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17619B1 -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 Google Patents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17619B1
KR100417619B1 KR10-2001-0030042A KR20010030042A KR100417619B1 KR 100417619 B1 KR100417619 B1 KR 100417619B1 KR 20010030042 A KR20010030042 A KR 20010030042A KR 100417619 B1 KR100417619 B1 KR 1004176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torque
roller
switching
manu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1-00300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91396A (ko
Inventor
김승철
최의락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홈네스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홈네스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홈네스터
Priority to KR10-2001-00300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17619B1/ko
Publication of KR20020091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91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176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17619B1/ko

Link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44Rollers therefor; Fastening roller blinds to rollers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40Roller blinds
    • E06B9/42Parts or details of roller blinds, e.g. suspension devices, blind boxes
    • E06B9/50Bearing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Operating, Guiding And Securing Of Roll- Type Closing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는 평행하게 설치되는 좌 우측 커버와, 상기 좌 우측 커버가 이격설치되어 내부에 일정 간격을 제공하는 가로대로 이루어진 외장 케이스와; 상기 좌우측 커버의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외주에 굴곡성 부재가 권상 설치되어 자전에 의해 상기 굴곡성 부재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는 두개 이상의 롤러와; 상기 굴곡성 부재의 일단이 선상으로 고정되며 상기 외장 케이스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굴곡성 부재가 보다 원활히 펼쳐지도록 하기 위한 자중추와; 상기 롤러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커버 중 일측 커버의 내부에 상기 롤러와 동수로 형성되는 롤러 기어와; 외력에 의해 상기 롤러 기어가 회전되어 상기 롤러에 감겨있는 상기 굴곡성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기 위한 토크 발생 수단과; 상기 토크 발생 수단으로 발생된 토크가 상기 롤러 기어 중 일측의 기어로만 정확히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토크 절환 수단이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두개의 롤 불라인드가 장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롤러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보다 근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 하나의 롤러에 감겨있는 굴곡성 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펼쳐져 있는 굴곡성 부재를 감은 후에 또 다른 롤러에 감겨있는 굴곡성 부재를 펼칠 필요없이, 하나의 롤러에 굴곡성 부재가 감기거나 풀린 상태와무관하게 또 다른 롤러도 펼칠 수 있어, 한층 더 편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Multi-roll blind apparatus}
본 발명은 차양막이나, 스크린 등으로서의 기능이 수행되는 굴곡성 부재가 상하로 움직이며 차폐막으로서의 기능이 수행되는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다수 개의 판상 굴곡성 부재가 각각의 롤러에 말려 권상으로 설치되어 있다가 필요에 맞게 롤러가 선택되며, 선택된 롤러가 회전되어, 굴곡성 부재의 일단이 고정되어 있는 자중추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여, 굴곡성 부재로 사용되는 차양막 또는 스크린 및 장식용 그림이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블라인드 장치가 적용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블라인드 장치는 보통, 창문에 설치되도록 하여 햇빛이 차단되도록 하거나, 광량이 조정되도록 할 수 있고, 나아가서는 외부에서 실내를 볼 수 없도록 하여 사생활도 보호받을 수 있는 장치이다.
이러한 블라인드 장치는 종래에 수직 방향으로서 상하로 움직이는 다수개의 판상 부재가 각각 펼쳐져 차양막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형태와, 수평 방향으로서좌우로 움직이는 다수 개의 판상 부재가 각각 펼쳐져 차양막의 기능을 수행하게 되는 형태등 여러 가지가 있으나, 본 발명은 특히 블라인드 장치의 상측에 롤러가 구비되어 롤러의 자전에 따라 롤러에 권상 설치되는 굴곡성 부재가 상하로 움직이며 블라인드 기능을 수행하는 롤 블라인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 롤 블라인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외부에서 인가되는 전원으로 토크가 발생되도록 하는 구동 모터(10)와, 구동 모터(10)의 토크를 제공받아 자전하게 되는 구동축(11)과, 구동축(11)의 회전력이 전환되어 전달되도록 하는 토크 전달부(12)와, 토크 전달부(12)의 외주에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며 그 내부에 구동 모터(10)와 구동축(11)이 설치되는 롤러(20)와, 롤러(20)의 외주에 권상으로 설치되며 일측단의 모서리가 롤러(20)에 고정되도록 하여 롤러(20)의 자전에 따라 상하로 움직여 빛의 광량이 조절되도록 하는 굴곡성 부재(30)와, 굴곡성 부재(30) 타측단의 모서리가 수평으로 고정되도록 하여 굴곡성 부재(30)의 내면에 주름이 생기지 않도록 하고 나아가서는 굴곡성 부재(30)가 롤러(20)의 자전에 따라 상하로 움직이는 동작이 보다 원활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일정 자중을 부여하는 자중추(40)와, 구동 모터(10) 및 롤러(20)가 내부에 설치되도록 하여 외관이 보다 미려해지도록 하는 외장 케이스(50)로 이루어진다.
상술된 바와 같은 구성을 취하는 종래 롤 블라인드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사용자가 햇빛이 차단되도록 하기 위하여 굴곡성 부재를 내리고자 소정의 동작 버튼을 눌러 전원이 공급되도록 하면, 공급된 전원으로 인해 구동모터(10)에 토크가발생되며, 또한 구동모터(10)에 일측이 체결되어 있는 구동축(11)에서도 토크가 발생하게 된다. 그리고, 구동축(11)의 타측에는 토크 전달부(12)가 기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어 구동축(11)의 토크를 전달받으며, 토크 전달부(12)의 외주에 체결되어 있는 롤러(20)에 최종적인 토크가 전달되어 회전된다.
상기 롤러(20)가 자전되면 롤러(20)의 외주에 권상 설치되어 있는 굴곡성 부재(30)가 상하로 움직여 차양막의 기능이 수행되는데, 이때 굴곡성 부재(30)의 본질적인 성질로 인하여 굴곡성 부재(30)에 주름 등이 생겨 외관에 나쁜 영향이 생기는 것을 막고자, 자중이 작은 굴곡성 부재(30)에 일정한 자중이 강제적으로 부여 되도록, 굴곡성 부재(30)의 하단에는 자중추(40)가 설치되어 보다 원활히 굴곡성 부재(30)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러나, 상술된 바와 같은 롤 블라인드 장치는 롤러가 하나만 설치되어 상황에 따라 적절히 굴곡성 부재가 달리 사용될 수 없는 문제가 있으며, 구동 모터(10)가 고장나는 등 전동으로 제품이 작동될 수 없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작동되는 구성이 구비되지 않아 블라인드 장치 전체를 사용할 수 없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이 개선되도록 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두개 이상의 롤러가 개별적으로 또는 동시에 작동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상황에 따라 선택적으로 굴곡성 부재가 사용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자의 기호에 보다 적극적으로 대응할 수 있고, 나아가서 전동은 물론 사용자의 수동으로도 작동될 수 있도록 하여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도 1은 종래 롤 블라인드 장치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의 외장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에서 롤러가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
도 5는 도 3에서 수동 해제줄과 수동 구동줄 및 수동 선택줄이 삭제된 도면.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토크 절환 박스 내부의 정면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토크 절환 박스 내부의 배면 사시도.
