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615A - 재봉기 - Google Patents

재봉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615A
KR20000035615A KR1019990052016A KR19990052016A KR20000035615A KR 20000035615 A KR20000035615 A KR 20000035615A KR 1019990052016 A KR1019990052016 A KR 1019990052016A KR 19990052016 A KR19990052016 A KR 19990052016A KR 20000035615 A KR20000035615 A KR 200000356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rum
bobbin
sewing machine
north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20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사오히데오
스즈카와코지
마츠하시쿠니오
야마모토아키라
Original Assignee
야마오카 다께오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후미오
가부시기가이샤 사분코교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32482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9919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35832698A external-priority patent/JP3899201B2/ja
Application filed by 야마오카 다께오,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사토 후미오, 가부시기가이샤 사분코교쇼 filed Critical 야마오카 다께오
Publication of KR200000356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61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1/00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 D05B1/08General types of sewing apparatus or machines without mechanism for lateral movement of the needle or the work or both for making multi-thread seams
    • D05B1/12Lock-stitch seam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08Loop takers, e.g. loopers for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26Bobbin holders or casings; Bobbin holder or case guards; Bobbin discharge devic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7/00Loop takers, e.g. loopers
    • D05B57/30Driving-gear for loop takers
    • D05B57/36Driving-gear for loop takers in lock-stitch sewing machines
    • D05B57/38Shuttle drives
    • DTEXTILES; PAPER
    • D05SEWING; EMBROIDERING; TUFTING
    • D05BSEWING
    • D05B59/00Applications of bobbin-winding or -changing devices; Indicating or control devices associated therewith
    • D05B59/04Devices for changing the bobbi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ewing Machines And Sewing (AREA)

Abstract

밑실보빈의 북으로의 장착과 교환을 간단하게 할 수 있는 수직북을 갖춘 2바늘 재봉기나 이두형(二頭型)재봉기 등을 제공하는 것을 그 과제로 한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상축(1)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제 1재봉바늘(Na) 및 제 2재봉바늘(Nb)과, 하축(5)에 평행하게 배치된 제 1북축(9) 및 제 2북축(11)과, 각 북축(9)(11)단에 고정되어 보빈케이스 등을 가운데북에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10b)(12b)를 갖는 북부착대(臺)(10a)(12a) 및 이 북부착대의 자유단에 부착된 북(10)(12)으로 이루어지는 북체(K,K')와, 북체(K) 및 하축(5)의 회전을 제 1북축(9)에 전달하는 연동기구(17)를 지지하고, 하축(5)을 따라 이동가능한 북 축대(軸臺)(19)와, 북체(K') 및 하축(5)의 회전을 제 2북축(11)에 전달하는 연동기구(18)를 지지하며, 하축(5)을 따라 이동가능한 북 축대(20)와, 가운데북을 비회전으로 지지하는 가운데북 누름부(23)(24)로 이루어진다.

Description

재봉기{A SEWING MACHINE}
본 발명은 보빈 또는 보빈내장의 보빈케이스를 북 축 측에서 중간북으로 장착할 수 있는 신 형식의 수직북을 갖춘 재봉기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수직북을 갖춘 재봉기에 있어 보빈 또는 보빈내장 보빈케이스를 가운데북에 장착할 때는 미끄럼판을 떼어내고, 보빈 또는 보빈내장 보빈케이스를 북의 정면측에서 작업자의 정면으로 마주 대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시켰었다.
또 도 11에 도시하는 종래의 2개바늘 재봉기는 예를들어 일본국 특개평 6-81481호 공보에 개시된 것과 같이 재봉기 상축(1)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는 2개의 재봉바늘(Na,Nb)과, 상축(1)에 연동하는 하축(5)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는 제 1북축(47)에 고정된 제 1재봉기북(48)과, 재봉기베드에 대해 진퇴가능하게 한 북유닛대(49)와, 북유닛대(49)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된 북축(50)에 고정한 제 2재봉기북(51)과, 북유닛대(49)에 회동가능하게 고정됨과 동시에 제 2북축(50)에 연동하는 연결축(52)과, 연결축(52)과 하축(5)을 연동시키는 연동기구(53)를 갖추며, 그 연동기구(53)를 하축(5)에 고정한 제 1치차(54)와, 이 치차(54)와 맞물리도록 연결축(52)에 고정한 제 2치차(55)에 의해 구성함과 동시에 양 치차(54)(55)내의 최소한 한쪽을 톱니폭이 큰 평치차로 한 것이다.
또 도 12에 도시하는 종래의 이두형재봉기는 이불, 시트, 타올블랭킷 등 큰 봉제품의 생산효율을 높이기 위한 것으로 2대의 재봉기(M8)(M9)가 각각 봉제테이블(T)에서 피봉제물(S)의 이송방향과 직행하는 양측에 배치되어 봉제테이블(T)상에 펼쳐진 피봉제물(S)의 양단을 동시에 봉제할 수 있다. 이 이두형재봉기의 봉제테이블(T)상에는 각 재봉기(M8)(M9)의 각각의 수직 전 회전북의 가운데북에 밑실보빈을 북정면측에서 장착, 교환하기 위한 개폐덮개(56)(57)가 배치된다.
