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5526A - 건축용 전동개폐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전동개폐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5526A
KR20000035526A KR1019990051056A KR19990051056A KR20000035526A KR 20000035526 A KR20000035526 A KR 20000035526A KR 1019990051056 A KR1019990051056 A KR 1019990051056A KR 19990051056 A KR19990051056 A KR 19990051056A KR 20000035526 A KR20000035526 A KR 200000355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oad
spring
switch
displacement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510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523698B1 (ko
Inventor
도쿠야마노리아키
오쓰카요시히로
Original Assignee
다카야마 도시타카
산와 샷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야마 도시타카, 산와 샷타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야마 도시타카
Publication of KR200000355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552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5236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5236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80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 E06B9/82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 E06B9/88Safety measures against dropping or unauthorised opening; Braking or immobilising devices; Devices for limiting unrolling automatic for limiting unrol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40Safety devices, e.g. detection of obstructions or end positions
    • E05F15/41Detection by monitoring transmitted force or torque; Safety couplings with activation dependent upon torque or force, e.g. slip coupl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06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for garage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56Operating, guiding or securing devices or arrangements for roll-type closures; Spring drums; Tape drums; Counterweighting arrangements therefor
    • E06B9/68Operating devices or mechanisms, e.g. with electric drive
    • E06B2009/6809Control
    • E06B2009/6818Control using sensors
    • E06B2009/6854Control using sensors sensing torqu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 Motor And Converter Starters (AREA)
  • Stopping Of Electric Motors (AREA)

Abstract

모터 부하에 의거한 장해물이나 리미트위치를 검지하는 건축용 전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장해물검지 및 리미트검지를, 개방동작시와 폐쇄동작시에 다른 검지정밀도로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개폐기(9)를, 부하변동에 대응하여 모터축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회동변위하도록 지지함과 동시에, 상기 개폐기(9)를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에서 중립위치에 유지하여, 폐쇄동작시에 있어서의 과부하에 대하여는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18)에 저항하여 회동변위를 행하는 구성으로 하고, 개,폐의 각 동작시에 있어서의 검지정밀도를 각각 개별로 설정할 수 있는 구성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축용 전동개폐장치{Electrically-driven Closure Apparatus For Building}
본 발명은, 건축용 전동셔터 등의 건축용 전동개폐장치의 기술분야에 속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동모터를 구비한 개폐기의 구동력으로 개폐체를 개폐작동시키는 건축용 전동개폐장치에서는, 폐쇄작동시에 장해물이 끼워질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장해물을 검지하는 장해물검지수단과, 이 장해물검지에 의거하여 개폐체의 폐쇄작동을 자동적으로 정지시키는 자동정지제어수단을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장해물검지수단으로서는, 개폐체에 설정되는 좌판스위치 등의 장해물검지센서로서 장해물을 검지하는 직접 검지식과, 장해물이 끼워짐에 따른 전동모터의 부하변동(토오크변동)을 검출하는 간접 검지식이 알려져 있으며, 간접 검지식에서는 개폐체에 장해물검지센서를 설치할 필요가 없음은 물론, 장해물검지수단을 리미트검지수단으로 겸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종래에 간접 검지식으로서, 회전수 변화(또는 회전속도 변화) 혹은 전류값 변화(또는 전압값 변화)에 의거하여 부하변동을 검출하는 수단이 알려져 있으나, 일반적인 건축용 전동개폐장치에서는, 안정된 개폐속도를 얻기 위해서, 전동모터를 부하변동에 의거한 회전수 변화가 작은 회전영역에서 구동시키고 있으며, 이 때문에 장해물이 끼워짐에 따른 회전수의 변화가 작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전류값은 부하변동이외의 외적상황에 의해서도 변화해 버린다고 하는 문제가 있어, 어떤 경우도 검출감도와 동작 안정성과의 밸런스로부터 정밀도가 높은 장해물검지를 행하는 것이 곤란하였다.
그리하여, 전동모터 본체 또는 개폐기를, 부하변동에 대응하여 변위하는 변위부재로 하고, 이 변위부재를 소정의 부하에서는 건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대하여 중립상태를 유지하도록 부하검지용 스프링(중립유지용 스프링)으로 유지하고, 부하검지용 스프링에 저항하여 변위부재가 변위된 것을 변위센서에서 검출하는 구성으로서, 안정성이 있는 개폐작동을 행할 수 있는 것이면서, 정밀도가 높은 장해물 검지를 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제창되고 있다.
그런데, 장해물검지는, 폐쇄작동시에 있어서는 장해물이 끼워지는 것을 방지해야 할 필요가 있고, 전동모터의 긴급정지가 즉시 이루어지도록 높은 검지정밀도가 요구되는 한편, 개방작동시에는 안정된 개방작동이 요구되는 것이므로 장해물검지의 검지정밀도를 낮게 설정하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부하검지용 스프링은, 하나의 스프링강재를 대략 ㄷ자형상으로 절곡형성한 것이 이용되고 있으며, 개폐체의 개방, 폐쇄의 양 작동시에 있어서 각각 같은 스프링정수가 작용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개, 폐의 어떠한 방향의 작동시에 있어서도 검지정밀도가 같은 정도로 되어 있다. 이 때문에 검지정밀도를 결정하는 스프링정수의 설정을, 폐쇄작동시에 있어서의 높은 검지정밀도와 개방작동시에 있어서의 낮은 검지정밀도를 감안한 것으로 설정해야만 한다는 문제가 있어, 여기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문제가 있었다.
도 1은 건축용 전동셔터의 분해사시도,
도 2는 권취드럼의 사시도,
도 3의 (A),(B)는 각각 개략측면도, 개략정면도,
도 4는 개폐기의 지지구조를 나타낸 정면도,
도 5는 도 4의 배면도,
도 6은 도 5의 A-A선 단면도,
도 7은 도 5의 B-B선 단면도,
도 8은 리미트스위치부의 평면도,
도 9의 (A),(B),(C)는 각각 도 8의 정면도, 우측면도, A-A선 단면도,
도 10의 (A),(B)는 각각 제 2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우측면도,
도 11의 (A),(B)는 각각 제 3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우측면도,
도 12의 (A),(B)는 각각 제 4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우측면도,
도 13의 (A),(B)는 각각 제 5 실시형태를 나타낸 정면도, 우측면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셔터커튼 2 : 권취드럼
5 : 고정축 7 : 내치차 링기어
9 : 개폐기 9a : 케이싱
9b : 연장출력축 10 : 출력기어
12 : 제 1 홀더 15 : 제 1 브래킷
18 :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 19 :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
20 : 제 1 스프링고정구 20b : 나비볼트
22 : 제어반 27 : 작동레버
28 : 작동아암 LSD : 리미트스위치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이들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건축용 전동개폐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창작된 것으로서, 건물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체를, 전동모터를 구비한 개폐기의 정역구동력으로 개폐작동시키는 건축용 전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 본체 또는 개폐기를, 부하변동에 대응하여 건물측에 고정된 고정부재에 대하여 변위하는 변위부재로 하여, 이 변위부재와 고정부재의 사이에 부하검지용 스프링을 개재하여 장착하고, 부하검지용 스프링에 저항한 변위부재의 변위량을 변위센서로 검출하는 것이며, 부하검지용 스프링은, 변위부재의 정역방향으로의 회동변위에 각각 대응하도록 작용하는 정방향용, 역방향용의 스프링을 각각 사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것이다.
