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9402A - 봉구전지 - Google Patents

봉구전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9402A
KR20000029402A KR1019990047358A KR19990047358A KR20000029402A KR 20000029402 A KR20000029402 A KR 20000029402A KR 1019990047358 A KR1019990047358 A KR 1019990047358A KR 19990047358 A KR19990047358 A KR 19990047358A KR 20000029402 A KR20000029402 A KR 20000029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tery
tab
current collecting
opening
outer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73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622559B1 (ko
Inventor
스기타노부아키
오쿠타니에이지
나카타니겐스케
미야자키노리유키
Original Assignee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노 야스아키, 산요 덴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노 야스아키
Publication of KR20000029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94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62255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62255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20Mountings; Secondary casings or frames; Racks, modules or packs; Suspension devices; Shock absorbers; Transport or carrying devices; Hold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10Primary casings, jackets or wrappings of a single cell or a single battery
    • H01M50/147Lids or cov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3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leads or tab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31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 H01M50/536Electrode connections inside a battery casing characterised by the method of fixing the leads to the electrodes, e.g. by welding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50/00Constructional details or processes of manufacture of the non-active parts of electrochemical cells other than fuel cells, e.g. hybrid cells
    • H01M50/50Current conducting connections for cells or batteries
    • H01M50/572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 H01M50/584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 H01M50/59Means for preventing undesired use or discharge for preventing incorrect connections inside or outside the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protection means
    • H01M50/593Spacers; Insulating plat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H01M2006/106Elliptic wound cel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6/00Prim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6/04Cells with aqueous electrolyte
    • H01M6/06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 H01M6/10Dry cells, i.e. cells wherein the electrolyte is rendered non-fluid with wound or folded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70/00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process for final industrial or consumer products
    • Y02P70/50Manufacturing or produc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final manufactured product

Abstract

개구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전지외장관(罐)(60)과, 상기 전지외장관(60)에 수납된 양극판(20)과 음극판(30)을 세퍼레이터(41)를 통하여 감아서 이루어지는 와류전극체(40)와, 상기 개구를 봉구(封口)하는 봉구판(51)과, 이 봉구판 (51)의 하면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를 가지는 봉구덮개(50)와, 상기 와류전극체(40)의 최외주부분에 위치하는 양극판(20)의 심체(芯體) 노출부에서 도출되는 양극집전 (集電)태브(Tab)(24)를 가지고, 또한 상기 양극집전태브(24)의 선단부분을 상기 봉구판(51)과 상기 전지외장관(60)의 개구 에지와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양극집전태브(24)와 전지외장관(60)과 봉구판(51)이 용접되는 구조의 봉구전지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를 구성하는 스페이서(56)는, 상기 양극집전태브(24)가 상기 전지외장관(60)의 개구측 방향으로 유도되는 부분에 홈부(561)를 가지며, 상기 양극집전태브(24)는 상기 홈부(561)에 오목한 굴곡부(241)를 가진다.
이 구성에 의해 전지를 낙하시키는 등의 충격을 가한 경우라도 전지 내부에서 태브의 절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봉구전지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봉구전지{SEALING CELL}
본 발명은 소형 휴대용 봉구(封口)전지에 관한 것이며, 특히 레이저봉구형 이온전지에 있어서의 전극집전태브(Tab)의 태브의 절단을 방지하기 위한 기술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소형 밀폐형 전지에 있어서는, 예를들면 일본국 특원평 7(1995)-26710호 공보, 특원평 8(1996)-53032호 공보에서 본원 출원인이 개시(開示)하고 있는 바와 같이, 발전(發電)요소가 수납된 전지외장관(罐)의 개구 에지(끝)부에 봉구덮개를 레이저 용접하여 봉구하지만, 그때 발전요소의 최외주부분에 양극판 또는 음극판중 어느 하나의 심체(芯體)를 배치하고, 다시 이 심체의 노출부에 대략 "U"자형의 칼집(절단선)을 내어, 이 절삭부를 전지외장관의 개구측 방향으로 꺾어 집전태브로 하고, 이 집전태브를 전지외장관 개구 에지와 봉구덮개와의 사이에 끼우고, 이 상태에서 이들 3개를 레이저용접함으로써 봉구하고, 아울러 발전요소인 양극 또는 음극과 전지외장관과의 전기적 접촉을 한층 도모하고 있다.
다음, 본 발명의 취지에 직접 관계되므로 이 전지의 일예를 도면을 참조하면서 조금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9에 양극판(20)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9의 (A)는 양극판의 측면도이며, 도 9의 (B)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양극판(20)은 길이 335mm, 폭 38mm, 두께 20㎛ 의 좁고 길며 얇은 알루미늄박(箔)제 양극 심체(21)의 원칙적으로 그 양면에 LiCoO2를 주성분으로 하고, 그 외 흑연, 카본블랙, N - 메틸 - 2 피롤리돈에 녹인 폴리플루오르화 비닐리덴으로 이루어지는 양극 활물질(슬러리)(22)을 도포하고, 이것을 압연하여 진공건조에 의해 부착시킨 것이다.
그리고, 전지외장관내에 삽입되는 또는 삽입된 상태에서는 그 최외주가 되는 측에 대략 "U"자 또는 "ㄷ"자형의 절삭부(23)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이 절삭부(23)를 형성한 부분의 양극 심체(21)의 양면은 이 양극 심체(21)의 감아들인 끝(도면의 위쪽)에서 20mm 까지는 양극 활물질(22)을 가지지 않은 심체 노출부(양면 노출부)로 되어 있다.
또한, 이 양면 노출부에서 권회 시단측(始端側) 50mm 까지는 양극 심체(21)의 한면측만이 양극 활물질(22)을 가지고, 다른면측은 심체가 노출되는 심체 노출부(편면(片面)노출부)로 되어 있다.
상기 편면노출부를 형성하는 것은, 이 편면노출부와 전지외장관 내면을 접촉시켜서 양극 외부단자를 겸하는 전지외장관과 양극을 전기적으로 접속하기 위함이다.
