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32804A - 헤모글로빈의 누출위험이 없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 - Google Patents

헤모글로빈의 누출위험이 없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32804A
KR20000032804A KR1019980049400A KR19980049400A KR20000032804A KR 20000032804 A KR20000032804 A KR 20000032804A KR 1019980049400 A KR1019980049400 A KR 1019980049400A KR 19980049400 A KR19980049400 A KR 19980049400A KR 20000032804 A KR20000032804 A KR 2000003280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emoglobin
peg
liposome
liposomes
b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94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9413B1 (ko
Inventor
노광
Original Assignee
노광
선바이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광, 선바이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노광
Priority to KR10199800494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9413B1/ko
Publication of KR200000328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328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94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94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10Dispersions; Emulsions
    • A61K9/127Liposo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16Peptides having more than 20 amino acids; Gastrins; Somatostatins; Melanotropins; Derivatives thereof
    • A61K38/41Porphyrin- or corrin-ring-containing peptides
    • A61K38/42Haemoglobins; Myoglob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5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 A61K47/51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 A61K47/56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 A61K47/59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 A61K47/6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e.g. polymer-drug conjugates the non-active ingredient being a modifying agent the modifying agent being an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e.g. an oligomeric, polymeric or dendrimeric molecule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polyureas or polyurethanes the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 being a polyoxyalkylene oligomer, polymer or dendrimer, e.g. PEG, PPG, PEO or polyglycero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astroenterology & Hepatology (AREA)
  • Immunology (AREA)
  • Proteomics, Peptides & Aminoacid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헤모글로빈의 누출 위험이 없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헤모글로빈의 크기를 증대시켜 리포좀막을 통한 헤모글로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하여 헤모글로빈이 장시간 리포좀의 내부에 안정적으로 존재하면서 헤모글로빈 누출의 위험이 없게 된 것이다.

Description

헤모글로빈의 누출위험이 없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Leak-proof hemoglobin liposome system)
본 발명은 헤모글로빈의 누출위험이 없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헤모글로빈의 크기를 증대시켜 리포좀막을 통한 헤모글로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헤모글로빈은 자연적인 산소운반체로서 인공혈액등의 임상 용도를 목적으로 개발함에 있어서 원료물질로 많이 이용되어 왔으나, 헤모글로빈 단백질 분자 그 자체로서는 안정성도 낮을 뿐만 아니라 체내 주사시 체내 잔류기간이 4시간 이하로서 임상효과가 있는 산소운반체 역할을 하지 못한다.
또한 짧은시간내에 물질이 체내에서 분해된다는 사실은 신장, 간 등의 여과기관에 대한 독성으로 나타나기 때문에 더욱 심각한 문제가 된다.
따라서 헤모글로빈을 더욱 인체친화적인 물질로 만들기 위한 조작법이 많이 연구되어 왔다. 이러한 방법중의 하나가 리포좀으로 헤모글로빈을 내포(encapsulation)시키는 방법으로서, 이러한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의 제조 방법은 흔히 유기용액상과 수용액상을 준비함으로서 시작된다. 유기용액상에는 리포좀의 구성물질이 되는 인지질, 즉 포스파티딜콜린, 포스파티딜에타놀아민, 포스파티딜세린, 포스파티딜이노시톨, 콜레스테롤, 토코페롤 등이 용해된다. 반면에 수용액상에는 헤모글로빈이 용해된다. 이 두 용액을 교반기가 설치된 반응기에 넣고 교반시키면 리포좀이 형성되고 자연스럽게 헤모글로빈 수용액은 리포좀 내부에 자리하게 되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구형상의 리포좀막(A)의 내부에 헤모글로빈 분자(B)가 위치하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을 구성하게 된다.
그런데, 이렇게 형성된 리포좀의 단점중의 하나는 리포좀의 특성인 막의 유동성으로 인하여 내포되어 있는 내부물질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서서히 누출되는 것으로, 이러한 누출의 정도는 리포좀막의 구성성분에 따라 조금씩 차이가 있을 수 있고, 또한 내부 물질의 크기에 따라 누출의 정도가 다를 수 있다[Brandl et al., Biochimica Biophysica Acta 1196:65-75(1994), Zheng et al., Biochimica Biophysica Acta 1196:123-130(1994)].