즉, 변위부재의 변위량은, 모터부하(토오크반력)에 거의 비례하기 때문에, 상기 모터부하를 직접적으로 변위센서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그 결과 회전수 변화나 전류값 변화에 따라 간접적으로 모터부하를 검출하고 있는 종래에 비하여 정밀도가 높은 부하검출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정,역 각각의 방향으로의 회동변위에 대응하는 부하검지용 스프링에 의해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정밀도가 높은 장해물검지(리미트검지를 포함)를 할 수 있는 것이면서 안정성이 있는 작동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본 발명의 부하검지용 스프링은, 각각 대략 ㄷ자형상 또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 본 발명의 변위부재는, 모터축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변위가 자유롭게 구성되고, 부하변동에 대응한 변위부재의 회동변위량을 변위센서로 검출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여기에서 본 발명의 변위부재를, 고정축으로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하여 고정축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회동변위가 자유로운 구성으로 하여, 부하변동에 대응한 변위부재의 회동변위량을 변위센서로 검출하는 것으로 할 수 있다.
(실시형태)
다음에,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도 9의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면에 있어서, (1)은 건축용 전동셔터의 셔터커튼으로서, 이 셔터커튼(1)은 후술하는 권취드럼(2)에 감겨져서 개구부를 개방하는 개방자세와, 권취드럼(2)으로부터 풀려나와 개구부를 폐쇄하는 폐쇄자세로서 승강변위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들 기본구성은 모두 종래와 같다. 또한 (3)은 개구부의 좌우 양측부에 세워져 설치되어, 셔터커튼(1)의 좌우양측 가장자리부를 이동안내하는 가이드레일이다.
상기 권취드럼(2)은, 건물 위쪽에 배치된 좌우 한쌍의 브래킷(4) 사이에 지지되어 고정설치되는 고정축(5)과, 이 고정축(5)에 회동이 자유롭게 배치되는 복수의 권취휠(6) 및 내치차 링기어(7)와, 이들 복수의 휠(6) 및 내치차 링기어(7) 사이를 일체적으로 연결하는 한쌍의 스테이(8)를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기 내치차 링기어(7)가 고정축(5)의 한끝단부에 위치하여 배설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축(5)의 한끝단부위에는 드럼 내장형의 전동모터를 구비한 개폐기(9)가 부착되어 있다. 한편 개폐기(9)를 구성하는 통형상의 케이싱(9a)의 한끝단쪽에서는 연장출력축(모터축)(9b)이 돌출하여 있으며, 상기 연장출력축(9b)에 일체적으로 설치된 출력기어(피니언 기어)(10)가 상기 내치차 링기어(7)와 맞물리도록 구성되고, 이것에 의해 개폐기(9)의 구동력이 권취드럼(2)으로 동력전동되는 설정으로 되어있다. 또한 고정축(5)과 권취휠(6)의 사이에는, 밸런스스프링(11) 및 충격흡수스프링(1la)이 탄력있게 장착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셔터커튼(1)은 개폐위치에서 변화하는 셔터커튼(1)의 하중과 밸런스스프링(1l)의 축적력과의 차이만큼을, 개폐기(9)의 구동력이 보충하는 상태에서 개폐작동이 행해지는 설정으로 되어있다.
여기에서, 출력기어(10)와 내치차 링기어(7)는 클러치수단(10a)을 통해 동력이 전동되는데, 이 클러치수단(10a)은 연장출력축(9b)에 배치된 출력기어(10)를 축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작동부재(1Ob)와, 출력기어(10)를 내치차 링기어(7)에 맞물리도록 힘을 가하는 스프링(1Oc)으로 구성되며, 이 스프링(1Oc)의 가압력에 저항하여 출력기어(10)를 퇴피시키는 것에 의해, 출력기어(10)와 내치차 링기어(7)의 동력전동이 차단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12,13)은 상기 개폐기 케이싱(9a)의 축방향 양 끝단부에 일체적으로 장착되는 제 1, 제 2 홀더로서, 이들 제 1, 제 2 홀더(12,13)는 스테이(14)를 개재하여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홀더(12)에서는 상기 연장출력축(9b)이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돌출되고, 제 2 홀더(13)에서는 후부 돌출축(9c)이 자유롭게 회동하여 돌출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15,16)은 제 1, 제 2 브래킷으로서 이들 제 1, 제 2 브래킷(15,16)에는 축받이부(15a,16a) 및 고정축 부착부(15b,16b)가 일체적으로 형성되고, 각 축받이부(15a,16a)에는 연장출력축(9b), 후부 돌출축(9c)의 상기 각 돌출부가 각각 자유롭게 회동하도록 축지지되며, 각 고정축 부착부(15b, 16b)에 고정축(5)이 각각 고정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개폐기(9)[제 1, 제 2 홀더(12,13)]는, 제 1, 제 2 브래킷(15,16)[고정축(5)]에 대하여, 모터축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변위가 자유로운 상태로 지지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12a)는 제 1 홀더(12)에 설치된 스톱퍼편으로서, 이 스톱퍼편 (12a)은 제 1 홀더(12)가 개폐기(9)와 함께 크게 회동한 경우(예를들어 ±12°)에 고정축(5)과 접촉하여 회동이 규제되도록 구성되고, 이것에 의해 개폐기(9)의 회동허용범위가 결정되도록 되어 있다.
한편, (17)은 제 1 브래킷(15)에 일체적으로 부착되어, 내치차 링기어(7)에 회동이 자유롭게 안으로 끼워지는 가이드플레이트이며, (17a)는 내치차 링기어(7)에 형성된 가이드홈(7a)에 회전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지는 가이드롤러이다.
