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752A - 조절가능한 페달용 장착 조립체 - Google Patents

조절가능한 페달용 장착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752A
KR20000028752A KR1019990042017A KR19990042017A KR20000028752A KR 20000028752 A KR20000028752 A KR 20000028752A KR 1019990042017 A KR1019990042017 A KR 1019990042017A KR 19990042017 A KR19990042017 A KR 19990042017A KR 20000028752 A KR20000028752 A KR 200000287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pedal
pedal arm
fastener
pedal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20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65124B1 (ko
Inventor
선더 아난타시반
크리스토퍼제이. 릭슨
Original Assignee
텔레플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텔레플렉스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텔레플렉스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0000287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7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512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5124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KARRANGEMENT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S OR OF TRANSMISSIONS IN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PLURAL DIVERSE PRIME-MOVERS IN VEHICLES; AUXILIARY DRIVES FOR VEHICLES; INSTRUMENTATION OR DASHBOARDS FOR VEHICLES; ARRANGEMENTS IN CONNECTION WITH COOLING, AIR INTAKE, GAS EXHAUST OR FUEL SUPPLY OF PROPULSION UNITS IN VEHICLES
    • B60K26/00Arrangements or mounting of propulsion unit control devices in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05G1/4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adjustable
    • G05G1/405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adjustable infinitely adjust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B60T7/065Disposition of pedal with means to prevent injuries in case of collision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28Foot operated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74/00Machine element or mechanism
    • Y10T74/20Control lever and linkage systems
    • Y10T74/20576Elements
    • Y10T74/20888Peda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Control Devices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Auxiliary Drives, Propulsion Controls, And Safety Devices (AREA)

Abstract

차량(10)용 페달 조립체(12)는 브래킷(16), 페달 암(20) 및 지지장치(26)를 포함한다. 브래킷(16)은 방화벽 또는 차량 계기판조립체와 같은 차량 구조물(18)에 장착되도록 개조된다. 페달 암(20)은 페달 패드(24)를 지지하도록 브래킷(16)에서 말단부(22)까지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지지장치(26)는 정상동작시에 브래킷(16)에 대한 동작면(28)내에서 페달 암(20)의 피벗운동을 허용하고 페달 암(20)과 브래킷(16) 사이에서 소정의 힘에 반응해서 동작면(28) 범위 밖으로 페달 암(20)을 유도하도록 페달 암(20)과 브래킷(16)을 상호연결한다. 따라서, 정상동작하에서 페달 조립체(12)는 정지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피벗으로 이동되지만, 페달 패드(24)에 가해지는 부하가 소정의 힘을 초과할 때 지지장치(26)는 브래킷(16)에 대하여 페달 조립체(12)를 수평으로 이동시켜서 페달 조립체(12)는 차량 운전자(14)로부터 분리 이동된다.

Description

조절가능한 페달용 장착 조립체{MOUNTING ASSEMBLY FOR AN ADJUSTABLE PEDAL}
본 발명은 차량 페달 조립체에 사용되는 지지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상기 지지장치는 정상적인 차량 동작상태 하에서는 정상적인 차량 부하를 견딜 수 있으나, 차량 충돌시에 페달 조립체 구성요소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자동 초기 고장모드(built-in initial failure mode)를 포함해서 설계되었다.
페달 조립체는 차량에 있어서 차량의 움직임을 제어하는데 사용된다. 예를들면, 차량 운전자는 제동페달에 힘을 가해서 정지위치(rest position)에서 사용위치(use position)로 페달을 이동시킨다. 사용위치시, 제동페달은 차량 제동시스템을 가동시켜서, 차량의 속도를 줄이거나 정지시킨다. 때때로 이들 페달 조립체는 운전자가 페달 암(pedal arm) 및/또는 페달 패드의 위치를 이동시킬 수 있는 조절장치를 포함한다. 조절장치는 페달 조립체가 다양한 신장의 운전자에게 편의를 도모하도록 한다. 따라서, 조절장치는 운전자가 단신일 경우에는 페달 조립체를 운전자에 더 가까이 이동되도록 하고, 운전자가 장신일 경우에는 페달 조립체를 운전자로부터 더 멀리 이동되도록 한다.
