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4215A -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용버너 운전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용버너 운전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4215A
KR20000034215A KR1019980051491A KR19980051491A KR20000034215A KR 20000034215 A KR20000034215 A KR 20000034215A KR 1019980051491 A KR1019980051491 A KR 1019980051491A KR 19980051491 A KR19980051491 A KR 19980051491A KR 20000034215 A KR20000034215 A KR 2000003421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rner
gas
high temperature
regenerator
refrigera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14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12728B1 (ko
Inventor
양영명
최병권
김태한
김호연
Original Assignee
한갑수
한국가스공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갑수, 한국가스공사 filed Critical 한갑수
Priority to KR10199800514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12728B1/ko
Publication of KR2000003421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421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1272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12728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15/00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 F25B15/02Sorp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operating continuously, e.g. absorption type without inert gas
    • F25B15/025Liquid transfer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315/00Sorption refrigeration cycles or details thereof
    • F25B2315/005Regener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BREFRIGERATION MACHINES, PLANTS OR SYSTEMS;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 F25B2600/00Control issues
    • F25B2600/25Control of valv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7Relating to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technologi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30/00Energy efficient heating, ventilation or air conditioning [HVAC]
    • Y02B30/62Absorption based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rption Type Refrigeration Mach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용 버너 운전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장치는 내통(21)과 외통(22)으로 구성되고, 돔형의 형태를 갖는 고온재생장치(1)에서 내통(21) 안쪽에 돔형 또는 반구형태로 성형한 메탈파이버 버너(13)를 장착하여, 고온재생장치(1)의 용액을 적외선 방식으로 가열하고, 연소 가스를 내통 안 쪽에서부터 외통(22) 바깥 면으로 유도하여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이용하여, 용액을 재생토록 구성한다.
본 발명의 방법은 메탈파이버 버너(13)는 초기에 송풍팬을 10초간 3600 rpm 이상으로 기동시킨 후 이그나이터를 연속 방전하면서 송풍팬을 1800 rpm 이하로 조절하고 가스 공급 밸브를 열어 혼합가스가 메탈파이버버너(13) 표면에 공급하여, 점화되도록 하고 점화가 용이하도록 공연비를 정산 연소시 보다 가스 농도를 높이고, 프레임로드의 감지 시간이 5초 경과후 점화를 확인한 후 공연비를 정상연소 상태로 바꾸고 최소 열량의 가스 공급를 15초간 실시하고 정상 열량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장치와 방법에 의하면, 비례제어가 용이하고, 그 효율이 높아 소형화가 가능하다.

Description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장치 및 재생장치용 버너 운전방법
본 발명은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비례제어가 용이하고, 그 효율이 높아 소형화가 가능하도록 발명된 것이다.
흡수식 냉방은 일반적으로 LPG, LNG 등의 가스를 열원으로 하여 흡수용액 냉매로 이루어진 냉방사이클을 운전하는 것으로, 전기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기존의 기체 압축식 냉방장치와는 달리, 일차적인 열에너지를 이용하기 때문에 하절기에 과다한 전력부하의 해소를 얻을 수 있다. 또, 폐열을 이용한 열병합 시스템에의 활용등 다양한 잇점을 가지고 있어 최근 널리 이용되고 있는 실정이다.
이 흡수식 냉난방기는 리튬브로마이드 등의 수용액을 흡수용액으로 하는 방식과, 암모니아를 냉매로 이용하고 물을 흡수액으로 이용하는 방식으로 구분된다.
리튬브로마이드 등의 수용액을 흡수용액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구성은 수용액을 재생시키고 냉매를 생성하기 위한 가열원과 재생기로 구성되며, 용액를 순환시키기 위한 용액 펌프, 냉매를 증발시키는 증발기, 증발기로부터 증발된 냉매증기를 흡수하는 흡수기, 상기 증발기로부터 증발열을 방출시켜 증발기 관내에 냉각된 냉수를 실내기로 유입하여 실내로 찬공기를 공급하는 냉수회로와 상기 흡수기에서 흡수된 흡수열을 외부로 방출하는 냉각탑 또는 냉각장치로 구성된다.