상기한 것과 같이 보빈 또는 보빈내장 보빈케이스를 북의 정면측에서 작업자의 정면으로 마주대하는 방향에 대해 직교하는 방향으로 진퇴시키므로 장착작업이 좋지않고 조작하기 어려운 작업이 되어 작업효율을 저하시켰다.
또 상기 2개바늘 재봉기에 있어서는 재봉바늘(Na)(Nb)의 간격설정에 맞추어 제 2재봉기북(51)을 북유닛대(49)와 함께 재봉기베드에 대해 진퇴시키고, 위치고정함으로써 2개의 재봉기북(48)(51)의 대향간격을 설정할 수 있다.
통상 수직 전 회전북에 보빈 및 보빈케이스를 장착하는 것은 이른바 북의 정면측에서 밑실보빈을 넣은 보빈케이스의 손잡이레버를 손가락으로 집고 가운데북으로 밀어넣어 고정하고 있다. 그 때문에 밑실교환시에는 재봉기베드와 북유닛(49)사이에 작업자의 손을 넣을 수 있는 충분한 간격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 2개바늘 재봉기는 일반적으로는 각 북(48)(51)이 접근한 상태에서 봉제되지만 2개의 솔기의 간격이 그만큼 크지 않으므로 밑실보빈을 교환할 때마다 북유닛(49)을 수작업이 가능한 위치까지 후퇴시키고, 작업종료후는 원래로 복귀하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많은 시간을 낭비하게 된다. 또 재봉기베드와 북유닛(49)사이에 수작업이 가능한 틈을 늘 확보해 두면 솔기 간격의 설정이 제한되게 된다.
또 2개바늘 재봉기로서는 보빈의 장착이 용이한 수평북(일본국 특개평 2-,52519호)을 이용한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수평북에는 가운데북을 비회전으로 고정하는 고정부가 재봉기베드 밑쪽에 고정되어있고, 그 고정부에는 윗실루프가 쉽게 빠지도록 하는 오프너가 마련되어있으며 그 오프너는 북축의 편심부에 링크, 안내팔을 통해 부착된다.
그러나 상기 오프너를 갖는 수평북은 재봉기 운전중에 오프너가 가운데북을 두둘기는 음이나 북축의 편심에 의한 진동음이 크고, 고속운전을 할 수 없으며, 윗실루프의 북회전방향의 차이에 의한 꼬임이 들어간 쪽의 차이에 의한 솔기군이 생기고, 실매듭 불량이 생기며 수평인 하축에서 수직인 북축으로 동력을 전달하기 위한 스파이럴기어가 고가인 점 등에 결점이 있다.
또 상기의 이두형재봉기는 봉제작업시에는 각각 개폐덮개(56)(57)가 피봉제물(S)의 밑에 감춰진 상태가 되므로 보빈교환시의 개폐가 곤란하게 된다.
본 발명은 보빈 또는 보빈내장의 보빈케이스의 북으로의 장착, 교환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는 수직북을 갖춘 2개바늘 재봉기나 이두형재봉기 등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재봉기는 상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재봉바늘과, 상축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축과, 상기 선단측에 가운데북을 갖고 상기 축에 부착된 북체와, 상기 북체의 상기 축 측부분에 밑실보빈 또는 밑실 보빈내장 보빈케이스를 상기 가운데북에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를 외주부에 형성한 북체를 갖춘 재봉기에 의해 달성한다.
또 상기 북체의 개구부는 장착된 밑실보빈 또는 밑실 보빈내장 보빈케이스를 가운데북에 안내하도록 가운데북 안쪽에 연통하는 구성으로 했다.
또 상기 한쌍의 북체에 있어 한쪽의 북체는 정회전하는 것으로 다른 쪽의 북체는 역회전하는 구성으로 했다.
또 재봉바늘, 북체가 각각 한쌍 마련되며, 상기 북체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구성으로 했다. 또한 상기 한쌍의 북체는 각각 가운데북 누름부가 바늘이 떨어지는 지점에 대해 북회전방향으로 병렬로 배열되었다.
도 1은 본 발명의 2개바늘 재봉기의 개략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2개바늘 재봉기의 주요부를 도시하는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2개바늘 재봉기를 구성하는 다른 연동기구를 도시하는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좌우의 가운데북 누름부재의 사시도.
도 5는 가운데북 누름부재의 가운데북으로의 계합위치를 설명하는 평면도로서 (1)은 종래예, (2)는 본 발명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이두형(二頭型)재봉기의 개략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이두형재봉기를 구성하는 우측 재봉기의 사시도.
도 8은 본 발명의 이두형재봉기를 구성하는 좌측 재봉기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이두형재봉기를 구성하는 우측 재봉기의 사시도.
도10은 본 발명의 다른 이두형재봉기를 구성하는 좌측 재봉기의 사시도.
도11은 종래의 2개바늘 재봉기의 사시도.
도12는 종래의 이두형재봉기의 개략사시도.
도13은 본 발명의 재봉기에 장착하는 북체의 가운데북 구성을 도시하는 정면도.
도14는 본 발명의 재봉기에 장착하는 가운데북과 보빈케이스의 사시도.