그리고, 회전측으로 되는 제 1 홀더(12)와, 고정측으로 되는 제 1 브래킷 (15)의 사이에 후술하는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본 발명의 정방향용, 역방향용 스프링)(18,19)이 개재되어 설치되고, 회동변위가 자유롭게 지지되는 제 1 홀더(12)[개폐기(9)]를, 개폐기(9)의 비작동상태(비작용상태)에서 상기 회동허용범위의 대략 중간위치(±0°)에 있어서 스프링정수(스프링력)가 0으로 되는 상태로 유지(중립유지)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 중립상태에서 개폐기(9)가 정역 어느 방향으로 회동변위하느냐에 따라, 대응하는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이 소정의 스프링정수로 작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즉, 상기 제 1 홀더(12)에는 돌출편(12b)이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편(12b)의 내, 외경에 위치하여 한쌍의 제 1, 제 2 스프링용 관통구멍(12c,12d)이 각각 뚫려져 있다. 한편 상기 제 1 브래킷(15)에는 축방향으로 한쌍의 돌출편(15d)이 간격을 두고 형성되어 있으며, 이 각 돌출편(15d)의 내, 외경에 위치하여 한쌍의 제 1, 제 2 스프링용 관통구멍(15e,15f)이 각각 뚫려져 있다. 그리고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은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18)의 각 끝단부는 제 1 스프링용 관통구멍(12c,l5e)에 각각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끼워넣어지고,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9)의 각 끝단부는 제 2 스프링용 관통구멍(12d,15f)에 각각 자유롭게 슬라이드 이동하도록 끼워넣어지며, 제 1, 제 2 스프링고정구(20,21)에 의해 적절히 슬라이드위치에서 각각 고정되는 것으로,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이 각각 소정의 스프링정수를 갖은 상태로 되어 지름방향으로 병렬형태로 배치되고, 이 상태에서 개폐기(9)를 중립위치에 유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제 1 홀더(12)에 형성된 제 1, 제 2 스프링용 관통구멍(12c,12d)은 개폐기 케이싱(9a)의 바깥둘레면과 동심형태로 형성된 원호형상의 긴 구멍으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중립유지상태에서,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18)은 제 1 스프링용 관통구멍(12c)의 한쪽 구멍 끝단부(도 6에서 상단부)에 걸어맞춰지고,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9)은 제 2 스프링용 관통구멍(12d)의 다른쪽 구멍 끝단부(도 6에서 하단부)에 걸어맞춰지는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제 1, 제 2 스프링고정구(20)는, 제 1 브래킷(15)의 한쌍의 돌출편(15d) 사이에, 이 돌출편(15d)의 둘레방향에 병렬로 설치되도록 되어 있는데, 각 스프링고정구(20,21)는 마찬가지 구성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여기서는 제 1 스프링고정구(20)에 대해서만 상세한 설명을 행하고, 제 2 스프링고정구(21)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즉, 제 1 스프링고정구(20)는, 양 다리편에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18)의 끝단부가 각각 헐겁게 끼워진 상태로 관통하고, 또한 돌출편(15d)의 사이에 미끄럼동작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지는 대략 ㄷ자형상의 고정부재(20a)와, 이 고정부재 (20a)의 바닥편을 관통하여, 선단이 고정부재(20a)에 끼워넣어진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18)에 접속이탈이 자유롭게 진퇴하는 나비볼트(20b)와, 이 나비볼트(20b)가 나사맞춤하며, 또한 고정부재(20a)의 양 다리편에 의해 회전되지 않도록 배치된 너트(20c)로 구성되고, 나비볼트(20b)를 너트(20c)에 대하여 돌려 조작함으로써, 나비볼트(20b)의 선단을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18)에 조이거나 풀어지는 상태로 접촉시킬 수 있어, 이것에 의해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18)의 이동규제와 그 해제가 가능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은, 제 1, 제 2 고정구(20,21)에 의한 고정위치보다도 절곡부측의 부위가 스프링으로서 작용하도록 되어 있으며, 해당 쪽의 길이를 스프링의 유효길이로서 조정하고, 대응하는 고정구(20,21)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각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의 스프링정수를 조정할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 나비볼트(20b,2lb)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각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이 고정 및 고정해제 상태로 되는데, 나비볼트(20b,21b)의 조작부는 돌출편(15d)의 바깥둘레 주위로 이동이 자유롭게 되어 있기 때문에, 나비볼트 (20d,21b)가 둘레방향으로 위치가 어긋나더라도 조일 수 있음은 물론, 조정조작이 쉽다는 이점이 있다.
그리고, 상기 중립유지되어 있는 개폐기(9)에 대하여 과부하가 작용하면, 개폐기(9)는 이 과부하의 방향에 대응하는 토오크반력에 따라 회전하게 된다. 즉 셔터커튼(1)이 폐쇄작동하여 장해물이 끼여 들어간 경우나, 전체폐 쇄 리미트위치(접지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셔터커튼(1)의 하중과 밸런스스프링(11)의 축적력과의 밸런스가 맞지 않기 때문에, 부하검지용 스프링(18)에 저항하여 개폐기(9)가 예컨대 정회전방향(도 7에서의 화살표 X방향)으로 크게 회동변위(예컨대 +6°이상)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셔터커튼(1)이 개방작동하여 전체개방 리미트위치(인출구 걸어맞춤위치)에 도달한 경우에는, 인출구에 걸어맞춤된 셔터커튼(1)의 인장하중이 작용하기 때문에, 개폐기(9)가 역회전방향(도 7에서의 화살표 Y방향)으로 크게 회동변위(예컨대 -6°이상)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에, 개폐기(9)의 정회전방향[도 7에서의 화살표 X방향으로서, 셔터커튼(l)의 폐쇄작동시에 생기는 회동방향]으로의 회동변위에서는, 제 1 스프링용 관통구멍(12c)의 한쪽 구멍 끝단부에 걸어맞춤하는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18)에 저항한 상태[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18)을 확장 개방하는 쪽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상태]로 회동변위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고, 이 때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9)은 제 2 스프링용 관통구멍(12d)의 긴 구멍내를 이동하게 되어,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 (19)이 개폐기(9)의 해당 쪽으로의 회동에 스프링력이 작용하지 않도록(불간섭상태) 설정되어 있다. 한편 개폐기의 역회전방향[도 7에서의 화살표 Y방향으로서, 셔터커튼(1)의 개방작동시에 생기는 회동방향]으로의 회동변위에서는, 제 2 스프링용 관통구멍(12d)의 다른쪽 구멍 끝단부에 걸어맞춤하는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9)에 저항한 상태[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9)이 절곡되는 쪽으로 탄성변형시키는 상태]로 회동변위가 행해지도록 되어 있고,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18)은 제 1 스프링용 관통구멍(12c)의 긴 구멍내를 이동하게 되어,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18)이 개폐기(9)의 해당 쪽으로의 회동에 스프링력이 작용하지 않도록(불간섭으로 됨)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셔터커튼(1)의 개방, 폐쇄의 각 작동시에 있어서의 과부하는,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의 각각의 스프링정수에 대응한 저항력을 별개로 받아 검지되는 것으로 되어, 각 작동에서 다른 검지정밀도를 얻을 수 있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18)은 높은 검지정밀도를 이루는 스프링정수인 것이고,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9)은 낮은 검지정밀도를 이루는 스프링정수인 것으로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본 실시형태의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l9)의 최대 허용응력은, 개폐기(9)의 변위량이 최대일 때에 받는 응력보다도 크게 설정되어 있으며, 이 때문에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이 받는 응력을 항상 최대 허용응력 이하로 제한하여 각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의 파손을 방지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22)는 개폐기(9)에 설치되는 제어반으로서, 이 제어반(22)은 제 1 브래킷 (15)에 형성된 지지변(15c)과, 제 2 브래킷(16)과 연결되는 상태로 지지된 제어반 브래킷(23)에 부착되고,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l9)에 대하여 개폐기(9)를 사이에 두고 반대쪽에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제어반(22)에는 셔터제어회로 (22a)와, 이 셔터제어회로(22a)에 접속되어, 개폐기(9)의 회동변위를 검출하는 리미트스위치(LSD,LSU)가 내장되어 있다. 그리고 리미트스위치(LSD,LSU)와 개폐기(9)는 다음과 같이 연계되어 있다.
즉, 제어반 브래킷(23)의 제 1 브래킷(15) 측에는 고정식 스위치브래킷(24)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이 고정식 스위치브래킷(24)에는, 권취드럼(2)의 지름방향에 대응하는 방향으로 소정의 거리(S) 만큼 슬라이드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된 슬라이드식 스위치브래킷(25)이 설치되고, 여기에 상기 리미트스위치(LSD,LSU)가 상기 지름방향으로 소정의 거리(S)를 두고 대향 형태로 고정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슬라이드식 스위치브래킷(25)은 고정식 스위치브래킷(24)에 배치된 비틀림스프링 (26)에 의해 중립자세로 위치 결정된 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한편 (27)은 각 리미트스위치(LSD,LSU)의 대향 사이에 배치되는 작동레버로서, 이 작동레버(27)는 고정식 스위치브래킷(24)의 돌출편(24a,24b)에, 좌우방향으로 향한 상태에서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되고, 중간부에는 작동레버(27)가 요동함에 따라 임의의 리미트스위치 (LSD,LSU)의 스위치접점에 접촉 및 이탈하는 조작부(27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돌출편(24a)에서 돌출하는 작동레버(27)의 끝단부에는, 링크막대(27b)의 상단부가 일체적으로 연결되어 있다.