인지질이 구성성분으로 되어있는 리포좀의 성질상 리포좀은 유동적이며 유연한 행태를 나타낸다. 약물이나 화장품의 전달체계로 쓰이는 리포좀은 리포좀이 내포하고 있는 물질의 성질에 따라 그 물질의 리포좀 외부로의 누출이 일어날 수 있다. 이러한 누출은 그 전달물질의 분자량이 작을수록 그리고 친수성이 낮을수록 그 누출의 경향이 보다 두드러지는 현상을 보이기도 한다.
리포좀이 헤모글로빈을 내포하고 있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의 경우에도 헤모글로빈의 누출은 나타나고 있다. 이러한 누출은 제품의 저장기간을 단축시키는 단점뿐만이 아니라 일단 인체주사시 심한 부작용 및 알레르기 반응까지 일으킬 수 있다.
특히 헤모글로빈-리포좀이 인공혈액의 임상 목표로 사용될 경우에는 투여용량이 상대적으로 크기 때문에 상기의 단점을 보완할 필요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헤모글로빈의 크기를 증대시켜 리포좀막을 통한 헤모글로빈의 누출을 방지할 수 있게 된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내부에 헤모글로빈을 함유하는 리포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헤모글로빈은 헤모글로빈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 헤모글로빈 고분자는 헤모글로빈 분자 사이가 연결체로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으로, 이때 연결에 쓰이는 연결체는 헤모글로빈의 아민기와 반응할 수 있는 화학적 연결체(chemical crosslinker)이면 아무것이나 무방하나, 폴리에틸렌 글리콜(PEG) 고분자로서 양끝이 단백질등과 공유결합을 일으킬 수 있도록 활성화 된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조건을 만족하는 폴리에틸렌 글리콜 연결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비스 숙시니미딜 숙시네이트(PEG-bis-succinimidyl succinate), 폴리에틸렌 글리콜-비스 숙시니미딜 프로피오네이트(PEG-bis-succinimidyl propionate), 폴리에틸렌 글리콜-비스 숙시니미딜 카보네이트(PEG-bis-succinimidyl carbonate)등을 사용할 수 있는데, 여기에서 사용된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분자량이 100∼100,000인 것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은 분자량이 증대된 내부의 헤모글로빈 고분자가 리포좀막을 통해 빠져나갈 확률을 줄일 수 있으므로, 저장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고, 체내투여시 부작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의 구성도이다.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리포좀막 12 : 헤모글로빈 고분자
이하,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첨부된 도면과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상의 헤모글로빈 분자보다 분자량이 증대된 헤모글로빈 고분자를 리포좀에 내포시킨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으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형의 리포좀막(10)의 내부에 헤모글로빈 고분자(12)가 위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의 제조방법은, 연결체를 이용하여 헤모글로빈 분자들을 서로 엮어서 헤모글로빈 고분자(12)라는 큰 덩어리를 만들고, 이 헤모글로빈 고분자(12)를 리포좀막(10)에 내포시키는 것이다.
이와 같은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의 제조과정에 대한 실시예를 아래에 기재한다.
실시예 1.
헤모글로빈은 사람 또는 동물의 피를 분리하여 적혈구를 얻은 다음 저삼투압 팽창법(hypoosmotic swelling)이나 세포분해(cell lysis)를 통하여 헤모글로빈을 추출하고 그 이후 파이로젠이나 인지질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온교환 수지등을 통과시킨다. 헤모글로빈은 또한 유전자조작법을 이용한 박테리아에서 배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역시 세포분해를 통하여 헤모글로빈을 추출하고 불순물은 이온교환 수지등을 통하여 제거할 수 있다.