도15는 본 발명의 가운데북과 보빈케이스의 착탈을 설명하는 설명도.
도16은 본 발명의 보빈케이스를 가운데북에 장착했을 때 밑실취급의 설명도.
도17은 본 발명의 보빈을 가운데북에 장착하기 위한 보조부재를 이용한 장치의 부분단면 정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상축 5: 하축
9: 북축 10: 북
10a: 북부착대(臺) 10b: 개구부
11: 북축 12: 북
12a: 북부착대 12b: 개구부
17: 연동기구 18: 연동기구
19: 북 축대 20: 북 축대
23: 가운데북 누름부 24: 가운데북 누름부
29: 가운데북 31: 가운데북
K: 북체 K': 북체
Na: 재봉바늘 Nb: 재봉바늘
S: 피봉제물 T; 봉제테이블
도 1, 도 2, 도 4, 도 5를 참조하고, 본 발명의 재봉기의 제 1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1실시예의 재봉기는 여러개의 재봉바늘을 갖춘 재봉기이며, 여기서는 2개 바늘 재봉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이 2바늘 재봉기는 상축(1)의 회전에 따라 일체적으로 승강하는 제 1재봉바늘(Na) 및 제 2재봉바늘(Nb)을 갖는다.
그 제 1재봉바늘(Na)에 대응하여 상축(1)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하축(5)에 평행하게 마련된 제 1북축(9)과, 하축(5)의 회전을 제 1북축(9)에 전달하는 제 1연동기구(17)와, 제 1북축(9)에 고정된 제 1북체(K)와, 밑실보빈 또는 밑실보빈내장 보빈케이스를 가운데북에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10b)를 갖는 북부착대(10a) 및 북부착대(10a)의 자유단에 부착된 북(10)으로 이루어지는 제 1북체(K)와, 제 1북체(K) 및 연동기구(17)를 지지하고, 하축(5)을 따라 이동가능한 북 축대(19)와, 가운데북을 비회전으로 지지하는 가운데북 누름부재(23)가 배치된다.
또 제 2재봉바늘(Nb)에 대응하여 상축(1)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하축(5)에 평행하게 마련된 제 2북축(11)과, 하축(5)의 회전을 제 2북축(11)에 전달하는 제 2연동기구(18)와, 밑실보빈 또는 밑실보빈내장 보빈케이스를 가운데북에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12b)를 갖는 북부착대(12a) 및 북부착대(12a)의 자유단에 부착된 북(12)으로 이루어지는 제 2북체(K')와, 제 2북체(K') 및 연동기구(18)를 지지하여 하축(5)을 따라 이동가능한 북 축대(20)와, 가운데북을 비회전으로 지지하는 가운데북 누름부재(24)가 배치된다.
상기 개구부(10b)(12b)는 각 북체(K,K')의 외주부에 밑실보빈 또는 밑실보빈내장 보빈케이스를 지름방향으로 삽통가능하도록 개구한다. 또 북체(K,K')는 개구부(10b)(12b)에서 삽입된 밑실보빈 또는 밑실보빈내장 보빈케이스를 축선방향 가운데북 측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연통공(10c)을 형성하고 원통형상으로 되어있다.
또한 상기 제 1북(10) 및 제 2북(12)은 상기 제 1북부착대(10a) 및 제 2북부착대(12a)에 각각 일체라도 좋다. 또 제 1북(10), 제 2북(12)은 각각 정면측에서 보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정회전북,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는 역회전북이다.
제 1재봉바늘(Na), 제 2재봉바늘(Nb)은 바늘봉(3)의 하단부에 고정된 바늘고정부(4)에 고정된다. 그 바늘봉(3)은 상축(1)의 회전에 따라 승강하지만 그 승강기구는 주지한 것이다.
재봉기암(M1)내에 회전자유롭도록 지지된 하나의 봉형상체로 이루어지는 상축(1)의 일단부에는 구동플리(2)가 고정되고, 그 구동플리(2)에는 V벨트를 통해 도시하지 않은 재봉기모터가 연결되고 있다. 또 상축(1)의 타단부에는 도시는 생략했지만 평형추, 바늘봉 크랭크로드등으로 이루어지는 공지한 바늘봉 구동기구가 마련된다. 바늘봉(3)의 승강운동은 재봉기모터에서 V벨트, 플리(2), 상축(1), 바늘봉 구동기구를 통해 전달된다. 또한 제 1바늘봉(Na)과 제 2바늘봉(Nb) 간격의 변경은 필요로 하는 간격에 대응한 간격으로 각 바늘봉(Na)(Nb)이 고정된 바늘고정부(4)로 교환함으로써 행해진다.
재봉기베드(M2)에 회전자유롭도록 지지된 하축(5)의 일단부에는 플리(6)가 고정되고, 이 플리(6)와 상축(1)에 고정된 플리(7) 사이에는 타이밍벨트(8)가 마련된다.
제 1북축(9)은 재봉기베드(M2) 바닥부의 북 축대(19)에 회전가능하게 수평으로 지지된다. 그 일단부에는 제 1북(10)을 장착한 제 1북체(K)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치차(13)가 나사(13a)에 의해 고정된다.
