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6533A - 교환기의 센트릭스 회의 통화 장치 - Google Patents

교환기의 센트릭스 회의 통화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6533A
KR20000046533A KR1019980063220A KR19980063220A KR20000046533A KR 20000046533 A KR20000046533 A KR 20000046533A KR 1019980063220 A KR1019980063220 A KR 1019980063220A KR 19980063220 A KR19980063220 A KR 19980063220A KR 20000046533 A KR20000046533 A KR 2000004653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ll
conference call
digital
processor
exchan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32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선미
Original Assignee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병호, 대우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강병호
Priority to KR1019980063220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6533A/ko
Publication of KR2000004653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6533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42Systems providing special services or facilities to subscribers
    • H04M3/56Arrangements for connecting several subscribers to a common circuit, i.e. affording conference fac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3/00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2203/05Aspects of 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related to OAM&P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7/00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 H04M2207/45Type of exchange or network, i.e. telephonic medium, in which the telephonic communication takes place public-private interworking, e.g. centre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센트릭스 그룹의 디지탈 가입자의 디지탈 전화기에 센트릭스 회의 통화에 따른 서비스 진행 상태를 디스플레이(display)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기술에 있어서 디지탈 가입자는 회의 통화에 따른 서비스 진행 상태를 디지탈 전화기를 통해서는 알 수 없다. 물론, 디지탈 가입자는 다른 서비스에 대해서도 서비스 진행 상태를 디지탈 전화기를 통해서 알 수 없었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센트릭스 그룹의 회의 통화에 참여한 모든 디지탈 가입자의 디지탈 전화기에 센트릭스 회의 통화에 따른 서비스 진행 상태를 디스플레이시켜 회의 통화에 참여한 모든 디지탈 가입자가 현재의 서비스 진행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센트릭스 그룹의 회의 통화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교환기의 센트릭스 회의 통화 장치(APPARATUS FOR CENTREX CONFERENCE CALL IN EXCHANGE)
본 발명은 교환기의 센트릭스(CENTRalized EXchange : CENTREX) 회의 통화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센트릭스 그룹의 디지탈 가입자의 디지탈 전화기에 센트릭스 회의 통화에 따른 서비스 진행 상태를 디스플레이(display)시키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에 따른 교환기의 센트릭스 그룹의 디지탈 가입자는 디지탈 전화기(ISDN(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phone)를 사용하여 회의 통화를 수행했다. 이때, 교환기는 디지탈 가입자에게 회의 통화에 따른 디지탈 전화 서비스를 호 처리를 위주로 제공하였다.
따라서, 디지탈 가입자는 회의 통화에 따른 서비스 진행 상태를 디지탈 전화기를 통해서는 알 수 없다. 물론, 디지탈 가입자는 다른 서비스에 대해서도 서비스 진행 상태를 디지탈 전화기를 통해서 알 수 없었다.
본 발명은 상기 결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센트릭스 그룹의 회의 통화에 참여한 모든 디지탈 가입자의 디지탈 전화기에 센트릭스 회의 통화에 따른 서비스 진행 상태를 디스플레이시켜 회의 통화에 참여한 모든 디지탈 가입자가 현재의 서비스 진행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하는 교환기의 센트릭스 회의 통화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상위 프로세서 및 하위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상위 프로세서는 시스템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운용 및 유지 보수 처리부; 상기 운용 및 유지 보수 처리부에 의해 운용되어 회의 통화를 진행하는 중의 회의 통화 진행 상태 메시지를 회의 통화에 참여한 각각의 디지탈 전화기로 상기 하위 프로세서를 통해 제공하여 상기 각각의 디지탈 전화기에 회의 통화 진행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호 처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센트릭스 회의 통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위 프로세서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입자부 및 중계선부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운용자 터미널 12 : 상위 프로세서
14 : 하위 프로세서 16 : 공통선 신호 정합 프로세서
20 : 운용 및 유지 보수 처리부 22 : 호 처리 제어부
24 : 가입자부 26 : 중계선부
28 : 센트릭스 호 제어부 30 : 디지탈 가입자 호 제어부
32 : 루팅 제어부 34 : No.7 ISUP 호 제어부
이하,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교환기의 센트릭스 회의 통화 장치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운용자 터미널(10), 상위 프로세서(12), 하위 프로세서(14), 그리고 공통선 신호 정합 프로세서(16)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운용자 터미널(10)은 운용자에 의해 키 조작되어 상위 프로세서(12)와 통신함에 따라 교환기를 운용한다. 예를 들면, 운용자 터미널(10)은 특정 회의 통화 서비스를 등록하기 위한 데이터를 상위 프로세서(12)로 전송하여 상위 프로세서(12)가 교환기에 특정 서비스를 등록시키도록 한다.
