적 오디오 데이터 시퀀스를 생성하는 단계, 및
    임의적 오디오 데이터 시퀀스로부터 충전 오디오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3. 오디오 신호에 간헐적으로 존재하는 필요 오디오 정보의 전송 방법에 있어서,
    필요 오디오 정보가 오디오 신호에 존재할 때, 소정의 코드에 따라서 통신 데이터 블록으로서 인코딩된 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통신 신호를 통신 매체에서 발생하는 단계, 및
    필요 오디오 정보가 오디오 신호에 존재하지 않을 때에는, 명백한 불연속 메시지없이, 통신 매체에서 오디오 신호를 나타내는 통신 신호의 발생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발생 단계는 음성 활동이 오디오 신호에 존재할 때 통신 신호를 발생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및
    상기 중지 단계는 음성 활동이 오디오 신호에 존재하지 않을 때 발생을 중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97002746A 1996-10-09 1997-10-07 통신 매체를 통한 필요 오디오 정보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 KR10033252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728,159 1996-10-09
US08/728,159 US5954834A (en) 1996-10-09 1996-10-09 Systems and methods for communicating desired audio information over a communications medium
US08/728,159 1996-10-0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8760A true KR20000048760A (ko) 2000-07-25
KR100332526B1 KR100332526B1 (ko) 2002-04-17

Family

ID=2492566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2746A KR100332526B1 (ko) 1996-10-09 1997-10-07 통신 매체를 통한 필요 오디오 정보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954834A (ko)
EP (1) EP0931310B1 (ko)
JP (1) JP2001502440A (ko)
KR (1) KR100332526B1 (ko)
CN (1) CN1132150C (ko)
AU (1) AU723297B2 (ko)
BR (1) BR9711593A (ko)
CA (1) CA2267595A1 (ko)
DE (1) DE69728412T2 (ko)
TW (1) TW357506B (ko)
WO (1) WO199801594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69331B1 (en) * 1996-11-14 2001-07-31 Nokia Mobile Phones Limited Transmission of comfort noise parameters during discontinuous transmission
NZ500194A (en) * 1997-03-21 2000-12-22 Canal Plus Sa Broadcasting randomized subscriber entitlement management messages for digital television
WO1999003212A1 (en) * 1997-07-14 1999-01-21 Hughes Electronics Corporation Signaling maintenance for discontinuous information communications
US6256606B1 (en) 1998-11-30 2001-07-03 Conexant Systems, Inc. Silence description coding for multi-rate speech codecs
FI19992002A (fi) 1999-09-20 2001-03-20 Nokia Networks Oy Solukkoradioverkossa piirikytkentäisen palvelun laadun mittaus
US6922730B1 (en) * 1999-12-21 2005-07-26 Intel Corporation Dedicated digital-to-analog network audio bridging system
JP2008058667A (ja) * 2006-08-31 2008-03-13 Sony Corp 信号処理装置および方法、記録媒体、並びにプログラム
US8938661B2 (en) 2012-08-01 2015-01-20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s in audio data
US9009561B2 (en) * 2012-08-01 2015-04-14 Nvidia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errors in audio data
KR101635953B1 (ko) 2015-09-25 2016-07-06 이안제 빨래 건조대의 건조봉에서 위치 고정이 가능한 세탁물 고정집게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351983A (en) * 1979-03-05 1982-09-28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 Speech detector with variable threshold
IE53260B1 (en) * 1981-06-22 1988-09-28 Marconi Co Ltd Radio communications receivers
GB2237484B (en) * 1989-10-12 1994-01-12 Stc Plc Speech codec arrangement
US5146610A (en) * 1989-11-29 1992-09-08 Motorola, Inc. Discontinuous transmission muting/unmuting system with link continuity
US5299198A (en) * 1990-12-06 1994-03-29 Hughes Aircraft Company Method and apparatus for exploitation of voice inactivity to increase the capacity of a 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radio communications system