페달 조립체는 차량의 정상적인 동작동안 발생하는 정상적인 페달힘을 견딜수 있어야 한다. 페달 조립체는 지지장치에 의해 차량에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페달 암은 상기 지지장치에 피벗으로 장착되어 상기 정지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페달 암 피벗동작을 허용한다. 운전자가 다른 차량 또는 기타 물체와 충돌을 피하려고 할 때와 같이 페달 패드를 힘껏 밟을 때, 페달 패드에 가해지는 큰 힘은 지지장치로 전달된다.
공지된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차량 충돌시, 운전자는 통상적으로 차량을 정지시켜 충돌을 피하려고 페달 패드를 밟는다. 그러나, 차량이 다른 물체와 실제적으로 충돌하는 경우, 큰 힘이 페달 조립체를 통해 운전자에게 가해진다. 바꾸어 말하면, 운전자가 페달에 한 방향으로 힘을 가하고 있는 반면에 충돌력이 운전자가 가하는 힘의 반대방향으로 페달 조립체에 가해지고 있다. 통상적으로 충돌력은 운전자가 페달 패드에 가하는 힘보다 크다. 이는 페달 조립체가 운전자에게 상방으로 힘이 가해지는 결과가 되어 다양한 페달 구성요소가 운전자와 접촉하여 운전자에게 해를 입힐 수 있다. 이것은 잠재적으로 운전자에게 해를 입힐 수 있는 많은 페달 구성요소가 존재하기 때문에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에 있어 특히 중요하다.
따라서, 정상적인 차량 동작시에는 페달이 정지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피벗되도록 하는 지지장치를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나, 차량 충돌시에는 지지장치가 페달 조립체를 차량 운전자로부터 멀리 움직일 수 있도록 설계된다.
도 1은 본 페달 조립체를 포함하는 차량의 측면도;
도 2는 정상 동작면에서 피벗팅하는 페달 조립체의 사시도;
도 3은 동작면 범위 밖으로 굽은 페달 조립체의 사시도;
도 4는 도 2에 도시된 페달 조립체의 부분 분해 조립도;
도 5는 정상 동작위치에서 페달 조립체의 부분 절단 측면도; 및
도 6은 정상 동작위치 범위 밖으로 이동된 페달 조립체의 부분 절단 측면도.
본 발명의 다른 장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하기의 상세한 설명을 참고로 할 때 더 잘 이해될 수 있음은 용이하게 인식될 것이다.
페달 조립체는 브래킷(bracket), 페달 암 및 지지장치를 포함한다. 브래킷은 차량 구조물에 장착되도록 개조된다. 페달 암은 페달 패드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브래킷에서 말단부까지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지지장치는 정상 동작동안 브래킷에 대한 동작면(operating plane)내에서 페달 암의 피벗운동을 허용하고, 페달 암과 브래킷 사이에서 소정의 힘에 반응하여 동작면 범위 밖으로 페달 암을 유도하도록 페달 암과 브래킷을 상호연결시킨다.
도면을 참고하는데 있어서, 동일한 숫자는 몇 개의 도면을 통해서 동일 또는 해당 부분을 도시하는 것으로, 차량은 도 1에서 10으로 도시된다. 차량(10)은 차량 운전자(14)에 의해서 정지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이동되는 페달 조립체(12)를 포함한다. 사용위치에 있어서, 페달 조립체(12)는 예를들면 차량(10)의 움직임을 제어하는 제동시스템과 같은(도시되지 않음) 차량시스템을 작동시킨다.
페달 조립체(12)는 방화벽 또는 계기판조립체와 같은 차량 구조물(18)에 장착되도록 개조되는 브래킷(16)을 포함한다. 페달 조립체(12)는 도 2에 보다 상세하게 도시된다. 페달 암(20)은 페달 패드(24)를 지지하기 위해 브래킷(16)에서 말단부 (distal end)(22)까지 아래쪽으로 연장된다. 운전자(14)는 정지위치에서 사용위치로 페달 패드(24)를 이동시키기 위해서 페달 패드(24)에 힘을 가한다. 도면부호 26으로 도시되는 지지장치는 정상동작 동안에 브래킷(16)에 대해 동작면(18)내에서 페달 암(20)의 피벗운동(도 1에서 화살표 A로 표시됨)이 되도록 하고, 소정의 힘에 반응해서 페달 암(20)과 브래킷(16) 사이에서 동작면(28) 범위 밖으로 페달 암(20)을 유도하도록 페달 암(20)과 브래킷(16)을 상호연결한다. 동작면(28)은 도 2에 도시된 점선으로 표시된다.
