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20038B1 - 천연 유래 레진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 Google Patents

천연 유래 레진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20038B1
KR102120038B1 KR1020180086765A KR20180086765A KR102120038B1 KR 102120038 B1 KR102120038 B1 KR 102120038B1 KR 1020180086765 A KR1020180086765 A KR 1020180086765A KR 20180086765 A KR20180086765 A KR 20180086765A KR 102120038 B1 KR102120038 B1 KR 1021200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ascara composition
wax
mascara
composition
volu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67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110A (ko
Inventor
공병구
최석원
박명삼
Original Assignee
코스맥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스맥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스맥스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900151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1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200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200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2Starch; Amylose; Amylopectin;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00Make-up preparations; Body powders; Preparations for removing make-up
    • A61Q1/02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 A61Q1/10Preparations containing skin colorants, e.g. pigments for eyes, e.g. eyeliner, mascar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천연 유래 레진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 따른 마스카라 조성물은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속눈썹의 볼륨력 및 컬링력이 우수하고, 건조 속도가 빠르며, 내수성이 우수하여 눈 밑 번짐 효과가 적으므로 기존의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의 단점을 극복하였다. 또한, 천연 유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체에 무해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천연 유래 레진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Mascara composition comprising natural resin}
천연 유래 레진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마스카라는 속눈썹의 볼륨력이나 컬링력, 롱래쉬력, 그리고 롱라스팅력의 효과 증진을 위해 아크릴계 수지를 사용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아크릴계 수지는 합성 과정에 의해 생성된 성분으로서, 천연 유래 성분으로 구성된 제품에는 사용할 수 없다.
최근 안전성 문제로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화장품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일례로 특허문헌 1은 천연물에서 유래된 녹말 파우더가 함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천연 유래 성분으로 구성된 제품을 사용하면 속눈썹을 고정시키거나 풍성하게 나타내기 어렵고, 그에 따른 번짐 현상이 쉽게 발생하여 제품화에 어려운 점이 많이 있다.
따라서, 천연 유래 성분을 사용하면서도 마스카라의 기능을 유지할 수 있는 마스카라 조성물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0520842호
일 양상은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함에도 속눈썹의 볼륨력 및 컬링력이 우수하고, 건조 속도가 빠르며, 내수성이 우수하여 눈 밑 번짐 효과가 적어 마스카라로서의 성능이 매우 우수할 뿐만 아니라, 인체에 무해하다는 우수한 장점을 가지는, 천연 유래 레진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한다.
일 양상은 천연 유래 레진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마스카라 조성물은 천연 유래 레진으로서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속눈썹의 볼륨력 및 컬링력이 우수하고, 건조 속도가 빠르며, 내수성이 우수하여 눈 밑 번짐 효과가 적어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함에도 불구하고 마스카라로서의 성능이 매우 우수하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일 양상은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Dextrin Isostearate)"는 덱스트린 타입의 천연 유래 레진이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마스카라 조성물은 덱스트린 타입의 천연 유래 레진을 사용함으로써 로진 레진(Rosin resin), 또는 실리콘 레진(Silicone resin)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속눈썹 볼륨력이 향상되고, 건조 속도가 빠르며, 내수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0 중량%, 1.0 내지 5.0 중량%, 또는 2.0 내지 4.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의 함량이 10.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끈적임이 증가되어 건조가 잘 되지 않거나 눈 밑 묻어남이 심해질 수 있다.
상기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Euphorbia Cerifera (Candelilla) Wax Extract)"은 칸데릴라 왁스로부터 추출된 레진이다. 상기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은 칸데릴라 왁스로부터 얻은 고분자량의 테르펜알코올(Terpenalcohol)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마스카라 조성물은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을 함께 포함함으로써,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나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은 포함하지 않는 경우에 비해 속눈썹 볼륨력이 향상되고, 건조 속도가 빠르며, 내수성이 우수할 수 있다.
