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6322A - 식물병원균 방제에 유용한 무독성 생물농약 - Google Patents

식물병원균 방제에 유용한 무독성 생물농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6322A
KR20000036322A KR1020000003114A KR20000003114A KR20000036322A KR 20000036322 A KR20000036322 A KR 20000036322A KR 1020000003114 A KR1020000003114 A KR 1020000003114A KR 20000003114 A KR20000003114 A KR 20000003114A KR 20000036322 A KR20000036322 A KR 20000036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croorganisms
bacteria
microbial
control
disea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1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80625B1 (ko
Inventor
황연성
신영봉
Original Assignee
김태호
주식회사 그린월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태호, 주식회사 그린월드 filed Critical 김태호
Priority to KR10-2000-00031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80625B1/ko
Publication of KR20000036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6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80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80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0/00Cultivation of turf, lawn or the like; Apparatus or method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22/00Cultivation of specific crops or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Agricultural Chemicals And Associated Chemic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코더마 속 미생물을 포함하여 적어도 2종 이상의 곰팡이 또는 배실러스 속 미생물을 포함하여 적어도 2종이상의 세균 또는 상기 곰팡이류와 세균류를 모두 포함하는 혼합미생물을 활성성분으로 하는 식물 병원균 방제용 무독성 생물농약에 관한 것으로 균주를 배양한 균체와 배양여액을 희석해 골프장 잔디나 농작물에 살포하거나 활성탄과 같은 미생물고정 담체에 고정하여 살포하였을 때 뛰어난 식물 병원균 방제효과를 보이는 생물농약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러한 활성균체의 분리방법, 배양방법 및 이를 주 성분으로 하는 생물농약의 제조방법 및 시비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Description

식물병원균 방제에 유용한 무독성 생물농약 {Microorganism agricultural chemicals}
본 발명은 트리코더마 하지아눔 (푸른 곰팡이)을 포함하는 적어도 2종이상의 곰팡이와 또는 배실러스 써틸리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2종이상의 세균 또는 상기 곰팡이류 및 세균류를 모두 포함하는 혼합 미생물제제를 이용하여 골프장 잔디나 농작물 질병에 뛰어난 효과를 보이는 무독성 생물농약에 관한 것으로 이의 제조방법 및 용도, 그리고 포장에서의 시비방법을 포함하는 적용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에 대한 인식이 날로 확산되어 나감에 따라 화학농약 사용으로 인한 인체 및 생태계에 미치는 영향 등에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있는 추세이며 95년 기준 국내 화학농약 사용량이 년간 약 30만 톤에 이르러 이미 인체와 생태계에 심각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 특히, 화학농약을 지속적으로 사용함으로써 화학농약에 저항성을 나타내는 병, 해충, 잡초의 수가 날로 늘어나고 있으며, 특히 최근 그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는 골프장의 화학농약 사용량은 같은 면적의 농경지에 살포되는 화학 농약량의 5배에 달할 뿐만 아니라 독성이 강한 것이 큰 문제로 지적되고 있다.
유기농법 및 환경 친화적인 골프장 잔디관리에 대한 관심은 80년대 중반 이후 주로 해외에서 수입된 미생물제제를 활용하면서 실제 필드(Field)에 적용되기 시작하였으나, 도입된 미생물제제가 국내 토양 환경에 잘 부합되지 못하였을 뿐만 아니라 유통업자와 사용자들의 오용으로 인하여 실제 그 효과를 백분 활용되지 못한 것이 사실이다. 골프장 잔디관리의 경우, 90년대 중반에 이르러 몇몇 선도적 골프장에 의해 국내 토양환경에서 길항미생물을 분리, 활용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효율적인 미생물 농약 제제 개발의 실패와 코스관리인들의 미생물 농약의 효용성에 대한 보수적 시각으로 인하여 본격적으로 그 활용이 확산되지는 못하였다.
이 과정에서 골프장 잔디병에 대한 생물학적 방제에 관한 다수의 연구결과가 집적되었는데, 그 주된 내용은 보다 효율적인 잔디관리 및 병해방제를 위해서는 생물학적 관리가 중요함을 개시하는 것이었다.
잔디에 발생되는 대표적인 식물병에는 피시움 블라이트(Pythium blight), 브라운 패치 (Brown patch) 및 라지패치 (Large patch, 대형갈색 마름병) 등이 있으며 이중 피시움 블라이트가 가장 빈번하게 발생되고 또한 가장 큰 문제를 일으킨다.
이 중 피시움 블라이트 병은 화학농약처리로도 완전한 방제가 힘들고 병 발생지역에 병원균의 포자가 상존하게 되므로 화학농약의 처리로 일시적으로 방제효과가 나타나긴 하지만(속효성), 화학농약의 처리가 중단되면 같은 지역에서 계속 병반이 발생하게 될 뿐만 아니라, 지속적인 화학농약의 처리는 토양약화를 초래하여 병 발생지역을 광역화시킴으로써 좀 더 고독성 농약을 사용하게 되거나, 그 처리농도 및 양이 지속적으로 증가시켜야 된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이는 병원성 미생물의 내성 증가로 연결되어 고독성, 고농도의 화학농약을 사용하여야 한다는 악순환이 지속되는 단점이 있다. 이에 대하여 미생물 농약의 처리는 처리기간이 지속될수록 토양환경내에 토착화됨으로써 병원성 미생물과의 길항력이 증가되고 병원성 미생물의 내성 증가를 원천적으로 방지함으로써 화학농약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환경 친화적이고 오염없는 잔디 관리 및 농작물 재배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지니고 있다.
심 등(1995) 은 우리나라 골프장의 잔디병해 방제는 거의 전적으로 화학농약에 의존하고 있으며 탯취가 과다하게 집적되어 병원균의 서식처가 되고 농약침투를 저하시켜 효과적인 방제가 어려운 실정이므로 생물농약 방제를 포함한 종합적인 방제가 필요하다고 보고하였다. Fermanian (1997) 도 화학적인 방법만으로는 잔디의 병을 근본적으로 방제할 수 없다고 하였으며, 살균제는 탯취를 분해하는 미생물 활동을 억제시켜 탯취가 과다하게 축적된다고 보고하였다 (Smiley & Graven, 1978). 빈번하고 과다한 농약 사용이 토양을 경화시키고 약효의 감소를 초래한다는 보고(Throssell, 1997)와 저항성 내성병균의 발생 등으로 화학농약에 의한 방제의 한계점을 시사한 Sanders (1984) 보고로부터 농약 사용을 저감시키고 환경 친화적인 잔디관리와 방제의 효율성 증대를 위해서는 생물학적 병 방제 및 관리의 필요성이 절실함을 시사 받을 수 있다.