제 2북축(11)은 재봉기베드(M2) 바닥부의 북 축대(20)에 회전가능하게 또한 제 1북축(9)과 동 축선상에 수평으로 지지된다. 그 일단부에는 제 1북(10)과 대향하도록 제 2북(12)을 장착한 제 2북체(K')가 고정되고, 타단부에는 치차(14)가 고정된다.
재봉기베드(M2)의 바닥면에는 제 1북 축대(19) 및 제 2북 축대(20)가 마련된다. 이들 북 축대(19)(20)는 각각 형성된 장공(19a)(20a)을 통해 단나사(19b)(20b)에 의해 하축(5)을 따라 이동가능함과 동시에 이동할 곳으로 고정할 수 있다. 또 제 1북 축대(19)에는 제 1연동기구(17)가, 제 2북 축대(20)에는 제 2연동기구(18)가 각각 지승되고 있다.
제 1연동기구(17)는 제 1북축(9)에 고정되는 치차(13)와, 하축(5)의 중간부에 고정되고 치차(13)에 맞물리는 치차(15)로 이루어진다. 마찬가지로 제 2운동기구(18)는 제 2북축(11)에 고정되는 치차(14)와, 플리(6)가 고정되고 있는 하축(5)의 단부와 반대측의 단부에 고정되며, 치차(14)에 맞물리는 치차(16)로 이루어지고 있다. 또 치차(15)와 치차(16)는 하축(5)에 대해 축방향으로는 슬라이드가능하고, 각각 나사(15b)(16b)에 의해 고정할 수 있으며 축회전에는 고정상태로 되고 있다. 또한 각 북 축대(19)(20)는 함께 각각 연동기구(17)(18)를 유리(遊離)상태에서 끼워넣는 형상으로 되어있다.
그에 관련하여 치차(13)(14)(15)(16)의 양측의 북 축대(19)또는 북 축대(20) 사이에는 각각 축방향의 이동을 규제하는 스페이서(13b)(14b)(15b)(16b)가 마련된다. 따라서 북 축대(19)(20)을 하축(5)을 따라 이동시켜도 치차(13)와 치차(15), 치차(14)와 치차(16)의 맞물림관계는 늘 유지되고, 상기 치차쌍의 이동에 따라 제 1북축(9)과 제 1북체(K) 또는 제 2북축(11)과 제 2북체(K')도 이동하므로 조정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도 13 내지 도 15에 있어서 본 발명의 가운데북(A2)과 보빈케이스(D)에 대해 설명한다.
또한 종래와 마찬가지로 바깥 북은 봉제시에 회전하고, 가운데북(A2)은 후술하는 가운데북 누름부재에 의해 비회전으로 된다.
가운데북(A2)은 도 13과 같이 축선방향으로 개구하는 환상으로 되어있고, 상기 북체(K,K')의 통형상부에 연통가능하게 한다. 또 가운데북(A2)에는 고정볼(A2a)이 환상부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유리상태로 배치된다. 즉 환상부에는 외측에서 내측을 향함에 따라 서서히 지름이 작아지는 테이퍼구멍(A2e)이 형성되고, 테이퍼구멍(A2e)에는 테이퍼구멍(A2e)의 최소지름보다도 대경 또한 일부가 환상부 내측으로 돌출하는 지름을 갖는 고정볼(A2a)이 삽입되며, 그 고정볼(A2a)은 환상부의 외측에 마련되는 탄성을 갖는 볼누름부(A2b)에 의해 압접되고, 상시에는 환상부 내측방향으로 부세된다.
또 가운데북(A2)에는 밑실개방판(A2c)이 환상부 내측에서 주방향으로 돌출하도록 마련되고, 또한 환상부 내측에는 2개의 고정핀(A2d)이 상대향하여 돌출하고 있다.
보빈케이스(D)의 제 2본체부재(D2)의 주측부에는 도 14, 도 15와 같이 가운데북(A2)에 마련된 고정볼(A2a)에 대응하는 위치에 홈(D2i)이 형성되고, 그 시계방향의 약간 떨어진 위치에 얕은 오목부(D2i1)가 마련된다. 또 가운데북(A2)의 고정핀(A2d)에 대응하는 위치에 시계방향을 향한 역 L형상의 홈(D2j)이 마련된다.
상기 개구부(10b)(12b)에서 북체(K,K')내로 삽통된 보빈케이스(D)를 가운데북방향으로 전진시켜서 가운데북(A2)으로 밀어넣고 소정각도 회전시키면 가운데북(A2)의 고정볼(A2a)은 홈(D2i)으로 들어가고, 시계방향으로의 회전과 함께 오목부(D2i1)로 이동한다. 따라서 한도이상의 힘을 가하지 않는 한 회전방향으로의 이동이 제한된다. 또 고정핀(A2d)은 역 L자모양의 홈(D2j)으로 들어가 회전방향으로 진행한다. 따라서 보빈케이스(D)가 축방향에 대해 맞지 않는 것을 규제 할 수 있다.
