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8665A - 응답 결정 방법, 통신 방법, 및 무선 송수신기 - Google Patents

응답 결정 방법, 통신 방법, 및 무선 송수신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8665A
KR20000028665A KR1019990039181A KR19990039181A KR20000028665A KR 20000028665 A KR20000028665 A KR 20000028665A KR 1019990039181 A KR1019990039181 A KR 1019990039181A KR 19990039181 A KR19990039181 A KR 19990039181A KR 20000028665 A KR20000028665 A KR 200000286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ponse
field strength
transceiver
electric field
radio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918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459298B1 (ko
Inventor
혼다료지
다나무라아끼라
Original Assignee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포만 제프리 엘, 인터내셔널 비지네스 머신즈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포만 제프리 엘
Publication of KR200000286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6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592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5929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04B17/318Received signal streng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ransceivers (AREA)
  • Radio Relay Systems (AREA)
  • Monitoring And Testing Of Transmission In General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정보의 전파를 보다 적절한 형태로 제어한다.
본 발명의 수신측의 무선 송수신기에서는, 다른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스텝과, 측정된 전계 강도와 예를 들면 전계 강도에 관한 응답 폴리시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 타이밍을 결정하는 스텝을 실행한다. 또한, 송신측의 무선 송수신기에서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전계 강도에 관한 응답 폴리시를 지정하는 스텝과, 지정된 응답 폴리시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무선 송수신기에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한다. 이것으로써, 송신측의 무선 송수신기가 접속하려고 하는 영역에 존재하고 있는 무선 송수신기를 지정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응답 결정 방법, 통신 방법, 및 무선 송수신기{RESPONSE DETERMINATION METHOD, COMMUNICATION METHOD, AND WIRELESS TRANSCEIVER}
본원 발명은, 미약 전파에 의해, 기지국으로부터의 무선 신호를 이동국이 다른 이동국으로 중계하는 무선 통신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자세하게는, 이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의 이동국 간의 무선 통신 방법 및 이동국에서의 호출 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특개평9-252277호 공보에는 이하와 같은 기재가 있다. 또 도 1을 참조하기 바란다. 「고정국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는, 우선 이동국 A국에서 수신되고, (중략)A국에서 처리된 후 이동국 B로 중계된다. 이후 차례로 정보는 이동국 B국으로부터, C국, D국으로 중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정보를 중계함으로써 소전력의 통신으로, 광범위의 정보 통신이 가능해진다.」 또, 송신 프레임에 재송신 카운터의 값을 포함하고, 중계할 때마다 재송신 카운터의 값을 1씩 증가시키고, 이 재송신 카운터의 값에 따라 중계 여부를 결정한다. 본 공보는, 이에 따라 정보를 국지적인 것으로 할 수 있다고 기재하고 있다. 그러나, 중계 회수에 따라 중계의 가부를 결정하는 경우에는 문제가 생기는 경우도 있다. 예를 들면, 근거리에 존재하는 이동국끼리 서로 중계하는 경우, 정보가 고정국으로부터 전파되기 전에 중계 횟수의 한도에 달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이동국의 수가 많아졌을 때에, 이동국 간의 통신에 충돌이 빈번하게 생긴다고 하는 문제에 대해 아무런 해결책도 제시되어 있지 않다.
또한, 특개평10-32538호 공보에도 이하와 같은 기재가 있다. 또 도 2를 참조하기 바란다. 「이동체 CR1은, 주행중에 GPS 장치 GP1보다 현재 위치 및 현재의 시각을 수집하고, 그것을 바탕으로 현재까지의 주행 궤적(경로)과 그 경로 상의 평균 속도, 소요 시간, 혼재 정도 등을 교통 정보 메시지 MS1로서 메모리 MM1에 축적하고 있다.」 또한, 도 3에 대해 이하와 같은 기술이 있다. 「이동체 CR1과 이동체 CR2가 상호 통신 가능한 거리에 접근했다고 하자. 이동체 CR2는 자체적으로 보유하고 있는 교통 정보 메시지 MS2-2를 이동체 CR1을 향해 발신하고, 이동체 CR1은 자체 처리하고 있는 교통 정보 메시지 MS1 및 송신할 계산기앞의 메일 정보 메시지 MS6을 이동체 CR2를 향해 발신한다. 이동체 CR2에 수신된 교통 정보 메시지 MS1 중, 이동체 메시지 MS1 중, 이동체 CR2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은 표시 장치 DS2로 신착 정보로서 표시된다. 마찬가지로, 이동체 CR1에 수신된 교통 정보 메시지 MS2-2 중, 이동체 CR1에 있어서 중요한 부분은 표시 장치 DS1에 신착 정보로서 표시된다.」 또한, 이하와 같은 기술이 있다. 「본 실시 형태예의 메시지 전달 시스템은, 본질적으로 데이타의 도달 보증성은 없지만, 도달율을 가능한 한 증가시킬 필요가 있다. (중략) 실제로는, 동일한 지역을 주행하고 있는 이동체가 다수 존재하므로, 어떤 지역/경로의 교통 정보 데이타는, 가장 최근의 것으로 차례로 갱신되어 가게 된다. 특히, 일본과 같이 항상 정체를 일으키고 있는 경우에는, 어떤 이동체의 주변에는 반드시 별도의 이동체가 존재하므로, 실질적으로 유선계의 네트워크와 같은 정도의 고속, 광범위한 메시지 교환이 가능해진다.」 또한, 인스턴트한 메시지는 광역 전달의 필요가 없으므로, 너무 길게는 축적되지 않고, 곧 소멸시키는 취지의 기술은 있지만, 어떻게 인스턴트한 메시지인지를 판단하고, 어떠한 시기에 소멸될지에 대해 구체적인 기재는 없다. 또한, 이동국이 국소적으로 다수 존재하는 경우의 문제에 대해서는 하등 언급되어 있지 않다.
