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39659B1 - 통기 건조직물 - Google Patents

통기 건조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39659B1
KR101539659B1 KR1020097022234A KR20097022234A KR101539659B1 KR 101539659 B1 KR101539659 B1 KR 101539659B1 KR 1020097022234 A KR1020097022234 A KR 1020097022234A KR 20097022234 A KR20097022234 A KR 20097022234A KR 101539659 B1 KR101539659 B1 KR 10153965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abric
warp
yarns
knuckle
knuck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970222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00015862A (ko
Inventor
린 에프 크롤
존 제이. 라폰드
Original Assignee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알바니 인터내셔널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000158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000158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396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3965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03D13/00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with weave pattern being non-standard or providing special effe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1/00Wet end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1/0027Screen-cloth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5/00Dryer section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5/18Drying webs by hot air
    • D21F5/182Drying webs by hot air through perforated cylinders
    • DTEXTILES; PAPER
    • D21PAPER-MAKING; PRODUCTION OF CELLULOSE
    • D21FPAPER-MAKING MACHINES; METHODS OF PRODUCING PAPER THEREON
    • D21F7/00Other details of machines for making continuous webs of paper
    • D21F7/08F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Paper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제지기에서 화장지 및 관련 제품들을 제조하기 위한 통기(through-air-drying ;TAD) 직물로서, 직물의 종이쪽 면에 날실과 씨실 너클들을 생성하도록, 바람직하게는 엘(L)자 형상의 너클 패턴을 형성하도록 다수의 씨실들과 섞어짜여진 다수의 날실들을 포함한다.
통기, 직물, 날실, 씨실, 너클, 제지기, 화장지

Description

통기 건조직물{Through air drying fabric}
본 발명은 제지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벌크 티슈(bulk tissue)와 타월 그리고 비직조성 물품과 부직포의 제조에 사용되는 통기 건조 직물(through-air-drying; TAD)에 관한 것이다.
고급 화장지, 화장실용 휴지 및 종이 타월과 같이 부드럽고 흡수성이 있는 1회용 종이제품들은 현대 산업사회에서 동시대 삶의 특징이다. 그러한 제품들의 제조를 위한 다수의 방법들이 존재하는데, 일반적으로 그 제품들의 제조는 제지기의 성형 구간에서 셀룰로오스 섬유상 웹의 형성으로부터 시작한다. 셀룰로오스 섬유질의 웹(cellulosic fibrous web)은 제지기의 성형 구간에서 이동하는 성형 직물 위로 섬유질의 슬러리, 즉 셀룰로오스 섬유들의 수성 분산액을 증착시킴으로써 형성된다. 성형 직물을 통과하는 슬러리로부터 많은 양의 물이 배수되며, 성형 직물의 표면 상에는 셀룰로오스 섬유질의 웹이 남겨진다.
그러면, 셀룰로오스 섬유상 웹은, 웹을 편향시키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TAD(Through-Air-Drying) 직물이나 벨트의 지형에 순응하게 강제하는 진공이나 흡기에 의해서 통기건조(TAD) 직물이나 벨트로 운반된다. 운반지점의 하류에서, TAD 직물이나 벨트 상에서 운반되는 웹은 통기건조기를 통과하는데, 여기에서 가열된 공기의 흐름은 웹에 마주하여 이동하면서 TAD 직물이나 벨트를 통과하고, 이에 의해서 웹을 원하는 정도로 건조시킨다. 끝으로, 통기건조기의 하류에서, 웹은 보다 완벽한 건조를 위해 양키 건조기(Yankee dryer)의 표면에 고정되어 TAD 직물이나 벨트의 표면에 의해서 그 위에서 찍힌다. 완전히 건조된 웹은 웹을 단축하거나 잔주름지게 하여 부피를 증가시키는 독터 블레이드(doctor blade)에 의해서 양키 건조기의 표면으로부터 제거된다. 그러면, 단축된 웹은, 소비자에게 운반하여 소비자가 구입하기에 적합한 형태로 포장하는 단계를 포함한 부수적인 처리를 위해서, 롤 위로 감겨진다.
위에서 언급한 바와 같이, 부피가 있는 화장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한 많은 방법들이 존재하는데, 앞서 설명한 내용은 많은 방법들 중 일부에 의해서 공유되는 일반적인 단계들의 개요로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어, 양키 건조기의 사용은 항상 필요한 것은 아니며, 주어진 상황에서, 단축이 바람직하지 않을 수 있으며, "습식 크레이핑(wet creping)"과 같은 다른 수단은 웹을 단축시키도록 이미 수행될 수도 있다.
