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5683A -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 Google Patents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5683A
KR20000045683A KR1019980062254A KR19980062254A KR20000045683A KR 20000045683 A KR20000045683 A KR 20000045683A KR 1019980062254 A KR1019980062254 A KR 1019980062254A KR 19980062254 A KR19980062254 A KR 19980062254A KR 20000045683 A KR20000045683 A KR 2000004568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ing
ozone
signal
timer
air conditio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25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수환
Original Assignee
조수환
동우기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수환, 동우기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조수환
Priority to KR101998006225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5683A/ko
Publication of KR2000004568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5683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07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 B60H3/0035Adding substances other than water to the air, e.g. perfume, oxygen characterised by the control methods for adding the substan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5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gaseous or vaporous substances, e.g. ozo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3/00Other air-treating devices
    • B60H3/0085Smell or pollution preventing arrang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이 운행중이거나 주/정차 중에도 차량 내부, 에어컨의 열 교환기 또는 공기 통로 등에 부착되어 서식하는 세균 및 곰팡이를 제거하고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냄새를 제거해 줌으로써 운전자가 항상 쾌적한 상태에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이러한 본 발명은, 에어컨 및 히터의 가동시 바람을 얻기 위한 송풍팬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송풍팬 감지부,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에어컨 감지부, 시동키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시동 키 감지부, 송풍팬 감지부와 에어컨 감지부 및 시동 키 감지부에서 각각 얻어지는 신호가 모두 활성 신호일 경우와 시동 키 감지 신호가 비활성 신호일 경우 선택적으로 타이머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 제어부, 타이머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일정 주기로 오존을 발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1타이머, 타이머 제어부에서 출력되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만 오존 발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2타이머, 제1 및 제2 타이머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 생성을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 구동부, 발진기 구동부에서 발생된 구동 신호에 따라 오존 발생을 위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부, 발진부에서 얻어지는 발진 주파수에 따라 오존을 발생하여 차량내의 소정 위치로 방출시키는 오존 발생부를 구비함으로써, 운행중 또는 주차/정차 중에도 오존 발생이 가능하다.

Description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본 발명은 자동차 내장형 오존(OZONE : O3) 발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차량이 운행중이거나 주차/정차 중에도 차량 내부, 에어컨의 열 교환기 또는 공기 통로 등에 부착되어 서식하는 세균 및 곰팡이를 제거하고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냄새를 제거해 줌으로써 운전자가 항상 쾌적한 상태에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서 실내 공기의 정화는, 운전자(또는, 승차자)가 수동으로 창문을 열어 자연 통풍 방식으로 실내 공기를 정화하거나, 별도의 공기 청정기를 구비하여 차량내의 소정 위치에 장착하고 자동차 밧데리를 전원으로 사용하여 차량내의 공기를 정화한다.
그러나 창문을 열어 자연 통풍 방식으로 차량내의 공기를 정화하는 방법은, 외부의 공기가 차량내의 공기보다 맑고 신선해야 하는 전제 조건이 필요하며, 또한 상기와 같은 전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도 자연 통풍 방식이므로 정화 시간이 오래 걸리는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단점을 극복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이 전기를 이용한 공기 청정기의 장착인데, 이 경우에는 공기 청정기의 구동 전원이 자동차의 밧데리이므로, 주행중에는 공기 정화가 가능하나, 주차 또는 정차 중에는 밧데리의 전원 공급이 차단되어 공기 정화가 불가능한 단점이 있었다.