이 흡수식 냉난방기에서 냉방 열량과 난방 열량은 차이가 있다.
즉, 통상 냉방시 가스 연소 열량에 비해 난방시는 약 1.5∼2.0배의 열량을 필요로 한다. 기존의 가스를 이용한 흡수식 냉난방기는 가스 연소 기구로 주로 슬릿버너을 이용하였다.
이러한 가스 연소 기구의 비례제어 영역인 턴다운 비(최소 연소 가능 열량과 최대 연소 가능 열량의 비)가 1:3 정도로 나타나고 있다.
이는 실제 수치를 적용한 예로서, 슬릿버너(12) 개당 열량이 최대 1600 Kcal의 버너를 사용할 경우 최소 연소 가능 열량은 500 Kcal 정도이다.
따라서 냉방 능력이 5.0 KW인 경우 재생기 효율을 고려하여 필요로 하는 소모 열량은 4800 Kcal 정도 필요한데, 필요 슬릿 버너의 개수는 3개가 필요하다. 난방 능력을 냉방 능력의 1.5배로 할 경우 LiBr을 흡수용액으로 사용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난방효율은 약 0.8 정도로 7.5 KW 정도의 능력을 보유하려면, 가스 소모 열량이 8,000 Kcal 정도 필요하고, 필요 슬릿 버너의 개수는 5개이다.
그러므로, 최대 열량 기준으로 버너를 제작할 경우 난방의 비례제어 영역은 2500∼8,000 Kcal 이고, 냉방 비례제어 영역은 2500∼4800 Kcal 가 된다.
이러한 비례제어 영역은 특히 냉방의 비례제어 영역을 제한하게 되는데, 이러한 사실은 부분 부하 운전의 제어 영역을 제한하여, 부하가 작을 경우에 버너을 정지해야 하는 경우가 발생하고 부하에 대한 민감한 제어가 어렵게 된다.
이러한 종래의 구성에 의하면 슬릿버너(12)에 공급하는 가스 공급단에 가스 절체밸브(15)를 구비하여, 냉방시에는 일부 슬릿버너(12)에만 가스를 공급하고, 난방시에는 필요에 따라 일부 슬릿버너(12)에만 가스를 공급하고, 최대 열량 필요시 슬릿버너(12) 전부에 가스를 공급하는 방식을 취한다.
이러한 절체 방식은 냉방시 가스 공급을 받는 슬릿 버너의 개수를 예로서 3개로 할 경우 냉방 제어영역은 실제 수치로 약 1500∼4800 Kcal가 되고, 난방시는 1500∼8,000 Kcal가 된다.
이러한 방식은 별도의 가스 절체 밸브(15)와 가스 유로가 2개인 슬릿버너(12) 가스 분배관이 필요하고, 버너 설계시 이에 대한 고려가 필요하지만, 냉방시 비례제어 폭을 2300 Kcal에서 3300 Kcal로 높이는 효과가 있고, 난방시 비례제어 폭을 5500 Kcal에서 6500 Kcal로 높이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턴다운 비가 높은 버너를 사용하여, 냉난방을 겸용할 수 있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비례제어가 용이하고, 그 효율이 높은 소형의 재생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식 냉난방기의 상태도
도 2는 기존의 흡수식 냉난방 장치의 재생장치
도 3은 본 발명의 흡수식 냉난방 장치의 재생장치
도 4는 기존 방식의 버너 제어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의 흡수식 냉난방 장치의 버너 제어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고온재생기 2 : 저온재생기
3 : 응축기 4 : 증발기
5 : 흡수기 6 : 냉난방절환변
9 : 용액펌프 12 : 슬릿버너
13 : 메탈 파이버 버너
14 : 예혼합실 15 : 가스절체밸브 3
16 : 가스 비례제어 밸브 17 : 가스절체밸브 2
19 : 송풍팬 20 : 분포판
21 : 고온재생기 내통 22 : 고온재생기 외통
23 : 전열핀 30 : 기액분리통
