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925A - 상호교차된타이방사를구비한제지벨트 - Google Patents

상호교차된타이방사를구비한제지벨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925A
KR20000029925A KR1019997001138A KR19997001138A KR20000029925A KR 20000029925 A KR20000029925 A KR 20000029925A KR 1019997001138 A KR1019997001138 A KR 1019997001138A KR 19997001138 A KR19997001138 A KR 19997001138A KR 20000029925 A KR20000029925 A KR 2000002992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inning
tie
top layer
yarns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11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보틸리어글렌데이비드
Original Assignee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데이비드 엠 모이어, 더 프록터 앤드 갬블 캄파니 filed Critical 데이비드 엠 모이어
Publication of KR2000002992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925A/ko

Link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36Multi-layer screen-cloths
    • D21F1/0045Triple layer fabric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21F1/0036Multi-layer screen-cloth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298Noncircular aperture [e.g., slit, diamond, rectangular, etc.]
    • Y10T428/24306Diamond or hexago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428/00Stock material or miscellaneous articles
    • Y10T428/24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 Y10T428/24273Structurally defined web or sheet [e.g., overall dimension, etc.] including aperture
    • Y10T428/24322Composite web or sheet

Landscapes

  • Paper (AREA)
  • Woven Fabric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Package Frames And Binding Ba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제지 벨트는 인터위브된 상부층 방사의 상부(웨브를 향한)층과, 인터위브된 하부층 방사의 하부(장치를 향한)층과, 다수의 타이 방사를 포함한다. 상부층 방사는 다수의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를 갖는 위브내에 인터위브된 다수의 상부층 이송 방사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층 이송 방사는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에 직교한다. 하부층 방사는 다수의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를 갖는 위브내에 인터위브된 다수의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층 이송 방사는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와 직교한다. 상부층 및 하부층은 다수의 타이 방사에 의해 평행한 접촉 관계로 함께 결합되며, 상기 다수의 타이 방사는 상부 이송 방사의 일반적 방향을 가지며 반복 패턴으로 상기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 위와 상기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 아래를 통과한다. 각각의 타이 방사가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중 적어도 하나 위와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중 적어도 하나 아래를 통과함에 따라, 각각의 타이 방사는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의 방향으로 하나의 상부층 이송 방사 주위에서 상호 교차하여, 각각의 타이 방사가 교차되는 중심이 되는 상부층 이송 방사 아래를 이격된 간격으로 완전히 통과하는 파형선을 형성한다.

Description

상호 교차된 타이 방사를 구비한 제지 벨트{PAPERMAKING BELT HAVING BILATERALLY ALTERNATING TIE YARNS}
종이 제품은 다양한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종이 타월, 안면 티슈, 화장실용 휴지 등은 현대의 산업화된 사회에서 끊임없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한 종이 제품의 큰 수요로 인해 개선된 형식의 제품에 대한 수요가 발생되어 왔다.
일반적으로, 제지 공정은 여러 단계를 포함한다. 포드리니어 와이어(Fourdrinier wire)와 같은 유공성 부재상의 미형성 웨브내로 또는 초기의 탈수 및 파이버 재배치가 발생되는 2중 와이어 제지기내로 제지 파이버의 수성 분산이 형성된다.
공기중 건조에 있어서, 초기 탈수 후에, 미형성 웨브는 공기 투과성 편향 부재를 포함하는 공기중 건조 벨트(through-air-drying belt)로 운반된다. 편향 부재는 차압상태에서 공기가 흐를 수도 있는 다수의 편향 도관을 갖는 패턴화된 수지 틀(resinous framework)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 수지 틀은 직조된 보강 구조체에 결합되고 그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된다. 미형성 웨브내의 제지 파이버는 편향 도관내로 편향되고, 편향 도관을 통해 물이 제거되어 중간 웨브를 형성한다. 이러한 중간 웨브는 그 다음 전술한 종래의 제지방법과 유사하게 최종 건조 단에서 건조된다. 최종 건조 단에서, 수지 틀과 일치된 웨브의 부분은 프린팅되어 다영역 구조체를 형성하게 될 수도 있다.
공기중 건조 종이 웨브는 1985년 4월 30일자 존슨(Johnson)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14,345 호와; 1985년 7월 9일자 트로칸(Trokhan)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28,239 호와; 1985년 7월 16일자 트로칸에 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529,480 호와; 1987년 1월 20일자 트로칸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4,637,859 호와; 1994년 8월 2일자 트로칸 등에게 허여된 미국 특허 제 5,334,289 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제조된다. 상기 특허들은 패턴화된 수지 틀 및 보강 구조체 형식의 공기중 건조 벨트의 바람직한 구조를 도시하기 위한 목적으로 본원에 참고로 인용된다. 그러한 벨트는 동일 양수인에 의해 제조 및 판매되는 Bounty 종이 타월 및 Charmin Ultra 화장실용 화장지와 같은 상업적으로 성공적인 제품의 제조에 사용되어 왔다.
공기중 건조 벨트의 직조된 보강 구조체는 수지 틀을 안정화시키고 강화시키며, 제지 벨트의 투과성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보강 구조체는 제지 공정에서 사용되는 진공 탈수장치가 중간 웨브로부터 그의 탈수 기능을 적절히 수행하는 것을 허용하고 또 물이 제지 벨트를 통해 웨브로부터 제거되는 것을 허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 적절히 돌출된 개방 영역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보강 구조체는 공기 및 물과 같은 유체 투과성이 높아야 한다.
동시에, 보강 구조체는 섬유소 파이버를 지지하는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여, 섬유 파이버들이 서로간에 완전히 분리되지 않도록 하거나 또는 진공 압력을 가함에 따라 제지 벨트를 통해 일소되지 않도록 한다. 이러한 현상은 종이 웨브에 핀크기의 구멍 또는 핀홀을 발생시킨다. 다량의 핀홀은 종이 웨브의 품질을 저하시키고 또 종이 제품의 소비자 인지도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칠 수도 있다. 따라서, 보강 구조체에 의해 제공되는 파이버 지지의 양은 매우 중요하다.
일반적으로, 제지 벨트의 공기 투과성과 파이버 지지 사이에는 트레이드 오프(trade-off)가 존재한다. 이러한 트레이드 오프는 제지 벨트를 통해 웨브로부터 물을 제거하기 위한 적절한 개방 영역을 가져야 하는 공기중 건조 벨트에서 특히 민감하다. 벨트의 돌출된 개방 영역을 감소시키는 것에 의해서 벨트의 파이버 지지를 개선시키면, 벨트의 공기 투과성이 감소되거나 또는 그반대로 벨트의 돌출된 개방 영역을 증가시키는 것에 의해서 벨트의 공기 투과성을 개선시키면, 벨트의 파이버 지지가 감소된다. 제지 벨트의 공기 투과성과 파이버 지지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의 부정적 결과를 완화시키기 위해서, 종래의 공기중 건조 벨트는 미세한 그물 보강 요소를 포함하였다. 그러한 미세한 그물 보강 요소는 허용가능한 파이버 지지를 제공하기는 하지만, 필요한 솔기 강도(seam strength) 및 제지작업에서 직면하는 고온에 대한 저항을 제공하지 않으므로, 대체로 비실용적이었다.
