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342095Y1 -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 Google Patents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342095Y1
KR200342095Y1 KR20-2003-0036927U KR20030036927U KR200342095Y1 KR 200342095 Y1 KR200342095 Y1 KR 200342095Y1 KR 20030036927 U KR20030036927 U KR 20030036927U KR 200342095 Y1 KR200342095 Y1 KR 200342095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t water
panel
water pipe
construction
panel member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03-003692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수
Original Assignee
이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수 filed Critical 이수
Priority to KR20-2003-003692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342095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34209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342095Y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DDOMESTIC- OR SPACE-HEATING SYSTEMS, e.g. CENTRAL HEATING SYSTEMS; DOMESTIC HOT-WATER SUPPLY SYSTEMS; ELEMENTS OR COMPONENTS THEREFOR
    • F24D3/00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 F24D3/12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 F24D3/14Tube and panel arrangements for ceiling, wall, or underfloor heating incorporated in a ceiling, wall or floor
    • F24D3/149Tube-lay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203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characterised by tongue and groove connections between neighbouring floo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6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metal, whether or not in combination with other 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10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f other materials, e.g. fibrous or chipped materials, organic plastics, magnesite tiles, hardboard, or with a top layer of other materia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02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 E04F15/08Flooring or floor layers composed of a number of similar elements only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 top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 e.g. ceramics, concrete or glas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일러와 연결 구성된 온수파이프를 바닥에 간편하게 배관할 수 있도록 하여 설치의 편리성 및 간편성을 제공하며, 시공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즉, 본 고안의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1)은 황토분말과 폐지펄프를 혼합한 혼합물 또는 콘크리트를 사용하여 상하 분할 구성되는 판넬부재(2)(3)로 구성하고, 상하측 판넬부재(2)(3)에는 서로 마주보는 파이프 내입홈(4)을 일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하고, 서로 대응하는 걸림돌기(5)와 걸림홈(6)을 각각 한 개소 이상 형성하여 상하측 판넬부재(2)(3)를 맞대어 결합할 수 있게 하고, 상하측 판넬부재(2)(3)는 고정수단(9)으로 고정되도록 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저렴한 비용으로 간편하게 바닥판넬(1)을 시공할 수 있고, 공사 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는 것이다.