상기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0 중량%, 0.1 내지 5.0 중량%, 1.0 내지 10.0 중량%, 또는 1.0 내지 5.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의 함량이 0.1 중량% 미만인 경우 건조 속도의 향상이 거의 없으며, 함량이 10.0 중량%를 초과할 경우 건조 속도가 지나치게 빨리 가루 떨어짐이 발생하고, 사용감이 거칠어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마스카라 조성물은 천연 왁스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천연 왁스는 카나우바 왁스, 비즈 왁스, 소이 왁스, 팜 왁스, 해바라기씨 왁스, 호호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및 쌀겨 왁스 중 1종 이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구체예에서, 상기 천연 왁스는 지방산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지방산은 C10 내지 C30의 트리글리세리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천연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0 중량%, 1 내지 20 중량%, 5 내지 30 중량%, 5 내지 20 중량%, 10 내지 30 중량%, 또는 10 내지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천연 왁스의 함량이 1 중량% 미만인 경우 경도 형성이 안 되어 마스카라의 화장 효과 구현이 어렵고, 볼륨 컬링 효과가 낮을 수 있다. 천연 왁스의 함량이 30 중량%를 초과할 경우 발림성이 떨어지고 가루 떨어짐 등의 문제가 발생하며, 쉽게 굳어서 유통이 어려울 수 있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마스카라 조성물은 수용성 필름형성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필름형성제는 천연 유래 수용성 필름형성제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수용성 필름형성제는 셀룰로오스검, 아카시아세네갈검, 및 말토덱스트린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수용성 필름형성제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5 중량%, 0.1 내지 10 중량%, 1 내지 15 중량%, 1 내지 10 중량%, 3 내지 10중량%, 또는 3 내지 6 중량%로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구체예에서, 상기 마스카라 조성물은 천연 유래 성분 95 중량% 이상, 99 중량% 이상, 99.9 중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100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천연 유래 성분은 EWG Green 등급이 1 또는 2 등급인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마스카라 조성물은 또한 화장품에 통상 사용되는 추가 성분, 예컨대 정제수, 점증제, 분산제, 색소, 향료, 충전제, 보존제, 방부제, 중성화제, 자외선 차단제, 감미료, 비타민, 자유-라디칼 스케빈저, 금속 이온 봉쇄제,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될 수 있는 임의의 통상적 미용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따른 조성물의 유리한 특성이 예상된 첨가에 의해 악영향을 받지 않거나 실질적으로 받지 않도록, 임의의 추가 성분 및/또는 이의 양을 선택할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마스카라 조성물은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을 포함함으로써 속눈썹의 볼륨력 및 컬링력이 우수하고, 건조 속도가 빠르며, 내수성이 우수하여 눈 밑 번짐 효과가 적으므로 기존의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의 단점을 극복하였다. 또한, 천연 유래 성분으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인체에 무해하여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비교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실제 속눈썹에 도포한 후, 볼륨(pixel)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2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실제 속눈썹에 도포한 후, 볼륨(pixel)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3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실제 속눈썹에 도포한 후, 볼륨(pixel)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실제 속눈썹에 도포한 후, 볼륨(pixel)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볼륨(pixel)을 측정하고 속눈썹의 평균 볼륨 변화율을 구하여 속눈썹 볼륨 개선 효과를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 2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볼륨(pixel)을 측정하고 속눈썹의 평균 볼륨 변화율을 구하여 속눈썹 볼륨 개선 효과를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예 3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볼륨(pixel)을 측정하고 속눈썹의 평균 볼륨 변화율을 구하여 속눈썹 볼륨 개선 효과를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볼륨(pixel)을 측정하고 속눈썹의 평균 볼륨 변화율을 구하여 속눈썹 볼륨 개선 효과를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로진 레진, 실리콘 레진의 필름형성제로서의 속눈썹 흡착력(Adsorption rate, %)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0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건조상태를 분 단위로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로진 레진의 필름형성제로서의 건조 속도를 필름형성 시작 시간(Film forming start time)으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2는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3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드롭 플랫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은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 천연 유래 성분으로 구성된 해외 A사 브랜드의 마스카라, 및 천연 유래 성분으로 구성된 해외 B사 브랜드 마스카라의 드롭 플랫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4는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속눈썹에 도포한 후, 전과 후를 비교한 사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및 비교예 1~3: 마스카라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은 천연 유래 레진 성분으로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을 사용하여 마스카라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천연 왁스로는 카나우바 왁스 및 비즈왁스를 사용하였다.
