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5654A -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 - Google Patents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5654A
KR20000045654A KR1019980062221A KR19980062221A KR20000045654A KR 20000045654 A KR20000045654 A KR 20000045654A KR 1019980062221 A KR1019980062221 A KR 1019980062221A KR 19980062221 A KR19980062221 A KR 19980062221A KR 20000045654 A KR20000045654 A KR 2000004565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ar
swing
feed
rotational force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2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3573B1 (ko
Inventor
정종성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6222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3573B1/ko
Publication of KR200000456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56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35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35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24Detents, brakes, or couplings for feed rollers or plate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types or dies
    • B41J1/2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types or dies with types or dies mounted on carriers rotatable for selection
    • B41J1/32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the types or dies with types or dies mounted on carriers rotatable for selection the plane of the type or die face being parallel to the axis of rotation, e.g. with type on the periphery of cylindrical carriers
    • B41J1/40Carriers swinging for im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1/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eet or web form
    • B41J11/02Platens
    • B41J11/14Platen-shift mechanisms; Driving gear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13/00Devices or arrangements of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e.g. ink-jet printers or thermal printers, specially adapted for supporting or handling copy material in short lengths, e.g. sheets
    • B41J13/02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17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 B41J2/16535Cleaning of print head nozzles using wiping construc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35Nozzles
    • B41J2/16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 B41J2/16585Prevention or detection of nozzle clogging, e.g. cleaning, capping or moistening for nozzles for paper-width or non-reciprocating print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7/00Type-selecting or type-actuating mechanisms
    • B41J7/02Type-lever actuating mechanisms
    • B41J7/04Levers mounted on fixed pivots
    • B41J7/06Levers mounted on fixed pivots and connected to transmission members, e.g. toothed gea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7/00Type-selecting or type-actuating mechanisms
    • B41J7/54Selecting arrangements including combinations, permutation, summation, or aggregation means
    • B41J7/56Summation devices for mechanical movements
    • B41J7/62Gearing

Landscapes

  • Delivering By Means Of Belts And Rollers (AREA)

Abstract

이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서 인쇄를 위해 용지를 이송시키는 피드롤러의 회전방향이 정이송방향 또는 역이송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하여도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배지롤러가 항시 일정한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인쇄를 위한 용지 이송을 위해 정회전하고, 용지 급지시 급지장치에 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역회전하는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로부터 동력을 부여받아 용지 배출을 위한 회동운동을 하는 배지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피드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스윙기어가 스윙모체기어의 회전력을 받아 위치이동하여 제1 또는 제2스윙전달기어에 연결됨으로써 피드기어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배지기어의 회전방향을 일정한 방향(용지 배출방향)으로 회전시키는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를 제공하는 한편, 상기 피드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2개의 클러치스프링중에 어느 하나는 슬립이 발생하고 1개에만 동력이 전달되며, 피드기어의 회전방향이 변경되면 슬립과 동력전달이 되는 클러치스프링이 서로 바뀜으로써 상기 피드기어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배지기어의 회전방향을 일정한 방향인 용지배출방향으로 회전운동되도록 한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
본 발명은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롤러를 구동시키는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인쇄를 위해 용지를 이송시키는 피드롤러의 회전방향이 정이송방향 또는 역이송방향의 양방향으로 회전하여도 그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배지롤러가 항시 일정한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개선한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잉크젯 프린터와 같은 화상형성장치는 용지를 이송시키기 위한 것이 도 1에 보인 바와 같이 용지 인쇄를 위해 이송시키는 피드롤러(1)와, 인쇄된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롤러(2)와, 인쇄를 위해 용지를 급지시키는 픽업롤러(3)를 가지고 있다. 여기서 피드롤러(1)는 동력원이 되는 모터(미도시됨)의 동력을 받아 회전되도록 되어 있지만, 배지롤러(2) 및 픽업롤러(3)는 별도의 동력원을 적용하지 않고 상기 피드롤러(1)의 회전력을 기구적인 연결로 전달받아 회전하도록 하고 있다.
상기 피드롤러(1)는 도 1에서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것이 정회전방향(이하 정회전이라고 약칭함)이라고하여 인쇄를 할 수 있는 것이고, 그 반대 회전방향(시계방향)을 역회전방향(이하 역회전이라고 함)이라고 정의한다.