이러한 본 발명의 목적은 가열실을 가지고, 저농도 흡수액중의 냉매(물)를 기화(증발)시켜 중농도 흡수액으로 하는 고온 재생기(1)와, 고온 재생기(1)내 기화 냉매의 응축열을 이용해서 중농도 흡수액을 가열하고 중농도 흡수액에 포함된 냉매를 기화시켜 고농도 흡수액으로 하는 저온 재생기(2)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용 열교환기를 배설하고, 고온 재생기(1) 및 저온 재생기(2)에서 분리된 기화 냉매(수증기)를 냉각해서 액냉매(물)로 되돌리는 응축기(3)와, 응축기(3)에서 액화한 액냉매를 진공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4)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용열교환기를 배설하고, 증발기(4)에서 증발한 기화 냉매를 저온재생기(2)에서 얻어진 고온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5)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내통(21)과 외통(22)으로 구성되고, 돔형의 형태를 갖는 고온재생장치(1)에서 내통(21) 안쪽에 돔형 또는 반구형태로 성형한 메탈파이버 버너(13)를 장착하여, 고온재생장치(1)의 용액을 적외선 방식으로 가열하고, 연소 가스를 내통 안 쪽에서부터 외통(22)바깥 면으로 유도하여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이용하여, 용액을 재생토록 구성하는 것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돔형의 고온재생기에서 버너의 형상을 재생기 형상과 같은 모양으로 성형함으로써 가열 구조가 열전달에 유리하며, 메탈파이버버너(13)의 연소 턴다운 비가 1 : 10 정도로 슬릿버너(12)의 턴다운 비 1 : 3에 비해 매우 높다.
또, 냉·난방별 필요한 버너의 열량 조정 영역이 넓어지고, 제어에 필요한 장치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제어 방법이 간단해 진다.
메탈파이버버너(13)는 고온재생기 내통 안쪽에서 주로 적외선에 의해 가열하고 연소가스가 고온재생기 외통 주위를 거치면서 대류에 의한 열전달에 의해 고온재생기를 가열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 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흡수식 냉난방기를 전체 장치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흡수식 냉난방 장치의 재생장치를 확대하여 도시하고, 도 5는 본 발명의 흡수식 냉난방 장치의 버너 제어방법을 순서도로 도시하고 있다.
도 1에서 보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구성에 의하면, 리튬브로마이드 용액을 흡수용액으로 사용하고, 냉매로 물을 사용하는 흡수식 냉난방기는 기본적으로 용액을 재생하는 고온재생장치(1) 및 저온재생기(2), 흡수기(5), 증발기(4), 응축기(3), 고온용액열교환기(7), 저온용액열교환기(8), 용액펌프(9), 냉각장치로서 냉각탑 또는 공랭냉각기와 실내기로 구성된다.
고온재생장치(1)의 하부는 돔형태의 비등기를 가지고 있어, 버너 연소열에 의해 가열되고 상부는 실린더 형태의 취출통(31)으로 구성된다. 이 고온재생장치(1)는 증기냉매분리통(30)에 의해 감싸져 있으며, 이 증기냉매 분리통은 저온재생기(2)의 가열부 역할을 한다.
증기냉매 분리통(30)은 저온재생기부에 포함되어 있는 구조이며, 저온재생기(2)는 환 형상의 흡수코일로 구성되는 흡수기(5)에 의해 감싸여져 있으며, 실린더 형태의 분리통으로 분리되어 있다.
흡수기(5)는 본체의 외벽에 의해 감싸져서 원통형의 본체를 구성한다. 본체의 상부는 환 형상의 흡수기 코일과 연결된 환 형상의 응축기 코일로 구성되는 응축기(3)을 구비한다.
본체 외측 벽에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용액 열교환기가 부착되며, 본체와 병설되어 증발기(4)가 구비된다.