헤모글로빈 연결체로 사용할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유도체는 PEG-다이올(PEG-diol)을 원료로 이용하여 PEG-디숙시닐카르복실산(PEG-disuccinylcarboxylic acid)으로 변환하는 화학공정을 거친 다음 N-하이드록시 숙시니마이드(N-hydroxy succinimide)를 첨가하여 다음 화학식 1의 PEG-비스 숙시니미딜 숙시네이트(PEG-bis-succinimidyl succinate, 약칭 bSS-PEG)를 얻는다. 이때 PEG의 분자량은 100∼100,000 정도가 적당하다.
헤모글로빈의 고분자 반응을 위하여 상기 헤모글로빈을 50∼150mM NaCl, 30mM NaHCO3, 5mM Na-phosphate, pH 7.4∼8.6의 수용액에 용해시킨다. 이때 헤모글로빈의 농도는 1∼5g%(10∼50g/L)가 적당하다. 그리고 나서 상기 bSS-PEG를 첨가하고 활발하게 교반한다. 첨가하는 bSS-PEG 분말의 양은 헤모글로빈:bSS-PEG의 분자수비율(molar ratio)이 1:5∼1:20정도가 적당하며 pH는 처음 설정한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1N NaOH 방울을 떨어뜨려 조절한다. bSS-PEG의 첨가는 조금씩 10∼30분간 나누어 시행하며 한꺼번에 bSS-PEG의 첨가는 조금씩 10∼30분간 나누어 시행하며 한꺼번에 투입하지 않도록 유의한다. 이는 젤(gel)상태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반응을 30∼120분간 실온에서 실시하면 헤모글로빈 5∼10개 분자가 한덩어리로 뭉쳐진 하기 화학식 2와 같은 구조의 헤모글로빈 고분자가 생성된다. 그리고 반응종료시점에서 라이신(lysine)을 100mM정도 한꺼번에 첨가하여 미반응된 bSS-PEG의 반응성을 종식시킨다.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의 형성을 위하여 유기용액상과 수용액상을 따로 준비한다. 유기용액상에는 리포좀의 구성물질이 될 포스파티딜콜린(PC), 포스파티딜 에타놀아민(PE), 콜레스테롤, 토코페롤 등이 용해되어 있으며, 유기용매로는 메타놀, 에타놀,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된다. 이때 PC:PE:콜레스테롤의 무게비율은 1:0.1:1이 적당하지만, PC:PE=1:0.1∼0.5, PC:콜레스테롤=1:0.5∼1 정도일 수 있다. 토코페롤은 미량 첨가한다. 이때 PC, PE, 콜레스테롤의 총량은 10∼100㎎/㎖가 되도록 한다. 수용액상에는 헤모글로빈 고분자가 용해되어 있으며, 수용액은 110mM NaCl, 5mM Na-phosphate, 30mM NaHCO3, pH 7.4∼7.6으로 조절한다. 이렇게 마련된 유기용액상과 수용액상을 교반기가 설치된 반응기에 넣고 교반기를 500∼2000rpm으로 회전시키면 원하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이 형성된다. 이렇게 교반을 10∼100분 정도 진행시킨 다음 멈추고 다음으로서 리포좀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거친다. 생성된 리포좀의 크기는 10∼1000nm 지름으로 다양하게 형성되며 이상적인 크기는 100∼200nm 정도이다. 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교반된 용액을 200nm의 구멍(pore)크기를 가진 폴리카보네이트 필터를 여러차례 통과시킨다. 그 이후에는 로타리 이베포레이터 등을 사용하여 유기용매 및 수용액을 증발시키고 최종물질인 헤모글로빈-리포좀을 고체나 분말상태로 얻는다. 이는 사용하기 직전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수용액을 만들어 사용한다.
실시예 2
헤모글로빈은 사람 또는 동물의 피를 분리하여 적혈구를 얻은 다음 저삼투압 팽창법(hypoosmotic swelling)이나 세포분해(cell lysis)를 통하여 헤모글로빈을 추출하고 그 이후 파이로젠이나 인지질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온교환 수지등을 통과한다. 헤모글로빈은 또한 유전자조작법을 이용한 박테리아에서 배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역시 세포분해를 통하여 헤모글로빈을 추출하고 불순물은 이온교환 수지등을 통하여 제거한다.
