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4267A -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 Google Patents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4267A
KR20000024267A KR1020000005029A KR20000005029A KR20000024267A KR 20000024267 A KR20000024267 A KR 20000024267A KR 1020000005029 A KR1020000005029 A KR 1020000005029A KR 20000005029 A KR20000005029 A KR 20000005029A KR 20000024267 A KR20000024267 A KR 20000024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ywood
ocher
loess
iron plate
coup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5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334156B1 (ko
Inventor
조시대
Original Assignee
조시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시대 filed Critical 조시대
Priority to KR1020000005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34156B1/ko
Publication of KR20000024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4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341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34156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8Interconnection of layers by mechan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 B32B13/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a layer of water-setting substance, e.g. concrete, plaster, asbestos cement, or like builders' material comprising such water setting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the apertures going through the whole thickness of the layer, e.g. expanded metal, perforated layer, slit layer regular cells B32B3/12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comprising a deformed thin sheet, i.e. the layer having its entire thickness deformed out of the plane, e.g. corrugated, crumpl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05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one layer of ceramic material, e.g. porcelain, ceramic ti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9/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 B32B9/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9/041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a particular substance not covered by groups B32B11/00 - B32B29/00 comprising such particular substance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m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4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3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thermal properties
    • B32B2307/306Resistant to hea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7/00Walls, pan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Finishing Walls (AREA)
  • Panels For Use In Building Constru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주로 벽체용으로 사용하는 건축자재의 내부에 황토와 기타 볏짚 또는 인체에 유익한 각종 원료를 함유하여 건축자재를 구성하므로서 황토에 의한 원적외선의 방출과 아울러 인체에 유익한 원료에 의해 안락한 실내를 연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본 발명은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휨방지용 요철부(12)가 다수 형성된 철판(11)의 내측에 다수의 고정핀(24)을 용착하고, 이에는 고정구(25)를 각각 결속하여 타측의 통공(14)이 다수 천설된 합판(13)과 고정못(26)으로서 일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철판(11)과 합판(13)의 사이에는 볏짚(17)과 참숯(18) 및 해조류(19) 등을 함침한 황토(15)를 개재하되, 상기 황토(15)의 내부에는 격자상으로 대나무(16)를 각각 교호로 내장하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건축자재(10)의 가장자리부에는 결합공(23)이 복수로 천설된 결합돌기(21)와 결합요홈(22)을 각각 형성하여 연속반복적으로 연결 시공할 수 있게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합판(13)의 외부에는 보온보냉과 내열성이 우수한 석고보드(20)를 덧대어 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Description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building construction materials use of ocher}
본 발명은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특징은 주로 벽체용으로 사용하는 건축자재의 내부에 황토와 기타 볏짚 또는 인체에 유익한 각종 원료를 함유하여 건축자재를 구성하므로서 황토에 의한 원적외선의 방출과 아울러 인체에 유익한 원료에 의해 안락한 실내를 연출할 수 있게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는 건축자재는 다양한 종류가 안출되어 있고, 실제 벽체에 해당하는 건축자재의 경우는 주로 콘크리트나 벽돌 등을 이용하여 쌓은 다음 외부에는 타일이나 기타 마감재를 이용하여 벽체를 완성하게 된다.
이러한 기존의 건축자재의 경우는 내구성이나 내열성 등을 목적으로 주로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 등의 구조물로 구성하여 사용하고 있으므로 내구성이나 내열성이 강한 이점은 있으나, 벽체 자체에서 인체에 유익한 원적외선의 방출이나 기타 신진대사를 촉진하는 기능 등이 부재하여 신체건강에 효과적인 기능을 달성하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근래에 들어서는 상기와 같은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흙을 이용한 각종 가구류나 돌을 이용한 가구류를 안출하여 실용화하고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흙이나 돌을 이용한 가구류를 사용할 경우 원적외선의 방출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는 이점을 있지만 이는 사용할 수 있는 공간이 한정적일 뿐만 아니라 평소 생활하는 공간 전체에서 원적외선의 방출을 기대할 수 없으며, 주로 침대나 쇼파, 매트 등에 한정적으로 적용하여 사용을 하게 되므로 이를 제외한 나머지의 공간에 있을 경우는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달성하기란 사실상 불가능한 실정이다.