TAD 직물들은 제지기 상에서 무한 루프의 형태를 취하고 컨베이어의 방식으로 기능할 것임을 알 수 있다. 종이제조는 상당한 속도로 진행하는 연속적인 공정임을 또한 알 수 있을 것이다. 즉, 섬유질의 현탁액이 성형 구간에서 성형 직물 위로 연속적으로 증착되고, 새롭게 제조된 종이 시이트는 건조된 후에 롤들 위로 연속적으로 감겨진다.
직물들은 직조에 의해서 만들어지고 날실이나 기계방향사(MD) 그리고 씨실이 나 교차기계방향사(CD)로 반복되는 직조 패턴을 가짐을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알 수 있을 것이다. 직조된 직물들은 많은 다른 형태들을 취한다. 예를 들면, 이들은 무한 직물로서 직조되거나 혹은 평평하게 직조되어 부수적으로 솔기를 갖는 무한 직물의 형태를 취할 수도 있다. 최종 직물은 외양에 있어서 균등해야하는데, 즉 형성된 종이 시이트에 원하지 않는 특징들이 생기는 갑작스런 변화가 직조 패턴에 존재하지 않아야 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또한, 형성된 티슈에 부여되는 소정 패턴의 표식은 종이의 특징들을 부여하게될 것이다.
보완적인 제지 직물들은 제조될 종이 등급을 위해서 설치 제지기의 요구조건들을 충족시키도록 설계된 다양한 스타일로 제조된다. 일반적으로, 이들은 단섬사로부터 직조된 기본 직물을 포함하며, 단층 혹은 다층구조를 갖게될 것이다. 실들은 통상적으로 제지기 직물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서 이러한 목적을 위해서 사용된 폴리아미드 및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같은 몇몇 합성 중합체 수지들중 어느 하나로부터 압출된다.
여기에서 설명하는 것을 넘어서서 다른 응용분야를 가질수도 있지만, 본 출원은 적어도 부분적으로는 부피가 있는 화장지 제조기의 통기 건조기 상에서 사용되는 TAD 직물이나 벨트에 관계된다. 그러나, 본 출원은 주로 TAD 직물에 관련된다.
그러한 직물은 비교적 높은 기본 하중의 연속적인 배경에서 비교적 낮은 기본 하중의 불연속적인 영역들을 갖는 셀룰로오스 섬유상 웹들을 형성하도록 부피가 있는 화장지나 타월 제조기의 성형 구간에서 응용될 수 있다. 이러한 종류의 직물 들은 섬유 밀도가 인접영역보다 작은 불균일 영역들을 갖기 때문에 부직 제품의 지형이 변하는 부직 제품들과 부직포들을 물에 의한 엉킴(hydroentanglement)과 같은 공정에 의해서 제조하는데 사용될 것이다.
흡수성, 강도, 부드러움 및 심미적인 외양의 특성들은 의도된 목적을 위해 사용되는 많은 제품들, 특히, 섬유상 셀룰로오스 제품들이 고급화장지나 화장실용 화장지 또는 종이타월로 사용되는 경우에 중요하다.
부피, 신장성, 흡수성 및 부드러움은 화장지, 냅킨 및 타월지의 시이트들을 제조하는 경우에 특히 중요한 특징들이다. 이러한 특성들을 갖는 종이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서, 직물은 상부면이 지형상의 변화를 나타내도록 구성될 것이다. 이러한 지형상의 변화들은 직물의 표면에서 가닥들 사이의 평면차로서 자주 측정된다. 예를 들면, 평면차는 통상적으로 융기된 씨실이나 날실 가닥 사이의 높이 차 또는 직물 표면의 평면에서 MD 너클들과 CD 너클들 사이의 높이 차로서 측정된다. 빈번하게, 직물 구조물은 평면차가 포켓 깊이로서 측정되는 경우에 포켓들을 나타낼 것이다.
위에서 언급된 설계들의 충실한 연구를 통해서 날실과 씨실들이 포켓의 깊이 결정에 주된 책임이 있고, 따라서 캘리퍼스 발생(caliper generation)을 제한함을 알수 있다. 이상적인 TAD 직물은 MD 및 CD 컨택(contact) 모두에 대해서 제공되는데, 따라서 양키 건조기에 대한 시이트 전달이 용이해지고, 제조공정에 있어서 TAD 직물 작동이 향상되며 공정의 말기에서 크레이핑이 향상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 6,649,026 호는 표면 위로 규칙적으로 재발하며 실 오버레 이(thread overlays)에 의해서 형성된 만입부들(표면 그라운드(surface ground)를 가짐)을 갖는 웹 패턴을 구비한 PMC 직물에 관한 것이다. 실 오버레이들은 3개의 연속적인 날실 또는 그것에 교차하는 씨실을 커버한다. 그런데, '026 특허에 따른 직물은 향상된 MD 및 CD 지지를 제공하는 박스 형상의 패턴들을 제공한다.