이상 진술한 종래 기술에서는,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된 정보를 이동국끼리 교환해가는 기구에 대해서는 개시되지만, 정보의 전파를 제어하기 위한, 이동국에서의 처리는 중계 횟수로 제어하는 것밖에 개시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원 발명의 목적은, 정보의 전파를 보다 적절한 형태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전파되는 정보의 폭주를 피하는 것도 목적으로 한다.
보다 효율적인 정보의 전파를 가능하게 하는 것도 목적이다.
본 발명의 수신측의 무선 송수신기에서는, 다른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의 소정의 특성(예를 들면 전계 강도)을 측정하는 스텝과, 측정된 소정의 특성과 그것에 대응하는 응답 폴리시(response policy)(예를 들면 전계 강도에 관한 응답 폴리시)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 타이밍을 결정하는 스텝을 실행한다. 소정의 특성으로는 물리적인 특성을 포함한다. 응답 폴리시는, 자체의 응답 폴리시를 이용해도 좋고, 수신한 무선 신호로부터 추출해도 좋다.
응답 폴리시가 지정하는 조건을, 측정된 전계 강도가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응답 타이밍을 무선 신호의 수신으로부터 빠른 시기에 설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전달된 무선 신호에 대해 다른 무선 송수신기보다 빠르게 응답함으로써 접속 확률이 높아진다. 따라서, 응답 폴리시에 합치한 무선 송수신기 간의 접속 확률이 높아진다.
특히, 응답 폴리시가 소정의 레벨이하의 전계 강도를 지정한 경우에서, 측정된 전계 강도가 소정의 레벨이하인 경우에는, 측정된 전계 강도가 소정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 비해 응답 타이밍을 무선 신호의 수신보다 빠른 시기에 설정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신호를 송신한 무선 송수신기가 비교적 먼 다른 무선 송수신기와 접속할 가능성을 높힐 수 있다.
또한, 무선 신호를 발신한 다른 무선 송수신기와의 통신 이력을 검사하는 스텝과, 통신 이력이 다른 무선 송수신기와 소정의 시간 내에 통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무선 신호에 응답하지 않은 것을 결정하는 스텝을 더 실행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단시간에 몇회고 동일한 무선 송수신기와 접속하여, 동일한 정보를 교환하는 것은 시스템 전체의 통신 효율이 나빠지기 때문이다.
또한, 송신측의 무선 송수신기에서는,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전계 강도에 관한 응답 폴리시를 지정하는 스텝과, 지정된 응답 폴리시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무선 송수신기에 송신하는 스텝을 실행한다. 이것으로, 송신측의 무선 송수신기가 접속하려고 하는 영역에 존재하고 있는 무선 송수신기를 지정할 수 있게 된다. 즉, 응답 폴리시에 의해 소정의 상대 거리 이격된 무선 송수신기를 지정하고 있다.
또, 응답 폴리시는 전계 강도의 레벨이거나, 전계 강도의 값의 범위라도 좋다. 또한, 지정된 응답 폴리시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가, 송신측의 무선 송수신기가 송신만 했는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단말 모드를 포함하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수신측의 무선 송수신기가 기지국인 경우에 단말 모드를 포함하면, 수신측의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정보를 송신하지 않아도 된다.
상기 응답 폴리시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송신측의 무선 송수신기가 다른 무선 송수신기가 다수 존재하고 있을 가능성이 높은 장소에 있는 경우에는, 전계 강도의 레벨을 「저」로 지정하거나, 다른 무선 송수신기가 그다지 존재하지 않은 장소에서는 전계 강도의 레벨을 「고」로 지정하거나 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한편, 소정시간마다 전계 강도의 레벨을, 예를 들면 「저」「고」「중」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 본 발명을 무선 송수신기로써 실행되는 처리의 순서를 설명했지만, 당연히 상기 각 스텝을 실행하는 구성 요소를 구비한 무선 송수신기를 실현하는 것은 가능하다. 또한, 상기 각 스텝을 무선 송수신기에 포함되는 처리 장치로써 실행되는 프로그램으로서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때에는, 프로그램은 ROM(Read Only Memory)등의 기억 장치에 저장된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하드디스크와 같은 기억 매체에 기억되는 경우도 생각할 수 있다.
도 1은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의 전제를 나타내는 도면.
도 2는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의 전제를 나타내는 도면.
도 3은 종래 기술 및 본 발명의 전제를 나타내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서의 이동국의 일례의 블럭도.
도 5는 본 발명에서의 무선 송수신기의 상태 천이도.
도 6은 발신원 단말과 수신지 단말의 통신의 형태를 나타낸 흐름도.
도 7은 발신원 단말과 수신지 단말의 통신의 형태를 나타낸 흐름도.
도 8은 수신지 단말의 통신 컨트롤러의 동작을 나타낸 흐름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3 : 송수신기
5 : 전계 강도 측정기
7 : 통신 컨트롤러
9 : 메모리
11 : 표시 컨트롤러
13 : 표시 장치
15 : 입력 장치
위에서도 상술했지만,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기지국으로부터 발신된 정보를 이동국사이에서 호핑(hopping)함으로써 정보(프로그램을 포함함)를 전달한다고 하는 전제는 본원 발명에서도 동일하다. 단, 최초로 정보를 송신하는 정보원은 기지국에 한정되지 않고, 이동국이 정보원이 되는 것도 가능하다. 이하는, 본원 발명에 특징적인, 이동국의 구성, 이동국 간의 통신, 및 이동국에서의 처리에 대해 설명한다.