또한 벽체를 이루는 건축자재는 주로 내구성 등을 목적으로 시멘트 또는 콘크리트를 일체화되게 시공하므로 사용도중 분위기를 바꾸거나 구조를 바꾸기가 매우 어려울 뿐만 아니라 시공비 역시 과도하게 지출되는 등의 문제점도 지적되고 있다.
그리고 사용도중 균열이 발생하거나 부분적인 교체가 필요할 경우는 벽체 전체를 허물어야 하는 등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며, 특히 이러한 기존의 건축자재는 일단 허물고 나면 건축쓰레기가 되어 이의 처리가 매우 어려워 처리에 따른 경비의 소요는 물론이고, 환경오염을 유발하는 등의 문제점도 발생하였다.
한편 기존의 벽돌이나 콘크리트 등의 경우는 내열성이나 내습성 등이 취약하여 장기간이 지나면 습기에 의한 부식이 발생하거나 통풍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는 등의 제반 문제점이 수반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주로 벽체용으로 사용되는 건축자재의 내부에 황토를 내장하되, 상기 황토에는 균열방지용 대나무를 격자상으로 매설하고, 볏짚과 각종 참숯, 해조류 등을 내장하여 외부에는 통공이 다수 천설된 합판과 요철부가 형성된 철판을 선택적으로 취부하되, 상기 합판과 철판을 결속하기 위한수단으로서 철판의 내표면에는 다수의 고정핀을 용착하고 이에는 고정구를 타삽하여 합판측으로 부터 고정못을 이용하여 상호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며, 외측 가장자리에는 결합공이 각각 형성된 결합돌기와 결합요홈을 교호로 형성하여 벽체로서 연속반복적으로 연결하므로서 황토에 의한 원적외선의 방출과 기타 해조류에 의한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득할 수 있게 하여 각종 건축자재로서 매우 합리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 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도시한 일부절결 사시도
도 2 는 본 발명의 완성된 상태의 전체 사시도
도 3 은 본 발명의 내부구성을 보인 단면도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보인 단면도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0 : 건축자재 11 : 철판
12 : 요철부 13 : 합판
14 : 통공 15 : 황토
16 : 대나무 17 : 볏짚
18 : 참숯 19 : 해조류
20 : 석고보드 21 : 결합돌기
22 : 결합요홈 23 : 결합공
24 : 고정핀 25 : 고정구
26 : 고정못 27 : 절곡부
28 : 연결편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구성적인 특징을 살펴보면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휨방지용 요철부(12)가 다수 형성된 철판(11)의 내측에는 다수의 고정핀(24)을 용착하고, 이에는 고정구(25)를 각각 결속하여 타측의 통공(14)이 다수 천설된 합판(13)과 고정못(26)으로서 일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구성한다.
상기 철판(11)과 합판(13)의 사이에는 볏짚(17)과 참숯(18) 및 해조류(19)를 함침한 황토(15)를 개재하되, 상기 황토(15)의 내부에는 격자상의 편으로 된 대나무(16)를 각각 교호로 내장하여 내구성을 높히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건축자재(10)의 가장자리부에는 결합공(23)이 복수로 천설된 결합돌기(21)와 결합요홈(22)을 각각 형성하여 연속반복적으로 연결 시공할 수 있게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합판(13)의 외부에는 보온보냉과 내열성이 우수한 석고보드(20)를 덧대어 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면 중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항과 동일하고, 철판(11)의 표면에 지붕형상의 절곡부(27)를 형성하여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지붕형상과 동형의 연결편(28)을 길게 형성하므로서 연속반복적으로 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면 중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는 내부의 황토(15)와 첨가물 및 대나무(16)를 격자상으로 내장한 것은 동일하고, 실내의 내장재로 사용할 수 있게 구성한 것으로, 이는 상기 황토(15)의 양측에는 통공(14)이 다수 천설된 합판(13)을 동형으로 맞대어 고정못(26)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므로서 주로 실내의 벽체로 사용가능하게 한 것이다.