헤모글로빈 연결체로 사용할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유도체는 PEG-다이올(PEG-diol)을 원료로 이용하여 PEG-디프로피오닐카복실 산(PEG-dipropionylcarboxylic acid)으로 변환하는 화학공정을 거친다음 N-하이드록시 숙시니마이드(N-hydroxy succinimide)를 첨가하여 다음 화학식 3의 PEG-비스 숙시니미딜 프로피오네이트(PEG-bis-succinimidyl propionate, 약칭 bSP-PEG)를 얻는다. 이때 PEG의 분자량은 100∼100,000 정도가 적당하다.
헤모글로빈의 고분자 반응을 위하여 상기의 헤모글로빈을 50∼150mM NaCl, 30mM NaHCO3, 5mM Na-phosphate, pH 7.4∼8.6의 수용액에 용해시킨다. 이때 헤모글로빈의 농도는 1∼5g%(10∼50g/L)가 적당하다. 그리고 나서 bSP-PEG를 첨가하고 활발하게 교반한다. 첨가하는 bSP-PEG 분말의 양은 헤모글로빈:bSP-PEG의 분자수비율(molar ratio)이 1:5∼1:20정도가 적당하며 pH는 처음 설정한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1N NaOH방울을 떨어뜨려 조절한다. bSP-PEG의 첨가는 조금씩 10∼30분간 나누어 시행하며 한꺼번에 투입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젤(gel)상태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반응을 30∼120분간 실온에서 실시하면 헤모글로빈 5∼10개 분자가 한덩어리로 뭉쳐진 하기 화학식 4와 같은 구조의 헤모글로빈 고분자가 생성된다. 그리고 반응종료시점에서 라이신(lysine)을 100mM정도 한꺼번에 첨가하여 미반응된 bSP-PEG의 반응성을 종식시킨다.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의 형성을 위하여 유기용액상과 수용액상을 따로 준비한다. 유기용액상에는 리포좀의 구성물질이 될 포스파티딜콜린(PC), 포스파티딜 에타놀아민(PE), 콜레스테롤, 토코페롤 등이 용해되어 있으며, 유기용매로는 메타놀, 에타놀,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된다. 이때 PC:PE:콜레스테롤의 무게비율은 1:0.1:1이 적당하지만, PC:PE=1:0.1∼0.5, PC:콜레스테롤=1:0.5∼1 정도일 수 있다. 토코페롤은 미량 첨가한다. 이때 PC, PE, 콜레스테롤의 총량은 10∼100㎎/㎖가 되도록 한다. 수용액상에는 헤모글로빈 고분자가 용해되어 있으며, 수용액은 110mM NaCl, 5mM Na-phosphate, 30mM NaHCO3, pH 7.4∼7.6으로 조절한다. 이렇게 마련된 유기용액상과 수용액상을 교반기가 설치된 반응기에 넣고 교반기를 500∼2000rpm으로 회전시키면 원하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이 형성된다. 이렇게 교반을 10∼100분 정도 진행시킨 다음 멈추고 다음으로서 리포좀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거친다. 생성된 리포좀의 크기는 10∼1000nm 지름으로 다양하게 형성되며 이상적인 크기는 100∼200nm 정도이다. 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교반된 용액을 200nm의 구멍(pore)크기를 가진 폴리카보네이트 필터를 여러차례 통과시틴다. 그 이후에는 로타리 이베포레이터 등을 사용하여 유기용매 및 수용액을 증발시키고 최종물질인 헤모글로빈-리포좀을 고체나 분말상태로 얻는다. 이는 사용하기 직전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수용액을 만들어 사용한다.
실시예 3
헤모글로빈은 사람 또는 동물의 피를 분리하여 적혈구를 얻은 다음 저삼투압 팽창법(hypoosmotic swelling)이나 세포분해(cell lysis)를 통하여 헤모글로빈을 추출하고 그 이후 파이로젠이나 인지질 같은 불순물을 제거하기 위하여 이온교환 수지등을 통과한다. 헤모글로빈은 또한 유전자조작법을 이용한 박테리아에서 배양할 수도 있으며 이때 역시 세포분해를 통하여 헤모글로빈을 추출하고 불순물은 이온교환 수지등을 통하여 제거한다.
