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7761A - 알코올을 제거시켜 엘라스토머를 얻는 가교할 수 있는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 Google Patents

알코올을 제거시켜 엘라스토머를 얻는 가교할 수 있는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7761A
KR20000047761A KR1019990053450A KR19990053450A KR20000047761A KR 20000047761 A KR20000047761 A KR 20000047761A KR 1019990053450 A KR1019990053450 A KR 1019990053450A KR 19990053450 A KR19990053450 A KR 19990053450A KR 20000047761 A KR20000047761 A KR 200000477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koxy
radical
composition
radicals
hydrox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34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59705B1 (ko
Inventor
핑커크리스티안
도르쉬노르만
헤흐틀볼프강
바움가르테르크리스티안
하인리히알프레드
Original Assignee
에리히 프란케 ; 칼 하인츠 룀뵈크
와커-헤미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리히 프란케 ; 칼 하인츠 룀뵈크, 와커-헤미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에리히 프란케 ; 칼 하인츠 룀뵈크
Publication of KR200000477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77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597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597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49Phosphorus-containing compounds
    • C08K5/51Phosphorus bound to oxygen
    • C08K5/52Phosphorus bound to oxygen only
    • C08K5/521Esters of phosphoric acids, e.g. of H3PO4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83/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83/04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8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alkoxy or aryloxy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2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halogen-containing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22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 C08G77/2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rganic groups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and oxygen nitrogen-containing group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 Silicon Polymers (AREA)

Abstract

알콕시 RTVI 조성물은
(A)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B1) 최소한 3개의 알콕시기를 가진 알콕실란 및/또는 그 부분가수분해물, 및
(B2) 2개의 알콕시기를 가진 알콕시 실란 및/또는 그부분 가수분해물에 대한
(C) 다음 일반식 (I)의 인산에스테르의 존재하에서의 반응 생성물을 구성한다.
(HO)aOP(-O-[(CR1 2)b-O]c[(CR2 2)d]e-L-M)3-a(I)
위식에서,
a 는 1 또는 2 이고,
R1및 R2는 수소 래디컬, 메틸래디컬 또는 히드록시래디컬이며,
b 및 d 는 2 또는 3 이고,
c 는 2~15 의 정수이고,
e 는 0 또는 1 이며,
L 은 -O-, -COO- , -OOC- , -CONR3-, -NR4CO- 및 -CO- 의 그룹에서 선택한 하나의 래디컬이고,
R3및 R4는 수소래디컬 또는 C1- C10- 알킬래디컬이며,
M 은 1가의 비치환 또는 히드록시, 플루오린- , 클로린-, 브로민-, C1-C10-알콕시알킬- 또는 시아노- 치환 C1-C20-탄화수소래디컬이다.
단, 탄소원자 에서만 하나의 래디컬 R1및 R2는 히드록시래디컬임.

Description

알코올을 제거시켜 엘라스토머를 얻는 가교할 수 있는 오르가노 폴리실록산 조성물{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crosslinkable with elimination of alcohols to give elastomers}
본 발명은 모듈러스(modulus)가 낮은 가황레버(valcanizates)를 얻는 알콕시 RTV1조성물, 그 조성물의 제조방법 및 자연석의 충전 조인트(filling joints)용 시일링 화합물로서의 사용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용어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는 이량체(dimers), 올리고머 및 폴리머실록산을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가소화하지 않은(unplasticized) RTV1 조성물은 예로서 100% 변형("100% 변형에서의 모듈러스")에서 응력치가 너무 높기 때문에 영구가요성 시일링재로서 사용하는데 있어서, 응력-변형 행동이 불충분하다.
보다 더 높은 100% 모듈러스(즉, 0.6N/mm2)는 예로서 열에 의해 그 조인트 (joint)의 확장이 발생할 경우 응력의 증가가 현저함을 나타낸다.
이것은 또 접착결함(adhesion failure), 즉 각각의 조인트 기층에서 가용성 시일링재의 이탈이 발생할 위험성이 현저하게 증가한다.
실제로 0.2~0.4N/mm2의 100% 모듈러스가 이 타입의 조인트에서 바람직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리콘러버 가황고무(vulcanizate)의 응력-변형 행동은 그 필러의 타입과 양, 특히 단위체적당 가교노드(crosslinking node)의 수에 대한 작용을 가진다.
RTV1 계의 모듈러스는 히드록시 말단의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사슬길이를 증가시킴으로써 감소시킬수 있다.
사슬이 대단히 긴 폴리머에 있어서, 그 충전페이스트의 컨시스턴시 (consistency)는, 유연성이 있어 페이스트형상을 갖도록 하나 자기 지지형(self- supporting)을 갖도록 할 경우 그 오로가노폴리실록산의 점도가 너무 높지 않도록 하여야 하며, 그렇지 않으면 사용하기 어려운 단단한 푸티형상의 페이스트를 얻게되어 사용하는데 제한을 받았다.
이와같은 이유때문에, 사슬이 긴 폴리머와 점도가 낮은 실리콘 가소제의 블렌드를 사용하여 화합물을 자주 제조하였다.
이 처리공정은, 낮은 모듈러스의 생성물을 제조하는 통상의 종래방법이며, 여기서 점도를 감소하는 가소제의 사용은 그 재료를 처리할 수 있도록 할 경우 가장 중요하다.
또, 가소제로서 트리메틸 실릴-말단의 사슬이 짧은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사용하여 단위체적당 가교 노드의 수를 감소시키므로 그 모듈러스를 저하한다.
가소제의 기본적인 결점은 가황고무의 망상에 결합이 없도록 하는데 있다.
따라서, 가소제가 일부 인접표면으로 이행하여 용제와의 접촉에 의해 그 가황고무에서 용출되거나 동시에 용출됨으로써 그 표면상에 침적물을 형성한다.