도 10에 음극판(30)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0의 (A)는 음극판의 측면도이며, 도 10의 (B)는 정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음극판(30)은 길이 315mm, 폭 39mm, 두께 18㎛ 인 음극 심체(31)의 좁고 길며 얇은 동박(銅箔)의 양면에 천연흑연분말을 주성분으로 하고, 그 외 N - 메틸 - 2 피롤리돈에 녹인 폴리플루오르화 비닐리덴으로 이루어지는 음극 활물질(32)을 도포하고, 건조, 압연에 의해 부착시키고, 다시 뒤에 설명하는 감아 들인 중심부의 음극 심체(31)의 동박에 직접 니켈로 이루어지는 음극 리드(33)를 음극집전체로서 부착한 것이다.
도 11에 와류전극체(40)의 구조를 나타낸다.
본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류전극체(40)는 양극판(20)과 음극판(30)을 양자보다 다소 폭이 넓은 폴리에틸렌제의 세퍼레이터(41)를 통하여 감은 것이다.
그리고, 이 경우 전술한 이유에 의하여 양극판(20)의 양극 활물질(22)을 도포하고 있지 않은 편면노출부가 와류전극체(40)의 최외주부에 위치하도록 감긴다.
그리고, 이것에서 감아 들인 끝부분에는 접착테이프(도시하지 않음)가 부착되고, 또 바닥부는 전지캔체와의 접촉방지를 위한 절연테이프(도시하지 않음)로 덮인다.
그리고, 여기서 양극집전태브는 도 9에 나타낸 절삭부(23)를 올려 세워 형성하지만, 그때 상기 절삭부(23)를 전지의 내부 감아 들인 중심측에 동일한 극성의 전극판이 위치하는 곳에 형성하고 있는 것은, 절삭부(23)의 거스러미에 의해 만일 세퍼레이터(41)의 손상 등이 생겨도 내부 단락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도 12에 봉구덮개(50)의 구조를 나타낸다.
도 12(a)는 전지캡을 제거한 봉구덮개의 부분 단면도(측면), 도 12(b)는 이 봉구덮개를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도면이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봉구덮개(50)는 중앙 부근에 관통공을 가진 봉구판(51)과, 이 관통공에 절연성 개스킷(52)을 통하여 배치되는 금속제의 중공(中空)캡(53)과, 중공캡(53)의 상단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전지캡(도시하지 않음, 음극외부단자를 겸하는 것)과, 중공캡(5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 집전단자판(54)과, 봉구판(51)과 집전단자판(54)과의 사이에 개재되어 양자를 전기적으로 절연하는 절연판(55)으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절연성 개스킷(52), 절연판(55) 및 집전단자판(54)은 중공캡(53)의 상단 및 하단을 코킹함으로써 봉구판(51)에 고정되어 있다.
또, 절연판(55)의 양단에는 스페이서(56)가 배치되어 있다. 이 스페이서 (56)는 절연판(55)과 일체 성형된 것이며, 봉구판(51)과 와류전극체(40)와의 사이에 배치되어 와류전극체(40)가 상하방향으로 요동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또, 도 12(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집전단자판(54)은 그 일부가 아래방향으로 올려 세워져 있으며, 이 부분에 앞에서 설명한 음극 심체(31)에 접속된 음극 리드(33)가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도 13에 이 전지의 조립순서를 나타낸다.
(A) 전지외장관(60)의 바닥과의 접촉방지, 풀림방지 등을 위한 접착테이프를 요소(要所)에 붙인 와류전극체(40)를 준비한다. 본 도면에 있어서, 33 은 음극 리드이다.
(B) 상기 와류전극체(40)의 위쪽에 봉구덮개(50)의 봉구판(51)을 위치시키고, 봉구판(51)에 고정된 집전 단자판(54)과 음극 리드(33)를 전기적으로 접속한다.
(C) 한편, 와류전극체(40)의 최외주의 양극 심체 노출부에 형성된 절삭부 (23)를 올려 세워서 상부에 구부려서 양극집전태브(24)로 한다.
그리고, 이 양극집전태브(24)는 이 상태에서 위에서 보호테이프(25)를 접착함으로써, 와류전극체(40)의 최외주의 양극 심체 노출부에 고정된다.
(D) 음극 리드(33)가 전기 접속된 와류전극체(40)를 알루미늄제의 대략 각형(角形)의 전지외장관(60)내에 삽입한다. 그때, 양극판(20)에서 도출된 양극집전태브(24)를 전지외장관(60)의 내벽을 따라서 전지 개구단에 이르기까지 신장시키고, 다시 그 상단부를 봉구덮개(50)의 봉구판(51)의 외주측면과 전지외장관(60)의 내벽면으로 사이에 끼도록 한 상태로 봉구덮개(50)를 전지외장관(60)의 개구 에지에 씌운다.
(E) 이어서, 전지외장관(60)과 봉구판(51)과의 결합부에 레이저광을 조사하여 이 부분을 용접하여 전지를 봉구한다. 그리고, 아울러 양극집전태브(24)와 전지외장관(60)을 전기적으로 견고하게 접속한다.
또한, 그 후 봉구판(51)의 관통공에서 전지외장관(60)의 내부에 비수(非水)전해액을 주입하고, 이 관통공에 전지캡(57)을 설치한다.
이상으로 전지의 조립이 종료된다.
또한, 실제로는 이상의 것 외에 각종의 개량이나 변형이 이루어지고 있다.
예를들면, 양극판의 절삭, 올려 세움부의 형상에 대해서는 기계적 강도 향상의 면에서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외장관에 삽입한 상태에서 상부 덮개측이 좁고 하부측이 넓은 반직각사다리형으로 하는 것이 이루어져 있다.
도 14(a)는 양극 심체(21)의 외주부측에 걸리는 형상의 절삭부(231)를 형성한 상태를 나타낸다. 도 14(b)는 이 절삭부(231)를 올려 세워 양극집전태브(240)로 한 상태를 나타낸다. 그리고, 230 은 양극 심체(21)에 생긴 절결구멍이다.
또, 봉구덮개(50)에 대해서는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연판(55)과 일체 성형되고, 또한 벽부(58)를 가지는 스페이서(56)를 포함하도록 하고 있는 것 등이다.