상기 증발기(4)는 본체 상부측에 위치한 응축기(3)로부터 공급되는 냉매를 유입시키는 냉매관으로 연결되고 증발기의 증발관과 연결되고 증발관은 본체와 수평하게 위에서 아래방향으로 차례로 구비된다. 증발관 외부는 판형 열교환기와 접속되며 판형 열교환기의 길이 방향은 증발관과 수직하게 구비되며, 순환팬에 의해 실내공기를 흡입하여 열교환을 거친 공기를 실내로 공급하는 실내기로 구성된다.
흡수기(5)의 환형상의 코일은 냉각수회로와 연결되어 냉각탑 냉각수 회로와 연결되어 병설된다.
한편, 버너(13)의 연소를 위해 가스절체밸브1(18), 가스절체밸브2(17), 가스비례제어 밸브(16)를 통해 가스가 공급되어 예혼합실(14)로 공급되며, 송풍팬으로 부터 공기를 공급받아 혼합실에서 혼합되어, 전일차 방식으로 메탈파이버 가스버너(13)로 공급되어 연소한다. 이 연소열은 고온재생기 하부에 돔 형상의 비등기를 가열하여 고온재생기(1) 내에 있는 저농도용액(58%)을 가열한다. 고온재생기(1) 내의 용액은 가열되어 고온재생장치(1) 상부에 길게 뽑은 취출통(31)의 상 방향으로 고온의 냉매증기는 올라가 증기냉매 분리통을 가열하고 고온재생장치(1)의 취출통(31)과 증기냉매 분리통 사이에 위치한 냉매증기관(30)을 통해 응축기(3)로 이동한다.
고온재생장치(1)에서 재생된 고온의 중농도용액(60%)은 고온용액열교환기(7)로 유입되어 저온재생기(2) 상부에 오리피스를 통해 증기냉매 분리통 상부, 외벽에 뿌려지며, 고온재생기(1)에서 발생한 고온의 냉매증기에 의해 가열된 저온재생기 가열부에 의해 재생된다.
여기서 발생기 냉매증기와 고온재생기(1)에서 발생기 냉매증기는 응축기(3)로 이동하여 응축되고 냉매로써 증발기로 공급된다. 저온재생기의 중용액은 더 농축되어(62%), 저온용액열교환기(8)를 거쳐 흡수기로 공급된다.
증발기(4)에서 냉매는(통상 6.0 ∼7.0 mmHg의 저압 하에서) 증발하여 증발 잠열에 의해 증발기 전열관의 열을 빼앗고, 증발한 냉매는 흡수기로 개방된 공간을 통해 흡수기(5)로 이동하여 흡수기 코일에 산포한 고농도 흡수용액에 흡수된다.
냉매를흡수한 저농도의 흡수용액은 용액펌프(9)에 의해 저온용액열교환기(8)로 들어가 저온재생기(2)에서 유입되는 고농도용액과 열교환을 통해 흡수기로 들어가는 고농도용액의 온도를 낮추고 저농도용액의 온도를 높이어 고온용액열교환기(7)로 유입되며, 고온재생기(1)에서 유입되는 고온의 중농도용액과 열교환을 하여 고온재생기(1)로 유입되어 용액 사이클을 형성 냉방운전을 지속시킨다.
응축기(3)와 흡수기(5)의 환형상의 전열관과 병설 연결된 냉각수 회로는 냉각탑 팬을 부설한 냉각탑과 냉각수탱크와 냉각수펌프와 흡수기 전열관과 응축기 전열관을 차례로 환형상으로 접속하여 구성하며, 냉각수 펌프를 작동시켜서 냉각수를 순환 흡수기와 응축기에서 흡수한 열을 외부로 방열한다.
난방운전시는 고온재생기(1) 하부에 있는 고온재생기에서 용액 열교환기로 연결된 배관중에 냉난방절환 밸브을 열어, 용액이 고온재생기(1)에서 가열된 용액이 증발기(3)로 이동하여 증발기와 열교환을 통해 실내기로 난방을 실시한다.