물론 상기의 구성에 있어서, 황토(15)의 내부에는 인체에 유익한 각종 한약재 등을 내장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황토(15)의 균열을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내부에 접착제 등을 함침하여 내구성과 내습성, 내열성, 내냉성 등을 고루 겸비할 수 있게 하며, 특히 황토(15)의 특성에 의해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득할 수 있음은 당연하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될 수 있는 본 발명은 주로 건축물을 시공할 시에 사용할 수도 있고, 시공후 부분적으로 교체할 시에 매우 용이하게 교체 시공할 수 있게 하며, 특히 내부의 황토(15)에 의한 원적외선의 방출효과로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득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하 본 발명의 상기한 구성에 따른 작용상의 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은 건물의 외벽이나 내벽 또는 천정 시공용으로 사용하는 건축자재(10)로 사용하는 것으로, 본 발명을 이용하여 벽체를 공사할 시에는 하나의 건축자재(10)를 설치한 다음 각 결합돌기(21)와 결합요홈(22)을 이용하여 복수로 연결하고, 상기 결합돌기(21)와 결합요홈(22)에 각각 천설되어 있는 결합공(23)을 통해 별도의 볼팅 등의 수단으로서 체결을 하게 되면 설치되고, 이러한 과정으로 필요한 규격으로 건축자재(10)를 연결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설치하여 사용을 하게 되면 건축자재(10)의 내측에는 황토(15)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이미 알려진대로 황토(15)에서 발생하는 원적외선이 방사되므로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건축자재(10)의 일측에는 통공(14)이 다수 천설된 합판(13)이 취부되어 있으므로 상기 통공(14)을 통해 내부의 황토(15)에서 발산되는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득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합판(13)의 외부측에는 별도로 석고보드(20)를 덧대므로서 보온보냉의 효과는 물론 화재가 발생할 경우는 방화벽으로서의 역할을 하게 되어 안전성 면에서도 기대 이상의 효과를 발휘케 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효과 이외에도 황토(15)의 내부에 볏짚(17)과 대나무(16) 및 참숯(18), 각종 해조류(19)가 함침되어 있으므로 균열을 방지함은 물론이고, 특히 참숯(18)과 해조류(19)에 의해 신체 건강에도 기여할 수 있으며, 이를 설치시공할 시에 크기별로 재단을 하게 되면 절단된 부위측의 황토(15)는 접착제 등으로 함침되어 있고, 잘게 썰은 볏짚(17)이 내장되어 있으므로 황토(15)가 떨어져 나가거나 균열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해결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합판(13)의 표면에 다수의 통공(14)을 천설한 상태에서 이의 상부 표면에는 격자상의 대나무(16)를 얽어 고정시킨뒤 황토(15)를 일정두께로 적층하되, 상기 황토(15)의 내부에는 잘게 썰은 볏짚(17)과 참숯(18) 및 각종 인체에 유익한 해조류(19) 등을 일정비율로 섞어서 적층한 다음 상부에는 휨이나 뒤틀림 방지용 요철부(12)가 다수 형성된 철판(11)을 취부하되, 상기 철판(11)의 내측에는 다수개의 고정핀(24)을 각각 용착하여 목재 등의 고정수단인 고정구(25)를 타삽하고, 반대편의 합판(13)쪽에서는 고정구(25)가 위치한 곳마다 고정못(26)을 이용하여 고정하므로서 건축자재(10) 전체가 일체화되게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건축자재(10)의 사방 가장자리에는 상호 연속반복적으로 설치 시공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결합공(23)이 각각 천설된 결합돌기(21)와 결합요홈(22)을 형성하므로서 이를 설치 시공할 경우는 상기 결합돌기(21)와 결합요홈(22)에 의해 연속적으로 끼움으로 조립한 상태에서 별도의 리벳팅이나 볼팅 등의 수단으로서 결합공(23)을 통해 견고하게 고정을 하게 되면 시공이 완료된다.
상기의 과정으로 이루어진 건축자재(10)는 적정의 시간동안 그늘에서 건조를 하게 되면 완성된 건축자재(10)로서의 기능을 달성할 수 있고, 특히 합판(13)이 취부된외측 표면에는 필요에 의해 석고보드(20)를 별도로 덧대므로서 보온보냉 효과와 더불어 화재가 발생할 시 방화벽의 역할을 충실하게 하는 등의 이점도 기대할 수 있다.