페달 암(20)과 브래킷(16) 사이의 소정 힘(predetermined force)은 운전자 (14)가 페달 패드(24)에 발을 올려놓고 있는 동안 다른 차량 또는 기타 물체와 충돌하는 차량(10)으로 인한 충돌력에 기초한다. 따라서, 페달 조립체(12)는 운전자(14)가 페달 패드(24)에 정상적인 힘을 가할 때, 즉 페달 패드(24)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의 힘보다 작을 때 정상동작 동안 정지위치와 사용위치 사이에서 피벗되도록 설계된다. 차량(10) 충돌시와 같이 운전자(14)가 페달 패드(24)에 큰 힘을 가해서 소정의 힘에 도달되면, 지지장치(26)는 도 3에 도시된 것처럼 페달 조립체(12)를 운전자(14)로부터 멀리 동작면(28) 범위밖으로 유도하도록 설계된다.
지지장치(26)는 피벗 축(32)에서 페달 암(20)을 브래킷(16)에 피벗으로 연결하기 위해 도 4에 상세히 도시된 파스너(fastener)(30)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파스너(30)는 볼트가 바람직하지만,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파스너도 사용될 수 있다. 파스너(30)는 브래킷(16)에 고정되는 제 1단부(34) 및 페달 암(20)이 동작면(28)내에 존재하는 제 1위치와 페달 암(20)이 동작면(28) 범위 밖으로 이동되는 제 2위치 사이에서 브래킷(16)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 2단부(36)를 갖는다. 파스너(30)의 제 2단부는 페달 암(20)과 브래킷(16) 사이에서 소정의 힘에 반응하여 제 1위치에서 제 2위치로 이동한다. 따라서, 차량(10) 충돌시 소정의 힘에 도달할 경우, 제 1단부(34)가 고정된 채로 유지되면서, 파스너(30)의 제 2단부(36)가 이동되어 페달 조립체(12)가 운전자(14)의 조작영역 밖으로 휘게 한다.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같이, 브래킷(16)은 파스너(30)의 제 2단부(36)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38)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슬롯(38)은 제 1단부(40), 및 피벗 축(32)과 일치되는 중심부(44)를 갖는 반원부의 제 2단부(42)를 포함한다. 제 1단부(40) 및 제 2단부(42)는 세장형 슬롯부(46)에 상호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장형 슬롯부(46)는 제 1단부(40)에서 제 2단부(42)까지 피벗 축(32)에 대해 일정 각으로 연장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슬롯(38)은 슬롯의 제 2단부(42)에 인접하며서로 대향되어 슬롯(38)으로 부분 연장되는 적어도 한 확장부(extension)(48)를 포함한다. 확장부(48)는 정상동작시에 페달 암(20)이 피벗 축(32)에 대해 피벗할 수 있도록 제 1위치에 파스너(30)를 유지시킨다.
파스너(30)에 확장부(48)를 맞물리게 하기 위한 몸체부 (50)를 포함하여 운전자(14)에 의해 페달 패드(24)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의 힘과 동일하거나 초과할 때, 몸체부(50)는 페달 암(20)을 동작면(28)에서 멀어지도록 휘게 하여 슬롯(38)을 따라 변형되어 미끄러진다. 따라서, 소정의 힘에 도달될 때, 파스너(30)의 몸체부(50)는 확장부(48)로 눌려져서 파스너(30) 및 확장부(48)의 변형이 발생하게 되어, 제 1단부(34)가 고정된 상태를 유지하는 동안 반해 파스너(30)가 제 2단부(36)는 슬롯(38)을 따라 이동되게 한다.