(1) 이동국의 구성
도 4에 이동국인 무선 송수신기의 구성예를 나타낸 블럭도를 나타낸다. 안테나(1)에 접속된 송수신기(3)는 통신 컨트롤러(7)에 접속되어 있다. 또한 송수신기(3)는, 전계 강도 측정기(5)에도 접속되어 있다. 전계 강도 측정기(5)는, 통신 컨트롤러(7)에 접속되어 있다. 통신 컨트롤러(7)는 메모리(9) 및 표시 컨트롤러(11)에도 접속되어 있고, 표시 컨트롤러는 메모리(9) 및 표시 장치(13) 및 입력 장치(15)에 접속되어 있다. 또, 무선 송수신기는 시계(도시하지 않음)도 포함하고 있다.
송수신기(3)는 안테나(1)로 감지한 무선 신호를 전기 신호로 변환하고, 통신 컨트롤러(7)에 필요한 정보를 전한다. 또한, 송수신기(3)에서 처리된 전기 신호를 전계 강도 측정기(5)에도 출력한다. 전계 강도 측정기(5)는, 송수신기(3)에서 수신한 무선 신호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통신 컨트롤러(7)로 출력한다. 예를 들면, CDMA(Code Division Multi Access) 방식의 무선 단말 또는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단말에서는, RSSI(Receiving Signal Strength Indicator) 신호를 생성하는 수단을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이것을 이용해도 된다. 통신 컨트롤러(7)는, 접속 요구가 송수신기(3)에 의해 수신된 경우에는, 상기 접속 요구에 응답하는지의 여부 및 접속 요구에 응답한다면 언제 응답을 방송하는 지를 결정한다. 그리고, 접속 요구에 응답하는 경우에는, 송수신기(3)가 송신할 정보를 준비하고, 또한 수신한 정보를 메모리(9)에 기억한다. 표시 컨트롤러(11)는 수신하고 또한 메모리(9)에 기억된 정보 중 입력 장치(15)를 이용하여 사용자가 지정된 데이타를 메모리(9)로부터 판독하여, 표시 장치(13)에 표시한다. 또, 어떤 무선 송수신기와 통신을 행했는지를 나타내는 통신 이력을, 통신 시각과 함께 메모리(9)에 기억해 둔다. 이 메모리(9)의 유지 관리 방법에 대해서는, 종래 기술과 동일해서 상관없으므로 여기서는 이 이상 설명하지 않는다.
한편, 통신 컨트롤러(9)는 적당한 타이밍으로 송수신기(3)에 통신을 개시하도록 명한다. 송수신기(3)는, 통신을 개시하도록, 단말 ID 및 나중에 설명하는 응답 폴리시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를 전달하고, 다른 무선 송수신기가 접속 응답을 반송하는 것을 대기한다. 만약 어느 한 무선 송수신기가 접속 응답을 반송할 경우에는, 송수신기(3)는 상기 무선 송수신기와의 접속을 확립하고, 통신을 개시한다. 송신할 정보는 통신 컨트롤러(7)가 메모리(9)로부터 추출하고, 수신한 정보는 통신 컨트롤러(7)가 메모리(9)에 저장한다. 송신할 정보는 송수신기(3)에서 무선 신호로 변환되어 송신된다. 또, 접속 요구에는 위에서 설명한 정보 외에, 접속 요구를 송신한 무선 송수신기가 송신만을 행하는지 또는 수신도 행하는지 나타내는 단말 모드의 지정을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이동국은 이상과 같은 구성을 갖고 있다. 기지국도 도 4와 같은 구성이라도 좋고, 인터넷이나 LAN(Local Area Network)과 같은 유선의 네트워크에 접속하는 기능, 광고 선전과 같은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이차 기억 장치 등을 구비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는 무선 송수신기의 상태 천이도를 나타낸다. 통상은 대기 상태에 있다. 주기적으로 통신 컨트롤러(7)는 발신 상태로 이행하도록 명령한다. 발신 상태에서는 접속 요구를 전달한다. 이 접속 요구를 수신하는 다른 무선 송수신기는 다수 있는 것이 통상적이다. 만약 일정 시간 아무도 접속 응답을 주지 않으면,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만약 어느 한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접속 응답을 수신하면 최초의 접속 응답을 송신한 무선 송수신기와 접속을 확립하여 통화 상태로 이행한다. 통신이 종료되면, 접속을 절단하여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대기 상태에서 다른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접속 요구를 수신하면, 착신 상태로 이행한다. 이 착신 상태에서는, 통신 컨트롤러(7)가, 접속 응답을 반송하여 통신을 행할지의 여부, 및 접속 응답을 반송하는 경우에는 그 응답 타이밍은 언제인지를 결정한다. 접속 응답을 주지 않은 경우에는, 접속 요구를 무시함으로써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한편, 접속 응답을 주는 경우에는, 통화 상태로 이행한다. 접속이 확립하면, 통화 상태에서 통신을 행한다. 만약 접속 응답을 주어도 접속을 확립할 수 없는 경우에는, 통화 상태로는 이행하지만, 곧 절단함으로써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
(2) 이동국 간의 통신
도 6 및 도 7는 송신측 무선 송수신기(이하, 발신원 단말이라고 함)와 수신측 무선 송수신기(이하, 수신지 단말이라고 함)의 통신의 상태를 나타낸다. 우선, 대기 상태에 있는 발신원 단말의 통신 컨트롤러(7A)(A는 발신원 단말의 구성 요소를 나타내고, B는 수신지 단말의 구성 요소를 나타냄)는 접속 요구를 송신하도록 송수신기(3A)에 명한다(도 6의 스텝(1)). 아울러, 통신 컨트롤러(7A)는 발신원 단말의 단말 ID 및 응답 폴리시를 송수신기(3A)로 출력한다. 송수신기(3A)는 단말 ID 및 응답 폴리시를 포함하는 접속 요구를 전달한다(스텝(2)). 여기서는 전계 강도 측정기(5)를 사용하므로, 전계 강도에 관한 응답 폴리시를 지정한다. 예를 들면, 전계 강도를 몇개의 레벨로 미리 나누어두고, 1 또는 복수의 레벨을 지정하도록 해도 좋다. 또한, 전계 강도의 값의 범위를 지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발신원 단말이 송신한 무선 신호를 수신할 수 있었던 수신지 단말은, 송수신기(3B)가 수신하고(스텝(3)), 전계 강도 측정기(5B)에서 상기 접속 요구에 따른 무선 신호의 전계 강도를 측정한다(스텝(4)). 송수신기(3B)는, 통신 컨트롤러(7B)에 접속 요구 수신 통지를 행하고(스텝(5)), 수신한 정보를 출력한다. 통신 컨트롤러(7B)에서는, 수취한 정보로부터 접속 요구 정보를 추출한다(스텝(6)).