도 8a, 도 8b, 도 8c는 토크 절환바, 절환 가이드바, 가이드바 고정대의 사시도.
도 9a 와 도 9b는 본 발명에 있어 토크의 절환 방향을 설명하는 도면.
도 10은 본 발명에 있어 구동 모터로 롤러가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1a와 도 11b 및 도 11c는 수동으로 롤러가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
도 12는 본 발명에 있어 센서의 설치 위치를 설명하는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1 : 좌측 커버 102 : 우측 커버 103 : 가로대
110 : 롤러 110a : 제 1 롤러 110b : 제 2 롤러
111 : 롤러 돌기 131 : 삽입홈 132 : 탄성 부재
133 : 미끄럼 지지구 133a : 슬라이딩 부 134 : 좌측 롤러 지지구
134a : 좌측 삽지구 135 : 우측 롤러 지지구 135a : 우측 삽지구
136 : 토크 전달구 137 : 자중추 수납홈 140a : 제 1 롤러 기어
140b : 제 2 롤러 기어 201 : 수동 해제줄 202 : 수동 해제바
203 : 수동 해제 링크 203a : 링크 경사면 204 : 제 1 힌지
205 : 제 1 복원 스프링 210 : 수동 구동줄
211 : 수동 구동 풀리 212 : 풀리 지지바 213 : 제 2 힌지
214 : 제 2 복원 스프링 215 : 수동 기어 301 : 수동 선택줄
302 : 링크 밀판 303 : 선택줄 선회판 304 : 수동 절환 링크
305 : 링크 가이드 400 : 구동 모터 401 : 구동 기어
402 : 회전수 감지 부재 403 : 아이들 기어
500 : 토크 절환 기어 501 : 토크 절환바 501a : 절환바 분지부
510 : 토크 절환 박스 511 : 가이드바 고정대
512 : 고정대 복원 스프링 513 : 멈춤 돌기
520 : 절환 가이드바 523 : 슬라이드 돌기 523a : 돌기 경사면
524 : 가이드 돌기 530 : 솔레노이드 540 : 병진바
600 : 제 1 고정 패널 610 : 제 2 고정 패널 611 : 가이드 홈
620 : 자중추 710 : 회전수 감지 센서
720 : 자중추 감지 센서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는 평행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커버와, 상기 좌우측 커버가 이격설치되어 내부에 일정 간격을 제공하는 가로대로 이루어진 외장 케이스와; 상기 좌우측 커버의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외주에 굴곡성 부재가 권상 설치되어 자전에 의해 상기 굴곡성 부재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는 두개 이상의 롤러와; 상기 굴곡성 부재의 일단이 선상으로 고정되며 상기 외장 케이스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굴곡성 부재가 보다 원활히 펼쳐지도록 하기 위한 자중추와; 상기 롤러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커버 중 일측 커버의 내부에 상기 롤러와 동수로 형성되는 롤러 기어와; 외력에 의해 상기 롤러 기어가 회전되어 상기 롤러에 감겨있는 상기 굴곡성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기 위한 토크 발생 수단과; 상기 토크 발생 수단으로 발생된 토크가 상기 롤러 기어 중 일측의 기어로만 정확히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토크 절환 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는, 좌우측 커버와 가로대로 형성되는 내부 공간에 두개의 롤러와, 자중추 및 롤러가 외력에 의해 회전되도록 하는 롤러 기어가 구비되도록 하고, 각각의 롤러로 토크가 전달되는 방향이 절환되도록 하는 토크 절환 수단을 구비하고,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한 일정의 동력 발생 수단에 의한 외력이 상기 롤러 기어로 전달되어 롤러가 회전되어 굴곡성 부재가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자동은 물론 수동으로도 불라인드가 작동될 수 있도록 하는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를 제공하고 있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에 포함된다고 할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대한 설명을 보다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의 부호에 있어 동일한 숫자에 다른 영어가 더 부기되는 구성요소의 경우, 동일한 기능이 수행되며 그 위치가 대칭적으로 되는 것을 말하며, 또한 공통되는 기능의 설명에 사용되는 경우에는 숫자만을 기술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는 외장 케이스로서 좌우측에 각각 설치되는 커버, 즉 좌측 커버(101) 및 우측 커버(102)와, 상기 좌우측 커버(101)(102)의 사이에 일정 간격을 형성하기 위하여 좌우측 커버(101)(102)의 사이에 형성되는 가로대(103)와, 외장 케이스(좌측 커버, 우측 커버 및 가로대가 포함)의 내부에 설치되어 굴곡성 부재가 권상 설치되는 롤러(110)와, 사용자가 수동으로도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가 작동되도록 하기 위하여 우측 커버(102)의 하측으로 놓이는 수동 해제줄(201)과 수동 구동줄(210) 및 수동 선택줄(301)을 살필 수 있다.
한편, 상기 수동 해제줄(201)과 수동 구동줄(210)및 수동 선택줄(301)이 설치되는 위치는, 좌우 대칭의 형상을 이루고 있는 본 발명의 구성으로 미루어 볼 때, 내부에서 연결되는 여러 구성 요소와 함께 우측 커버(102)가 아니라 좌측 커버(101) 쪽으로 설치되더라도 무관하다.
이러한 구성을 바탕으로 본 발명이 작동되는 방법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사용자가 자동으로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불라인드 장치를 구동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내부에 설치되어 있는 구동 모터(미도시)와 센서(미도시)를 통하여 자동으로 작동될 수가 있으며, 또한 외부 전원의 공급이 끊어진 상태에서는 수동 선택줄(301)로 원하는 롤러(110)가 선택되도록 하고, 수동 구동줄(210)을 당겨 롤러(110)가 회전되도록 하여 굴곡성 부재가 내려지도록 한 뒤에, 원하는 롤러(110)가 내려진 후에는 수동 해제줄(201)을 당겨 수동 구동줄(210)의 걸림 상태가 풀리도록 하며, 굴곡성 부재가 올려지도록 하는 경우에는 수동 구동줄(210)을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서 가능하게 된다.