상위 프로세서(12)는 가입자 및 중계호 처리를 수행하며 시스템 상태 관리를 위한 유지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하위 프로세서(14)는 주변 장치 프로세서로서 각 디지탈 가입자 라인의 상태를 감시하여 상위 프로세서(12)로 보고하고 상위 프로세서(12)의 제어 명령을 받아 각 디지탈 가입자 라인을 제어한다.
공통선 신호 정합 프로세서(16)는 상위 프로세서(12)와 통신하여 No.7 기능중 레벨 3에 해당하는 대국간 메시지 전달 기능을 수행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상위 프로세서(12)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운용 및 유지 보수 처리부(20)와 호 처리 제어부(22)로 구성된다. 이때, 호 처리 제어부(22)는 가입자부(24) 및 중계선부(26)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운용 및 유지 보수 처리부(20)는 시스템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한다.
호 처리 제어부(22)는 운용 및 유지 보수 처리부(20)에 의해 운용되어 회의 통화를 진행하는 중의 회의 통화 진행 상태 메시지를 회의 통화에 참여한 각각의 디지탈 전화기로 제공하여 각각의 디지탈 전화기에 회의 통화 진행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한다.
도 3은 도 2에 도시된 가입자부(24) 및 중계선부(26)의 일 실시예를 나타낸 블록도로, 호 처리 제어부(22) 내의 가입자부(24)는 센트릭스 호 제어부(28) 및 디지탈 가입자 호 제어부(30)로 구성된다. 또한, 중계선부(26)는 루팅 제어부(32) 및 No.7 ISUP(Integrated Services digital network User Part) 호 제어부(34)로 구성된다.
동 도면에 있어서, 가입자부(24) 내의 센트릭스 호 제어부(28)는 하위 프로세서(14)를 통해 인입되는 발신 가입자가 센트릭스 그룹 내의 내선 가입자인 경우 그룹 데이터 확인 및 발호에 필요한 기본 호처리를 준비한다.
디지탈 가입자 호 제어부(30)는 하위 프로세서(14)를 통해 인입되는 발신 가입자가 디지탈 가입자인 경우 호 설정에 필요한 호 등록기(Call Register : CR) 정보를 할당받고 기본 데이터를 세팅한다. 또한, 디지탈 가입자 호 제어부(30)는 발신 가입자가 임의의 부가 서비스에 등록되어 있고 특정 서비스를 개시하는 경우 서비스에 필요한 풀 데이터(pool data)를 변경하고 회의 통화에 필요한 호 혼합기의 할당 및 해제, 멤버(member) 가입자의 큐 정보를 관리 및 저장한다.
루팅 제어부(32)는 디지탈 가입자 호 제어부(30) 및 센트릭스 호 제어부(28)와 통신하여 인입된 발신 가입자에 따른 호의 통신 경로를 제어한다.
No.7 ISUP 호 제어부(34)는 디지탈 가입자 호 제어부(30) 및 센트릭스 호 제어부(28)와 통신하여 인입된 디지탈 발신 가입자에 따른 호가 ISUP 중계 호를 시도하는 경우 대국간 ISUP 중계 신호를 송수신하며 호 진행 과정을 발신측 디지탈 가입자단 및 착신측 디지탈 가입자단으로 전달한다.
상술한 본 발명에 따른 회의 통화 서비스 수행을 단계별로 보면 다음과 같다.
운용자는 운용자 터미널(10)을 이용하여 MMC(Man Machine Communication) 명령어를 사용해서 임의의 센트릭스 그룹 내의 제 1 디지탈 가입자를 상위 프로세서(12)를 통해 회의 통화 서비스에 등록시킨다(단계 1).
하위 프로세서(14)는 제 1 디지탈 가입자의 발신을 감지하여 가입자부(24) 내의 센트릭스 호 제어부(28)로 통보한다. 센트릭스 호 제어부(28)는 디지탈 가입자 호 제어부(30)로 제 1 디지탈 가입자의 발신을 통보한다(단계 2).