여기서, 차량내의 소정 위치, 특히 열 교환기에 부착되어 서식하는 세균 및 곰팡이는 에어컨의 가동 중에는 열 교환기의 온도가 매우 낮아지므로 활동 영역이 좁아져 어느 정도의 세균 및 곰팡이의 번식을 억제시킬 수 있으나, 반면 에어컨을 가동한 후 정지시키면 열 교환기의 온도가 급격히 상승하게 되므로 세균 및 곰팡이가 상대적으로 매우 활발하게 활동하여 더욱 번식을 하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전기식 공기 청정기는 시동을 오프 시키면 자동으로 밧데리의 전원이 차단되어 열 교환기의 동작도 정지되므로 주차 또는 정차 중에는 세균 및 곰팡이의 제거가 불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자동차용 전기식 공기 청정기에서 발생하는 제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제안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차량이 운행중이거나 주차/정차 중에도 차량 내부, 에어컨의 열 교환기 또는 공기 통로 등에 부착되어 서식하는 세균 및 곰팡이를 제거토록 한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차량 내부에서 발생하는 여러 종류의 냄새를 제거해 줌으로써 운전자가 항상 쾌적한 상태에서 운전을 할 수 있도록 한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에어컨 및 히터의 가동시 바람을 얻기 위한 송풍팬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송풍팬 감지수단과;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에어컨 감지수단과;
시동키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시동 키 감지수단과;
상기 송풍팬 감지수단과 에어컨 감지수단 및 시동 키 감지수단에서 각각 얻어지는 신호가 모두 활성 신호일 경우와 상기 시동 키 감지 신호가 비활성 신호일 경우 선택적으로 타이머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 제어수단과;
상기 타이머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일정 주기로 오존을 발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1타이머와;
상기 타이머 제어수단에서 출력되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만 오존 발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2타이머와;
상기 제1 및 제2 타이머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 생성을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 구동수단과;
상기 발진기 구동수단에서 발생된 구동 신호에 따라 오존 발생을 위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수단과;
상기 발진수단에서 얻어지는 발진 주파수에 따라 오존을 발생하여 차량내의 소정 위치로 방출시키는 오존 발생수단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한다.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블록도,
도2는 도1의 각부 상세 회로도,
도3은 도2의 오존 발생기 상세 구성도.
도4는 도 3의 a-a'선에 따른 단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송풍팬 감지부 20 : 에어컨 감지부
30 : 시동 키 감지부 40 : 타이머 제어부
50,60 : 제1 및 제2 타이머 70 : 발진기 구동부
80 : 발진부 90 : 오존 발생부
이하, 상기와 같은 기술적 사상에 따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에를 첨부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한 도면 도1은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블록도 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에어컨 및 히터의 가동시 바람을 얻기 위한 송풍팬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송풍팬 감지부(10)와, 상기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에어컨 감지부(20)와, 시동키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시동 키 감지부(30)와, 상기 송풍팬 감지수단(10)과 에어컨 감지수단(20) 및 시동 키 감지수단(30)에서 각각 얻어지는 신호가 모두 활성 신호일 경우와 상기 시동 키 감지 신호가 비활성 신호일 경우 선택적으로 타이머를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 제어부(40)와, 상기 타이머 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제1 제어 신호에 따라 일정 주기로 오존을 발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1타이머(50)와, 상기 타이머 제어부(40)에서 출력되는 제2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만 오존 발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2타이머(60)와, 상기 제1 및 제2 타이머(50)(6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 생성을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 구동부(70)와, 상기 발진기 구동부(70)에서 발생된 구동 신호에 따라 오존 발생을 위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부(80)와, 상기 발진부(80)에서 얻어지는 발진 주파수에 따라 오존을 발생하여 차량내의 소정 위치로 방출시키는 오존 발생부(90)로 구성된다.
