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41089A - 가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수직형 전기도금조의 모서리 과도금 방지장치 - Google Patents

가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수직형 전기도금조의 모서리 과도금 방지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41089A
KR20000041089A KR1019980056868A KR19980056868A KR20000041089A KR 20000041089 A KR20000041089 A KR 20000041089A KR 1019980056868 A KR1019980056868 A KR 1019980056868A KR 19980056868 A KR19980056868 A KR 19980056868A KR 20000041089 A KR20000041089 A KR 200000410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ge
plating
metal
soluble anode
sha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68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76477B1 (ko
Inventor
김태수
조영봉
박상욱
Original Assignee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구택, 포항종합제철 주식회사, 신현준, 재단법인 포항산업과학연구원 filed Critical 이구택
Priority to KR10-1998-00568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76477B1/ko
Publication of KR200000410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410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7647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76477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71Selective p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25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CESSES; APPARATUS THEREFOR
    • C25DPROCESSES FOR THE ELECTROLYTIC OR ELECTROPHORETIC PRODUCTION OF COATINGS; ELECTROFORMING; APPARATUS THEREFOR
    • C25D7/00Electroplating characterised by the article coated
    • C25D7/06Wires; Strips; Foils
    • C25D7/0614Strips or foils
    • C25D7/0628In vertical ce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plating Methods And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용성 양극를 사용하는 수직형 전기 도금조를 사용하여 금속대를 전기 도금하는 공정에 있어서 금속대의 모서리에 집중되는 도금전류에 의해 일어나는 모서리 과도금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고가의 도금 금속 소모량을 줄이고 모서리 과도금에 의한 공정상의 문제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모서리 과도금 방지 장치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가용성 양극(3)을 사용하는 수직형 전기 도금조(1)내에 도금대상 금속대(4)를 수직방향으로 인입시켜 전기 도금을 행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금속대(4)의 모서리를 가리우기 위한 절연물질로 된 모서리 가리개(6)와, 상기 금속대(4)의 모서리를 감지하도록 모서리 가리개(6)의 적소에 설치된 모서리 감지기(5)와, 상기 모서리 가리개(6)를 금속대(4)에 대하여 선형이동시키는 선형운동기구(7)와, 상기 선형운동기구(7)를 정역 구동시키는 모터(8)와, 상기 모서리 감지기(5)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9)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수직형 전기 도금조의 모서리 과도금 방지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가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수직형 전기 도금조의 모서리 과도금 방지 장치
본 발명은 가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수직형 전기 도금조를 사용하여 금속대(metal strip)를 전기 도금하는 공정에 있어서 금속대의 모서리(edge)에 집중되는 도금전류에 의해 일어나는 모서리 과도금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서 고가의 도금 금속 소모량을 줄이고 모서리 과도금에 의한 공정상의 문제발생을 방지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으로, 아연 및 아연합금, 주석, 니켈, 크롬 및 크롬수산화물 등의 전기 도금 장치에 사용될 수 있는 수직형 전기 도금조의 모서리 과도금 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가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수직형 전기도금조는 구성이 비교적 간단하고 좁은 공간에도 설치가 가능하다는 이점이 있어 금속대에 주석, 아연 및 아연합금, 니켈, 크롬 및 크롬수산화물 등을 전기 도금하는 공정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수직형 전기 도금조를 사용한 전기 도금 공정에 있어서 금속대의 모서리와 이에 인접한 양극 사이에는 금속대의 중앙부보다 높은 전류밀도가 형성되며, 이에 비례하여 전착되는 도금 금속의 양도 많아지게 된다. 이를 모서리 과도금(edge overcoating)이라고 하는데, 과도금에 의해 고가의 도금 금속 소모량이 불필요하게 증가할 뿐만 아니라 도금 금속대를 코일로 감는 공정에서는 코일 중앙부의 찌그러짐을 일으키게 되고, 도금 금속대의 최종 사용시에는 도금량의 편차에 따른 가공 및 용접 조건의 불안정등 많은 문제를 일으키게 된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한 방법의 일환으로 가용성 양극을 금속대의 판폭보다 20-50mm 좁게 배열하여 도금을 행하는 방법이 어느 정도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금속대의 작업시 판폭이 자주 변화하기 때문에 이에 대응하여 작업자가 일일히 양극의 폭을 조정하여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가용성 양극의 폭을 조절하는 대신에 절연물질로 금속대의 양모서리구역을 일정폭만큼 가리우는 모서리 가리개(edge mask)를 사용하는 방법도 알려져 있다. 이러한 모서리 가리개를 사용하는 경우 금속대와 가리개의 겹침거리가 크면 모서리부 미도금이 문제되며, 겹침거리가 작으면 모서리부 과도금이 나타나기 때문에 겹침거리를 항상 일정하게 제어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장치는 양극의 교체 필요성이 없는 불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자동화 기구의 구성이 비교적 용이하기 때문에 실용화되어 있지만, 양극 교체에 따른 동선의 간섭이 문제로 되는 가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도금조에서는 수동 조작하는 방법만이 일부 시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본 발명은 양극 교체에 따른 동선의 간섭 때문에 모서리 가리개의 자동화 기구 설치가 어려운 가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수직형 도금조에서도 사용이 가능한 모서리 과도금 방지 장치를 제공하려는 것이다.