도 15에서는 도 12(b)와의 차이를 알기 쉽게 하기 하기 위하여, 벽부(58)를 점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이 벽부(58)는 와류전극체(40)의 최외주면에 배치된 양극 심체 노출부에서 도출된, 그리고 절삭부(23)를 올려 세워서 형성한 양극집전태브(24)가 다른 극성을 가진 집전단자판(54) 등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형성된 것이며, 양극집전태브(24)가 위치하는 측으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양극집전태브(24)는 이 벽부(58)의 외측과 전지외장관(60) 내면과의 사이를 지나서, 봉구판(51)의 외주 에지(전지외장관(60)의 개구단부)에까지 뻗어 봉구판(51)과 전지외장관(60)과의 용접부에 협지되게 된다.
또한, 이 집전태브(24)는 와류전극체(40)의 감는 법에 따라서는 굳이 양극측이 아닌 음극측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절연판, 스페이서, 음극 집전단자판의 구조 등에는 각종의 것이 있다.
이상의 것 외에, 본 발명 출원 시점에서는 전지의 봉구를 위해서는 레이저용접이 일반적이지만, 장래의 기술개발의 진행에 따라서 다른 용접으로 바꾸어질 가능성도 있다.
그러나, 전지사용자가 상기 전지나 이 전지를 장비한 기기를 잘못하여 떨어뜨리거나 한 경우에 문제가 생길 수 있다.
즉, 상기 종래의 봉구전지에서는 전지를 낙하시키는 경우와 같이 전지에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는,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류전극체(40)가 하향(도면중 C 방향)으로 이동하려고 하므로, 양극집전태브(24)가 하향으로 끌어 당겨진다.
그러므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용접부(70)의 가까이에서 양극집전태브(24)의 태브의 절단이 생길 우려가 있다.
이것은 와류전극체(40)와 전지외장관(60)과의 사이에 약간의 간극이 있거나 또는 생길 수 있고, 또 전지외장관(60)내에는 비수전해액과 함께 기체가 존재하므로, 상기 와류전극체(40)나 비수전해액이 움직이거나 또는 요동할 수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알루미늄박이나 동박으로 이루어지는 양극이나 음극의 심체를 올려 세워 형성한 집전태브는, 본래 그 기계적 강도가 작기 때문에 절단 등의 위험이 생길 수 있는 것이다.
물론, 현시점에 있어서도 사고나 오조작 등의 경우에도 상당한 안전성과 강도를 가질 수 있는 형상, 구조로 하고 있지만, 근래의 전지 용도의 확대, 생활에 서 차지하는 중요성의 향상을 고려한 경우에는, 이러한 사고에 대한 배려, 대책 등이 보다 한층 이루어져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렇다면, 이러한 강도, 안전성 향상의 대책으로서, 강도가 큰 알루미늄이나 동 또는 그들의 합금 또는 다른 금속으로 하는 것은 코스트보다는 내부 저항의 증가로 이어지므로 바람직하지 않다.
또한, 와류전극체와 이것을 삽입하는 전지외장관과의 간극을 완전하게 없애거나 또는 생기지 않도록 하는 것은 제조시에 와류전극체를 전지외장관내에 삽입할 때 등에 있어서 불편하다.
또, 와류전극체 하부의 절연테이프나 와류 종단의 접착테이프를 예를들면 양면 테이프로 하는 등으로 와류전극체를 전지외장관 내면에 고정하는 것 등도 작업성뿐만 아니라, 비수전해액과의 예측하지 않은 반응 등도 생길 수 있어서 바람직하지 않다.
또, 집전태브의 형상, 구조 등에 익스팬더 등과 같은 신축부를 형성하는 등의 과도한 연구를 하게 하는 것은 전지 형상의 증대나 용량의 감소, 나아가서는 거의 나지 않는 사고에 대하여 과도한 코스트를 들게 하는 것이라는 면에서 문제이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를 고려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전지를 낙하시키는 등의 충격을 가한 경우에도 집전태브의 태브의 절단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봉구전지의 제공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청구항 1에 기재한 발명은 개구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전지외장관과, 상기 전지외장관에 수납된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을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감아서 이루어지는 와류전극체와, 상기 개구를 봉구하는 봉구판을 가지는 봉구덮개와, 상기 와류전극체의 최외주부분에 위치하는 제1 전극판의 심체 노출부에서 도출되는 제1 집전태브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1 집전태브의 선단부분을 상기 봉구판과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 에지와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제1 집전태브와 전지외장관과 봉구판이 용접되는 구조의 봉구전지에 있어서, 상기 개구 에지로서 상기 제1 집전태브의 도출 시단에서 최단거리에 있는 지점을 최단거리점으로 할 때, 상기 제1 집전태브의 선단부분이 용접되는 도출 종단은 상기 최단거리점 이외에 위치한다.
상기 봉구전지는, 상기 개구 에지로서 상기 제1 집전태브의 도출 시단에서 최단거리에 있는 지점을 최단거리로 할 때, 상기 제1 집전태브의 선단부분이 용접되는 도출 종단은 상기 최단거리점 이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또한,, 상기 최단거리점은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용접부를 의미한다).
종래 기술과 같이, 상기 최단거리점에 제1 집전태브를 용접하는 경우, 예를들면 전지 낙하시의 와류전극체의 이동에 의해 이 집전태브에 인장력이 걸리면, 이 집전태브는 여유(유동(遊動))를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집전태브의 용접부의 가까이에서 태브가 절단될 우려가 있었다.
그러나, 본 발명에서는 제1 집전태브는 종래기술에 있어서의 집전태브의 길이에 비하여 긴 구성이며, 여유를 가지므로 전지 낙하시에는 와류전극체의 전지외장관의 바닥방향으로의 이동에 대응하여, 상기 용접부 가까이에 걸리는 힘을 완화할 수 있고, 따라서 태브의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봉구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 에지의 형상은 사각형이며, 상기 최단거리점과 상기 도출 종단은 상기 사각형이 서로 대향하는 2변상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이, 최단거리점과 도출 종단이, 사각형이 서로 대향하는 2변상에 각각 위치하고 있으면 도출 시단에서 도출 종단까지의 길이, 즉 제1 집전태브의 길이를 길게 하여 용접부에 걸리는 힘을 완화하여 태브의 절단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집전태브에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봉구전지에 있어서, 상기 최단거리점과 상기 도출 종단은 최단거리에 있다.