상기에서 타이머 제어부(40)는 상기 시동 온/오프 감지 신호와 송풍팬 온/오프 감지 신호를 논리곱 하는 제1논리곱소자(41)와, 상기 에어컨 온/오프 감지 신호를 위상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43)와, 오존 발생시 상기 에어컨 온/오프 감지 신호를 그대로 적용하거나 에어컨 구동시 오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에어컨 오프시 오존 발생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 및 제2 스위치(SW1)(SW2)과, 상기 제1인버터(43)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SW1)(SW2)을 통한 신호와 상기 제1논리곱소자(41)의 출력 신호를 논리곱 하는 제2논리곱소자(44)와, 상기 제2논리곱소자(44)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스위칭소자(Q1)와, 상기 스위칭소자(Q1)의 턴-온시 주기적으로 오존을 발생하기 위한 타이머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제1릴레이(RY1)와, 상기 시동 온/오프 감지 신호를 위상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42)와, 상기 제2인버터(42)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스위칭소자(Q2)와, 상기 스위칭소자(Q2)의 턴-온시 일정 시간 동안만 오존을 발생하기 위한 타이머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제2릴레이(RY2)로 구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에 의한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의 작용을 첨부한 도면 도1 내지 도3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 오존 발생장치는, 차량이 운행중인 경우와 시동이 오프된 주차중 상태에 따라 각기 다른 방식에 의해 오존을 발생하게 되며, 이하에서는 이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먼저 차량의 시동이 오프된 경우, 송풍팬 감지부(10) 및 에어컨 감지부(20)의 출력 신호는 모두 비활성 신호(로우신호)가 되며, 마찬가지로 시동 키 감지부(30)의 출력 신호도 비활성신호(로우신호)가 된다.
이렇게 출력되는 각각의 신호는 타이머 제어부(40)에 각각 입력되며, 타이머 제어부(40)는 각각의 신호를 검색하여 두개의 타이머중 어느 타이머를 구동할 것인가를 결정한다. 즉, 타이머 제어부(40)는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논리곱소자(41)로 상기 시동 온/오프 감지 신호 및 송풍팬 온/오프 감지 신호를 논리곱 하게 되는데, 이때 두 신호도 모두 비활성신호이므로 그 출력도 로우신호가 되며, 이에 따라 후단의 제2논리곱소자(44)도 타측 입력단의 신호와는 무관하게 상기 제1논리곱소자(41)의 출력이 로우신호이므로 그 출력으로 로우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로우신호는 스위칭소자(Q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며, 상기 인가되는 로우신호에 의해 스위칭소자(Q1)도 오프 되며, 따라서 제1릴레이(RY1)의 코일에도 전류가 흐르지 않아 제1릴레이(RY1)의 스위치도 오프 된다. 이에 따라 상기 제1릴레이(RY1)의 릴레이 스위치 출력단에 연결된 제1타이머(50)에는 로우신호가 전달되어 제1타이머(50)는 구동을 하지 않게 된다. 즉, 시동이 오프된 경우 제1타이머(50)도 오프 된다.
한편, 제2인버터(42)는 상기 시동 온/오프 감지 신호를 위상 반전시키게 되는데, 이때 시동 온/오프 감지 신호가 비활성신호(로우신호)이므로 위상 반전된 신호는 활성신호(하이신호)가 되어 스위칭소자(Q2)의 베이스단자에 인가된다. 이에 따라 스위칭소자(Q2)는 베이스단자에 인가되는 하이신호에 의해 턴-온 되어 제2릴레이(RY2)의 코일로 전류가 흐르도록 하며, 상기 릴레이 코일로 전류가 흐르면 2차측 릴레이 스위치가 구동을 하여 전원(VCC)을 제2타이머(60)에 인가한다.
그러면 제2타이머(60)는 인가된 전원에 의해 구동을 하게 되며, 도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머(61)에서 저항 및 콘덴서(R1)(C4)에 의해 결정되는 시상수에 대응하는 펄스폭의 하이신호를 출력단자(Q)를 통해 출력하게 되며, 카운터(62)에서 이를 분주하여 소정 펄스폭의 하이신호를 발생한다.
이와 같이 발생되는 하이신호는 발진기 구동부(70)에 전달되며, 발진기 구동부(70)는 상기 전달되는 하이신호에 의해 스위칭소자(Q3)가 턴-온 되어 발진부(8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발진부(80)는 스위칭소자(Q4)가 턴-온 되어 고전압 트랜스(HVT)를 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고전압 트랜스(HVT)의 구동에 의해 자동차 밧데리의 직류전압(DC12V)이 높은 교류(AC5Kv)전압으로 변환되어 오존 발생부(8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오존 발생부(90)내의 오존 발생기(91)는 상기 제2타이머(60)에 의해 설정된 시간만큼 구동을 하여 오존(O3)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발생되는 오존에 의해 차량내의 냄새가 제거되고, 균(특히, 곰팡이 및 병원균)이 제거된다. 여기서 오존 발생기(91)의 장착 위치를 알맞게 설정함으로써 좀 더 효과적인 탈취 및 세균 제거가 가능한데, 특히 열 교환기 근처에 오존 발생기(91)를 설치하면 에어컨 오프시 탈취 및 균의 제거에 더욱 효과적이다.