상기한 보빈케이스(D)의 시계방향으로의 소정각도의 회전시에는 도 16과 같이 가운데북(A2)의 밑실개방판(A2c)이 실인장스프링(D2c)과 밑실고정판(D2d)과의 사이로 진입하고, 양자 사이에 틈이 생겨 고정하고 있던 밑실(Y)이 개방된다. 그와 동시에 밑실(Y)은 밑실장력에 의해 구부러진 실테이크업스프링(thread take-up spring)(D2a)의 복원력에 의해 강제적으로 끌어올려지게 되어 바깥 북의 뾰족한 끝쪽으로 방출된다.
밑실교환은 밑실을 감은 밑실보빈의 상태, 밑실보빈을 보빈케이스에 넣은 상태로 행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보빈이 없는 보빈(실감은 후 심지를 뺀 것)의 상태로 행할 수도 있다.
그것들의 교환자체는 종래와 마찬가지로 손으로 행해지지만 다음에 설명하는 보조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밑실보빈 또는 보빈케이스를 올려놓고 작업이 쉬운 재봉기베드 윗면 근방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재봉기 가동시에 튀어나가지 않도록 고정가능한 적치부재를 북체의 개구부내에 마련할 수 있다.
또 북체의 개구부내를 이동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작업이 쉬운 재봉기베드 윗면 근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재봉기 가동시에 튀어나가지 않도록 고정가능한 보빈케이스 부착대를 마련하며, 그 보빈케이스 부착대에 보빈케이스를 고정하여 가운데북에 장착할 수도 있다.
가운데북 누름부(23)(24)는 도 4(1)(2)에 도시하는 구조로 되고, 각각 제 1북 축대(19)의 위쪽, 제 2북 축대(20)의 위쪽에 위치조정이 가능하게 부착된다. 가운데북 누름부(23)와 가운데북 누름부(24)는 면대칭 구조로서, 각 부는 각각 제 1북(10), 제 2북(12)에 대응한 것이므로 대표로 가운데북 누름부(23)에 대해 설명한다. 각 부의 부호도 대응관계로 붙이고 있다.
가운데북 누름부(23)는 기부에는 제 1북 축대(19)로 부착하기 위한 계지구멍(23a)이 뚫려지게 된다. 제 1북(10)의 일부를 구성하는 도 5(2)에 도시하는 가운데북(29)의 계지홈(30)에 계합하는 가운데북 계합부(23b)가 선단에 있다. 계속해서 이송기구와의 접촉을 피하기 위한 회피부(23c)가 형성된다. 이 가운데북 누름부(23)는 가운데북 계합부(23b)와 계지홈(30)과의 틈을 재봉실이 빠져나갈 수 있도록 위치조정하여 고정된다.
그러나 종래의 수직 전 회전북을 2개 대향배치하여 2개바늘 재봉기를 구성한다면 가운데북 계합부(23b)의 위치와 바늘이 떨어지는 위치의 관계는 도 5(1)와 같이 된다. 동 도면은 각 북(F1)(F2)의 각각의 가운데북(33)(34)의 대향간격(L1)을 최소한으로 했을 때의 것으로 재봉바늘(Na)(Nb)이 떨어지는 바늘 떨어지는 구멍(H1)(H2)과, 가운데북 누름부(35)(36)가 계합하는 가운데북(33)(34)의 계지홈(37)(38)이 북축 중심상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이 상태에서는 보빈케이스의 출입이 불가능하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도 5(2)에 도시하는 위치관계가 되도록 하고 있다. 즉 가운데북(29)(31)의 대향폭(L2)을 극히 작게 하기 위해 계지홈(30)(32)의 위치를 바늘이 떨어지는 구멍(H1)(H2)의 바깥북 회전방향 하류측 근방으로 어긋나도록 하고 있다. 또한 대향간격(L2)을 작게하려고 하면 가운데북 계합부(23b)(24b)의 판 두께를 얇게해야 하므로 강도를 높이기 위해 2개의 가운데북 누름부를 일체로 하고, 그 공통의 가운데북 계합부로 각 가운데북(29)(31)에 계합시켜 지지하도록 해도 좋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2개바늘 재봉기는 재봉기모터가 구동하고, 플리(2)와 함께 상축(1)이 회전하면 주지한 바늘봉 승강기구에 의해 바늘봉(3)이 승강하며, 바늘고정(4)과 함께 2개의 재봉바늘(Na)(Nb)이 승강한다. 한편 상축(1)의 회전은 플리(7), 타이밍벨트(8), 플리(6)를 통해 하축(5)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이 하축(5)의 회전은 치차(15)에서 치차(13), 제 1북축(9)으로 전달되고, 마찬가지로 제 2북축(11)으로 전달되게 된다. 이 구동전달기구에 의해 각 북체(K,K')에 장착된 각 북(10)(12)은 각각 바늘 봉(Na)(Nb)의 승강동작에 동기하여 회전하고 솔기가 형성된다.
2개의 솔기간격의 변경은 우선 원하는 솔기간격에 대응한 간격으로 각 재봉바늘(Na)(Nb)이 고정된 바늘고정부(4)로 교환하여 바늘봉(3)에 장착한다. 이어서 다음에 설명하는 북 축대(19)(20)를 이동시켜 재봉바늘(Na)(Nb)의 위치간격에 따른 각 북(10)(12)의 뾰족한 끝의 위치설정을 행한다.