본 발명의 흡수식 냉난방기 재생장치(연소기구를 포함)는 공랭식 또는 단효용 흡수식 냉난방기에도 적용 할 수 있으며, 암모니아를 냉매로 하는 열펌프에도 적용 실시 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재생기용 가스 연소 기구를 턴다운 비가 높고, 버너의 형상을 비교적 자유롭게 제작할 수 있는 메탈파이버버너(13)를 사용하여, 고온재생기 내부 형상인 돔 형상과 유사하게 돔 형상 또는 반구형태로 메탈파이버 버너(13)를 성형하고 이를 장착하여, 고온재생기를 적외선과 연소가스 열에 의해 재생기를 가열하도록 구성하였다.
또, 본 발명의 가스 연소 기구는 가스절체밸브(17)(18) 2개와 가스비례제어 밸브(16), 송풍팬(19), 예혼합실(14), 공기분포판, 반구 형태의 메탈파이버 버너(13)로 구성되고, 종래의 슬릿버너(12) 사용시 열량 제어 영역을 넓히기 위하여 필요로 한 가스 절체 밸브(15) 및 2개의 가스 공급 메니폴더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즉,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 청구항 1항에 의하면, 돔형의 고온재생장치(1)에서 버너의 형상을 재생기 형상과 같은 모양으로 성형함으로써 가열 구조가 열전달에 유리하며, 메탈파이버버너(13)의 연소 턴다운 비가 1 : 10 정도로 슬릿버너(12)의 턴다운 비 1 : 3에 비해 매우 높다.
따라서, 냉·난방별 필요한 버너의 열량 조정 영역이 넓어지고, 제어에 필요한 장치의 개수를 줄일 수 있고, 제어 방법이 간단해 진다.
메탈파이버버너(13)는 고온재생기(1)의 내통(21) 안쪽에서 주로 적외선에 의해 가열하고 연소가스가 고온재생기(1)의 외통(22) 주위를 거치면서 대류에 의한 열전달에 의해 고온재생기를 가열한다.
본 발명의 특허 청구범위 2 항에 의하면, 고온재생장치(1)의 외통(22) 전열핀(23)은 내통(21)의 안쪽에서 연소된 가스가 외통(22)을 거쳐 배기 되도록 구성되어 연소된 가스가 전열핀(23)을 거쳐 이동함으로써 용액과 연소 열과의 열 교환이 이루어 진다.
한편, 청구항 3 항에 의하면 1, 2차 가스절체밸브(17)(18)는 가스의 공급을 절체하는 2중 안전장치의 역할을 갖게 되, 가스 비례제어 밸브(16)는 버너(13)에 공급하는 가스량을 조절하는 것으로 이를 통과한 가스는 예혼합실(14)로 이동하여 송풍팬(19)에 의해 공급되는 공기와 역 방향으로 부딪치며, 혼합가스가 되어 공기분포판(20)을 통과하면서 메탈파이버로 된 버너(13) 표면에서 고른 연소 상태를 갖도록 분배되어 연소하게 된다.
청구항 4 항에 의하면, 이그나이터는 연속 점화 방식의 것으로 스파크를 연속적으로 발생시켜 메탈파이버로 된 버너(13)의 혼합가스를 점화시키고, 일렉트로드는 화염 상태를 감시하여 비정상 연소시 가스의 공급을 중단하는 센서로써 작용한다.
청구항 5 항에 의하면, 초기에 송풍팬(19)을 예로서 10초간 3600 rpm 이상으로 기동시켜 혹시 잔류한 혼합가스와 폐가스를 배출시키고, 이그나이터를 연속 방전하면서 안정적인 점화를 위하여 송풍팬을 1800 rpm 이하로 조절하고 가스 공급 밸브를 열어 혼합가스가 메탈파이버의 버너(13) 표면에 공급되어, 점화되도록 하고 점화가 용이하도록 공연비를 정상 연소시 보다 가스 농도를 높인다.
그리고, 프레임로드의 감지 시간이 5초 경과후 점화를 확인한 후 공연비를 정상연소 상태로 바꾸고 최소 열량의 가스 공급를 15초간 실시하고 정상 열량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한다.