새로운 세대의 공기중 건조 제지 벨트는 이러한 관심사를 겨냥하였다. 이러한 벨트에 있어서, 이중층 보강 구조체는 벨트의 솔기 강도와 내구성을 상당히 개선시켰다. 일부 이중층 보강 구조체에 있어서, 단일 교차 가공방향의 방사 시스템(yarn system)은 2개의 가공방향 방사층을 함께 결합하여, 그 결과 수직 적층된 가공 방향 방사를 갖는다.
3층 벨트를 사용하면 보강 구조체의 파이버 지지가 추가로 개선된다. 3층 벨트는 완전히 독립적으로 직조된 2개의 층과, 상부층과, 하부층을 포함하며, 각각의 상부층 및 하부층은 자체의 교차 가공 방향의 방사에 의해 인터위브된 그 자체의 가공 방향 방사를 구비한다. 2개의 독립된 직조 요소는 타이 방사와 함께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3층 벨트의 상부 또는 웨브에 면한 층은 하부 또는 장치에 면한 층보다 미세한 메쉬를 갖는다. 이러한 미세 메쉬는 양호한 파이버 지지를 제공하며, 핀홀의 양을 최소화시킨다. 하부층은 거친 방사를 이용하여 강성을 증가시키고 솔기 강도를 증가시킨다.
3층 벨트에 있어서, 타이 방사는 그의 고유 구조체의 일부로서 두개 층내에 존재하지 않고 2개의 독립층을 함께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기에 특히 적합할 수도 있다. 변형예로, 타이 방사는 보강 구조체의 상부 및/또는 하부층을 형성하는 일체형 방사일 수도 있다. 양자의 경우에 있어서, 타이 방사는 가공방향 또는 가공방향에 교차하는 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가공 방향의 타이 방사는 솔기 강도의 증가를 제공한다는 점에서 바람직하다.
1991년 10월 3일자 라이트(Wright)에게 허여되고 아스텐 그룹 인코포레이티드(Asten Group Inc.)에게 양도된 유럽 특허 WO 91/14813 호에는 하측 가공 기계측면층보다 2배 더 많은 교차 가공 방향 방사를 포함하는 상측 종이 운반층을 구비한 2층 형성 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가공 방향 방사의 시스템은 섬유의 하측면상에 지그재그 효과가 생성되어 개선된 배수를 제공하도록 선택된 패턴으로 인터위브(interweave)된다.
1995년 10월 3일자 하웨스(Hawes)에게 허여되고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Albany International Corp.)에게 양도된 미국 특허 제 5,454,405 호에는 쌍으로 된 제 1 및 제 2 랩 방사(wrap yarn)로 인터위브된 상부 위사 방사(weft yarn)의 시스템과 하부 위사 방사의 시스템을 구비한 3층 제지 섬유가 개시되어 있다. 제 2 랩 방사는 섬유의 신장 강도를 증가시키는 비교적 적은 주름을 갖는다.
2층 및 3층의 보강 구조체를 사용하면 벨트의 파이버 지지와 공기 투과성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를 균형맞추는데 도움이 되기는 하지만, 이러한 2층 및 3층 구조의 사용만으로는 이러한 고유한 상호연결된 특성을 분리시킬 수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벨트의 공기 투과성과 파이버 지지 사이의 트레이드 오프의 부정적 결과를 실질적으로 감소시키는 개선된 제지 벨트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일정한 파이버 지지에서 벨트의 이용가능한 공기 투과성을 증가시키거나 또는 일정한 공기 투과성에서 벨트의 이용가능한 파이버 지지를 증가시키는 것이다.
발명의 요약
본 발명의 제지 벨트는 3개의 주 요소, 즉 인터위브된 상부층 방사의 상부층과, 인터위브된 하부층 방사의 하부층과, 다수의 타이 방사로 구성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제지 벨트는 웨브에 면한 측면과 이 웨브에 면한 측면에 대향된 기계에 면한 측면을 구비한 평탄하게 직조된 무한 벨트이다.
본 발명의 제지 벨트는 또한 제지 벨트에 접합되고 또 상부층의 웨브에 면한 측면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제지 벨트의 웨브 접촉면을 형성하는 수지 틀을 구비할 수도 있다.
상부층 방사는 다수의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cross-carrier yarn)를 갖는 위브내에 인터위브된 다수의 상부층 이송 방사를 포함한다. 상부 이송 방사는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상부층 이송 방사가 가공 방향으로 배향된다. 변형예로, 다수의 상부 캐리어 방사가 교차 가공방향으로 배향될 수도 있다.
하부층 방사는 다수의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를 갖는 위브(weave)내에 인터위브된 다수의 하부층 이송 방사를 포함한다. 하부층 이송 방사는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하부 이송층이 가공방향으로 배향된다.
상부층 및 하부층은 다수의 상부층 이송 방사와 동일한 일반적인 방향을 갖는 다수의 타이 방사에 의해 실질적으로 평행하고 또 조화되는 방식으로 함께 결합된다. 타이 방사는 부속 타이 방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 부속 타이 방사는 상부층 또는 하부층의 위브에서는 고유하지 않으며, 상부층 및 하부층을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변형예로, 타이 방사는 일체형 타이 방사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러한 일체형 타이 방사는 상부층 및/또는 하부층의 위브에 존재한다. 일체형 타이 방사는 상부의 일체형 타이 방사와 하부의 일체형 타이 방사일 수도 있다. 타이 방사는 상부층의 교차 이송 방사 위와 하부층의 교차 이송 방사 아래를 교차 패턴으로 통과하여, 각각의 다수의 타이 방사가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중 적어도 하나 위와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중 적어도 하나 아래를 이격된 간격으로 통과하도록 한다.
타이 방사가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위와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 아래를 통과함에 따라, 각각의 타이 방사는 상부층 이송 방사중 적어도 하나 및/또는 하부층 이송 방사중 적어도 하나 주위에서 상호 교차된다. 각각의 타이 방사는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의 방향으로 교차된다. 이러한 상호 교차의 결과로서, 각각의 타이 방사는 상부층 이송 방사중 적어도 하나 아래를 완전히 통과하는 파형부를 형성하며, 이러한 타이 방사가 파형부 둘레에서 각각의 타이 방사의 상호 교차의 2개의 인접 최대치 사이의 이격된 간격으로 교차된다.