불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수직형 도금조에서 사용되고 있는 기존의 모서리 가리개는 2조의 가리개를 도금조 중앙을 가로 지르는 스크류우 또는 선형 가이드에 연결하여 1 개의 서보 모터 또는 전기 엑츄에이터로 전후진시키는 구조로 되어 있다. 이러한 모서리 가리개 작동구조는 가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경우 양극의 인입 및 취출 작업시의 간섭뿐만 아니라 도금조 주위의 작업자 접근을 어렵게하여 사용할 수 없다.
이에 따라, 지금까지 고안되어 부분적으로 사용된 바 있는 가용성 양극 수직 도금조의 모서리 가리개는 각각의 가리개에 연결된 수동 스크류를 작업자가 수동조작하여 금속대와 가리개의 겹침거리를 조작하는 방법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장치는 금속대의 주행시 나타나는 쏠림현상에 대응할 수 없으며, 가용성 양극의 폭을 조정하는 기존의 작업방법에 비해 작업자의 편이성이 그다지 개선되지 못하여 널리 사용되고 있지는 않다.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기존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좁은 공간에서도 설치가 가능하며 양극 교체작업과의 간섭을 최소화할 수 있고, 작업자의 개입없이 자동적으로 금속대와 가리개의 겹침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게 함으로써 가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수직형 도금조에서도 효과있게 적용가능한 모서리 과도금 방지 장치를 연구하게 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장치의 전체 구성개요를 보여주는 도식적인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 발췌 정면도,
도 3,도 4는 종래의 장치 및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한 조업결과 비교 그래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도금조 2 : 통전롤 3 : 양극
4 : 금속대 5 : 모서리 감지기 6 : 모서리 가리개
7 : 선형운동기구 8 : 모터 9 : 제어기
10 : 선형이동가이드 11 : 스크류우봉
12 : 이동자 13 : 브래킷
상기의 배경에서 연구 완성된 본 발명은 모서리 가리개의 적소에 도금대상 금속대의 모서리를 감지할 수 있는 모서리 감지기를 배치하여 상기 감지기가 금속대의 모서리에 대한 모서리 가리개의 상대위치를 감지측정한 신호에 상응하여 모서리 가리개에 연결된 선형운동기구와 가역식 모터로 구성된 이송장치로 상기 모서리 가리개를 금속대 모서리부에 대해 전후진시킴으로써 금속대와 모서리 가리개간의 겹침정정도를 항시 일정하게 유지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장치를 제공한다.
