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43375B1 -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43375B1
KR100343375B1 KR1020000023741A KR20000023741A KR100343375B1 KR 100343375 B1 KR100343375 B1 KR 100343375B1 KR 1020000023741 A KR1020000023741 A KR 1020000023741A KR 20000023741 A KR20000023741 A KR 20000023741A KR 100343375 B1 KR100343375 B1 KR 1003433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ckup
gear
rotated
shaft
pa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237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100534A (ko
Inventor
안병선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200000237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43375B1/ko
Publication of KR2001010053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10053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433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43375B1/ko

Links

Landscapes

  • Sheets, Magazines, And S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개시된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아이들 기어와; 아이들 기어에 치합되고 그 중심에 회전축의 일단이 고정된 제1기어와,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고정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픽업롤러가 고정되어 회전되는 픽업축이 그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고정되는 픽업기어를 가지는 픽업구동부와; 상기 픽업구동부에 의해 회전되고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르면, 픽업롤러의 초기 픽업시 저속으로 회전되다가 용지가 픽업된 후에 픽업롤러가 고속으로 회전하여 용지를 이송부로 신속하게 이송시킬 수 있으며, 픽업롤러의 픽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이로 인하여 용지의 픽업시 용지가 중송되거나 잼(Jam)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 {Pick-up driving device for a printer}
본 발명은 프린터의 픽업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급지 카세트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프린터의 픽업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프린터는 본체에 용지가 적개되어 공급되는 용지 급지부와, 용지 공급부의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부와, 픽업된 용지를 이송하기 위한 이송부와, 이송부에 의해 이송된 용지에 인쇄를 수행하는 인쇄부와, 인쇄부에서 인쇄가 완료된 용지를 프린터의 외부로 배출시키는 배출부로 이루어진다.
이와 같은 프린터에서 급지부의 용지를 픽업하여 이송하는 픽업부는 모터의 구동에 의해 회전력을 전달받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픽업부의 픽업롤러를 구동하기 위한 종래의 픽업 롤러 구동 장치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면에서, 부호 10은 구동모터를 보인 것으로, 이 구동모터(10)는 컴퓨터의 인쇄 실행에 의해 구동되어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구동모터(10)의 회전축(10a)에는 중앙에 회전축(12a)이 마련된 아이들 기어(12)가 맞물려 회전되고, 아이들 기어(12)의 회전축(12a)에는 픽업 구동기어(14)가 맞물려 회전된다.
픽업 구동기어(14)는 아이들 기어(12)의 회전축(12a)에 맞물려 회전되고 회전축(14a)의 일단에 형성되는 제1기어(14b)와, 제1기어(14b)가 고정된 회전축(14a)의 타단에 형성되어 함께 회전되는 제2기어(14c)로 구성된다.
상기 픽업 구동기어(14)의 제2기어(14c)에는 픽업기어(16)가 맞물려 회전된다. 이 픽업기어(16)는 픽업롤러(20)가 고정되어 있는 픽업축(18)의 단부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아이들 기어(12)와, 픽업구동기어(14)의 제1 및 제2기어(14b)(14c)와, 픽업기어(16)는 모두 원형으로 된 것으로, 그 회전축이 각 기어의 중심에 설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종래의 픽업롤러 구동장치의 작동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컴퓨터에서 문서를 출력하기 위하여 인쇄명령을 내리면, 컴퓨터에서 인쇄데이터를 내려받은 다음 프린터는 구동모터(1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구동모터(10)의 회전에 의해 구동모터(10)의 회전축(10a)에 맞물려 있는 아이들 기어(12)가 회전하게 된다. 이 아이들 기어(12)의 회전축(12a)에 맞물려 있는 제1기어(14b)를 가지는 픽업구동기어(14)가 회전된다. 이렇게 픽업구동기어(14)가 회전되면, 이 픽업구동기어(14)의 제2기어(14c)에 맞물린 픽업기어(16)가 회전하게 된다. 그러면, 이 픽업기어(16)가 설치되어 있는 픽업축(18)과 픽업축(18)에 고정된 픽업롤러(20)가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픽업롤러(20)는 상기 구동모터(10)의 구동에 의해 회전되어 도시하지 않은 용지 급지부에 있는 용지를 픽업하는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을 가지는 종래의 프린터의 픽업롤러 구동장치에서, 픽업롤러(20)는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구동모터(10)의 구동력을 전달하는 픽업기어(16)와, 이 픽업기어(16)에 맞물리는 픽업구동기어(14)의 제2기어(14c)와, 그 밖의 기어들에 의해 그 회전이 전달되므로, 구동모터(10)와 같이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따라서, 픽업롤러(20)가 그 중심을 기준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기 때문에, 픽업롤러(20)가 최초 회전할 때에 픽업롤러(20)와 용지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크게 되고, 이에 따라 픽업롤러(20)를 구동하는 모터(10)에 무리한 힘이 가해지게 되어 모터(10) 고장의 원인이 되었다.