국내에서 길항미생물을 이용한 잔디병 방제의 활용은 극히 적은 편이었으나, 트리코더마 나 방선균류 등 단일 미생물 종에 의한 잔디병 방제 시도가 있었다. 정 등(1998)의 보고에 의하면 Gliocladium sp. Pseudomonas sp. 등의 길항 미생물이 zoysiagrass의 대형 갈색마름병 방제에 효과적이었으며, 심 등(1997)의 보고 또한 길항균인 Trichoderma harzianum, bacillus amyloiguefaciens 와 Pseudomonas putida가 무처리구에 비하여 높은 방제가를 보였다고 하였다. 그러나, 아직까지 우리나라에서 길항미생물을 이용한 잔디병 방제는 제한적이고 초보적 단계에 불과한 실정이다 (박 등, 1995).
국외에서는 잔디병 방제에 이용되는 길항미생물이 많이 보고되고 있다 (Burpee, 1987). 비병원성인 Typhula phacorrhiza를 곡류에 증식시켜 creeping bentgrass (양잔디)에 100g/m2와 200g/m2의 농도로 처리한 결과 Thyphula blight를 44 70% 방제할 수 있었으며, 연중 2회 처리한 결과 처리 후 16개월까지 방제효과가 지속되었다. 그리고, 비 병원성인 Rhizoctonia spp. 로 creeping bentgrass에 발생되는 brown patch를 방제하였으며 (Burpee, 1984), Kentucky bluegrass에서 발생되는 summer patch를 토양에서 분리한 길항세균으로 50% 이상 방제하였다 (Kobayashi 등 1996; Thompson 등, 1996). 또한 GM460과 TRBG 길항 미생물을 tall fescue에 병용 사용하였더니 pythium blight 발병율이 30~36%에서 14~26%로 감소되었고 (Gary, 1994), Nelson과 Craft(1992)는 Pythium aphanidermatum의 병원균에 의해 발병되는 pythium blight병을 길항세균의 사용으로 54.5%의 방제효과를 얻었다고 한다. 그러나, 단일 길항미생물의 단독처리로는 완전한 방제가 어렵다는 한계를 지니고 있으므로 병원성 미생물을 포함한 토양생태 환경을 종합적으로 고려한 혼합 미생물제제의 투여가 바람직 할 것이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 하고자, 본 발명은 골프장의 잔디나 농가의 주요 소득원으로 등장한 비닐하우스 등의 온실 또는 특용작물 재배시 사용하는 화학농약의 폐해를 조금이나마 줄여보기 위해 자연 생태계의 상호 경쟁관계를 이용하여 무독성, 무공해 생물농약을 개발한 것으로서, 방제 효과가 탁월한 식물병원균 방제에 유용한 무독성 생물농약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잔디의 여러 가지 질병에 대해 방제효과를 갖는 푸른곰팡이 등 사상균류와 배실러스 등 세균류의 길항미생물을 분리하여 제조된 무독성 생물농약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히 설명하면, 본 발명에서 사용한 사상균류로는 트리코더마 속 푸른 곰팡이와 페니실리움 속 그리고, 아스퍼질러스 속 미생물이었으며 각각 골프장 및 일반 잔디 토양에서 분리되었다. 균주동정 결과, 각각 트리코더마 하지아눔 (Trichoderma harzianum), 아스퍼질러스 나이거 (Aspergillus niger), 페니실리움 프레퀸탄스 (Penicillium frequentans)로 밝혀졌으며 이를 KCTC 에 기탁(기탁번호 ; KCTC 0721BP ) 하였다. 본 발명에서 사용한 세균류로는 배실러스 속 고초균과 슈도모나스 속 그리고, 아쓰로박터 속 미생물이었으며 역시 각각 골프장 및 일반 잔디 토양에서 분리되었다. 균주 동정 결과, 각각 배실러스 써틸리스 (Bacillus subtilis), 슈도모나스 플로레센스 (Pseudomonas fluorescent) 및 아쓰로박터 속 (Athrobacter terrengens) 미생물로 밝혀졌으며 역시 이를 KCTC 에 기탁(기탁번호 ; KCTC 0720BP ) 하였다.
곰팡이의 보관 방법은 plate상에서는 PDA(Potato dextrose agar)배지를 이용하고 4℃에 보관하였으며 2개월에 한번씩 계대배양 하였다. 스탁(stock)보관으로는 실리카 겔 (silika gel)을 이용하였다. 균주 보관용 튜브에 실리카 겔을 넣고 멸균 후 일주일정도 dry oven에 건조시켰다. 그리고 멸균된 7% 스킴 밀크(Skim milk) 0.1ml로 계대한 plate의 균주 포자(spore)를 긁어 모은 후 건조시킨 실리카 겔에 넣어 vortexing한 후 밀봉하여 건조기(desiccator)에 보관하였다.
곰팡이의 대량배양은 두 가지 방법으로 하였다. 경제적인 측면을 고려하여 본 발명자들이 개발한 값싸고 단순한 액체배지 또는 고체배지를 사용한 배양으로 나눌 수가 있는데 액체배지로는 (Yeast Peptone 10g/L, Na-Acetate 1g/L, Glucose 40g/L, 소포제 0.67g/L 또는 YMB(Yeast extract 3.0g, Malt extract 3.0g, Peptone 5.0g, Dextrose 10.0g /Distilled Water 1L )를 사용하였는데, 특히 본 배지에서 푸른 곰팡이의 성장속도가 우수하였다. 주위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쌀겨, 밀기울, 우모분을 사용한 고체배지(쌀겨 : 밀기울 : 우모분 = 3:6:1, 물 - 50%) 의 경우, 전반적으로 모든 사상균들의 생장이 양호한 편이었으며, 특히 Aspergillus niger의 경우의 생장이 좋았다 ( g당 1013세포).