슬롯(38)은 슬롯(38)의 제 2단부(42)에 인접하고 슬롯(38)에서 서로 마주보게 부분 확장되는 적어도 2개의 확장부(48)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확장부(48)는 정상동작 동안 페달 암(20)이 피벗 축(32)에 대해 피벗할 수 있도록 제 1위치에 파스너(30)를 유지시킨다. 페달 패드(24)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의 힘에 도달할 때, 파스너(30)의 몸체부(50)는 확장부를 맞물고 있으므로 파스너(30) 및 확장부(48)는 변형 또는 전단되어 페달 조립체(12)를 동작면(28) 범위 밖으로 휘게하여 운전자(14)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브래킷(16)은 파스너(30)의 제 1단부(34)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54)를 한정하는 제 1브래킷부(52) 및 파스너(30)의 제 2단부(36)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38)을 포함하는 제 2브래킷부(56)를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같이, 슬롯(38)은 피벗 축(32)을 따라 제 1브래킷부(52)의 개구(54)와 일치되는 중심부(44)를 한정하는 하나의 제 2단부(42)를 갖는다. 제 1브래킷부(52)는 제 2브래킷부(56)와 별도의 분리된 부품이거나, 제 1브래킷부(52)와 제 2브래킷부(56)가 도 2에 도시된 것처럼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일체형이 되는 제 1브래킷부(52) 및 제 2브래킷부(56)의 단일 브래킷(16)을 갖는 것이 페달 조립체(12)에 있어 전체 부품수를 감소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페달 조립체(12)가 정상동작 위치에 있을 때, 파스너는 피벗 축(32)을 따라 제 1브래킷부(52)와 제 2브래킷부(56) 사이로 연장되도록 개구(54) 및 슬롯(38)을 통해 삽입된다. 페달 조립체(12)가 동작면(28) 범위 밖으로 이동될 때, 파스너의 제 2단부(36), 즉 슬롯(38)에서 파스너(30)의 단부(36)는 피벗 축(32) 상에서 이탈되는데 반해 파스너(30)의 제 1단부(34)는 피벗 축(32)상에 여전히 유지된다. 파스너(30)의 제 1단부(34)를 고정시키는 것은 페달 조립체를 운전자(14)로부터 일직선상에 단지 멀어지게 하는 대신에, 페달 조립체(12)를 운전자(14)로부터 멀어지게 휘게 한다.
페달 암(20)은 슬롯(38)에 인접한 파스너(30)에 피벗 장착된다. 파스너(30)상에 위치한 페달 암(20)은 페달 패드(24)에 가해지는 힘을 제 2단부(36) 근처의 파스너(30)로 전달되도록 한다. 따라서, 파스너(30)의 제 2단부(36)가 슬롯(38)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데 필요한 소정의 힘은 브래킷(16)에 대한 파스너(30)상의 페달 조립체(12)의 피벗 지지점의 위치 결정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정된다.
지지장치(26)는 브래킷(16)으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며, 도면부호 58로 도시되는 조절장치를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12) 상에 사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장치(58)는 다수의 작동가능한 위치 사이에서 브래킷(16)에 대해 화살표 B에 의해 표시되는 것처럼 전후방향으로 페달 암(20)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킨다. 조절장치(58)는 페달 암의 상대적인 선형운동을 위해, 페달 암(20)을 지지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도봉(60)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조절장치(58)는 본 발명 출원의 양수인에게 허여된 미국특허 제 5,632,183호에 도시된 형태이다.
조절장치(58)는 원통형 튜브부(62)를 포함하고 페달 암(20)이 이 튜브부로부터 연장된다. 원통형 튜브부(62)는 전기적으로 작동될 때 유도봉(60)을 따라 전후로 이동된다. 운전자(14)가 전기제어장치(도시되지 않음)를 작동시킴으로써 페달 조립체(12)의 위치를 선택적으로 제어한다. 조절장치(58)가 유도봉(60) 및 원통형 튜브(62) 구성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본 기술분야에 공지된 다른 조절장치(58)를 포함하는 어떠한 형태의 조절장치도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상기에 기술된 바와 같이, 지지장치(26)는 피벗 축(32)에서 페달 조립체(12)를 브래킷(16)에 피벗 축(32)에서 피벗 연결하기 위해 파스너(30)를 포함한다. 조절장치(58)는 파스너(30)에 피벗으로 장착되고 파스너로부터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암(64)을 포함한다. 암(64)은 암(64)으로부터 운전자(14)를 향해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도봉(60)에 연결된다. 페달 조립체(12)는 유도봉(60)에 대해서 선형운동을 하고 피벗 축(32) 둘레로 브래킷(16)에 대해서 피벗운동을 하도록 유도봉(60)상에 지지된다.