이상에서 설명된 간략한 본 실시예의 외관 구성 및 작동 순서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상세 구성 및 그에 따른 작동을 이하에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의 외장 케이스가 제거된 상태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에서 수동 선택줄(301)의 상측에 한 쌍으로 고정 설치되는 링크 밀판(302)과, 상기 링크 밀판(302)의 사이에 일단이 놓여 링크 밀판(302)의 움직임에 따라 밀리거나 당겨져 상하로 움직임으로써 특정 롤러(110)가 사용자의 수동으로 선택되도록 하는 수동 전환 링크(304)와, 수동 선택줄(301)의 상단에서 외장 케이스에 고정되어 수동 선택줄(301)의 진행방향이 양 방향으로 회전되어 링크 밀판(302)이 상하로 모두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선택줄 선회판(303)과, 수동 전환 링크(304)가 삽입되어 수동 전환 링크(304)의 상하 동작이 정확히 가이드되도록 하는 링크 가이드(305)가 포함된다.
그리고, 수동 구동줄(210) 상단에 내접되며 사용자가 수동 구동줄(210)을 회전시킬 때, 수동 구동줄(210)이 움직인 거리와 동일한 거리만큼 롤러(110)가 회전되어 자중추(620)의 자중으로 굴곡성 부재가 블라인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구동 풀리(211)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수동 해제줄(201)의 상단에는 수동 해제줄(201)이 아래로 당겨질 때 이와 같은 하향의 움직임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해제바(202)와, 상기 수동 해제바(202)에 일단이 힌지 결합되어 상기 수동 해제 바(202)의 하향 회전 운동이 전달될 수 있도록 하는 수동 해제 링크(203)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다수의 기어등이 설치될 수 있도록 하는 제 1 고정 패널(600)의 내측으로 설치되어 외부 전원에 기인한 외력이 가해지도록 하는 구동 모터(400)와, 사용자가 원하는 상태에 따라 적정 롤러(110)가 선택되도록 하는 솔레노이드(530)와, 롤러(110)에 말려있는 굴곡성 부재의 일단이 연결되어 굴곡성 부재가 원활히 펼쳐질 수 있도록 하는 자중추(620)가 더 포함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에서 롤러가 설치되는 구조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롤러(110)는 좌측 커버(101)와 우측 커버(도 2의 102참조)의 사이에 회전가능토록 고정되도록 하기 위하여, 롤러(110) 좌측 중심의 중공부에 좌측 삽지구(134a)가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좌측 롤러 지지구(134)와, 상기 좌측롤러 지지구(134) 중심의 중공부에 슬라이딩 부(133a)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미끄럼 지지구(133)가 포함되며, 롤러(110) 우측 중심의 중공부에 우측 삽지구(135a)가 억지끼움되어 고정되는 우측 롤러 지지구(135)와, 우측 롤러 지지구(135)의 중심에 다각형으로 홈파기가 되어 있는 중공부의 내측으로 일측이 삽입되며 타측으로는 제 1 고정 패널(도 3의 600참조)을 통하여 내측으로 연결되는 토크 전달구(136)가 포함된다.
또한, 미끄럼 지지구(133)의 좌측으로 형성되어 미끄럼 지지구(133)를 일정한 힘으로 밀도록 하는 탄성 부재(132)와, 탄성 부재(132)와 미끄럼 지지구(133)가 안에 삽입되어 롤러(110)가 안정되게 설치되도록 하는 삽입홈(131)과, 자중추(620)가 수납될 수 있도록 하는 자중추 수납홈(137)이 좌측 커버(101)에 형성되어 있다.
한편, 토크 전달구(136)는 제 1 고정 패널(도 3의 600참조)을 관통하여 내측의 토크 발생 수단과 연계되도록 하여 토크가 롤러(110)로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이상에서와 같은 롤러 설치 구조의 구성을 참조하여, 롤러가 장탈착되는 과정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먼저, 설명된 바와 같은 롤러 설치 구조의 사양상의 제한에 대하여 설명하면, 토크 발생 수단으로부터 원활히 토크가 전달되도록 하는 것이 그 첫번째 제한이며, 두번째로 롤러를 자유로이 장탈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그 두번째 제한이며, 세번째로 설치된 롤러가 원활히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세번째 제한사항이다.
이와 같은 제한 사항을 참조하여, 롤러 설치 구조의 동작에 대하여 살피면,토크가 자유로이 토크 발생 수단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토크 전달구(136)가 구비되어 있으며, 토크 전달구(136)와 우측 롤러 지지구(135)는 각각이 상대회전이 불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다면각이 형성되어 서로 삽입되도록 함으로써 토크가 전달되도록 하는데 방해로 작용되지 않도록 한다. 그리고, 롤러(110)의 장탈착이 손쉽게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하여, 롤러(110)의 양단에는 좌측 롤러 지지구(134) 및 우측 롤러 지지구(135)의 일측이 롤러(110)의 중공부에 억지끼움되도록 하고, 좌측 롤러 지지구(134)의 타측에는 미끄럼 지지구(133)의 슬라이딩부(133a)가 삽입되도록 하는데, 슬라이딩부(133a)는 좌측 롤러 지지구(134) 중공부보다 작게 형성하여 슬라이딩부(133a)가 자유로이 좌측 롤러 지지구(134)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미끄럼 지지구(133)의 좌측으로는 좌우로 일정 정도 압축 또는 신장될 수 있는 탄성 부재(132)가 놓여 롤러(110)가 삽입되는 동작이 보다 편리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상의 구성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롤러(110)가 삽입되는 동작을 설명하면, 좌측 롤러 지지구(134)와 우측 롤러 지지구(135)가 억지끼움되는 롤러(110)가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미끄럼 지지구(133)는 탄성 부재(132)의 탄성을 이기고 안으로 밀려있도록 하고, 우측 롤러 지지구(135)가 토크 전달구(136)에 끼워지도록 한뒤에 미끄럼 지지구(133)의 슬라이딩부(133a)가 좌측 롤러 지지구(134)의 중공부로 밀려들어가도록 하면, 롤러(110)의 설치 동작은 완료된다.
그리고, 롤러(110)가 교체되도록 하기 위해서는, 미끄럼 지지구(133)를 안쪽으로 밀어넣어 미끄럼 지지구(133)가 좌측 롤러 지지구(134)에서 빠지도록 하여,롤러(110)의 좌측이 빠지도록 한 뒤에 우측 롤러 지지구(135)를 토크 전달구(136)에서 빠지도록 하면 되는 것이다.