상기 구성과 같이, 상기 도출 종단과 상기 최단거리점을 최단거리에 위치하도록 하면, 상기 제1 집전태브는 뒤틀림은 없고 전지외장관내에 가장 안정되게 수납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제1 집전태브는 최소한의 스페이서를 점유하게 되므로, 스페이스적으로 여유가 없는 소형 휴대전지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청구항 4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에 기재한 봉구전지에 있어서,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 에지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상기 도출 종단은 상기 최단거리점에서 상기 원형 또는 타원형의 1/4 둘레 길이에서 떨어진 지점에 위치한다.
상기 구성에 대하여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봉구전지의 최단거리점과 도출 종단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이다. 도 8(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전지외장관의 개구형상이 원형(도 8(a)), 또는 타원형(도 8(b))인 경우에는, 도출 종단(D)을 상기 최단거리점(E)에서 상기 원형 또는 타원형의 1/4 둘레 길이에서 떨어진 지점(도면중의 화살표의 범위)에 위치하도록 함으로써 도출 시단에서 도출 종단(D)까지의 길이, 즉 제1 집전태브의 길이를 길게 하여 용접부에 걸리는 힘을 완화하여 태브의 절단을 방지하는 동시에, 상기 제1 집전태브에 뒤틀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2에 기재한 봉구전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전태브는 상기 봉구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절연부재와 상기 와류전극체와의 사이로 유도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집전태브와 제2 전극판이 단락(短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락방지수단이 상기 제1 집전태브와 상기 와류전극체와의 사이에 배치된다.
종래의 구성에서는 제1 전극에서 도출되는 제1 집전태브는 전지외장관의 개구방향으로 직선적으로 뻗어 있는 것이지만, 상기 구성에서는 상기 제1 집전태브를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와류전극체의 사이에 우회시켜 유도하고, 그리고 제1 집전태브의 선단부분은 상기 봉구판 외주 에지와 상기 전지외장관의 내면과의 사이에 용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상기 구성에 의하면 낙하 등에 의해 전지에 충격이 가해지고, 와류전극체가 전지외장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전지외장관의 바닥방향으로) 움직인 경우, 상기 제1 집전태브는 이 제1 집전태브의 굴곡점 S(도 7 참조)를 중심으로 하여 전지외장관의 바닥방향으로 회전하고, 제1 집전태브의 용접부 가까이에 걸리는 충격(전지외장관의 바닥방향으로의 힘)을 완화할 수 있다. 따라서, 전지에 낙하 등의 충격이 걸리고, 상기 와류전극체가 전지외장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였다고 하더라도, 상기 제1 집전태브의 태브의 절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상기 제1 집전태브는 종래의 구성에 비하여 긴 길이의 구성이지만, 상기 절연부재와 상기 와류전극체의 사이로 유도되고 있어, 전지외장관내의 스페이스는 유효하게 이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은, 스페이스적으로 여유가 없는 소형 휴대전지에 있어서 특히 유효하다.
또, 상기 제1 집전태브가 와류전극체를 구성하는 제2 전극판과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락 방지수단이, 상기 제1 집전태브와 와류전극체와의 사이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상기 제1 집전태브가 상기 제2 전극판과 접촉하는 일이 없고, 전지내부에서 단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6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5에 기재한 봉구전지에 있어서, 상기 단락방지수단은 상기 와류전극체상에 배치되는 절연체이다.
상기 구성으로 함으로써, 상기 제1 의 전극판에서 도출되어 있는 제1 집전태브는 상기 절연체와 상기 절연부재와의 사이로 유도되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1 집전태브는 상기 와류전극체의 상면(보다 상세하게는, 와류전극체(40)를 구성하는 제2 전극판)과 접촉하는 일이 없고, 전지 내부에서 단락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7에 기재한 발명은, 개구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전지외장관과, 상기 전지외장관에 수납된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을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감아서 이루어지는 와류전극체와, 상기 개구를 봉구하는 봉구판과, 이 봉구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를 가지는 봉구덮개와, 상기 와류전극체의 최외주부분에 위치하는 제1 전극판의 심체 노출부에서 도출되는 제1 집전태브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1 집전태브의 선단부분을 상기 봉구판과,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 에지와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제1 집전태브와 전지외장관과 봉구판이 용접되는 구조의 봉구전지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1 집전태브가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측 방향으로 유도되는 부분에 홈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집전태브는 상기 절연부재의 홈부에 오목한 굴곡부를 가진 것이다.
상기 구성은 봉구덮개 하부의 절연부재(봉구덮개와 일체, 또는 별체인 스페이서를 포함)는, 상기 제1 집전태브가 전지외장관 개구 에지와 봉구덮개와의 사이에 유도되는 부분에 홈부를 가지는 것이며, 제1 집전태브는 이 홈부를 따라서 오목해진 굴곡부(신축에 대한 유동부, 여유부)를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소비자의 오조작, 과오 등으로 전지에 충격이 가해져 와류전극체가 전지외장관, 봉구덮개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인 경우에는 홈부내의 제1 집전태브의 굴곡부가 전지외장관의 바닥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와류전극체의 움직임으로 인한 어긋남을 흡수한다. 따라서, 전지를 낙하시키는 등의 충격을 가한 경우에 상기 와류전극체가 움직여도, 상기 제1 집전태브의 용접부에 걸리는 힘을 완화할 수 있어서 태브의 절단을 방지할 수 있다.
청구항 8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7에 기재한 봉구전지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전지외장관의 바닥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상기 홈부는, 상기 봉구덮개 하부의 절연부재(스페이서 등을 포함함)에 형성되어, 상기 전지외장관의 바닥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전지를 낙하시키는 등의 충격이 가해진 경우에, 상기 전지체 바닥측에 있어서 제1 집전태브의 유출이 원활하게 되고, 또한 제1 집전태브의 태브의 절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져 전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청구항 9 또는 청구항 10에 기재한 발명은,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7에 기재한 봉구전지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전태브는 상기 와류전극체의 최외주부분에 위치하는 제1 전극판에 형성된 심체 노출부에 칼집을 내어 이 절삭부를 올려 세워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측 방향으로 꺾음으로써 형성되는 것이다.
상기 절삭(여기서, 절삭이라는 것은 절삭을 올려 세운 경우, 심체와의 연속부를 가지고 또한 봉구덮개에 통하는 부분을 갖는 것을 의미하고, 그 형상은 "U"자형, "ㄷ"자형, "V"자형, 상하중 어느 하나의 가장자리부가 길거나 또는 짧은 사다리형, 직각사다리형 또는 모서리부를 둥글게 한 형상 등임)을 올려 세워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측 방향으로 꺾음으로써 형성되는 제1 집전태브는 본래 강도가 강한 것이 아니다.