파스너의 제 1단부(34)는 브래킷(16)에 고정되고, 제 2단부(36)는 조절장치(58)가 페달 암(20)과 브래킷(16) 사이의 소정 힘에 반응하여 페달 조립체(12)를 따라 동작면(58) 범위 밖으로 멀어지도록 브래킷(16)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다. 따라서, 조절장치(58)와 브래킷(16)을 상호연결하는 지지장치(26)는 페달 패드(24)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의 힘을 초과할 경우 브래킷(16)에 대해서 페달 암(20)과 조절장치(58)를 수평으로 이동시킨다.
정상동작시, 운전자(14)가 페달 패드(24)에 힘을 가해서 페달 암을 정지위치에서 사용위치로 이동시켜 해당 차량제어시스템을 작동시킬 때, 페달 암(20)은 피벗 축(32)에 대해 피벗될 것이다. 차량(10) 충돌시, 운전자(14)가 일정방향으로 페달 패드(24)에 큰 힘을 가하여 충돌력에 반대방향으로 맞서게 될 경우, 지지장치(26)는 브래킷(16)에 대한 페달 조립체(12)와 조절장치(58)의 움직임을 제어한다. 따라서, 차량(10)이 다른 물체와 충돌해서 페달 조립체(12)와 다른 페달 구성요소들이 운전자(14)쪽으로 이동하기 시작할 경우, 지지장치(26)는 브래킷(16)에 대해서 페달 암(20), 페달 패드(24) 및 조절장치(58)를 축방향으로 유도해서 운전자(14)로부터 멀어지게 한다. 상기 지지장치(26)는 충돌시 운전자(14)가 페달 조립체(12) 및/또는 조절장치(58)와의 접촉으로 인해 상처를 입지 않도록 이들 구성요소들의 운동 제어한다.
본 발명은 예시적인 방식으로 기술되었으며, 사용된 용어는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이 아니라 설명을 위한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백히 상기 설명을 통해 본 발명의 많은 변형 및 변화가 가능하다. 본 발명의 도면 부호는 편의상 기재된 것이지 제한하려는 것이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이 특별히 기술된 것과 다르게 실시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Claims (21)

  1. 차량 구조물(18)에 장착되도록 개조된 브래킷(16) ;
    페달 패드(24)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브래킷(16)으로부터 말단부(22)까지 하향 연장되는 페달 암(20)을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정상동작시에 상기 브래킷(16)에 대해 동작면(28)내에서 상기 페달 암(20)의 피벗운동을 허용하고, 상기 페달 암(20)과 상기 브래킷(16) 사이의 소정 힘에 반응해서 상기 동작면(28) 범위 밖으로 상기 페달 암(20)을 유도하기 위해 상기 페달 암(20)과 상기 브래킷(16)을 상호연결하는 지지장치(2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페달 조립체.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26)가 피벗 축(32)에서 상기 페달 암(20)을 상기 브래킷(16)에 피벗 연결하기 위한 파스너(30)를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파스너(30)가 상기 브래킷(16)에 고정되는 제 1단부(34) 및 상기 페달 암(20)이 상기 동작면(28)내에 존재하는 제 1위치와 상기 페달 암(20)이 상기 동작면(28) 범위 밖으로 이동되는 제 2위치 사이에서 상기 브래킷(16)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 2단부(36)를 포함하고, 상기 파스너(30)의 제 2단부(36)가 상기 페달 암(20)과 상기 브래킷(16) 사이의 소정 힘에 반응하여 상기 제 1위치에서 상기 제 2위치로 이동되는 페달 조립체.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6)이 상기 파스너(30)의 제 2단부(36)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38)을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38)이 제 1단부(40), 및 상기 피벗 축(32)과 일치되는 중심부(44)를 갖는 반원형부의 제 2단부(42)를 포함하고, 상기 제 1단부(40) 및 제 2단부(42)가 세장형 슬롯부(46)에 의해 상호연결되는 페달 조립체.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세장형 슬롯부(46)가 상기 피벗 축(32)에 대해 일정 각으로 상기 제 2단부(42)에서 상기 제 1단부(40)로 연장되는 페달 조립체.
  7.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38)의 상기 제 2단부(42)에 인접하고 상기 슬롯(38)에 부분 연장되는 확장부(48)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 암(20)이 정상동작 동안 상기 피벗 축(32) 주위를 피벗할 수 있도록 상기 확장부(48)가 상기 파스너(30)를 상기 제 1위치에 유지시키는 페달 조립체.