첨부한 도면 도3은 상기 오존 발생기(91)의 일 예를 보인 것으로서, 참조 부호 (92)는 내부에 네온가스와 같은 방전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방전램프이고, (93)은 상기 방전램프의 외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감겨져 있는 금속 와이어이며, (94)는 상기 방전램프내에 삽입되어 있는 금속 전극이다.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오존 발생기(91)는 발진부(80)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이 금속 전극(94)의 양단에 인가되면, 방전 램프(92)가 일차 방전하여 발광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상태에서 방전 램프(92)내의 방전 가스가 매체가 되어 금속 전극(94)과 금속 와이어(93)사이에서 이차 방전이 발생한다. 상기와 같이 이차 방전이 발생하면 방전 램프(92)의 외면과 금속 와이어(93)의 사이에 존재하는 공기중의 산소(O2)가 O+O로 분해되고, 분해된 O와 공기중의 산소가 결합하여 O3라는 오존을 발생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자동차의 운행중에 오존을 발생하는 경우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시동키 감지부(30) 및 송풍팬 감지부(10)의 출력 신호는 활성신호가 되며, 이와 같이 발생되는 활성신호(하이신호)는 타이머 제어부(40)내의 제1논리곱소자(41)에서 논리곱 되어 하이신호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시동키 감지부(30)의 출력 신호가 하이신호이므로 제2인버터(42)의 출력 신호는 로우가 되며, 그 로우신호에 의해 스위칭소자(Q2), 그 스위칭소자(Q2)에 연결된 제2릴레이(RY2)가 모두 오프 되므로 제2타이머(60)도 오프가 된다.
아울러 상기 타이머 제어부(40)내의 제2논리곱소자(44)는 상기 제1논리곱소자(41)의 출력 신호와 에어컨 온/오프 감지 신호를 변환시킨 신호를 논리곱 하게 된다. 여기서 에어컨 감지 신호를 변환시킨 신호는, 운전자가 에어컨 구동과 관계없이 오존을 발생하고 할 경우에는 제2스위치(SW2)만 온(on)시키면 되고, 에어컨을 켠 상태에서는 오존 발생을 억제하고자 하면 제1 및 제2 스위치(SW1)(SW2)을 모두 오프 시키면 된다. 즉,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SW1)(SW2)이 모두 오프 되면 활성신호는 제1인버터(43)에 의해 로우신호로 천이 되어 상기 제2논리곱소자(44)에 전달되므로 에어컨 구동시 오존 발생을 억제시킬 수 있다. 또한 에어컨 구동시 오존을 발생하고자 하면 상기 제1스위치(SW1)만 온(ON)시키면 된다. 상기 제1스위치(SW1)가 온 되면 에어컨 온/오프 감지 신호인 활성신호가 상기 제1스위치(SW1)를 통해 그래도 제2논리곱소자(44)에 전달된다. 상기 제2논리곱소자(44)는 상기 제1논리곱소자(41)에서 출력되는 하이신호와 상기 에어컨 온/오프 감지 신호를 변환시킨 신호(본 발명에서는 일차적으로 오존을 발생하기 위해서 하이신호로 정함)를 논리곱 하여 그 결과치를 하이신호로 출력하여 스위칭소자(Q1)의 베이스단자에 인가한다. 이에 따라 상기 스위칭소자(Q1)는 턴-온이 되어 제1릴레이(RY1)를 구동하게 되고, 상기 제1릴레이(RY1)의 구동에 의해 제1타이머(50)에 구동 신호가 전달된다.