이와같은 현상은 마블(marble), 화강암(granite)도는 혼성규암등 다공성 자연석의 조인트를 사용하면 특히 현저하게 되었다.
그 이유는 그 조인트의 주변이 소수성화되고 흑화(darken)되기 때문이며, 이것은 물론 바람직하지 않다.
따라서, 가소제로 이루어진 생성물은 원칙적으로 자연석의 충전조인트용으로 사용할 수 없다.
특허문헌 EP-A-763 556 에서는 알콕시 RTV1 조성물에서 가소제의 첨가를 피하기 위하여 사슬이 짧은 OH-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과 촉매를 인산에스테르, 즉 디-2-에틸헥실 포스페이트에 의해 축합시켜, 사슬이 긴 OH-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생성하였다.
그 축합은 예로서 14분후에 초크(chalk)를 혼합시켜 종료하여 확실하게 중화, 즉 실활(deactivation)되었다.
그 다음으로, 티탄 촉매에 의한 촉매반응으로 사슬이 긴 OH-말단 오르가노폴리실란과 메틸트리메톡시실란의 알콕시 말단-캐핑(capping)을 하였다.
이와같이하여 모듈러스가 낮은 가황고무를 제조하였다.
그러나, 이 방법은 과도한 조작회수를 필요로 하게 되어 미가황조성물을 얻게됨으로, 그 조성물은 딱딱하게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특허문헌 US-A-4,755,578 에서는, 알콕시 RTV1 조성물에 대하여 기재되어 있는바, 그 조성물은 각각의 알킬디알콕시실릴-및 트리알콕시실릴-말단 폴리머와 디알킬모노 알콕시 실릴-말단 폴리머의 블렌드로 이루어져 있다.
그 디알킬 모노알콕시 말단기는 가교시에 불활성이다.
히드록시-말단 디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디알콕시실란과 또 트리알콕시실란으로부터의 제조는 60℃~80℃등 비교적 고온에서 비교적 긴 기간에 걸쳐 실시하였다.
그 RTV1 조성물에 다른 성분의 혼합은 분리하여 실시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사용이 용이하고 가소제의 첨가없이 낮은 모듈러스를 갖도록 조정할 수 있는 알콕시 RTV1 조성물을 간단한 방법으로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A)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B1) 최소한 3개의 알콕시기를 가진 알콕시실란 및/또는 그 부분가수분해물, 및
(B2) 최소한 2개의 알콕시기를 가진 알콕시 실란 및/또는 그부분 가수분해물을
(C) 다음 일반식 (I)의 인산에스테르의 존재하에 구성하는 알콕시 RTV1 조성물을 제공한다.
(HO)aOP(-O-[(CR1 2)b-O]c[(CR2 2)d]e-L-M)3-a(I)
위식에서,
a 는 1 또는 2 이고,
R1및 R2는 수소 래디컬, 메틸래디컬 또는 히드록시래디컬이며,
b 및 d 는 2 또는 3 이고,
c 는 2~15 의 정수이고,
e 는 0 또는 1 이며,
L 은 -O-, -COO- , -OOC- , -CONR3-, -NR4CO- 및 -CO-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한 하나의 래디컬이며,
R3및 R4는 수소래디컬 또는 C1- C10- 알킬래디컬이며,
M 은 1가의 비치환 또는 히드록시, 플루오린- , 클로린-, 브로민-, C1-C10-알콕시알킬- 또는 시아노- 치환 C1-C20-탄화수소래디컬이다.
단, 탄소원자 에 하나의 래디컬 R1및 R2는 히드록시래디컬임.
이 프로세스는 실온과 같은 저온에서 높은 반응속도로 선택적으로 실시한다.
따라서, 성분(A),(B1),(B2) 및 (C)를 혼합한 직후, 예로서 10분후에 성분(A)와 성분(B1)및 (B2)를 반응시켜 알카놀을 제거시킨 생성물을 형성한 알콕시-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은 다른 성분을 혼가한후 바람직할 경우 알콕시 RTV1 조성물로서 사용할 수 있다.
에너지의 공급, 예로서 그 혼합물의 가열을 필요로 하지 않는다.
그 반응이 완료되었는지의 여부를 첵크할 필요가 없다.
이 프로세스의 또 다른 잇점은 부작용의 발생이 없다는데 있다.
예로서, 선상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에서 T 단위 또는 Q 단위의 형성이 관찰되지 않는다.
그 인산에스테르(C)는 반응직후 실활시킬 필요가 없다.
2작용 알콕시 실란(B2)와 3 및 4 작용 알콕시 실란(B1)의 블렌드를 사용하여 모노알콕시-, 디알콕시 또는 트리알콕시 실릴 말단기를 제조한다.
모노알콕시실릴 말단기는 가교할때 활성이 없으므로, 그 망상에서 노드농도 (node concentration)의 증가에 도움을 주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혼가가소제의 이행감수성(migration susceptibility)에 의한 결점을 수용할 필요가 없는 낮은 모듈러스를 얻는다.
본 발명은 또
(A)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B1) 최소한 3개의 알콕시기를 가진 알콕시실란 및/또는 그 부분가수분해물 및
(B2) 2개의 알콕시기를 가진 알콕시실란 및/또는 그 부분가수분해물을
(C) 일반식(I)의 인산에스테르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알콕시 RTV1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그 알콕시실란(B1):(B2)의 비는 99:1 ~ 0.5:1 , 특히 5:1~1:1 이 바람직하다.
c 는 2~10의 정수, 특히 2,3,4 또는 5 가 바람직하다.
L 은 -O- 래디컬이 바람직하다.
M 은 비치환 또는 C1-C10-알콕시알킬 치환 C1-C20-탄화수소래디컬, 특히 비치환 C5-C18- 탄화수소래디컬이 바람직하다.
R1및 R2는 수소래디컬이 바람직하다.
b 및 d 는 2가 바람직하다.