세균의 보관방법은 plate상에서는 NA(Nutrient agar)배지를 이용하고 1개월마다 계대배양하였다. 스탁(stock)보관으로는 M523 액체배지에서 키운 세균을 30% glycerol에 배양액을 혼합하여 70℃ 냉장고에서 보관하였다. 세균의 대량배양은 M523 액체배지를 사용하여 35℃, 150rpm, 12~24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후 각각의 미생물 균체와 배양액은 물로 약 100배 정도 희석하여 잔디에 살포하였는데 봄부터 가을까지 총 7~10회 살포한 결과 잔디질병 예방효과가 매우 우수하여 예년 대비 화학농약의 사용량이 약 80%이상 줄었으며 이를 경제적으로 비교해 본 결과 화학농약 사용 비용의 1/10 이하라는 극히 저렴한 비용으로 상기와 같은 우수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을 알았다. 본 미생물 농약은 각각의 미생물 배양체의 농도가 사상균류는 각각 단위 면적 cm2당 적어도 104세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5세포 이상의 농도로 투여함으로써, 세균류는 각각 단위면적 cm2당 적어도 105세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6세포 이상의 농도로 투여함으로써 식물병원성 미생물에 대한 길항효과를 볼 수 있다.
본 발명자들은 또한 위의 방법으로 생산한 각 미생물들이 어떻게 잔디질병에 효과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실험실에서 여러 종류의 잔디 병원균들에 대해 실험해 본 결과, 푸른 곰팡이는 주로 병원균들의 성장을 물리적 간섭 및 기생으로 생장을 억제하는 길항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었다. 그 이외의 사상균류 및 세균은 주로 항생물질의 분비와 먹이사슬에 있어서 영양원의 경쟁 등 토양생태환경 내 경쟁에 의한 길항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관찰되었다. 한편, 본 발명자들은 벼 문고병, 토마토 역병, 오이 잿빛 곰팡이병 등에 대해서 위의 방법으로 생산한 트리코더마 속 미생물 (푸른 곰팡이) 과 배실러스 속 미생물을 포함한 길항 미생물제제의 발효여액을 시험해 본 결과 역시 매우 우수한 방제 효과가 있음을 발견하였다. 즉, 이들 길항미생물 균체 뿐만 아니라 균체가 분비하는 산물에 의해서도 식물 병원균에 대한 방제 효과가 있음이 확인되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미생물 농약을 사용하게 되면, 기존의 화학농약 사용량이 크게 감소하게 되어 인체와 생태계에 미치는 악영향을 현저히 줄일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본 생물농약의 제조비용이 화학농약에 비하여 크게 저렴하므로 경제적인 이득까지 얻을 수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 예들에 의해 구체적으로 기술하겠는데 하기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예시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지 않는다.
실시예 1 (길항 미생물의 분리)
각각의 길항 미생물들은 직접 토양에서 얻은 것으로 TLA(triple layer agar)와 Dual plating 을 통해서 길항 미생물들을 선별하였다. 우선 TLA(triple layer agar)는 한국식물병리학회지(1987)에 소개된 방법으로 plate를 3단계로 나누어 병원균에 길항력을 갖고 있는 미생물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그리고 Dual plating 은 plate의 양쪽 끝에 병원성 미생물과 일반 미생물을 접종하여 우점 및 저지환(clear zone)을 형성하는 길항 미생물을 분리하는 방법이다. 이렇게 얻은 길항 미생물들을 가지고 plate에 도말한 병원성 균주 위에 길항 미생물을 접종해서 다시 길항력이 우수한 미생물을 분리해 냈다. 이 균주들을 가지고 직접 field test를 한 결과 최종적으로 선별된 길항 미생물들이 사상균은 Aspergillus sp., Penicillium sp., Trichoderma sp. 3종이며, 세균은 Arthrobacter sp., Bacillus sp., Pseudomonas sp. 3종이다.
실시예 2 (길항 미생물의 배양 및 미생물제제의 제조)
사상균의 대량배양은 액체배양과 고체배양 모두 가능하다.
액체배양은 4℃에 보관된 감자한천배지로부터 500 mL의 감자액체배지(PDB)로 푸른 곰팡이를 접종하고 25 내지 30℃에서 약 2일간 진탕 배양한 후 30L발효의 종 배양으로 사용하였다. 이 때, 동일 성분의 배지를 계속 사용한다. 주 발효조에서 발효시간은 약 48시간이었으며 온도는 30℃로 조절하고 통기속도는 0.3vvm정도로 유지하였고 배지의 pH는 발효초기에 초산을 첨가하여 pH 5 로 조정한 후에 자동조절은 행하지 않았다. 발효가 끝난 후 푸른 곰팡이 균체와 배양액은 함께 4℃ 저온 창고에 보관하였다. 또는, 본원 발명에서 간단히 제조한 Yeast Peptone 10g/L, Na-Acetate 1g/L, Glucose 40g/L, 소포제 0.67g/L 로 구성된 배지 혹은 YMB(Yeast extract 3.0g, Malt extract 3.0g, Peptone 5.0g, Dextrose 10.0g /Distilled Water 1L )배지에서 30℃, 36 ~ 72 시간 동안 호기적 조건에서 배양하였다.
고체배양은 쌀겨, 밀기울, 우모분을 사용한 고체배지(쌀겨 : 밀기울 : 우모분 = 3:6:1, 물-50%) 를 사용하여 30℃, 10 ~ 30일간 정치배양 하였다.
세균의 대량배양은 M523 액체배지 (soluble starch 0.5%, yeast extract 0.05%, peptone 0.05%, K2HPO40.3%, MgSO40.02%)를 사용하여 35℃, 150rpm, 12 ~ 24시간동안 호기적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실시예 3 (미생물제제의 처리)
(1) 사상균류에 의한 식물 병원균들에 대한 길항작용 확인
실시예 1에서와 같이 골프장 잔디질병에 우수한 효과를 보인 사상균류의 작용기작을 알아보기 위해 한천배지 상에서 잔디 병원균을 포함한 여러 가지 식물 병원균들에 대한 중복 기생작용을 다음과 같이 조사하였다. 먼저 Phytophthora sp.은 RyeB 배지에서, 나머지 식물병원균들은 PDA배지에서 배양하였다. 다음, 지름 6mm의 크기로 잘라낸 본원 발명의 사상균류와 식물 병원균의 균사 조각을 서로 대치하여 배양하고 균사간의 접촉이 일어난 지 5일째에 접촉부분을 절취하여 광학 현미경하에서 균사간의 상호작용을 관찰하였다. 그 결과, 대부분의 경우 접촉면에서 병원균의 생장이 정지하는 간섭효과를 나타내다가 곧 식물 병원균의 균총이 사상균류 (특히, 트리코더마 속 미생물)의 균사에 의해 뒤덮히는 현상이 관찰되었다. 실험에 사용한 14종의 식물 병원균 중에 Botrytis cinerea 외 4종에서 penetration 과 coiling 의 중복 기생작용이 관찰되었다.