본 발명은 강하고 유연한 흡수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제지장치에 유용한 제지 벨트에 관한 것으로, 특히 2개의 층으로 이루어진 제지 벨트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부속 타이 방사와 틀을 구비한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평면도로서, 명확함을 위해 부분 절단하여 도시하고 하부층은 도시하지 않음,
도 1a는 도 1과 유사하지만 도 1에 도시된 벨트보다 더 상호 교차의 최대의 균질 분배를 갖는 벨트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선 2-2를 따라 절단한 수직 단면도로서, 상부층 이송 방사와 하부층 이송 방사 아래를 완전히 통과하는 파형선을 형성하는 틀과 부속 타이 방사의 요소를 도시하는 도면,
도 3은 도 1의 선 3-3을 따라 절단한 수직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수직 단면도로서, 상부층 이송 방사의 아래만을 완전히 통과하는 파형선을 형성하는 부속 타이 방사를 도시하는 도면,
도 5는 상부층 이송 방사보다 적은 하부층 이송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수직 단면도,
도 6은 하부의 일체형 타이 방사를 도시하는 본 발명에 따른 벨트의 수직 단면도,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도면에 직교하는 수직 단면도로서, 상부층 이송 방사와 하부층 이송 방사 아래를 완전히 통과하는 파형선을 형성하는 부속 타이 방사를 도시하는 도면,
도 8은 도 3에 도시된 도면과 유사한 수직 단면도로서, 상부층 이송 방사의 하부를 완전히 통과하고 상부층과 인터위브된 타이층의 "위에 하나/밑에 일곱"의 반복 패턴을 형성하는 도면,
도 9는 도 8에 도시된 도면과 유사한 수직 단면도로서, 하부의 일체형 타이 방사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0은 도 8에 도시된 도면과 유사한 수직 단면도로서, 상부층과 인터위브된 타이층의 "위에 하나/밑에 넷"의 반복 패턴을 형성하는 하부의 일체형 타이 패턴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1은 도 10에 도시된 도면과 유사한 수직 단면도로서, 상부층과 인터위브된 타이층의 "위에 하나/밑에 셋"의 반복 패턴을 형성하는 하부의 일체형 타이 방사의 또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는 도면,
도 12a는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를 구비한 벨트의 개략적 단면도,
도 12b는 도 12a와 유사한 도면으로,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를 구비한 벨트의 다른 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도 13은 비 교차형 타이 방사를 도시하는, 종래 기술의 제지 벨트의 평면도.
도 1 내지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지 벨트(10)는 섬유 파이버의 웨브를 성형 와이어로부터 양키 건조 드럼(Yankee drying drum)(도시 않됨)과 같은 전형적인 가열 드럼인 건조장치로 운반하는 평탄하게 직조된 무한 벨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지 벨트(1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무한 벨트의 형태로 되어 있기는 하지만, 그것은 다른 형태, 예를 들면 핸드시트의 제조에 사용되는 제정 플레이트(statutory plate) 또는 다른 유형의 연속 또는 일괄 공정으로 사용하기 위한 회전 드럼을 포함하는 다수의 다른 형태로 통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지 벨트(10)는 인터위브된 상부층 방사(100)의 상부층(12)과, 인터위브된 하부층 방사(200)의 하부층(20)과, 다수의 타이 방사(300)로 된 3개의 주 요소를 포함한다. 상부층(12)은 웨브에 면한 층이고, 하부층(20)은 벨트(10)의 기계에 면한 층이다. 하기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상부층 방사(100)", "하부층 방사(200)", "타이 방사(300)"의 용어 및 참조번호는 상이한 유형의 상부층 방사, 하부층 방사, 타이 방사를 각각 포함하고 지정하는 일반적 용어 및 참조번호이다.
도 1 내지 도3을 참조하면, 상부층(12)은 웨브에 면한 측면(14)을 구비하며, 하부층(20)은 기계에 면한 측면(24)을 구비한다. 벨트(10)는 이 벨트(10)에 결합되고 또 상부층(12)의 웨브에 면한 측면(14)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어 웨브 접촉면(44)을 형성하는 틀(40)을 포함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틀(40)은 감광성 수지로부터 상부층(12)상에 주조된다.
감광성 수지로 제조되는 경우에, 틀(40)은 벨트(10)의 구조체를 관통하고 또 불투명 섹션 및 투명 섹션을 구비한 이중 마스크를 통해 액체 수지에 화학 방사선을 비추는 것에 의해 임의의 소망 패턴으로 경화된다. 다양한 적절한 수지를 틀(40)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전술한 미국 특허 제 4,529,480 호와; 미국 특허 제 4,514,345 호와; 미국 특허 제 4,528,349 호와; 미국 특허 제 5,334,289 호에는 틀(40)에 대해 보다 상세히 개시하고 있다.
제지 벨트(10)의 상부층 방사(100)는 다수의 상부 교차 이송 방사(120)를 갖는 위브내에 인터위브된 다수의 상부층 이송 방사(110)로 구성된다. 상부층 이송 방사(110)는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도 1은 상부층 방사(100)의 바람직한 위에 하나/밑에 하나(one-over/one-under)의 정방형 위브를 도시하지만, 다른 위브를 이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하여야 한다. 적절한 위브 패턴은 완전 능직(twill), 파단 능직, 반 능직 및 멀티 셰드 수자(multi-shed satins)를 포함하지만, 여기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부층 방사(100)와 유사하게, 하부층 방사(200)는 다수의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220)를 갖는 위브내에 인터위브된 다수의 하부층 이송 방사(210)로 이루어지며, 하부층 이송 방사(210)는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220)에 실질적으로 직교한다. 바람직하게는, 필수적인 것은 아니지만, 하부층(200)은 솔기 강도를 최대화하기 위해서 정방형 위브를 갖는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상부층 방사(100)는 상부층 이송 방사(110)와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를 포함하는 총칭이다. 마찬가지로, 하부층 방사(200)는 하부층 이송 방사(210)와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220)를 포함하는 총칭이다.