그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A)은 다음 일반식(II)의 선상 α,ω-디히드록시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이 바람직하다.
HO-[R2SiO]m-H (II)
위식에서,
R 은 1가의 비치환 또는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모-C1-C4-알콕시 알킬-또는 시아노-치환 C1-C8-탄화수소래디컬이며,
m 은 그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A)의 점도 0.05~1000Pa.s 에 대응되는 값을 가진다.
탄화수소래디컬 R 의 예로는 메틸래디컬, 페닐래디컬등의 아릴래디컬, 톨릴래디컬 등의 알카릴래디컬 및 벤질 래디컬등의 아랄킬 래디컬 등 선상 및 환상의 포화 및 불포화 알킬래디컬이 있다.
바람직한 래디컬 R에는 탄소원자 1-6개를 가진 비치환 탄화수소래디컬이 있으며, 특히 메틸래디컬이 바람직하다.
오르가노폴리실록산 (A)은 각각의 경우 23℃에서 측정하여 점도 100~700,000mPa.s , 특히 20,000~350,000 mPa.s 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알콕시실란(B1)은 다음 일반식(III)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R5 μSi(OR6)4-μ(III)
위식에서,
R5및 R6은 1가의 비치환 또는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C1-C4-알콕시 알킬- 또는 시아노-치환 C1-C13- 탄화수소래디컬이고, μ 는 0 또는 1 이다.
알콕시 실란의 부분가수분해물(B1)은 특히 2-4개의 알콕시실란을 가수분해시켜 축합시킴으로써 제조한다.
부분가수분해물(B1)의 예로는 헥사메톡시디실록산 및 헥사에톡시 디실록산이 있다.
알콕시실란(B2)은 다음 일반식(IV)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R7 2Si(OR8)2(IV)
위식에서,
R7및 R8은 1가의 비치환 또는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C1-C4- 알콕시알킬- 또는 시아노-치환 C1-C13-탄화수소래디컬이다.
각각의 R5및 R7은 비치환 C1-C6-탄화수소래디컬, 특히 메틸, 에틸, 비닐 또는 프로필 래디컬에 바람직하다.
일반식(I)의 인산에스테르(C)에는 알콕시-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에서 제조한 알콕시 RTV1 조성물에 쓰이는 저장안정제가 있다.
특히, 알콕시 RTV1 조성물의 스킨형성시간(skin formation times)이 거의 일정하고 안정성이 있으며, 탈색을 억제시킨다.
일반식(I)~(IV)에서, 래디컬 R및 R1~R8및 지수 a,b,c,d,e,m 및 μ의 모두가 서로 각각 동일하거나 다르다.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A) 5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사용한 인산에스테르(C)의 양은 0.1~50중량부, 특히 2-20중량부이다.
알콕시실란(B1)및(B2)는 화학양론적인 비에 있어서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에 과잉으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A)와 알콕시실란(B1)및(B2)의 반응을 가급적 완료될때까지 실시하도록 하기 위하여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A) 500중량부당 알콕시실란 (B1)및(B2) 10-60중량부, 특히 20~50중량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반응할때 소비하지 않은 과잉의 알콕시실란 (B1)및(B2)는 오르가닐옥시-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및 알콕시 RTV1 조성물에서 유리한점이 있으므로, 그 반응의 생성물에 잔류할 수 있다.
과잉의 알콕시실란(B1)은 알콕시 RTV1 조성물에서 가교성분으로 작용한다.
그 반응은 온도 +20~+50℃, 특히 실온에서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용한 알콕시실란(B1)및 (B2)에 따라 반응시간은 1-60분이다.
그 반응 속도는 1차적으로는 알콕시실란 (B1)및(B2)의 반응성에 따라, 2차적으로는 인산에스테르(C)에 따라 좌우된다.
실온에서 특히 바람직한 3-20분이며, 이것은 원폿 프로세스(one-pot process)에 의해 RTV1 조성물을 제조하는데 특히 실제적으로 유리하다.
위에서 말한 성분이외에, 알콕시 RTV1 조성물은 그 자체 공지된 다른 성분으로 구성할 수 있다.
알콕시 RTV1 조성물을 제조할때 첨가가 바람직한 다른 물질은 알콕시 래디컬이 OR6인 비스(트리알콕시실릴)-C1-C12알칸, 예로서 비스(트리에톡시실릴)-에탄이 있다.
알콕시 RTV1 조성물을 제조할때,축합촉매,보강필러,비보강필러,안료,가용성염료, 향료, 가소제,인산에스테르 또는 트리메틸실록시와 실온에서의 용액에 의해 말단-캐핑(end-capping)을 한 디메틸 폴리실록산,살균제,(CH3)3SiO1/2단위와 SiO4/2단위로 이루어진 오르가노폴리실록산을 포함하는 수지상 오르가노폴리실록산,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비닐클로라이드 또는 프로필렌의 호모 또는 코폴리머 등 순수유기수지(여기서, 이와같은 타입의 순수유기수지, 특히 스티렌과 n-부틸 아크릴레이트의 코폴리머는 각 말단단위에서 Si-결합 히드록시기를 가진 디오르가노폴리실록산의 존재하에 위에서 말한 모노머의 프리래디컬 중합에 의해 제조할 수 있음), 부식억제제, 폴리글리콜(에스테르화 및/또는 에테르화시킬수 있음), 산화지연제,열안정제,용제,도전성 카본블랙 등 전기특성에 영향을 주는 전기특성 영향제, 난연제, 광안정제 및 SiC-결합 메르캅토 알킬래디컬을 가진 실란 등 스킨 형성시간을 지연시키는 지연제 및 발포제, 즉 아조디카본아미드를 사용할수도 있다.
첨가할 수 있는 다른 물질에는 접착촉진제, 바람직하게는 아미노알킬-작용실란, 예로서 감마-아미노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이 있다.