이하에서, 본 발명을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수직형 전기 도금조(1), 통전롤(2), 양극(3)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도금조(1)내에 금속대(4)를 수직방향으로 인입시켜 도금을 행하도록된 수직형 전기 도금 설비에 본 발명의 장치를 설치적용한 상태를 도시한 도식적인 평면도이다. 여기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는 도금대상 금속대(4)의 모서리를 가리우기 위한 모서리 가리개(6)와, 상기 금속대(4)의 모서리를 감지하도록 상기 모서리 가리개(6)의 적소에 설치된 모서리 감지기(5)와, 이 감지기(5)로부터의 신호에 상응하여 상기 모서리 가리개(6)를 금속대(4)에 대하여 전후진시키는 선형운동기구(7)와, 상기 선형운동기구(7)를 구동하는 정역구동식 모터(8)와, 상기 선형운동기구(7)를 상기 모서리 감지기(5)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모서리 가리개(6)의 이동을 제어하는 제어기(8)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도 2는 상기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요부의 상세 구성을 보인 도식적인 정면도인데, 도금대상 금속대(4)의 모서리를 일정한 폭만큼 가리우기 위한 비전도성 수지로 된 모서리 가리개(6)의 적소에 상기 금속대(4)의 모서리와 모서리 가리개(6)간의 거리를 감지하고 그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하는 모서리 감지기(5)가 설치되고, 상기 모서리 가리개(6)는 선형이동가이드(10)와 스크류우봉(11) 및 이 스크류우봉(11)에 나사결합된 이동자(12)를 포함하는 선형이동기구(7)에 브래킷(13)을 통해 연결설치되며, 상기 선형이동기구(7)의 스크류우봉(11)은 제어기(9)로부터 신호를 받는 모터(8)에 의해 정역 회전구동되도록 설치된다. 여기에서 부호 14는 상기 스크류우봉(11)의 회전량을 감지하여 제어기(9)로 모서리 가리개(6)의 이동위치 정보를 전달하는 엔코더, 15는 지지대를 각각 나타낸다. 상기 모서리 감지기(5)는 광섬유 센서, 또는 분리형 와전류식 근접센서와 같은 것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
가용성 주석 양극을 사용하는 수직형 도금조에서 강대에 주석을 도금하는 공정을 수행함에 있어서 기존의 방법과 본 발명의 장치를 통해 각각 도금조업을 실시하였다. 주석 도금된 강판은 형광 X-선 분석에 의해 모서리로 1mm 간격으로 주석 도금량을 조사하여 모서리 과도금의 정도를 분석하였다.
도3, 도4는 기존의 방법과 본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조업한 결과를 비교하여 도시한 것이다. 먼저, 가용성 양극을 강대의 폭보다 각각의 모서리로부터 30mm 좁게 설정하여 조업한 경우인 도 3의 결과로부터 도금량에 관계없이 대략 모서리로부터 10-15mm 지점까지 과도금이 일어나는 것을 알 수 있다. 이에 비하여 도 4의 결과로부터는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할 경우 모서리 과도금이 모서리로부터 5mm이내에만 일어나며, 과도금의 정도도 종래에 비하여 크게 감소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음 표 1은 기존의 방법과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편면당 2.8 mg/m2의 주석을 전기 도금 조업한 결과를 비교정리한 것이다.
표 1
구분 ((앙극폭)-(강대폭))/2 모서리가리개 과도금폭 과도금도 비고
조업1 0mm 미사용 25-30mm 〉300% 비교예
조업2 30-40mm 미사용 10-15mm 〉200% 비교예
조업3 〈0mm 사용 〈5mm 〈100% 발명예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면 금속대의 모서리 과도금을 크게 감소시킴으로써 고가의 도금 금속 사용량을 절감할 수 있어 제품 생산 비용을 줄일 수 있으며, 생산공정에서는 금속대를 코일로 감는 공정에서 문제가 되는 코일 중앙부의 찌그러짐을 막을 수 있는 효과가 얻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장치를 사용하여 생산한 제품은 금속대의 모서리 도금량과 중앙부 도금량의 편차가 작아 프레스 등의 성형공정에서 클리어런스(clearance)변화로 인한 가공불량을 막을 수 있고, 금속대의 겹침 용접시와 같은 경우에도 도금량 편차에 따른 용접불량을 방지하여 우수한 제품을 생산할 수 있다.

Claims (1)

  1. 가용성 양극(3)을 사용하는 수직형 전기 도금조(1)내에 도금대상 금속대(4)를 수직방향으로 인입시켜 전기 도금을 행하는 설비에 있어서, 상기 금속대(4)의 모서리를 가리우기 위한 절연물질로 된 모서리 가리개(6)와, 상기 금속대(4)의 모서리를 감지하도록 모서리 가리개(6)의 적소에 설치된 모서리 감지기(5)와, 상기 모서리 가리개(6)를 금속대(4)에 대하여 선형이동시키는 선형운동기구(7)와, 상기 선형운동기구(7)를 정역 구동시키는 모터(8)와, 상기 모서리 감지기(5)로부터의 신호를 받아 상기 모터(8)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기(9)를 포함하는 구성을 특징으로 하는 가용성 양극을 사용하는 수직형 전기 도금조의 모서리 과도금 방지 장치.