상부층 이송 방사(110)와 하부층 이송 방사(210)는 가공 방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변형예로, 상부층 이송 방사(110)와 하부층 이송 방사(210)가 가공방향을 가질 수도 있다. 당업자가 인정하게될 바와 같이, "가공방향(machine direction)"이라는 용어는 제지 장치를 통과하는 종이 웨브의 주요 흐름에 평행한 방향을 의미한다. 이송 방사(110, 210)의 가공 방향은 벨트(10)의 솔기 강도를 최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가공 방향으로 배열된 이송 방사(110, 210)를 갖는 장치를 이용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층(12) 및 하부층(20)은 다수의 타이 층(300)에 의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결합 관계로 함께 결합된다. 바람직하게는, 상부층(12) 및 하부층(20)은 접촉 관계로 함께 결합된다. 소망하는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부층 이송 방사(110)는 하나의 하부층 이송 방사(210)와 수직 정렬상태로 적층되고;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는 하나의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220)와 수직 정렬 상태로 적층된다. 수직 정렬상태의 실시예가 바람직하기는 하지만, 필수적인 것은 아니다. 예를 들면, 이송 방사(110, 210) 만이 수직 정렬되어 적층될 수도 있는 반면, 교차 이송 방사(120, 220)는 적층되지 않거나 또는 그 반대가 될 수도 있다. 또한, 상부층(12) 및 하부층(20)은 이송 방사(110, 210)의 방향으로 또는 교차 이송 방사(120, 220)의 방향으로 수직 정렬상태로부터 서로에 대해 약간 변위될 수도 있다. 상부층(12)은 충분한 파이버 지지를 제공하기 위해 하부층 방사(200)보다 더 조밀하게 이격된 상부층 방사(100)를 구비할 수도 있다. 도 9는 모든 제 2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가 하나의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220)를 구비하며 그것과 수직 정렬되도록 적층되는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1a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방사(300)는 상부층 이송 방사(110)와 동일한 일반적인 방향을 갖는다. 설명을 위해서, 타이 방사(300)는 도 1 내지 도 11과 도 13에 진하게 표시하였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방사(300)는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의 일부 위를 반복 패턴으로 통과한다. 이러한 반복 패턴은 각각의 타이 방사(300)가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중 적어도 하나의 위와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220)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로 이격된 간격으로 통과함에 따라 다수의 타이 방사(300)에 의해 형성된다.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는 명확함을 위해 도 1에 도시하지 않았다.) 상부층(12)과 관련하여, 도 1 및 도 1a에 도시된 이격된 간격은 8개의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를 포함한다. 다시 말하면, 개별 타이 방사(300)가 관련된 한, 도 1 및 도 1a에 도시된 반복 패턴은 하나의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위를 통과하고, 7개의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 아래를 통과하고, 하나의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 위를 통과한 후 다시 7개의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 아래를 통과하는 등의(즉, "위에 하나/밑에 일곱" 패턴) 개별 타이 방사(300)에 의해서 형성된다. 도 3에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방사(300)가 7개의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 아래를 통과할 경우, 타이 방사(300)는 또한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220)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를 통과함으로써, 상부층(12)과 하부층(20)을 함께 결합시킨다.
당업자라면 상부층(12)을 갖는 타이 방사(300)의 위브의 "위에 하나/밑에 일곱"패턴이 본 발명의 벨트(10)의 하나의 바람직한 실시예이지만 필요한 것은 아니라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예를 들면, 도 10은 상부층(12)을 갖는 타이 방사(300)의 위브의 "위에 하나/밑에 4개"의 패턴을 도시하며; 도 11은 "위에 하나/밑에 세개"의 패턴을 도시한다. 도 1 내지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는 제한의 목적이 아닌 설명의 목적만으로 나타낸 것이다.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벨트(10)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무한 벨트의 형태로 되어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위에(over)", "상부에(above)", "밑에(under)", "하부에(underneath)"는 상대적인 용어이며, 그것의 설명적 의미는 도 2 내지 도 11에 단면도로 도시된 바와 같은 벨트(10)의 "상부층(12)" 및 "하부층(20)"이라는 용어의 설명적 의미와 일치하고 제지장치상의 정상 및 통상 위치에 사용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각각의 타이 방사(300)가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중 적어도 하나 위를 통과하거나 또는 직조함에 따라, 각 타이 방사(300)는 상부층 이송 방사(110)중 적어도 하나 주위에서 상호 교차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타이 방사(300)는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의 방향으로 하나의 대응 상부층 이송 방사(110) 둘레에 상호 교차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타이 방사(300)가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 위를 통과하는 지점에서, 타이 방사(300)는 상호 교차부의 최대부에 접근한다. 여기서 "상호 교차의 최대부(maximum of bilateral alternation)"라는 용어는 벨트(10)의 평면에서 측정할 때 대응 이송 방사(110)의 종축으로부터 타이 방사(300)의 최대 편차를 의미한다. "대응" 이송 방사(또는 단순히 대응 방사)는 타이 방사(300)가 벨트(10)의 평면에서 교차되는 중심이 되는 이송 방사이다. 대응 방사가 상부층(12)과 하부층(20)의 위브의 고유 요소이거나 또는 상부층(12) 및 하부층(20) 양자가 될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상호 교차의 결과로서, 각 타이 방사(300)는 이러한 타이 방사(300)의 상호 교차의 2개의 인접 최대부 사이의 이격된 간격으로 상부층 이송 방사(110)의 완전 하부를 통과하는 파형 선을 형성한다. 타이 방사(300)가 상부층 이송 방사(120) 위를 통과하는 경우, 타이 방사(300)는 상부층 이송 방사(110) 위로 연장되지 않으므로 벨트(10)의 웨브에 면한 측면(14)의 바람직한 평탄한 직조 특성을 방해하지 않는다는 것을 주목하여야 한다.
도 1 및 도 1a는 타이 방사(300)의 상호 교차의 최대부의 분배에 대한 2가지 상이한 전체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상호 교차의 최대부의 집중 영역을 갖는 전체 패턴(도 1의 가공방향에 대해 비스듬하게 형성됨)을 나타내고 있다. 도 1a는 도 1에 도시된 패턴보다 집중도가 낮은 상호 교차부의 최대부를 갖는 전체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1a의 전체 패턴은 타이 방사(300)의 상호 교차부의 최대 지점에 또 그 주위에 형성된 맞물림 영역의 보다 균일한 동질성의 분배를 제공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1a에 도시된 전체 패턴은 제한의 목적이 아닌 설명의 목적으로 나타낸 것이다. 당업자는 타이 방사(300)의 상호 교차의 최대 분배의 다른 전체 패턴을 이용하여 벨트(11)를 거쳐 방사(300)의 상호 교차의 최대의 균일한 분배를 제공할 수 있다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면, 불균일한 전체 패턴(도시 않됨)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이 패턴에서 상호 교차의 최대부는 비반복적이거나 균일하고 무질서한 방식으로 분배된다.
바람직하게는, 모든 타이 방사(300)는 그 방사(300)가 상호 교차의 최대부에 접근하는 지점에서 그의 대응 이송 방사(110)와 직접 접촉한다. 따라서, 타이 방사(300)가 가공 방향으로 예비신장되는 경우에도, 대응 이송 방사(110)는 타이 방사(300)를 완전한 직선으로 신장시키지 않으며 또 상호 방사의 2개의 인접한 최대부 사이에서 이송 방사(110)에 평행하도록 하지도 않는다. 본 발명의 특정 위브는 파형선을 형성하는 타이 방사(300)로 귀결된다. 따라서, 파형선으로부터 타이 방사(300)를 제조하기 위한 타이 방사(300)의 특수한 예비 처리(예를 들면, 화학적 처리 또는 열경화)가 필요치 않다.