또한, 픽업롤러(20)가 처음 용지를 픽업한 후에 픽업롤러(20)의 회전이 증가되어, 다른 용지를 픽업할 때에 픽업롤러(20)는 픽업롤러(20)와 다른 용지 사이에 발생되는 마찰력이 저하되기 때문에, 픽업롤러(20)가 용지를 픽업하는 성능이 떨어지게 되고, 이에 따라 용지의 이송 손실이 발생되며, 용지의 중송 및 용지의 잼(Jam)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 일정한 속도로 회전하는 모터의 구동력을 픽업롤러로 전달하는 픽업구동기어의 제2기어와 픽업기어를 편심된 회전축을 기준으로 회전하도록 하여, 픽업롤러의 초기 픽업시에는 저속으로 회전되도록 하고, 용지가 픽업된 후에는 픽업롤러가 고속으로 회전되도록 한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를 보인 평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를 보인 평단면도,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상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구동모터 110; 아이들 기어
112; 픽업구동기어 112a; 제1기어
112b; 회전축 112c; 제2기어
114; 픽업기어 120; 픽업롤러
122; 픽업축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프린트의 픽업 구동장치는,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아이들 기어와; 상기 아이들 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픽업구동부와, 상기 픽업구동부에 의해 회전되고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를 가지는 프린터의 픽업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구동부는 아이들 기어에 맞물려 회전되고 그 중심에 회전축의 일단이 고정된 제1기어와,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고정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맞물려 회전되고, 상기 픽업롤러가 고정되어 회전되는 픽업축이 그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고정되는 픽업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제2기어와 픽업기어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회전중심이 되는 상기 회전축과 픽업축이 그 중심에서 서로 다른 거리에 편심되어 형성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프린터의 급지 구동 장치의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픽업롤러 구동 장치를 보인 평단면도이고, 도 3a 내지 도 3h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픽업롤러 구동부의 회전상태를 설명하기 위하여 간략하게 보인 상태도이다.
도면에서, 부호 100은 구동모터를 보인 것으로, 이 구동모터(100)의 회전축(100a)에는 픽업롤러(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아이들 기어(110)가 맞물려 있다.
아이들 기어(110)에는 회전축(110a)이 그 중심에 일체로 마련되어 있으며, 이 회전축(110a)에는 픽업롤러(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픽업 구동부가 연결되어 있다.
상기 픽업 구동부는, 아이들 기어(110)의 회전축(110a)에 의해 회전되는 픽업구동기어(112)와, 이 픽업구동기어(112)에 맞물려 회전되고 픽업롤러(120)가 마련된 픽업축(122)의 일측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픽업기어(114)로 구성된다.
픽업구동기어(112)는 상기 아이들 기어(110)의 회전축(110a)에 맞물려 회전되는 제1기어(112a)와, 상기 제1기어(112a)의 중심에 일체로 형성된 회전축(112b)의 반대편에 형성되는 제2기어(112c)로 구성된다. 여기에서, 제2기어(112c)는 제1기어(112a)가 마련된 회전축(112b)의 반대편에 마련되어 제1기어(112a)와 함께 회전하는 것으로, 그 중심에서 벗어난 곳에 회전축(112b)이 연결되어 있다. 즉, 제2기어(112c)는 도 2와 같이, 회전축(112b)이 편심되어 형성된다.
그리고, 회전축(112b)이 편심된 제2기어(112c)에는 픽업축(122)에 고정되어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120)를 회전시키기 위한 픽업기어(114)가 맞물려 있다. 그리고, 픽업기어(114)는 상기 제2기어(112c)와 마찬가지로 그 중심에서 벗어난 곳에 픽업기어(114)의 회전되는 축이 되는 픽업축(122)이 연결된다. 즉, 픽업기어(114)는 그 회전중심이 되는 픽업축(122)에 편심되어 연결된다.
한편, 픽업구동기어(112)의 제2기어(112c)와 픽업기어(114)는 그 직경이 같게 형성되고, 상기 픽업기어(114)의 픽업축(122)은 제2기어(112c)에 편심된 회전축(112b)이 그 중심에서 떨어진 거리와 같은 거리만큼 그 중심에서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상기 제2기어(112c)와 픽업기어(114)는 동일한 형상으로, 회전축 및 픽업축(112b)(122)이 중심에서 동일한 거리만큼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이다.