제 2재봉바늘(Nb)에 대해 제 2북(12)의 뾰족한 끝의 위치를 조정할 경우에는 치차(16)를 고정하고 있는 나사(16a)를 느슨하게 하여 하축(5)과의 고정상태를 해제하고, 단나사(20b)를 느슨하게 하여 제 2북 축대(20)를 장공(20a)을 따라 즉 하축(5)을 따라 도 1 또는 도 2에 도시하는 화살부호 A 또는 B방향으로 이동시킨다.
그리고 제 2재봉바늘(Nb)과 제 2북(12)의 뾰족한 끝의 위치관계가 원하는 위치관계로 되었을 때 단나사(20b)를 조여 제 2북 축대(20)를 재봉기베드(M2)의 저부에 고정하고, 계속해서 나사(16a)를 조여 치차(16)를 하축(5)에 고정한다. 이 제 2북 축대(20)의 이동에 의해 제 2연동기구(18), 제 2북축(11), 제 2북체(K')(북(12)) 및 가운데북 누름부(24)가 북 축대(20)와 일체관계를 유지한 상태로 이동한다. 따라서 위치맞춤작업이 용이해져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제 1재봉바늘(Na)에 대한 제 1북(10)의 뾰족한 끝의 위치조정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 북 축대(19)(20)를 어느쪽으로도 위치조정이 가능하도록 하고 있지만 예를들어 솔기폭의 변경시에 한쪽의 재봉바늘의 위치는 바뀌지 않고 다른쪽만이 변경되는 재봉기에 있어서는 위치가 변하지 않는 재봉바늘에 대응하는 북 축대를 재봉기베드(M2) 저부에 일체적으로 형성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밑실보빈의 장착, 교환, 즉 각 가운데북(29)(31)으로의 장착,교환은 도 1에 도시하는 재봉기베드(M2)의 위쪽부터 행하는 것이지만 각 가운데북(29)(31)(도 5(2)참조)으로는 각각의 북 부착대(10a)(12a)의 개구부(10b)(12b)에서 삽입함으로서 행해진다.
일반적으로 밑실교환은 밑실을 감은 밑실보빈의 상태, 밑실보빈을 보빈케이스에 넣은 상태로 행하지만 보빈이 없는 보빈(실을 감은 후 심지를 뺀 것) 상태에서 행할 수도 있다.
교환작업은 종래와 같이 손으로 행해지지만 도 17에 도시하는 보조부재를 이용할 수도 있다. 즉 북축(S)중심부의 관통공(s1)에 축선방향으로 접동가능하게 가이드축(C2)이 삽통되고, 가이드축 스프링(C3)은 북축(S)과 좌금(座金)과의 사이에서 가이드축(C2)의 외주에 감겨져 장착된다.
가이드축(C2)의 선단을 북부착대(10a)(12a)의 개구부(10b)(12b)의 안쪽으로 돌출시켜 부착체(C1)를 고정하고, 가이드축(C2)의 기단에 스프라인축부(C2a)와 구체(C2b)를 마련한다. 부착체(C1)에는 보빈케이스(D)를 개구부(10b)(12b)위쪽에서 북부착대(10a)(12a)로 삽입할 때 보빈케이스(D)와 회전방향으로 계합하는 요철부가 형성되고, 후술하는 부착체(C1)의 회전시에 보빈케이스(D)가 회전하도록 구성된다.
그 스프라인축부(C2a)의 기단측에 있어서 에어실린더(C18)에 의해 회동하는 회전레버(C19)를 연결한다. 이 회전레버(C19)에는 선단부에 치차형 구멍을 형성하고, 이 치차형 구멍(C19a)에 가이드축(C2)을 삽통한 상태에서 부착된다. 슬라이드레버(C21)는 선단부에 2개로 갈라진 부(C21a)를 마련하고, 이 2개로 갈라진 부(C21a)에 구체(C2b)를 계합하도록 부착되며, 구체(C2b)에 에어실린더(C20)에 의해 회동하는 슬라이드레버(C21)를 연결한다.
보빈케이스(D)를 부착대(10a)(12a)에 삽입하고 나서 작업자가 스위치조작 등에 의해 에어실린더(C20)를 구동하고 슬라이드레버(C21)를 반시계방향(도 17)으로 회동시키면 가이드축(C2)이 북방향으로 이동하는 중간에 스프라인축부(C2a)가 회전레버(C19)의 치차형 구멍(C19a)과 계합상태가 된다. 가이드축(C2)이 최종점까지 이동하면 에어실린더(C18)가 구동하여 회전레버(C19)가 회전된다. 그리고 부착대(C0)에 고정되어있는 보빈케이스(D)가 가운데북에 셋트된 후 에어실린더(C20)에서 공기가 빠져나가면 가이드축 스프링(C3)에 의해 가이드축(C2)이 원래로 되돌아 온다. 가이드축(C2)이 복귀하고 나서부터 에어실린더(C18)를 (다)방향으로 작동시킴으로써 부착체(C1)의 회전모양이 원래상태로 되돌아 온다. 스프라인 축부(C2a)는 부착체(C1)가 대기위치로 되돌아오는 중간에 회전레버(C19)의 치차형구멍(C19a)에서 벗어난다.