미국 특허 제6,592,714호는 직조 TAD 직물에 관한 것이다. 종이의 접촉면을 향하여 개방된 직물의 상대적인 포켓 깊이는 20% 이상이다. 여기에서 설명된 패턴 또한 박스 형상이고, 따라서 향상된 MD 및 CD 지지를 제공하는데는 실패하였다.
미합중국 특허 제 6,708,732 호는 웹 성형 직물에 관한 것으로, 이 직물은 일측에 배열된 높은 배수성의 시스템적으로 분포된 영역들의 대략적으로 선형을 이루는 제 1 및 제 2 어레이들을 포함한다. 이러한 선형 어레이들은 기계방향에 대하여 예각으로 배향되고 서로에 대해서 예각으로 배향된다. 시스템적으로 분포된 영역들의 각각의 경계들은 두쌍의 인접한 면들에 의해서 한정되는데, 한쌍의 인접한 측면들은 하나의 횡으로 연장된 실의 각이진 세그멘트들이고, 다른 쌍의 인접한 측면들은 상기 하나의 횡으로 연장된 실에 인접하는 제 2의 횡으로 연장된 실의 각이진 세그멘트들이다. 직물의 마주보는 면은 인접한 횡방향 실들 위로 긴 기계방향 플로트(float)를 가지며, 인접한 기계방향 실들의 상기 기계방향 플로트는 기계방향으로 서로 부분적으로 중첩된다. 그런데, 이 경우에는, 단지 MD 실들이 높은 배수 영역들을 조성하고, 따라서 MD를 지지하도록 제한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 5,832,962 호는 날실들 중 하나가 슈트 실들 중 적어도 4개 위로 가로지르는 위치에서 다수의 비교적 긴 날실 너클들을 포함하는 제지 직물 에 관한 것이다. 긴 날실 너클들은 인접한 날실들에서 서로에 대하여 그 다음에 위치된 긴 날실 너클들에 의해서 한정된 부피가 있는 리지들의 제 1 축을 형성하도록 쉐드(shed) 패턴으로 위치하며, 상기 제 1 축은 건조 직물의 교차방향에 대하여 대체로 68 내지 90도 각도의 제 1 각도로 배치되며, 긴 날실 너클들의 각각이 다른 너클에 대하여 형성되는 제 2 축을 형성하도록 위치하며, 이때 상기 제 2 축은 근처에서 긴 날실 너클들과 중첩하지만 날실들에 대하여 바로 인접하지는 않고, 상기 제 2 축은 건조 직물의 교차방향에 대하여 약 28도 이하의 제 2 각도를 형성한다. 그런데, 상기 '962 특허는 단지 날실 방향으로 긴 너클들을 구비하고 대각선 골 패턴을 갖는 상부면 평면을 개시하고 있다. 직물은 또한 MD 지지로 제한된다.
미합중국 특허 제 3,974,025 호는 크레이핑 후에 그것의 표면에 다이아몬드 형상의 패턴을 나타내는 흡수성 종이 시이트에 관한 것이다. 종이 시이트들은 점선 너클 패턴을 찍어서 제조되는데, 점선 찍기의 종축은 선택된 하품의 단섬사 중합체 섬유 반-능직 직물의 배면을 사용하여 제지의 기계방향에 대하여 평행하게 정렬되며, 그것의 너클 찍기 영역은 최종 건조와 크레이핑 전에 열적 예비건조에 의해서 유도된 선택된 섬유 경도에서 결속되지 않은 종이 웹 상에서 너클들의 평면에서 측정했을때 전체 직물 표면적의 약 20 내지 약 50퍼센트를 구성한다. 이 특허는 연속적이지 않고 절단된 MD 및 CD 패턴인 점선 패턴을 사용하며, 주로 포켓들에 초점을 맞추고 있다. 이상적인 TAD 직물은 MD 및 CD 컨택 모두에 대해서 제공되는데, 따라서 양키 건조기에 대한 시이트 전달이 용이해지고, 제조공정에 있어서 TAD 직물 작동이 향상되며 공정의 말기에서 크레이핑이 향상된다.