이러한 타이 방사(300)는 상호 교차의 2개의 인접 최대부 사이에서 그들의 대응하는 상부층 이송 방사(110)에 평행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지만, 타이 방사(300)는 앞서 설명하고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부층 이송 방사(110)와 동일한 일반적인 방향을 갖는다는 점을 주목하여야 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 "일반적인 방향(general direction)"은 상호 교차의 일련의 적어도 4개의 연속 최대부를 통해 존재하는 타이 방사(300)의 방향을 나타낸다.
하부층(20)과 관련하여, 도 3, 도 7, 도 8, 도 9, 도 10, 도 11은 본 발명의 벨트(10)의 상이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첫째, 타이 방사(300)는 부속 타이 방사(330)를 포함할 수도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야 한다. 변형예로, 타이 방사(300)는 일체형 타이 방사(350)를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타이 방사(300)는 상부층(12) 또는 하부층(20)중 하나에 대해 선택된 위브에서 고유한 것이지 않다면, 이 타이 방사(300)는 "부속 타이 방사"인 것으로 간주한다. 다시 말하면, 상부층(12) 및 하부층(20)은 부속 타이 층(330)의 존재에 관계없이 상부층 방사(100) 및 인터위브된 하부층 방사(200)의 독립 구조체로서 각각 존재한다. 부속 타이 방사(330)는 상부층(12)과 하부층(20)을 함께 연결하기 위한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이러한 상부층(12) 및 하부층(20)의 통상의 위브를 한층 분할할 수도 있다. 바람직하게는, 부속 타이 방사(330)는 상부층 방사(100) 및 하부층 방사(200)보다 단면적이 작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바와 같이, 타이 방사(300)는 상부층(12), 하부층(20) 또는 상부층(12)과 하부층(20) 양자의 위브의 고유 요소라면 "일체형 타이 방사"(350)인 것으로 간주한다. 일체형 타이 방사(350)는 그것이 하부층(20)의 위브의 고유 요소로서 상부 교차 이송 방사(120) 위를 가끔씩만 통과한다면 "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이다. 일체형 타이 방사(300)는 그것이 상부층(12)의 위브의 고유 요소로서 하부 교차 이송 방사(220)의 아래를 가끔씩만 통과한다면 "상부 일체형 타이 방사"이다. 도 8 및 도 9는 바람직한 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52)를 갖는 본 발명의 벨트(10)의 2가지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두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층(20)은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220)와 인터위브된 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50)로 이루어진다.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두 실시예에 있어서, 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50)는 또한 하부층 이송 방사(210)로서 기능하며, 또 실제로 하부층 이송 방사이다.
당업자는 상부 일체형 타이 방사(350)를 갖는 벨트(10)에 있어서, 상부층(12)은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와 인터위브된 상부 일체형 타이 방사(350)로 이루어진다는 것을 이해하게 될 것이다. 이 경우에, 상부 일체형 타이 방사(350)는 또한 상부층 이송 방사(120)로서 기능한다. 후자의 실시예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도 8 및 도 9를 뒤집는 것에 의해 용이하게 상상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각각의 상부 일체형 타이 방사(350)가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220)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 또는 위를 통과함에 따라, 각각의 상부 일체형 타이 방사(350)가 하부층 이송 방사(210)중 적어도 하나 주위에서 상호 교차된다. 이러한 상호 교체의 결과, 각 상부 일체형 타이 방사(350)는 상부 일체형 타이 방사(350)의 상호 교체의 2개의 인접 최대부 사이에 이격된 간격을 두고 하부층 이송 방사(110) 위 또는 아래를 완전히 통과하는 파형 선을 형성한다.
당업자는 벨트(10)의 상부층(12) 및 하부층(20)과 인터위브된 타이 방사(300)의 다양한 가능한 패턴을 이용할 수도 있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이러한 패턴중 일부는 도 3, 도 7, 도 8, 도 9,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되어 있다. 도 3 및 도 7은 부속 타이 방사(330)를 갖는 벨트(10)를 나타내지만, 도 8 내지 도 11은 일체형 타이 방사(350)를 갖는 벨트(10)를 타나낸다. 도 3은 부속 타이 바(330)를 포함하는 벨트(10)의 통상의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벨트에 있어서, 부속 타이 바(330)는 앞서 언급한 "위에 하나/밑에 일곱" 패턴에 따라 상부층(12)과 인터위브된다. 부속 타이 방사(330)는 "위에 일곱/밑에 하나" 의 유사 패턴에 따라 하부층(20)과 인터위브된다. 부속 타이 방사(330)가 아래로 통과하면서 7개의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 아래로 연장된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220)는 부속 타이층(330)이 위로 통과하는 2개의 인접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120) 사이에 배열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부속 타이 방사(330)의 길이중 대부분은 상부층(12)과 하부층(20) 사이에 배열된다.
상부/하부층 대 부속/일체형 타이 방사와 전술한 사항의 치환의 다양한 조합을 가정하면, 본 발명의 벨트(10)의 다른 실시예를 생각할 수 있다. 전술한 조합은 본 발명을 앞서 설명하고 도시한 것에만 한정하려는 의도는 아닌다.
예를 들면, 도 12a 및 도 12b는 타이 방사(300)가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90)를 포함하는 벨트(10)의 두 실시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90)라는 용어가 암시하는 것은 상부층(12)과 하부층(20)의 위브의 고유 요소이다. 이 경우에 있어서, 다수의 상부층 이송 방사(110)와 다수의 하부층 이송 방사(210)는 다수의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90)를 포함한다. 이송 방사(110, 210)가 가공 방향으로 배향되면,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90)는 도 12a 및 도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공 방향의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90)이다. 마찬가지로, 이송 방사(110, 210)가 교차 가공 방향으로 배향되면,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90)는 교차 가공 방향의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90)이다(도시 않됨).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층(12) 및 하부층(20)은 가공 방향의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90)에 의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접촉 관계에 있다. 이러한 가공 방향의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90)는 교차 가공 방향의 상부층 방사(10)의 일부 위와 교차 가공 방향의 하부층 방사(220)의 일부 아래를 이격 간격을 두고 반복 패턴으로 통과하여 각각의 가공 방향의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90)가 교차 가공 방향의 상부층 방사(120)중 적어도 하나 위와 교차 가공 방향의 하부층 방사(220)중 적어도 하나 아래를 통과하며, 각각의 가공 방향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90)가 적어도 하나의 (대응)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110) 주위와 적어도 하나의 (대응)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 주위에서 가공 방향으로 상호 교차되도록 한다. [방사(110, 120)는 명확함을 위해 도 12a 및 도 12b에 도시하지 않았다.] 이러한 상호 교차의 결과, 각각의 가공 방향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90)는 파형선을 형성하며, 이 파형선은 일반적 가공 방향을 가지고 또 각각의 가공 방향 타이/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390)의 상호 교차의 2개의 인접 최대부 사이에 이격 간격을 두고 대응 가공 방향의 상부층 방사(110) 아래를 완전히 통과하고 또 대응 가공 방향의 하부층 방사(210) 위를 완전히 통과한다.