헤모글로빈 연결체로 사용할 폴리에틸렌 글리콜(PEG)유도체는 PEG-다이올(PEG-diol)을 원료로 이용하여 PEG-디카보닐카복실 산(PEG-dicarbonylcarboxylic acid)으로 변환하는 화학공정을 거친다음 N-하이드록시 숙시니마이드(N-hydroxy succinimide)를 첨가하여 다음 화학식 5의 PEG-비스 숙시니미딜 카보네이트(PEG-bis-succinimidyl carbonate, 약칭 bSC-PEG)를 얻는다. 이때 PEG의 분자량은 100∼100,000 정도가 적당하다.
헤모글로빈의 고분자 반응을 위하여 상기의 헤모글로빈을 50∼150mM NaCl, 30mM NaHCO3, 5mM Na-phosphate, pH 7.4∼8.6의 수용액에 용해시킨다. 이때 헤모글로빈의 농도는 1∼5g%(10∼50g/L)가 적당하다. 그리고 나서 bSC-PEG를 첨가하고 활발하게 교반한다. 첨가하는 bSC-PEG 분말의 양은 헤모글로빈:bSC-PEG의 분자수비율(molar ratio)이 1:5∼1:20정도가 적당하며 pH는 처음 설정한대로 유지하기 위하여 1N NaOH방울을 떨어뜨려 조절한다. bSC-PEG의 첨가는 조금씩 10∼30분간 나누어 시행하며 한꺼번에 투입하지 않도록 한다. 이는 젤(gel)상태로 변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이렇게 하여 반응을 30∼120분간 실온에서 실시하면 헤모글로빈 5∼10개 분자가 한덩어리로 뭉쳐진 하기 화학식 6과 같은 구조의 헤모글로빈 고분자가 생성된다. 그리고 반응종료시점에서 라이신(lysine)을 100mM정도 한꺼번에 첨가하여 미반응된 bSC-PEG의 반응성을 종식시킨다.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의 형성을 위하여 유기용액상과 수용액상을 따로 준비한다. 유기용액상에는 리포좀의 구성물질이 될 포스파티딜콜린(PC), 포스파티딜 에타놀아민(PE), 콜레스테롤, 토코페롤 등이 용해되어 있으며, 유기용매로는 메타놀, 에타놀, 메틸렌 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된다. 이때 PC:PE:콜레스테롤의 무게비율은 1:0.1:1이 적당하지만, PC:PE=1:0.1∼0.5, PC:콜레스테롤=1:0.5∼1 정도일 수 있다. 토코페롤은 미량 첨가한다. 이때 PC, PE, 콜레스테롤의 총량은 10∼100㎎/㎖가 되도록 한다. 수용액상에는 헤모글로빈 고분자가 용해되어 있으며, 수용액은 110mM NaCl, 5mM Na-phosphate, 30mM NaHCO3, pH 7.4∼7.6으로 조절한다. 이렇게 마련된 유기용액상과 수용액상을 교반기가 설치된 반응기에 넣고 교반기를 500∼2000rpm으로 회전시키면 원하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이 형성된다. 이렇게 교반을 10∼100분 정도 진행시킨 다음 멈추고 다음으로서 리포좀의 크기를 조절하는 단계를 거친다. 생성된 리포좀의 크기는 10∼1000nm 지름으로 다양하게 형성되며 이상적인 크기는 100∼200nm 정도이다. 이 크기를 조절하기 위하여 교반된 용액을 200nm의 구멍(pore)크기를 가진 폴리카보네이트 필터를 여러차례 통과시틴다. 그 이후에는 로타리 이베포레이터 등을 사용하여 유기용매 및 수용액을 증발시키고 최종물질인 헤모글로빈-리포좀을 고체나 분말상태로 얻는다. 이는 사용하기 직전 생리식염수를 첨가하여 수용액을 만들어 사용한다.