또 상기 보조부재의 변형예로서 밑실보빈 또는 보빈케이스를 올려놓고 작업이 쉬운 재봉기베드 윗면 근방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하여 재봉기 가동시에 튀어나가지 않도록 고정가능한 적치부재를 북체의 개구부내에 마련할 수 있다.
또 북체의 개구부내를 이동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작업이 쉬운 재봉기베드 윗면 근방으로 이동할 수 있고, 재봉기 가동시에 튀어나가지 않도록 고정가능한 보빈케이스 부착대를 마련하며, 그 보빈케이스 부착대에 보빈케이스를 고정하여 가운데북에 장착할 수도 있다.
제 1연동기구(17) 및 제 2연동기구(18)의 대체기구를 도 3에 나타낸다. 또한 이 도면에서는 동 기능을 갖는 부재에는 동 부호를 붙이고 그것들의 설명은 생략한다(이하동일).
도 1에 도시하는 제 1연동기구(17) 및 제 2연동기구(18)는 각각 평치차를 채용하고 있지만 도 3에 도시하는 제 1연동기구(17)에는 오른쪽으로 비틀린 나선형치차(25)와 왼쪽으로 비틀린 나선형치차(27)를 채용하고, 제 2연동기구(18)에는 왼쪽 비틀림의 나선형치차(26)와 오른쪽으로 비틀린 나선형치차(28)를 채용하고 있다. 이와같이 나선형치차를 채용하면 평치차의 것에 비해 고속운전이 가능하게 되어 생산성이 향상된다. 또한 연동기구에서 발생하는 소음의 저감효과는 현저한 것이다.
이상 설명한 것은 연동기구에 치차를 이용하고 있지만 그 치차 대신에 플리나 타이밍벨트를 조합하여 구성한 것이라도 좋다.
다음 도 6 내지 도 10을 참조하고, 본 발명의 재봉기의 제 2실시예에 대해 설명한다. 제 2실시예의 재봉기는 2대의 재봉기(M3)(M4)가 각각 봉제테이블에 있어 피제봉물(S)의 이송방향과 직행하는 양측에 배치된 이두형재봉기이다.
여기서 설명하는 각 재봉기 (M3)(M3'), (M4)(M4')는 각각 도 7(도 9), 도 8(도 10)에 도시하는 것이지만 각각의 북 주변의 구조는 제 1실시예의 재봉기에 있어 우측의 북회전, 좌측의 북회전과 같은 것이므로 동 구성부재에는 동 부호를 붙이고 여기서는 중복설명의 복잡함을 피하기 위해 상위점만을 설명한다.
우선 도 7에 도시하는 재봉기(M3)와, 도 8에 도시하는 재봉기(M4)에 대해 설명한다. 재봉기(M3)(M4)의 각각의 바늘봉(39)에는 하나의 바늘봉(Na), 하나의 바늘봉(Nb)이 각각 고정된다. 북 주변의 구조는 제 1실시예의 재봉기에 있어 우측의 북회전, 좌측의 북회전과 거의 같다. 단 정회전북(10), 역회전북(12)은 이동시킬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 1실시예의 재봉기에 있어 북 축대(19)(20)는 존재하지 않는다. 어떤 재봉기(M3)(M4)도 북부착대(10a)(12a)에 밑실보빈을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10b)(12b)를 갖춘 것은 중요한 것이다.
각각의 재봉기베드(M5)(M6)상의 셋트상태에 있는 피봉제물(S)에서 벗어난 위치에는 밑실보빈을 장착, 교환하기 위한 미끄럼 판(40)(41)이 암 기부측으로 슬라이드할 수 있도록 마련된다. 이들 미끄럼 판(40)(41)을 열면 북부착대(10a)(12a)의 개구부(10b)(12b)를 위쪽에서 눈으로 확인할 수 있어 큰 것이라도 피봉제물(S)를 전혀 움직이지 않고 밑실보빈의 교환작업을 극히 쉽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솔기위치가 어긋나지 않고 작업자에 걸리는 부담도 대폭으로 경감할 수 있어 생산성이 향상한다.
다음 도 9에 도시하는 재봉기(M3')와 도 10에 도시하는 재봉기(M4')에 대해 설명한다. 여기서도 도 7, 도 8에 도시하는 재봉기(M3)(M4)와 공통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하고 상위점만을 설명한다.
하축(5)의 일단부에는 산치차(42)가 고정되고, 상축(1)에는 산치차(43)가 고정된다. 그리고 산치차(42)와 산치차(43)를 연동관계로 하기 위해 입축(44)을 마련하고, 상축(1)과 하축(5)의 회전이 1:2의 비율이 되도록 입축(44)의 위쪽에 산치차(43)와 맞물리는 산치차(45)을 밑쪽에 산치차(42)와 맞물리는 산치차(46)를 각각 고정하고 있다.