본 발명은 화장지 및 관련 제품들의 형성을 위한 바람직한 특성을 나타내는 개선된 TAD 직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록 제지기의 성형, 프레스 및 건조기 구간에서 사용되지만 주로 통기 건조 (TAD) 직물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은 날실방향과 씨실방향으로 긴 너클들을 특징으로 하는 종이측 표면 패턴을 만들어내도록 다수의 씨실들과 섞어짜인 다수의 날실들을 포함하는 TAD 직물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목적은 개선된 MD 및 CD 접촉 영역을 가져서 양키 건조기로 시이트 전달을 용이하게 하는 직물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향상된 크레이핑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벌크 및 흡수성과 같은 시이트 특성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향상된 시이트 외양을 위한 적당한 포켓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향상된 시이트 외양과 벌크 및 흡수성과 같은 시이트 특성들을 개선하기 위해서 적당한 포켓들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들은 표면 피복의 하나이상의 층들을 구비하거나 구비하지 않는 기술되고 설명된 것과는 다른 직조 패턴들 및 실 조합들을 실행하는 직물들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은 하기의 첨부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완벽하고 상세하게 설명될 것이다.
상기한 목적 및 관련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설명상의 양태들이 다음의 명세서 및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그러나, 이러한 양태들은 본 발명의 원리가 채용될 수 있는 다양한 방식들 중 일부이며, 본 발명은 모든 그러한 양태들 및 그들의 등가물들을 포괄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장점과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는 본 발명의 다음의 명세서로부터 명백하게 밝혀질 것이다. 다음의 설명은 예로서 주어진 것이며 본 발명을 여기에서 설명한 특정 실시 예들로서 제한하지는 않으며,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양호하게 이해될 것이다, 첨부 도면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종이쪽 표면에 있는 MD 및 CD 너클들을 나타내는 종이 측면도 및 표면 깊이를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의 종이쪽 표면에 있는 엘(L)자 형상 너클 패턴을 나타내는 종이 측면도 및 표면의 깊이를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와 특히 특허청구범위 및/또는 단락들에 있어서 "comprises," "comprised," "comprising,"와 같은 용어들 및 그와 유사한 용어들은 미국 특허법에 따른 의미를 가지며, 즉 이들은 "includes," "included," "including," "including, but not limited to" 등의 의미를 포함할 수 있고, 요소들을 명시적으로 재인용하지 않을 수 있게 한다. "consisting essentially of"및 "consists essentially of"와 같은 용어들은 미합중국 특허법에 따른 의미를 가지며, 즉 이들 은 요소들을 명시적으로 재인용하지 않을 수 있게 하고, 종래 기술에서 발견되거나 본 발명의 기본적 혹은 신규한 특징에 영향을 끼치는 요소들을 배제하지 않는다. 이러한 실시 예들 및 다른 실시 예들은 다음 명세서에 의해서 개시되거나 명백해지고 완결된다.
본 발명은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산업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여기에서 언급된 바와 같은 산업용 직물들은 인쇄 직물, 화장지 형성 직물, 부직포의 제조를 위한 직조 또는 인쇄 직물, 및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TAD 직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TAD 직물 및 그 제조방법이다. 그 직물은 기본 직물 구조물을 형성하도록 섞어 짜인 다수의 날실과 씨실들을 포함한다. 그 직물은 그 목적에 적합한 소정 직조 패턴을 사용하여 형성될 수 있고, 하기에서 잘 설명하는 바와 같이, 제지기 분야에서 공지된 단섬사들의 폭넓은 선택으로부터 형성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직물은 날실방향으로 긴 너클들을 형성하고, 날실들은 MD 너클들을 형성하도록 둘이상의 씨실들 위로 부동(float)한다. 날실 너클들과 씨실 너클들중 하나 또는 모두의 선택된 부분들은 샌딩(sanding), 캘린더링(calendering), 머쉬닝(machining) 혹은 다른 수단에 의해서 평평해지고, 이에 의해서 시이트와 접촉하는 직물이 증가하고 따라서 양키 건조기로의 시이트 이송이 용이해지며, 그 공정의 말기에서 크레이핑이 향상되고 그에 부수적으로 포켓 영역을 한정하기가 양호해지는 잇점을 얻을 수 있다.
도면들을 참조하면, 도 1은 직물(10)의 일측, 바람직하게는 직물의 성형쪽 혹은 제지쪽의 평면도이다. 종이쪽은 직물(10)이 제지기상에서 이동하는 직물인 경 우 소위 새롭게 형성된 종이 웹을 향하는 쪽이다. 직물(10)은 다수의 날실(12)과 씨실들(14)로부터 직조된다.