(2) 미생물제제의 잔디 병원균들에 대한 길항효과의 확인
미생물 처리 시험에 사용된 미생물들은 사상균으로서 Aspergillus sp., Penicillium sp., Trichoderma sp. 3종 이었으며, 세균은 Arthrobacter sp., Bacillus sp., Pseudomonas sp. 3종이었고, 미생물제 처리는 미생물제 I (Tichoderma harzianum 포함 사상균 3종 혼합배양액), 미생물제 II : (Bacillus subtilis 포함 세균 3종 혼합배양액), 미생물제 III : (Tichoderma harzianum 포함 사상균 3종 + Bacillus subtilis 포함 세균 3종 혼합배양액), 미생물제 IV: (Tichoderma harzianum 포함 사상균 2종 혼합배양액), 미생물제 V: (Bacillus subtilis 포함 세균 2종 혼합배양액)를 제조하여 각 제제가 갖는 길항효과를 관찰하였다.
먼저 멸균된 토양에 잔디를 파종한 후 격리시킨 다음 잔디가 3~5cm정도로 자라면 여기에 미생물제제(Ⅰ,Ⅱ,Ⅲ,IV,V)를 2주간격으로 3회 처리 한 다음 병원균인 Pythium aphanidermatum, Rhizoctonia solani를 cm2당 105이 되도록 잔디에 공격 시킨 후 2주일간 관찰하였다.
2주일후의 결과는 표1과 같다.
〈표 1〉
대조구(병원균/미생물제 미처리) 제제 Ⅰ(Ⅳ)(병원균 처리군) 제제 Ⅱ(Ⅴ)(병원균 처리군) 제제 Ⅲ(병원군 처리군) 비교구(병원균처리/미생물제 미처리군)
Pythium aphanidermatum +++++ +++(+++) +++(++) +++++ +
Rhizoctonia solani +++++ +++(++) ++(++) ++++ +
사상균류 또는 세균류만을 포함한 제제의 경우에도 비교구에 대하여 탁월한 길항(방제)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상기 두 제제 처리의 경우보다 두 균류 모두를 포함한 제제 (III) 에서 적어도 20% 이상의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3) 포장시험
T. harzianum을 포함한 3종의 사상균류 만을 포함한 미생물 제제 (I), B. subtilis를 포함한 3종의 세균류만을 포함한 미생물제제 (II) 및 T. harzianum 와 B. subtilis 를 포함하여 6종의 사상균류 및 세균류 포함한 제제 (III) 와 무처리구를 주구로 두었으며, 비료의 시비 수준에 따라 고시비구 (연간 25g/m2) 와 표준시비구 (연간 10g/m2) 를 각각 세 구로 두어 시험을 수행하였다. 또한, 미생물 처리는 사상균류의 경우, 각각 단위 면적 cm2당 적어도 104세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6세포 이상의 농도로 투여함으로써, 세균류는 각각 단위면적 cm2당 적어도 105세포,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107세포 이상 균체가 시비되도록 하였다.
각각의 미생물은 사상균의 경우 감자액체배지 (Potato dextrose broth, PDB)에서 15일간 30℃로 정치 배양 후 균체를 수거하여 homogenizer로 분쇄하여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세균의 경우 M523(soluble starch 0.5%, yeast extract 0.05%, peptone 0.05%, K2HPO40.3%, MgSO40.02%)에서 30℃, 10시간 동안 150rpm으로 진탕 배양한 후 균체를 침전시켜 접종원으로 사용하였다. 사상균과 세균의 농도는 약 106~ 1010/ml 이었다. 미생물제 I, II, III 은 각각의 균주 조합을 지하수로 15배 희석하고 요소 1g /D.W 1L, Sucrose 20g / D.W 1L 을 추가로 첨가하여 녹인 후, 화단용 물뿌리개를 이용하여 1L/m2씩 관주하였다. 미생물제제 처리시기는 97~98년 2년동안 5,6,7월 중하순에 년간 3회 처리하였다.
실시예 4 (미생물제제 사용으로 인한 잔디 병해 방제용 농약사용 절감효과 시험)
(1) 시험포장 및 처리방법
대전소재의 Y 골프장에 있는 전체 그린(Green), 연습 그린, 양묘장의 총면적 18,000 m2에서 1993~1995년 까지는 전통적 화학적 관리(농약사용) 방법으로 관리하였으며 1996~1998년의 기간에는 길항미생물제 III 을 zoysiagrass에서 미생물처리 효과시험과 동일한 방법으로 (년간 5~7회) 처리하였고, 추가의 농약처리는 미생물처리 후 4~5일이나, 비온 후 바로 처리하였으며, pythium blight 방제 농약인 metalaxyl 과 edizole 등은 사용하지 않았다.
경기도 소재의 H 골프장 경우 예년에는 농약으로만 잔디관리를 해 왔는데 1998년과 1999년에 길항미생물을 전체 그린(Green), 연습 그린, 양묘장에 처리하였다. 1998년에는 연간 12회를 사용하였고1999년에는 연간 8회만을 처리하였다. 추가의 처리는 Y 골프장과 같이 하였다.
경기도 소재의 K 골프장 경우 예년에는 농약으로만 잔디관리를 해 왔는데 1999년에 길항미생물을 전체 그린(Green), 연습 그린, 양묘장에 처리하였다. 1999년에 12회를 사용하였고 추가의 처리는 같이 하였다.
(2)조사방법
각 골프장 해당 년도의 연도별 그린에 사용한 농약 사용량을 계산하여, 연도별 변화추이를 조사하였다.