한편, 제 1 홀더(12)에는 상기 링크막대(27b)에 대하여 지름방향으로 인접하는 부위에 아암부착변(12e)이 돌출형성되고, 이 아암부착변(12e)에 뚫린 걸어맞춤구멍에,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된 작동아암(28)의 한끝단이 회동이 자유롭게 걸려 있다. 이 작동아암(28)의 다른 끝단은 상기 링크막대(27b)의 하단부에 뚫린 걸어맞춤구멍에 회동이 자유롭게 걸려 있으며, 이것에 의해 개폐기(9)가 회동변위한 경우에, 작동아암(28)이 링크막대(27b)의 하단부를 요동시켜, 이것에 의해 상기 작동레버(27)가 요동하여 대응하는 리미트스위치(LSD 또는 LSU)의 검출조작을 행하고, 이것에 의해 개폐기(9)의 구동정지를 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 상기 작동아암(28)의 리미트스위치(LSD 또는 LSU)의 검출조작을 실행하기 위한 요동(검출) 스트로크는, 특별한 과부하가 없는 개폐작동중(장해물이 없는 평상시의 개폐작동중)에 발생하는 요동 스트로크보다 크고, 또한 과부하시에 발생하는 요동 스트로크보다 작은 스트로크로 설정되며, 이에 따라 과부하 발생요인인 장해물이 끼워지거나, 전체폐쇄, 전체개방 등을 검지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이 통상의 사용상태에 있어서, 작동레버(27)의 요동에 의거한 회동력은, 리미트스위치(LSD,LSU)를 지지하는 슬라이드식 스위치브래킷(24)을 중립위치에 유지하는 비틀림스프링(26)의 가압력보다 밑도는 것이어서, 리미트스위치(LSD,LSU)는 상기 중립위치에 유지된 채로 검출조작이 행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예측하지 못한 사태가 발생하여, 리미트스위치(LSD,LSU)의 검출작동이 있었슴에도 불구하고, 개폐기(9)가 구동정지를 하지 않고 상기 과부하보다도 큰 과부하가 걸린 것과 같은 경우, 작동레버(27)는 상기 요동 스트로크를 넘어서 큰 회동력을 리미트스위치(LSD,LSU)에 부여하게 된다. 이 경우에 리미트스위치(LSD,LSU)를 지지하는 슬라이드식 스위치브래킷(25)에는 비틀림스프링(26)의 가압력을 초과하는 힘이 가해지게 되고, 이와 같이 되면 슬라이드식 스위치브래킷 (25)은 비틀림스프링(26)의 가압력에 저항하는 상태에서 고정식 스위치브래킷(24)에 대하여 슬라이드이동하고, 이것에 의해 상기 큰 과부하를 회피하여 리미트스위치(LSD,LSU)의 보호가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본 실시형태의 셔터제어회로(22a)에는 다음과 같은 배려가 이루어져 있다. 즉 강풍하에서 셔터커튼(1)을 폐쇄하는 것과 같을 때, 셔터커튼(1)에 부하가 걸리고, 상기 하강용 또는 상승용의 리미트스위치(LSD,LSU)를 검출조작해 버리는 것과 같은 경우가 있으나, 이러한 경우에는 리미트스위치(LSD,LSU)가 검출상태로 되어 있기 때문에, 셔터커튼(1)을 전체 폐쇄하려고 해도 작동하지 않게 된다. 그리하여 셔터제어회로(22a)에는, 리미트스위치(LSD,LSU)가 검출상태로 되어 있는 경우일지라도 셔터커튼의 개폐작동이 가능하도록 수동조작모드가 부가되어 있다. 이 경우에 정지용 조작스위치(STOP)를 10초간 눌러서 조작하면, 통상의 조작모드로부터 수동조작모드로 모드를 변경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 수동조작모드에서는 리미트스위치(LSD,LSU)의 검출, 비검출상태에 관계없이, 개방용 조작스위치(UP), 폐쇄용 조작스위치(DOWN)을 눌러 조작하고 있는 동안에는, 대응하는 셔터작동이 이루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이 상태에서 통상의 조작모드로의 변경은, 10초간 동안의 개방, 폐쇄, 정지의 모든 조작이 이루어지지 않은 것으로 실행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여기에서는, 개폐기(9)의 기동시에는 과부하가 생기지만, 이 기동시의 과부하가 큰 경우, 이것을 통상 작동시의 과부하로서 검지하지 않도록 설정하면, 장해물검지의 정밀도가 떨어져 버리는 것으로 생각되며, 이러한 경우에는, 기동시에 예컨대 1초간 동안에는 리미트스위치(LSD,LSU)의 작동을 무시하도록 제어함으로써, 검지정밀도의 저하를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조작스위치의 스위치조작을 행한 경우에, 리미트스위치(LSD,LSU)가 검출, 비검출상태의 어느 것인가를 인식시키기 위한 인식수단이 작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본 실시형태에서는, 검출상태라면 연속음이 발생하고, 비검출상태라면 간헐음이 발생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나, 램프표시 등과 같은 별도의 인식수단으로 하여도 물론 좋음). 이 때문에 전술한 바와 같이 조작스위치의 스위치조작을 하더라도 셔터커튼(1)이 작동하지 않게 되는 경우에, 리미트스위치(LSD,LSU)의 상태를 확인하여 작동하지 않는 원인이 리미트스위치(LSD,LSU)의 검출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으면, 셔터커튼(1)의 상태를 확인한 후, 수동조작모드로 전환함으로써 셔터커튼(1)을 개폐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셔터커튼(1)의 개방시에 있어서, 셔터커튼(1)은 최하단의 좌판이 건물 상판에 접촉함으로써 상승용의 리미트스위치(LSU)의 검출조작이 이루어지고, 이것에 의해 개폐기(9)의 구동을 정지하지만, 이 때 좌판이 건물 상판으로의 접촉으로부터 상승용 리미트스위치(LSU)가 이것을 검출하여 개폐기(9)를 정지시킬 때까지의 사이에 약간의 타임러그가 있고, 이 타임러그의 동안에 셔터커튼(1)은 더욱 개방작동을 행하게 되므로, 좌판은 건물 상단에 부하를 부여하는 상태에서 정지하게 된다. 그리하여 여기에서는 상승용 리미트스위치(LSU)가 검출상태로 전환된 후, 소정시간 동안에 개폐기(9)를 폐쇄작동(역전)시켜, 셔터커튼(1)이 풀려나와, 좌판과 건물 상단이 약간 떨어진 상태에서 정지하도록 제어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장해물이 끼거나, 셔터커튼 (1)의 전체폐쇄, 전체개방 등에 의거하여 과부하가 발생한 경우에는, 각각 대응하는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에 저항하여 개폐기(9)가 회동변위하고, 이것을 리미트스위치(LSD,LSU)에서 검출하여 개폐기(9)를 자동적으로 정지하게 된다. 즉 개폐기(9)를 모터부하(토오크반력)에 대응하여 회동변위하도록 지지하고, 이 변위량에 의거하여 모터부하를 검출하도록 하였기 때문에, 모터부하를 직접적으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그 결과 회전수 변화나 전류값 변화에 의거하여 간접적으로 모터부하를 검출하고 있는 종래에 비하여 정밀도가 높은 부하검출을 행할 수 있어, 결과적으로 장해물검지 및 리미트검지의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폐쇄작동때 및 개방작동시에 있어서의 개폐기(9)의 회동변위는, 서로 간섭하지 않는 제 1 또는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에 저항하여 행해지는 결과,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의 스프링정수를 각각 별개로 조정함으로써, 셔터커튼(1) 작동시에 있어서의 검지정밀도를 각각 다른 것으로 할 수 있다. 따라서 폐쇄작동시에는 높은 검지정밀도로서 장해물이 끼워지지 않는 것으로 할 수 있으면서, 개방작동시에는 검지정밀도를 저하시켜 안정성이 있는 작동을 가능하게 하여, 조작성이 좋아지게 된다.