상기 구동 신호를 입력받은 제1타이머(50)는 내부의 타이머(51)가 구동을 하여 일정 주기마다 오존 발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한다. 여기서 일정 주기는 저항(R9) 및 콘덴서(C8)에 의한 시상수로 정해진다.
상기 오존 발생을 위해 생성된 제어 신호는 발진기 구동부(70)에 전달되며, 발진기 구동부(70)는 그 제어 신호에 의해 스위칭소자(Q3)가 턴-온 되어 발진부(8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발진부(80)는 스위칭소자(Q4)가 턴-온 되어 고전압 트랜스(HVT)를 구동시키게 되고, 상기 고전압 트랜스(HVT)의 구동에 의해 자동차 밧데리의 직류전압(DC12V)이 높은 교류(AC5Kv)전압으로 변환되어 오존 발생부(90)에 공급된다.
이에 따라 오존 발생부(90)내의 오존 발생기(91)는 상기 제1타이머(50)에 의해 결정되는 주기에 동기 되어 일정 주기로 오존(O3)을 발생시키게 되고, 이와 같이 발생되는 오존에 의해 차량내의 냄새가 제거되고, 균(특히, 곰팡이 및 병원균)이 제거된다.
이상에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차량의 운행중 오존 발생이 가능하여 차량 내부, 에어컨의 열 교환기 또는 공기 통로 등에 부착되어 서식하는 세균 및 곰팡이를 제거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차량이 정차한 상태에서도 일정 시간 동안 오존 발생이 가능하므로, 에어컨을 오프한 직후 급속히 번식하는 세균류 제거 및 탈취가 가능하여 항상 쾌적한 상태에서 운전이 가능토록 해주는 효과가 있다.

Claims (4)

  1. 에어컨 및 히터의 가동시 바람을 얻기 위한 송풍팬의 구동 여부를 감지하는 송풍팬 감지수단(10)과;
    상기 에어컨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에어컨 감지수단(20)과;
    시동키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시동 키 감지수단(30)과;
    상기 송풍팬 감지수단(10)과 에어컨 감지수단(20) 및 시동 키 감지수단(30)에서 각각 얻어지는 신호가 모두 활성신호일 경우 타이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 제어수단(40)과;
    상기 타이머 제어수단(4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일정 주기로 오존을 발생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1타이머(50)와;
    상기 제1 타이머(5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 생성을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 구동수단(70)과;
    상기 발진기 구동수단(70)에서 발생된 구동 신호에 따라 오존 발생을 위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수단(80)과;
    상기 발진수단(80)에서 얻어지는 발진 주파수에 따라 오존을 발생하여 차량내의 소정 위치로 방출시키는 오존 발생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 제어수단(40)은, 상기 시동 온/오프 감지 신호와 송풍팬 온/오프 감지 신호를 논리곱 하는 제1논리곱소자(41)와, 상기 에어컨 온/오프 감지 신호를 위상 반전시키는 제1인버터(43)와, 오존 발생시 상기 에어컨 온/오프 감지 신호를 그대로 적용하거나 에어컨 구동시 오존 발생을 억제하기 위한 제어 신호 및 에어컨 오프시 오존 발생을 위한 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제1 및 제2 스위치(SW1)(SW2)과, 상기 제1인버터(43) 또는 상기 제1 및 제2 스위치(SW1)(SW2)을 통한 신호와 상기 제1논리곱소자(41)의 출력 신호를 논리곱 하는 제2논리곱소자(44)와, 상기 제2논리곱소자(44)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스위칭소자(Q1)와, 상기 스위칭소자(Q1)의 턴-온시 주기적으로 오존을 발생하기 위한 타이머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제1릴레이(RY1)와, 상기 시동 온/오프 감지 신호를 위상 반전시키는 제2인버터(42)와, 상기 제2인버터(42)의 출력 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되는 스위칭소자(Q2)와, 상기 스위칭소자(Q2)의 턴-온시 일정 시간 동안만 오존을 발생하기 위한 타이머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제2릴레이(RY2)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오존발생수단은, 내부에 네온가스와 같은 방전가스가 충진되어 있는 방전램프와, 상기 방전램프내에 삽입되어 있고 상기 발진부에서 공급되는 고전압이 그 양단에 인가되는 금속 전극과 상기 방전램프의 외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감겨져 있는 금속 와이어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형 오존발생장치