〈 골프장 잔디질병에의 방제효과 〉
대전 소재의 Y 골프장에서 1996년부터 1998년까지 본 미생물제제를 creeping bentgrass에서 실험하였다. 양잔디(Creeping bentgrass)에서 농약만을 3년 동안 사용할 때의 발병정도와 농약과 미생물을 병행 사용할 때의 발병정도를 비교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표 2〉 Y 골프장에서 길항 미생물이 양 잔디의 병 발생에 미치는 영향(1993년∼1998년)
미 생 물 년 도 발 병 율(%)
피시움 블라이트 브라운 패취 달라스팟 옐로우패취 탄저병 조류
무처리 1993 8.8 11.3 0.4 7.8 7.8 4.0
1994 7.8 10.0 0.5 7.0 9.5 4.5
1995 8.8 9.5 0.0 5.8 7.8 5.0
평균 8.5 10.3 0.2 6.9 8.4 4.5
처리 1996 0.5 13.0 0.9 3.0 7.0 11.3
1997 0.3 15.8 2.0 2.0 7.1 9.5
1998 0.5 16.3 1.4 1.8 8.3 20.0
평균 0.4 15.0 1.4 2.3 7.4 13.6
농약을 단독 사용한 3년간(1993년 1995년) 발생된 잔디 병들을 발병율이 높은 순서대로 보면 브라운 패취 10.3%, 피시움블라이트 8.4%, 탄저병 8.3%, 옐로우 패취 6.8%, 조류 4.5%, 달라 스팟 0.3%로 나타났다. 그러나 미생물을 사용한 3년간(1996년 1998년)의 발병정도는 브라운 패취 15%, 조류 13.6%, 피시움블라이트 8.4%, 탄저병 8.3%, 옐로우 패취 6.8%, 달라 스팟 0.3%로 나타났다.
화학농약을 사용한 경우와 비교해 보면, 발생되는 병해의 profile이 변화된 것을 알 수 있었으며, 발명횟수 및 규모등에서 미생물 농약의 처리는 화학농약에 비하여 가장 빈발하고 문제시 되는 여러 종류의 잔디 병에 대하여 화학농약 처리와 유사한 정도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는데 특히, 피시움 블라이트 병해에 있어서는 화학농약 처리구보다도 우수한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전반적으로 농약사용량은 70% 이상 저감되었고, 사용대금 기준으로는 대략 30%의 절감효과를 보였다. 한편, 미생물 농약의 처리를 여러해 지속하는 경우 보다 적은 투여량과 투여횟수로도 효과적인 방제가 가능함을 알 수 있었는데 이는 길항미생물이 잔디토양내에 정착함에 따라 나타난 결과로 보여진다.
〈경기도 소재의 H 골프장에서의 누적결과 〉
〈표 3〉 그린과 티에서 미생물 제제를 사용한 후의 농약사용량 저감율 (H 골프장)
99년도 농약 사용량(㎏) 감소율(%)
*97 년 248.9 -
98 년 91.2 67.9('97vs. '98)
99 년 62 78.2('97vs. '99)
〈표 4〉 그린과 티에 미생물 제제를 사용한 후의 농약사용량 저감율 및 금액비교(K 골프장)
년도 농약 사용량(㎏) 농약사용대금(원)
98 년 1,070.7 47,733,634
99 년 275.3 7,982,200
증감율(%) 74.3 81.3
실시 예 1의 방법에 의해 제조된 생물농약 약 500L를 물로 약 100배 희석하여 골프장의 그린, 티, 훼어웨이 전체(면적: 약 17ha)에 봄부터 가을까지 총 6 ~ 10회 골고루 살포한 결과 화학농약의 사용량이 예년 대비 약 80% 감소하였고, 잔디의 상태도 아주 양호하였다.
실시예 5 (유용 토양미생물 조사)
잔디 토양의 유용미생물 중에 병원균의 길항작용과 관련이 있는 Chitin 분해효소를 가진 미생물과 잔디의 잔유물 탯취의 성분으로 식물섬유소 분해효소를 가진 미생물의 밀도를 조사하였다.
(1) Chitin 분해 미생물 밀도 조사
Chitin 배지 제조용으로 colloidal chitin을 만드는 방법은 다음과 같다. Crude Chitin을 1M의 NaOH와 1M의 HCl로 24시간 동안 5번씩 번갈아 씻어낸 후 95% ethanol로 4번 씻어내었다. 이어서 Chitin 15g을 HCl 100ml에 넣고 용해 시킨 후 glass wool로 통과시키고 이 용액을 차가운 증류수에 부어 Chitin을 침전시켰다. 그리고 용해되지 않은 찌꺼기는 다시 HCl을 처리하여 더 이상 침전되지 않을 때까지 반복하여 Chitin을 회수하였다. 회수한 Chitin을 물에 희석하고 하룻동안 방치시킨 후 부유상태에서 NaOH로 중화시켜 원심분리한 후 반죽된 상태로 4℃ 냉장고에 보관하여 사용하였다.
Chtin 분해 미생물 밀도는 채취한 토양 시료를 살균수로 연속적으로 희석한 후 colloidal chitin을 0.3%를 첨가한 배지 (colloidal chitin 3g, (NH4)2SO42g, Na2HPO41.1g, KH2PO40.7g, MgSO4. 7H2O 0.2g, FeSO40.001g, MnSO40.001g, D.W 1L)(Dhibgra and Sinclair ,1985)에 희석한 토양액을 pour plate 하여 상온 (20~30℃)에서 2~3일간 배양 후 배지에 나타난 균총 (colony) 중에 균총 주위에 저지환(clear zone)을 형성하는 균총수를 조사하였다.
(2) 식물섬유소 분해 미생물 밀도 조사
식물섬유소 분해 미생물 밀도조사를 위해서 Dhibgra 와 Sinclair (1985)의 방법을 수정하여 식물섬유소 (lignocellulose) 한천 배지를 제조하였다. 식물섬유소로는 담배 식물체 잎을 곱게 갈아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10,000rpm 에서 침전시킨 후 수용성 물질을 제거하였다. 또, Ethanol로 다시 씻어낸 후 건조 시켜서 곱게 갈아 말린 식물체 잔유물을 사용하였다. 이 식물섬유소 분말을 1%의 농도로 섞어 1.5% Agar 배지를 만들어 사용하였다. 미생물의 밀도조사는 위의 Chitin 분해 미생물 밀도 조사에서와 같이 배지에 pour plate 한 후 배지상에서 주위에 투명대를 형성하는 균총의 수를 조사하였다.