그리고,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은 각각 별개로 스프링정수를 조정할 수 있기 때문에, 적절히 검출감도조정을 기계적으로 행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중량 등이 서로 다른 각종의 개폐체로서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 (18,19)을 공통화할 수 있다. 또 여기서는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의 스프링정수의 조정은, 각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을 적절히 슬라이드이동시킴으로써 행할 수 있으므로,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을 고정하기 위한 제 1, 제 2 스프링고정구(20,21)가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의 조정구와 겸용되어 구조의 간략화가 이루어지고, 부품수의 삭감이 이루어진다.
더구나, 이들 각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은, 개폐기(9)의 정, 역회동변위에 대하여 각각 별개로 작용하는 구성으로서, 서로 간섭하지않기 때문에, 각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의 감도 조정이 용이하다는 이점이 있다. 즉 각 스프링이 서로 간섭하여, 예컨대 정방향으로 회동변위할 때에, 양쪽의 부하검지용 스프링이 작용하도록 구성한 경우, 스프링정수의 변화량에 대한 검지감도(양쪽의 스프링정수를 합성한 것)의 변화가 커지게 되어 조정이 어렵게 된다는 문제가 있지만, 본 실시형태에서는 그러한 일이 없다.
또한, 각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을 조정, 고정하기 위한 나비볼트(20b, 2lb)의 손잡이 부위는, 돌출편(15d)의 지름방향으로 조작위치를 바꿀 수 있기 때문에, 조작성이 뛰어나 작업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더구나 여기에서는, 개폐기(9)를 모터축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변위가 자유롭도록 지지하였기 때문에, 변위 스페이스를 특히 확보할 필요없이, 제 1, 제 2 브래킷(15,16)을 변경하는 정도의 간단한 구성으로 실시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리미트스위치(LSD,LSU)에 걸리는 과부하가 통상의 것을 넘는 큰 것으로 된 경우, 리미트스위치(LSD,LSU)는 상기 큰 부하를 회피하도록 슬라이드이동을 하게 되어 리미트스위치(LSD,LSU)의 보호가 이루어진다.
또한, 상기 개폐기(9)의 회동범위를 제한함과 동시에, 각 부하검지용 스프링 (18,19)의 최대 허용응력을 개,폐 작동시에 있어서의 개폐기(9)의 변위량이 최대일 때에 받는 응력보다도 크게 설정하였기 때문에, 각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이 받는 응력을 항상 최대 허용응력 이하로 제한하여 파손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은 것은 물론이며, 예컨대 개폐기(9)를 구성하는 감속기를 부하변동에 대응하여 변위하는 변위부재로서 지지하고, 이 부재의 변위량에 따라 부하변동을 검출하는 것도 가능하다. 더구나 상기 제 1 실시형태에서와 같이 전동셔터의 개폐장치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오닝 등의 권취식 개폐장치에 사용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에, 본 발명의 제 2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 10에 의거하여 설명하는데, 도면 중에서제 1 실시형태와 공통인 부분에 대하여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함과 동시에 그 상세하게 대하여는 생략한다.
이것은 고정축(5)에 고정지지되는 제 1, 제 2 브래킷(29,30)에 축받이부 (29a,30a)를 형성하고, 이 축받이부(29a,30a)에 개폐기(9)로부터 신장되는 연장출력축(9b)과 후부 돌출축(9c)이 각각 축지지되며, 이것에 의해 개폐기(9)가 모터축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변위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브래킷 축받이부(30a)의 바깥둘레부에는 한쌍의 돌출편(30b,30c)이 외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고, 여기에 후술하는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1,32)의 한끝단부가 슬라이드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지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상기 한쌍의 돌출편 (30b,30c)의 사이에는 스톱퍼편(30d)이 축방향으로 길게 돌출된 형태로 설치된다.
한편, 개폐기(9)의 케이싱(33)의 바깥둘레에는 지지편(33a)이 외경방향으로 돌출형성되어 있고, 이 지지편(33a)에 개폐기 케이싱(33)의 바깥둘레면과 동심 원호형상인 한쌍의 긴 구멍(33b,33c)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1,32)은 양 끝단부끼리가 확장상태인 것을 대략 ㄷ자형상의 절곡상태로 탄성변형시킨 것으로서, 그 한끝단부가 전술한 바와 같이 제 2 브래킷 돌출편(30b,30c)으로 끼워넣어지고, 다른 끝단부가 케이싱 지지편(33a)의 긴 구멍(33b,33c)으로 끼워넣어짐으로써,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1,32)은 고정측의 제 2 브래킷(30)과 변위부재측의 개폐기(9)의 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또한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1,32)는, 제 2 브래킷 돌출편 (30b,30c)에 나사맞춤하는 나사(34,35)에 의해 고정되도록 되어 있고, 각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1,32)을 적절히 슬라이드위치로 이동시켜, 나사(34,35)에 의해 고정함으로써, 개폐기(9)의 회동변위에 저항하는 스프링정수의 조정을 할 수 있도록 되어 있는 것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이다.