도면 중 도 4 는 본 발명의 제 2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는 벽체로서의 건축자재(10)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지붕과 천정의 기능을 동시에 수행할 수 있게 한 것으로, 이는 철판(11)의 표면에는 지붕의 형상에 부합되게 다수의 절곡부(27)를 형성하고, 연결되는 가장자리부에는 별도로 지붕형상과 동일하게 연결편(28)을 형성하여 상호 연결시공할 수 있게 하므로서 벽체 뿐만 아니라 지붕이나 천정의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천정재의 경우 역시 내부에 황토(15)와 볏짚(17) 및 참숯(18), 각종 해조류(19)가 함침되어 있으므로 원적외선의 방출은 물론이고, 방습효과나 방충효과, 그리고 보온성이 크게 개선되어 각종 건축자재(10)로서 매우 합리적인 효과를 득할 수 있다.
그리고 도면 중 도 5 는 본 발명의 제 3 실시예를 도시한 단면도로서, 이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사항과 동일하고, 황토(15)의 양측에 통공(14)이 다수 천설된 합판(13)을 각각 취부하므로서 건축용 외벽으로 사용하는 것이 아니고 실내의 내벽으로 사용할 경우 양측에서 원적외선이 방출되어 신체에 유익한 효과를 득할 수 있고, 설치 시공 역시 결합돌기(21)와 결합요홈(22)에 의해 연속반복적으로 연결한 다음 결합공(23)을 통해 볼팅이나 리벳팅 등의 결합수단으로 연결할 수 있으므로 시공의 편의성은 물론이고, 각종 참숯(18)이나 해조류(19) 등에 의해 신체건강에도 유익할 뿐만 아니라 방습, 방충, 보온성이 크게 개선되는 등의 효과를 기대할 수 있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주로 벽체용으로 사용되는 건축자재(10)의 내부에 황토(15)를 내장하되, 상기 황토(15)에는 균열방지용 대나무(16)를 격자상으로 매설하고, 볏짚(17)과 각종 참숯(18), 해조류(19) 등을 내장하여 외부에는 통공(14)이 다수 천설된 합판(13)과 요철부(12)가 형성된 철판(11)을 선택적으로 취부하되, 상기 합판(13)과 철판(11)을 결속하기 위한수단으로서 철판(11)의 내표면에는 다수의 고정핀(24)을 용착하고 이에는 고정구(25)를 타삽하여 합판(13)측으로 부터 고정못(26)을 이용하여 상호 견고하게 고정할 수 있게 하며, 외측 가장자리에는 결합공(23)이 각각 형성된 결합돌기(21)와 결합요홈(22)을 교호로 형성하여 벽체로서 연속반복적으로 연결하므로서 황토(15)에 의한 원적외선의 방출과 기타 참숯(18)과 해조류(19)에 의한 인체에 유익한 효과를 득할 수 있게 하므로서 각종 건축자재(10)로서 사용할 경우 그 기대되는 가치가 대단히 우수한 발명이다.

Claims (3)

  1. 표면에 길이방향으로 휨방지용 요철부(12)가 다수 형성된 철판(11)의 내측에 다수의 고정핀(24)을 용착하고, 이에는 고정구(25)를 각각 결속하여 타측의 통공(14)이 다수 천설된 합판(13)과 고정못(26)으로서 일체적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하며, 상기 철판(11)과 합판(13)의 사이에는 볏짚(17)과 참숯(18) 및 해조류(19) 등을 함침한 황토(15)를 개재하되, 상기 황토(15)의 내부에는 격자상으로 대나무(16)를 각각 교호로 내장하고, 상기와 같이 이루어진 건축자재(10)의 가장자리부에는 결합공(23)이 복수로 천설된 결합돌기(21)와 결합요홈(22)을 각각 형성하여 연속반복적으로 연결 시공할 수 있게 하며, 경우에 따라서는 합판(13)의 외부에는 보온보냉과 내열성이 우수한 석고보드(20)를 덧대어 시공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2. 제 1 항에 있어서, 철판(11)의 표면에 지붕형상의 절곡부(27)를 형성하여 일측에는 길이방향으로 지붕형상과 동형의 연결편(28)을 길게 형성하므로서 연속반복적으로 연결 시공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3. 제 1 항에 있어서, 황토(15)의 양측에는 통공(14)이 다수 천설된 합판(13)을 동형으로 맞대어 고정못(26) 등을 이용하여 결합하므로서 주로 실내의 벽체로 사용가능하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KR1020000005029A 2000-02-02 2000-02-02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KR1003341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029A KR100334156B1 (ko) 2000-02-02 2000-02-02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5029A KR100334156B1 (ko) 2000-02-02 2000-02-02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4267A true KR20000024267A (ko) 2000-05-06
KR100334156B1 KR100334156B1 (ko) 2002-04-25

Family

