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4977A -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 Google Patents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4977A
KR20000044977A KR1019980061484A KR19980061484A KR20000044977A KR 20000044977 A KR20000044977 A KR 20000044977A KR 1019980061484 A KR1019980061484 A KR 1019980061484A KR 19980061484 A KR19980061484 A KR 19980061484A KR 20000044977 A KR20000044977 A KR 20000044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il
hydrogenated
mascara
composition
wa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614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30839B1 (ko
Inventor
김지훈
신현종
유영창
Original Assignee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성재갑, 주식회사 엘지화학 filed Critical 성재갑
Priority to KR10199800614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530839B1/ko
Publication of KR20000044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4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308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30839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2Colour properties
    • A61K2800/43Pigments; Dy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48Thickener, Thickening system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이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융점이 35∼37℃인 히드로게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또는 융점이 46∼49℃인 히드로게네이티드 팜커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보습제, 색소 및 유화제를 포함한다.
이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우수하고, 균일한 코팅막을 형성하므로 발림성 및 밀착감이 우수하고, 도포 후 느끼는 부담감이 없으면서 볼륨과 컬링이 우수한 크림 타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이다.

Description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산업상 이용 분야]
본 발명은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볼륨 효과와 컬효과가 우수한 크림 타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종래 기술]
마스카라는 속눈썹에 도포되어 속눈썹을 두껍고 길게 짙게 하여 눈의 윤곽을 강조하고, 눈의 표현력과 아름다움을 나타낼 목적으로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마스카라가 갖추어야 할 조건은 속눈썹에 도포되는 것이므로 눈에 대한 자극이 없어야 하고, 찌꺼기나 가루날림이 없도록 균일하게 발라지며, 건조 속도가 빨라 도포 후 눈썹밑에 묻어남이 없으면서 컬 효과가 우수하여야 한다. 또한, 속눈썹끼리 엉겨붙거나 땀, 눈물, 유분 등에 쉽게 번지지 않으면서 색상 표현력이 우수하고 사용시 부담감이 없으면서 미생물에 대한 오염 가능성이 적고 세안시 쉽게 지워져야 한다.
마스카라는 크게 고형, 유화형, 용제형으로 분류할 수 있으며, 고형 마스카라는 마스카라 중 가장 오래된 형태로 색소를 트리에탄올아민(triethanolamine: TEA)-스테아레이트를 함유한 왁스류에 혼합 성형하여 제조된다. 고형 마스카라는 젖은 솔을 사용하여 속눈썹에 도포하며, 도포된 티이에이-스테아레이트가 비누(Soap)를 형성하여 땀, 눈물 등에 쉽게 번지는 단점이 있다. 용제형 마스카라는 휘발하기 쉬운 C10-15의 경질 이소 파라핀, 저분자량의 사슬형 실리콘 오일 또는 중합도가 낮은 고리형 실리콘유를 용제로 하여 이것에 왁스류와 색소를 첨가한 제품으로 발수성이 우수한 특징이 있는 반면 안자극과 건조 속도가 느려 쉽게 묻어나는 점, 지울 때 오일 베이스 리무버를 사용해야 한다는 단점이 있다. 마지막으로 유화형 마스카라가 있으며, 이 제품은 일반 유화 제품에 색소를 첨가한 제품으로 나선형의 솔을 사용하여 고형 마스카라보다 사용하기 편리하나, 땀, 눈물에 대한 번짐의 문제가 여전히 내재되어 있다.
이러한 단점을 해결하고자 고분자 필름 형성제를 첨가하여 내수성 및 컬링 효과를 부여한 고분자 유화형 마스카라가 있으며, 이 제형이 현재 대부분 사용되고 있다.