Description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Floor panel for constructing a hot­water pipe}
본 고안은 보일러와 연결 구성된 온수파이프를 바닥에 간편하게 배관할 수있도록 하여 설치의 편리성 및 간편성을 제공하며, 시공시간과 비용을 획기적으로 절감할 수 있는 온수보일러 시공용 바닥판넬을 제공코자 한 것이다.
주택의 경우 보일러와 연결 구성되는 온수파이프를 배관하여 난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온수파이프의 일반적인 시공은 바닥에 적당한 간격으로 온수파이프(엑셀 파이프;XL PIPE)를 절곡 배치한 상태에서 그 상측으로 시멘트 몰탈을 덧씌워 양생하는 방법으로 시공을 행하게 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방법으로 온수파이프를 시공할 경우 온수파이프를 적당한 위치에 절곡 배치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시멘트 몰탈이 양생되는 시간이 오래 소요되므로 결국에는 공사시간이 길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던 것이다.
근래에는 상기한 온수파이프 시공에 따른 문제점을 해결함과 동시에 설치시간을 대폭적으로 줄일 수 있도록 보온재 및 시멘트 몰탈 등을 적층 구성한 다양한 형태의 바닥판넬이 제공되고 있으나, 이들의 경우 대부분이 바닥판넬 내부에 온수파이프를 매입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는바, 온수파이프를 별도로 배관하는 등의 불편을 해소할 수 있고 또한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편리성이 보장되기는 하나 이러한 구성으로 바닥판넬을 시공할 경우 이웃하는 바닥판넬을 연결 구성할 시 온수파이프를 연결수단으로 별도 연결해야 하는 수고로움이 있어야 함은 물론이고, 바닥판넬의 구성이 복잡하여 제조 원가가 앙등하게 되는 등 경제적인 부담으로 인해일반적인 시공방법으로 발전하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온수보일러 시공용 바닥판넬이 갖는 제반 문제점을 일소하여 시공이 간편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공기를 단축할 수 있는 염가의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을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고안을 완성한 것이다.
즉, 본 고안에서는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온수파이프가 내입될 수 있는 파이프 내입홈이 형성된 상하로 분할 구성되는 판넬부재를 상호 결합 구성하여 바닥판넬이 구성되게 함으로서, 시공상의 편리성과 간편성을 제공하며, 공기를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고, 또한 가격면에서도 저렴한 비용으로 시공할 수 있게 한 것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구성을 보인 단면 구성도
도 3은 본 고안에 온수파이프를 배관한 예를 보인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에 대한 설명 ☜
1:(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2,3:판넬부재
4:파이프 내입홈 5:걸림돌기
6:걸림홈 7:철망
8:고정판 9:고정수단
도 1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단면 구성도를 도시한 것으로, 이하에서 본 고안의 구성을 설명한다.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1)은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분할 구성되는 판넬부재(2)(3)로 구성되며, 상하측 판넬부재(2)(3)에는 서로 마주보는 파이프 내입홈(4)이 일자형 또는 U자형 등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파이프 내입홈(4) 사이와 파이프 내입홈(4)의 직각방향의 상하측 판넬부재(2)(3)에는 각각 걸림돌기(5)와 걸림홈(6)을 한 개소 이상 형성하여 상하측 판넬부재(2)(3)를 맞대어 결합할 때 정확한 위치를 제공할 수 있게 한다.
상기와 같이 상하측 판넬부재(2)(3)를 서로 맞대어 결합하는 본 고안의 바닥판넬(1)은 내구성 등을 충분히 고려하여 제작함이 바람직한 것으로, 내부에 심재인 철망(7)을 배치하고 그 표면에 콘크리트를 타설하여 구성할 수도 있으나, 이동성 등을 고려할 때 중량체이므로, 본 고안에서는 무게를 줄일 수 있도록 내부에 심재인 철망(7)을 배치하고 그 표면에는 황토분말과 폐지펄프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중량비로 풀과 같은 수성접착제20%와 물80%를 혼합한 접착용액을 첨가하여 걸쭉한 죽 상태로 혼합한 혼합물을 판상의 고형물로 가압, 성형 후 건조하여 구성한다.
그리고 상기 상하측 판넬부재(2)(3)는 겹쳐진 상태만으로도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으나 보다 안전성 있는 시공을 위해 상하측 판넬부재(2)(3)의 내부에 위치하는 철망(7)에 철판 또는 나무토막 등과 같은 상호 대응하는 고정편(8)을 결합 고정하여 피스나 못 등의 고정수단(9)으로 고정할 수 있게 한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 10은 파이프 내입홈에 배관되는 온수파이프를 도시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고안의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1)은 건축물의 바닥에 온수파이프(10)를 시공할 때에 사용하는 것으로서, 이하에서 본 고안의 사용에 따른 작용 등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을 바닥에 시공코자 할 시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측 판넬부재(3)를 일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된 파이프 내입홈(4)이 연결 구성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온수파이프(10)를 절곡 가능하게 가열하여 파이프 내입홈(4)을 따라서 배관한 다음 그 상측으로 하측 판넬부재(3)와 대응하는 상측 판넬부재(2)를 맞대어 결합한 다음 상하측 판넬부재(2)(3)를 피스나 못과 같은 고정수단(9)으로 고정하면 시공이 완료되는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일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된 파이프 내입홈(4)이 연결 구성되게 배치한 상태에서 온수파이프(10)의 배관작업이 이루어지므로 배관작업을 극히 간편하게 행할 수 있고, 상하측 판넬부재(2)(3)의 결합에 있어서도 판넬부재(2)(3)에 서로 대응하는 걸림돌기(5)와 걸림홈(6)이 한 개소 이상 형성되어 있어 상측 판넬부재(2)의 결합시 중심을 맞추어야 하는 번거로움 없이 간편하게 시공이 이루어질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고안의 판넬부재(2)(3)는 내측으로 심재인 철망(7)이 내입 설치되어 있으므로 시공시 파손의 우려를 일소할 수 있고, 황토 및 폐지펄프를 이용하여 판넬부재(2)(3)를 구성할 경우 실내 습도조절 및 공기정화 효과를 득할 수 있고, 뛰어난 난방효과가 제공되며, 세균과 해충의 살균 및 번식억제, 악취제거가 이루어지므로 쾌적한 주거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고안에서 제공하는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1)은 분할 구성되는 상하측 판넬부재(2)(3)에 일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된 파이프 내입홈(4)과, 대응하는 걸림돌기(5)와 걸림홈(6)을 형성한 것으로서, 본 고안에 의하면 설치가 간편하고 시공 시간을 획기적으로 단축할 수 있으며, 구성이 간단하여 염가에 제공할 수 있음은 물론이고, 황토가 갖는 다수의 효과를 제공하여 보다 쾌적한 주거환경을 제공할 수 있는 매우 유용한 고안이다.