특히, 공기중 건조의 경우에 있어서, 본 발명의 벨트(10)가 벨트(10)의 평면에 직교하는 충분한 공기 흐름을 허용한다는 것이 중요하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의 벨트(10)[그위에 수지 틀(40)을 구비하지 않음]의 투과율은 100 파스칼의 압력차에서 그의 표면의 평방 피트당 분당 500표준 입방 피트(cfm : cubic feet per minute)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벨트(10)[그위에 수지 틀(40)을 구비하지 않음]는 100 파스칼에서 800 cfm 이상의 공기 투과율을 갖는다.
이론적으로 제한하려는 의도는 아니지만, 상호 교차 타이 방사를 구비한 본 발명의 벨트(10)는 비 교차형 타이 벨트를 구비한 유사한 벨트와 비교하여 증가된 공기 투과성을 제공하는 것으로 생각된다. 도 13은 비교차형 타이 방사(800)를 갖는 종래 기술의 벨트(700)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 기술의 비교차형 타이 방사(800)는 상호 수직 혼합 방사(100, 200) 사이의 벨트 돌출 개방 영역을 상당히 감소시킨다. 본 발명에 있어서, 타이 방사(300)는 그의 상호 교차에 의해서 벨트(10)의 개방 영역의 감소를 최소화시키므로 벨트(10)를 통한 공기 흐름의 방해를 최소화한다.
2개의 2층 벨트는, 첫째 교차 타이 방사를 구비한 본 발명의 벨트(10)와, 둘째 비교차형 타이 방사를 구비한 종래 기술의 벨트(700)를 비교한다. 양 벨트(10, 700)는 다음의 특성을 갖는다.
상부층 이송 방사의 직경은 0.15mm이다.
상부층 이송 방사의 수는 인치당 45개이다.
상부 교차 이송 방사의 직경은 0.15mm이다.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의 수는 인치당 48개이다.
하부층 이송 방사(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의 직경은 0.15mm이다.
하부층 이송 방사(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의 수는 인치당 45개이다.
하부층 교차 캐리어 방사의 직경은 0.20mm이다.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의 수는 인치당 24개이다.
두 벨트(10, 700)는 상부 및 하부층의 위에 하나/밑에 하나의 고유 위브와, 앞서 설명한 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의 "위에 하나/밑에 일곱" 위브를 갖는다. 두 벨트(10, 700)는 도 1 및 도 13에 각각 도시된 바와 같이 타이 방사가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 위를 통과하는 위치[본 발명의 벨트(10)의 경우에 있어서, 이 위치는 타이 방사의 상호 교차의 최대부를 포함한다.]의 유사한 전체 패턴을 갖는다.
두 벨트에 동일 파이버와 위브 패턴을 사용하는 것으로 인해, 두 벨트가 대략 동일한 파이버 지지체를 갖는 것으로 추측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제 1 벨트(10)에 교차형 타이 방사를 사용하면, 종래 기술의 비 교차형 타이 방사를 구비한 제 2 벨트(700)의 돌출 개방 영역에 비해서, 돌출 개방 영역을 적어도 약 15% 증가시킬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된다.
동시에, 본 발명에 따른 교차형 타이 방사(300)를 사용하면, 필요한 파이버 지지가 제공된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파이버 지지(fiber support)" 및 특히 그것의 물리적 특성 "파이버 지지 지수"는 본원에 참고로 인용되는 로버트 엘 베란(Robert L. Beran)의 1979년 4월 제 62 권 제 4 번 "The Evaluation and Selection of Forming Fabrics"에 규정되어 있다. 하기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지 벨트의 공기 투과성과 파이버 지지 사이에 트레이드 오프가 존재한다. 따라서, 벨트(10, 700)가 동일한 공기 투과율(또는 동일한 돌출 개방 영역)을 기초로 비교되도록 예비적으로 재직조된다면, 본 발명의 벨트(10)에 교차형 방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해 동일한 돌출 개방 영역 주위에 비 교차형 타이 방사를 구비한 종래 기술의 벨트(700)에 비해서 파이버 지지 지수가 약 20% 이상 증가된다.
방사(100, 200, 300)는 원형, 타원형, 장방형 및 기타 다각형을 포함하지만 그것에 제한되지는 않는 다양한 단면 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상부층 방사(100) 및 하부층 방사(200)는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한 직경의 원으로 성형된 단면적을 가질 수도 있는 반면, 타이 방사(300)는 평탄하게 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나, 하부 방사(200)의 단면적은 상부 방사(100)의 단면적보다 클 수도 있다. 상부 방사(100)의 단면적은 타이 방사(300)의 단면적보다 클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제지 벨트의 방사(100, 200, 300)는 광범위한 합성 수지로 제조될 수도 있다. 공기중 건조에 사용될 경우에 벨트(10)의 방사(100, 200, 300)의 바람직한 재료는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이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도 1 내지 도 12를 모노필라멘트 방사(monofilament yarn)의 견지에서 제시하였으나, 당업자는 방사(100, 200, 300)가 멀티필라멘트 방사 및 적층된 모노필라멘트 방사를 포함한다는 것을 인정할 것이다.

Claims (10)

  1. 인터위브된 상부층 방사(yarn)의 상부층과 인터위브된 하부층 방사의 하부층을 포함하는 제지 벨트[가장 광범위하게는 이송/교차 이송 방사]로서, 상기 상부층 방사는 다수의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cross-carrier yarn)를 갖는 위브(weave)내에 인터위브된 다수의 상부층 이송 방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층 이송 방사는 상기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하부층 방사는 다수의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를 갖는 위브내에 인터위브(interweave)된 다수의 하부층 이송 방사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층 이송 방사는 상기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은 상기 상부층 이송 방사 및 상기 하부층 이송 방사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일반적 방향을 갖는 다수의 타이 방사(tie yarn)에 의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결합 관계로 함께 결합되고, 상기 타이 방사는 상기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 위와 상기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 아래를 통과하는, 상기 제지 벨트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타이 방사가 상기 상부층 교차 이송 방사중 적어도 하나의 위와 상기 하부층 교차 이송 방사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를 통과할 때, 상기 각각의 타이 방사가 상기 상부층 이송 방사중 적어도 하나 또는 상기 하부층 이송 방사중 적어도 하나 주위에서 상기 교차 이송 방사의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여, 각각의 상기 타이 방사가 상기 타이 방사의 상호 교차부의 2개의 인접한 최대부 사이에 이격된 간격을 두고 상기 상부층 이송 방사중 상기 적어도 하나 밑을 완전히 통과하거나 또는 상기 하부층 이송 방사중 상기 적어도 하나 위를 완전히 통과하는 파형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 벨트.