그리고, 전지 낙하시에 전지외장관내를 상기 와류전극체가 상대적으로 이동한 경우 등에는 상기 집전태브에 인장력이 걸려, 이 집전태브의 용접부에서 태브의 절단이 일어나고 만다. 그러나, 상기 구성에서는 집전태브에 걸리는 힘을 완화할 수 있으므로, 집전태브를 전극체의 심체를 올려 세워 형성한 경우라도 태브의 절단이 발생하는 일은 없다.
또한, 올려 세워 형성한 집전태브는 집전태브를 스폿용접하는 공정이 불필요하여 제조공정을 간략화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하여,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를 낙하시키는 등의 충격을 가한 경우라도 집전태브의 태브 절단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므로, 봉구전지의 신뢰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봉구전지의 와류전극체 및 봉구덮개를 전지외장관(罐) 내에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봉구전지에 사용하는 봉구덮개를 비스듬히 아래쪽에서 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2에 관한 봉구전지에 사용하는 봉구덮개의 스페이서의 홈부를 나타낸 도면.
도 4는 상기 실시예 1-2에 있어서의 양극집전태브의 스페이서의 홈부 내부에서의 구부러짐과 신장의 여유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봉구전지의 양극집전태브를 일으켜 세운측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대향면측의 부분 단면도(레이저 용접부분).
도 7은 도 5의 B-B선에서 본 단면도.
도 8은 봉구전지의 최단거리점과 도출 종단의 위치를 나타낸 평면 개념도.
도 9는 종래 기술에 관한 봉구전지의 양극판의 구성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 관한 봉구전지의 음극판의 구성도.
도 11은 종래 기술에 관한 봉구전지의 와류전극체의 횡(수평)단면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도 12는 종래 기술에 관한 봉구전지의 봉구덮개의 일예를 나타낸 구성도.
도 13은 종래 기술에 관한 봉구전지의 심체를 절삭하여 구부려서 형성한 양극집전태브와 봉구덮개와 전지외장관과의 용접 등을 중심으로 한 조립방법을 나타낸 설명도.
도 14는 종래기술에 관한 봉구전지의 양극 심체를 이용하여 형성한 집전태브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5는 종래 기술에 관한 봉구전지의 봉구덮개의 다른 예를 나타낸 도면.
도 16은 종래의 봉구전지에 충격이 가해진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도 17은 종래의 봉구전지에 충격이 가해져 태브가 절단된 상태를 나타낸 단면도.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또는 실시예)를 도 1 내지 도 7에 따라 아래와 같이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봉구전지의 와류전극체(40)와 봉구덮개(50)를 접속하고, 제1 집전태브인 양극집전태브(24)를 올려 세워 봉구덮개 (50)측으로 구부린 상태, 즉 전지외장관(도시하지 않음)내에 삽입하기 직전의 상태를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1에 관한 봉구전지에 사용하는 봉구덮개를 비스듬히 아래에서 본 사시도이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류전극체(40)의 최외주의 양극 심체 노출부 (21)에 형성된 절삭부(23)를 올려 세워 상부로 구부리고, 봉구덮개(50)측이 좁고 하측이 넓은(용접부 방향을 향하여 끝이 가늘게 되어 있음) 반직각 사다리형상의 양극집전태브(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봉구덮개(50) 하부에 배치된 절연부재를 구성하는 스페이서(56)에는, 양극집전태브(24)가 봉구덮개(50)측으로 유도 설치되는 부분으로서 세퍼레이터(41)가 있는 측(하단측)이 해방된(열린) 홈부(561)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양극집전태브(24)는 이 홈부(561) 내벽을 따라서 유도되고, 그러므로 상기 홈부(561)내에서 굴곡부(유동)(241)를 갖도록 되어 있다(또한, 참고로 기술하는데 본 도면은 본 발명의 취지가 명료해지도록 양극집전태브(24) 및 상기 굴곡부(241)를 두껍게 나타내고 있지만, 실제로는 이것은 20㎛의 박(箔)이다).
도 2에 상기 봉구덮개(50)의 요부(要部)를 나타낸다.
본 도면은 종래 기술의 봉구덮개를 나타낸 도 12(b)에 해당하는 것이다. 단, 본 발명에 관한 홈부(561)를 명료하게 나타내기 위해, 표리(또는 좌우)를 반대로 나타내고 있으며, 그러므로 도 2에 나타낸 집전단자판(54)은 도 12와는 반대로 우측(지면상(紙面上))에 위치한다.
또한, 여기서 홈부(561)와 집전단자판(54)을 봉구덮개(50)의 중심을 사이에 두고 점대칭의 위치로 하고 있는 것, 양극과 음극의 집전단자, 태브의 접촉 등 각종 문제의 발생을 적게 하기 위함이다.
이상과 같이, 도 1에 나타낸 와류전극체(40)와 봉구덮개(50)는 도시하지 않은 전지외장관내에 삽입되고, 전술한 바와 같이 봉구덮개(50)의 최상부의 외주부와, 심체를 올려 세워 형성된 양극집전태브(24)와, 전지외장관의 최상부의 개구 에지벽이 레이저광으로 일체적으로 용접되게 된다. 그러므로 심체를 올려 세워 형성된 양극집전태브(24)는 스페이서(56)의 홈부(561)의 상부측에서, 전지외장관의 내면과 스페이서(56)와의 사이에 끼워진 형태로 되어, 부차적(副次的)이지만(용접에 맞춘) 전지외장관과의 고정과 전기적 접속을 도모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실제의 전지에 있어서는 와류전극체 하부의 절연테이프, 올려 세우고 구부려서 형성한 양극집전태브를 와류전극체 외표면에 고정하고, 아울러 보호하는 접착성 보호테이프, 음극집전체 또한 안전밸브 등 각종 요소와 부품을 가지고 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취지에 직접적 관계는 없는 것이며, 도시하면 번잡해지므로 도 1, 도 2에서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본 실시형태 1의 봉구전지에서도 필요에 따라서 그들을 장비(裝備)하고 있는 것은 물론이다.
〈실시예 1-1〉
실시예 1-1로서는 상기 실시형태 1에 나타낸 봉구전지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전지를 아래와 같이 본 발명 전지 A1 라고 한다.