청구항 6 항에 의하면, 정상 운전시 냉난방 부하에 따라 송풍팬(19)의 회전수(rpm)과 비례제어변이 연동하여, 최적의 공연비로 작동되도록 구비하고, 프레임 로드의 화염감지가 없으면 1, 2차 가스절체밸브(17)(18)이 차단되면서 송풍팬(19)은 일정 시간 계속 작동하여 잔류 가스를 배기 하도록 구성한다.
청구항 7 항에 의하면, 냉난방 운전 후 가스의 공급이 차단되어, 버너(13)가 소화된 후에도 고온재생기의 온도가 일정 온도에 이를 때까지 송풍팬(19)을 계속 가동하여 고온재생장치(1)의 온도를 낮추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구성에 의하면, 청구항 1 항에 의하여, 일반적인 슬릿버너(12)는 사용할 때 화염이 피가열체와 접촉하면 그 부분에서 부식 현상이 일어나기 쉬워서 피가열체와 화염간의 이격 거리는 중요한 것이다. 하지만 메탈파이버버너(13)는 표면 연소 방식으로 화염의 길이가 짧고, 대부분 표면에서 연소가 이루어져 피가열체와의 거리를 짧게 할 수 있어서 열전달이 유리하고, 버너 형상을 자유롭게 성형하는 것이 다른 버너에 비해 가능하여, 고온재생기 형태가 돔형인 경우 동일한 형상의 성형이 가능하여, 가열구조가 열전달에 유리하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메탈파이버의 버너는 턴다운 비가 높아서 냉·난방을 겸용할 수 있는 흡수식 냉난방기에 있어서 한국의 계절별 온도 특성상, 난방열량이 냉방열량의 배 이상이 요구될 때 매우 유리하다.
또, 기존의 슬릿버너(12)에서 사용하는 (열량 영역 조절을 위한) 가스 절체 밸브가 필요하지 않고, 제어 방식이 간단해지는 효과가 있다. 메탈파이버버너(13)는 주로 적외선에 의한 열 발생의 비가 높아 고온재생기를 고루 가열하는 것과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동시에 이용할 수 있어 고온재생기 효율이 높다.
특히, 고온재생기의 크기나 기존 방식의 슬릿버너(12) 사용 시, 슬릿버너(12)가 장방향으로 커지는 경우 불필요한 공간이 많아지나, 형상을 돔형과 유사한 형태로 성형이 가능하여 고온재생기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것이 더욱 유리하고 용이하다.
청구항 2 항에 의하면, 외통의 전열핀(23)은 전열 면적을 크게 하여 고온재생기의 효율을 증가시킨다.
청구항 3 항에 의하면, 흡수식 냉난방기의 냉·난방별 연소제어에서 슬릿버너(12)를 사용할 때 필요한 절체 밸브가 필요하지 않으며, 공기와 가스를 역방향 공급하여 혼합 함으로써 예혼합실(14) 크기를 작게 하여 버너의 크기를 소형화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4 항에 의하면, 연속 점화 방식을 채택하여 점화율을 높이고, 화염상태를 감지하여 안전상태 운전를 유도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5 항에 의하면, 초기에 송풍팬을 10초간 3600 rpm 이상으로 기동시켜 혹시 잔류한 혼합가스와 폐가스를 배출되어 점화가 확실하고, 폭발 점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그나이터를 연속 방전하면서 점화하여 점화가 확실하고, 송풍팬을 1800 rpm 이하로 조절하고 가스 공급 밸브를 열어 적은 열량의 혼합가스가 메탈파이버버너(13) 표면에 공급되어 안정적인 점화가 이루어지고 점화가 용이하도록 공연비를 정산 연소시 보다 가스 농도를 높여 점화가 확실한 효과가 있다.