날실(12)과 씨실(14)은 각각 직물(10)의 기계방향(MD)과 교차기계방향(CD)을 따르며, 평평하게 직조되어 무한 형태로 솔기에 의해서 결합된다. 날실(12)은 직조 패턴에서 씨실(14)과 직조되고, 각각의 날실(12)은 둘이상의 연속적인 씨실들(14)의 위 아래를 통과한다. 각각의 씨실(14)은 도 1과 2에 도시된 직물(10)의 일측에서 하나이상의 연속적인 날실들(12) 위로 플로트(float)를 만드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2개의 긴 날실 너클들(16,22)이 존재하는데, 각각은 직물(10)의 다른 평면에 놓인다. 제 1의 긴 날실 너클(16)은 4개의 씨실(14) 위로 부동(浮動)한다. 하나의 씨실(14)은 긴 날실 너클(16)을 지지하기 위해서 위-아래-위 배열로 긴 날실 너클(16) 아래를 통과한다. 제 1의 긴 날실 너클(16)은 양키 건조기로의 시이트 이송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높은 평면에 존재한다. 2개의 제 1의 긴 날실 너클들(16)은 2개의 날실들(12)에 의해서 분리되고 포켓(20)의 MD 경계들을 한정한다. 2개의 씨실 너클들(18,24)은 2개의 날실들(14)에 의해서 분리되고 포켓(20)의 CD 경계들을 한정한다. 제 2의 긴 날실 너클(22)은 3개의 씨실(14) 위로 부동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의 날실 너클(22)은 낮은 평면에 존재하고 포켓(20)을 대각선으로 가로질러서 배열된다. 제 2의 긴 날실 너클(22)은 포켓(20)의 베이스에서 섬유 지지를 제공한다. 도 1 및 2는 너클들(16,18)의 점진적인 샌딩(sanding)을 나타낸다. 설명을 위해서 샌딩(sanding)이 사용되었지만, 원하는 결과를 얻기 위해서 상기한 바와 같은 다른 수단이 사용될 수도 있다. 이와 관련하여, 기계방향사(MD yarns)(16)는 1.3mm의 길이로 초기에 샌드(sand)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직물(10)이 1.7mm 길이의 제 1의 긴 날실 너클로 샌드되는 경우에, 제 1의 긴 날실 너클(16)과 제 1의 씨실 너클(18)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비 연속적인 별도의 MD 및 CD 너클들을 갖는 엘(L)자형 패턴(28)을 형성하기 시작한다. 직물(10)이 1.9mm 길이의 제 1의 긴 날실 너클로 샌드되는 경우에, 제 1의 긴 날실 너클(16)과 제 1의 씨실 너클(18)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속적인 엘(L)자형 너클 패턴(26)을 형성하는 공통 평면상에 놓이고, 이때 시이트와 증가된 접촉면적을 가지며 위에서 언급한 부수적인 장점들을 갖는다. 설명한 길이나 접촉 영역들은 다른 칫수들도 본 발명의 목적에 적합할 수 있으므로, 단계적 샌딩이 단순히 사용된 후에 예로서 얻어진다.
포켓 크기들은 MD/CD 치수 및/또는 포켓 깊이에 의해서 특징지워질 수 있다. 포켓들은 씨실과 날실에 의해서 형성/경계지워지는데, 이들은 직물의 기본 평면으로부터 융기된다. 융기된 씨실과 날실들은 직조 패턴으로 너클들에 의해서 생산된다. 각각의 포켓 내부의 직물 베이스는 평직 패턴이나 다른 적당한 패턴이될 수 있다. 또한, 포켓은 하나이상의 융기되거나 또는 반융기된 날실이나 씨실 내부를 포함할 것이다. 융기되거나 또는 반융기된 날실이나 씨실들은 포켓의 베이스 내에 놓이고, 포켓 영역을 평행, 수직 혹은 대각선으로 분할할 것이다.