〈비교예 1-1〉
종래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봉구전지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전지를 아래와 같이 비교전지 X1 라고 한다.
〔실험 1〕
상기 본 발명 전지 A1 및 비교전지 X1 를 각 100개 준비하고, 이들을 전지외장관의 바닥부를 아래로 한 상태에서, 1.5m 의 높이에서 콘크리트 위에 100회 낙하시키는 실험을 하여 본 발명 전지 A1 및 비교전지 X1 의 내충격성에 대하여 조사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전지의 종류 내부저항이 증가한 개수
본 발명 전지 A1 0/100 개
비교전지 X1 36/100 개
표 1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비교전지 X1 에 있어서는 100개중 36개가 양극집전태브의 절단이 생기고, 그로 인해 내부 저항의 증가를 초래하였다(또한, 참고로 기술한다면 양극 심체 노출부와 전지외장관 내벽이 접촉하고 있으므로, 비록 양극집전태브가 완전하게 파단되어도 내부저항은 무한대로는 되지 않는다).
그러나, 본 발명 전지 A1 에 있어서는 100개 모두가 정상이었다.
이상에서, 스페이서(56)에 홈부(561)를 형성하고 양극집전태브(24)를 상기 홈부(561)에 오목한 굴곡부(241)를 가지도록 한 본 발명 전지 A1 는 비교전지 X1 에 비하여 집전에 대한 신뢰성이 높은 것을 알았다.
〈실시예 1-2〉
본 실시예 1-2 는 와류전극체(40)와 봉구덮개(50)와의 사이, 보다 정확하게는 와류전극체(40)와 봉구덮개(50)의 최상면을 구성하는 부분의 봉구판(51)이나 절연판(55)과의 사이에 상기 봉구판(51)이나 절연판(55)과 별체의 스페이서(80)가 존재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이 스페이서(80)에 홈부(562)를 형성한 것이다. 도 3에 그 구성을 나타낸다.
도 3(a)는 이 스페이서(80)를 전지 위쪽(관덮개측)에서 본 도면이며, 도 3(b )는 아래쪽에서 위쪽으로 본 도면이며, 도 3(c)는 길이방향 중심 단면도이며, 도 3(d)는 폭방향 중심 단면도이다.
또한, 본 도면에 나타낸 스페이서(80)에는 전지에 부착되는 안전밸브용 관통공이 좌우에 형성되고, 또한 다소 번잡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이들에 대해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취지에 직접적인 관계는 없고, 이른바 공지 기술이기도 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3(a),(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 스페이서(80)는 중앙부에 홈부(그 상부 평면의 절삭, 절제부)(562)를 가지고 있다.
그리고, 도시하지 않는 양극집전태브는 상기 홈부(562) 또는 이 홈부(562)의 아래쪽에 존재하는 실질적인 스페이스(5612)내에서 휘어지게 된다. 이 상태를 도 4에 나타낸다.
본 도면에 있어서, 봉구판(51), 이 봉구판(51)과 일체인 절연판(55)과 그 하부의 스페이서(80)와의 사이에 형성된 스페이서(5612)내에서 양극집전태브(24)에 굴곡부(241)가 생기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어떠한 이유(전지를 낙하시키는 등의 충격을 가한 경우에 상기 와류전극체가 전지외장관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움직이거나 하는 것)에 의해, 양극집전태브(24)에 인장력이 작용했을 때에는, 상기 굴곡부(241)가 세퍼레이터(41)쪽으로 뻗어 인장력을 흡수하고, 양극집전태브(24)의 절단을 방지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따라서, 전지의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 2에 관한 봉구전지의 양극집전태브의 올려 세운 측의 부분 단면도, 도 6은 도 5의 대향면측의 부분 단면도(레이저용접부측), 도 7은 도 5의 B-B 선에서 본 단면도이다.
도 5 내지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와류전극체(40)의 최외주의 양극 심체 노출부(21)에 형성한 절삭부(23)를 올려 세워 상부로 구부려서 제1 집전태브인 양극집전태브(24)가 형성되어 있다.
또, 상기 와류전극체(40)상에는 절연체인 절연시트(42)를 배치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양극집전태브(24)는 상기 절연시트(42)와 스페이서(56)와의 사이를 상기 양극집전태브(24)의 절삭부(도출 시단(始端))에서 이 절삭부에 대향하는 측으로서 봉구판(50) 외주 에지와 전지외장관(60)의 내면과의 사이(도출 종단)까지 유도되어 있다.
또, 상기 전지외장관(60)의 개구 에지의 형상은 장방형이며, 상기 전지외장관(60)의 개구 에지로서 상기 양극집전태브(24)의 도출 시단으로부터 최단거리에 있는 지점을 최단거리점(H)으로 했을 때, 이 최단거리점(H)과 상기 양극집전태브 (24)의 선단부분이 용접되는 용접부(70)(도출 종단)는 상기 장방형이 서로 대향하는 2변상에 각각 위치하고 있으며, 상기 최단거리점(H)과 상기 용접부(70)는 최단거리에 있다.
상기 절연시트(42)는 상기 양극집전태브(24)와 와류전극체(40)를 구성하는 제2 양극판인 음극판(30)이 접촉하여 단락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이며, 절연성을 가지고, 또한 내(耐)전해액성을 갖는 것이면 된다. 예를들면, 상기 절연시트 (42)로서는 폴리프로필렌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양극집전태브(24)와 전지외장관(60)의 최상부의 개구 에지벽과 봉구덮개(50)를 레이저광으로 일체적으로 용접함으로써 봉구전지를 제작하였다.
또한, 본 실시형태 2에 관한 봉구전지에서는 올려 세워서 이루어지는 양극집전태브(24)를 종래에 비교하여 길게 할(즉, 절삭부를 크게 할) 필요가 있지만, 상기 양극집전태브(24)의 선단이 봉구판(51) 상면보다 약간 돌출하는 정도이면 된다.
〈실시예 2-1〉
실시예 2-1로서는 상기 실시형태 2에 나타낸 봉구전지를 사용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전지를 다음과 같이 본 발명 전지 A2 라고 한다.
〈비교예 2-1〉
종래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하여 봉구전지를 제작하였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한 전지를 다음과 같이 비교전지 X2 라고 한다.