그리고, 추출한 정보 내의 단말 ID를 이용하여 통신 이력을 참조한다(스텝(7)). 만약 소정시간 내(예를 들면 5분 이내)에 그 발신원 단말로부터의 접속 요구에 응답하고 있으면, 통신 컨트롤러(7B)는 상기 접속 요구에는 응답하지 않은 것을 결정한다(스텝(8)), 따라서 이 접속 요구 무시라는 결정을 송수신기(3B)로 출력하여, 송수신기(3B)는 착신 동작을 정지시킨다(스텝(9)). 이후, 수신지 단말은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
소정 시간 내에 동일한 발신원 단말과 통신을 행하고 있지 않은 경우의 통신의 상태를 도 7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6의 스텝(7)에서 소정 시간내에 동일한 발신원 단말과 통신을 행하지 않는다고 판단된 경우에, 통신 컨트롤러(7B)는 응답 타이밍을 응답 폴리시라고 측정한 전계 강도로부터 결정한다. 응답 타이밍의 결정 처리에 대해서는 나중에 설명하겠다. 그리고, 결정된 응답 타이밍에서, 송수신기(3B)에 접속 응답을 명한다(스텝(8')). 송수신기(3B)는 접속 응답을 발신원 단말에 송신한다(스텝(9')). 만약 최초의 접속 응답이면, 송수신기(3A)는 접속 응답을 수신하고(스텝(10)), 데이타 링크 확립 동작을 송수신기(3B)와 함께 실시한다. 데이타 링크가 확립되면, 송수신기(3A 및 3B)는 각각 통신 컨트롤러(7A 및 7B)에 접속 완료를 통지한다(스텝(11)). 여기서, 통화 상태로 이행한다.
이어서 발신원 단말의 통신 컨트롤러(7A)는, 발신원 정보 리스트의 송신을 송수신기(3A)에 명하고, 송수신기(3A)는 수신지 단말의 송수신기(3B)로 송신한다(스텝(12)). 발신원 정보 리스트는, 발신원 단말이 유지하고 또한 전송할 정보의 리스트이다. 전송할 정보량이 많은 경우나, 단말에서 필요한 정보가 한정되는 경우등에, 나중에 필요해지는 통신량을 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수신지 단말의 송수신기(3B)는 발신원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고, 통신 컨트롤러(7B)에 출력한다(스텝(13)). 또한, 통신 컨트롤러(7B)는, 수신지 정보 리스트의 송신을 송수신기(3B)에 명하고, 송수신기(3B)는 발신원 단말의 송수신기(3A)에 송신한다(스텝(14)). 발신원 단말의 송수신기(3A)는 수신지 정보 리스트를 수신하고, 그 정보를 통신 컨트롤러(7A)로 출력한다. 통신 컨트롤러(7A)는, 수신한 수신지 정보 리스트 중에서, 사용자가 입력 장치(15A)를 이용하여 지정한 정보 또는 발신원 단말에는 존재하지 않은 정보를 선택한다(스텝(16)). 그리고, 통신 컨트롤러(7A)는 선택한 정보를 수신지 요구 리스트로서 송수신기(3A)에 송신시킨다(스텝(17)). 본 예에서는, 수신지 요구 리스트는 정보 a, b, c이다.
수신지 요구 리스트를 수신한 송수신기(3B)는 그 리스트를 통신 컨트롤러(7B)로 출력한다(스텝(18)). 통신 컨트롤러(7B)는 스텝(13)에서 수신한 발신원 정보 리스트로부터 필요한 정보를 선택하고(스텝(19)), 발신원 요구 리스트를 작성한다. 그리고 통신 컨트롤러(7B)는 송수신기(3B)에 상기 리스트를 발신원 단말로 송신시킨다(스텝(20)). 본 예에서, 발신원 요구 리스트는 정보 A, B, C 이다. 발신원 단말의 송수신기(3A)는 발신원 요구 리스트를 수신하여, 통신 컨트롤러(7A)를 출력한다(스텝(21)). 통신 컨트롤러(7A)는, 수신한 발신원 요구 리스트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메모리(9A)로부터 취득하고(스텝(22)), 송수신기(3A)에 발신원 요구 리스트에 존재하는 정보를 잇달아 송신시킨다(스텝(23)). 본 예에서는, 정보 A, B, C가 요구되고 있으므로, 이들 정보를 차례로 송신하고, 송신이 전부 종료하면 송신 종료를 발신한다. 수신지 단말에서는 송신되어 온 정보를 송수신기(3B)에서 수신하고, 통신 컨트롤러(7B)는 그 정보를 메모리(9B)에 저장한다(스텝(24)).