따라서, 통상적인 동작방식을 설명하면, 피드롤러(1)를 용지 이송 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역회전시킬 때 그 피드롤러의 회전력이 픽업롤러(3)로 전달되어 용지(p)의 급지가 이루어지게 될뿐 아니라 피드롤러(1)와 프릭션롤러(4) 사이에 용지가 물릴수 있게 되는 상태가 된다.
다음에 피드롤러(1)가 정회전하는 상태로 전환되면, 이때는 픽업롤러(3)로의 동력전달이 차단되고 용지(p)는 피드롤러(1)의 정회전에 의해 배지롤러(2)와 스타형 프릭션휠(5) 사이로 연결되어 배지되는 상태가 된다.
즉, 피드롤러(1)와 배지롤러(2)는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이들은 항시 그 동력이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다시 말하면 피드롤러(1)가 정회전하면 배지롤러(2)도 정회전하고, 그 반대로 피드롤러(1)가 역회전하면 배지롤러(2)도 역회전한다.
도 2는 상기와 같이 동력 전달되는 선행기술의 일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방식은 피드풀리(6)와 배지풀리(7)를 구비하고 이들의 사이를 벨트(8)로 연결시켜 동력 전달이 이루어지도록 된 것이다. 그러므로 피드롤러(1)의 회전력이 벨트(8)를 통해 배지롤러(2)로 그대로 전달된다. 한편 피드롤러(1)의 동력이 픽업롤러(3)로 전달되지만 이 구조는 생략한다.
따라서, 용지(p)의 급지를 위해 피드롤러(2)는 역회전시킬때에 배지롤러(2)도 역회전하게 된다.
그러므로 인쇄가 완료된 상태의 용지가 배지롤러(2)를 완전히 벗어나서 배출될때까지는 새로운 용지의 급지를 위해 피드롤러(2)를 역회전시킬 수 없다. 그 이유는 배지롤러(2)에 인쇄용지가 걸려 있는 상태에서 피드롤러(2)를 역회전시키면 배지롤러(2)도 역회전되므로 인쇄용지는 배출되지 못하고 다시 역이송되게 됨으로써 페이퍼잼이 발생되기 때문이다.
그에따라, 종래에는 배지롤러(2)에서 인쇄용지가 완전히 배출된 시간을 가진 다음에 급지를 위한 피드롤러(1)의 역회전을 시작하는 시스템으로 구동되었다.
상세히 설명하면, 인쇄된 용지의 후단이 프린트헤드(9)의 인쇄 가능 영역을 벗어난 지점부터 배지롤러(2) 위치까지의 거리(L)는, 프린팅을 위하여 용지 피딩을 콘트롤 할 필요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단지 용지의 역이송을 방지하기 위하여 다음 용지를 급지시키지 못한채 계속 정회전하여 용지를 배출시켜야 하므로 속도 손실이 야기되는 문제점이 초래되었다.
즉, 피드롤러와 배지롤러간의 동력전달을 벨트 및 아이들롤러, 그리고 단순한 기어 등의 전달매개체로 직접 연결하여 피드롤러와 배지롤러가 일체로 회전운동하게 되면 앞서 인쇄된 용지의 배출동작 및 다음 용지의 급지동작이 각각 분리되어 수행되어야 하였기 때문에 속도손실의 문제점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드롤러에서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운동을 하는 배지롤러에 의한 배지과정과 픽업롤러에 의한 급지과정이 동시에 이루어질 수 있게하여 속도손실을 최소화하도록 개선한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를 제공하려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은 피드롤러가 급지를 위한 역회전시에도 배지롤러가 정회전되는 특징을 갖는다.
따라서, 본 발명은 인쇄를 위한 용지 이송을 위해 정회전하고, 용지 급지시 급지장치에 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역회전하는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로부터 동력을 부여받아 용지 배출을 위한 회동운동을 하는 배지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드롤러를 회동시키기 위해 외부 동력으로부터 회동력을 얻는 피드기어와; 상기 피드기어로부터 회전력을 부여 받으며, 그 피드기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갖게 되는 스윙모체기어와; 상기 스윙모체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그 스윙모체기어의 기어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윙모체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원호운동을하여 위치 이동하는 스윙기어와; 상기 스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얻으며, 그 스윙기어의 원호운동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동되는 제1스윙전달기어 및 제2스윙전달기어와; 상기 제1스윙전달기어로부터는 직접 회전력을 전달 받으며, 상기 제2스윙전달기어로부터는 전환기어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및 제2스윙전달기어의 회전방향과 관계없이 단일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단방향회동기어와; 상기 단방향회동기어와 연동되고 배지롤러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배지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를 제공하는 특징이 있다.