한편, 이러한 구성말고도, 좌측 커버(101)에 홀을 형성할 필요없이 탄성 부재(132) 및 탄성 부재(132)에 삽입되는 미끄럼 지지구(133)가 놓여질 수 있는 일정의 돌기물이 형성되어 롤러(110)가 설치되도록 하더라도, 본 발명의 효과에는 변함이 없다.
도 5는 도 3에서 수동 해제줄(201)과 수동 구동줄(210) 및 수동 선택줄(301)이 삭제된 후의 도면으로서, 본 실시예에 다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한편.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우측 커버(102)의 앞쪽을 기준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롤러(110)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토크 발생 수단으로서 구동 모터(400)와, 구동 모터(400)의 앞쪽으로 제 1 고정 패널(600)상에서 구동 모터(400)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구동 모터(400)의 토크가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형성된 구동 기어(401)와, 구동 기어(401)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구동 기어(401)의 회전력을 전달받는 아이들 기어(403)가 포함되며, 상기 아이들 기어(403)와 평행하게 설치되어 아이들 기어(403)의 회전력이 전달되어 롤러(110)가 회전되도록 하는 롤러 기어(140a)(140b)와, 아이들 기어(403)에서 롤러 기어(140)로 전달되는 토크의 전달 방향이 절환되도록 하는 토크 절환 기어(50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은 토크 발생 수단은 구동 모터(400)가 적용되어 전동으로 토크가 발생되는 과정을 설명한 것이며, 이에 더하여 사용자의 수동으로 토크가 발생되도록 하는 구성이 또한 마련되어 있는데, 이하에서는 이를 살피면, 사용자의 외력으로 토크가 발생되도록 하는 토크 발생 수단으로서 롤러 기어(140)와, 토크 절환 기어(500)및, 아이들 기어(403)에 더하여, 우측 커버(도 2의 102참조)의 하측으로 늘어뜨려진 수동 구동줄(도 3의 210참조)과, 수동 구동줄(210) 상단의 외주에 형성되어 수동 구동줄(210)에 의해서 회전되는 수동 구동 풀리(211)와, 상기 수동 구동 풀리(211)가 상측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수동 구동 풀리(211)와 동축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되는 풀리 지지바(212)와, 상기 풀리 지지바(212)가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측으로 올려져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풀리 지지바(212)에 일단이 접하여 탄성을 제공하는 제 2 복원 스프링(214)과, 상기 풀리 지지바(212)의 하단에 동축으로 체결 설치되는 수동 기어(215)가 포함되어 있다.
또한, 상기 풀리 지지바(212)가 외력에 의해 손쉽게 하측으로 당겨져 외력을 전달받을 수 있고, 하측으로 내려져 있는 상기 풀리 지지바(212)가 상기 제 2 복원 스프링(214)에 의해 상측으로 올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수동 해제 링크(도 3의 203참조)의 일단에 형성되며 상기 풀리 지지바(212)의 외주에 접촉되어 미끄러지게 되는 링크 경사면(203a)이 포함되며, 수동 해제 링크(203)가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는 힘을 제공하기 위하여 제 1 힌지(204)및 제 1 복원 스프링(205)이 더 포함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을 참조하여 롤러(110)가 회전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하면, 전동 토크 발생 수단에 의해서 구동 모터(400)에서의 토크는 구동 기어(401)와 아이들 기어(403) 및 토크 절환 기어(500)를 통하여 제 1 롤러 기어(140a) 또는 제 2 롤러 기어(140b)로 전달되어, 선택된 롤러(110)가 회전되도록 하여 자중추(620)의 자중에 의해 굴곡성 부재가 부드럽게 펼쳐지도록 함으로써 롤 블라인드의 동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그리고, 사용자의 수동으로 롤러가 회전되는 수동 토크 발생 수단에 의해서 사용자가 수동 구동줄(도 3의 210참조)을 당기면, 수동 구동줄(210)과, 수동 구동 풀리(211)와, 풀리 지지바(212)및 수동 기어(215)는 일체로 링크 경사면(203a)을 밀어 링크 경사면(203a)에 작용되는 제 1 복원 스프링(205)의 복원력을 이기고 하측으로 움직여, 수동 기어(215)는 아이들 기어(403)와 연결되며, 사용자가 수동 구동줄(210)을 돌리면 수동 구동줄(210)이 외주에 감겨있는 수동 구동 풀리(211)와, 풀리 지지바(212)및, 수동 기어(215)가 일체로 자전되어 아이들 기어(403)로 토크가 전달되며 결국 롤러 기어(140)가 자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한편, 토크 절환 기어(500)의 토크 절환 방향이 절환되도록 하기 위한 토크 절환 수단의 구성요소로서, 토크 절환 기어(500)의 중심축에서 일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있는 토크 절환바(501)와 토크 절환 박스(510)가 형성되는데, 상기 토크 절환바(501)는 토크절환 기어(500)의 상하에 두개의 바 형상으로 이루어져 토크 절환 기어(500)의 동작을 제어하고 있다. 다만, 상기 토크 절환 박스(510)내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해서는 그림을 바꾸어 추후에 살피도록 한다.
그리고, 롤러 기어(140)와 아이들 기어(403)등이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한 쌍의 제 2 고정 패널(610)이 형성되어 있는데, 제 2 고정 패널(610) 중에서 상측 패널에는 토크 절환바(501)의 움직임이 가이드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홈(611)이가공되어 있다.
도 6은 본 발명에 있어 토크 절환 박스의 내부 사시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토크 절환 수단으로서 토크 절환바(501)와, 솔레노이드(530)에 의한 외력으로 상하로의 운동이 가능한 동시에 이와 같은 상하로의 운동이 토크 절환바(501)의 상하 운동으로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이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는 병진바(540)와, 외력에 의한 병진바(540)의 운동에 따라 토크 절환바(501)가 선택된 롤러 기어(140)위치로 절환되어 있을 때 토크 전달의 확실성을 보장하여, 토크 절환 기어(500)의 움직임이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바 고정대(511)와, 병진바(540)에 의해 밀려 상하로 움직이며 가이드바 고정대(511)에 의해서 움직임이 고정되도록 하는 절환 가이드바(520)가 포함되어 있다.
한편, 상기 병진바(540)의 상단에는 수동 절환 링크(304)가 또한 체결되어 수동 선택줄(도 3 301참조)에 의한 상하 방향의 외력도 병진바(540)로 전달되도록 하고 있다.
도 7은 본 발명에 있어 토크 절환 박스 내부의 배면 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토크 절환바(501)의 후단에서 분지되어 형성된 절환바 분지부(501a)와, 절환 가이드바(520)의 하면으로 연장 형성되며 절환바 분지부(501a)의 사이에 놓이게 되는 가이드 돌기(524)와, 절환 가이드바(520)의 상면에 연장 형성되는 슬라이드 돌기(523)와, 가이드바 고정대(511)에 끝단에서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멈춤 돌기(513)가 포함되어 있다. 그리고, 가이드바 고정대(511)가 절환 가이드바(520)를 압박하고 있는 고정력이 부여되도록 하기 위한 고정대 복원스프링(512)이 더 포함되어 있다.