  2. 인터위브된 상부층 방사의 상부층과 인터위브된 하부층 방사의 하부층을 포함하는 제지 벨트[MD 부속(독립) 타이 방사]로서, 상기 상부층 방사는 다수의 교차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를 갖는 위브내에 인터위브된 다수의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는 상기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하부층 방사는 다수의 교차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를 갖는 위브내에 인터위브된 다수의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는 상기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은 상기 교차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 위와 상기 교차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 아래를 이격된 간격의 반복 패턴으로 통과하는 다수의 가공 방향 타이 방사에 의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결합 관계로 함께 결합되는, 상기 제지 벨트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공 방향 타이 방사가 상기 교차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중 적어도 하나의 위와 상기 교차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중 적어도 하나의 아래를 통과할 때, 상기 각각의 가공 방향 타이 방사가 상기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중 적어도 하나와 상기 가공 방향 하부층 이송 방사중 적어도 하나 주위에서 상기 교차 가공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여, 각각의 상기 가공 방향 타이 방사가 상기 각각의 가공 방향 타이 방사의 상호 교차부의 2개의 인접한 최대부 사이에 이격된 간격을 두고 상기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중 상기 적어도 하나 밑을 완전히 통과하는 파형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 벨트.
  3. 인터위브된 상부층 방사의 상부층과 인터위브된 하부층 방사의 하부층을 포함하는 제지 벨트[MD 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로서, 상기 상부층 방사는 다수의 교차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를 갖는 위브내에 인터위브된 다수의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는 상기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하부층 방사는 다수의 교차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를 갖는 위브내에 인터위브된 다수의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는 상기 가공 방향 타이 방사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은 이격된 간격의 반복 패턴으로 상기 교차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 위를 통과하는 다수의 가공 방향 타이 방사에 의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결합 관계로 함께 결합되는, 상기 제지 벨트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가공 방향 타이 방사가 상기 교차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중 적어도 하나의 위를 통과할 때, 상기 각각의 가공 방향 타이 방사가 대응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 주위에서 교차 가공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여, 각각의 상기 가공 방향 타이 방사가 상기 가공 방향 타이 방사의 상호 교차부의 2개의 인접한 최대부 사이에 이격된 간격을 두고 상기 대응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 아래를 완전히 통과하는 파형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 벨트.
  4. 인터위브된 상부층 방사의 상부층과 인터위브된 하부층 방사의 하부층을 포함하는 제지 벨트[MD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로서, 상기 상부층 방사는 다수의 교차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를 갖는 위브내에 인터위브된 다수의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는 상기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하부층 방사는 다수의 교차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를 갖는 위브내에 인터위브된 다수의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를 포함하고, 상기 교차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는 상기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에 실질적으로 직교하며, 상기 다수의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와 상기 다수의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는 다수의 가공 방향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를 포함하고, 상기 상부층 및 상기 하부층은 이격된 간격의 반복 패턴으로 상기 상부층 방사 위와 상기 하부층 방사 아래를 통과하는 상기 다수의 가공 방향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에 의해 실질적으로 평행한 결합 관계로 함께 결합되는, 상기 제지 벨트에 있어서,
    상기 각각 다수의 가공 방향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가 상기 교차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중 적어도 하나의 위 또는 상기 교차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중 적어도 하나 아래를 통과할 때, 상기 각각의 가공 방향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가 대응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 또는 대응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 주위에서 교차 가공 방향으로 상호 교차하여, 각각의 상기 가공 방향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가 상기 가공 방향 상부/하부 일체형 타이 방사의 상호 교차부의 2개의 인접한 최대부 사이에 이격된 간격을 두고 상기 대응 가공 방향 상부층 방사 아래를 완전히 통과하거나 또는 상기 대응 가공 방향 하부층 방사 위를 완전히 통과하는 파형선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 벨트.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타이 방사는 부속 타이 방사를 포함하는
    제지 벨트.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타이 방사는 일체형 타이 방사를 포함하는
    제지 벨트.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타이 방사는 상기 하부층 방사를 포함하는
    제지 벨트.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타이 방사는 상기 상부층 방사를 포함하는
    제지 벨트.
  9. 제 1 항 내지 제 8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 방사의 단면적은 상기 상부층 방사의 단면적 보다 크지 않은
    제지 벨트.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벨트에 접합되고 또 상기 상부층의 웨브에 면한 측면으로부터 외향으로 연장되어 웨브 접촉면을 형성하는 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틀은 바람직하게는 감광성 수지를 포함하는
    제지 벨트.
KR1019997001138A 1996-08-14 1997-07-30 상호교차된타이방사를구비한제지벨트 KR2000002992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696,712 1996-08-14
US08/696,712 US5954097A (en) 1996-08-14 1996-08-14 Papermaking fabric having bilaterally alternating tie yarn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925A true KR20000029925A (ko) 2000-05-25

Family

ID=247982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1138A KR20000029925A (ko) 1996-08-14 1997-07-30 상호교차된타이방사를구비한제지벨트

Country Status (19)

Country Link
US (1) US5954097A (ko)
EP (2) EP1253240B1 (ko)
JP (1) JP3242117B2 (ko)
KR (1) KR20000029925A (ko)
AR (1) AR009076A1 (ko)
AT (2) ATE259905T1 (ko)
AU (1) AU726026B2 (ko)
BR (1) BR9711158A (ko)
CA (1) CA2263168C (ko)
CO (1) CO4870797A1 (ko)
DE (2) DE69727715T2 (ko)
HU (1) HUP0000047A3 (ko)
ID (1) ID17870A (ko)
IL (1) IL128436A0 (ko)
NO (1) NO990691L (ko)
PE (1) PE100698A1 (ko)
TR (1) TR199900299T2 (ko)
WO (1) WO1998006895A1 (ko)
ZA (1) ZA977261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37182B4 (de) * 1998-08-17 2007-01-25 Stahlecker, Fritz Transportband zum Transportieren eines zu verdichtenden Faserverbandes
US6576091B1 (en) 2000-10-24 2003-06-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layer deflection member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6420100B1 (en) 2000-10-24 2002-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rocess for making deflection member using three-dimensional mask
US6576090B1 (en) 2000-10-24 2003-06-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flection member having suspended portions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6743571B1 (en) 2000-10-24 2004-06-0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ask for differential curing and process for making same
US6660129B1 (en) * 2000-10-24 2003-12-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ibrous structure having increased surface area
US6378566B1 (en) 2001-02-16 2002-04-30 Albany International Corp. Enhancements for seams in on-machine-seamable papermaker's fabrics
US6787000B2 (en) 2001-11-02 2004-09-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bric comprising nonwoven elements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by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and method thereof