실시예 4
헤모글로빈의 리포좀 밖으로의 누출을 조사하기 위하여 다음의 시험을 실시하였다.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을 아래의 표와 같이 다양하게 제조하고 각 시스템을 동일하게 110mM NaCl, 5mM Na-phosphate, 30mM NaHCO3, pH7.6 수용액에 용해한 다음 냉장(4℃) 및 실온( 20℃)에서 저장하고 시간에 따라 헤모글로빈 누출의 정도를 측정하였다. 누출의 정도는 각 시스템에서 1㎖정도 소량 샘플을 채취하여 원심분리기를 사용하여 리포좀과 수용액을 분리한다. 이때 이 수용액상에 헤모글로빈이 얼마나 존재하는가가 헤모글로빈 누출 정도의 척도가 된다. 하기 표 1과 표 2에서는 누출의 정도를 총 헤모글로빈의 양의 비례로 표시하였다. 시스템 1은 상기 실시예 1에서 기술한 바와 같이 bSS-PEG로 연결된 헤모글로빈 고분자를 내포하고 있는 리포좀 시스템이고, 시스템 2는 상기 실시예 2의 bSP-PEG로 연결된 헤모글로빈 고분자를 내포하고 있는 리포좀 시스템이며, 시스템 3은 상기 실시예 3의 bSC-PEG로 연결된 헤모글로빈 고분자를 내포하고 있는 리포좀 시스템이다. 시스템 4는 비교를 위하여 고분화하지 않은 종래의 헤모글로빈 분자를 내포하고 있는 리포좀 시스템이다.
실온저장시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의 헤모글로빈 누출 정도(%)
구 분 시간별 헤모글로빈 누출정도(%)
0시간 24 48 72 120 240
시스템 1(bSS-PEG-헤모글로빈-리포좀) 5.2 7.2 10.5 14.2 17.7 21.3
시스템 2(bSP-PEG-헤모글로빈-리포좀) 7.1 6.7 9.8 11.4 15.2 18.4
시스템 3(bSC-PEG-헤모글로빈-리포좀) 3.6 9.1 9.8 12.5 13.8 19.2
시스템 4(헤모글로빈-리포좀) 5.5 15.2 26.4 35.1 48.3 54.7
냉장온도 저장시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의 헤모글로빈 누출 정도(%)
구 분 시간별 헤모글로빈 누출정도(%)
0시간 24 48 72 120 240
시스템 1(bSS-PEG-헤모글로빈-리포좀) 4.7 5.0 5.2 6.7 8.3 12.7
시스템 2(bSP-PEG-헤모글로빈-리포좀) 6.8 7.3 7.6 8.1 8.9 10.2
시스템 3(bSC-PEG-헤모글로빈-리포좀) 4.1 4.7 5.3 7.3 9.7 11.1
시스템 4(헤모글로빈-리포좀) 6.1 10.5 15.3 23.7 36.6 45.2
상기 표 1과 표 2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시스템 1, 2, 3은 시스템 4 보다 헤모글로빈 누출의 정도가 대폭 감소하였다. 시스템 4의 경우 실온에서 240시간 경과시 54.7%의 누출률을 보였으나 시스템 1, 2, 3은 18.4∼21.3% 정도의 감소된 누출률을 나타내었다. 냉장온도에서는 실온에 비해서 누출의 정도가 더욱 감소되었으며 시스템 1, 2, 3의 경우 240시간 경과후 누출률은 10.2∼12.7%에 불과하였다. 이로서 고분자화된 헤모글로빈을 리포좀에 내포시킨 경우 고분자화되지 않은 종래의 헤모글로빈을 리포좀에 내포시킨 경우와 비교할때 헤모글로빈의 누출률 감소가 입증되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을 이용한 산소운반체를 개발함에 있어 종래의 헤모글로빈 분자를 그대로 이용하는 대신 헤모글로빈을 PEG유도체와 반응시켜 헤모글로빈 고분자를 만든다음, 이 헤모글로빈 고분자를 리포좀에 내포시킴으로서 형성되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은 헤모글로빈 고분자의 크기가 종래의 헤모글로빈 분자보다 10∼100배 정도 커진 효과로 헤모글로빈이 리포좀 밖으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하며, 그 결과 저장시 제품의 안정성을 높이고, 체내투여시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장점을 가진다.

