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3772A -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3772A
KR20000033772A KR1019980050792A KR19980050792A KR20000033772A KR 20000033772 A KR20000033772 A KR 20000033772A KR 1019980050792 A KR1019980050792 A KR 1019980050792A KR 19980050792 A KR19980050792 A KR 19980050792A KR 20000033772 A KR20000033772 A KR 200000337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brator
mobile phone
main body
battery pack
us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기현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50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33772A/ko
Priority to US09/448,131 priority patent/US6560467B1/en
Publication of KR200000337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377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02Constructional features of telephone sets
    • H04M1/0202Portable telephone sets, e.g. cordless phones, mobile phones or bar type handse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호출 메시지를 알려주는데 있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체(a)와, 진동자를 구비한 진동모터로 이루어져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촉각적이거나 청각적으로 통보하며, 상기 본체(a)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바이브레이터(b)와, 상기 본체에 항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충전기에 재충전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며, 하단 무게중심에 돌기가 돌출된 배터리 팩(c)으로 구성된 휴대폰에 있어서, 휴대폰을 휴대하지 않을 경우, 진동모드시,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진동하여 사용자에게 착신상태를 촉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통보하는 제1과정;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 진동후,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바이브레이터에 구비된 진동자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본체가 회전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착신상태를 통보하는 제2과정으로 구성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소형 무선단말기에 적용.

Description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장치 및 그 방법
본 발명은 CT-2, PCS 폰, 디지털 폰등을 포함하는 휴대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진동모드에서 착신상태시 메시지 호출상태를 시각적으로 통보받을 수 있는 착신상태 통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휴대폰을 포함하는 무선단말기는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는 방법으로, 진동모드일 경우, 바이브레이터를 이용하여 휴대폰에 진동이 가해져서 사용자가 진동을 촉각적으로 느낌으로서 착신상태를 통보받거거나, 알람모드일 경우, 알람장치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착신상태를 청가적으로 용이하게 알 수 있는 구성으로 되어 있었다.
그러나, 진동모드일 경우, 휴대폰을 사용자가 착용하지 않을 상태에서 바이브레이터에 의해 진동이 휴대폰에 가해지면, 책상에 놓여져 있을 경우에 청각적으로(진동이 책상표면에 전달되어 상호간의 충돌로 인하여 발생함) 착신상태를 통보받기는 하나, 휴대폰이 원거리에 존재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청각적으로도 용이하게 착신상태를 식별하기가 매우 곤란하며, 더욱이 휴대폰이 사용자에서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는 휴대폰의 착신상태를 확인하기가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종래의 진동기능에 의한 휴대폰의 착신상태를 식별할 수 있는 방법은 휴대폰을 착용하지 않은 경우에 사용자에게 착신상태를 알리는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또한, 종래의 알람장치에 의한 착신상태를 통보할 수 있는 방법은 사용자가 휴대폰이 근거리에 있지 않고, 휴대폰이 사용자에게서 원거리에 존재하는 경우에는 청각적으로 사용자에게 착신상태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하였다.
현재, 휴대폰을 포함하는 호출방법은 촉각이나 청각에 의존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방법밖에 없었다. 따라서 사용자에게 호출이 왔음을 시각적으로 알려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휴대폰의 착신시, 진동모드에서, 휴대폰이 원거리에 있는 경우에 시각적으로 착신상태를 통보할 수 있는 착신상태 통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폰의 진동모드에서, 진동모터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휴대폰이 무게중심에 돌출된 돌기를 중심으로 진동모터의 진동자 회전방향에 따라 회전동작을 하는 착신상태 통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한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본체(a)와,
진동자를 구비한 진동모터로 이루어져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촉각적이거나 청각적으로 통보하며, 상기 본체(a)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바이브레이터(b)와,
상기 본체에 항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충전기에 재충전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며, 하단 무게중심에 돌기가 돌출된 배터리 팩(c)으로 구성된 휴대폰에 있어서,
휴대폰을 휴대하지 않은 경우, 진동모드시,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진동하여 사용자에게 착신상태를 촉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통보하는 제1과정;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 진동후,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바이브레이터에 구비된 진동자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본체가 회전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착신상태를 통보하는 제2과정으로 구성로 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에 배터리 팩이 장착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배터리 팩 하단에 돌출된 돌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3,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착신상태시 바이드 레이터의 진동자 회전방향에 따라서 본체가 회전하는 운동을 나타내는 예시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본체 20:배터리 팩
40:바이브레이터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들중, 동일한 구성요소 또는 부품들은 가능한 한 동일한 참조부호를 나타내고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의 저면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상기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착신상태 통보장치는 휴대폰을 포함하는 모든 소형 단말기에 적용가능하다. 도면에 도시된 소형 단말기는 플립 타입 휴대폰이다.