또한, 정상 연소 상태로 전환하여 최소 열량의 가스 공급를 15초간 실시하고 정상 열량으로 전환되도록 하여 초기의 과 열량에 의해 고온재생기와 급격한 온도차이에 의해 고온재생기 내통 내에 결로가 발생하는 것을 억제하여 버너 표면 또는 고온재생기 내통 내면의 부식을 완화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6 항에 의하면, 정상 운전시 냉난방 부하에 따라 송풍팬 rpm과 비례제어변이 연동하여, 최적의 공연비로 작동되도록 제어하여, CO 또는 CO2의 양이 최소화 되도록 연소하여 불완전연소를 배제하고 연소 효율을 높이도록 하며, 어떤 비정상적 상황에 따라 화염에 이상이 있을 경우 화염과 접촉하여 화염의 이상유무를 감지하는 프레임 로드에 화염감지가 없으면 가스공급변이 차단되면서 소화를 유도하고 계속된 가스 누출에 의한 폭발 또는 화재를 예방한다.
또, 송풍팬은 일정 시간 계속 작동하여 잔류 가스를 배기 하도록 하여, 재 점화 또는 연소 시 폭발 점화를 예방하는 효과가 있다.
청구항 7 항에 의하면, 냉난방 운전 후 가스의 공급이 차단되어, 버너가 소화된 후에도 고온재생기의 온도는 고온의 상태로 있게 된다.
따라서 재생은 계속 이루어지고 용액의 농도가 높아져서 결정의 위험이 있을 수 있어, 고온재생기를 빠른 시간에 온도를 낮추어 주는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송풍팬을 계속 가동시킴으로써 신선한 외부 공기를 계속 주입하여 고온재생기의 온도를 빠르게 낮추는 효과가 있는 등의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7)

  1. 가열실을 가지고, 저농도 흡수액중의 냉매(물)를 기화(증발)시켜 중농도 흡수액으로 하는 고온 재생기(1)와, 고온 재생기(1)내 기화 냉매의 응축열을 이용해서 중농도 흡수액을 가열하고 중농도 흡수액에 포함된 냉매를 기화시켜 고농도 흡수액으로 하는 저온 재생기(2)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응축용 열교환기를 배설하고, 고온 재생기(1) 및 저온 재생기(2)에서 분리된 기화 냉매(수증기)를 냉각해서 액냉매(물)로 되돌리는 응축기(3)와, 응축기(3)에서 액화한 액냉매를 진공하에서 증발시키는 증발기(4)와, 냉각수가 통과하는 흡수용열교환기를 배설하고, 증발기(4)에서 증발한 기화 냉매를 저온재생기(2)에서 얻어진 고온 흡수액에 흡수시키는 흡수기(5)로 구성되는 것에 있어서;
    내통(21)과 외통(22)으로 구성되고, 돔형의 형태를 갖는 고온재생장치(1)에서 내통(21) 안쪽에 돔형 또는 반구형태로 성형한 메탈파이버 버너(13)를 장착하여, 고온재생장치(1)의 용액을 적외선 방식으로 가열하고, 연소 가스를 내통 안 쪽에서부터 외통(22)바깥 면으로 유도하여 대류에 의한 열전달을 이용하여, 용액을 재생토록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온재생장치(1)는 외통(22) 바깥 면에 전열핀(23)을 구비하여,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 이루어 지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탈파이버 버너(13)의 가스 공급을 1차 가스 절체 밸브(18), 2차 가스 절체 밸브(17), 가스 비례제어 밸브(16) 순서로 예혼합실(14)로 공급하고, 예혼합실에 공기를 회전수 가변 송풍팬에 의해 공급하고, 가스 공급단을 공기 흐름과 반대로 하여 공기 유입 방향과 가스 공급 방향을 역으로 하여 예혼합실(14)에서 가스와 공기를 혼합하여, 화염이 메탈파이퍼버너(13) 전 표면에서 고른 연소 분포를 갖도록 공기분포판(20)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메탈파이버 버너(13)는 반구 일측에 이그나이터와 프레임 로드를 구비하여, 점화와 화염 감지가 가능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장치.