또한, 인쇄를 위한 용지 이송을 위해 정회전하고, 용지 급지시 급지장치에 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역회전하는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로부터 동력을 부여받아 용지 배출을 위한 회동운동을 하는 배지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드롤러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해 외부 동력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운동하는 피드기어와; 상기 피드기어의 회전운동을 전달시키고, 회전력을 양분되게 전달시키기 위한 제1아이들기어와; 상기 제1아이들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되며, 상기 피드기어의 정회전시 동력 차단을 위한 슬립운동과 역회전시 동력전달을 위한 조임운동을 하는 클러치스프링을 갖는 제1클러치기어와; 상기 제1아이들기어와 연동되는 제2아이들기어와; 상기 제2아이들기어와 연동되며, 상기 피드기어의 역회전시 동력차단을 위한 슬립운동과 정회전시 동력전달을 위한 조임운동을 하는 클러치스프링을 가진 제2클러치기어와; 상기 피드기어의 정,역회전시 제1클러치기어 및 제2클러치기어에 가진 클러치스프링중 어느 하나의 클러치스프링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단방향으로만 회전운동하는 클러치샤프트와; 상기 클러치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전달시키는 단방향회동기어와; 상기 단방향회동기어와 연동되어 배지롤러를 단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배지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를 제공하는 특징을 갖는다.
도 1은 화상형성장치의 기본 원리를 설명하는 개략 일측면도,
도 2는 선행기술의 장치를 보인 개략 일측면도,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장치의 제1실시예 작용을 보인 일측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의 장치를 분리한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제2실시예의 작용을 보인 결합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 : 피드롤러 2 : 배지롤러
10,100 :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
11,110 : 피드기어 12,200 : 배지기어
13 : 스윙모체기어 14 : 아이들기어
16 : 스윙기어 17,18 : 제1 및 제2스윙전달기어
19 : 단방향회동기어 20 : 전환기어
120 : 제1아이들기어 130 : 클러치샤프트
140 : 제1클러치기어 150 : 제2클러치기어
150 : 제2아이들기어 170,180 : 클러치스프링
본 발명에 의한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를 첨부한 바람직한 실시도면에 의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 장치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정,역회전하는 피드롤러(1) 및 이것과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하는 프릭션롤러(4), 그리고 배지롤러(2)와, 그 상대적으로 회전운동하는 프릭션휠(5) 및 인쇄를 실행하는 프린트헤드(9)가 있다.
또한, 상기 피드롤러(1)는 동력원(미도시됨)으로부터 동력을 전달받는 피드기어(11)를 가지고 있고, 배지롤러(4)도 동력을 전달받기 위한 배지기어(12)를 갖는다.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10)는, 피드기어(11)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동되는 스윙모체기어(13)를 구비한다. 상기 피드기어(11)와 스윙모체기어(13)가 동일한 회전방향을 가질 수 있도록 기어(11)(13) 사이에는 아이들기어(14)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스윙모체기어(13)는 그 기어축(13a)을 중심으로 회전될 수 있는 스윙부재(15)를 가지며, 그 스윙부재(15)에는 상기 스윙모체기어(13)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는 스윙기어(16)가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있다.
상기 스윙기어(16)는 상기 스윙모체기어(13)의 회동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될 수 있으며, 이러한 위치 이동에 의해 상기 스윙기어(16)는 제1스윙전달기어(17), 또는 제2스윙전달기어(18)와 연동될 수 있도록 회전력을 전달 가능하게 구성된다.
제1스윙전달기어(17)는 단방향회동기어(19)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고, 상기 제2스윙전달기어(18)는 스윙기어(16)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하는 방향을 다시 전환시키는 전환기어(20)를 거처 상기 단방향회동기어(19)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상기 단방향회동기어(19)의 회전력은 배지기어(12)로 전달되어 배지롤러(2)를 회동운동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도 3은 피드롤러(11)가 피드기어(11)의 회전력에 의해 정회전되는 상태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10)의 동작을 보여 준다. 이때, 상기 피드기어(11)는 모터(미도시됨)와 같은 동력원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또한, 피드롤러(11)의 정회전동작은 인쇄과정에 있을때이며, 이때는 배지롤러(2)도 정회전 동작을하여 용지(p)가 배출되게 된다.