축합촉매의 사용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한 알콕시 RTV1 조성물은 저장할 수 있고 동시에 물을 제거시키며, 실온에서 수분에 노출시켜 엘라스토머를 얻는 조성물에서 종래에 존재시킬수 있는 축합촉매를 구성할 수 있다.
이와같은 타입의 축합촉매의 예로는 틴,아연,지르코늄,티탄 또는 알루미늄의 유기화합물이 있다.
이들의 축합촉매중에는 부틸티타네이트와 디-n-부틸틴 디아세테이트 및 디-n-부틸틴의 라우레이트 등 유기틴화합물이 바람직하며, 디오르가노틴 디아실레이트와 실란(그 실란의 각각의 분자는 가수분해할 수 있는 기로서, 산소에 의해 실리콘에 결합하며, 바람직할 경우 알콕시 치환을 가진 최소한 2개의 1가의 탄화수소래디컬을 가짐)또는 그 실란의 올리고머의 반응생성물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이 반응생성물에서 틴원자는 기 ≡SiOSn ≡에서의 산소원자 및/또는 SnC-결합을 한 1가 유기래디컬에 의해 틴 원자가 모두를 포화시킨다.
알콕시 RTV1 조성물은 필러를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필러의 예로는 비보강필러, 즉 BET표면적 50m2/g 까지의 필로서 석영,규조토,칼슘실리케이트,지르코늄실리케이트,제오라이트,알루미늄옥사이드,티타늄옥사이드,산화철 또는 산화아연 및/또는 이들 산화물의 혼합산화물 등의 금속산화물 분말, 바륨 설페이트, 칼슘카보네이트, 석고, 실리콘니트리드, 실리콘카바이드,보론니트리드,분말글래스 및 분말 폴리아크릴로니트릴등의 분말플라스틱등과,비보강필러,즉 BET표면적 50m2/g 이상의 필러로서 소성실리카,침전실리카,퍼니스블랙 (furnace black)또는 아세틸렌블랙등 카본블랙과 BET표면적이 높은 실리콘-알루미늄 혼합산화물등과, 석면 및 합성폴리머 섬유등 섬유상필러가 있다.
위에서 설명한 필러는 예로서 오르가노실란 및/또는 오르가노실록산 또는 스테아린산과의 처리에 의해 소수성화할 수 있고, 또 히드록시기를 에테르화시켜 알콕시기를 얻음으로써 소수성화할 수 있다.
1종의 필러 또는 그밖에 최소한 2종의 필러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보강 실리카를 단독 필러로서 사용할 경우 투명한 알콕시 RTV1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공기중에 존재한 통상의 수분은 알콕시 RTV1조성물을 가교시키는데 충분하다.
필요할 경우 그 가교반응은 실온 이상 또는 이하의 온도, 즉 -5~10℃ 또는 30~50℃에서 실시할 수 있다.
경화한 알콕시 RTV1조성물에서 DIN 18 540 에 의한 100% 변형(100%모듈러스)에서의 응력은 0.45미만, 특히 4미만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이 새로운 알콕시 RTV1 조성물은 예로서 수직으로 작용하는 조인트를 포함하는 조인트를 시일링하거나, 또는 건축물, 육상용차량,선박 또는 항공기에서 너비 10-40mm 의 공간을 시일링하는데 쓰이는 조성물로서, 또는 창(windows)의 구조물 또는 전시캐비넷의 제조 및 보호코팅 또는 엘라스토머 몰딩의 제조 또는 전기전자기계기구의 절연에서 접착제 또는 퍼티(putty)로서 적합성(suitability)이 우수하다.
이 새로운 알콕시 RTV1 조성물은 특히 자연석의 충전조인트에 쓰이는 시일링 화합물로서 적합하다.
아래에서 설명한 실시예에서, %부에 대한 모든 데이터는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중량을 기준으로 한 것이다.
더욱이, 모든 점도데이터는 온도 25℃를 기준으로 한 것이다.
특별한 설명이 없으면, 아래의 실시예에서는 대기압, 즉 약 1000hpa 와 실온, 즉 20℃ 또는 추가가열 또는 냉각없이 반응물질을 동시에 실온에 작용할때 얻어진 온도에서 실시한다.
실시예
제조 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한다.
여기서 알콕시-말단-캐핑(capping)은 트리알콕시 실란(B1)과 디알콕시 실란 (B2)의 블렌드로 또는 대비 목적으로 트리알콕시실란(B1)단독(실시예 4 및 5)으로 실시하였다.
또 대비목적으로 실리콘 가소제를 일부실시예(실시예 6및7)에서 혼가하였다.
이들의 값은 다음 특성을 나타낸다.
1) 스킨형성시간, 초기치
2) 스킨형성시간, 50℃에서 20일간의 튜브저장후
3) 100%변형(100%모듈러스)에서의 응력, DIN 18540에 의함
테스트 샘플은 다음과 같이하여 제조하였다.
조인트필링(joint filling)의 간격을 두어 경계를 정하는 2개의 외측 구성요소(길이 : 10mm , 너비 12mm , 높이 : 12mm)를 사용하여 2개의 U자 형상의 알루미늄섹션(벽두께 : 2mm, 길이 : 700mm , 너비 : 12mm , 높이 : 12mm)사이에 크기 50×12×12mm 의 조인트필링을 제조하였다.
23℃, 50% 상대습도에서 4주간 저장한후, 그 응력을 100% 변형에서 측정하였다.
4) 가소제이행 결정
길이 80mm , 너비 80mm , 높이 8mm 의 크기를 가진 혼성규암(altoquartzite)으로 이루어진 2개의 섹션 사이에서 크기 80×8×10mm(조인트너비)의 조인트 필링을 제조하였다.
그 테스트샘플을 23℃, 50%상대습도에서 2주간 저장한후, 클램핑 장치에서 수직으로 압축시켜, 그 조인트 필링너비를 초기의 10mm 에서 7.5mm 로 감소시켰다.