디지탈 가입자 호 제어부(30)는 하위 프로세서(14)를 제어하여 하위 프로세서(14)가 제 1 디지탈 가입자에게 다이얼 톤을 연결하도록 한다(단계 3).
제 1 디지탈 가입자가 다이얼링한 디지트에 대해 번호 번역부(도면 중에 도시되지 않음)에서 번호 번역을 한다(단계 4).
번호 번역 결과 중계 호 국번인 경우 중계선부(26) 내의 루팅 제어부(32)로 루팅을 요구한다(단계 5).
루팅 제어부(32)는 사용 가능한 중계선을 할당하여 출중계 점유 신호를 송출할 준비를 한다(단계 6).
중계 호가 ISUP 호인 경우 No.7 ISUP 호 제어부(34)가 출중계 점유 신호를 송출하도록 요구한다(단계 7).
No.7 ISUP 호 제어부(34)는 최초의 출중계 점유 요구 신호인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Initial Address Message : IAM)를 UPI(User Part Interface)(도면 중에 도시되지 않음)로 송출한다(단계 8).
UPI는 초기 어드레스 메시지를 No.7 ISUP 규격이 정한 메시지 포맷으로 포매팅하여 공통선 신호 정합 프로세서(16)를 통해 대국으로 송출한다(단계 9).
대국으로부터 어드레스 완료 메시지를 수신하여 해당 가입자의 착신 상태를 인식하고 제 1 디지탈 가입자가 링백톤(ring back tone)을 수신한다(단계 10).
이 후, 내국으로부터 응답 메시지를 수신하여 착신 가입자인 제 2 디지탈 가입자가 응답하였음을 인식하고 제 1 디지탈 가입자의 통화로를 연결하여 내국의 제 2 디지탈 가입자와 통화로 경로가 열리고 응답 상태로 된다(단계 11).
제 1 디지탈 가입자가 통화중에 홀드키와 재발신키를 누르고 다이얼 톤을 수신한다. 이때, 제 2 디지탈 가입자에게 No.7 ISUP 메시지 중에 호 진행 메시지의 "generic notification indicator" 파라미터를 송출하여 잠시 보류되었음을 통보한다. 제 2 디지탈 가입자는 보류음을 듣고 제 2 디지탈 가입자의 디지탈 전화기에는 "remote hold"가 디스플레이된다(단계 12).
제 1 디지탈 가입자가 새로 다이얼링한 디지트에 대하여 번호 번역을 하고 상술한 단계(단계 5 내지 단계 11)를 수행한다(단계 13).
새로운 착신 가입자인 제 3 디지탈 가입자와 제 1 디지탈 가입자가 통화 중에 제 1 디지탈 가입자가 회의 통화 서비스 코드 예로, "*34*"를 누름으로써 보류되었던 제 2 디지탈 가입자와 3 자 경로가 형성된다. 이때, 제 1 디지탈 가입자측 교환기에서는 호 진행 메시지를 통해 제 2 디지탈 가입자의 교환기로 제 3 디지탈 가입자가 추가되고 회의 통화로가 형성되었음을 통보한다(제 2 디지탈 가입자의 디지탈 전화기에 "conference established"와 "other party added"가 디스플레이된다.). 제 3 디지탈 가입자의 교환기로 호 진행 메시지를 통해 회의 통화로가 형성되었음을 통보한다(제 3 디지탈 가입자의 디지탈 전화기에 "conference established"가 디스플레이된다.)(단계 14).
다시 새로운 디지탈 가입자를 호출하기 위해 상술한 단계(단계 12 내지 단계 14)의 과정을 다시 수행한다. 제 1 디지탈 가입자를 포함하여 모두 6 자의 통화로가 형성될 때까지 반복한다(단계 15).
회의 통화 서비스가 진행 중에 마지막으로 인입된 디지탈 가입자를 위해 제 1 디지탈 가입자가 해제 서비스 코드 예로, "*14*"를 입력한다. 제 1 디지탈 가입자의 교환기에서는 마지막 디지탈 가입자측 교환기로 릴리스 메시지(release message)를 송출하여 해당 디지탈 가입자의 호를 해제한다. 나마지 제 2 내지 제 5 디지탈 가입자의 교환기로 호 진행 메시지의 "generic notification indicator" 파라미터를 통해 회의 통화 중의 한 디지탈 가입자가 회의 통화로에서 해제되었음을 통보한다(제 2 내지 제 5 디지탈 가입자의 디지탈 전화기 상에 "other party disconnected"가 디스플레이된다.)(단계 16).