필름 형성제 및 폴리머를 사용한 고분자 유화형 마스카라에 대한 종래 기술을 살펴보면, 합성 폴리머와 필름 형성제를 겔화시켜 컬링 효과 및 길어지는 효과를 강조한 화장료 조성물(미국 특허 제 5,389,363 호), 투명하고 액상인 필름을 형성하는 화장료 조성물(일본 특허 공개 제 85-224610 호)이 있다. 또한, 폴리머를 사용한 고분자 유화형 마스카라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수용성 폴리머 에멀젼으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일본 특허 공개 제 92-112860 호), 수용성 폴리머인 카르복시 비닐 폴리머와 덱스트린을 사용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일본 특허 공개 제 91-246214 호가 있다. 아울러, 피막 형성제를 이용한 고분자 유화형 마스카라에 대한 종래 기술로는 피막 형성제와 분자쇄의 한쪽 끝을 라디칼 중합성기가 있는 디메틸폴리실록산 화합물과 아크릴레이트 혹은 메타크릴레이트를 주로 한 라디칼 중합성 모노머를 라디칼 중합하여 얻은 아크릴 실리콘계 공중합체를 사용한 것(일본 특허 공개 제 90-25411 호), 피막 형성제로써 공중합 폴리머를 배합한 것(일본 특허 공개 제 85-38312 호) 등이 있다. 이외에도 쟈스민 왁스와 로즈 왁스로 이루어진 식물성 왁스 성분과 단백질 성분, 비타민 성분을 특징으로 하여 지속력과 내수성, 안전성이 우수하면서 속눈썹을 길어보이고 두껍게 보이는 효과를 강조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미국 특허 제 5,460,808 호), 레시틴으로 처리한 색소와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를 사용한 마스카라 조성물(미국 특허 제 4,988,502 호), 머리카락 고정 폴리머를 이용하여 속눈썹의 컬링 상태를 오랫동안 유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 화장료 조성물(미국 특허 제 5,534,247 호)에 관한 것들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방법으로 제조된 고분자 유화형 마스카라는 고분자 필름 형성제와 유상 성분으로 사용되는 50∼110℃의 융점을 갖는 왁스 사용으로 인해 마스카라 도포시 뻑뻑한 사용감과, 도포 후 속눈썹이 건조된 다음 무거운 왁스 코팅막으로 인해 시간 경과에 따라 부자연스럽고 부담스러운 화장이 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볼륨 효과와 컬 효과가 우수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부담스럽고 뻑뻑한 화장을 개선하고 균일하고 부드러운 코팅막을 형성할 수 있으며, 사용감이 가벼운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융점이 35∼37℃인 히드로게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hydrogenated vegitable oil) 또는 융점이 46∼49℃인 히드로게네이티드 팜커넬글리세라이드(hydrogenated pamcornellglyceride)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보습제; 색소; 및 유화제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유상 성분으로 종래 사용되던 50∼110℃의 융점을 갖는 왁스 사용량의 일부를 융점이 35∼37℃인 히드로게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또는 융점이 42∼49℃인 히드로게네이티드 팜커넬글리세라이드으로 변경한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이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35∼37℃의 히드로게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또는 42∼49℃의 융점을 갖는 히드로게네이티드 팜커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보습제, 색소 및 유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세스퀴올레인산소르비탄 등의 보조 유화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도 있다. 이외에도, 정제수, 방부제, 디메치콘 등의 실리콘 성분을 포함할 수 도 있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유상 성분으로 융점이 35∼37℃인 히드로게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또는 융점이 42∼49℃인 히드로게네이티드 팜커넬글리세라이드와 종래 사용되던 왁스류와 유지 성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융점이 35∼37℃인 히드로게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또는 융점이 42∼49℃인 히드로게네이티드 팜커넬글리세라이드의 함량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25 중량%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히드로케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또는 히드로케네이티드 팜커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함에 따라 뻑뻑하고 무겁고 두꺼운 왁스 코팅막이 형성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히드로게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또는 히드로게네이티드 팜커넬글리세라이드의 양이 2.5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두꺼운 왁스 코팅막 형성 방지 효과가 미미하고,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마스카라의 건조 속도가 느려져 바람직하지 않다.
