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1307A -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 미러 - Google Patents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 미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1307A
KR20000041307A KR1019980057153A KR19980057153A KR20000041307A KR 20000041307 A KR20000041307 A KR 20000041307A KR 1019980057153 A KR1019980057153 A KR 1019980057153A KR 19980057153 A KR19980057153 A KR 19980057153A KR 20000041307 A KR20000041307 A KR 200000413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mera
automobile
cameras
screen
image dat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715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문식
이길성
Original Assignee
이철호
도원텔레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철호, 도원텔레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이철호
Priority to KR101998005715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41307A/ko
Publication of KR200000413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307A/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06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 B60R1/007Side-view mirrors, e.g. V-shaped mirrors located at the front or rear part of the vehicle specially adapted for covering the lateral blind spot not covered by the usual rear-view mirr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1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 B60R2300/105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camera system used using multiple camera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300/0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 B60R2300/30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 B60R2300/303Details of viewing arrangements using cameras and display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a vehicl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image processing using joined images, e.g. multiple camera ima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W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OF DIFFERENT TYPE OR DIFFERENT FUNCTION; CONTROL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HYBRID VEHICLES;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FOR PURPOSE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 B60W30/00Purposes of road vehicle drive control systems not related to the control of a particular sub-unit, e.g. of systems using conjoint control of vehicle sub-units
    • B60W30/08Active safety systems predicting or avoiding probable or impending collision or attempting to minimise its consequen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00/00Special features of vehicle units
    • B60Y2400/92Driver display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7/00Television systems
    • H04N7/18Closed-circuit television [CCTV] systems, i.e. systems in which the video signal is not broadcas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ed-Circuit Television Syste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미러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좌측, 우측 및 뒷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고, 자동차 좌측, 우측 및 후방의 물체 중 적어도 한 곳의 물체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자동차 운전석 근처에 설치되고,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고, 카메라가 복수일 때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화면 또는 화면분할에 의한 복수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수단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화면선택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화면선택메뉴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해석하여, 복수의 카메라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영상데이터 처리부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운전자의 사이드미러 및 백미러로도 관측되지 않는 운전자 시야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뿐만아니라 운전자에게 자동차 좌우측 및 후방의 시야확보를 보다 쉽게 제공한다.

Description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 미러
본 발명은 자동차용 미러(mirror)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 미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두 종류의 미러(mirror)가 부착되어 있다. 하나는 자동차의 좌우측에 하나씩 설치되어 있는 사이드 미러(side mirror)로서, 차선을 바꾼다거나 할 때 운전자가 자동차의 좌우측 관찰을 쉽게 하는데 도움을 준다. 다른 하나는 자동차의 운전석 근처에 설치되어 있는 백미러(back mirror)로서, 운전자로 하여금 자동차의 후방 시야를 확보하는데 도움을 준다.
그런데, 상기 사이드 미러의 경우에는 사이드미러에 의해서도 관측되지 않는 사각지대가 존재한다. 상기 사각지대로 인해 운전자가 차선을 바꾼다거나 할 때, 자동차의 좌측 또는 우측에서 나란하게 달리고 있는 다른 자동차를 미처 발견치 못해, 추돌이나 충돌 등의 사고를 일으킬 경우가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 사각지대를 해소하기 위해, 자동차에 설치되는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 미러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미러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에서의 화면분할 기능을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0 : 좌측카메라, 110 : 우측카메라
120 : 후면 카메라, 130 :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140 : 영상데이터 처리부, 150 : 디스플레이부
상기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미러는, 자동차의 좌측, 우측 및 뒷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고, 자동차 좌측, 우측 및 후방의 물체 중 적어도 한 곳의 물체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자동차 운전석 근처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미러는 상기 카메라가 복수일 때,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화면 또는 화면분할에 의한 복수의 화면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화면선택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화면선택메뉴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해석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영상데이터 처리부를 더 구비함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미러의 구성을 블록도로 도시한 것으로서, 좌측카메라(100), 우측카메라(110), 후면 카메라(120),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 영상데이터 처리부(140) 및 디스플레이부(150)로 이루어진다.
상기 좌측카메라(100)는 자동차의 좌측에 설치되며, 자동차의 좌측에 있는 물체를 촬영한다. 마찬가지로 상기 우측카메라(110)는 자동차의 좌측에 설치되며, 자동차의 좌측에 있는 물체를 촬영한다. 또한 상기 후면 카메라(120)는 자동차의 후면에 설치되어 자동차의 후방에 있는 물체를 촬영한다. 여기서, 상기 좌측, 우측 및 후면 카메라는 고체촬상소자(CCD) 카메라를 사용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CCD 카메라의 크기는 매우 작아 자동차의 사이드미러 및 뒷 트렁크 열쇠 부근에 설치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는 자동차 운전석 근처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디스플레이부(150)로는 LCD 또는 휴대용 TV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앞으로 카 네비게이션(car nevigation) 시스템이 대중화 되면, 상기 카 네비게이션 시스템의 디스플레이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사용자 인터페이스부(130)는 상기 카메라가 복수 개일 때, 상기 복수개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화면 또는 화면분할에 의한 복수의 화면으로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화면선택메뉴를 제공한다. 즉, 운전자가 좌측만을 보고 싶을 때는 좌측카메라를 선택하고, 우측만을 보고싶을 때는 우측카메라를 선택하고, 좌우측 및 후방을 보고 싶을 때는 화면분할을 통해 모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선택기능을 제공한다. 상기 기능선택은 기능키 또는 터치 스크린 형태로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영상데이터 처리부(140)는 상기 화면선택메뉴에 의해 기능메뉴가 선택되면, 이를 해석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부에 디스플레이한다. 상기 영상데이터 처리부(140)에서 제공하는 화면 디스플레이를 위한 제어기능은 통상의 TV의 화면분할 기술 및 픽쳐인픽쳐(PIP) 기술을 사용하면 용이하게 구현될 수 있다.
도 2는 상기 디스플레이부(150)에서의 화면분할 기능을 도시한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동차 운전자의 사이드미러 및 백미러로도 관측되지 않는 운전자 시야의 사각지대를 해소할 뿐만아니라 운전자에게 자동차 좌우측 및 후방의 시야확보를 보다 쉽게 제공한다.