바람직하게, 날실(12)과 씨실(14)은 제지기용 실들의 제조에 사용되는 합성 중합체 수지의 단섬사들이다. 폴리에스테르와 폴리아미드는 그러한 재료들의 2가지 예이다. 그러한 재료들의 다른 예로서는 폴리페닐렌 설파이드(PPS)의 실(RYTON®의 상표명으로 시판중에 있음) 및 변형된 열, 가수분해 및 오염 저항 폴리에스테르의 실(여기에서 참조로서 통합된 공통으로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 5,169,499호에 개시되어 있고 상표명 THERMONETICS®로서 Albany International Corp.에 의해서 시판중인 건조기 직물에 사용됨)을 들 수 있다. 그 실들 중 어느것에 대한 중합체들의 소정 조합이 사용될 수 있음을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알 수 있다. 그 실들은 그 목적에 적합한 다른 형상이나 하나이상의 다른 직경을 갖는 원형 단면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직물은 엘(L)자형 너클 패턴을 만들어 내는 소정 직조 패턴을 사용하여 형성될 것이다. 본 발명은 다른 크기와 형상의 포켓들을 갖는 다른 직물 패턴들을 커버하도록 의도된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위에서 설명한 실시예로서 제한되도록 구성되지는 않았다.
상기한 실시 예에 대한 변형은 해당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는 명백하며, 본 발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형이 가능하다.
비록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변형 예들이 여기에서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실시 예로서 한정되지는 않으며 다른 변형과 변화들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한정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을 벗어남이 없이 해당 기술분야의 숙련된 당업자에 의해서 달성될 수 있음 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32)

  1.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로서,
    다수의 씨실들과 섞어짜인 다수의 날실들을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날실들은 다수의 긴 날실 너클들을 형성하도록 둘 이상의 씨실들 위로 부동하고(float), 상기 다수의 씨실들은 다수의 씨실 너클들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날실들 위로 직조되고,
    상기 다수의 긴 날실 너클들과 상기 다수의 씨실 너클들은 다수의 평면 위에 형성되고, 가장 높은 평면에 놓인 각각의 긴 날실 너클 및 그것에 대응하는 인접한 씨실 너클은 상기 직물의 표면쪽에 엘(L)자 형상 패턴인 공통 평면 패턴을 생성하도록 평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평평하게 직조되어 솔기를 갖는 무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각각 상기 직물의 다른 평면에 놓이는 2개의 긴 날실 너클들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5. 제 4 항에 있어서, 제 1의 긴 날실 너클은 4개의 씨실 위로 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긴 날실 너클은 인접한 제 2 날실 너클보다 높은 평면에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은 평면상에 놓이는 상기 다수의 긴 날실 너클들은 둘이상의 날실들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둘이상의 별도 날실들 중 하나는 제 2의 긴 날실 너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긴 날실 너클은 그것에 의해서 형성된 포켓의 베이스에 대각선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은 평면상에 놓이는 상기 다수의 씨실 너클들은 둘이상의 씨실들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긴 날실 너클은 3개 이상의 씨실들 위로 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1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높은 평면에 놓인 각각의 긴 날실 너클 및 그것에 대응하는 인접한 씨실 너클은 상기 직물의 표면쪽에 공통 평면 패턴을 생성하도록 샌딩, 캘린더링 또는 머쉬닝에 의해 평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한정된 포켓 영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1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단일층 TAD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날실들과 상기 다수의 씨실들 중 적어도 몇몇은 단섬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
  17.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으로서,
    다수의 씨실들과 다수의 날실들을 섞어 짜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다수의 날실들은 다수의 긴 날실 너클들을 형성하도록 둘 이상의 씨실들 위로 부동하고(float), 상기 다수의 씨실들은 다수의 씨실 너클들을 형성하도록 하나 이상의 날실들 위로 직조되고,
    상기 다수의 긴 날실 너클들과 상기 다수의 씨실 너클들은 다수의 평면 위에 형성되고, 가장 높은 평면에 놓인 각각의 긴 날실 너클 및 그것에 대응하는 인접한 씨실 너클은 상기 직물의 표면쪽에 엘(L)자 형상 패턴인 공통 평면 패턴을 생성하도록 평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18. 삭제
  1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평평하게 직조되어 솔기를 갖는 무한 형태로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20. 제 17 항에 있어서, 각각 상기 직물의 다른 평면에 놓이는 2개의 긴 날실 너클들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21. 제 20 항에 있어서, 4개의 씨실들 위로 부동하는 제 1의 긴 날실 너클을 형 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의 긴 날실 너클은 인접한 날실 너클보다 높은 평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23.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은 평면상에 놓이는 상기 다수의 긴 날실 너클들은 둘이상의 날실들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둘이상의 별도 날실들 중 하나는 제 2의 긴 날실 너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긴 날실 너클은 그것에 의해서 형성된 포켓의 베이스에 대각선으로 놓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26.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높은 평면상에 놓이는 상기 다수의 씨실 너클들은 둘이상의 씨실들로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27.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의 긴 날실 너클은 3개 이상의 씨실들 위로 부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2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은 연속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29.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가장 높은 평면에 놓인 각각의 긴 날실 너클 및 그것에 대응하는 인접한 씨실 너클은 상기 직물의 표면쪽에 공통 평면 패턴을 생성하도록 샌딩, 캘린더링 또는 머쉬닝에 의해 평탄화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30.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한정된 포켓 영역을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31.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직물은 단일층 TAD 직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32.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의 날실들과 상기 다수의 씨실들 중 적어도 몇몇은 단섬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지기에서 사용하기 위한 직물의 형성방법.