유상 성분으로 포함되는 왁스류로는 일반적으로 마스카라에 이용되는 식물성 왁스, 동물성 왁스, 광물성 왁스 및 합성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식물성 왁스로는 카나우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슈거왁스, 목납 등을 사용할 수 있고, 동물성 왁스로는 밀납, 라놀린 왁스, 광물성 왁스로는 파라핀, 세레신과 마이크로크리스탈린 왁스, 오조케라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합성 왁스로는 폴리에틸렌 왁스와 피셔-트롭시 합성법을 통해 만들어진 왁스들을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천연 왁스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왁스들 중 마스카라의 사용 목적에 따라 하나 혹은 2종 이상을 선택할 수 있으며, 통상적으로 이러한 왁스들은 50∼110℃의 융점을 가진다. 50∼110℃의 융점을 갖는 왁스 중에서 밀납, 카나우바 왁스, 세레신, 파라핀, 칸데릴라 왁스 등이 주로 사용된다.
유상 성분으로 더욱 포함되는 유지 성분으로는 팔미틱 산, 스테아린 산, 아라비딕산과 같은 긴 사슬을 갖는 지방산들과 아몬드 오일, 히드로게네이티드 피시오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대표적으로는 스테아린산을 사용할 수 있다.
왁스류와 유지 성분은 각각 전체 마스카라 조성물에 대하여 각각 0.1∼20 중량%의 양으로 사용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5∼12.5 중량%와 0.5∼15 중량%의 양으로 사용된다. 왁스류와 유지 성분이 각각 0.1 중량% 미만이면 점도가 너무 낮고, 각각 20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도가 지나치게 증가하여 무거운 왁스 코팅막이 형성되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본 발명의 유상 성분으로 히드로게네이티드 피마자유 또는 히드로게네이티드 레이프씨드 오일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히드로게네이티드 피마자유 또는 히드로게네이티드 레이프씨드 오일을 사용하면, 35∼37℃의 융점을 갖는 히드로게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또는 42∼49℃의 융점을 갖는 히드로게네이티드 팜커넬글리세라이드를 사용함에 따라 생길 수 있는 고온에서의 경시 변화 현상을 억제하여 고온 안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히드로게네이티드 피마자유 또는 히드로게네이티드 레이프씨드 오일의 사용량은 마스카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각각 0.01∼10 중량%, 0.1∼1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각각 0.1∼5 중량%, 0.5∼5 중량%이다. 히드로게네이티드 피마자유 또는 히드로게네이티드 레이프씨드 오일이 사용량이 상기 범위 미만인 경우에는 고온 안정성 증대 효과가 미미하고, 상기 범위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경시 변화에 따라 경도 상승폭이 커져서 부드러운 사용감이 저하된다.
수용성 점증제는 불가역적인 필름막을 형성시키지 않으면서 균일한 화장막을 형성하고 상을 안정화시키는 역할을 하는 성분이다. 이러한 수용성 점증제로는 일반적으로 화장료 조성물에서 사용되는 수용성 점증제는 어떠한 것도 사용될 수 있으며, 그 대표적인 예로 아카시아검, 산탄검, 카르기닌, 마그네슘 알루미늄 실리케이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o-[2-하이드록시-3-(트리메틸암모니오)프로필]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 클로라이드(o-2-Hydroxy-3- (trimethylammonio)propyl] Hydroxyethylcellulose Chloride, 상품명: 폴리쿼터늄-10)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수용성 점증제는 마스카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5∼15 중량%를 사용하며,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이다. 이들의 함량이 0.05 중량% 미만이면 점증제로서의 역할이 충분치 못하며, 1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점증제의 과잉 사용에 따라 속눈썹의 뭉침 현상이 심하게 나타나 깨끗한 화장 효과를 부여하지 못한다.