Claims (6)

  1. 내부에 헤모글로빈을 함유하는 리포좀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헤모글로빈은 헤모글로빈 고분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헤모글로빈 고분자는 헤모글로빈 분자 사이가 연결체로서 연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비스 숙시니미딜 숙시네이트(PEG-bis-succinimidyl succin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비스 숙시니미딜 프로피오네이트(PEG-bis-succinimidyl propion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
  5.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체는 폴리에틸렌 글리콜-비스 숙시니미딜 카보네이트(PEG-bis-succinimidyl carbonate)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
  6. 제 3, 4, 5 항중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에틸렌 글리콜은 분자량이 100∼100,0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헤모글로빈-리포좀 시스템.
KR1019980049400A 1998-11-18 1998-11-18 헤모글로빈의누출위험이없는헤모글로빈-리포좀시스템 KR1002994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400A KR100299413B1 (ko) 1998-11-18 1998-11-18 헤모글로빈의누출위험이없는헤모글로빈-리포좀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9400A KR100299413B1 (ko) 1998-11-18 1998-11-18 헤모글로빈의누출위험이없는헤모글로빈-리포좀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32804A true KR20000032804A (ko) 2000-06-15
KR100299413B1 KR100299413B1 (ko) 2001-11-22

Family

ID=19558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9400A KR100299413B1 (ko) 1998-11-18 1998-11-18 헤모글로빈의누출위험이없는헤모글로빈-리포좀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9413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9413B1 (ko) 2001-11-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75310A (en) Liposome composition as gas transport agents
US4301144A (en) Blood substitute containing modified hemoglobin
JP3571335B2 (ja) リポゾームマイクロレシーバー組成物および方法
CN1665488B (zh) 一种直接的细胞能量递送系统
ES2275712T3 (es) Portadores de oxigeno artificiales de hemoglobina humana o porcina reticulada modificada, procedimientos para su preparacion a partir de material modificado y su uso.
WO1984004248A1 (en) Modified crosslinked stroma-free tetrameric hemoglobin
JPH0365326B2 (ko)
CA2050679C (en) Preparation of liposome and lipid complex compositions
CA2458474C (en) Zwitterionic lipid compound and uses thereof
CN101874781B (zh) 疏水改性葡聚糖修饰的长循环脂质体及其制备方法
CN103040910B (zh) 一种鹿瓜多肽脂质体注射剂
JP2008507580A (ja) 反応性酸素種およびカルボニル種を阻害し得る組成物
ES2395894T3 (es) Hemoglobinas de mamífero compatibles con plasma sanguíneo, reticuladas y conjugadas con poli(óxidos de alquileno) como portadores de oxígeno médicos artificiales, su preparación y su uso
KR100299413B1 (ko) 헤모글로빈의누출위험이없는헤모글로빈-리포좀시스템
DE69026513T2 (de) Polyhämoglobin durch purinderivate und glutathion stabilisiert
CN108517003A (zh) 成胶因子、水凝胶以及药物组合物
CN114748416A (zh) 一种肝素类药物口服制剂及其制备方法
CN110954514B (zh) 适用于研究脂质体体内外分布的荧光示踪系统和方法
JP3085963B2 (ja) 人工血液
CA1337517C (en) Use of dextrin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acidic conditions
CN109364256B (zh) 一种琼脂糖胶束药物载体
CN110522723A (zh) 一种盐酸二甲双胍经皮给药制剂及其制备方法
US20030152551A1 (en) 2-Methyl-3-butenyl-1-pyrophosphoric acid salt and agent for treating lymphocytes
KR102709709B1 (ko) 주사 가능한 포도당 산화 효소 고정화 젤라틴 하이드로겔의 종양 재발 억제 용도
CN108503687A (zh) 成胶因子的制备方法和水凝胶的制备方法以及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03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60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608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608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