〈 토양 중 유용미생물 밀도에 미치는 영향 〉
미생물제 처리에 따른 토양 중 유용미생물의 밀도를 조사하였다. 유용미생물로는 탯취 분해와 관련된 식물섬유소 분해 미생물과 식물의 곰팡이 병원균의 길항작용과 관련이 있는 (Park et al., 1995) chitin 분해 미생물을 대상으로 하였다. 표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섬유소 분해 미생물 밀도는 시비수준에 관계없이 미생물처리구에서 높게 나타났다. 미생물제 종류별로는 시비수준에 따라 섬유소 분해 미생물 밀도가 다소 차이를 보였으나, 전체적으로 유의성 있는 차이는 없었다. 이러한 결과로 보아 미생물제를 처리하였을 때 탯취가 감소된 것은 미생물처리구에서 섬유소 분해 미생물의 밀도가 높아졌기 때문으로 사료된다.
Chitin 분해 미생물의 밀도는 표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미생물처리에 의해 Chitin 분해 미생물이 다소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 실험에서 처리한 것과 동일한 미생물제를 bentgrass green에 처리하였을 때 pythium blight의 방제효과가 매우 우수하였다. Pythium blight의 원인인 Pythium spp.은 진균과는 달리 균사의 세포벽에 chitin이 함유되어 있지 않은 하등균류이기 때문에 chitin 분해 활성 자체만으로는 이 균의 발생 억제를 설명하기 어렵다. 또한, 이 실험에서 미생물처리구와 대조구 사이에 chitin 분해 미생물 밀도에 유의성 있는 차이가 없었으므로 green에서의 pythium blight 병방제 효과는 chitin 분해와는 큰 상관이 없는 것으로 사료된다.
〈표5 〉 미생물처리와 시비수준에 따른 유용미생물의 밀도
시비수준(g/㎡) 미생물제종류 미생물의 CFUY(X104/g soil)
Cellulolytic Chitinolytic
10 7.7 3.6
5.8 3.8
6.6 2.6
Control 2.5 2.3
25 7.4 3.3
7.1 3.7
8.6 6.0
Control 4.5 3.3
xⅠ:사상균류(3종),Ⅱ:세균류(3종), Ⅲ:사상균류(3종) + 세균류(3종)
yCFU : colony forming unit
실시예 6 (토양 미생물제에 의한 탯취(Thatch thickness) 분해정도 및 생육조사)
관리방법에 따라 탯취의 축적 정도를 알아보기 위해 직경 4.5 cm, 깊이 7cm의 hole cutter를 제작하여 core를 채취하였으며, 한 시험구당 5개의 core를 떠서 각각의 탯취 두께를 측정하였고, 탯취 측정 지점은 W자 모양으로 선정하였다.
〈 미생물 농약 처리가 탯취축적 및 잔디질에 미치는 영향 〉
Zoysiagrass에서 미생물처리에 따른 탯취두께를 비교한 결과 97년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98 년도에는 미생물처리구에서 2.1cm, 대조구에서 3.0cm로 대조구에서의 탯취층이 0.9cm 더 두꺼웠다(표6). 또한 97년도에 고시비구에서 저시비구보다 탯취가 증가하는 결과를 보였으나 98년에는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이는 미생물 농약의 지속적인 처리로 인한 길항 미생물의 토착화와 이들의 탯취 분해 역할로 인하여 비료의 고시비에도 불구하고 탯취가 더 이상 증가하지 않은 것으로 판단된다. 따라서, 실제 골프코스에서 지속적인 탯취관리를 위해서는 미생물농약의 지속적인 처리가 유효성을 갖음을 알 수 있었다. 미생물 처리가 탯취의 집적정도를 감소시킨 결과와 98년에 미생물처리와 시비수준에 따른 유기물 함량을 비교해 볼 때 미생물처리구 1.4 (Kg/m2) 이고 무처리구는 1.5(Kg/m2) 로서 미생물처리구의 탯취는 감소하였으나 유기물 함량에 있어서 유의하게 감소되는 결과를 볼 수 없었다. 이와 같은 결과를 통하여 볼 때, 미부숙 탯취층 두께 감소분이 지하분 토양층에서 분해되어 토양화하였으나 전체 유기물함량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또한, 골프공이 미생물처리구에서 대조구에 비해 평균 0.3cm 더 높이 튀는 것으로 볼 때(표7), 탯취의 감소가 잔디의 탄력성의 증가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볼 수 있다.
〈표6〉 zoysiagrass의 미생물처리와 시비수준에 따른 탯취두께의 변화(1998년)
시비수준(g/㎡) 미생물제종류 텟취두께(㎝)
7월 11월
10 2.1 2.1
2.1 2.3
2.2 2.2
Control 3.0 3.1
평균 2.4 2.4
25 2.1 2.1
2.1 2.3
2.1 2.2
Control 3.0 3.0
2.3 2.4
xⅠ:사상균류(3종),Ⅱ:세균류(3종), Ⅲ:사상균류(3종) + 세균류(3종)
〈표 7〉 zousiagrass의 미생물 처리와 시비수준에 따른 잔디의 탄력성(1998년)
시비수준(g/㎡) 미생물제종류 골프공의 탄력성(㎝) 평균
6월 7월 8월 9월 10월
10 8.5 9.3 9.0 9.0 9.6 9.1
8.5 9.4 9.1 9.2 9.7 9.2
8.5 9.6 9.2 9.1 9.7 9.2
Control 8.0 8.9 8.8 8.7 9.5 8.8
25 8.6 9.4 9.1 9.0 9.8 9.2
8.6 9.4 9.0 9.0 9.3 9.1
8.5 9.2 9.1 9.1 9.8 9.1
Control 8.1 8.9 8.6 8.7 9.7 8.8
xⅠ:사상균류(3종),Ⅱ:세균류(3종), Ⅲ:사상균류(3종) + 세균류(3종)
실시예 7 (골프장 개장년도별 탯취두께 및 대형 갈색마름병 발병과의 관계)
골프장의 개장 연대 별 탯취두께와 대형 갈색마름병 병발생 관계를 추정해 보고자 조사하였다. 개장으로부터 25년 이상 경과한 A골프장과 B골프장의 탯취층 두께는 평균 5.3cm와 5.4cm인데 비해 비슷한 시기에 개장한 C골프장 탯취층 두께는 3.3cm 이었다. 그러나 개장으로부터 10~15년 경과한 D,E,G 골프장의 경우 4.0~4.3cm의 탯취층 두께를 보였으며 같은 기간대에 조성된 F골프장은 3.0cm의 탯취층 두께를 보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 이는 탯취축적은 개장 년도에 관계없이 잔디관리방법이 탯취축적에 영향을 준다는 보고들 (Carrow 등, 1987; white, Dickens, 1984; Smilley 등, 1985; Shearman 등 1980)과 일치하였다.