그 샘플을 이 응력에서 50℃로 저장하고, 6주간의 저장 시간후 테스트하여 그 조인트필링 경계면 주위에서 그 자연석의 암흑색의 정색을 검출할 수 있는지의 여부를 결정하였다.
실시예 1(발명) :
각각의 말단단위에서 히드록시기를 가지며, 23℃에서, 점도 20,000mPa.s 를 가진 디메틸 폴리실록산 850g 과 다음 식(OH)1PO[(OCH2CH2)2-3-O-(CH2)7-9-CH3]2및 (OH)2PO[(OCH2CH2)2-3-O-(CH2)7-9-CH3]1의 알콕실레이트화한 인산에스테르 혼합물 12g 을 진공상태에서 조작할 수 있는 평변형 믹서내에서 혼합하였다.
그 다음, 즉시 메틸트리메톡시실란 20g , 비닐트리메톡시실란 10g 및 디메틸디메톡시실란 10g 을 추가하였다.
이어서 10분간 진공상태에서 균질화하였다.
그다음으로 RTVI 조성물의 통상의 혼합기술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주어진 순서에 따라 추가하였다:
BET표면적 150m2/g 을 가진 친수성 소성실리카 85g , 아미노 작용실록산 18g : 아미노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과 아민가 2.2 를 가진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의 축합물/가수분해물에서 제조한 평형생성물,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4g, 테트라메틸실리케이트 4 부와 디-n-부틸틴디아세테이트의 혼합물을 대기압하에 120℃에서 6시간 교반하면서 가열시킴과 동시에 그 반응에서 생성된 에틸아세테이트를 증류 제거시켜 얻은 반응생성물 4g.
진공상태에서 균질화시킨 다음, 그 화합물을 습기방지팩으로 제거하였다.
가황처리를 할때 그 조성물의 스킨형성시간은 초기치(initial value)20분을 가졌다.
이 초기치는 28일/50℃후에도 유지하였다.
위 3)항(응력)에서와 같이 생성하여 경화한 하나의 결합에서 실시예 조성물의 100%변형에서의 모듈러스는 0.50으로 측정되었다.
위 4)항 (가소제 이행결정)에서와 같이 혼성규암제 플레이트사이에서 생성한 조인트의 주변에서는 50℃에서 6주간후 어떤 타입의 오손(soiling)로 나타내지 않았다.
실시예 2(본 발명) :
처리공정은 다음과 같이 하여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하게 하였다.
실시예 1 의 α,ω-디히드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 850g 을 다음식 (HO)1PO [(OCH2CH2)3-4-O-(CH2)11-14-CH3]2와 (HO)2PO[(OCH2CH2)3-4-O-(CH2)11-14-CH3]1의 알콕시화인산에스테르의 혼합물 15g 과 혼합하였다.
여기에 다음성분을 아래에 나타낸 순서로 첨가하였다:
메틸트리메톡시실란 22g,
비닐트리메톡시실란 11g,
디메틸디메톡시실란 17g,
아미노작용실란 18g :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과, 아민가 2.2 를 가진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의 축합물/가수분해물에서 얻어진 평행생성물,
3-(I-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4g,
BET표면적 150m2/g 을 가진 친수성 소성 실리카 85g 및 실시예 1 의 테트라에틸실리케이트와 디-n-부틸틴 디아세테이트의 반응생성물 4g.
가황처리를 할때 그 조성물의 스킨형성시간은 초기치 30분을 가지며, 이 값을 50℃에서 28분간후에도 변화없이 유지되었다.
위 3)항에서와 같이 형성하여 경화한 결합에서 그 조성물에서의 100% 변형의 모듈러스는 0.35로 측정되었다.
위 4)항에서와 같이 혼성규암제플레이트 사이에서 형성한 조인트의 특성은 50℃에서 6주간후에 어떤 타입의 오손(sorling)도 없음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3
그 처리공정은 다음과 같이하여 실시예 1 에서와 동일하게 처리하였다.
다음성분을 아래에 나타낸 순서로 하여 실시예 1의 α,ω-디히드록시 폴리디메틸실록산 850g 과 혼가하였다.
실시예 2 의 알콕시화 인산에스테르 15g,
그 다음으로 메틸트리메톡시실란 17g, 비닐트리메톡시실란 8g 및 디메틸디메톡시실란 25g 을 즉시 첨가하고, 이어서 진공상태하에서 10분간 균질화하였다.
그리고 RTVI 조성물에서 통상의 혼합기술을 사용하여 아래에 나타낸 순서로 첨가하였다.
아미노 작용실록산 18g : 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과, 아민가 2.2 를 가진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의 축합물/가수분해물에서 얻는 평행생성물,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실란 4g,
BET 표면적 150m2/g 을 가진 친수성 소성실리카 85g,
실시예 1 에서 테트라에틸실라케이트와 디-n-부틸틴디아세테이트의 반응생성물 4g.
가황처리할때 그 조성물의 스킨형성시간은 초기치 35분을 가지며, 이 값은 50℃에서 28일후에도 변화없이 유지되었다.
위 3)항에서와 같이 생성시켜 경화한 결합중에서 그 조성물의 100%변형의 모듈러스는 0.25 로 측정되었다.
위 4)항에서와 같이 혼성규암제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조인트의 주변에는 50℃에서 6주간후에 어떤 타입의 오손(soiling)도 나타낸바 없었다.
실시예 4(모듈러스 감소첨가제가 없는 대비실시예)
그 처리공정은 다음과 같이하여 실시예 1 의 처리공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다음 성분을 실시예 1 의 α,ω-디히드록시 폴리디메틸실록산 850g 과 함께 순서대로 혼가하였다.