그리고 재봉기(M4)의 북체(12a)를 역회전하는 것으로 하기 위해 즉 재봉기(M4')를 역회전 재봉기로 하기 위해 그 산치차(43')를 재봉기(M3')의 산치차(43)와는 입축(44)의 반대측이 되도록 상축(1)에 고정하고 있다. 즉 산치차(43')는 산치차(43)의 부착위치를 바꾸기만 한 동일 부품이다. 이상의 부품구성은 도 12에 도시한 종래의 이두형재봉기와 마찬가지로 일반적으로 저가이다.
이상 설명한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재봉기는 밑실보빈 또는 밑실보빈내장 보빈케이스를 가운데북에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를 갖는 북부착대를 채용했기 때문에 작업자가 재봉기베드 위쪽이나 바로 앞쪽에서 간단히 보빈이나 보빈케이스를 교환할 수 있다. 2개의 솔기간격을 좁게 설정하는 2개바늘 재봉기나 북위쪽에 피봉제천이 늘 덮이는 상태에 있는 이두형재봉기에 있어서도 보빈 또는 보빈내장 보빈케이스의 북으로의 장착, 교환을 재봉기베드의 윗면에서 상시 간단하고 또한 단시간에 행할 수 있다. 또한 2개바늘 재봉기에 있어서는 종래의 수평북을 갖춘 것에 비해 고속운전이 가능하며 소음을 발생하지 않고 솔기군도 없어 실마감도 좋고, 고가인 스파이럴기어도 불필요하다.

Claims (5)

  1. 상축의 회전에 따라 상하이동하는 재봉바늘과,
    상축에 연동하여 회전하는 축과,
    상기 선단측에 중간 북을 갖고 상기 축에 부착된 북체와,
    상기 북체의 상기 축 측부분에 밑실보빈 또는 밑실보빈내장 보빈케이스를 상기 중간 북에 장착하기 위한 개구부를 외주부에 형성한 북체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북체의 개구부는 장착된 밑실보빈 또는 밑실보빈내장 보빈케이스를 중간 북에 안내하도록 중간북 안쪽에 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북체에 있어 한쪽의 북체는 정회전하고 다른쪽의 북체는 역회전하는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4. 제 1항에 있어서,
    재봉바늘, 북체가 각각 한쌍 마련되고, 상기 북체는 서로 대향하여 배치된 구성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북체는 중간북 누름부가 바늘이 떨어지는 지점에 대해 북회전방향으로 병렬로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봉기.
KR1019990052016A 1998-11-24 1999-11-23 재봉기 KR2000003561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3248298A JP3899199B2 (ja) 1998-11-24 1998-11-24 ミシン
JP98-332482 1998-11-24
JP35832698A JP3899201B2 (ja) 1998-12-17 1998-12-17 ミシンの釜体
JP98-358326 1998-12-17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615A true KR20000035615A (ko) 2000-06-26

Family

ID=26574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2016A KR20000035615A (ko) 1998-11-24 1999-11-23 재봉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KR (1) KR20000035615A (ko)
CN (1) CN1266115A (ko)
DE (1) DE19956396A1 (ko)
TW (1) TW517115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43B1 (ko) * 2004-12-28 2013-02-20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기의 오프너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3820948A (zh) * 2012-11-16 2014-05-28 翔大机械股份有限公司 制鞋内线机的双轨道双轴承支撑式摇臂机构
JP6804563B2 (ja) * 2017-01-20 2020-12-2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単環縫い式縫製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5243B1 (ko) * 2004-12-28 2013-02-20 쥬키 가부시키가이샤 재봉기의 오프너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266115A (zh) 2000-09-13
DE19956396A1 (de) 2000-06-15
TW517115B (en) 2003-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343250A (en) Lock stitching and over-lock stitching sewing machine
EP1806445A1 (en) Embroidery machine
JPH07275537A (ja) ミシン頭部駆動装置
CA1061145A (en) Bobbin drive mechanism for a rotary braider
KR20000035615A (ko) 재봉기
WO2008054151A1 (en) Rack and pinion type power transmission and apparatus for driving embroidery frame of embroidery machine having the same
JP3016954B2 (ja) 飾り付けミシン
JP3338492B2 (ja) 刺繍ミシン
US5347941A (en) Looper thread guiding mechanism for facilitating the looper thread setting to a looper
JPH07258957A (ja) ミシンにおける保持枠駆動装置
JPS6127075B2 (ko)
US7677187B2 (en) Pattern generating mechanism for sewing machine
JP2564509Y2 (ja) ミシンの刺繍枠取付装置の構造
JP2000325681A (ja) 多頭パターンミシン
JP3416847B2 (ja) 多色縫いミシン
US20060016376A1 (en) Embroidery sewing machine
JP3403779B2 (ja) ミシンにおける被縫製物の移送装置
CN2483408Y (zh) 旋钩直针台式缝盘机的传动机构
CN2527577Y (zh) 一种新型缝合机
KR200267067Y1 (ko) 직물의 양면에 루우프를 편직하는 편직기
US5743199A (en) Feeding mechanism of eyelet-end buttonhole sewing machine
JP2766052B2 (ja) 多頭多針式のミシン
JP2003181184A (ja) 2本針ミシンの糸切り装置
KR950014368B1 (ko) 재봉장치
JPH013572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