대형 갈색마름병 문제가 심각하게 발생되고 있는 골프장은 A,B,D,F와 G골프장으로 모두 같은 연대에 조성된 골프장 잔디에 비해 탯취 집적정도가 높은 결과를 볼 수 있다. 이는 관리방법이 잔디의 연령에 우선되는 탯취 집적 요인인 것으로 판단할 수 있는 근거로 생각되며, 최근 zoysiagrass 훼어웨이를 가지고 있는 국내골프장의 가장 큰 문제인 대형 갈색마름병의 발생과 관련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미생물 농약의 시비를 통한 탯취집적 감소효과는 대형 갈색마름병 방제 효과와 깊은 관련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판단되며, 탯취 분해에 효과가 있는 본원발명의 미생물제로 대형 갈색마름병의 일부 방제가 가능할 것으로 생각된다.
실시예 8 (기능성 부형제 첨가에 의한 효과 (키토 올리고당 ))
실시예 2의 방법으로 제조한 미생물제 I, II, III 각각에 기능성 부형제인 키토산 (다조아, 건풍바이오)을 1 ~ 20% (W/W) 씩 첨가하여 실시예 3의 (1) 과 동일한 방법으로 잔디병해 방제효과에 대한 영향정도를 조사하여 보았다.
결과, 전반적으로 방제효과가 다소 증진되었으며, 특히, 잔디의 질과 생육정도 미생물제만을 처리한 것보다 향상되는 결과를 얻었으나, 그 차이는 크지 않았다.
실시예 9 길항미생물 (미생물제 III) 배양여액의 식물병 방제 효과
여러 가지 농작물에서 발생하는 식물병의 방제에 본 생물농약을 실제로 이용할 수 있는지의 가능성을 조사하기 위해 본 발명의 푸른 곰팡이 배양여액을 벼 문고병 (RSB), 토마토 역병 (TLB), 오이 잿빛 곰팡이병(CGM), 보리 흰가루병(BPM) 등에 대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사용하여 보았다. 먼저, 실시예 1의 방법으로 발효한 푸른 곰팡이 배양액을 4겹의 거름종이 (Whatman No. 2)로 걸러 균사체를 제거하였으며 동결건조기를 이용하여 여액을 건조 한 후 물을 첨가하는 방법으로 농축하였다. 다음, Paper disc method를 이용하여 배양여액의 항균효과를 조사하였는데, Petri-dish 의 중앙에 지름 4mm 크기로 자른 식물 병원균의 균사 조각을 놓고 이로부터 15mm 거리에 동결건조 방법에 의해 5배 농축한 배양여액 25ul 를 묻힌 지름 1/4 inch paper disc를 90℃ 각도로 네 방향에 놓았다. 병원균의 균사 생장정도를 16,24,48 시간 후 대조구와 비교하여 조사하였는데, 14종의 식물 병원균들 모두에 대해 어느 정도의 항균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특히 Phytophthora sp. 와 Pythium sp. 에서 높은 효과를 보였다. 특히 24시간 후에 Botrytis cinerea 와 Magnaporthegrisea 에서 각각 30% 와 33%, Rhizoctonia sp.에서는 18 ~ 53%의 균사 생장저지 효과를 나타내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 있어서 시간이 흐름에 따라 배양여액의 효과가 사라지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배양여액의 직접적인 식물병 방제효과를 조사하기 위하여 배양여액 원액과 2배, 4배 종축액을 상기 기술한 벼, 토마토, 오이, 보리 등의 식물체에 처리하고 1일간 풍건시킨 후 각각 벼 문고병 (RSB), 토마토 역병 (TLB), 오이 잿빛 곰팡이병(CGM), 보리 흰가루병(BPM)의 식물 병원균들을 접종하였다. 한편, 배양여액 처리와는 별도로 푸른 곰팡이의 포자 현탁액도 104, 105, 106spores /mL 로 만들어 동일한 방법으로 처리하였다. 푸른 곰팡이의 배양여액은 보리 흰가루병(BPM)을 제외한 벼 문고병 (RSB), 토마토 역병 (TLB), 오이 잿빛 곰팡이병(CGM)에서 방제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오이 잿빛 곰팡이병9CGM)에 대해 본 발명의 생물농약은 대조약제 보다 월등한 방제효과를 보였다. 한편, 포자현탁액의 처리에서는 벼 문고병(RSB)에서만 어느 정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생각되며 107spores /ml 의 농도에서는 토마토 역병 (TLB), 오이 잿빛 곰팡이병(CGM)에서도 50% 정도의 방제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은 골프장의 잔디나 농가의 주요 소득원으로 등장한 비닐하우스 등의 온실 또는 특용작물 재배시 사용하는 화학농약의 사용량을 최소화하면서 효과는 최대화한 것으로서, 자연 생태계의 상호 경쟁관계를 이용하여 무독성, 무공해 생물농약으로서, 방제 효과가 탁월한 식물병원균 방제에 유용한 효과가 있는 것이다.

Claims (14)

  1. 식물병원균 방제용 생물농약 조성물에 있어서, 트리코더마 하지아눔 (Trichoderma harzianum )을 포함하여 적어도 2종 이상의 곰팡이와 배실러스 써브틸리스 ( Bacillus subtilis )를 포함하여 적어도 2종 이상의 세균을 주 활성성분으로 하는 식물병원균 방제용 생물농약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페닐시리움 속 또는 아스퍼질러스 속 미생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원균 방제용 생물농약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아쓰로 박터 속 또는 슈도모나스 속 미생물을 추가로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원균 방제용 생물농약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곰팡이류는 트리코더마 하지아눔, 페닐실리움 , 아스퍼질러스 속의 미생물을 포함하고, 상기 세균류로는 배실러스 써브틸리스, 아쓰로박터 속, 슈도모나스 플로레센스 속 미생물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원균 방제용 생물농약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기능성 부형제로서 키토 올리고당 추가로 포함하는 식물병원균 방제용 생물농약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5항의 생물농약 조성물을 이용한 식물병 방제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사상균류의 세포수가 각각 단위면적 cm2당 적어도 105이상이 되도록 시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세균류의 세포수가 각각 단위면적 cm2당 적어도 106이상이 되도록 시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 방제방법.