  4. 시동키의 온/오프 상태를 감지하는 시동 키 감지수단(30)과;
    상기 시동 키 감지수단(30)에서 얻어지는 신호가 비활성신호일 경우 타이머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타이머 제어수단(40)과;
    상기 타이머 제어수단(40)에서 제어 신호에 따라 소정 시간 동안만 오존 발생을 위한 제어 신호를 발생하는 제2타이머(60)와;
    상기 제2 타이머(60)에서 출력되는 제어 신호에 따라 발진 주파수 생성을 위한 구동 신호를 발생하는 발진기 구동수단(70)과;
    상기 발진기 구동수단(70)에서 발생된 구동 신호에 따라 오존 발생을 위한 발진 주파수를 생성하는 발진수단(80)과;
    상기 발진수단(80)에서 얻어지는 발진 주파수에 따라 오존을 발생하여 차량내의 소정 위치로 방출시키는 오존 발생수단(90)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KR1019980062254A 1998-12-30 1998-12-30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KR2000004568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254A KR20000045683A (ko) 1998-12-30 1998-12-30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254A KR20000045683A (ko) 1998-12-30 1998-12-30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683A true KR20000045683A (ko) 2000-07-25

Family

ID=19568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254A KR20000045683A (ko) 1998-12-30 1998-12-30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5683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644A (ko) * 2001-05-04 2002-11-09 오존스코리아 주식회사 네온램프를 이용한 오존발생장치
KR100704772B1 (ko) * 2004-06-15 2007-04-09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0759068B1 (ko) * 2006-06-07 2007-09-1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살균탈취장치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84644A (ko) * 2001-05-04 2002-11-09 오존스코리아 주식회사 네온램프를 이용한 오존발생장치
KR100704772B1 (ko) * 2004-06-15 2007-04-09 가부시키가이샤 덴소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0759068B1 (ko) * 2006-06-07 2007-09-19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차량용 살균탈취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754601B2 (ja) 冷蔵庫
US20100126190A1 (en) air-cleaning device for evaporator of vehicle and control method
KR200223107Y1 (ko)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KR20000045683A (ko) 자동차 내장형 오존 발생장치
KR100794182B1 (ko) 보조 배터리가 구비된 차량
JPH0825723B2 (ja) オゾン発生装置
US4867045A (en) Vehicle deodorizer
US4805520A (en) Vehicle deodorizer
JP3074398U (ja) 自動車内装形オゾン発生装置
JP2006256374A (ja) 車両用電子装置
JP2005153795A (ja) 車載用空気清浄装置
JP2008037373A (ja) 車両用静電霧化装置
JP2002002268A (ja) 車両用空気清浄装置
KR100786969B1 (ko) 차량의 에어컨 제어 시스템
KR960010303A (ko) 공기정화장치를 구비하는 동절기 차량실내 급속가온 히터(heater)및 히터 제조방법
JP2008174103A (ja) 車両用イオン発生装置
KR0174184B1 (ko) 자동차의 방향 지시등 제어회로
KR200162556Y1 (ko) 자동차 에어컨 작동 제어장치
KR101517478B1 (ko) 차량용 공조시스템
KR100224156B1 (ko) 히터의 블로어 모터 자동 제어장치
KR19980034923A (ko) 와이퍼 정위치 정지 장치
JP2008037374A (ja) 車両用静電霧化装置
KR0177378B1 (ko) 차량장착 화장실의 환기장치
KR19990048549A (ko) 조도에 따른 공기청정기 제어방법
KR950002180Y1 (ko) 전기코일을 이용한 자동차용 히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