실시예 2 의 알콕시화 인산에스테르 15g,
메틸 트리메톡시실란 33g,
비닐 트리메톡시실란 17g,
아미노작용실록산 18g : 아미노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과, 아미노가 2.2를 가진 메틸 트리에톡시실란의 축합/가수분해물로부터 얻어진 평형생성물,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4g,
BET 표면적 150m2/g 를 가진 친수성 소성실리카 85g 및 실시예 1 의 테트라에틸실리케이트와 디-n-부틸틴 디아세테이트의 반응생성물 4g.
가황 처리를 할때 그 조성물의 스킨형성시간은 초기치 35분을 가지며, 이 값은 50℃에서 28일후에도 불변상태로 유지되었다.
위 3)항에서와 같이 형성되어 경화된 결합에서 그 조성물의 100% 변형의 모듈러스는 그 변형이 73%일때 그 조성물의 점착력이 파괴되므로 측정할 수 없었다.
50% 변형에서의 모듈러스는 0.56이었다.
그 조성물의 모듈러스는 대단히 높았다.
위 4)항에서와 같이 혼성규암제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조인트의 주변에서는 50℃에서 6주간후에 그 어떤 타입의 오손(soiling)도 나타낸바 없었다.
실시예 5(모듈러스감소 첨가제가 없으며, 가교제의 비가 더 낮으며, 실시예 4 와 다른 혼합순서를 가진 대비실시예)
그 처리공정은 아래와 같이하여 실시예 1 에서 같이 처리하였다.
다음성분을 실시예 1 의 α,ω-디히드록시 폴리디메틸실록산 850g 과 함께 아래에 나타낸 순서로 혼가하였다.
실시예 1 의 알콕시화인산에스테르 12g,
메톡시트리메톡시실란 20g,
비닐트리메톡시실란 10g,
BET표면적 150m2/g 을 가진 친수성 소성실리카 85g,
아미노작용 실록산 18g : 아미노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과, 아민가 2.2 를 가진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의 축합물/가수분해물에서 얻어진 평형생성물,
3-(2-아미노 에틸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4g 및 실시예 1 의 테트라에틸 실리케이트와 디-n-부틸틴 디아세테이트의 반응생성물 4g.
가황처리할때 그 조성물의 스킨형성시간은 초기치 20분을 가지며, 이 값을 50℃에서 28일후에도 불변상태에서 유지되었다.
위 3)항에서와 같이 생성되어 경화시킨 결합에서 그 조성물의 100%변형의 모듈러스는 0.60으로 측정되었다.
위 4)항에서와 같이 혼성규암제플레이트사이에서 형성된 조인트의 주변에서는 50℃에서 6주간후 그 어떤 타입의 오손(soiling)도 나타낸바 없었다.
실시예 6(외부가소제를 가진 대비실시예)
그 처리공정은 실시예 1 에서와 같이 처리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 의 α,ω-디히드록시 폴리디메틸실록산 607g 을, 말단단위에서 트리메틸실록시기를 가지며, 점도 100mm2/s(23℃)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243g 과 함께 혼합하였다.
그 다음으로 다음 성분을 아래에 나타낸 순서로 혼가하였다.
실시예 2 의 알콕시화 인산에스테르 8g,
메틸트리메톡시실란 20g,
비닐트리메톡시실란 10g,
아미노작용실록산 18g : 아미노 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과, 아민가 2.2 를 가진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의 축합물/가수분해물에서 얻어진 평형생성물,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4g,
BET표면적 50m2/g 을 가진 친수성 소성실리카 85g 및 실시예 1 의 테트라에틸실리케이트와 디-n-부틸텐디아세테이트의 반응생성물 4g.
가황처리할때 그 조성물의 스킨형성시간은 초기치 20분을 가지며, 이 값은 50℃에서 28일후에도 불변상태에서 유지되었다.
위 3)항에서와 같이 생성하여 경화시킨 결합에서 그 조성물의 100% 변형의 모듈러스는 0.38 로 측정되었다.
위 4)항에서와 같이 혼성규암제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조인트의 주변에서는 50℃에서 6주간후에 심한 오손(soiling)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7(외부가소제를 가진 대비실시예)
그 처리공정은 실시예 1 에서와 같이 처리하였다.
그러나, 실시예 1 의 α,ω-디히드록시폴리디메틸실록산 535g을, 말단단위에 트리메틸실록시기를 가지며 점도 100mm2/s(23℃)를 가진 폴리디메틸실록산 315g 과 함께 우선 혼합시키고, 그 다음 다음성분을 아래의 순서로 하여 혼가하였다.
실시예 2의 알콕시화인산에스테르 8g,
메틸트리메톡시실란 20g,
비닐트리메톡시실란 10g,
아미노작용실록산 18g : 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과, 아민가 2.2 를 가진 메틸트리에톡시실란의 축합물/가수분해물로부터 얻은 평형생성물,
3-(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4g,
BET표면적 150m2/s 를 가진 친수성 소성실리카 85g,
실시예 1 에서 테트라에틸실리케이트와 디-n-부틸틴 디아세테이트의 반응생성물 4g.
가황처리할때 그 조성물의 스킨형성시간은 초기치 20분을 가지며, 그 값은 50℃에서 28일후에도 불변상태에서 유지되었다.
위 3)항에서와 같이 생성시켜 경화시킨 결합에서 그 조성물의 100% 변형에서의 모듈러스는 0.36으로 측정되었다.
위 4)항에서와 같이 혼성규암제플레이트 사이에 형성된 조인트의 주변에서는 50℃에서 6주간후에 실시예 6 에서 보다 더 현저하고, 대단히 심한 오손(soiling)을 나타내었다.
본 발명에 의해 사용하기 쉽고, 가소제를 첨가하지 않고도 낮은 모듈러스를 갖도록 조성하는 알콕시 RTVI조성물을 간단한 방법으로 얻을수 있다.
자연석의 충전조인트용 시일링 화합물로서 본 발명의 알콕시 RTVI 조성물을 사용할 수 있다.