  5. 메탈파이버 버너(13)는 초기에 송풍팬을 10초간 3600 rpm 이상으로 기동시킨 후 이그나이터를 연속 방전하면서 송풍팬을 1800 rpm 이하로 조절하고 가스 공급 밸브를 열어 혼합가스가 메탈파이버버너(13) 표면에 공급하여, 점화되도록 하고 점화가 용이하도록 공연비를 정산 연소시 보다 가스 농도를 높이고, 프레임로드의 감지 시간이 5초 경과후 점화를 확인한 후 공연비를 정상연소 상태로 바꾸고 최소 열량의 가스 공급를 15초간 실시하고 정상 열량으로 전환되도록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장치용 버너 운전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탈파이버 버너(13)는 정상 운전시 냉난방 부하에 따라 송풍팬 회전수(rpm)와 비례제어변이 연동하여, 최적의 공연비로 작동되도록 구비하고, 프레임 로드의 화염감지가 없으면 가스공급변이 차단되면서 송풍팬은 일정 시간 계속 작동하여 잔류 가스를 배기 하도록 한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장치용 버너 운전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메탈파이버 버너(13)는 냉난방 운전 후 가스의 공급이 차단되어, 버너가 소화된 후에도 고온재생기가 온도가 하강하여 일정 온도에 이를 때까지 송풍팬을 계속 가동하는 흡수식 냉난방기의 재생장치용 버너 운전방법.
KR1019980051491A 1998-11-28 1998-11-28 흡수식냉난방기의재생장치및재생장치용버너운전방법 KR10031272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491A KR100312728B1 (ko) 1998-11-28 1998-11-28 흡수식냉난방기의재생장치및재생장치용버너운전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1491A KR100312728B1 (ko) 1998-11-28 1998-11-28 흡수식냉난방기의재생장치및재생장치용버너운전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4215A true KR20000034215A (ko) 2000-06-15
KR100312728B1 KR100312728B1 (ko) 2001-12-28

Family

ID=195601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1491A KR100312728B1 (ko) 1998-11-28 1998-11-28 흡수식냉난방기의재생장치및재생장치용버너운전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1272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640B1 (ko) * 2002-11-20 2004-12-29 삼양보일러 주식회사 다목적 보일러 장치
KR100464924B1 (ko) * 2002-12-13 2005-01-05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핀튜브식 고온재생기를 구비한 흡수식 냉동기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60640B1 (ko) * 2002-11-20 2004-12-29 삼양보일러 주식회사 다목적 보일러 장치
KR100464924B1 (ko) * 2002-12-13 2005-01-05 주식회사 신성엔지니어링 핀튜브식 고온재생기를 구비한 흡수식 냉동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12728B1 (ko) 2001-12-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12728B1 (ko) 흡수식냉난방기의재생장치및재생장치용버너운전방법
KR100392597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100437192B1 (ko) 급탕장치
JPH1026437A (ja) 吸収式空調機
KR100679982B1 (ko) 흡수식 냉동기의 저온재생기
JP3318791B2 (ja) 直火焚き吸収冷温水機における廃熱回収システム
KR100392595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100392596B1 (ko) 가스보일러의 콘덴싱 방식 열교환기
KR19980070369A (ko) 고온재생기
KR100428317B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고온재생기
KR100473566B1 (ko) 연소영역 슬림형 흡수식 고온재생기
JP4148492B2 (ja) 蓄熱体付ボイラ
JP3754108B2 (ja) 吸収式冷温水機の再生器
KR20100025204A (ko) 고효율 콘덴싱 온수기
KR100335403B1 (ko) 흡수식 냉난방기의 난방증대 및 급탕장치
KR200276965Y1 (ko) 흡수식 냉난방기
JP3762483B2 (ja) 液管対流式燃焼加熱炉
KR100436587B1 (ko) 흡수식 냉동기의 고온재생기
KR200202937Y1 (ko) 다중경로를 갖는 열교환기
Wang Heating Systems
KR100973652B1 (ko) 보일러의 온수 제어장치
KR100406133B1 (ko) 상향 연소식 콘덴싱 가스보일러
JP2898202B2 (ja) 吸収式冷房装置
JP3325109B2 (ja) 吸収式冷凍機
CN111425841A (zh) 相变蒸汽锅炉及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11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6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825

Year of fee payment: 1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