도 8a, 도 8b, 도 8c는 토크 절환바, 절환 가이드바, 가이드바 고정대의 사시도이다.
도 8a에는 가이드 돌기(도 7의 524참조)가 사이에 놓여 토크 절환바(501)가 회전되는 외력이 제공되도록 하는 절환바 분지부(501a)가 명시되어 있으며, 도 8b에는 토크 절환바(501)가 회전되도록 하기 위하여 절환 가이드바(520)의 하측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 돌기(524)와, 절환 가이드바(520)의 상측으로 형성되어 가이드바 고정대(511)가 들어올려져 토크 절환바(501)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는 슬라이드 돌기(523)와, 슬라이드 돌기(523) 상단의 양 측면이 경사지도록 하여 가이드바 고정대(511)가 들어올려질 수 있도록 하는 돌기 경사면(523a)이 명시되어 있으며, 도 8c에는 가이드바 고정대(511)의 끝단에서 하측으로 형성되어 절환바 분지부(도 8a의 501a참조)가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멈춤 돌기(513)가 명시되어 있다.
도 6 내지 도 8c를 참조하여, 토크 절환 수단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다만, 도 7을 본 설명의 기준으로 하는 것이 용이함을 밝힌다.
외부 전원이 인가된 솔레노이드(530) 또는 수동 작동에 의한 수동 절환 링크(304)의 힘에 의해 병진바(540)가 하향으로 움직이면 절환 가이드바(520) 또한 하향으로 움직이게 되며, 이때 슬라이드 돌기(523)의 돌기 경사면(523a)에 의해 가이드바 고정대(511)가 밀려 올려지며, 가이드바 고정대(511)가 올려지면, 멈춤 돌기(513)에 의해서 걸려있던 절환바 분지부(501a)가 움직일 수 있게 되며, 이 상태에서 계속해서 병진바(540)가 하향으로 밀리면 절환 가이드바(520)가 움직이며 가이드 돌기(524)가 절환바 분지부(501a)를 밀어 토크 절환바(501)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회전되어, 결국에는 토크 절환바(501) 전단에 결합되어 있는 토크 절환 기어(500)가 아이들 기어(403)와 제 1 롤러 기어(140a)의 사이에 연결되도록 한다.
한편, 토크 절환 기어(500)가 아이들 기어(403)와 제 2 롤러 기어(140b)에 연결되도록 할 때는, 외부 전원이 인가된 솔레노이드(530) 또는 수동 작동에 의한 수동 절환 링크(304)의 힘이 병진바(540)를 상향으로 움직이도록 하는데, 이와 같이 병진바(540)가 상향으로 움직이게 되면 이미 설명된 바와 같은 절환 가이드바(520)와 가이드바 고정대(511) 및 토크 절환바(501)의 동작이 반대로 되며, 토크 절환바(501)는 아이들 기어(403)와 제 2 롤러 기어(140b)의 사이에 놓이며 토크가 전달되도록 할 수 있게 된다.
다시 말하면, 아이들 기어(403)와 제 1 롤러 기어(140a)가 연결되거나, 아이들 기어(403)와 제 2 롤러 기어(140b)가 연결되도록 하는 것은 토크 절환 수단에 연결되는 토크 절환 기어(500)의 절환 방향에 따라 달라지게 되는 것이다.
기 설명된 바와 같은 병진바(540)의 동작은 전동으로 인한 외력이 가해지는 경우에는 한 쌍의 솔레노이드(530)가 병진바(540)를 밀어 위아래로 움직이도록 하여 가능하며, 사용자가 직접 수동으로 외력을 가하는 경우에는 수동 선택줄(도 3의 301참조)을 아래로 당겨 수동 절환 링크(도 3의 304참조)가 병진바(540)를 상측 또는 하측으로 밀게 됨으로써 가능하게 됨을 알 수 있다.
한편, 기 설명된 바가 있는 토크 절환 박스 등이 포함되는 일련의 구조는 블라인드 장치에서 토크가 정확히 전달되도록 하는 것뿐만 아니라, 일정한 힘이 절환되어 전달되어야 하는 곳에 다양하게 적용되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서와 같이 다수의 기어가 이용되어 토크가 전달되는 곳에서는 보다 안정적인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도 9a 와 도 9b는 병진바(540)가 위아래로 움직이며 토크 절환바(501)가 동작되어, 외력의 전달 방향이 제 1 롤러 기어(140a) 또는 제 2 롤러 기어(140b)로 각각 절환되는 것을 보다 상세히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9a는 토크 절환 기어(500)가 아이들 기어(403)와 제 2 롤러 기어(140b)가 연결되도록 하여, 구동 모터(400)의 토크가 제 2 롤러 기어(140b)로 전달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수동 절환 링크(도 3의 304참조)나 솔레노이드(530)가 이용되어 병진바(540)가 위로 움직여 절환 가이드바(520)가 밀려 위로 올라감에 따라, 슬라이드 돌기(523)가 가이드바 고정대(511)를 들어올리고, 이에 의해 멈춤 돌기(513)가 들어올려 지는 것을 이용하여 절환바 분지부(501a)가 가이드 돌기(524)에 의해 위로 올려진다.
그리고, 상기 토크 절환바(501)는 힌지점을 중심으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제 2 롤러 기어(140b)로 밀려, 결국 구동 모터(400)의 토크는 제 2 롤러(110b)로 전달된다.
도 9b는 토크 절환 기어(500)가 아이들 기어(403)와 제 1 롤러 기어(140a)가 연결되도록 하여 구동 모터(400)의 토크가 제 1 롤러 기어(140a)로 전달되는 모습을 설명하는 도면으로서, 제 2 병진바(540)가 아래로 움직여 절환 가이드바(520)가 밀려 아래로 내려감으로써, 슬라이드 돌기(523)가 가이드바 고정대(511)를 들어올리고 가이드 돌기(524)가 절환바 분지부(501a)를 밀어 토크 절환 기어(500)가 제 1 롤러 기어(140a)와 접촉되도록 하여, 구동 모터(400)에서의 토크가 구동 기어(401)와, 아이들 기어(403)와, 토크 절환 기어(500)를 통하여 제 1 롤러 기어(140a)로 전달되어 제 1 롤러(110a)가 회전될 수 있는 상태를 설명하고 있다.