이하에서는 플립 타입 휴대폰을 예를들어 본 발명의 착신상태 통보장치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도 2를 참조하면, 휴대폰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본체(10:body)의 저부에는 배터리 팩(20:battery pack)이 착탈가능하게 구성된다. 별도의 로킹장치(30)는 상기 배터리 팩(20)을 본체에서 착탈시킨다. 상기 로커를 화살표①방향으로 누른후, 상기 배터리 팩(20)을 화살표②방향으로 당기면 상기 배터리 팩(20)은 상기 본체(10)에서 분리된다. 한편, 상기 배터리 팩(20)을 상기 본체에 화살표②방향 반대방향으로 강제적으로 밀면 배터리 팩(20)은 상기 본체(10)에 장착된다. 상기 배터리 팩의 전원이 전부 소모된 경우에는 수시로 충전기에 재충전하여 전원을 수시로 상기 본체에 공급한다.
이때, 통상적인 휴대폰은 진동모드(vibration mode)시,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기 위하여 바이브레이터(40:코인형이나 실린터형 모터가 가능함. 휴대폰에서는 코인형 진동모터가 주로 사용되며, 본 발명에서도 코인형 진동모터가 바람직함)가 구비된다. 이러한 바이브레이터(40:vibrartor)는 진동자를 구비한 진동모터로 구성되며, 진동모터가 구동되면, 진동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회전축(B)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서, 진동자의 회전은 본체(10)에 진동을 가하게 된다. 사용자는 진동모드일 경우에 감각적(특히 촉각적으로)으로 착신상태를 통보받게 됨과 더불어 책상등의 표면(70)에 놓인 경우에는 돌기(201)를 중심으로 회전축(A)를 중심으로 회전운동을 함으로서 시각적으로 착신상태를 통보받게 된다.
상기 바이브레이터(40)의 코인형 진동모터(coin-type vibration motor)는 안전하게 놓인 상태로 휴대폰의 본체(10)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체(10)가 놓인 상태와 진동모터가 놓인 상태는 동일하다. 진동모터나 본체의 회전축(A,B)은 상하방향으로 향한다.
본 발명의 착신상태 통보장치는 착신방법이 진동모드일 경우, 시각적으로 사용자에게 호출통보를 하는 수단이다. 진동모드일 경우, 본 발명은 일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촉각적이(휴대폰을 착용하고 있는 경우)거나 청각적(휴대폰이 책상에 놓여 있는 경우)으로 착신상태를 통보하게 되고, 이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착신상태를 통보하는 것이다.
배터리 팩(20)이 장착된 휴대폰이 책상등에 놓여 있는 경우에 휴대폰의 무게중심이 존재하게 된다. 이때, 휴대폰의 무게중심(mass center)은 배터리 팩(20)의 하단(210:bottom end) 소정위치에 돌출된다. 이러한 휴대폰의 무게중심에 돌출된 돌기(201)는 접촉면과의 접촉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구형이 가장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돌기(201)는 배터리 팩(20)의 케이스와 일체형으로 사출형성된다.
도 3, 도 4에 도시된 바와같이, 이러한 구성에 따라서 착신상태 호출방법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진동모드일 경우, 착신상태시 사용자는 바이브레이터(40)의 진동에 의해 일차적으로 촉각적(몸에 휴대한 경우 전달되는 진동을 느낌)으로 또는 청각적(책상에 놓인 경우에 책상 노면과의 진동으로 오는 느낌)으로 착신상태를 알게된다. 이어서 바이브레이터(40)의 진동이 본체(10)에 전달되고, 상기 돌기(201)를 중심으로 본체는 회전동작을 하게 되어 이차적으로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통보하게 된다.