송신 종료를 수신하면, 통신 컨트롤러(7B)는, 스텝(18)에서 수취한 수신지 요구 리스트에 따라, 필요한 정보를 메모리(9B)로부터 취득하고(스텝(25)), 송수신기(3B)에 수신지 요구 리스트에 존재하는 정보를 잇달아 발신시킨다(스텝(26)). 본 예에서는, 정보 a, b, c가 요구되고 있으므로, 이들 정보를 차례로 송신하고, 송신이 전부 종료하면, 송신 종료를 발신한다. 발신원 단말에서는 송신되어 온 정보를 송수신기(3A)에서 수신하고, 통신 컨트롤러(7A)는 그 정보를 메모리(9A)에 저장한다(스텝(27)).
이어서, 통신 컨트롤러(7A)는 절단 요구를 송수신기(3A)로 출력한다(스텝(28)). 송수신기(3A)는 절단 동작을 실시하고, 송수신기(3B)와 함께 데이타 링크의 개방 동작을 실시한다(스텝(29)). 이 동작이 종료하면, 송수신기(3A)는 통신 컨트롤러(7A)에 절단 완료를 통지하고,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스텝(30)). 한편, 송수신기(3B)는 절단 통지를 통신 컨트롤러(7B)에 통지하고, 수신지 단말도 대기 상태로 이행한다(스텝(30')). 통신 컨트롤러(7A 및 7B)는, 각각의 통신 이력을 단말 ID 및 통신 종료 시각을 이용하여 추가 갱신하고(스텝(31) 및 (31')), 다음 정보 교환을 위해 준비한다.
도 7은 정보 리스트의 교환을 행하는 실시예이지만, 정보 리스트의 교환을 실시하지 않고, 상호 갖고 있는 정보를 서로 송신하고, 필요없는 것을 수신한 정보를 파기하도록 변형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정보 송신의 순서는 먼저 수신지 단말이 행해도 된다. 또한, 발신원 단말은 수신지 단말에 정보를 송신하는 것만으로, 수신지 단말로부터 정보를 수취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 그 경우에는, 도 6에 도시된 처리 흐름에서의 스텝(2)에서 단말 ID 및 응답 폴리시에 더해, 발신원 단말이 송신뿐인 것을 나타내는 정보(단말 모드)를 송신하도록 하면 효율적이다. 그렇다면, 도 7에서 수신지 정보 리스트의 송수신, 수신지 요구 리스트의 송수신 및 수신지 단말로부터 발신원 단말로의 정보의 송신을 생략할 수 있다. 또한, 단말 모드는, 수신지 단말에서도 설정 가능하다. 즉, 수신지 단말은 정보를 수신하는 것만으로, 정보를 전송하지 않은 단말이라고 하는 선정을 행하는 것도 가능하다.
(3)이동국에서의 처리
이어서 도 6에서의 스텝(6) 내지 (9) 및 도 7의 스텝(8') 및 (9')에서의 통신 컨트롤러(7B)의 처리에 대해 다시 도 8을 이용하여 설명해 둔다. 도 6의 스텝(6)에서 접속 요구의 수신 통지를 받으면(스텝(101), 단말 ID 및 응답 폴리시를 접속 요구로부터 추출하고, 측정된, 접속 요구의 전계 강도를 취득한다(스텝(103), 도 6의 스텝(7)). 그리고, 통신 이력을 참조하여, 소정 시간 이내에 그 발신원 단말과 통신했는지를 검사한다(스텝(105). 만약 통신 이력에는 그 발신원 단말과 소정시간 이내에 통신한 것이 기록되어 있으면, 접속 요구 무시를 출력하고(스텝(113), 도 6스텝(8)), 대기 상태로 복귀된다(스텝(115), 도 6 스텝(9)).
한편, 통신 이력에 소정시간 이내에 발신원 단말과 통신한 것이 기록되어 있지 않으면, 측정한 전계 강도가 응답 폴리시의 조건에 합치했는지 비교·검사한다(스텝(107). 위에서도 상술했지만, 있을 수 있는 전계 강도의 값의 범위를 복수의 레벨로 미리 나누어 두고, 이 레벨을 지정함으로써 응답 폴리시를 지정할 수 있다. 또한, 구체적인 값의 범위를 지정해도 좋다. 예를 들면, 아래와 같이 3단계로 나누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전계 강도의 레벨이 '저(低)'인 경우
응답 폴리시의 레벨 지정이 「저」 : 응답 타이밍의 우선도 1(2초)
응답 폴리시의 레벨 지정이 「중」 : 응답 타이밍의 우선도 2(4초)
응답 폴리시의 레벨 지정이 「고」 : 응답 타이밍의 우선도 3(6초)
전계 강도의 레벨이 '중(中)'인 경우
응답 폴리시의 레벨 지정이 「저」 : 응답 타이밍의 우선도 2(4초)
응답 폴리시의 레벨 지정이 「중」 : 응답 타이밍의 우선도 1(2초)
응답 폴리시의 레벨 지정이 「고」 : 응답 타이밍의 우선도 2(4초)
전계 강도의 레벨이 '고(高)'인 경우
응답 폴리시의 레벨 지정이 「저」 : 응답 타이밍의 우선도 3(6초)
응답 폴리시의 레벨 지정이 「중」 : 응답 타이밍의 우선도 2(4초)
응답 폴리시의 레벨 지정이 「고」 : 응답 타이밍의 우선도 1(2초)
이와 같이 응답 폴리시를 3단계로 나누고, 측정된 전계 강도도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준으로 3단계로 나눠 비교한다. 만약 전계 강도가 응답 폴리시의 조건에 일치하고 있는 경우에는, 최우선의 응답 타이밍으로 접속 응답을 주도록 송수신기(3B)에 명한다(스텝(109). 즉, 전계 강도가 '저'인 경우에 응답 폴리시의 지정도 '저'인 경우, 전계 강도가 '중'인 경우에 응답 폴리시도 '중'인 경우, 전계 강도가 '고'인 경우에 응답 폴리시도 '고'인 경우가 이것에 해당된다. 만약 전계 강도가 응답 폴리시의 조건에 맞지 않은 경우에는, 소정의 우선도의 응답 타이밍에서 접속 응답을 주도록 송수신기(3B)에 명한다(스텝(111). 이러한 방식으로, 응답 타이밍에 편차가 생기고, 가장 빠르게 접속 응답을 송신한 수신지 단말과 발신원 단말이 접속을 확립한다. 만약 응답 폴리시가 '저'에서 측정된 전계 강도가 중이라도, 전계 강도가 '저'라고 판단되는 상대 거리에 단말이 존재하지 않은 경우에는, 접속을 확립하는 경우도 있다. 송수신기(3B)로부터 접속 확립의 통지를 수취하면(스텝(117), 통화 상태로 천이한다(스텝(119). 한편, 접속 확립의 통지를 수취하지 않은 경우에는, 대기 상태로 천이한다(스텝(115).