도 10은 구동 모터로 인해 자동으로 롤러가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외력이 인가된 솔레노이드(530)의 동작으로 원하는 롤러 기어(140)가 선택되도록 한 뒤에, 외부 전원이 인가되어 구동 모터(400)가 회전되면, 구동 모터(400)에서 발생된 토크가 구동 기어(401)로 전달되고, 구동 기어(401)의 토크는 아이들 기어(403)로 전달되며, 아이들 기어(403)의 토크는 토크 절환 기어(500)의 위치에 따라 제 1 롤러 기어(140a) 또는 제 2 롤러 기어(140b)로 전달되며, 롤러 기어(140)의 회전은 중심축으로 연결되는 토크 전달구(136)를 통하여 전달되어 결국 제 1 롤러(110a) 또는 제 2 롤러(110b)가 회전되어 자중추(620)가 내려가며 블라인드가 펼쳐지게 되는 것이다.
또한, 블라인드를 감고자 하는 경우에는 구동 모터(400)의 회전 방향이 반대로 되도록 하며 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에서는 하나의 블라인드가 펼쳐진 뒤에 이를 감은 뒤에 다른 블라인드를 펼칠 필요없이, 하나의 블라인드가 펴진 상태에서 토크 절환 기어(도 10의 500참조)가 또 다른 롤러 기어(140a)(140b)로 연결되도록 하여 또 다른 블라인드가 펼쳐지도록 할 수도 있다.
도 11a와 도 11b 및 도 11c는 사용자의 외력이 이용되어 수동으로 롤러가 회전되는 과정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1a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외력을 가하여 롤러가 회전되도록 하는 경우에는 먼저 수동 선택줄(도 3의 301참조)을 당겨 수동 절환 링크(304)에 의해 병진바(540)가 밀리도록 한다. 병진바(540)의 움직임은 결국 토크 절환바(501)가 움직이도록 하고 이에 의해 토크 절환바(501)의 위치가 선정되도록 하는 과정을 보이고 있다.
도 11b를 참조하면, 토크 절환바(501)의 위치가 정해져 토크가 전달되어야 하는 방향이 선정된 뒤에는 수동 구동줄(도 3의 210참조)을 전체로 당겨 수동 구동 풀리(도 3의 211참조)와, 풀리 지지바(212)및, 수동 기어(215)가 링크 경사면(203a)을 타고 미끄러져 하측으로 내려오도록 하며, 이러한 상태에서 수동 구동줄(210)을 회전시켜 수동 구동 풀리(211)가 회전되도록 하여 수동 기어(215)와 아이들 기어(403) 및 토크 절환 기어(500)가 회전되도록 하여 롤러 기어(140)가 회전되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링크 경사면(203a)은 제 1 복원 스프링(205)의 복원력으로 원 상태로 복원되어 하측으로 풀리 지지바(212)를 눌러 일단 하측으로 내려진 풀리 지지바(212)가 다시 올라오지 않도록 한다.
도 11c를 참조하면, 사용자가 원하는 바와 같이 굴곡성 부재가 다 내려오거나, 굴곡성 부재가 일정 정도만 내려오도록 하고 싶은 경우에는 수동 해제줄(201)을 당겨 수동 해제 링크(203)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어, 링크 경사면(203a)이 제 1 복원 스프링(205)의 복원력을 이기고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되도록 하여, 풀리지지바(212)의 고정 상태가 풀리도록 하여 제 2 복원 스프링(214)의 복원력에 의해 풀리 지지바(212)가 상측으로 이동되어 더 이상 수동으로 토크가 발생되지 않도록 한다.
한편, 블라인드가 접히도록 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수동 구동줄(210)을 당긴 후에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 롤러 기어(140)가 반대쪽으로 회전되도록 하면 되고, 마찬가지로 블라인드가 다 접힌 뒤에는 수동 해제 링크(203)를 당겨 제 2 복원 스프링(214)에 의해 풀리 지지바(212)가 원 상태로 돌아가도록 하면 된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가 자동을 작동될 때 그 작동상태가 감지되어 본 장치의 제어에 적용될 수 있도록 하는 센싱부를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서는 상기 구동 기어(401)의 하측으로 고정 설치되어 동축을 이룸으로써 구동 기어(401)와 동일하게 회전되는 회전수 감지 부재(402)와, 상기 회전수 감지 부재(402)의 외주에 형성되어 있는 하나 이상의 돌기에 의해서 구동 기어(401)의 회전이 감지되도록 하는 회전수 감지 센서(710)가 형성되며, 자중추(620)의 상측으로는 자중추가 완전히 올려져 블라인드가 모두 감겨져 있을 때, 이를 정확히 감지하기 위하여 자중추(620)의 수와 동수로 자중추 감지 부재(720)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회전수 감지 부재(402)의 돌기의 수를 달리 하여 보다 엄정한 제어가 이루어지게 할 수도 있다.
한편, 상기 자중추 감지 부재(720)는 자중추(620)와 동수로 설치되도록 하여 자중추(620)의 움직임이 적절히 감지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으로 인하여 구동 기어(401)의 회전량이 감지되어 제어 신호를 발하고, 자중추(620)의 올림 상태가 감지되어 제어 신호를 발하도록 하여 상기 제어 신호가 마이크로 프로세서에 전달되어 롤러 블라인드의 움직임을 보다 정밀하게 제어할 수 있다.
한편, 마이크로 프로세서는 회전수 감지 센서(710)와 자중추 감지 센서(720)로부터 전송된 제어 신호를 받아들여 본 발명에 따른 장치의 보다 정밀한 제어에 이용하도록 한다.