상기 개재된 상태에서,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1,32)은 다른 끝단부끼리가 근접(인접)하는 상태에서 둘레방향에 병렬형태로 배치되어 있다. 그리고 각 부하검지용 스프링(31,32)의 다른 끝단부끼리는, 상기 탄성변형하는 것에 따른 스프링력(확장하려고 하는 힘)에 의해, 각 긴 구멍(33b,33c)의 인접하는 구멍 끝단부에 걸어맞추어져 있으나, 이들 각 긴 구멍(33b,33c)에서 돌출한 다른 끝단부끼리는, 제 2 브래킷(30)에 형성된 스톱퍼편(30d)의 둘레방향 양측부에 접촉함으로써, 케이싱(33)에 축적력이 작용하지 않고, 스톱퍼편(30d)을 끼워붙인 상태로 걸려져 있다. 이것에 의해 각 부하검지용 스프링(30,31)은 각각 스프링정수가 0이 아닌 상태에서 개폐기(9)를 중립(회동허용범위의 중간위치)에 유지하게 되어, 개폐기(9)는 덜컥거림이 없는 상태로 유지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립유지상태로부터, 개폐기(9)에 과부하가 작용하여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변위하는 경우,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31)은 지지편(33a)의 긴 구멍(33b)을 통해 개폐기(9)에 대하여 저항력(스프링력으로서 절곡방향으로 탄성변형하기 위한 힘)을 작용하는 한편,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2)은 스톱퍼편(30d)에 의해 이동규제를 받고 있는 다른 끝단부가 지지편의 긴 구멍(33c)을 상대이동하는 상태로 되어, 개폐기(9)에 대하여 스프링력이 작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개폐기(9)가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변위하는 경우에는,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 (32)의 저항력을 받은 상태에서 변위하도록 되어 있고, 각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1,32)을, 각각 소망의 스프링정수로 조정함으로써, 개,폐 각 작동시에 있어서의 검지정밀도를 별개의 것으로 설정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제 2 실시형태의 것에 있어서도, 개,폐 각 작동시에 있어서의 검지정밀도를 다른 것으로 설정할 수 있고, 높은 검지정밀도의 장해물검지가 가능한 것이면서, 개방작동시에 있어서는 안정성이 좋은 개방작동이 가능하여 조작성이 좋아지게 된다. 또한 본 제 2 실시형태의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1,32)은 다른 끝단부가 미리 소정의 스프링력으로 스톱퍼편(30d)을 밀어붙이도록 하여 배치되어 있는 결과, 과부하에 의해 개폐기(9)가 회동변위하는 경우에는, 스프링력을 받은 상태에서 더욱 스프링력(저항력)을 받는 것으로 되기 때문에, 상기 제 1 실시형태의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18,19)과 같이, 중립유지상태에서는 스프링력이 0으로 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회동변화에 대한 스프링력의 변화를 작게 할 수 있으므로 검지정밀도를 높이는 것이 가능해짐은 물론, 중립유지상태에서의 휘청거림도 방지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이어서, 도 l1에 나타낸 제 3 실시형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것은 고정축 (5)에 고정지지되는 제 1, 제 2 브래킷(36,37)에 축받이부(36a,37a)를 형성하고, 이 축받이부(36a,37a)에 개폐기(9)로부터 신장되는 연장출력축(9b)과 후부 돌출축 (9c)이 각각 축지지되어 있다. (38,39)는 직선형태로 된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으로서, 이들 각 부하검지용 스프링(38,39)의 기초단부는, 제 2 브래킷 축지지부(37a)의 바깥둘레부에 둘레방향 인접형태로 형성된 스프링부착용 관통구멍(37b, 37c)에 각각 끼워넣어져 지지되고, 다른 끝단부는 제 1 브래킷 축지지부(36a)의 바깥둘레부에 형성된 스프링부착용 구멍(36b,36c)에 각각 끼워넣어져 지지되어 있다. 한편 이들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8,39)의 빠짐방지는, 다른 끝단부의 절곡부(38a,39a)와, 한끝단부의 스프링빠짐 방지부재(38b,39b)로 이루어져 있다.
한편, (40)은 고정구로서, 이 고정구(40)는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 (38,39)이 축방향으로 자유롭게 이동하도록 헐겁게 끼워지고, 개폐기 케이싱(9a)의 바깥둘레면과 동심 원호형상으로 형성된 한쌍의 스프링용 관통구멍(40a,40b)과, 케이싱(9a)의 바깥둘레면에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돌출편(9d)에 축방향으로 슬라이드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맞춰지는 슬라이드 걸어맞춤편(40c)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고정구(40)를 케이싱(9a) 바깥둘레면의 적절한 위치에서 나사(40d)를 이용하여 부착고정함으로써, 개폐기(9)와 제 1, 제 2 브래킷(36,37)의 사이에 소정의 스프링정수를 갖은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7,39)이 개재된 상태에서, 개폐기(9)가 중립유지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 때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8,39)은, 고정구스프링용 관통구멍(40a,40b)의 서로 인접하는 쪽의 구멍 끝단부에 걸어맞추어진 상태로 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중립유지상태로부터, 개폐기(9)에 과부하가 작용하여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변위하는 경우, 개폐기(9)는 고정구(40)의 스프링용 관통구멍(40a)의 구멍 끝단부를 통해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38)의 저항력을 받는 한편,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9)은 고정구스프링용 관통구멍(40b) 내부를 이동하는 상태로 되어 스프링력을 개폐기(9)에 대하여 작용하지 않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개폐기(9)가 화살표 Y방향으로 회동변위하는 경우에는,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9)의 저항력을 받은 상태에서 변위하도록 되어 있다. 이와 관련하여 본 제 3 실시형태의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8,39)은 스프링정수가 다른 것이 채용되어 있으며, 개,폐 각 작동시에 다른 검지정밀도로 되도록 설정하고, 이 상태를 더욱 고정구40에 의해 미세조정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와 같이 제 3 실시형태의 것에서는, 상기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개,폐 각 작동시에 있어서의 검지정밀도를 다른 것에 설정하여, 높은 검지정밀도의 장해물검지를 행하면서 개방작동시에 있어서는 안정성이 좋은 작동을 할 수 있어 조작성이 좋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서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8,39)을 동일한 스프링, 즉 스프링정수가 동일한 스프링을 사용한 경우에는, 개,폐 각 작동시에 있어서의 검지정밀도를 바꾸는 수단으로서 다음과 같이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개폐기 (9)의 회동변위량이 다른 상태에서 제어반(22)의 리미트스위치(LSD,LSU)의 스위치조작이 이루어지도록 구성하면 검지정밀도를 변경시킬 수 있고, 이것을 위해서는 예컨대 중립위치의 작동레버(27)로부터의 각 리미트스위치(LSD,LSU) 사이의 간격을 각각 다른 간격으로 설정하고, 각 리미트스위치(LSD,LSU)의 스위치조작 타이밍이 다르도록 구성하면 좋다.