  8. 제 7항에 있어서, 몸체부(50)가 변형되어 상기 슬롯(38)을 따라 미끄러져서 페달 암(20)이 상기 동작면(28)에서 휘어져서 멀어지도록 상기 페달 패드(24)에 가해진 힘이 상기 소정의 힘을 초과할 경우, 상기 파스너(30)가 상기 확장부(48)와 맞물리는 몸체부(50)를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
  9.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슬롯(38)의 상기 제 2단부(42)에 인접해 있고 상기 슬롯(38)에 서로 반대로 부분 확장되는 적어도 2개의 확장부(48)를 포함하고, 상기 페달 암(20)의 정상동작시 상기 피벗 축(32) 주위를 피벗할 수 있도록 상기 확장부(48)가 상기 파스너(30)를 제 1위치에 유지시키는 페달 조립체.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브래킷(16)이 상기 파스너(30)의 제 1단부(34)를 수용하기 위한 개구(54)를 한정하는 제 1브래킷부(52) 및 상기 파스너(30)의 제 2단부(36)를 수용하기 위한 슬롯(38)을 포함하는 제 2브래킷부(56)를 포함하고, 상기 슬롯(38)이 상기 피벗 축(32)을 따라 상기 개구(54)와 일치되는 중심부(44)를 한정하는 하나의 제 2단부(42)를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암(20)이 상기 슬롯(38)에 인접한 상기 파스너(30)에 피벗으로 장착되는 페달 조립체.
  12. 제 1항에 있어서, 다수의 동작가능한 위치사이에서 상기 브래킷(16)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상기 페달 암(20)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해서 상기 브래킷(16)으로부터 외측으로 연장되는 조절장치(58)를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58)가 페달암의 선형이동을 위해 상기 페달 암(20)을 지지하하도록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도봉(60)을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
  14.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26)가 피벗 축(32)에서 상기 조절장치(58)를 상기 브래킷(16)에 피벗 연결하기 위한 파스너(30)를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
  15. 제 14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58)가 상기 페달 암(20)과 상기 브래킷 (16) 사이의 소정 힘에 반응하여 상기 동작면(28) 범위 밖으로 이동되도록 상기 파스너(30)가 상기 브래킷(16)에 고정된 제 1단부(34) 및 상기 브래킷(16)에 대해 이동가능한 제 2단부(36)를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
  16. 차량 구조물(18)에 장착되도록 개조된 브래킷(16);
    페달 패드(24)를 지지하기 위해 상기 브래킷(16)으로부터 말단부(22)에 아래쪽으로 연장되는 페달 암(20)을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에 있어서,
    상기 페달 패드(24)에 가해지는 힘이 소정의 힘을 초과할 경우 상기 브래킷(16)에 대해 상기 페달 암(20)을 횡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상기 페달 암(20)과 상기 브래킷(16)을 상호연결하는 지지장치(26)를 특징으로 하는 페달 조립체.
  17.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26)가 제 1단부 및 제 2단부를 포함하고, 것으로, 상기 제 1단부는 상기 브래킷(16)에 대해서 고정되고 상기 제 2단부는 정상동작시에 상기 브래킷(16)에 대한 동작면(28)내에서 상기 페달 암(20)이 피벗하도록 하고, 상기 페달 패드(24)에 가해진 힘이 상기 소정의 힘을 초과할 시에 상기 페달 암(20)을 상기 동작면(28)에 횡으로 이동시키도록 상기 제 1단부에 대해서 이동가능하는 페달 조립체.
  18. 제 16항에 있어서, 다수의 동작가능한 위치사이에서 상기 브래킷(16)에 대해 전후방향으로 상기 페달 암(20)을 선택적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조절장치(58)을 포함하는 페달 조립체.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장치(58)가 선형운동을 하는 상기 페달 암(20)을 지지하기 위해 외측으로 연장되는 유도봉(60)을 포함하고, 상기 유도봉(60)이 상기 페달 패드(24)에 가해진 힘이 상기 소정의 힘을 초과할 시에는 상기 전후방향에 횡으로 이동하는 페달 조립체.
  20. 제 16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장치(26)가 상기 페달 암(20)을 상기 브래킷(16)에 피벗으로 연결하기 위한 파스너(30)를 포함하고, 상기 파스너(30)가 브래킷에 대해 움직이는 것을 막기 위해 상기 브래킷(16)에 고정되는 제 1단부(34) 및 상기 브래킷(16)에 대해서 이동가능한 제 2단부를 갖는 페달 조립체.