이상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는 단일의 장치에 두개의 롤러가 설치되도록 하며, 교체 가능한 롤러 구조를 취하여 사용자의 취향에 보다 적극적으로 응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며, 나아가서 이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장치는 하나의 장치가 단독으로 사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동일한 장비로서 다수 개가 병렬적으로 나란히 설치되도록 하여 두개 이상 여러 개의 롤을 가진 블라인드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상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다른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는 제시된 바와 같은 실시예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부수적인 구성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 또 다른 실시예를 만들어 내는 것은 쉬운 일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하나의 장치에 두개의 롤 불라인드가 장착되도록 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따라 원하는 롤러가 적절히 선택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기호에 보다 근접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또 다른 효과로서 하나의 롤러에 감겨있는 굴곡성 부재가 펼쳐진 상태에서, 펼쳐져 있는 굴곡성 부재를 감은 후에 또 다른 롤러에 감겨있는 굴곡성 부재를 펼칠 필요없이, 하나의 롤러에 굴곡성 부재가 감기거나 풀린 상태와 무관하게 또 다른 롤러도 펼칠 수 있어, 한층 더 편리하게 본 발명에 따른 장치를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Claims (12)

  1. 평행하게 설치되는 좌우측 커버와, 상기 좌우측 커버가 이격설치되어 내부에 일정 간격을 제공하는 가로대로 이루어진 외장 케이스와;
    상기 좌우측 커버의 사이에 수평하게 설치되며 외주에 굴곡성 부재가 권상 설치되어 자전에 의해 상기 굴곡성 부재가 감기거나 풀릴 수 있도록 하는 두개 이상의 롤러와;
    상기 굴곡성 부재의 일단이 선상으로 고정되며 상기 외장 케이스의 하단에 설치되어 상기 굴곡성 부재가 보다 원활히 펼쳐지도록 하기 위한 자중추와;
    상기 롤러와 동축으로 연결되어 상기 좌우측 커버 중 일측 커버의 내부에 상기 롤러와 동수로 형성되는 롤러 기어와;
    외력에 의해 상기 롤러 기어가 회전되어 상기 롤러에 감겨있는 상기 굴곡성 부재가 펼쳐지도록 하기 위한 토크 발생 수단과;
    상기 토크 발생 수단으로 발생된 토크가 상기 롤러 기어 중 일측의 기어로만 정확히 전달되도록 하기 위한 토크 절환 수단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발생 수단은 상기 일측 커버의 내측으로 설치되는 구동 모터와;
    상기 구동 모터와 동축으로 상기 좌우측 커버중 일측 커버의 내에 설치되는상기 제 1 고정 패널의 상측에 설치되는 구동 기어와;
    상기 제 1 고정 패널 상측에 설치되는 제 2 고정 패널의 내측에 설치되어 상기 구동 기어로 부터 토크를 전달받는 아이들 기어와;
    상기 토크 절환 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토크의 전달 방향이 절환되도록 하는 토크 절환 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기어와 동축상에 형성되며 외주에 하나 이상의 돌기가 형성되어 있는 회전수 감지 부재와;
    상기 회전수 감지 부재의 인접 위치에 형성되어 상기 돌기의 스위칭 작용에 의해 상기 구동 기어의 회전수가 감지되도록 하는 회전수 감지 센서가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발생 수단은 상기 일측 커버의 하측으로 늘어뜨려진 수동 구동줄과;
    상기 수동 구동줄 상단의 외주에 형성되어 수동 구동줄에 의해서 회전되는 수동 구동 풀리와;
    상기 수동 구동 풀리가 외주에 설치되며 상기 수동 구동 풀리의 회전에 따라 동일하게 회전되는 풀리 지지바와;
    상기 풀리 지지바가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측으로 올려져 있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풀리 지지바의 외주에 접하여 복원력을 제공하는 제 2 복원 스프링과;
    상기 풀리 지지바의 하단에 동축으로 체결되는 수동 기어와;
    상기 수동 기어가 하측으로 내려져 수동으로 토크가 전달되도록 할 때 상기 수동 기어에 연결되어 토크가 전달되도록 하는 아이들 기어와;
    상기 아이들 기어에 연결되며 상기 토크 절환 수단에 의해 제어되어 토크의 전달 방향이 절환되도록 하는 토크 절환 기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롤 불라인드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하측으로 내려져 외력으로서 토크가 전달되는 상기 풀리 지지바가 다시금 상측으로 올려질 수 있도록 하며, 또한 외력을 전달받기 위하여 하측으로 내려져 있는 상기 풀리 지지바가 상기 제 2 복원 스프링에 의해 상측으로 올려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풀리 지지바의 외주에 접촉되며 일면이 비스듬히 가공되어 있는 링크 경사면과;
    상기 링크 경사면이 일단에 형성되며 중심축으로서 제 1 힌지를 중심으로 회전이 가능하여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 힘의 방향이 지시되도록 하는 제 1 복원 스프링이 상기 제 1 힌지의 외주에 설치되는 절곡된 바 형상의 수동 해제 링크와;
    상기 수동 해제 링크의 타단에 교차 형성되어 사용자가 당기는 경우에 상기 수동 해제 링크의 회전으로 인해 상기 링크 경사면이 풀려 상기 제 1 복원 스프링으로 인해 상기 풀리 지지바가 상측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수동 해제바와;
    상기 수동 해제바가 일정의 외력으로 당겨지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수동 해제바에 체결되는 수동 해제줄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토크 절환 수단은 상기 토크 발생 수단으로부터 하나의 상기 롤러 기어로 토크의 전달 방향이 절환될 수 있도록 하는 토크 절환바와;
    상기 토크 절환바의 끝단이 분지되어 형성된 절환바 분지부의 사이에 놓여 상기 절환바 분지부를 상하로 밀어 상기 토크 절환바가 회전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가이드 돌기가 하측으로 형성되며, 상측으로는 상단의 좌우면이 깎여져 돌기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는 슬라이드 돌기가 포함되는 절환 가이드바와;
    상기 절환 가이드바의 상측에 설치되며 후단의 하측에는 일단 위치 설정된 상기 절환바 분지부가 움직이지 않도록 형성된 멈춤 돌기와, 전단에서는 토크 절환 박스에 회동 가능토록 하기 위한 일정의 힌지 구조와, 외력에 의한 상기 절환 가이드바의 상하 동작과 함께 상기 슬라이드 돌기에 미끄러짐과 동시에 들어올려져 상기 멈춤 돌기와 상기 절환바 분지부의 걸림이 없어지도록 함으로써 상기 토크 절환바가 움직일 수 있도록 하며, 외력이 없는 상태에서는 상기 절환부 분지부가 상기 멈춤 돌기에 걸리도록 하는 스프링이 포함되는 가이드바 고정대와;
    하층은 상기 절환 가이드바의 상하 양단에 설치되며 상층의 바 구조는 솔레노이드에 삽입 설치되어 상기 솔레노이드의 전동 외력에 의해 상하로 움직이게 되는 병진바가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절환 가이드바의 양측 외주에는 상기 토크 절환 박스의 내면에 일측이 닿아 상기 절환 가이드바의 경쾌한 움직임을 유도하고 상기 병진바의 움직임을 가이드하는 제 1 가이드바 복원 스프링 및/또는 제 2 가이드바 복원 스프링이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바의 상단에 결합 형성되며 사용자의 외력으로도 상기 병진바가 운동되도록 하기 위한 수동 절환 링크와;
    상기 수동 절환 링크의 끝단에 삽입되며 수동 절환 링크가 상하로도 조정되도록 하기 위한 수동 선택줄과;