제 1 디지탈 가입자가 회의 통화 중에 호를 해제하기 위해 송수화기를 제자리에 올려놓는다. 이때, 회의 통화 중인 제 2 내지 제 5 디지탈 가입자의 교환기로 릴리스 메시지가 송출되고 정상적으로 호가 해제된다(단계 17).
상술한 본 발명은 회의 통화 서비스 외에 다른 서비스에도 용이하게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센트릭스 그룹의 회의 통화에 참여한 모든 디지탈 가입자의 디지탈 전화기에 센트릭스 회의 통화에 따른 서비스 진행 상태를 디스플레이시켜 회의 통화에 참여한 모든 디지탈 가입자가 현재의 서비스 진행 상태를 알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센트릭스 그룹의 회의 통화 서비스의 질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1)

  1. 상위 프로세서 및 하위 프로세서를 구비하는 교환기에 있어서:
    상기 상위 프로세서는 시스템의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유지 보수 기능을 수행하는 운용 및 유지 보수 처리부;
    상기 운용 및 유지 보수 처리부에 의해 운용되어 회의 통화를 진행하는 중의 회의 통화 진행 상태 메시지를 회의 통화에 참여한 각각의 디지탈 전화기로 상기 하위 프로세서를 통해 제공하여 상기 각각의 디지탈 전화기에 회의 통화 진행 상태가 디스플레이되도록 하는 호 처리 제어부를 포함하는 교환기의 센트릭스 회의 통화 장치.
KR1019980063220A 1998-12-31 1998-12-31 교환기의 센트릭스 회의 통화 장치 KR2000004653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220A KR20000046533A (ko) 1998-12-31 1998-12-31 교환기의 센트릭스 회의 통화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3220A KR20000046533A (ko) 1998-12-31 1998-12-31 교환기의 센트릭스 회의 통화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6533A true KR20000046533A (ko) 2000-07-25

Family

ID=195698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3220A KR20000046533A (ko) 1998-12-31 1998-12-31 교환기의 센트릭스 회의 통화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653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110A (ko) * 2001-06-16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자간 통화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96110A (ko) * 2001-06-16 2002-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다자간 통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0092519A (ko) 사설 교환기를 이용한 통화 연결음 제공 방법 및 장치
US5758285A (en) Increasing the capacity of a personal communication service system by multiple connections to individual telephone links
NO325024B1 (no) Kommunikasjonssystem
KR20000046533A (ko) 교환기의 센트릭스 회의 통화 장치
JP3129304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秘書電話方法および秘書電話装置
KR20010035929A (ko) 발신 가입자 전화번호 표시장치 및 방법
KR100250668B1 (ko) 안내대를 이용한 스피드콜 서비스 방법
KR100299566B1 (ko) 공중전화망 가입자용 이동전화 착신/발신 대행 방법 및 그 장치
KR100274196B1 (ko) 브이5.2인터페이스의아이에스디엔프로토콜처리방법
KR100242699B1 (ko) 사설 교환기의 진보된 리셋 호 서비스 방법
KR100252510B1 (ko) 전전자 교환기의 안내대 호 재착신방법
KR20000034419A (ko) 개인 통신 교환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 서비스 방법
JP3022864B1 (ja) 加入者系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における自局内接続の制御方法及び加入者系無線アクセスシステム
KR101046642B1 (ko) 게이트웨이 시스템을 이용한 콜 센터를 운영 방법 및 그 게이트웨이 시스템
KR20030077721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발신호 착신 방법
KR100215969B1 (ko) 자국안내대의 타국가입자에 대한 호전환서비스방법
KR100869879B1 (ko) 액세스 게이트웨이의 내부 호 처리 장치 및 그 방법
KR19980063103A (ko) 개인통신 교환시스템에서의 3인통화호 처리방법
JPH0964983A (ja) Isdn中継線による付加情報転送サービス方法
JP3921265B2 (ja) 構内電子交換機用通信システム
KR100267849B1 (ko) 알투신호를적용한자동전용네트워크다이얼링방법
KR20010037123A (ko) 사설 교환 시스템의 내선 가입자 상태 공유장치 및 방법
JPH0393393A (ja) 加入者集線通信方式
KR20000004109A (ko) 전전자 교환기의 호 절단 제어 방법
KR20020014882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통화중 대기시의 발신정보표시기능 처리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