이때, 바이브레이터(40)는 통상적으로 회전축에 진동자(도면에 도시되지 않음)가 구비되는 바, 상기 진동자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본체(10)는 돌기(201)를 중심으로 회전동작을 하게 된다. 만약, 진동자가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동작을 하면, 상기 본체는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운동을 하고, 진동자가 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을 하면, 상기 본체도 시계방향으로 회전동작을 하게된다. 상기 진동자의 초기회전방향에 따라서 본체에 먼저 회전하려는 힘이 전달되기 때문에 본체(10)는 진동자의 회전방향과 동일하게 회전하게 된다. 이때 진동 모터의 회전수는 진동량을 최적화하여 구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착신상태 통보장치는 휴대용 소형 단말기중, 플립 타입 휴대폰을 예를들어 설명하였으나, 플립 타입 휴대폰에 한정될 필요는 업다. 예를들어, 본 발명의 착신상태 통보장치는 홀더 타입 휴대폰, 셀룰라 폰, 페이져등을 포함하는 모든 휴대용 소형 단말기에 적용가능하며, 모든 휴대가 편한 단말기에서 변형실시가능하다.
더욱이, 본 발명에서는 휴대폰의 배터리 팩이 마찰면에 놓여 휴대폰의 무게중심이 배터리 팩 하단에 돌출된 것으로 한정하였으나, 본 발명의 휴대폰이 반대방향으로 마찰편에 놓이는 경우에는 플립 커버의 상단에 위치하는 무게중심에 돌출시키는 것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바 타입의 휴대폰이 폴더 타입 휴대폰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부가적으로 본 발명에서는 진동모터의 진동자 회전방향이 일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으로 한정한였으나,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반복동작을 하는 것도 또 다른 일실시예로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당해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있어 자명하다.
이상으로 살펴본 바와같이, 본 발명은 휴대폰에 호출 메시지가 수신되면, 일차적으로 사용자에게 촉각적으로 또는 청각적으로 착신상태를 통보하게 되고, 이차적으로 시가적으로 착신상태를 통보하게 됨으로서, 정확하게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통보하게 되고, 휴대폰과 사용자가 원거리에 존재하게 되어도 착신상태를 사용자는 용이하게 통보받을 수 있다.

Claims (5)

  1. 본체(a)와,
    진동자를 구비한 진동모터로 이루어져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촉각적이거나 청각적으로 통보하며, 상기 본체(a)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바이브레이터(b)와,
    상기 본체(a)에 항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충전기에 재충전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는 배터리 팩(c)으로 구성된 휴대폰에 있어서,
    휴대폰을 휴대하지 않은 경우, 상기 배터리 팩(c)의 하단중, 무게중심이 위치하는 곳에 접촉면과의 부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반구형의 돌기를 일체형으로 돌출시킴으로서, 진동모드시 상기 본체가 회전하여 시각적으로 착신상태를 통보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는 코인형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모터는 상기 본체가 책상등에 놓이는 것과 동일한 방향으로 안전하게 본체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구성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장치.
  4. 본체(a)와,
    진동자를 구비한 진동모터로 이루어져 착신상태를 사용자에게 촉각적이거나 청각적으로 통보하며, 상기 본체(a)의 소정위치에 장착되는 바이브레이터(b)와,
    상기 본체에 항시 전원을 공급하기 위하여 충전기에 재충전할 수 있도록 착탈가능하게 구성되며, 하단 무게중심에 돌기가 돌출된 배터리 팩(c)으로 구성된 휴대폰에 있어서,
    휴대폰을 휴대하지 않은 경우, 진동모드시, 상기 바이브레이터가 진동하여 사용자에게 착신상태를 촉각적 또는 청각적으로 통보하는 제1과정; 및
    상기 바이브레이터 진동후, 상기 돌기를 중심으로 바이브레이터에 구비된 진동자의 회전방향에 따라서 본체가 회전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으로 착신상태를 통보하는 제2과정으로 구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진동모드시, 상기 진동자의 회전방향과 상기 본체의 회전방향이 동일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방법.