필름 형성제는 필름막을 형성시키는 성분으로 마스카라 조성물의 중요한 구성 요소 중 하나이다. 필름 형성제로는 일반적으로 마스카라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비닐알콜, 폴리비닐아세테이트, 폴리비닐피롤리돈, 암모늄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암모늄 메타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폴리비닐피롤리돈/에이코신(eicosene) 공중합체, 아크릴릭/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멀젼,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즈 디메틸디알릴암모늄 클로라이드 코폴리머(Hydroxyethylcellulose Dimethyldiallyammonium Chloride Compolymer, 상품명: 폴리쿼터늄-4)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비닐알콜,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피브이피/에이코신 공중합체 또는 알킬 아크릴레이트 공중합체 에멀젼을 사용하는 것이 끈적임이 없고 균일한 필름막을 형성시킬 수 있다. 필름 형성제의 사용량은 마스카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35 중량%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스카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5 중량%이다. 필름 형성제의 사용량이 0.5 중량% 미만이면 필름막을 형성할 수 없고, 35 중량%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균일한 필름막을 형성할 수 없으며, 너무 두꺼운 필름막이 형성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에 사용된 보습제로는 눈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여러 종류의 것들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보습제로는 농글리세린,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DL-판테놀, 솔비톨, 글리콜 디스테아레이트, 솔비톨 히드록시 스테아레이트,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특히, 1,3-부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DL-판테놀을 사용하여 사용감과 보습력에 따라 1종 이상을 선택하여 혼합 사용할 수 있다. 보습제 사용량은 전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1∼10 중량%이다. 보습제 사용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에는 보습 효과가 충분하지 못하고, 10 중량%만 사용하여도 충분한 보습 효과가 나타나므로 더 과량을 사용하는 것이 요구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 중 색소는 무기 색소, 유기 색소 그리고 펄 색소 중에서 만들고자 하는 색과 색의 농도에 따라 1종 혹은 1종 이상을 선택하여 종류와 함량이 결정된다. 본 발명에 사용된 색소는 마스카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1∼25 중량%를 차지하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5∼15 중량%이다. 색소 사용량이 1 중량% 미만이면, 색소 첨가에 따른 색상이 나타나지 않으며, 25 중량%만 사용하여도 충분한 효과가 나타나므로 더 이상의 과량을 사용하는 것은 경제적이지 못하다.
본 발명에 사용된 유화제는 트리에탄올아민, 친유형 모노스테아린산글리세린 및 모노스테아린산폴리옥시에틸렌소르비탄(에틸렌 옥사이드가 20 단위 부가된 계면활성제: 20 E.O) 등의 비이온 계면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다. 유화제의 함량은 마스카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1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7.5 중량%이다.
마스카라 조성물 중의 또 다른 구성 요소는 방부제로서, 일반적으로 마스카라 조성물에 사용되는 방부제는 어떠한 것도 사용할 수 있으며, 그 예로는 이미다졸리디닐우레아, 디아졸리디닐우레아, 퀴터늄-15, 페녹시에탄올, 에탄올, 소르비산칼륨, 파라옥시안식향산메칠,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또는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특히, 디아졸리디닐우레아, 파라옥시안식향산메틸, 파라옥시안식향산프로필 등을 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마스카라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0.01∼1 중량%의 방부제를 포함한다.
마스카라 조성물은 정제수를 포함할 수 있으며, 마스카라의 형태에 따라 즉 케익 혹은 파우더 형태이지, 수중 유형인지, 유중 수형 마스카라 형태냐에 따라 그 함량이 달라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수중 유형 마스카라의 형태를 가지므로 정제수의 양은 마스카라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30∼6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 및 비교예를 기재한다. 그러나 하기한 실시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일 뿐 본 발명이 하기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
정제수와 점증제인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를 반응기에 넣은 후, 교반하면서 75℃로 가열하였다. 75℃에서 충분히 교반한 후, 폴리쿼터늄-10을 넣고 15분간 교반하여 상을 균일하게 만들었다. 이어서, 나머지 수상 성분을 넣고 믹서를 사용하여 10분간 균일 분산하였다. 수상 성분을 완전히 분산시킨 후, 색소를 넣고 15분간 균일 분산시킨 다음, 75℃의 유상 용해조에서 미리 용해시킨 유상 성분을 천천히 넣고 5분간 유화시켰다. 모든 공정은 수분의 증발을 막기 위하여 뚜껑이 있는 밀폐되어 있는 반응기에서 작업을 실시하였다.