US6821385B2 (en) 2001-11-02 2004-11-23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by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using fabrics comprising nonwoven elements
US6749719B2 (en) 2001-11-02 2004-06-15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of manufacture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by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US6790314B2 (en) 2001-11-02 2004-09-14 Kimberly-Clark Worldwide, Inc. Fabric for use in the manufacture of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regions bordered by curvilinear decorative elements and method thereof
US6746570B2 (en) 2001-11-02 2004-06-08 Kimberly-Clark Worldwide, Inc. Absorbent tissue products having visually discernable background texture
US6827821B2 (en) * 2002-12-02 2004-12-07 Voith Fabrics Heidenheim Gmbh & Co. Kg High permeability, multi-layer woven members employing machine direction binder yarns for use in papermaking machine
US8911850B2 (en) * 2005-06-08 2014-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morphous patterns comprising elongate protrusions for use with web materials
US7694433B2 (en) 2005-06-08 2010-04-13 The Procter & Gamble Company Web handling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viding steam to a web material
US7374639B2 (en) * 2005-06-08 2008-05-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permaking belt
US7914649B2 (en) * 2006-10-31 2011-03-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permaking belt for making multi-elevation paper structures
US7799411B2 (en) * 2006-10-31 2010-09-2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paper product having non-embossed surface features
DE102008053254A1 (de) 2008-10-25 2010-04-29 Ab Solut Chemie Gmbh Verfahren zum substratschonenden Entfernen von Hartstoffschichten
USD636608S1 (en) 2009-11-09 2011-04-2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per product
CN109208389B (zh) 2013-11-14 2021-03-12 Gpcp知识产权控股有限责任公司 确定织物特征的工艺
EP3023084B1 (en) 2014-11-18 2020-06-17 The Procter and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 and distribution material
US10517775B2 (en) 2014-11-18 2019-12-3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distribution materials
US10765570B2 (en) 2014-11-18 2020-09-08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articles having distribution materials
US11000428B2 (en) 2016-03-11 2021-05-11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hree-dimensional substrate comprising a tissue laye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79214C (ko) *
US4528239A (en) * 1983-08-23 1985-07-0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Deflection member
US4514345A (en) * 1983-08-23 1985-04-3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ethod of making a foraminous member
US4637859A (en) * 1983-08-23 1987-01-2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issue paper
US4529480A (en) * 1983-08-23 1985-07-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Tissue paper
DE3705345A1 (de) * 1987-02-19 1988-09-01 Oberdorfer Fa F Verbundgewebe als bespannung fuer den blattbildungsteil einer papiermaschine
JP2558155B2 (ja) * 1988-08-31 1996-11-27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製紙面に補助緯糸の水平面を形成した製紙用一重織物
JP2558154B2 (ja) * 1988-08-31 1996-11-27 日本フイルコン株式会社 製紙面の凹所に補助緯糸を配置した製紙用一重織物
FI81624C (fi) * 1988-12-08 1990-11-12 Tamfelt Oy Ab Pappersmaskinduk.
US5052448A (en) * 1989-02-10 1991-10-01 Huyck Corporation Self stitching multilayer papermaking fabric
US5025839A (en) * 1990-03-29 1991-06-25 Asten Group, Inc. Two-ply papermakers forming fabric with zig-zagging MD yarns
CA2083600C (en) * 1990-06-29 1996-11-12 Paul Dennis Trokhan Papermaking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ing differential light transmission techniques
US5279771A (en) * 1990-11-05 1994-01-18 Ekc Technology, Inc. Stripping compositions comprising hydroxylamine and alkanolamine
US5102725A (en) * 1991-04-01 1992-04-07 Jps Converter And Industrial Fabric Corp. Dual layer composite fabric
JPH0592341A (ja) * 1991-09-27 1993-04-16 Isao Shoda スピンドルの回転警告装置
SE469432B (sv) * 1991-11-22 1993-07-05 Nordiskafilt Ab Vaevd beklaednad foer pappersmaskiner och liknande
US5496624A (en) * 1994-06-02 1996-03-0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le layer papermaking belt providing improved fiber support for cellulosic fibrous structures, and cellulosic fibrous structures produced thereby
US5500277A (en) * 1994-06-02 1996-03-1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Multiple layer, multiple opacity backside textured belt
US5454405A (en) * 1994-06-02 1995-10-03 Albany International Corp. Triple layer papermaking fabric including top and bottom weft yarns interwoven with a warp yarn system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922133A1 (en) 1999-06-16
DE69727944T2 (de) 2005-02-03
EP1253240B1 (en) 2004-02-18
JP2000500829A (ja) 2000-01-25
DE69727944D1 (de) 2004-04-08
AR009076A1 (es) 2000-03-08
IL128436A0 (en) 2000-01-31
CA2263168A1 (en) 1998-02-19
DE69727715D1 (de) 2004-03-25
ID17870A (id) 1998-02-05
US5954097A (en) 1999-09-21
TR199900299T2 (xx) 1999-05-21
NO990691L (no) 1999-04-09
AU3982397A (en) 1998-03-06
EP0922133B1 (en) 2004-03-03
EP1253240A2 (en) 2002-10-30
ZA977261B (en) 1998-02-20
ATE261015T1 (de) 2004-03-15
DE69727715T2 (de) 2005-01-13
JP3242117B2 (ja) 2001-12-25
BR9711158A (pt) 1999-08-17
ATE259905T1 (de) 2004-03-15
CA2263168C (en) 2005-10-25
NO990691D0 (no) 1999-02-12
PE100698A1 (es) 1999-01-06
CO4870797A1 (es) 1999-12-27
AU726026B2 (en) 2000-10-26
HUP0000047A3 (en) 2001-04-28
HUP0000047A2 (hu) 2000-05-28
EP1253240A3 (en) 2002-12-04
WO1998006895A1 (en) 1998-0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00029925A (ko) 상호교차된타이방사를구비한제지벨트
CN1849423B (zh) 具有由至少两种顶层纬纱之间的平面差异限定的囊袋区域的多层造纸织物
AU700550B2 (en) Multiple layer papermaking belt providing improved fiber support for cellulosic fibrous structures, and cellulosic fibrous structures produced thereby
US6237644B1 (en) Tissue forming fabrics
AU705815B2 (en) Papermaking fabric, process for producing high bulk products and the products produced thereby
KR101320851B1 (ko) 통기 건조 직물
AU702946B2 (en) Multiple layer, multiple opacity backside textured belt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US20080245498A1 (en) Papermaking belt for making multi-elevation paper structures
KR101539659B1 (ko) 통기 건조직물
AU740001B2 (en) Multiple layer foraminous belts with fugitive tie yarns
KR20050086505A (ko) 상부층의 쌍을 이루는 웨프트 및 여분의 중간층 웨프트를갖는 성형용 직물
KR20050086504A (ko) 3개의 수직 적층형 웨프트 및 쌍을 이루는 성형 웨프트를갖는 직물
KR20010012683A (ko) 제지 벨트 및 그 제조 방법과, 셀룰로오스 섬유 웹 및 그제조 방법과, 종이 웹
MXPA99001508A (en) Papermaking belt having bilaterally alternating tie yarns
CZ45999A3 (cs) Pás na výrobu papíru
MXPA00002798A (en) Multiple layer foraminous belts with fugitive tie yarn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