또한, 픽업기어(122)와 제2기어(112c)는 그 직경을 다르게 형성하고, 중심으로부터 회전되는 픽업축(122)과 회전축(122b) 사이의 거리를 서로 다르게 할 수도 있다. 즉, 픽업기어(122)와 제2기어(112c)에 편심된 픽업축(122)과 회전축(112b)의 편심 거리를 다르게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픽업롤러(120)의 초기 픽업시 제2기어(112c)는 회전축(112b)에서 원주까지의 거리가 최소이고, 픽업기어(114)는 회전축인 픽업축(122)에서 원주까지의 거리가 최대일 때, 상기 픽업기어(114)와 제2기어(112c)가 치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에 따른 프린터의 픽업롤러 구동장치의 작용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컴퓨터로 작업한 데이터를 출력하기 위하여 인쇄명령을 실행한다. 그러면, 프린터에서는 컴퓨터로부터 인쇄 데이터를 전송받은 후에 그 구동모터(100)를 구동시킨다. 그러면, 구동모터(100)는 구동되어 회전되고, 이 구동모터(100)의 회전축(100a)에 치합된 아이들 기어(110)가 회전된다. 이렇게 회전되는 아이들 기어(110)의 회전축(110a)에 제1기어(112a)가 치합된 픽업구동기어(112)도 회전된다. 그러면, 픽업구동기어(112)의 회전축(112b) 타측부 즉, 제1기어(112a)의 반대편에 편심되어 연결된 제2기어(112c)도 일정한 속도로 회전된다. 그러면, 회전축(112b)에 편심된 제2기어(112c)에 치합되는 픽업기어(114)도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픽업기어(114)가 회전되면, 이 픽업기어(114)에 편심되어 연결되고, 픽업기어(114)의 회전중심이 되는 픽업축(122)이 회전된다. 그러면,픽업축(122)에 그 중심이 고정된 픽업롤러(120)가 회전하게 된다. 이렇게 픽업롤러(120)는 회전되어 용지 급지부에 적재된 용지를 픽업하여 용지를 인쇄부로 이송시키는 이송부(미도시)까지 이송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용지를 픽업하는 픽업롤러(120)는 편심되어 회전되는 제2기어(112c)와 픽업기어(114)에 의해 픽업초기에는 저속으로 회전되다가 용지가 픽업되어 이송부로 이송될 때에는 고속으로 회전된다.
이와 같이, 픽업롤러(120)의 초기 픽업시에는 저속으로 회전되고, 그 후에는 고속으로 회전되다가 다시 용지를 픽업할 때에는 저속으로 회전되는 것을 도 3a 내지 도 3h를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여기에서, 도 3a는 제2기어와 픽업기어가 정지된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고, 도 3b와 도 3c는 제2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45도 및 90도 회전하고, 이 제2기어에 맞물린 픽업기어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그리고, 도 3d와 도 3e는 제2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90도에서 180도로 회전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며, 도 3f와 도 3g는 제2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180도에서 270도 회전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도 3h와 도 3a는 제2기어가 반시계방향으로 270도에서 360도 회전한 상태를 보인 도면이다.
제2기어(112c)가 도 3a 내지 도 3c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90도까지 회전하였을 때, 제2기어(112c)에 맞물려 회전하는 픽업기어(114)는 회전하여 90도에 도달하지 못하고, 45도와 90 사이의 지점까지 회전됩니다. 즉, 픽업기어(114)가 제2기어(112c)보다 더 느리게 회전됨으로, 픽업기어(114)의 회전중심인 픽업축(122)에고정된 픽업롤러(120)는 저속으로 회전되는 것입니다.
그리고, 제2기어(112c)가 도 3d 내지 도 3e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180도까지 회전하였을 때, 픽업기어(114)도 같이 180도 까지 회전됩니다. 다시말하면, 제2기어(112c)는 90에서 180도까지 90도 정도 회전되었지만, 픽업기어(114)는 90도가 안되는 지점에서 180도까지 90도보다 큰 각도로 회전된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즉, 픽업기어(114)가 제2기어(112c)보다 빨리 회전되고, 이에 따라 픽업기어(114)에 의해 회전되는 픽업롤러(120)는 고속으로 회전됩니다.