유화를 마친 후, 50℃까지 냉각, 탈포한 후 방부제를 투입하여 패들 믹서를 사용하여 균일 분산시키고, 40℃까지 냉각 탈포하였다. 40℃에서 수분산성 고분자 필름 형성제를 넣고 패들 믹서와 호모 믹서를 사용하여 5분간 균일 분산시킨 후, 25℃까지 냉각 탈포 후 배출하여 1일간 숙성 보관하였다.
품질평가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에 의해서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의 장기안정성, 피부안정성, 사용감 전반에 대하여 20∼35세 여성 50∼60명을 대상으로 품질 평가를 실시하였다.
1) 장기 보존 안정성
상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조성물의 경시 안정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하기 표 2에 제시한 조건하에서 3개월까지의 경과 후 다음 평가 기준에 따라 안정성을 평가하였다. 사이클(cycle) 평가는 45℃∼-10℃ 범위에서 2일 주기로 점진적으로 순환시키며 관찰하는 순환 온도법을 사용하였다.
[평가 기준]
1 : 매우 나쁨(완전 분리)
2 : 나쁨(부분 분리, 면 불량)
3 : 보통(미세 분리, 면 약간 불량)
4 : 좋음(분리 양호, 면 경미 불량)
5 : 매우 좋음(분리 양호, 면 양호)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45℃ 5 4 5 4 4 4
37℃ 5 5 5 5 5 5
실온 5 5 5 5 5 5
0℃ 5 5 5 5 5 5
사이클 5 5 5 5 4 4
상기 표 2에 나타낸 것과 같이, 실시예 1-4의 조성물이 비교예 1-2의 조성물에 비하여 장기 보존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2) 피부 안정성
20∼35세의 여성 50명을 대상으로 팔 안쪽 상박 부위에 첩포 시험을 실시하였다. 첩포 24시간 후, 첩포를 제거하고 2시간 경과 후에 홍반, 가려움 등의 피부 부작용 여부를 판정하여 판정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양성반응수 1 1 1 1 2 2
% 2 2 2 2 4 4
상기 결과로 볼 때 실시예 1-4의 조성물이 비교예 1-2에 비해 상대적으로 피부 안정성이 우수함을 알 수 있다.
3) 사용감 평가
20∼35세 여성 60명을 대상으로 실시예와 비교예를 속눈썹에 직접 사용 도포한 후, 다음 평가 기준에 따라 표 항목에 대하여 사용감 평가를 실시하였다. 표 4에 평가 결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비교예 1 비교예 2
발림성 5 5 5 5 3 3
밀착감 5 5 5 5 3 3
볼륨감 5 4 5 4 4 4
컬링 4 4 4 4 4 4
도포 후 부담감 5 4 5 5 3 3
건조속도 4 4 4 4 4 4
내수성 5 5 4 4 4 4
지속성 5 5 4 4 4 4
피부안정성 5 5 5 5 3 4
상기 결과에서 보듯이 본 발명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발림성, 밀착감이 현저히 우수할 뿐만 아니라 볼륨감, 컬링, 지속성, 피부 안정성이 우수한 제품임을 알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은 사용감이 우수하고, 균일한 코팅막을 형성하므로 발림성 및 밀착감이 우수하고, 도포 후 느끼는 부감감이 없으면서 볼륨과 컬링이 우수한 크림 타입의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이다.