비교예 1은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 대신 로진 레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비교예 2는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 대신 실리콘 레진을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다만, 비교예 2에서 실리콘 레진의 용해를 위해 디카프릴릴에텔을 사용하였다. 1 중량%의 호호바오일 또는 디카프릴릴에텔은 피막 비교에 있어서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오일의 종류에 따른 제형 내 차이는 없는 것으로 판단하고 실험을 진행하였다.
비교예 3은 칸데릴라왁스 추출물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다만, 칸데릴라왁스 추출물은 융점이 높은 왁스이므로 실시예 1에서 카나우바 왁스 함량 일부를 조정하여 실험 및 비교하였다.
하기 표 1에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마스카라 조성물의 구체적인 성분 및 함량을 나타내었다. 본 명세서에서 다르게 언급되지 않는 한, 성분 함량은 중량%이다.
성분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실시예 1
카나우바 왁스 (Carnauba Wax) 5.50 5.50 5.50 4.00
비즈왁스 (Beeswax) 7.00 7.00 7.00 7.00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Dextrin Isostearate) - - 3.00 3.00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 (Candelilla Wax Extract) - - - 1.50
로진 레진 (Pentaerythrityl Hydrogenated Rosinate) 3.00 - - -
실리콘 레진 (Silicone resin) - 3.00 - -
디카프릴릴에텔 (Dicaprylyl Ether) - 1.00 - -
호호바오일 (Simmondsia Chinensis (Jojoba) Seed Oil) 1.00 - 1.00 1.00
세테아릴 글루코시드 (Cetearyl Glucoside) 2.00 2.00 2.00 2.00
세테아릴 알콜 (Cetearyl Alcohol) 2.00 2.00 2.00 2.00
C10-18 트리글리세리드 (C10-18 Triglyceride) 2.00 2.00 2.00 2.00
산화철 블랙(Iron Oxide Black) 10.00 10.00 10.00 10.00
정제수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풀루란 (Pullulan) 4.00 4.00 4.00 4.00
셀룰로스 검 (Cellulose gum) 0.20 0.20 0.20 0.20
글리세린 (Glycerin) 5.00 5.00 5.00 5.00
보존제 (Preservative)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실험예 1: 볼륨력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마스카라 조성물에 대하여 볼륨력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건강한 성인 여성 5명(평균연령 27.4세)을 대상으로 마스카라 제품 사용 전후의 속눈썹 상태를 촬영하였다. 사진을 얻은 후, 이미지 분석프로그램(image pro analysis)를 이용하여 제품 사용 전과 후의 속눈썹의 볼륨(pixel)을 측정하고, 사용 후의 속눈썹 평균 볼륨 변화율을 구하여 속눈썹 볼륨 개선 효과를 평가하였다. 측정기기는 Sony, A7R을 사용하였다.
도 1은 비교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실제 속눈썹에 도포한 후, 볼륨(pixel)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2는 비교예 2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실제 속눈썹에 도포한 후, 볼륨(pixel)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3은 비교예 3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실제 속눈썹에 도포한 후, 볼륨(pixel)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4는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실제 속눈썹에 도포한 후, 볼륨(pixel)을 측정한 사진이다.