Claims (7)

  1. (A)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B1) 최소한 3개의 알콕시기를 가진 알콕시실란 및/또는 그 부분가수분해물, 및
    (B2) 2개의 알콕시기를 가진 알콕시 실란 및/또는 그부분 가수분해물에 대한
    (C) 다음 일반식 (I)의 인산에스테르의 존재하에서의 반응 생성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콕시 RTVI 조성물.
    (HO)aOP(-O-[(CR1 2)b-O]c[(CR2 2)d]e-L-M)3-a(I)
    위식에서,
    a 는 1 또는 2 이고,
    R1및 R2는 수소 래디컬, 메틸래디컬 또는 히드록시래디컬이며,
    b 및 d 는 2 또는 3 이고,
    c 는 2~15 의 정수이고,
    e 는 0 또는 1 이며,
    L 은 -O-, -COO- , -OOC- , -CONR3-, -NR4CO- 및 -CO-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한 하나의 래디컬이며,
    R3및 R4는 수소래디컬 또는 C1- C10- 알킬래디컬이며,
    M 은 1가의 비치환 또는 히드록시, 플루오린- , 클로린-, 브로민-, C1-C10-알콕시알킬- 또는 시아노- 치환 C1-C20-탄화수소래디컬이다.
    단, 탄소원자 에서만 하나의 래디컬 R1및 R2는 히드록시래디컬임.
  2. 제 1항에 있어서,
    알콕시실란(B1) : (B2)의 비는 99:1 ~ 0.5:1 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콕시 RTVI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A)는 다음일반식(II)의 선상 α,ω-디히드록시 폴리(디오르가노)실록산임을 특징으로 하는 알콕시 RTVI 조성물.
    HO-[R2SiO]m-H (II)
    위식에서,
    R 은 1가의 비치환 또는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모-C1-C4-알콕시 알킬-또는 시아노-치환 C1-C8-탄화수소래디컬이며,
    m 은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A)의 점도 0.05~1000Pa.s 에 대응되는 값을 가진다.
  4. 제 1항에 있어서,
    알콕시 실란(B1)은 다음 일반식(III)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콕시 RTVI 조성물.
    R5 μSi(OR6)4-μ(III)
    위식에서,
    R5및 R6은 1가의 비치환 또는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C1-C4-알콕시 알킬- 또는 시아노-치환 C1-C13- 탄화수소래디컬이고, μ는 0 또는 1 이다.
  5. 제 1항에 있어서,
    알콕시실란(B2)는 다음일반식(IV)을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알콕시 RTVI 조성물.
    R7 2Si(OR8)2(IV)
    위식에서,
    R7및 R8은 1가의 비치환 또는 플루오린-, 클로린-, 브로민-, C1-C4- 알콕시알킬- 또는 시아노-치환 C1-C13-탄화수소래디컬이다.
  6. (A) HO-말단 오르가노폴리실록산,
    (B1) 최소한 3개의 알콕시기를 가진 알콕실란 및/또는 그 부분가수분해물, 및
    (B2) 2개의 알콕시기를 가진 알콕시 실란 및/또는 그부분 가수분해물을
    (C) 다음 일반식 (I)의 인산에스테르의 존재하에 반응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제 1 항의 알콕시 RTVI 조성물의 제조방법.
    (HO)aOP(-O-[(CR1 2)b-O]c[(CR2 2)d]e-L-M)3-a(I)
    위식에서,
    a 는 1 또는 2 이고,
    R1및 R2는 수소 래디컬, 메틸래디컬 또는 히드록시래디컬이며,
    b 및 d 는 2 또는 3 이고,
    c 는 2~15 의 정수이고,
    e 는 0 또는 1 이며,
    L 은 -O-, -COO- , -OOC- , -CONR3-, -NR4CO- 및 -CO- 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한 하나의 래디컬이며,
    R3및 R4는 수소래디컬 또는 C1- C10- 알킬래디컬이며,
    M 은 1가의 비치환 또는 히드록시, 플루오린- , 클로린-, 브로민-, C1-C10-알콕시알킬- 또는 시아노- 치환 C1-C20-탄화수소래디컬이다.
    단, 탄소원자 에 하나의 래디컬 R1및 R2는 히드록시래디컬임.
  7. 자연석의 충전조인트(filling joints)용 시일링 화합물로서 제 1 항의 알콕시 RTVI 조성물의 사용방법.