Claims (3)

  1. 융점이 35∼37℃인 히드로게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또는 융점이 46∼49℃인 히드로게네이티드 팜커넬글리세라이드를 포함하는 유상 성분;
    수용성 점증제;
    필름 형성제;
    보습제;
    색소; 및
    유화제
    를 포함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히드로게네이티드 베지터블 오일 또는 히드로게네이티드 팜커넬글리세라이드의 양이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5∼25 중량%인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유상 성분은 유지 성분으로 팔미틱 산, 스테아릭 산, 아라비딕 산으로 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지방산; 아몬드 오일 또는 히드로게네이티드 피시 오일의 오일; 히드로게네이티드 피마자유; 및 히드로게네이티드 레이프씨드오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유지 성분을 더욱 포함하며, 왁스 성분으로 식물성, 동물성 왁스, 광물성 왁스 및 합성 왁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며, 50∼110℃의 융점을 갖는 왁스 성분을 더욱 포함하는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19980061484A 1998-12-30 1998-12-30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05308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84A KR100530839B1 (ko) 1998-12-30 1998-12-30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61484A KR100530839B1 (ko) 1998-12-30 1998-12-30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4977A true KR20000044977A (ko) 2000-07-15
KR100530839B1 KR100530839B1 (ko) 2006-03-23

Family

ID=195682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61484A KR100530839B1 (ko) 1998-12-30 1998-12-30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530839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04B1 (ko) * 2001-08-28 2004-05-14 주식회사 태평양 볼륨감과 지속성이 우수한 마스카라 조성물
KR100964022B1 (ko) * 2003-01-17 2010-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20038B1 (ko) * 2017-08-04 2020-06-09 코스맥스 주식회사 천연 유래 레진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04730B2 (ja) * 1988-07-12 1998-01-26 株式会社コーセー 化粧料
JP2818831B2 (ja) * 1990-02-22 1998-10-30 株式会社資生堂 睫用化粧料
US5460808A (en) * 1991-05-15 1995-10-24 Chanel, Inc. Mascara composition
KR950006060B1 (ko) * 1991-10-19 1995-06-08 주식회사엘지화학 화장료용 안료 및 그 제조방법과 이를 함유하는 메이컵 조성물
KR970005266A (ko) * 1995-07-13 1997-02-19 성재갑 알긴산 나트륨 및 하이드로 카본류 고형왁스가 함유된 크림타입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FR2753900B1 (fr) * 1996-09-30 1998-10-30 Oreal Compositions pour le maquillage des yeux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504B1 (ko) * 2001-08-28 2004-05-14 주식회사 태평양 볼륨감과 지속성이 우수한 마스카라 조성물
KR100964022B1 (ko) * 2003-01-17 2010-06-15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530839B1 (ko) 2006-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984259B2 (ja) 化粧用調製品
AU682679B2 (en) Novel waterproof cosmetic compositions
US8080238B2 (en) Oil-based cosmetic composition
JPH11505252A (ja) スミアーレジスタント化粧品
KR1012278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S6126764B2 (ko)
BR0316247B1 (pt) Preparação cosmética na forma de uma emulsão óleo/água, seu processo de fabricação e seus empregos
KR20110088179A (ko) 유중수형 눈 화장용 화장료 조성물
JP2005170940A (ja) パーソナルケアー用途での防水剤としてのアクリレートコポリマーの使用
KR100964022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3554995B2 (ja) 睫用化粧料
CN110753535A (zh) 用于化妆和护理嘴唇的水包油乳剂
KR100530839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KR101494272B1 (ko) 지속력이 우수하고 클렌징이 용이한 수중유형 화장료조성물
US20040156814A1 (en) Cosmetic eye-care compositions comprising a low molecular weight cationic copolymer
JP7103800B2 (ja) 睫のカール形状を持続させる方法
JPH10291917A (ja) 睫用化粧料
JP3993840B2 (ja) 2製剤充填毛髪化粧料
CN110678165B (zh) 用于皮肤或嘴唇护理或化妆的油包水乳剂
JP2879983B2 (ja) 乳化型マスカラ
KR20150108193A (ko) 겔 타입의 아이라이너 조성물
KR100605204B1 (ko)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3575965B2 (ja) 夏用下地化粧料
JP7103801B2 (ja) 睫用化粧料
TWI728207B (zh) 水洗式防潑水之彩妝組合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910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