또한,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38,39)은 제 1, 제 2 브래킷(36,37)의 어느 한쪽에 지지하는 형태의 구성으로 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그리고, 도 12에 나타낸 제 4 실시형태의 것은, 부하변동에 대응하여 변위하는 변위부재인 개폐기(9)가, 고정축(5)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변위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즉 이것은, 개폐기(9)의 양 끝단면에, 제 1, 제 2 모터부착판(41,42)의 고정부(41a,42a)를 고정함과 동시에, 제 1, 제 2 모터부착판(41,42)에 고정축 축지지부(41b,42b)를 일체로 형성하여 고정축(5)을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으며, 이것에 의해 개폐기(9)가 고정축(5)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또한 제 1 모터부착판(4l)에는 연장부(4lc)가 형성되고, 이 연장부(41c)에 고정축(5)의 바깥둘레면과 동심 원호형상인 한쌍의 스프링용 관통구멍(4ld,41e)이 형성되어 있다. 이들 스프링용 관통구멍(41d,41e)에는, 제 1 실시형태와 마찬가지로 대략 ㄷ자형상으로 형성된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43,44)의 한끝단부가 슬라이드이동이 자유롭도록 끼워넣어져 지지되어 있다. 한편 고정축 (5)에는 고정브래킷(45)이 회전되지 않는 상태로 고정부착되어 있고, 이 고정브래킷(45)에는 상기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43,44)의 다른 끝단부가 슬라이드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져 지지되는 부착부(45a,45b)가 형성되어 있으며, 나사 (45c,45d)를 조이거나 풀어줌으로써 각 부하검지용 스프링(43,44)의 고정 및 고정해제가 가능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개폐기(9)는 전술한 바와 같이 고정축(5)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지지됨과 동시에, 출력기어(10)를 통해 권취드럼(2)을 구성하는 내치차 링기어(7)와 연동하도록 연결되어 있고, 이것에 의해 개폐기(9)는 통상의 셔터커튼(1)의 개폐동작에 있어서는 중립위치에 유지되어 내치차 링기어(7)를 소정의 방향으로 회동시키는데, 장해물검지, 셔터커튼(1)의 전체폐쇄, 전체개방하는 등하여 큰 부하가 작용한 것과 같은 경우에, 개폐기(9)는 대응하는 어느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43,44)에 저항하여 고정축(5)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회동변위{출력기어(10)가 내치차 링기어(7)를 따라 회동변위하는 상태로서, 출력기어(10)[개폐기(9)]의 회동변위방향은, 내치차 링기어(7)의 상기 소정 방향으로의 회동방향과는 반대방향으로 회동변위}하도록 설정되어 있으며, 이 회동변위를 도시하지 않은 검지센서에 의해 검지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즉 개폐기(9)의 중립유지상태에서,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43,44)은 제 1 모터부착판(41)의 스프링용 관통구멍(41d,4le)의 서로 인접하는 쪽의 구멍 끝단가장자리에 위치하고 있으며, 이 중립상태로부터 개폐기 (9)에 과부하가 작용하여 제 1 모터부착판 연장부(41c)가 화살표 X방향으로 회동변위하는 경우에는,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43)에 저항하여[스프링용 관통구멍(41d)이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43)을 확장하도록 작용하여] 회동하 도록 설정되어 있다. 이 때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44)은 스프링용 관통구멍(41e) 내부를 이동함으로써 이 방향의 회동에 대하여 간섭하지 않게 되는 것, 화살표 Y방향으로의 회동변위는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44)에 저항하게 되어, 제 1 부하검지용 스프링(43)에는 간섭하지 않는 것 등은 상기 실시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한편, (46)은 고정축(5)의 제 1, 제 2 모터부착판(41,42)으로의 축지지 부위에 설정되는 부쉬이다.
이와 같이, 제 4 실시형태는 변위부재인 개폐기(9)를 고정축(5)에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하고, 개폐기(9)로의 과부하에 의거하여 개폐기(9)가 고정축(5)을 지지점으로 회동변위함에 따라 개폐기(9)의 구동정지를 행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여기에서도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43,44)을 각각 대응하는 스프링정수로 조정할 수 있게 되고, 개,폐 각 작동시에 있어서의 검지정밀도를 다르게 하여, 높은 검지정밀도의 장해물검지가 가능한 것으로 하면서, 안정성이 있는 개방작동이 가능한 조작성을 좋게 할 수 있다.
또한, 도 13에 나타낸 제 5 실시형태의 것은,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 (47,48)이 압축스프링(코일스프링)으로 구성된 것으로 되어 있다.
즉, 이것은 고정축(5)에 고정된 제 1, 제 2 브래킷(49,50)에 개폐기(9)가 모터축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되고, 상기 제 2 브래킷 (50)의 바깥둘레면에, 외경방향으로 돌출하는 상태에서 스프링지지부(50a,50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47,48)은, 상술한 바와 같이 제 1, 제 2 압축스프링(47a,48a)과, 이들 압축스프링(47a,48a)이 각각 끼워넣어지며, 이 끼워넣어진 선단부가 상기 스프링지지부(50a,50b)에 각각 이동이 자유롭게 끼워넣어지는 볼트(47b,48b)와, 이 볼트(47b,48b)의 스프링지지부(50a,50b)의 돌출 선단부에 나사맞춤되는 조정용의 더블 너트(47c,48c)로 구성되고, 제 1, 제 2 압축스프링(47a,48a)이 볼트머리부(47d,48d)와 스프링지지부(50a,50b)의 사이에 탄력있게 지지됨으로써, 볼트머리부(47d,48d)를 밀어누름에 따라 저항력(스프링력)이 작용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한편 개폐기 케이싱(9a)에는 상기 볼트머리부(47d,48d)에 대향하는 상태에서 맞닿음부재(9e,9f)가 고정부착되어 있고, 개폐기(9)가 화살표 X 또는 Y의 어느 방향으로 회동변위한 경우에, 대응하는 맞닿음부재(9e,9f)가 볼트머리부(47d,48d)에 접촉하여, 대응하는 압축스프링(47a,48a)의 상기 저항력을 받도록 설정되어 있다. 여기에서는 더블 너트(47c,48c)를 각각 조정함으로써 제 1, 제 2 부하검지용 스프링(47,48)의 스프링정수를 소망의 것으로 조정할 수 있고, 이와 같이 하는 것으로도, 개,폐 각 작동시에 있어서의 검지정밀도를 각각 다른 것으로 설정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변위부재의 변위량이, 모터부하에 거의 비례하기 때문에, 상기 모터부하를 직접적으로 변위센서로 검출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며, 그 결과 회전수 변화나 전류값 변화에 따라 간접적으로 모터부하를 검출하고 있는 종래에 비하여 정밀도가 높은 부하검출을 행할 수 있음은 물론, 정,역 각각의 방향으로의 회동변위에 대응하는 부하검지용 스프링에 의해 검출할 수 있게 되어, 정밀도가 높은 장해물검지를 할 수 있는 것이면서 안정성이 있는 작동을 행할 수 있다.

Claims (4)

  1. 건물 개구부를 개폐하는 개폐체를, 전동모터를 구비한 개폐기의 정역구동력으로 개폐작동시키는 건축용 전동개폐장치에 있어서, 상기 전동모터 본체, 또는 개폐기를, 부하변동에 대응하여 건물측에 고정되는 고정부재에 대하여 변위하는 변위부재로 하며, 이 변위부재와 고정부재의 사이에 부하검지용 스프링을 개재하여 장착하고, 부하검지용 스프링에 저항한 변위부재의 변위량을 변위센서로 검출하며, 부하검지용 스프링은, 변위부재의 정역방향으로의 회동변위에 각각 대응하도록 작용하는 정방향용, 역방향용의 스프링을 각각 이용하여 구성되어 있는 건축용 전동개폐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부하검지용 스프링은, 각각 대략 ㄷ자형상 또는 직선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는 건축용 전동개폐장치.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변위부재는, 모터축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변위가 자유롭게 구성되며, 부하변동에 대응한 변위부재의 회동변위량을 변위센서로 검출하는 건축용 전동개폐장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변위부재를, 고정축으로 대하여 회동이 자유롭게 축지지하여 고정축의 축심을 지지점으로 하여 회동변위가 자유로운 구성으로 하고, 부하변동에 대응한 변위부재의 회동변위량을 변위센서로 검출하는 건축용 전동개폐장치.