  21. 제 20항에 있어서, 상기 페달 패드(24)에 가해지는 힘이 상기 소정의 힘을 초과할 시에는 상기 파스너(30)의 상기 제 2단부(36)가 상기 브래킷(16)에 대해 이동하게 되어 결과적으로 상기 페달 암(20)이 상기 브래킷(16)에 대해 휘도록 상기 페달 암(20)이 상기 제 2단부(36)에 인접한 상기 파스너(30)상에 지지되는 페달 조립체.
KR1019990042017A 1998-10-26 1999-09-30 조절가능한 페달용 장착 조립체 KR10036512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9/178,964 1998-10-26
US09/178,964 1998-10-26
US09/178,964 US6070489A (en) 1998-10-26 1998-10-26 Mounting assembly for an adjustable pedal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752A true KR20000028752A (ko) 2000-05-25
KR100365124B1 KR100365124B1 (ko) 2002-12-16

Family

ID=226546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2017A KR100365124B1 (ko) 1998-10-26 1999-09-30 조절가능한 페달용 장착 조립체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6070489A (ko)
EP (1) EP0997361B1 (ko)
JP (1) JP3464634B2 (ko)
KR (1) KR100365124B1 (ko)
CA (1) CA2283036C (ko)
DE (1) DE69901991T2 (ko)
ES (1) ES2178867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848087A1 (de) * 1998-10-19 2000-04-20 Mannesmann Vdo Ag Fahrpedalmodul
AU765666B2 (en) 1999-06-24 2003-09-25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Driver control module
US6352007B1 (en) 2000-01-27 2002-03-05 Dura Global Technologies Control system for adjustable pedal assembly
US6247381B1 (en) 2000-01-27 2001-06-19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Adjustable brake, clutch and accelerator pedals
US6609438B1 (en) 2000-08-18 2003-08-26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ic adjustable pedal system with two-piece upper arm
US6679135B1 (en) 2000-09-14 2004-01-20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Energy absorbing brake pedal
US6739212B2 (en) 2000-12-22 2004-05-25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Adjustable pedal controller with obstruction detection
US6516683B2 (en) 2000-12-29 2003-02-11 Dura Global Technologies, Inc. Electric adjustable pedal system with mechanical active lock-up
US6431304B1 (en) * 2001-01-31 2002-08-13 International Truck Intellectual Property Company, L.L.C. Three axis adjustable automotive foot controls
DE10222106A1 (de) * 2002-05-17 2004-01-22 Fico Cables, S.A., Rubi Pedalsicherheitssystem
DE10325495A1 (de) * 2003-06-04 2004-12-30 Zf Boge Elastmetall Gmbh Pedalsystem
KR101000189B1 (ko) 2003-12-31 2010-12-10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보호장치
JP4234095B2 (ja) * 2004-12-09 2009-03-04 株式会社エフテック 自動車の操作ペダル装置
JP4893074B2 (ja) * 2006-04-11 2012-03-07 マツダ株式会社 操作ペダルの支持構造
US8276478B2 (en) * 2006-04-11 2012-10-02 Mazda Motor Corporation Operating pedal support structure
US7987743B2 (en) * 2008-12-19 2011-08-02 Ventra Group, Inc. Positive release crash pedal mechanism
KR101704084B1 (ko) * 2012-10-25 2017-02-07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운전자 보호용 페달장치
US9261894B2 (en) * 2013-03-08 2016-02-16 Woodward, Inc. Multiple degrees of translational adjustment pedals
US9523998B2 (en) 2013-03-14 2016-12-20 Ventra Group Co. Safety release system for pedals
US9889826B2 (en) 2014-02-19 2018-02-13 Ventra Group Co. Variable ratio brake pedal
DE102016112188A1 (de) * 2016-07-04 2018-01-04 Knorr-Bremse Systeme für Nutzfahrzeuge GmbH Pedaleinheit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Nutzfahrzeug
JP2019018627A (ja) * 2017-07-12 2019-02-07 株式会社栗本鐵工所 ペダル後退防止構造体

Family Cites Families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555334B1 (fr) * 1983-11-23 1986-04-11 Peugeot Porte-pedales, notamment d'embrayage et de frein, sur un vehicule automobile