이상은 수신지 단말이 어떻게 응답 폴리시 및 통신 이력을 이용하여 응답을 제어하는지를 나타내는 것이다. 위의 예에서는 발신원 단말의 요구에 따른 형태에서의 수신 제어로 되어 있지만, 응답 폴리시를 수신지 단말에서 결정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응답 폴리시를 미리 메모리(9B)에 기억해 두고, 자기의 전계 강도 측정기(5B)의 값에 따라, 응답 타이밍을 조정해도 된다. 발신원 단말이 응답 폴리시를 보내지 않은 경우에도 적용 가능하다.
그러면 발신원 단말이 어떻게 응답 폴리시를 결정하는지에 대해 설명한다. 가장 간단한 것은 고정으로 하는 방법이다. 예를 들면 단말 A는 언제나 「고」, 단말 B는 언제나 「저」라고 하는 형태로 고정한다. 단, 아래와 같이 동적으로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a) 시간에 따른 변경
시계를 갖고 있는 단말에서는, 시간에 따라 변동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통근 시간 8시부터 10시, 및 17시부터 19시는 '저'를 지정하고, 19시부터 다음날 8시까지는 '고'를 지정하고, 그 외를 '중'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b) 위치 검출 장치를 갖고 있는 경우
GPS와 같은 위치 검출 장치 및 미리 에어리어가 구분되어 있는 지도를 갖고 있는 경우에는, 이것을 이용하여 응답 폴리시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역 주변의 에어리어에 발신원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저」를 지정하고, 주택지의 에어리어에서는 「고」를 지정하고, 특히 지정이 없는 에어리어에서는 「중」을 지정하는 등의 변경이 가능하다.
(c), (a) 및 (b)의 조합
역 주변에서도 이른 아침 및 심야에는 응답 폴리시 「고」로 하지 않으면, 단말 사이에서의 교환이 성립하지 않을 가능성도 있으므로, (b)의 에어리어마다의 지정에, 시간의 지정을 조합함에 따라, 보다 상세한 지정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d) 기타
예를 들면, 각 단말마다 중심이 되는 지정이 정해져 있지만, 항상 그렇게 지정되는 것이 아니며, 소정 기간 경과 후에 소정의 패턴으로 변경하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저'를 중심으로 하는 경우 [저·중·저·고]의 패턴을 반복, '중'을 중심으로하는 경우 [중·저·중·고]의 패턴을 반복, '고'를 중심으로 하는 경우[고·저·고·중]의 패턴을 반복하는 등을 생각할 수 있다.
난수에 의해 결정하는 것, 사용자의 지정에 따라 변경되도록 하는 경우도 당연히 생각할 수 있다.
수신지 단말에서 응답 폴리시를 결정하여 그에 따르는 경우에 위와 같이 동적으로 응답 폴리시를 변경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상을 종합하면, 각 단말에서 단말 프로파일로서 이하와 같은 정보를 메모리(9)에 저장해 둔다.
[단말 모드] : 발신만/발신 및 수신 모두
[응답 폴리시] : 전계 강도의 레벨의 지정 또는 값의 범위
[홉·패턴] : 고정/변동
통신 컨트롤러(7)는 이 단말 프로파일을 참조하여, 발신원 단말이 접속 요구를 작성한다. 또한, 이 단말 프로파일의 정보를 수신지 단말에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는 것은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수신지 단말의 단말 모드를 수신지 단말로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신만/송신 및 수신중 어느 하나를 지정한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했지만, 여러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통신 이력으로 최초로 접속 응답을 주는지의 여부를 결정했었지만, 통신 이력을 이용하지 않고, 응답 폴리시만을 이용하여 응답 타이밍을 제어해도 된다. 또한, 도 4와 같은 단말은 예를 들면 PHS 전화기와 같은 단말에서도 실시 가능하지만, 그 경우에는 본 발명을 실시하는 모드와 통상의 전화의 모드를 분리하여, 명시적으로 본 발명을 실시하는 모드로 설정된 단말만으로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전계 강도를 중심으로 설명했지만, 다른 무선 신호의 특성을 측정하여, 그것을 이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에러율등을 사용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도시되어 있는 기술을 조합한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전송되는 정보에는 홉수가 지정되어 있고, 전송될 때마다 홉수가 감소되고, 제로(0)가 될 때에 파기되는 기능을 위의 실시예에 포함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GPS 등의 위치 검출기를 구비한 경우에는, 정보원으로부터의 거리를 산출하여 소정 거리 이격된 경우에는 파기하는 스킴을 도입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이동하는 단말뿐만 아니라, 이동하지 않은 단말이 위와 같은 동작을 행하는 것도 당연히 가능하다.