즉, 피드기어(11)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이 용지(p)가 인쇄를 통해 배출되는 방향으로 이송되는 것이고 이러한 이송방향은 피드기어(11)가 정회전시 이루어지는 과정이다.
따라서, 피드기어(11)의 회전력은 아이들기어(14)에 의해 전달되어 스윙모체기어(13)가 정회전(시계반대방향 회전 상태)하게 된다.
그러므로 스윙기어(16)는 스윙모체기어(13)의 회전력에 영향을 받아서 기어축(13a)을 중심으로 시계반대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된다. 그로인해 상기 스윙기어(16)는 제1스윙전달기어(17)와 맞물리게 되면서 회전한다. 이때, 스윙기어(16)의 회전방향은 시계방향이 되며, 그에따라 제1스윙전달기어(17)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리고 단방향회동기어(19)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기 때문에 그 단방향회동기어(19)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회동되는 배지기어(12)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고, 그로인해 배지롤러(12)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정회전을 하게 된다.
따라서, 피드롤러(11)의 정회전시 배지롤러(2)도 정회전하므로 용지(p)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된다.
도 4는 피드롤러(1)의 역회전 동작시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10)의 동작을 보여 준다. 이때에도 스윙모체기어(13)는 아이들기어(14)에 의해 회전력이 전달되므로 피드기어(11)가 시계방향으로 역회전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로인해 스윙기어(16)는 시계방향으로 위치가 이동되며, 그에따라 상기 스윙기어(16)는 제2스윙전달기어(18)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제2스윙전달기어(18)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에따라 전환기어(20)는 시계반대방향으로, 그리고 상기 전환기어(20)로부터 회전력을 받게 되는 단방향회동기어(19)는 시계방향으로 회전된다.
그러므로 배지기어(12)에 의해 동력을 전달받아 회전되는 배지롤러(2)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되는 정회전을 하게 되므로 용지(p)를 배출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피드롤러(1)가 역회전을 하여도 배지롤러(2)는 정회전을 하게 됨으로써 용지(p)를 배출시키게 되는 것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 장치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 것이다. 제2실시예는 클러치스프링의 기능을 이용한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100)이다.
이 장치는 피드롤러(1)를 회전시키기 위한 피드기어(110)를 구비한다. 상기 피드기어(110)는 제1아이들기어(120)에 회전력을 전달시키도록 되어 있다. 상기 제1아이들기어(120)의 회전력은 클러치샤프트(130)에 동력을 전달시키거나 차단시키는 제1클러치기어(140)에 회전력을 전달하도록 되어 있다.
또한, 제1아이들기어(120)의 회전력은 제2아이들기어(150)를 통해서 제2클러치기어(160)에 회전력을 전달시키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제1아이들기어(120)와 제2아이들기어(150)는 그 내부에 클러치샤프트(130)로 회전력을 전달시키거나 또는 차단 가능하게 하는 클러치스프링(170)(180)이 각각 설치되어 있다.
상기 클러치스프링(170)(180)은 클러치샤프트(130)에 권취되는 상태로 설치되는 것으로서 그 일단부(170a)(180a)는 제1 및 제2클러치기어(140)(160)에 각각 걸리도록 되어 있다. 그러므로 클러치기어(140)(160)가 정회전 또는 역회전 함에 따라 상기 클러치스프링(170)(180)은 조임되거나 또는 그 반대로 풀림된다. 클러치스프링(170)(180)이 조임되면 클러치샤프트(130)를 조이게 됨에 따라 제1 또는 제2클러치기어(140)(150)의 회동력이 클러치샤프트(130)로 전달되어 회전된다. 반대로 클러치스프링(170)(180)이 풀림되다가 더 이상 풀림될 것이 없거나 또는 도면 도시와 같이 제1 및 제2클러치기어 내부에 설치됨으로써 풀림이 차단되는 시점부터는 상기 클러치스프링(170)(180)은 클러치샤프트(130)로부터 슬립이 발생되고, 그로인해 제1 및 제2클러치기어(140)(150)의 회동력이 클러치샤프트(130)로 전달되지 않게 된다.
클러치샤프트(130)의 회동운동은 단방향회동기어(190)에 부여되고, 그 단방향회동기어(190)의 회동력은 배지기어(200)에 전달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배지기어(200)의 회동력은 배지롤러(2)를 회동운동시키도록 되어 있다.