Claims (3)

  1. 자동차의 좌측, 우측 및 뒷면 중 적어도 한 곳에 설치되고, 자동차 좌측, 우측 및 후방의 물체 중 적어도 한 곳의 물체를 촬영하는 적어도 하나의 카메라; 및
    자동차 운전석 근처에 설치되고, 상기 카메라로부터 촬영된 영상을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 미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가 복수일 때, 상기 복수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영상을 하나의 화면 또는 화면분할에 의한 복수의 화면으로 상기 디스플레이수단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기능을 선택할 수 있게 하는 화면선택메뉴를 제공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부; 및
    상기 화면선택메뉴에 의해 선택된 기능을 해석하여, 상기 복수의 카메라 의해 촬영된 영상데이터를 처리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수단에 디스플레이되게 하는 영상데이터 처리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 미러.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카메라는
    CCD 카메라임을 특징으로 하는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 전자 미러.
KR1019980057153A 1998-12-22 1998-12-22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 미러 KR200000413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153A KR20000041307A (ko) 1998-12-22 1998-12-22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 미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7153A KR20000041307A (ko) 1998-12-22 1998-12-22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 미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307A true KR20000041307A (ko) 2000-07-15

Family

ID=195645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7153A KR20000041307A (ko) 1998-12-22 1998-12-22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 미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41307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19B1 (ko) * 2006-09-22 2007-12-26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자동차용 측면 감시 장치
KR100833704B1 (ko) * 2007-03-09 2008-05-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주변감지방법
KR100866536B1 (ko) * 2007-07-20 2008-11-03 양규철 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용 사이드미러장치
KR100882670B1 (ko) * 2007-12-06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장애물 감지 시스템
KR100900072B1 (ko) * 2007-11-16 2009-05-28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네비게이션 장치와 연동되는 차량용 측방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88619B1 (ko) * 2006-09-22 2007-12-26 주식회사 대우아이에스 자동차용 측면 감시 장치
KR100833704B1 (ko) * 2007-03-09 2008-05-29 쌍용자동차 주식회사 자동차용 주변감지방법
KR100866536B1 (ko) * 2007-07-20 2008-11-03 양규철 소형카메라를 이용한 차량용 사이드미러장치
KR100900072B1 (ko) * 2007-11-16 2009-05-28 주식회사 현대오토넷 네비게이션 장치와 연동되는 차량용 측방 카메라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882670B1 (ko) * 2007-12-06 2009-02-06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장애물 감지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8989B2 (ja) 車両用電子ミラーシステム
EP2150054A1 (en) Periphery surveillance device for vehicles
JP2018157403A (ja) 車載表示装置、車載表示装置の制御方法及び車載表示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US20080252439A1 (en) Onboard display device, onboard display system and vehicle
EP1647447B1 (en) Rearview recognition apparatus for a vehicle
JP3982504B2 (ja) 車両用暗視カメラ装置および表示装置
JP2002096685A (ja) 車両に用いられてカメラおよびモニタを内蔵したリアビューミラー
WO2011001642A1 (ja) 車載用映像表示装置
US11024011B2 (en) Image display apparatus and image display method
EP3453557B1 (en) Image display apparatus
JP5131152B2 (ja) 視覚支援装置
US20180056870A1 (en) Viewing device for vehicle and method of displaying viewed image for vehicle
KR20000041307A (ko) 카메라를 이용한 자동차용 전자 미러
JP2005145151A (ja) 車両周辺確認補助装置および車両周辺映像表示方法
JP4633023B2 (ja)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装置
JP7073237B2 (ja) 画像表示装置、画像表示方法
JP2005142657A (ja) 車両周辺表示制御装置
JP3155673B2 (ja) 車両の後方監視装置
KR100203765B1 (ko) 자동차의 후방 모니터링 장치
CN113051997A (zh) 用于监视车辆周围环境的设备和非暂时性计算机可读介质
JP7037896B2 (ja) 視認補助装置
JP2021113019A (ja) 車両用表示装置
CN216359937U (zh) 一种电子后视镜控制系统
CN115460352B (zh) 车载视频的处理方法、装置、设备、存储介质和程序产品
EP1298000A2 (en) Vehicle monitoring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