〔실험 2〕
상기 본 발명 전지 A2 및 비교전지 X2 를 낙하시켜서 충격을 가한 경우에, 몇회째의 낙하에서 태브의 절단이 발생하는가를 조사하였으므로,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낸다. 그리고, 1세트라는 것은 전지를 6회 낙하시키는 조건을 의미한다.
또한, 본 실험 2는 본 발명 전지 A2 및 비교전지 X2 를 30㎝의 높이에서 P 타일(플라스틱 타일) 위에 낙하시킨다고 하는 것이다.
(1set = 6회)
전지의 종류 태브의 절단 발생횟수
본 발명 전지 A2 35 ∼ 60set(210 ∼ 360회)
비교전지 X2 2 ∼ 6set(12 ∼ 36회)
표 2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비교전지 X2 에서는 2 ∼ 6세트(12 ∼ 36회)낙하시키면 양극집전태브의 태브의 절단이 발생하고 있는 것에 대하여, 본 발명 전지 A2 에서는 35 ∼ 60세트(210 ∼ 360회) 낙하시키지 않으면 태브의 절단이 발생하지 않았음이 확인되었다.
이상에서, 상기 양극집전태브(24)를 상기 절연시트(42)와 스페이서(56)와의 사이에 유도하고. 상기 양극집전태브(24)의 절삭부(도출 시단)와 대향하는 측의 봉구덮개(50)의 외주부(도출 종단)에 양극집전태브(24)의 선단부를 용접하는 본 발명 전지 A2 는 비교전지 X2 에 비하여 집전에 대한 신뢰성이 높다는 것을 알았다.
(그 외의 사항)
이상, 본 발명을 몇가지의 실시형태(또는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해 왔지만, 본 발명은 모두 이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즉, 예를들면 다음과 같이 해도 된다.
〔실시형태 1 및 실시형태 2에 대하여〕
(1) 절삭부에 의해 집전태브를 형성하는 것은 음극측이다.
(2) 절삭부에 의해 집전태브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제1 전극판(와류전극체의 최외주부분에 위치하는 양극판의 심체 노출부)에 집전태브를 스폿용접한다.
(3) 정부(正負)의 심체(芯體) 등의 치수, 재질 등은 다른 값이나 재료로 하고 있다. 또한, 전지외장관도 반드시 금속만은 아니다.
(4) 전지의 형상은 수평(횡) 단면의 정상부가 둥근형상의 대략 장방형, 원형 또는 타원형, 그 외 이른바 시트형 등으로 하고 있다.
(5) 전지의 발전(發電)요소의 종류는 별도의 것이다.
(6) 절삭 개시단에 둥글게 하는 등 다른 고안도 채용하고 있다.
〔실시형태 1에만 대하여〕
(7) 스페이서에 형성된 홈부의 형상은, 전지 낙하시에 홈부내의 집전태브의 굴곡부가 조출(繰出)되어서, 와류전극체와 전지외장관, 봉구덮개와의 상대 이동을 흡수하는 형상이면 되고, 예를들면, 역(逆) "U"자형, "V" 자형, 2단형의 홈부 등으로 하고 있다.
(8) 절연부재 그 자체를 일체형이 아닌 조립형으로 하고 있다. 또는 각 부의 다소의 제조오차의 흡수, 적절한 압압력의 확보를 위해 최소한 일부를 강체(剛體)가 아닌 절연성 고무 등의 탄성체로 만들고 있다.
그러므로, 예를들면 얇은 고무시트를 개념적으로는 도 3(a)와 같이 절삭하여 제조하고, 홈부에 해당하는 부분만 도 3(a)의 중앙부와 같이 다시 절단 제거하고 있다.
(9) 집전태브의 홈부내의 구부림의 상태는 2단, 3단의 구부림으로 되어 있다.
〔실시형태 2에만 대하여〕
(10) 절연시트 대신 양극집전태브에 절연물을 피복하여, 양극집전태브가 와류전극체를 구성하는 음극판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11) 와류전극체를 양극판이 음극판보다 전지외장관의 개구방향으로 돌출하도록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감아서 구성하고, 양극집전태브가 음극판과 접촉하는 것을 방지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전지를 낙하시키는 등의 충격을 가한 경우에도 집전태브의 태브의 절단을 방지하여,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우수한 효과를 가진다.

Claims (10)

  1. 개구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전지외장관(罐)과,
    상기 전지외장관에 수납된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을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감아서 이루어지는 와류전극체와,
    상기 개구를 봉구하는 봉구(封口)판을 가지는 봉구덮개와,
    상기 와류전극체의 최외주부분에 위치하는 제1 전극판의 심체(芯體) 노출부에서 도출되는 제1 집전태브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1 집전태브의 선단부분을 상기 봉구판과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에지와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제1 집전태브와 전지외장관과 봉구판이 용접되는 구조의 봉구전지에 있어서,
    상기 개구에지로서 상기 제1 집전태브의 도출 시단(始端)에서 최단거리에 있는 지점을 최단거리점으로 할 때,
    상기 제1 집전태브의 선단부분이 용접되는 도출 종단(終端)은, 상기 최단거리점 이외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구전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에지의 형상을 장방형이며,
    상기 최단거리점과 상기 도출(導出) 종단은, 상기 장방형이 서로 대향하는 2변(二邊)상에 각각 위치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구전지.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최단거리점과 상기 도출 종단은 최단거리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구전지.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에지의 형상은 원형 또는 타원형이며,
    상기 도출 종단은, 상기 최단거리점에서 상기 원형 또는 타원형의 1/4 둘레 길이에서 떨어진 지점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구전지.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전태브는, 상기 봉구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절연부재와 상기 와류전극체와의 사이로 유도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집전태브와 제2 전극판이 단락(短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단락방지수단이 상기 제1 집전태브와 상기 와류전극체와의 사이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구전지.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단락(短絡)방지수단은 상기 와류전극체상에 배치되는 절연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구전지.