KR1020097022234A 2007-03-28 2008-03-17 통기 건조직물 KR1015396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1/729,041 2007-03-28
US11/729,041 US7644738B2 (en) 2007-03-28 2007-03-28 Through air drying fabric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00015862A KR20100015862A (ko) 2010-02-12
KR101539659B1 true KR101539659B1 (ko) 2015-07-27

Family

ID=394728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97022234A KR101539659B1 (ko) 2007-03-28 2008-03-17 통기 건조직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7644738B2 (ko)
EP (1) EP2140053B1 (ko)
JP (1) JP5350359B2 (ko)
KR (1) KR101539659B1 (ko)
CN (1) CN101652507B (ko)
BR (1) BRPI0809315B1 (ko)
CA (1) CA2682080C (ko)
MX (1) MX2009010272A (ko)
RU (1) RU2474626C2 (ko)
TW (1) TWI438320B (ko)
WO (1) WO20081186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879194B2 (en) * 2007-09-06 2011-02-01 Voith Patent Gmbh Structured forming fabric and method
US8114254B2 (en) * 2008-07-30 2012-02-14 Voith Patent Gmbh Structured forming fabric, papermaking machine, and method
US9382663B2 (en) 2012-11-13 2016-07-05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Apparatus, system, and proces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a surface of a papermaking fabric
US9062416B2 (en) 2012-11-13 2015-06-23 Georgia-Pacific Consumer Products Lp Apparatus, system, and process for determining characteristics of a surface of a papermaking fabric
MX2016006222A (es) * 2013-11-12 2016-10-28 Georgia Pacific Consumer Products Lp Proceso para determinar las caracteristicas de una tela.
CN105873758B (zh) 2013-11-14 2017-09-26 佐治亚-太平洋消费产品有限合伙公司 具有高吸收性和大厚度的软吸收性片材及制造软吸收性片材的方法
FR3023564B1 (fr) * 2014-07-11 2017-03-24 Perrin & Fils Tissu et article d'habillement comprenant des zones de compression et methode d'obtention d'un tel tissu.
US9963831B2 (en) * 2015-06-08 2018-05-08 Gpcp Ip Holdings Llc Soft absorbent sheets, structuring fabrics for making soft absorbent sheets, and methods of making soft absorbent sheets
US10138601B2 (en) 2015-06-08 2018-11-27 Gpcp Ip Holdings Llc Soft absorbent sheets, structuring fabrics for making soft absorbent sheets, and methods of making soft absorbent shee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2557A (en) * 1977-03-28 1979-03-06 Albany International Corp. Synthetic papermaking fabric with rectangular threads
WO2005001197A1 (en) * 2003-06-30 2005-01-06 Tamfelt Oyj Abp Paper machine fabric
KR100547086B1 (ko) * 1997-08-01 2006-01-26 웨벡스 코포레이션 제지(製紙)용 표면에 통합된 결합사(絲) 쌍을 가진 다층 성형 직물
WO2006113818A1 (en) * 2005-04-20 2006-10-26 Albany International Corp. Through-air-drying fabric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5705A (en) * 1967-04-14 1970-12-08 Jwi Ltd Stainless steel fourdrinier cloth
US3632068A (en) * 1968-12-09 1972-01-04 Jwi Ltd Woven wire fabric
US3858623A (en) * 1969-06-10 1975-01-07 Huyck Corp Papermakers fabrics
US3974025A (en) 1974-04-01 1976-08-10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bsorbent paper having imprinted thereon a semi-twill, fabric knuckle pattern prior to final drying
DE2517228C2 (de) * 1975-04-18 1981-09-24 Hermann Wangner Gmbh & Co Kg, 7410 Reutlingen Papiermaschinensieb und Verwendung desselben in der Nasspartie einer Papiermaschine
US4161195A (en) * 1978-02-16 1979-07-17 Albany International Corp. Non-twill paperforming fabric
US4184519A (en) * 1978-08-04 1980-01-22 Wisconsin Wires, Inc. Fabrics for papermaking machines
US4191609A (en) * 1979-03-09 1980-03-0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Soft absorbent imprinted paper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US4239065A (en) * 1979-03-09 1980-12-16 The Procter & Gamble Company Papermachine clothing having a surface comprising a bilaterally staggered array of wicker-basket-like cavities