도 5는 비교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볼륨(pixel)을 측정하고 속눈썹의 평균 볼륨 변화율을 구하여 속눈썹 볼륨 개선 효과를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6은 비교예 2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볼륨(pixel)을 측정하고 속눈썹의 평균 볼륨 변화율을 구하여 속눈썹 볼륨 개선 효과를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7은 비교예 3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볼륨(pixel)을 측정하고 속눈썹의 평균 볼륨 변화율을 구하여 속눈썹 볼륨 개선 효과를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8은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볼륨(pixel)을 측정하고 속눈썹의 평균 볼륨 변화율을 구하여 속눈썹 볼륨 개선 효과를 평가한 그래프이다.
도 9는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로진 레진, 실리콘 레진의 필름형성제로서의 속눈썹 흡착력(Adsorption rate, %)을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1 내지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로진 레진을 포함하는 비교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 실리콘 레진을 포함하는 비교예 2의 마스카라 조성물,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하지만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은 포함하지 않는 비교예 3의 마스카라 조성물에 비해 속눈썹 흡착력이 증가하여 볼륨 개선 효과가 우수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2: 건조속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마스카라 조성물에 대하여 건조 속도를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유리판에 고르게 도포하고 실온 상태에서 약 3분간 건조시킨 후, 2분 간격으로 손가락으로 균일한 압력으로 눌러 보아 건조상태를 분 단위로 체크하였다.
도 10은 비교예 1, 비교예 2, 비교예 3 및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건조상태를 분 단위로 테스트한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1은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로진 레진의 필름형성제로서의 건조 속도를 필름형성 시작 시간(Film forming start time)으로 비교하여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최초 도포 후 약 9분이 지난 후부터 묻어남이 없었고, 비교예 2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최초 도포 후 약 11분이 지난 후부터 묻어남이 없었으며,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만 사용한 비교예 3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최초 도포 후 약 5분이 지난 후부터 묻어남이 없었다. 반면,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최초 도포 후 체크를 시작한 3분 후부터 묻어남이 없었으므로, 비교예 1 내지 3에 비해 건조 속도가 매우 빠름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3: 내수성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비교예 1~3에 따라 제조된 마스카라 조성물에 대하여 내수성을 평가하기 위한 실험을 하였다.
구체적으로, 각각의 조성물 시료를 유리판에 필름 애플리케이터(Film applicator)를 사용하여 균일하게 도포하여 건조한 후, 드롭 플랫 테스트(Drop plat test)를 통해 내수성을 확인하였다. 드롭 플랫 테스트는 건조된 시료 위에 정제수 1 방울을 떨어뜨린 후, 표면 대비 물방울의 접촉각(contact angle) 각도를 확인하여, 각도가 클수록 물에 대한 내수성이 우수한 것으로 판단하는 방법으로 진행하였다. 또한, 타 브랜드 제품과의 비교를 위해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과 해외에서 판매 중인 천연 유래 성분으로 구성된 마스카라 2종에 대해 동일한 방법으로 내수성을 평가하였다.
도 12는 실시예 1, 비교예 1 내지 3의 마스카라 조성물의 드롭 플랫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비교예 1 내지 3의 마스카라 조성물에 비해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이 표면 대비 물방울의 접촉각 각도가 가장 크게 나타났다. 따라서,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이 물에 대한 내수성이 가장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13은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 천연 유래 성분으로 구성된 해외 A사 브랜드의 마스카라, 및 천연 유래 성분으로 구성된 해외 B사 브랜드 마스카라의 드롭 플랫 테스트 결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천연 성분을 다량 함유하고 있는 기존 마스카라 제품과 비교하여도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내수성이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따라서,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번짐 현상이 방지되어 롱라스팅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실험예 4: 컬링력 평가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한 마스카라 개발에 있어서 컬링력은 마스카라로서의 매우 중요한 속성 중에 하나이다. 건조속도가 빠르고 볼륨력과 내수성이 우수하더라도, 컬링 효과가 낮다면 제품으로서의 가치가 상당히 떨어지게 된다. 때문에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제조된 마스카라 조성물에 대하여 속눈썹 컬링력 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속눈썹에 도포한 후, 전과 후의 사진을 비교하였다.