  9. 제 6항에 있어서, 방제대상이 잔디질병과 농작물 질병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농작물질병 중 특히 벼 문고병, 토마토 역병, 오이잿빛 곰팡이병이 주요 방제 대상 병 임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곰팡이류는 쌀겨 : 밀기울 : 우모분 = 3:6:1, 물 - 50% 로 구성되는 고체발효배지에서 일주일이상 발효시켜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원균 방제용 생물농약 조성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곰팡이류는 발효초반에 pH를 5로 낮게 조절하여 제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병원균 방제용 생물농약 조성물.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잔디질병의 방제 시 발효배양액 및 균체를 적어도
    105세포/ml 농도 이상이 되도록 물에 희석하여 사용하는 식물병 방제방법.
  14.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농작물질병의 방제 시 발효배양액 여액을 이용하는 식물병 방제방법.
KR10-2000-0003114A 2000-01-22 2000-01-22 식물병원균 방제에 유용한 무독성 살균제조성물 KR10038062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114A KR100380625B1 (ko) 2000-01-22 2000-01-22 식물병원균 방제에 유용한 무독성 살균제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114A KR100380625B1 (ko) 2000-01-22 2000-01-22 식물병원균 방제에 유용한 무독성 살균제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6322A true KR20000036322A (ko) 2000-07-05
KR100380625B1 KR100380625B1 (ko) 2003-04-18

Family

ID=196407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114A KR100380625B1 (ko) 2000-01-22 2000-01-22 식물병원균 방제에 유용한 무독성 살균제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80625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3986B1 (ko) * 2001-12-12 2004-12-30 씨제이 주식회사 슈도모나스 에스 피. af-2001을 포함하는 잔디 병해방제용 조성물
KR100513845B1 (ko) * 2001-05-25 2005-09-09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곰팡이성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미생물 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WO2008146153A3 (en) * 2007-06-01 2009-10-22 Universita' Di Pisa Method for biofertilization and bioprotection of vegetal material and bacterial formulation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91298B1 (ko) 2008-08-01 2010-11-01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아쓰로박터 조이시에를 이용한 종자의 발아 및 생육억제능이 있는 생물 농약
KR101323177B1 (ko) 2013-01-17 2013-10-30 충남대학교산학협력단 식물 병원균 방제 효과를 가지는 바실러스 속 cnu-ba-2 균주 및 이의 용도
KR101876939B1 (ko) * 2015-11-10 2018-07-11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페니실린산을 생산하는 아스퍼질러스 펄시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13845B1 (ko) * 2001-05-25 2005-09-09 주식회사 그린바이오텍 곰팡이성 병원균에 대한 방제용 미생물 Trichoderma harzianum GBF-0208
KR100463986B1 (ko) * 2001-12-12 2004-12-30 씨제이 주식회사 슈도모나스 에스 피. af-2001을 포함하는 잔디 병해방제용 조성물
WO2008146153A3 (en) * 2007-06-01 2009-10-22 Universita' Di Pisa Method for biofertilization and bioprotection of vegetal material and bacterial formulation for carrying out sai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80625B1 (ko) 2003-04-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197077B1 (ko) 항균성 미생물제제, 그 제조방법 및 처리방법
CN104498386B (zh) 酸枣内生解淀粉芽孢杆菌菌株sz23及发酵液的制备方法和应用
KR100767437B1 (ko)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kccm 10639 또는 kccm10640을 포함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들을 이용한식물병 방제 방법
NZ269070A (en) Use of <ital>streptomyces</ital> wyec 108 in controlling fungal infections in plants
CN101759493B (zh) 一种生物防病有机肥及其制备方法
KR20080095652A (ko) 바실러스 아밀로리쿼파시엔스 균주 및 이를 함유하는 제제
WO2023240910A1 (zh) 一株耐盐芽孢杆菌及其应用
KR100757298B1 (ko) 식물병 방제활성을 갖는 길항미생물과 이들을 이용한식물병방제제
KR101175532B1 (ko) 신규한 버크홀더리아 균주, 버크홀더리아 균주의 항진균성을 증가시키는 효과가 있는 미생물 대량생산용 배지 및 이 배지를 이용한 대량생산방법
CN106397030A (zh) 一种复合微生物菌肥及其制备方法
KR100380625B1 (ko) 식물병원균 방제에 유용한 무독성 살균제조성물
KR100397796B1 (ko) 항균성 미생물제제와 그의 용도
KR20080045346A (ko) 신규한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엠27 균주 및 이를유효성분으로 한 식물 균핵병 방제 방법
CN101008017A (zh) 枯草芽孢杆菌发酵产物及其制造方法和应用
CN102443559B (zh) 一株用于防治棉花黄萎病的芽孢杆菌及其应用
CN100364411C (zh) 一种微生物抗稻瘟病剂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150056209A (ko) 신규미생물 바실러스 아밀로리퀴펜션스 cc110와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미생물농약
JP2003531603A (ja) 新規のトリコデルマ属微生物菌株を利用した生物学的防除用微生物製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1419964B1 (ko) 식물 잔류물을 분해·감용하는 신규 바실루스 균주
KR20000038895A (ko) 작물의 병해 방제용 균주, 이를 함유하는 미생물제제 및 그 용도
CN114058542B (zh) 一种多粘类芽孢杆菌菌剂及其对胡萝卜根腐病的防治作用
CN102154175B (zh) 一种桥石短芽孢杆菌x23及其应用
CN104738092A (zh) 一种防治黄萎病的复合制剂及其制备方法、使用方法
CN103122330A (zh) 高寒草地牧草内生普城沙雷氏菌株gh010和其应用及以其制备的微生物菌剂和制备方法
KR100417632B1 (ko) 식물병원균에 길항력이 있는 신규한 진균 트리코데르마 하르지아눔 yc459 및 이를 이용한 미생물 제제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15R Request for early publica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403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320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430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404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