US4281688A (en) * 1979-05-01 1981-08-04 Scapa Dryers (Canada) Ltd. Reversible forming fabric having dominating floats on each face
US4359069A (en) * 1980-08-28 1982-11-16 Albany International Corp. Low density multilayer papermaking fabric
US4376455A (en) * 1980-12-29 1983-03-15 Albany International Corp. Eight harness papermaking fabric
US4359501A (en) 1981-10-28 1982-11-16 Albany International Corp. Hydrolysis resistant polyaryletherketone fabric
SU1441840A1 (ru) * 1986-07-24 1990-09-23 Пермский филиал всесоюзного научно-исследовательского института целлюлозно-бумаж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Всесоюзного научно-производственного объединения целлюлозно-бумажной промышленности Синтетическа ткана сетка дл бумагоделательной машины
WO1990012918A1 (en) 1989-04-24 1990-11-01 Albany International Corp. Paper machine felts
US5228482A (en) 1992-07-06 1993-07-20 Wangner Systems Corporation Papermaking fabric with diagonally arranged pockets
US5542455A (en) 1994-08-01 1996-08-06 Wangner Systems Corp. Papermaking fabric having diagonal rows of pockets separated by diagonal rows of strips having a co-planar surface
US5832962A (en) 1995-12-29 1998-11-10 Kimberly-Clark Worldwide, Inc. System for making absorbent paper products
US5853547A (en) 1996-02-29 1998-12-29 Asten, Inc. Papermaking fabric, process for producing high bulk products and the products produced thereby
DE19917869C2 (de) 1999-04-20 2003-05-22 Sca Hygiene Prod Gmbh Papiermaschinen-Bespannung sowie damit hergestelltes Tissue-Papier
DE19917832C2 (de) 1999-04-20 2001-09-13 Sca Hygiene Prod Gmbh Papiermaschinen-Bespannung sowie damit hergestelltes Tissue-Papier
US6790796B2 (en) * 2001-10-05 2004-09-14 Albany International Corp. Nonwovens forming or conveying fabrics with enhanced surface roughness and texture
US6508278B1 (en) * 2001-11-23 2003-01-21 Albany International Corp. Seam enhancements for seamed papermaker's fabrics
US6708732B1 (en) 2002-03-28 2004-03-23 Voith Fabrics Heidenheim Gmbh & Co. Kg Fabrics for web forming equipment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142557A (en) * 1977-03-28 1979-03-06 Albany International Corp. Synthetic papermaking fabric with rectangular threads
KR100547086B1 (ko) * 1997-08-01 2006-01-26 웨벡스 코포레이션 제지(製紙)용 표면에 통합된 결합사(絲) 쌍을 가진 다층 성형 직물
WO2005001197A1 (en) * 2003-06-30 2005-01-06 Tamfelt Oyj Abp Paper machine fabric
WO2006113818A1 (en) * 2005-04-20 2006-10-26 Albany International Corp. Through-air-drying fabric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140053A1 (en) 2010-01-06
TW200912087A (en) 2009-03-16
BRPI0809315A2 (pt) 2014-10-14
WO2008118668A1 (en) 2008-10-02
US20080236699A1 (en) 2008-10-02
CN101652507A (zh) 2010-02-17
CN101652507B (zh) 2011-11-30
US7644738B2 (en) 2010-01-12
KR20100015862A (ko) 2010-02-12
BRPI0809315B1 (pt) 2017-11-28
TWI438320B (zh) 2014-05-21
JP2010522836A (ja) 2010-07-08
CA2682080C (en) 2015-05-19
RU2009135762A (ru) 2011-05-10
EP2140053B1 (en) 2015-12-23
MX2009010272A (es) 2010-06-15
JP5350359B2 (ja) 2013-11-27
CA2682080A1 (en) 2008-10-02
RU2474626C2 (ru) 2013-0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78223B2 (en) Through air-drying fabric
KR101539659B1 (ko) 통기 건조직물
KR101097745B1 (ko) 적어도 둘 이상의 상부층 웨프트 얀들 사이의 평면 차이에의해 정의되는 포켓면적을 갖는 다수층 초지기 직물
KR101422657B1 (ko) 삼각형 위사를 갖는 태드 직물
BRPI0612449B1 (pt) Air passing dryer (tad) for use in a paper manufacturing machi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7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7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