KR1019990053450A 1998-12-02 1999-11-29 알코올을 제거시켜 엘라스토머를 얻는 가교할 수 있는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KR1003597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9855619.5 1998-12-02
DE19855619A DE19855619A1 (de) 1998-12-02 1998-12-02 Unter Abspaltung von Alkoholen zu Elastomeren vernetzbare Organopolysiloxanmass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7761A true KR20000047761A (ko) 2000-07-25
KR100359705B1 KR100359705B1 (ko) 2002-11-08

Family

ID=7889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3450A KR100359705B1 (ko) 1998-12-02 1999-11-29 알코올을 제거시켜 엘라스토머를 얻는 가교할 수 있는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6254811B1 (ko)
EP (1) EP1006146B1 (ko)
JP (1) JP3419718B2 (ko)
KR (1) KR100359705B1 (ko)
CN (1) CN1125139C (ko)
AT (1) ATE213261T1 (ko)
DE (2) DE19855619A1 (ko)
ES (1) ES2172282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3409B2 (en) * 2002-05-29 2004-10-12 John Robert Keryk Organopolysiloxane copolymer and method of preparing
DE10259613A1 (de) 2002-12-19 2004-07-08 Wacker-Chemie Gmbh Organopolysiloxanzusammensetzungen und deren Einsatz in bei Raumtemperatur vernetzbaren niedermoduligen Massen
JP3897769B2 (ja) * 2003-04-24 2007-03-28 花王株式会社 へそ凹部清浄剤
DE10319303A1 (de) 2003-04-29 2004-12-09 Wacker-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vernetzbaren Massen auf der Basis von Organosiliciumverbindungen
DE102004014216A1 (de) * 2004-03-23 2005-10-13 Wacker-Chemie Gmbh Vernetzbare Massen auf der Basis von Organosiliciumverbindungen
DE102004020563A1 (de) 2004-04-27 2005-11-17 Wacker-Chemie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Siloxan-Copolymeren
KR101500462B1 (ko) * 2006-12-19 2015-03-18 바스프 코팅스 게엠베하 높은 내스크래치성 및 풍화 안정성을 갖는 코팅제
DE102009028142A1 (de) * 2009-07-31 2011-02-03 Wacker Chemie Ag Bei Raumtemperatur durch Kondensation vernetzende Siliconmassen
CN102947370B (zh) * 2010-04-23 2016-05-11 汉高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硅酮-丙烯酸共聚物
CN103619913A (zh) * 2011-03-31 2014-03-05 道康宁公司 含膦酸酯催化剂的可缩合反应固化的有机硅有机嵌段共聚物组合物及所述组合物的制备和使用方法
CN103459027A (zh) * 2011-03-31 2013-12-18 道康宁公司 包含膦酸酯催化剂的组合物以及制备和使用组合物的方法
US20140011907A1 (en) * 2011-03-31 2014-01-09 Geraldine Durand Compositions containing phosphate catalysts and methods for the preparation and use of the compositions
US8481655B2 (en) 2011-07-27 2013-07-09 Wacker Chemical Corporation Copper complexes of amino-functional organosilicon compounds and their use
CN102898883B (zh) * 2011-07-29 2016-08-24 道康宁(中国)投资有限公司 涂料组合物、使用其涂覆材料表面的方法、以及具有其的表面处理的材料
DE102011110100A1 (de) * 2011-08-12 2013-02-14 Evonik Goldschmidt Gmbh Verfahren zu Herstellungen von Polysiloxanen mit stickstoffhaltigen Gruppen
US20160369061A1 (en) * 2013-07-02 2016-12-22 Momentive Performance Materials Inc Moisture curable compositions
CN103467745B (zh) * 2013-09-03 2015-08-05 成都硅宝科技股份有限公司 末端烷氧基聚硅氧烷的制备方法
US9284413B2 (en) * 2013-11-15 2016-03-15 Wacker Chemical Corporation Process to produce stable alkoxy terminated aminofunctional silicone fluids
DE102014222826A1 (de) 2014-11-07 2016-05-12 Wacker Chemie Ag Vernetzbare Organopolysiloxanzusammensetzungen
US20160185911A1 (en) * 2014-12-24 2016-06-30 Industrial Technology Research Institute Polysiloxane and hybrid material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151099A (en) * 1960-05-30 1964-09-29 Rhone Poulenc Sa Water curable organo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ic esters and zirconic or titanic esters
US4755578A (en) * 1982-12-13 1988-07-05 General Electric Company Alkoxy-functional one-component RTV silicone rubber compositions
DE4302393A1 (de) * 1993-01-28 1994-08-04 Wacker Chemie Gmbh Zu Elastomeren vernetzende Organopolysiloxanmassen
DE19507416C1 (de) * 1995-03-03 1996-09-19 Bayer Ag Kondensationsvernetzende Polysiloxanmassen,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sowie deren Verwendung
DE19533892A1 (de) 1995-09-13 1997-06-12 Bayer Ag Verfahren zur Kettenverlängerung von alpha,omega-Dihydroxy-poly(diorganosiloxanen), vernetzbare Mischungen, enthaltend kettenverlängerte alpha,omega-Dihydroxypoly(diorganosiloxane) und die Verwendung der hergestellten alpha,omega-Dihydroxypoly(diorganosiloxa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419718B2 (ja) 2003-06-23
DE19855619A1 (de) 2000-06-08
CN1125139C (zh) 2003-10-22
DE59900857D1 (de) 2002-03-21
ATE213261T1 (de) 2002-02-15
CN1255514A (zh) 2000-06-07
EP1006146B1 (de) 2002-02-13
US6254811B1 (en) 2001-07-03
KR100359705B1 (ko) 2002-11-08
JP2000169587A (ja) 2000-06-20
EP1006146A1 (de) 2000-06-07
ES2172282T3 (es) 2002-09-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59705B1 (ko) 알코올을 제거시켜 엘라스토머를 얻는 가교할 수 있는오르가노폴리실록산 조성물
JP4612444B2 (ja) 有機ケイ素化合物をベースとする架橋性材料
KR101232698B1 (ko) 실온에서 축합에 의해 가교결합되는 실리콘 물질
JP3927950B2 (ja)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その製造方法、前記組成物から製造された架橋可能な材料、及び前記材料から製造された成形品
KR100958155B1 (ko) 유기규소 화합물 및 가교 가능한 조성물에서 이의 용도
US6753400B2 (en) Room temperature curing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KR20100111704A (ko) 실온 경화형 중합체
EP0345645B1 (en) Room temperature-curable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
AU735954B2 (en) Organopolysiloxane compositions crosslinkable with elimination of alcohols to give elastomers
JP3533138B2 (ja) スズ触媒含有rtv−1−アルコキシ組成物、およびその安定化方法
EP1302512B1 (en) Non-staining silicone rubber compositions, their preparation and use
JP4146344B2 (ja) オルガノケイ素化合物を基礎とする架橋可能な材料
JP5607069B2 (ja) 有機ケイ素化合物をベースとする架橋可能な材料
JP2005213487A (ja) 室温硬化性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JP3967717B2 (ja) 有機珪素化合物を基礎とする架橋可能な材料
JPH1067939A (ja) 架橋可能な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材料、該化合物の製造法、および該化合物から得られるエラストマー
JP2001187820A (ja) 架橋可能な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材料、および該材料を用いて製造される成形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