이상과 같이 전계 강도를 이용하고 또한 지정된 응답 폴리시에 따라 접속을 관리하고 있으므로, 정보의 전파를 보다 적절한 형태로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할 수가 있었다.
또한, 전파되는 정보의 폭주를 피할 수 있다.
보다 효율적인 정보의 전파를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Claims (15)

  1. 무선 송수신기에서, 다른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스텝과,
    측정된 상기 전계 강도와 전계 강도에 관한 응답 폴리시(response policy)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 타이밍을 결정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응답 결정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폴리시는 상기 무선 신호로부터 추출되는 응답 결정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폴리시가 지정하는 조건을 측정된 상기 전계 강도가 만족하는 경우에는, 상기 응답 타이밍이 상기 조건이 만족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으로부터 빠른 시기에 설정되는 응답 결정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폴리시가 소정의 레벨이하의 전계 강도를 지정한 경우, 측정된 상기 전계 강도가 상기 소정의 레벨이하인 경우에는, 측정된 상기 전계 강도가 상기 소정의 레벨보다 높은 경우에 비해 상기 응답 타이밍이 상기 무선 신호의 수신보다 빠른 시기에 설정되는 응답 결정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를 발신한 상기 다른 무선 송수신기와의 통신 이력을 검사하는 스텝과,
    상기 통신 이력이 상기 다른 무선 송수신기와 소정의 시간 내에 통신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고 있는 경우에는, 상기 무선 신호에 응답하지 않은 것을 결정하는 스텝
    을 더 포함하는 응답 결정 방법.
  6. 무선 송수신기에서의 통신 방법에 있어서,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계 강도에 관한 응답 폴리시(response policy)를 지정하는 스텝과,
    지정된 상기 응답 폴리시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상기 무선 송수신기로 송신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통신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폴리시가 전계 강도의 레벨인 통신 방법.
  8. 제6항에 있어서,
    지정된 상기 응답 폴리시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가, 상기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무선 송수신기가 송신만 행하는 것인지의 여부를 나타내는 단말 모드를 포함하는 통신 방법.
  9.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응답 폴리시를 소정의 조건에 따라 변경하는 스텝을 더 포함하는 통신 방법.
  10. 임의의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측정기와,
    측정된 상기 전계 강도와 전계 강도에 관한 응답 폴리시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 타이밍을 결정하는 컨트롤러
    를 구비하는 무선 송수신기.
  11.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기에 있어서,
    전계 강도에 관한 응답 폴리시를 지정하는 컨트롤러와,
    지정된 상기 응답 폴리시를 포함하는 무선 신호를 송신하는 송신 수단
    을 구비하는 무선 송수신기.
  12. 무선 송수신기에, 다른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게 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프로그램은,
    측정된 상기 무선 신호의 전계 강도와, 전계 강도에 관한 응답 폴리시를 비교하는 스텝과,
    상기 비교 결과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 타이밍을 결정하는 결정 스텝
    을 상기 무선 송수신기에서 실행시키는 기억 장치.
  13. 무선 송수신기에 있어서의 통신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억 장치에 있어서,
    상기 통신 프로그램은,
    무선 신호를 수신하는 무선 송수신기에서, 전계 강도에 관한 응답 폴리시를 결정하는 스텝과,
    상기 전계 강도에 따른 응답 폴리시를 무선 신호에 포함시키도록 명하는 스텝
    을 상기 무선 송수신기에서 실행시키는 기억 장치.
  14. 무선 송수신기에서, 다른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의 전계 강도를 측정하는 스텝과,
    측정된 상기 전계 강도와 응답 폴리시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 타이밍을 결정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응답 결정 방법.
  15. 무선 송수신기에서, 다른 무선 송수신기로부터 수신한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을 결정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무선 신호의 소정의 특성을 측정하는 스텝과,
    측정된 상기 소정의 특성과 상기 소정의 특성에 관한 응답 폴리시로부터, 상기 무선 신호에 대한 응답 타이밍을 결정하는 스텝
    을 포함하는 응답 결정 방법.