ID=1964360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5029A KR100334156B1 (ko) 2000-02-02 2000-02-02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3415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308A (ko) * 2000-09-08 2001-01-05 조시대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KR100427953B1 (ko) * 2001-06-07 2004-04-28 심만구 초목분쇄물과 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판재와 판재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478235B1 (ko) * 2002-01-12 2005-03-23 김진성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CN104671724A (zh) * 2014-12-22 2015-06-03 沈阳建筑大学 一种利用稻草和竹竿制备建筑保温材料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35035A (ko) * 2002-02-27 2002-05-09 서영철 황토 흙과 숯(맥반석)이 내장된 (건축)주거용 문짝
KR20040021435A (ko) * 2002-09-04 2004-03-10 이근호 황토가 충진되어지는 건축용 샌드위치 패널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1187242A (ja) * 1988-01-22 1989-07-26 Michio Otsuka 土及び植物性材料からなる壁材並びにその製造方法
KR920016380A (ko) * 1991-02-02 1992-09-24 김명식 분말 내장재의 제조방법
KR100231351B1 (ko) * 1996-10-22 1999-11-15 박창의 건축용 단열 흡음 난연성 패널과 그 제조방법
JPH11222947A (ja) * 1998-02-06 1999-08-17 Etsuo Kobayashi 多孔質充填材、建築材、パネル材及びその製法
KR100307848B1 (ko) * 1999-05-10 2001-09-13 조인형 숯과 짚이 첨가된 황토벽돌
KR100338134B1 (ko) * 1999-11-26 2002-05-24 김병근 황토판넬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00308A (ko) * 2000-09-08 2001-01-05 조시대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KR100427953B1 (ko) * 2001-06-07 2004-04-28 심만구 초목분쇄물과 점토를 이용한 다양한 판재와 판재조성물 및 그 제조 방법
KR100478235B1 (ko) * 2002-01-12 2005-03-23 김진성 황토미장층 시공방법
CN104671724A (zh) * 2014-12-22 2015-06-03 沈阳建筑大学 一种利用稻草和竹竿制备建筑保温材料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334156B1 (ko) 2002-04-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34156B1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KR100887757B1 (ko) 한옥의 벽체구조
KR100994783B1 (ko) 생태재료를 활용한 조립식 생태건축용 단위패널 및 이에 의한 생태건축물
KR101053198B1 (ko) 통나무 목재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구조
US3872640A (en) Prefabricated structural unit body and structures thereof
KR20080084460A (ko) 건축용 내 외장 패널 및 패널 제조 방법
KR20010000308A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용 보드
JP2007284973A (ja) 煉瓦積み建築物
KR102151232B1 (ko) 조립식 황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바닥시공 방법
KR200190750Y1 (ko) 옥과 숯을 이용한 온돌용 패널
KR101755006B1 (ko) 조립식 친환경 복합단열 벽체구조물
KR100677819B1 (ko) 목조주택의 벽체구조
KR100367779B1 (ko) 황토 세라믹 압축 온돌 패널구조
KR200459662Y1 (ko) 조립식 황토 패널 구조
KR200282055Y1 (ko) 건축용 황토 패널
KR200318884Y1 (ko) 조립식 바닥재
KR200195501Y1 (ko) 황토 세라믹 압축 온돌 패널구조
KR200342095Y1 (ko)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KR20180031257A (ko) 건축내장용 토분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631093B1 (ko) 난방용 조립식 온돌패널
KR102631861B1 (ko) 면밀 지지력과 단열기능이 뛰어난 황토벽체의 조립구조
KR100408920B1 (ko) 건축물의 황토 복합 통기패널 구조물
KR100418963B1 (ko) 조립식 황토 패널과 그 제조방법
KR200391245Y1 (ko) 온열 및 이중방음효과를 갖는 바닥재 구조
KR200344187Y1 (ko) 건축내부 냉온방 방음 마감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