그리고, 제2기어(112c)가 도 3f 내지 도 3g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270도 까지 회전되면, 픽업기어(114)는 270도를 초과된 지점까지 회전되어, 270도와 360도 사이에 위치하게 됩니다. 즉, 픽업기어(114)가 제2기어(112c)보다 더 빨리 회전되므로, 픽업롤러(120)가 고속으로 회전되는 알 수 있습니다.
그리고, 제2기어(112c)가 도 3h 내지 도 3a와 같이, 반시계방향으로 270도에서 360도 까지 90도 정도 회전되면, 픽업기어(114)는 270도 초과된 위치에서 360도까지 회전됩니다. 즉, 픽업기어(114)가 제2기어(112c)보다 느리게 회전되므로, 픽업롤러(120)가 저속으로 회전되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구동력을 발생하는 구동모터에 연결되는 픽업구동기어의 제2기어와, 이 제2기어에 맞물린 픽업기어의 회전되는 축이 그 중심에서 편심되므로, 픽업기어의 회전되는 축인 픽업축에 고정되어 회전되는 픽업롤러는 초기 픽업시 저속으로 회전하면서 용지를 픽업한 후에, 용지의 픽업이 이루어지면 고속으로 회전하여 용지를 이동시키게 되므로, 픽업롤러의 픽업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용지의 픽업시 용지가 중송되어 이송되거나 용지가 잼(Jam)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Claims (3)

  1. 구동모터와; 상기 구동모터의 회전축에 치합되어 회전되는 아이들 기어와; 상기 아이들 기어에 맞물려 회전되는 픽업구동부와, 상기 픽업구동부에 의해 회전되고 용지를 픽업하기 위한 픽업롤러를 가지는 프린터의 픽업 구동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픽업구동부는 아이들 기어에 치합되고 그 중심에 회전축의 일단이 고정된 제1기어와, 상기 회전축의 타단에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고정되는 제2기어와, 상기 제2기어에 치합되고, 상기 픽업롤러가 고정되어 회전되는 픽업축이 그 중심으로부터 편심되어 고정되는 픽업기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픽업 구동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와 픽업기어는 서로 다른 직경으로 형성되고, 그 회전중심이 되는 상기 회전축과 픽업축이 그 중심에서 서로 다른 거리에 편심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픽업 구동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기어의 회전축과 상기 픽업기어의 회전축을 서로 지나는 선은 제 2 기어 및 픽업기어의 중심을 지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린터의 픽업 구동 장치.
KR1020000023741A 2000-05-03 2000-05-03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 KR1003433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741A KR100343375B1 (ko) 2000-05-03 2000-05-03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23741A KR100343375B1 (ko) 2000-05-03 2000-05-03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534A KR20010100534A (ko) 2001-11-14
KR100343375B1 true KR100343375B1 (ko) 2002-07-15

Family

ID=4578770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23741A KR100343375B1 (ko) 2000-05-03 2000-05-03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43375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100534A (ko) 2001-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89694C (zh) 送纸装置和成像设备
KR100428548B1 (ko) 스윙기어를 이용한 용지이송기구 및 제어방법
US7172190B2 (en) Paper feeding mechanism for an inkjet printer and method for using the same
EP1900536B1 (en) Power Transmission method and apparatus, medium discharging apparatus using the same, and image forming device having the medium discharging apparatus
US8157260B2 (en) Roller module for an automatic document feeder
KR100343375B1 (ko) 프린터의 픽업 구동장치
JP2998222B2 (ja) 給紙装置
US5848333A (en) Driving system for an apparatus using electrophotographic development
US20030090052A1 (en) Document feeding apparatus
JPH0318532A (ja) シート送り装置
JP2758524B2 (ja) 自動給紙装置
KR20070072637A (ko) 화상형성기의 동력전달장치, 이를 구비한 화상형성기, 및 화상형성기의 동력전달방법
KR100465339B1 (ko) 화상형성장치의 급지장치
US20050140082A1 (en) Paper supply device of image forming apparatus and method
JP3295830B2 (ja) 印刷装置の自動用紙搬送機構
KR100283573B1 (ko) 화상형성장치의 배지롤러 단방향회전절환장치
KR100412502B1 (ko) 프린터의 용지 이송장치
JPH0781786A (ja) 自動給紙装置
JP3321215B2 (ja) 自動給紙装置
JPH0834532A (ja) 給紙装置
JPH1059560A (ja) 搬送装置
KR100286266B1 (ko) 프린터용 용지의 지지장치
JP2005029296A (ja) 動力伝達装置及び給紙装置
JPH03272950A (ja) カットシートフィーダ搭載プリンタ
JPS6270128A (ja) 給紙機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530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