KR10-1999-0039181A 1998-10-22 1999-09-14 응답 결정 방법, 통신 방법, 및 무선 송수신기 KR10045929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998-300703 1998-10-22
JP30070398A JP3444475B2 (ja) 1998-10-22 1998-10-22 応答決定方法、通信方法、及び無線送受信機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665A true KR20000028665A (ko) 2000-05-25
KR100459298B1 KR100459298B1 (ko) 2004-12-03

Family

ID=178880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9181A KR100459298B1 (ko) 1998-10-22 1999-09-14 응답 결정 방법, 통신 방법, 및 무선 송수신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6574453B1 (ko)
EP (1) EP1005174B1 (ko)
JP (1) JP3444475B2 (ko)
KR (1) KR100459298B1 (ko)
CN (1) CN1127230C (ko)
AT (1) ATE405997T1 (ko)
CA (1) CA2285884C (ko)
DE (1) DE69939360D1 (ko)
TW (1) TW44305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564B1 (ko) * 1999-02-03 2002-05-0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71216B1 (en) 2001-04-19 2007-01-30 Cisco Technology, Inc. Method and system for detecting a preferred wireless network for a mobile device
TWI289999B (en) * 2001-06-08 2007-11-11 Benq Corp Transmission method for relay signal of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7421257B1 (en) 2001-11-30 2008-09-02 Stragent, Llc Receiver scheduling in ad hoc wireless networks
US7461378B2 (en) * 2002-06-11 2008-12-02 Siemens Communications,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an instant message
EP1536597B1 (en) * 2002-09-06 2015-01-21 Fujitsu Limited Radio network control apparatus
WO2006046296A1 (ja) * 2004-10-28 2006-05-04 Fujitsu Limited 移動無線通信端末及び通信制御方法
US7385959B1 (en) 2005-02-28 2008-06-10 Marvell International Ltd. Power-efficient channel condition feedback for OFDM channels
US20060223494A1 (en) * 2005-03-31 2006-10-05 Mazen Chmaytelli Location-based emergency announcements
US8014762B2 (en) * 2005-03-31 2011-09-06 Qualcomm Incorporated Time and location-based non-intrusive advertisements and informational messages
JP4354437B2 (ja) * 2005-07-27 2009-10-28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移動局、無線アクセスネットワーク装置および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通信方法
US7962089B1 (en) 2007-07-02 2011-06-14 Rockwell Collins, Inc. Method and system of supporting policy based operations for narrowband tactical radios
GB2531718B (en) * 2014-10-24 2017-08-02 Cambridge temperature concepts ltd Activating an electronic device
CN110708750B (zh) * 2018-07-09 2021-06-22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功率调整方法、终端及存储介质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883522A (en) * 1955-05-18 1959-04-21 Tele Dynamics Inc Mobile communication system with carrier signal strength control
US5673031A (en) * 1988-08-04 1997-09-30 Norand Corporation Redundant radio frequency network having a roaming terminal communication protocol
GB2243055B (en) * 1990-03-31 1994-11-23 Motorola Ltd Base station transceiver diagnostics equipment
GB2268854A (en) * 1992-07-15 1994-01-19 Orbitel Mobile Communications Telecommunication system
US5386495A (en) * 1993-02-01 1995-01-31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rmining the signal quality of a digital signal
US5724665A (en) * 1993-11-24 1998-03-03 Lucent Technologies Inc. Wireless communication base station
US5552798A (en) * 1994-08-23 1996-09-03 Globalstar L.P. Antenna for multipath satellite communication links
JPH08102708A (ja) 1994-10-03 1996-04-16 Mitsubishi Electric Corp 移動通信中継局及び移動通信端末
US5564091A (en) * 1995-03-29 1996-10-08 Motorola,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operating an automatic frequency control in a radio
JP2715982B2 (ja) 1995-03-31 1998-02-18 日本電気株式会社 無線通信システム
US6327245B1 (en) * 1995-06-30 2001-12-04 Philips Electronics North America Corporation Automatic channel switching for jamming avoidance in burst-mode packet dat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JPH09252277A (ja) 1996-03-15 1997-09-22 Meidensha Corp 移動体通信における中継方式
JPH1032538A (ja) 1996-07-17 1998-02-03 Nippon Telegr & Teleph Corp <Ntt> 移動体通信方法および装置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34564B1 (ko) * 1999-02-03 2002-05-03 마츠시타 덴끼 산교 가부시키가이샤 무선 통신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85884C (en) 2008-10-07
CN1127230C (zh) 2003-11-05
KR100459298B1 (ko) 2004-12-03
EP1005174B1 (en) 2008-08-20
JP3444475B2 (ja) 2003-09-08
JP2000134142A (ja) 2000-05-12
EP1005174A2 (en) 2000-05-31
DE69939360D1 (de) 2008-10-02
US6574453B1 (en) 2003-06-03
CN1252651A (zh) 2000-05-10
CA2285884A1 (en) 2000-04-22
ATE405997T1 (de) 2008-09-15
TW443056B (en) 2001-06-23
EP1005174A3 (en) 2003-12-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59298B1 (ko) 응답 결정 방법, 통신 방법, 및 무선 송수신기
US7286814B2 (en) Location registration system, mobile terminal, control equipment, methods of location registration in the location registration system
US7719987B2 (en)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route search method
EP1675321B1 (en) Controller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EP1929710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network communications
US7342895B2 (en) Method and system for peer-to-peer wireless communication over unlicensed communication spectrum
EP1856856B1 (en) Route selection in multi-hop cellular network
US7158484B1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topology sensing in networks with mobile nodes
KR100517975B1 (ko) 이동통신 단말에서의 데이터 전송방법
KR100968078B1 (ko) 애드-혹 통신 네트워크에 있어서 노드들 간의 신뢰성 있는링크들을 선택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20060160555A1 (en) Controller apparatus, mobile terminal,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KR100958130B1 (ko) 통신 시스템내의 가입자 장치의 이동성 측정을 판단하는시스템 및 방법
KR20040102085A (ko) 다중 도약 무선 애드-혹 통신망에서 잠재적 숨겨진 노드문제를 식별해내는 시스템 및 방법
WO2005057973A1 (ja) 送信時刻差測定方法およびそのシステム
TW201909668A (zh) 無線網路系統與無線網路連線方法
JP2008278148A (ja) 通信端末、通信経路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1601774B1 (ko) Vanet 환경을 위한 라우팅 방법
KR20060122055A (ko) 시분할 복신 통신에서의 위치추적방법 및 시스템
CN111314863A (zh) 一种预先式切换的高效mlln路由方法
CN111954274A (zh) 一种基于LoRa技术的蜂窝网络通信方法及系统
JP2008306293A (ja) 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US20070111732A1 (en) Method for determining a routing in an ad-hoc radio communications system
EP1239631A2 (en) Wireless LAN system and method for seamless communications of a mobile terminal
EP1317821B1 (en) Telecommunications systems
JP2009004829A (ja) 基地局、サーバ装置及び無線lan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601 Maintenance of original decision after re-examination before a tri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21202

Effective date: 20040930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6

Year of fee payment: 9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7

Year of fee payment: 10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106

Year of fee payment: 11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106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1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