도 6을 참조하여 작용을 설명한다.
피드롤러(1)가 용지 피딩을 위하여 정회전하기 위해서 피드기어(110)는 외부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정회전한다. 이때는 제1아이들기어(120)가 역회전하고, 그로인해 제1클러치기어(140)와 제2아이들기어(150)가 동시적으로 정회전한다. 그리고 상기 제2아이들기어(150)로부터 회전력을 받게 되는 제2클러치기어(160)는 역회전하게 된다.
즉, 제1클러치기어(140)는 정회전하고, 반면에 제2클러치기어(160)는 역회전한다. 이때, 제1클러치기어(140)에 있는 클러치스프링(170)은 풀림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클러치샤프트(130)와 슬립되는 상태가 되어 그 회전력이 전달되지 못하는 상태가 된다.
그러나 제2클러치기어(160)에 있는 클러치스프링(180)은 조임되는 상태가 됨으로써 클러치샤프트(130)에 회전력을 부여하기 때문에 그 클러치샤프트(130)는 역회전한다.
클러치샤프트(130)의 역회전으로 단방향회동기어(190)는 역회전하고, 그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 배지기어(200)는 정회전하게 됨으로써 배지롤러(2)는 정회전 상태가 된다. 배지롤러(2)의 정회전 상태는 용지의 피딩이 이루어지는 상태이므로 배지롤러(2)의 정회전에 따라 용지의 배출이 이루어진다.
한편, 급지시에는 피드롤러(1)를 회전운동시키는 피드기어(110)가 역회전한다. 이때는 제1아이들기어(120)가 정회전하고, 이것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게 되는 제1클러치기어(140) 및 제2아이들기어(150)는 역회전한다.
그리고 제2아이들기어(150)에 의해 회전력을 받는 제2클러치기어(160)는 정회전한다. 즉, 제1클러치기어(140)는 역회전하고, 제2클러치기어(160)는 정회전한다. 이때 정회전하는 제2클러치기어(160)의 클러치스프링(180)은 클러치샤프트(130)와 슬립됨으로써 회전력 전달이 안된다. 그러나 제1클러치기어(140)에 있는 클러치스프링(170)은 조임됨으로써 그 회전력이 클러치샤프트(130)에 전달된다. 따라서 클러치샤프트(130)을 포함한 단방향회동기어(190)는 역회전하게 되고, 그로인해 배지기어(200)는 정회전하게 됨으로써 배지롤러(2)는 정회전된다.
즉, 피드롤러(1)가 역회전하여도 배지롤러(2)는 정회전함으로써 용지의 배출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의 설명에 따르면, 본 발명에 의해서 피드롤러의 회전방향에 관계없이 용지를 배출시키는 배지롤러의 회전방향은 항시 용지를 배출시킬 수 있는 상태로 회전될 수 있게 하는 장치를 얻는 효과가 있으며, 그로인해 전체적인 프린팅 속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얻게 된다.

Claims (3)

  1. 인쇄를 위한 용지 이송을 위해 정회전하고, 용지 급지시 급지장치에 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역회전하는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로부터 동력을 부여받아 용지 배출을 위한 회동운동을 하는 배지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드롤러를 회동시키기 위해 외부 동력으로부터 회동력을 얻는 피드기어;
    상기 피드기어로부터 회전력을 부여 받으며, 그 피드기어의 회전방향과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을 갖게 되는 스윙모체기어;
    상기 스윙모체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고, 그 스윙모체기어의 기어축을 중심으로 상기 스윙모체기어의 회전방향에 따라 원호운동을하여 위치 이동하는 스윙기어;
    상기 스윙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얻으며, 그 스윙기어의 원호운동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을 수 있도록 연동되는 제1스윙전달기어 및 제2스윙전달기어;
    상기 제1스윙전달기어로부터는 직접 회전력을 전달 받으며, 상기 제2스윙전달기어로부터는 전환기어를 통해 회전력을 전달받아 상기 제1 및 제2스윙전달기어의 회전방향과 관계없이 단일 회전방향으로 회전운동하는 단방향회동기어;
    상기 단방향회동기어와 연동되고 배지롤러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한 배지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윙모체기어가 상기 피드기어와 동일한 회전방향으로 회동운동하기 위해 상기 스윙모체기어는 상기 피드기어로부터 회전방향을 바꿔주는 아이들기어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
  3. 인쇄를 위한 용지 이송을 위해 정회전하고, 용지 급지시 급지장치에 동력을 부여하기 위해 역회전하는 피드롤러와;
    상기 피드롤러로부터 동력을 부여받아 용지 배출을 위한 회동운동을 하는 배지롤러를 갖는 화상형성장치에 있어서;
    상기 피드롤러를 회전운동시키기 위해 외부 동력으로부터 구동력을 받아 회전운동하는 피드기어;
    상기 피드기어의 회전운동을 전달시키고, 회전력을 양분되게 전달시키기 위한 제1아이들기어;
    상기 제1아이들기어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연동되며, 상기 피드기어의 정회전시 동력 차단을 위한 슬립운동과 역회전시 동력전달을 위한 조임운동을 하는 클러치스프링을 갖는 제1클러치기어;
    상기 제1아이들기어와 연동되는 제2아이들기어;
    상기 제2아이들기어와 연동되며, 상기 피드기어의 역회전시 동력차단을 위한 슬립운동과 정회전시 동력전달을 위한 조임운동을 하는 클러치스프링을 가진 제2클러치기어;