DE3533420A1 (de) * 1985-09-19 1987-03-26 Opel Adam Ag Anordnung zur lagerung des bremspedals
US4989474A (en) * 1986-08-18 1991-02-05 Brecom Corporation Control pedal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US4875385A (en) * 1986-08-18 1989-10-24 Sitrin Gabriel M Control pedal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US5078024A (en) * 1986-08-18 1992-01-07 Comfort Pedals Inc. Control pedal apparatus for a motor vehicle
DE4112132B4 (de) * 1990-04-26 2006-05-24 Volkswagen Ag Hebelwerk
DE4112133B4 (de) * 1990-04-26 2006-05-24 Volkswagen Ag Hebelwerk
DE4409285A1 (de) * 1993-03-31 1994-10-06 Volkswagen Ag Sicherheitsfußhebelwerk für ein Kraftfahrzeug
DE4409324A1 (de) * 1993-03-31 1994-10-06 Volkswagen Ag Sicherheitsfußhebelwerk für ein Kraftfahrzeug
US5531135A (en) * 1993-06-11 1996-07-02 Volkswagon Ag Pedal arrangement for a motor vehicle
US5588338A (en) * 1993-07-02 1996-12-31 General Motors Corporation Snap-in pedal with end caps
US5460061A (en) * 1993-09-17 1995-10-24 Comfort Pedals, Inc. Adjustable control pedal apparatus
JP3267082B2 (ja) * 1994-12-28 2002-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装置
US5632183A (en) * 1995-08-09 1997-05-27 Comfort Pedals, Inc. Adjustable pedal assembly
US5632184A (en) * 1995-10-30 1997-05-27 Callicutt; Allen Safety pedal for motor vehicles
JPH09290714A (ja) * 1996-04-30 1997-11-11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JP3125677B2 (ja) * 1996-04-30 2001-01-22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IT1284785B1 (it) * 1996-09-10 1998-05-21 Siv S P A Sistema per liberare il pedale del freno in caso di collision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716266B1 (en) 2000-02-24
DE69901991T2 (de) 2003-04-10
ES2178867T3 (es) 2003-01-01
EP0997361A1 (en) 2000-05-03
EP0997361B1 (en) 2002-07-03
JP2000148271A (ja) 2000-05-26
CA2283036A1 (en) 2000-04-26
CA2283036C (en) 2003-05-06
DE69901991D1 (de) 2002-08-08
KR100365124B1 (ko) 2002-12-16
JP3464634B2 (ja) 2003-11-10
US6070489A (en) 2000-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5124B1 (ko) 조절가능한 페달용 장착 조립체
US6584871B2 (en) Adjustable pedal assembly
US6186025B1 (en) Break away pedal
US6301993B1 (en) Cam-guided adjustable pedal actuator assembly
KR101469465B1 (ko) 자동차 시트용의 조절 장치 및 조절가능한 자동차 시트
KR0161705B1 (ko) 페달 아암의 조절 장치 및 조절 방법
US6109241A (en) Adjustable pedal assembly with electronic throttle control
US6178846B1 (en) Device for separating a pedal mounting from the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EP0353958A1 (en) Position adjustable pedal assembly
EP0879745A2 (en) Vehicle pedal displacement control structure
US6321617B1 (en) Adjustable pedal assembly
US20020179359A1 (en) Pedal displacement prevention structure for a vehicle and a vehicle thereof
US20010013262A1 (en) Adjustable pedal apparatus
KR20020083472A (ko) 차량의 페달 변위 억제 구조
CN111727148B (zh) 用于机动车辆的转向柱
US20030084744A1 (en) Adjustable assembly
US20070151792A1 (en) Device for mounting a pedal lever
GB2241050A (en) Vehicle foot pedal mounting
JP4014929B2 (ja) ペダル後退量抑制装置
EP1373018B1 (en) Adjustable pedal apparatus with defined adjustment path
EP1318051B1 (en) System to disengage the arm of a pedal
MXPA99009684A (en) Assembly for a regula pedal
KR20040044517A (ko) 차량용 조정가능한 제어 페달
JP3951239B2 (ja) 車両用ペダル支持構造
KR101449858B1 (ko) 충돌 감응 연동 레버를 갖춘 안전페달유닛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