도 14는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을 속눈썹에 도포한 후, 전과 후를 비교한 사진이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의 마스카라 조성물은 컬링력이 매우 우수하였으므로, 천연 유래 성분을 포함하는 기존의 마스카라의 단점을 보완하였음을 알 수 있었다.

Claims (7)

  1.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 및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덱스트린 이소스테아레이트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마스카라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은 칸데릴라 왁스로부터 추출된 레진인 것인 마스카라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칸데릴라 왁스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0.1 내지 10.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마스카라 조성물.
  5. 청구항 1에 있어서, 천연 왁스를 더 포함하는 것인 마스카라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천연 왁스는 카나우바 왁스, 비즈 왁스, 소이 왁스, 팜 왁스, 해바라기씨 왁스, 호호바 왁스, 칸데릴라 왁스 및 쌀겨 왁스 중 1종 이상인 것인 마스카라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천연 왁스는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해 1 내지 30 중량%로 포함되는 것인 마스카라 조성물.
KR1020180086765A 2017-08-04 2018-07-25 천연 유래 레진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KR10212003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099086 2017-08-04
KR20170099086 2017-08-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110A KR20190015110A (ko) 2019-02-13
KR102120038B1 true KR102120038B1 (ko) 2020-06-09

Family

ID=653667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6765A KR102120038B1 (ko) 2017-08-04 2018-07-25 천연 유래 레진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2003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839B1 (ko) 1998-12-30 2006-03-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2008063259A (ja) * 2006-09-06 2008-03-21 Mandom Corp 睫用油性化粧料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773063B1 (fr) * 1997-12-31 2003-09-19 Oreal Mascara comprenant un melange de cires dures et de polymere filmogene
KR100520842B1 (ko) 2004-01-07 2005-10-12 주식회사 태평양 마스카라 조성물
CN113908079A (zh) * 2014-04-09 2022-01-11 Lvmh研究公司 眼妆化妆品组合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30839B1 (ko) 1998-12-30 2006-03-23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마스카라 화장료 조성물
JP2008063259A (ja) * 2006-09-06 2008-03-21 Mandom Corp 睫用油性化粧料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보브 스판마스카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110A (ko) 2019-02-1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6671B1 (en) Cosmetic
KR102033449B1 (ko) 파우더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878687B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07106467A (zh) 包含稳定的聚合物颗粒和疏水性成膜聚合物的组合物
KR102644389B1 (ko) 눈썹용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1514065A (zh) 一种液体烤粉腮红及其制备方法
KR102016904B1 (ko)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34068A (ko) 분말을 함유하는 화장 케어 또는 메이크업 조성물과 이들의 제조 방법
CN113262178A (zh) 一种滋润的丝缎亮光唇釉及其制备方法
CN109223619A (zh) 一种丝绒质地的唇膏及其制备方法
CN111012708B (zh) 一种粉底液及其制备方法
KR102086315B1 (ko) 왁스-프리 아이 메이크업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2455B1 (ko) 눈썹 또는 속눈썹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20038B1 (ko) 천연 유래 레진을 포함하는 마스카라 조성물
KR101771421B1 (ko) 수분산 타입 메이크업 화장료 조성물
CN110876697A (zh) 一种具有热保护作用的护发组合物及其制备方法
JP7350269B2 (ja) 光沢感と色移りの程度が改善された唇用化粧料組成物
CN107753312B (zh) 一种具有染色效果的唇部组合物及其应用
CN115400035A (zh) 珠光眼影及其制备方法
JP4412673B2 (ja) 水系唇用下地化粧料および化粧方法
KR100917988B1 (ko) 초임계 추출법으로 추출된 자초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료조성물
KR102273235B1 (ko) 다양한 착색이 가능한 무수제형의 입술용 화장료 조성물
CN108366937B (zh) 化妆品组合物
KR101221178B1 (ko) 오일을 함유하지 않는 투명한 고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1064056B1 (ko) 투명 그라데이션 화장료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