Claims (3)

  1.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1)을 구성함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넬(1)은 상하 분할 구성되는 판넬부재(2)(3)로 구성되며,
    상기 상하측 판넬부재(2)(3)에는 서로 마주보는 파이프 내입홈(4)이 일자형 또는 U자형으로 형성하고, 파이프 내입홈(4) 사이와 파이프 내입홈(4)의 직각방향의 상하측 판넬부재(2)(3)에는 서로 대응하는 걸림돌기(5)와 걸림홈(6)을 각각 한 개소 이상 형성하여 상하측 판넬부재(2)(3)를 맞대어 결합할 수 있게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판넬(1)을 구성하는 상하측 판넬부재(2)(3)는 내부에 심재인 철망(7)을 배치하고 그 표면에 황토분말과 폐지펄프를 동일한 비율로 혼합하고, 여기에 중량비로 수성접착제20%와 물80%를 혼합한 접착용액을 첨가하여 걸쭉한 죽 상태로 혼합한 혼합물을 판상의 고형물로 가압, 성형 후 건조하여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상하측 판넬부재(2)(3)의 내부에 위치하는 철망(7)에 철판 또는 나무토막과 같은 상호 대응하는 고정편(8)을 결합 고정하여 피스나 못과 고정수단(9)으로 고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KR20-2003-0036927U 2003-11-26 2003-11-26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KR200342095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927U KR200342095Y1 (ko) 2003-11-26 2003-11-26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03-0036927U KR200342095Y1 (ko) 2003-11-26 2003-11-26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342095Y1 true KR200342095Y1 (ko) 2004-02-14

Family

ID=494248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3-0036927U KR200342095Y1 (ko) 2003-11-26 2003-11-26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34209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638B1 (ko) * 2016-04-21 2018-03-07 권오국 황토패널
KR20190009517A (ko) 2017-07-19 2019-01-29 최민영 기초 바닥용 패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5638B1 (ko) * 2016-04-21 2018-03-07 권오국 황토패널
KR20190009517A (ko) 2017-07-19 2019-01-29 최민영 기초 바닥용 패널구조체 및 이를 이용한 바닥 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020783B2 (en) Radiant mat grid
KR20000019349U (ko) 난방관의 배관용 단열보드
KR100994783B1 (ko) 생태재료를 활용한 조립식 생태건축용 단위패널 및 이에 의한 생태건축물
KR200342095Y1 (ko)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KR100792243B1 (ko) 구조용 복합 경량 패널
KR200418758Y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KR200394430Y1 (ko) 난방용 조립식 패널어셈블리
KR100334156B1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KR20160001904U (ko) 시공성 및 단열성을 높힌 모듈러하우스의 바닥재
KR102056758B1 (ko) 공동주택 건축물의 소음방지 바닥 시공 방법
KR200152632Y1 (ko) 난방파이프 배관용 바닥판넬
CN113767253A (zh) 地板块套件
KR100658497B1 (ko) 이동식 온돌
KR100677703B1 (ko) 건축물의 결로방지용 복합단열재의 결합구조
KR200379656Y1 (ko) 이동식 온돌
KR20000030347A (ko) 옥과 숯을 이용한 온돌용 패널 및 그 제조방법
KR100528600B1 (ko) 황토구들의 시공방법
KR101134948B1 (ko) 조립식 황토바닥패널
KR200294617Y1 (ko) 인테리어용 조립식 원목 마루 판넬
KR101386210B1 (ko) 폭이 좁은 벽돌과 조립 연결구 및 그 시공방법
KR200318884Y1 (ko) 조립식 바닥재
KR200433778Y1 (ko) 조립식 바닥재
KR20230051957A (ko) 건축용 외장패널 조립체
KR200254593Y1 (ko) 배관 장착용 조립식 패널
KR980009164A (ko) 건물벽체 및 온돌바닥용 무소성(無燒成) 흙판넬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T201 Request for technology evaluation of utility model
EXTG Extinguishment
T601 Decision on revocation of utility model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