    상기 수동 선택줄에 고정되어 상기 수동 절환 링크의 끝단에 상하로 접촉되며 상기 수동 선택줄의 움직임에 의해 상기 수동 절환 링크가 상하로 움직이도록 하는 링크 밀판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자중추의 올려짐 상태가 감지되도록 상기 일측 커버의 안쪽으로는 자중추 감지 센서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가 상기 좌우측 커버의 사이에 장탈착가능하게 설치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롤러 양단에 놓여지는 좌측 롤러 지지구 및 우측 롤러 지지구와,
    상기 좌측 롤러 지지구에 미끄럼이 가능토록 슬라이딩 부가 삽입되어 지지되도록 하는 미끄럼 지지구와,
    상기 우측 롤러 지지구를 통하여 토크가 전달되도록 하기 위하여 일측은 상기 우측 롤러 지지구에 놓여지고, 타측은 상기 롤러 기어로 연결되는 토크 전달구와,
    상기 미끄럼 지지구의 좌측으로 형성되어 상기 미끄럼 지지구를 일정한 힘으로 밀도록 하는 탄성 부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11. 토크 절환 박스와,
    상기 토크 절환 박스의 내부로 일층의 바는 삽입되며 타 층의 바는 외부로 노출되며 상기 일층의 바와 타층의 바가 양 단에서 결합되는 병진바와;
    상기 타층의 바가 삽입 설치되어 외력을 전달하게 되는 솔레노이드와;
    상측에 형성되며 양면이 미끄러지도록 경사진 돌기 경사면이 형성되는 슬라이드 돌기와, 하측에는 돌출된 형상의 가이드 돌기가 포함되며 상기 일층의 바의대략 중앙 부위에서 상기 일층의 바와 연속되어 형성되는 절환 가이드바와;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두가닥으로 분지되어 상기 가이드 돌기의 상하로의 움직임에 의해 동일하게 움직이게 되는 절환바 분지부가 일단에 형성되며 타단은 방향이 절환되어야 하는 또 다른 부재가 결합되어 토크의 전달이 정확히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한 토크 절환바와;
    상기 절환바 분지부의 측면에 닿아 상기 토크 절환바에 가해지는 일정의 충격에도 상기 토크 절환바가 빠지지 않도록 하기 위하여 일단의 하측으로 형성되어 있는 멈춤 돌기가 포함되며, 타단으로는 상기 토크 절환 박스에 연결되는 힌지에 의해서 상기 멈춤 돌기가 상하로 움직일 수 있도록 하는 가이드바 고정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절환 구조.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병진바에 일단이 체결되어 수동으로도 상기 병진바가 움직이도록 하기 위한 수동 절환 링크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토크 절환 구조.
KR10-2001-0030042A 2001-05-30 2001-05-30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KR1004176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042A KR100417619B1 (ko) 2001-05-30 2001-05-30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1-0030042A KR100417619B1 (ko) 2001-05-30 2001-05-30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396A KR20020091396A (ko) 2002-12-06
KR100417619B1 true KR100417619B1 (ko) 2004-02-05

Family

ID=277070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1-0030042A KR100417619B1 (ko) 2001-05-30 2001-05-30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17619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2866B1 (ko) * 2011-07-25 2013-09-30 김정민 단일 코드를 갖는 롤 블라인드
KR101701435B1 (ko) * 2015-07-07 2017-02-01 김상정 2중 롤 타입 커튼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4861A (en) * 1983-10-11 1986-03-11 Internorth, Inc. Thermal shade
EP0488927A2 (en) * 1990-11-28 1992-06-03 Jose Maria Fernandez Gonzalez Reducing motor for the elevation of blinds and awnings
JPH07317471A (ja) * 1994-05-20 1995-12-05 Shinsei Seiki Kk 電動シャッターの制御方法及び電動シャッターの手動 切換装置
KR20000010073A (ko) * 1998-07-30 2000-02-15 박희성 전동셔터의 수동 조작장치
JP2000156990A (ja) * 1998-11-18 2000-06-06 Sanwa Shutter Corp 建築用電動開閉装置
KR20010044566A (ko) * 2001-03-07 2001-06-05 김승철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574861A (en) * 1983-10-11 1986-03-11 Internorth, Inc. Thermal shade
EP0488927A2 (en) * 1990-11-28 1992-06-03 Jose Maria Fernandez Gonzalez Reducing motor for the elevation of blinds and awnings
JPH07317471A (ja) * 1994-05-20 1995-12-05 Shinsei Seiki Kk 電動シャッターの制御方法及び電動シャッターの手動 切換装置
KR20000010073A (ko) * 1998-07-30 2000-02-15 박희성 전동셔터의 수동 조작장치
JP2000156990A (ja) * 1998-11-18 2000-06-06 Sanwa Shutter Corp 建築用電動開閉装置
KR20010044566A (ko) * 2001-03-07 2001-06-05 김승철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91396A (ko) 2002-12-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82509B1 (ko) 블라인드
US20040074611A1 (en) Bottom-up/top-down retractable cellular shade
CA3088850C (en) Cordless blind device
KR100417619B1 (ko)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KR100371911B1 (ko)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KR20120008841U (ko) 패브릭 텐션 시스템의 차양막 처짐 방지 장치
KR102058096B1 (ko) 외부동력 구동 겸용 코드리스 블라인드 장치
KR100417618B1 (ko) 다중 롤 블라인드 장치
KR100728938B1 (ko) 블라인드
JP2008184853A (ja) ロールブラインドのスクリーン昇降装置
JP6630579B2 (ja) 遮蔽装置の巻取軸収容装置
KR20210107347A (ko) 블라인드용 웨이트 바 및 그를 포함하는 블라인드 장치
KR200220259Y1 (ko) 두루마리 화장지 자동 배출 장치
KR200349836Y1 (ko) 단전시 수동열림이 가능한 전동도어
KR102387560B1 (ko) 영상장치용 차양구조물
BE1016471A6 (nl) Inrichting voor het bedienen van gordijnen.
KR200275822Y1 (ko) 버티컬 블라인드의 자동화 장치
US20220112722A1 (en) Privacy shade
KR930006479Y1 (ko) 권취장치
JP2008289641A (ja) 電動式複重カーテン昇降装置
JP3091136B2 (ja) ヘッドボックス昇降型ブラインド
JP3921472B2 (ja) 吊り上げ装置および方法
KR200209616Y1 (ko) 창을 통해 투과되는 햇빛을 차단하는 햇빛 차단용 시트에동력을 전달하는 장치
CN117988698A (zh) 一种电动百叶帘及具有该电动百叶帘的窗体结构
KR20210097280A (ko) 스마트 프라이버시 버튼 블라인드의 개폐손잡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726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