US5537509A (en) * 1990-12-06 1996-07-16 Hughes Electronics Comfort noise generation for digital communication systems
US5357513A (en) * 1990-12-06 1994-10-18 Hughes Aircraft Company Transmission power level adjustment in radio telephony
GB2256351B (en) * 1991-05-25 1995-07-05 Motorola Inc Enhancement of echo return loss
JP2518765B2 (ja) * 1991-05-31 1996-07-31 国際電気株式会社 音声符号化通信方式及びその装置
CA2635914A1 (en) * 1991-06-11 1992-12-23 Qualcomm Incorporated Error masking in a variable rate vocoder
US5239557A (en) * 1992-04-10 1993-08-24 Ericsson/Ge Mobile Communications Discountinuous CDMA reception
JP3182032B2 (ja) * 1993-12-10 2001-07-03 株式会社日立国際電気 音声符号化通信方式及びその装置
GB2288102B (en) * 1994-03-23 1997-10-08 Motorola Ltd Mobile radio with transmit command control and mobile radio system
JP3090842B2 (ja) * 1994-04-28 2000-09-25 沖電気工業株式会社 ビタビ復号法に適応した送信装置
FI99066C (fi) * 1995-01-31 1997-09-25 Nokia Mobile Phones Ltd Tiedonsiirtomenetelmä
JP3264822B2 (ja) * 1995-04-05 2002-03-11 三菱電機株式会社 移動体通信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23297B2 (en) 2000-08-24
EP0931310A1 (en) 1999-07-28
DE69728412T2 (de) 2005-03-03
AU4673097A (en) 1998-05-05
CN1233338A (zh) 1999-10-27
EP0931310B1 (en) 2004-03-31
BR9711593A (pt) 1999-08-24
CA2267595A1 (en) 1998-04-16
CN1132150C (zh) 2003-12-24
US5954834A (en) 1999-09-21
DE69728412D1 (de) 2004-05-06
TW357506B (en) 1999-05-01
KR100332526B1 (ko) 2002-04-17
JP2001502440A (ja) 2001-02-20
WO1998015946A1 (en) 199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121237C1 (ru) Цифровая сотовая система связи
US6122271A (en) Digital communication system with integral messaging and method therefor
US5537410A (en) Subsequent frame variable data rate indication method
EP0624275B1 (en) Method and system for the arrangement of vocoder data for the masking of transmission channel induced errors
US6108372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decoding variable rate data using hypothesis testing to determine data rate
US4757536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ceiving cryptographically encoded digital data
US6405340B1 (en) Flexible method of error protection in communications systems
US7752522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very of particular bits of a frame
JPH09501548A (ja) 受信信号のデータレートを決定する方法及び装置
US20140032227A1 (en) Bit error management methods for wireless audio communication channels
JP2001504646A (ja) 時間選択性フェージングが存在するときにサイド情報を発生する方法
KR20060025202A (ko) 순방향 에러 정정을 제공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
JPH07183855A (ja) 音声信号通信装置および伝送方法並びに受信機
KR100332526B1 (ko) 통신 매체를 통한 필요 오디오 정보의 전송 시스템 및 방법
US20080140392A1 (en) Codec mode decoding method and apparatus for adaptive multi-rate system
JPH1022938A (ja) 音声符号データの誤り処理装置及び誤り処理方法
JP3992796B2 (ja) デジタル受信機内にノイズを発生する装置および方法
WO2002021728A2 (en) Methods and systems for multiplexing and decoding variable length messages in digital communications systems
EP2512052B1 (en) Method and device for determining in-band signalling decoding mode
JP2002533013A (ja) フレーム内に構造化された情報の伝送符号化乃至復号化用の方法及び装置
US6301235B1 (en) Terminal for digital mobile radio and method for evaluating data received in such a terminal
KR100491514B1 (ko) 동기화를 유지하지 않는 채널을 통한 비트 카운트 무결성 및 동기 데이터 전송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244217B1 (ko) 음성 및 데이터 동시 송수신 장치 및 방법
Shepherd et al. Digital short range radio: channel coding and synchronisation for speech using the GSM codec
JPH10341279A (ja) 符号蓄積機能付復号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331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