KR10-1998-0056868A 1998-12-21 1998-12-21 가용성양극을사용하는수직형전기도금조의모서리과도금방지장치 KR10037647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868A KR100376477B1 (ko) 1998-12-21 1998-12-21 가용성양극을사용하는수직형전기도금조의모서리과도금방지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6868A KR100376477B1 (ko) 1998-12-21 1998-12-21 가용성양극을사용하는수직형전기도금조의모서리과도금방지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41089A true KR20000041089A (ko) 2000-07-15
KR100376477B1 KR100376477B1 (ko) 2003-06-12

Family

ID=195643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6868A KR100376477B1 (ko) 1998-12-21 1998-12-21 가용성양극을사용하는수직형전기도금조의모서리과도금방지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76477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2174A (zh) * 2013-06-28 2014-12-3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自动工作设备
KR101598180B1 (ko) * 2014-08-21 2016-02-29 주식회사 포스코 에지 과도금 방지를 위한 에지 마스크장치
CN116516445A (zh) * 2022-11-28 2023-08-01 粤海中粤(中山)马口铁工业有限公司 可溶性阳极的边部屏蔽装置及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15195B1 (ko) 2014-12-03 2016-04-26 주식회사 포스코 에지 마스크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1190096A (ja) * 1985-02-18 1986-08-23 Nippon Steel Corp 電気めつき設備
KR950001939Y1 (ko) * 1992-11-25 1995-03-23 김만제 스트립모서리부(Strip Edge)의 과도금방지장치
JPH08176889A (ja) * 1994-12-26 1996-07-09 Kawasaki Steel Corp 電気めっきのエッジオーバコート防止装置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4252174A (zh) * 2013-06-28 2014-12-31 苏州宝时得电动工具有限公司 自动工作设备
KR101598180B1 (ko) * 2014-08-21 2016-02-29 주식회사 포스코 에지 과도금 방지를 위한 에지 마스크장치
CN116516445A (zh) * 2022-11-28 2023-08-01 粤海中粤(中山)马口铁工业有限公司 可溶性阳极的边部屏蔽装置及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76477B1 (ko) 2003-06-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76477B1 (ko) 가용성양극을사용하는수직형전기도금조의모서리과도금방지장치
JP4977046B2 (ja) エッジオーバーコート防止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電気めっき材の製造方法
KR100864753B1 (ko) 금속박 전해 제조장치
KR101495419B1 (ko) 에지 과도금을 방지하기 위한 전기도금장치
US4426266A (en) Strip edge overcoating preventing device for continuous electroplating
MXPA06007170A (es) Electroplaqueado de cinta metalica mejorado.
EP0261691B1 (en) Plating cell with edge masks
JP4020519B2 (ja) 金属線材への電気メッキ方法およびその装置
US4451345A (en) Electrode support device for continuous electroplating bath
KR200286760Y1 (ko) 스트립에지부파우더제거장치
JP3669826B2 (ja) 浸漬式ワイヤ放電加工機
CN215628389U (zh) 省银电镀装置
JPH06306695A (ja) 金属ストリップの連続電気めっき設備ならびに幅方向めっき付着量制御方法
CN215885732U (zh) 一种新型无缝钙线生产用钢带缓存装置
KR101417039B1 (ko) 전기도금용 컨덕트 롤 이물제거 장치
CN217485438U (zh) 集成电路引线框架的料带释放终点检测装置
JPH0544085A (ja) エツジオーバーコートの防止装置
KR200172031Y1 (ko) 레이저 용접기의 헤드 노즐 교체장치
US5169505A (en) Device for eliminating lack of uniformity of coating on edges of electroplated metal strip
JP3169740B2 (ja) 金属ストリップ連続電気めっきのエッジオーバコート防止装置
JPH02149696A (ja) 電気めっきにおける板エッジ部でのめっき付着量の制御方法
KR900001831B1 (ko) 다단식 도금장치를 이용한 전자부품용 리드선 도금방법
CN117283101A (zh) 一种半自动埋弧焊机
KR20230167284A (ko) 행잉 도금 장치
EP0134347A1 (en) Electrode support device for continuous electroplating bath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