  7. 개구를 가지는 바닥이 있는 통형의 전지외장관과,
    상기 전지외장관에 수납된 제1 전극판과 제2 전극판을 세퍼레이터를 통하여 감아서 이루어지는 와류전극체와,
    상기 개구를 봉구하는 봉구판과 이 봉구판의 하면에 배치되는 절연부재를 가지는 봉구덮개와,
    상기 와류전극체의 최외주부분에 위치하는 제1 전극판의 심체 노출부에서 도출되는 제1 집전태브를 가지고,
    또한 상기 제 1 집전태브의 선단부분을 상기 봉구판과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 에지와의 사이에 끼운 상태로 제1 집전태브와 전지외장관과 봉구판이 용접되는 구조의 봉구전지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제1 집전태브가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측 방향으로 유도되는 부분에 홈부를 가지고,
    상기 제1 집전태브는, 상기 절연부재의 홈부에 오목한 굴곡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구전지.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홈부는 상기 전지외장관의 바닥측 방향으로 개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구전지.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집전태브는, 상기 와류전극체의 최외주부분에 위치하는 제1 전극판에 형성된 심체 노출부에 칼집을 내어 이 절삭부를 올려 세워서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측 방향으로 꺾음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구전지.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집전태브는, 상기 와류전극체의 최외주부분에 위치하는 제1 전극판에 형성된 심체 노출부에 칼집을 내어 이 절삭부를 올려 세워서 상기 전지외장관의 개구측 방향으로 꺾음으로써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봉구전지.
KR1019990047358A 1998-10-30 1999-10-29 봉구전지 KR10062255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1023498 1998-10-30
JP310234 1998-10-30
JP289044 1999-10-12
JP28904499A JP4289738B2 (ja) 1998-10-30 1999-10-12 封口電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9402A true KR20000029402A (ko) 2000-05-25
KR100622559B1 KR100622559B1 (ko) 2006-09-12

Family

ID=2655743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7358A KR100622559B1 (ko) 1998-10-30 1999-10-29 봉구전지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6432578B1 (ko)
JP (1) JP4289738B2 (ko)
KR (1) KR100622559B1 (ko)
CN (1) CN1214474C (ko)
HK (1) HK1027907A1 (ko)
TW (1) TW434933B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614A (ko) * 2002-02-22 2003-08-27 주식회사 비츠로셀 리튬 전지의 양극 및 음극 단자 연결 방법
RU200200U1 (ru) * 2020-03-12 2020-10-1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нергия" (АО "Энергия") Химический источник ток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09606B1 (ko) 2003-02-19 2005-08-2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젤리-롤형의 전지부와, 이의 와인딩 방법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
KR100563055B1 (ko) 2003-08-19 2006-03-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권취형 전극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JP4863636B2 (ja) * 2005-03-29 2012-01-25 三洋電機株式会社 渦巻式電極の角型電池
KR100965718B1 (ko) * 2008-10-08 2010-06-24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이차 전지
JP5550892B2 (ja) * 2009-12-15 2014-07-16 三洋電機株式会社 密閉偏平形二次電池
JP5691959B2 (ja) * 2011-09-13 2015-04-01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 二次電池用電極組立体及び二次電池並びに車両
JP6212846B2 (ja) 2011-10-04 2017-10-18 株式会社Gsユアサ 電気化学装置
CN103931016B (zh) * 2011-11-11 2016-08-17 三洋电机株式会社 电池组
KR101674264B1 (ko) 2014-01-28 2016-11-08 주식회사 엘지화학 전극조립체 및 그를 포함하는 전지셀
CN106299447B (zh) * 2016-08-29 2018-12-21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电池
JP2018073599A (ja) * 2016-10-28 2018-05-10 マクセルホールディングス株式会社 電気化学素子
US20210119289A1 (en) * 2018-04-06 2021-04-22 Sanyo Electric Co., Lt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JP7157956B2 (ja) * 2018-11-29 2022-10-21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円筒型電池及びその製造方法
CN114243230B (zh) * 2022-02-23 2022-05-31 深圳市格林晟科技有限公司 一种电芯极耳焊接汇流方法及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39760A (en) * 1993-11-19 1995-08-08 Medtronic, Inc. High reliability electrochemical cell and electrode assembly therefor
JP3561554B2 (ja) * 1995-05-31 2004-09-02 三洋電機株式会社 電池
JP3568312B2 (ja) * 1995-10-16 2004-09-22 三洋電機株式会社 レーザー封口電池
KR100405873B1 (ko) * 1995-07-28 2004-03-30 산요덴키가부시키가이샤 레이저밀봉전지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69614A (ko) * 2002-02-22 2003-08-27 주식회사 비츠로셀 리튬 전지의 양극 및 음극 단자 연결 방법
RU200200U1 (ru) * 2020-03-12 2020-10-13 Акционерное общество "Энергия" (АО "Энергия") Химический источник ток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434933B (en) 2001-05-16
CN1214474C (zh) 2005-08-10
CN1253384A (zh) 2000-05-17
US6432578B1 (en) 2002-08-13
KR100622559B1 (ko) 2006-09-12
JP4289738B2 (ja) 2009-07-01
JP2000200595A (ja) 2000-07-18
HK1027907A1 (en) 2001-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493623B2 (ja) 二次電池
KR100622559B1 (ko) 봉구전지
KR100599709B1 (ko) 이차 전지
JP5356451B2 (ja) 二次電池
US7862925B2 (en) Secondary battery
EP2228852B1 (en) Rechargeable battery comprising current collecting plates with improved structure
EP1659651B1 (en) Can-type secondary battery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101182904B1 (ko) 전극 조립체와 이를 이용한 이차 전지 및 그 제조방법
JP2020074286A (ja) 二次電池
KR100786871B1 (ko) 이차 전지
KR100824878B1 (ko) 이차전지
KR100667945B1 (ko) 이차 전지
KR100599803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전극 조립체 및 집전판
KR20050098318A (ko) 전극 조립체와 이를 구비한 이차 전지
KR100601513B1 (ko) 리튬 이차 전지
KR20030074441A (ko) 밀폐형 전지
KR100637440B1 (ko) 이차 전지와 이에 사용되는 단자 조립체
KR101127606B1 (ko) 집전판의 구조가 개선된 이차전지 및 그 집전판
JP3877464B2 (ja) 溶接封口電池
JP4169406B2 (ja) 溶接封口電池
KR100646541B1 (ko) 캔형 이차 전지
CN110911723A (zh) 二次电池
JP4416203B2 (ja) 溶接封口電池
KR100322099B1 (ko) 각형 이차 전지
KR100563027B1 (ko) 이차전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1

Year of fee payment: 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19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