KR10-1999-0051056A 1998-11-18 1999-11-17 건축용 전동개폐장치 KR1005236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2813698A JP3559950B2 (ja) 1998-11-18 1998-11-18 建築用電動開閉装置
JP328136 1998-11-1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5526A true KR20000035526A (ko) 2000-06-26
KR100523698B1 KR100523698B1 (ko) 2005-10-24

Family

ID=182069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51056A KR100523698B1 (ko) 1998-11-18 1999-11-17 건축용 전동개폐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125907A (ko)
JP (1) JP3559950B2 (ko)
KR (1) KR100523698B1 (ko)
CN (1) CN1128289C (ko)
DE (1) DE19945898A1 (ko)
FR (1) FR2785939B1 (ko)
GB (1) GB2343919A (ko)
ID (1) ID25756A (ko)
SG (1) SG7928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892A (ko) 2020-12-08 2022-06-15 주식회사 솔텍로보틱스시스템 협동로봇 바리스타를 위한 컵 자동 추출 지능형 대용량 디스펜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95930B2 (ja) * 1998-11-16 2004-12-02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電動開閉装置
DE19946382A1 (de) * 1999-09-28 2001-04-12 Baumeister & Ostler Gmbh Co Laderaumabtrennung für Kraftfahrzeuge
JP4153637B2 (ja) * 1999-11-30 2008-09-24 株式会社ハアーモニー 電動シャッターの障害物検知用開閉装置及び障害物検知装置
KR100417618B1 (ko) * 2001-03-07 2004-02-05 주식회사 홈네스터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KR100417619B1 (ko) * 2001-05-30 2004-02-05 주식회사 홈네스터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GB2378983B (en) * 2001-08-02 2005-05-25 Smarta Systems Ltd Motorised shutter door arrangement
JP4928125B2 (ja) * 2006-01-20 2012-05-09 キヤノン株式会社 駆動装置
US7967051B2 (en) * 2007-02-16 2011-06-28 Overhead Door Corporation Counterbalance system for upward acting door
US9018868B2 (en) 2010-02-23 2015-04-28 Qmotion Advanced Shading Systems High efficiency roller shade and method for setting artificial stops
US8368328B2 (en) * 2010-02-23 2013-02-05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Method for operating a motorized roller shade
US8659246B2 (en) 2010-02-23 2014-02-25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High efficiency roller shade
US9152032B2 (en) 2010-02-23 2015-10-06 Qmotion Incorporated High efficiency motorized roller screen and method of operation
US9194179B2 (en) 2010-02-23 2015-11-24 Qmotion Incorporated Motorized shade with the transmission wire passing through the support shaft
US9249623B2 (en) 2010-02-23 2016-02-02 Qmotion Incorporated Low-power architectural covering
US8575872B2 (en) 2010-02-23 2013-11-05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High efficiency roller shade and method for setting artificial stops
US8299734B2 (en) * 2010-02-23 2012-10-30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High efficiency roller shade
US20140076115A1 (en) 2012-09-17 2014-03-20 Homerun Holding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utting one or more grooves in a cylindrical element
WO2014169093A1 (en) 2013-04-11 2014-10-16 Qmotion Incorporated Motorized drapery apparatus, system and method of use
US9801486B2 (en) 2014-05-19 2017-10-31 Current Products Corp. Crossover bracket for drapery
JP7161174B2 (ja) * 2018-07-02 2022-10-26 東都興業株式会社 フィルム開閉装置
EP4403739A2 (en) 2018-12-28 2024-07-24 7912854 Canada Inc. Roller blind limiter assembly, roller blind mechanism, roller blind system and method for adjusting an end position of a roller blind
US11457763B2 (en) 2019-01-18 2022-10-04 Current Products Corp. Stabilized rotating drapery rod ring system
GB2602972B (en) * 2021-01-20 2023-02-15 Tilt A Dor Ltd Roller door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64098A (en) * 1979-06-21 1986-01-14 Hormann Kg Drive assembly for door operator
AU1848883A (en) * 1979-06-29 1983-12-22 Firmagroup Australia Pty. Ltd. Reversing mechanism for automatic door opener
US4628636A (en) * 1984-05-18 1986-12-16 Holmes-Hally Industries, Inc. Garage door operator mechanism
US5101595A (en) * 1991-06-27 1992-04-07 David Rhoades Automatic gate opener with safety provisions
US5246095A (en) * 1992-03-23 1993-09-21 Johnson Service Company Output torque sensor and control apparatus
SE9203030L (sv) * 1992-10-15 1994-04-16 Torsby Verkstads Ab Säkerhetsfrikoppling ingående i motoriserat don för öppning och stängning av portar
US5263527A (en) * 1992-10-28 1993-11-23 Atlas Roll-Lite Door Corp. Fire door release mechanism
JP3313494B2 (ja) * 1993-12-29 2002-08-12 ルミツター工業株式会社 電動機取付機構
US5557887A (en) * 1994-06-29 1996-09-24 Jerry W. Fellows Yieldable gearing and safety mechanisms for garage door operators
KR0123694Y1 (ko) * 1995-03-13 1998-10-15 김명묵 서터의 장애물 검출장치
JP3472862B2 (ja) * 1996-09-05 2003-12-02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電動開閉装置
FR2754117B1 (fr) * 1996-09-30 1998-11-27 Somfy Dispositif de commande pour moteur asynchrone de store ou volet roulant
JPH10280845A (ja) * 1997-04-07 1998-10-20 Bunka Shutter Co Ltd 開閉体の障害物感知装置
JP3820723B2 (ja) * 1998-01-23 2006-09-13 文化シヤッター株式会社 電動シャッターの障害物感知装置
JP3595930B2 (ja) * 1998-11-16 2004-12-02 三和シヤッター工業株式会社 建築用電動開閉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80892A (ko) 2020-12-08 2022-06-15 주식회사 솔텍로보틱스시스템 협동로봇 바리스타를 위한 컵 자동 추출 지능형 대용량 디스펜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559950B2 (ja) 2004-09-02
SG79288A1 (en) 2001-03-20
KR100523698B1 (ko) 2005-10-24
DE19945898A1 (de) 2000-05-25
ID25756A (id) 2000-11-02
CN1128289C (zh) 2003-11-19
CN1254050A (zh) 2000-05-24
JP2000156990A (ja) 2000-06-06
FR2785939A1 (fr) 2000-05-19
GB9909717D0 (en) 1999-06-23
GB2343919A (en) 2000-05-24
FR2785939B1 (fr) 2004-11-12
US6125907A (en) 2000-10-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23698B1 (ko) 건축용 전동개폐장치
KR100533789B1 (ko) 건축용 전동개폐장치
DK3263820T3 (en) Motorically activatable and vertically movable lifting door
RU2427751C2 (ru) Постоянная опора
US5632063A (en) Counterbalancing mechanism for an overhead door
US6134835A (en) Counterbalance system for upward acting door
US5636678A (en) Counterbalancing mechanism for an overhead door
CA1260025A (en) Apparatus for opening and closing industrial door
JPH10266740A (ja) 垂直開きドアの釣合せ機構
WO2008029977A1 (en) Valve actuator having spring return power
KR970006334B1 (ko) 가변 토크 세팅 기계
US20110240236A1 (en) Ratchet system for winding a rolling door assembly
CA2393866A1 (en) Integrated bracket ratchet system
JP3472862B2 (ja) 建築用電動開閉装置
JP3627126B2 (ja) 建築用電動開閉装置
JP5221998B2 (ja) 建築用シャッター装置における落下防止装置
JP4054350B2 (ja) チューブラモータの自動停止装置
JP4005033B2 (ja) 車両スライド扉の動力スライド装置
WO2022247668A1 (zh) 踏板结构及扫地机器人
JP2005272068A (ja) 過負荷検知装置
JP3133955B2 (ja) 電動シリンダ
JPH0593485A (ja) ドア自動開閉装置
EP1614851A2 (en) End of stroke device for rolling shutter operators
JP4365186B2 (ja) トルクスイッチ
KR20010068348A (ko) 자동문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