KR1019980050792A 1998-11-25 1998-11-25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장치 및 그 방법 KR2000003377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792A KR20000033772A (ko) 1998-11-25 1998-11-25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장치 및 그 방법
US09/448,131 US6560467B1 (en) 1998-11-25 1999-11-24 Mobile phone provided with a device for notifying the user of the reception of a call signal and method theref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792A KR20000033772A (ko) 1998-11-25 1998-11-25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3772A true KR20000033772A (ko) 2000-06-15

Family

ID=195597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792A KR20000033772A (ko) 1998-11-25 1998-11-25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6560467B1 (ko)
KR (1) KR20000033772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970A (ko) * 2002-10-25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방법
KR100470210B1 (ko) * 2002-11-01 200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편평형 진동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057759A (ja) * 2000-08-09 2002-02-22 Nec Saitama Ltd 折り畳み可能な携帯電話
US7533342B1 (en) * 2000-09-29 2009-05-12 Palmsource, Inc. System and method of a personal computer device providing telephone capability
US7024228B2 (en) * 2001-04-12 2006-04-04 Nokia Corporation Movement and attitude controlled mobile station control
CN1668264A (zh) * 2002-07-15 2005-09-14 照井圣一 视力、头发回复装置及使用该装置的治疗方法
NL1024042C2 (nl) * 2003-08-04 2005-02-07 Global Design S A Ingebouwde elektromotor voor het roteren van een draagbaar communicatie instrument.
US20050036801A1 (en) * 2003-08-15 2005-02-17 Static Control Components Casing for an electronic circuit
US20050215295A1 (en) * 2004-03-29 2005-09-29 Arneson Theodore R Ambulatory handheld electronic device
DE102005049796B4 (de) * 2005-10-18 2011-06-16 Hewlett-Packard Development Co., L.P., Houston Mobiles Kommunikationsendgerät mit akustischer Bewegungssteuerung
US8823542B2 (en) * 2008-11-26 2014-09-02 Nokia Corporation Apparatus and methods relevant to electronic devices
TWM356326U (en) * 2008-12-26 2009-05-01 Inventec Appliances Corp Cellular phone
EP2760140A1 (en) * 2013-01-24 2014-07-30 Chia-Yen Lin Bouncing case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s and bouncing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104980578B (zh) * 2015-06-11 2018-01-23 广东欧珀移动通信有限公司 一种事件提醒方法及移动终端
US11232697B1 (en) * 2020-01-14 2022-01-25 Dave Ehnot Detection apparatus configured for use with a mobile device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668423A (en) * 1996-03-21 1997-09-16 You; Dong-Ok Exciter for generating vibration in a pager
US5787168A (en) * 1997-02-12 1998-07-28 Lien; Wan-Yin Mobile telephone fastening with vibration function
KR200153423Y1 (ko) * 1997-04-07 1999-08-02 이종배 핸드폰/무선호출기용 진동 및 호출음 발생장치
NO307679B1 (no) * 1998-07-03 2000-05-08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ved elektrisk apparat
GB2343536B (en) * 1998-11-06 2003-10-08 Nokia Mobile Phones Ltd Alerting apparatus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36970A (ko) * 2002-10-25 2004-05-04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진동모터 설치방법
KR100470210B1 (ko) * 2002-11-01 2005-02-05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통신 단말기의 편평형 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560467B1 (en) 2003-05-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33772A (ko) 휴대폰의 착신상태 통보장치 및 그 방법
EP0906790B1 (en) Vibration generator for reporting and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using the same
CN101741979B (zh) 便携电话装置
KR101139297B1 (ko) 블루투스 시계 및 그의 제어방법
CN108432217A (zh) 一种移动终端
EP1774671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of operation therefore
US6984903B2 (en) Vibrator and related apparatus for providing vibration in different directions
HK1053936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func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notifying method.
JP2951833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KR200225646Y1 (ko) 휴대 전화기용 착신 알림 장치
JP3281831B2 (ja) 携帯電話装置
JP3258925B2 (ja) 携帯電話装置
JPH09153930A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2007166002A (ja) 携帯電話機
JP2000324215A (ja) 移動体電話機
JPH0817503A (ja) 端子および充電器装置
JP2000107691A (ja) 振動手段を備えた装置
CA2723300A1 (en) Navigation tool including induction functionality
JP2008085610A (ja) 収納ケース
JP2000244612A (ja) 着信自動切換機能を備えた携帯型情報端末装置
WO1996028922A1 (en) Battery pack for portable radio-pagers or radio-telephones, in particular cellular telephones
JP2008301055A (ja) 携帯端末装置
KR20000046066A (ko) 착신상태 통보장치
JP3492579B2 (ja) 携帯端末機
JPH04281630A (ja) 携帯形無線機の感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121 Written withdrawal of request for tri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