    상기 피드기어의 정,역회전시 제1클러치기어 및 제2클러치기어에 가진 클러치스프링중 어느 하나의 클러치스프링으로부터 회전력을 전달받아 단방향으로만 회전운동하는 클러치샤프트;
    상기 클러치샤프트로부터 회전력을 받아 전달시키는 단방향회동기어;
    상기 단방향회동기어와 연동되어 배지롤러를 단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하는 배지기어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
KR1019980062221A 1998-12-30 1998-12-30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 KR10028357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221A KR100283573B1 (ko) 1998-12-30 1998-12-30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2221A KR100283573B1 (ko) 1998-12-30 1998-12-30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5654A true KR20000045654A (ko) 2000-07-25
KR100283573B1 KR100283573B1 (ko) 2001-03-02

Family

ID=195689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2221A KR100283573B1 (ko) 1998-12-30 1998-12-30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3573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105B1 (ko) * 2002-09-07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송부 동력걸림 해제부를 갖는 사무기기의 구동장치
US7261289B2 (en) 2003-10-25 2007-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document feed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N107639941A (zh) * 2016-07-21 2018-01-30 迪斯全球 照片打印机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49105B1 (ko) * 2002-09-07 2004-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송부 동력걸림 해제부를 갖는 사무기기의 구동장치
US7261289B2 (en) 2003-10-25 2007-08-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Automatic document feeder for image forming apparatus
CN107639941A (zh) * 2016-07-21 2018-01-30 迪斯全球 照片打印机
CN107639942A (zh) * 2016-07-21 2018-01-30 迪斯全球 照片打印机
CN107639942B (zh) * 2016-07-21 2019-10-25 迪斯全球 照片打印机
CN107639941B (zh) * 2016-07-21 2020-01-17 迪斯全球 照片打印机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3573B1 (ko) 2001-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76912B2 (ja) 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S63148758A (ja) フアクシミリの紙送り装置
JP3131103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2008044786A (ja) 給紙装置
KR100283573B1 (ko)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
JP2007022763A (ja) 記録媒体スイッチバック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
JP2972770B1 (ja) 用紙反転排出機構
JP7151334B2 (ja) 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KR0135429Y1 (ko) 인쇄 장치의 자동 낱장 공급 장치
JP3207504B2 (ja) シート搬送装置
JP3842507B2 (ja) プリンタ用のカッタ機構
JPH0592839A (ja) 記録装置
US20080169599A1 (en) Automatic sheet feeder having a flexible element on one end of the pick shaft
JP5915512B2 (ja) 画像記録装置
JP6627381B2 (ja) 搬送装置及び画像記録装置
JP6421677B2 (ja) 画像記録装置
JPS61213176A (ja) プリンタの紙送り装置
KR100614872B1 (ko) 선택급지형 급지구동장치
JPS6047552A (ja) フアクシミリ装置
JPH0289732A (ja) 給紙装置
JPH0596801A (ja) シート搬送機構
KR100343375B1 (ko)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
JP2003104608A (ja) 記録装置
KR100533137B1 (ko) 사무기기용 용지이송기구
JPH07117888A (ja) 給紙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1127

Year of fee payment: 9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