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835638B1 - 황토패널 - Google Patents

황토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835638B1
KR101835638B1 KR1020160048888A KR20160048888A KR101835638B1 KR 101835638 B1 KR101835638 B1 KR 101835638B1 KR 1020160048888 A KR1020160048888 A KR 1020160048888A KR 20160048888 A KR20160048888 A KR 20160048888A KR 101835638 B1 KR101835638 B1 KR 10183563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d
hot water
water pipe
tube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488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20423A (ko
Inventor
권오국
Original Assignee
권오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권오국 filed Critical 권오국
Priority to KR10201600488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835638B1/ko
Publication of KR201701204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2042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8356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8356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 E04C2/521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 E04C2/525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with special adaptations for auxiliary purposes, e.g.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serving for locating conduits; for ventilating, heating or cooling for heating or cooling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3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r structur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4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wall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4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 E04C2/50Self-supporting slabs specially adapted for making floors ceilings, or roofs, e.g. able to be loaded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5/00Flooring
    • E04F15/18Separately-laid insulating layers; Other additional insulating measures; Floating flo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7/00Connections of rods or tubes, e.g. of non-circular section, mutually, including resilient connections
    • F16B7/04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 F16B7/0406Clamping or clipping connections for rods or tubes being coaxi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21/00Joints with sleeve or socket
    • F16L21/08Joints with sleeve or socket with additional lock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90/00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E04F2290/02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 E04F2290/023Specially adapted covering, lining or flooring eleme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accommodating service installations or utility lines, e.g. heating conduits, electrical lines, lighting devices or service outlets for hea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team Or Hot-Water Central Heating Systems (AREA)
  • Floor Finish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황토패널에 관한 것으로, 냉온수관을 단위 패널 내에 구비하고, 패널 사이에 구비된 냉온수관 연결구의 간단한 조작으로 얼마든지 용이하게 확장 가능하며 난방용은 물론 냉방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고, 바닥과 덮개패널의 구성 성분을 달리함으로써, 결로방지 및/또는 층간/방 사이의 소음방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황토패널{LOESS PANEL}
본 발명은 실내바닥, 벽면 등에 사용될 수 있는 황토패널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조립식으로 시공이 용이하고, 내장된 냉온수관으로 냉난방 효과를 낼 수 있는 황토패널에 관한 것이다.
황토는 뢰스(Loess)라고 불리는 세립 토양으로, 원적외선을 방사하고, 흡착 및 수분 조절능력이 있어, 예로부터 집을 짓는 주 건축자재로 사용되어 왔다.
최근에는 패널(판넬) 형태로 제작되어 방의 바닥이나 벽면 등에 조립식으로 사용되고 있다. 황토패널과 관련하여 대표적인 선행기술로는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7236호 및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1234호가 있는데, 전자는 황토패널 내부에 열선을 구비하고, 패널 사이에는 콘센트와 플러그로 체결되도록 구성되고, 후자는 요철로 짜 맞추어지며 온수파이프 매설홈을 따라 온수파이프가 설치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7236호는 패널 구조가 단순하여 구현에 비용이 많이 소요되지 않는 등의 장점은 있으나, 열선에 의한 난방용으로만 가능한 단점이 있다.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1234호는 패널은 요철로 짜 맞추기 방식으로 시공면적을 용이하게 확장시킬 수 있으나, 전체 시공 후 패널 사이로 연결된 온수파이프 매설홈을 따라 온수파이프가 단위 연결 없이 하나로 설치하게 됨으로써, 황토온돌패널의 활용도가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도록 냉온수관을 단위 황토패널 내에 구비하고, 패널 사이에는 냉온수관 연결구로 얼마든지 확장 가능하게 하며 난방용은 물론 냉방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하고, 상,하 패널의 구성 성분을 달리하여 결로방지 및/또는 층간/방 사이 소음방지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도록 한 황토패널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의한 황토패널은 황토로 제작되고, 상면에 수관 삽입 홈 및 양측에 연결 홈이 각각 형성된 바닥패널; 상기 수관 삽입 홈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홈에 양단이 노출되도록 구비된 냉온수관; 및 상기 연결 홈에 노출된 상기 냉온수관의 일단에 부착된 냉온수관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패널의 상부에는 상기 바닥패널과 대응되는 크기, 수관 삽입 홈 및 연결 홈이 형성된 덮개패널이 체결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황토패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덮개패널은 황토 1 중량부에 닥나무 또는 볏짚 분쇄물 0.5~1 중량부로 배합하여 형성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황토패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패널 및 상기 덮개패널에는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소정의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황토패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바닥패널의 수관 삽입 홈과 상기 냉온수관 사이에는 열 차단 물질이 더 형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황토패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황토로 제작되고 양측에 연결 홈이 형성된 바닥패널; 상기 바닥패널 위에 놓여 지는 것으로, 황토 1 중량부에 닥나무 또는 볏짚 분쇄물 0.5~1 중량부로 배합하여 제작되고, 하면에 수관 삽입 홈 및 양측에 연결 홈이 각각 형성된 덮개패널; 상기 수관 삽입 홈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홈에 양단이 노출되도록 구비된 냉온수관; 및 상기 연결 홈에 노출된 상기 냉온수관의 일단에 부착된 냉온수관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황토패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냉온수관 연결구는 좌, 우 양측에 반경을 달리하며 돌출된 이중 원통 관을 구비하고 가운데 관통된 중심 몸체; 상기 중심 몸체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상기 이중 원통 관 사이에 체결되는 압박용 원통 관; 상기 압박용 원통 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냉온수관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수관 삽입용 원통; 상기 압박용 원통 관의 양단에 끼워져 반경이 줄어들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가며 복수 개의 절개홈이 원주방향과 수직 된 방향으로 형성된 링 형상의 전, 후방 압박 부재; 및 상기 수관 삽입용 원통, 상기 압박용 원통 관 및 상기 후방 압박 부재를 내장하며 상기 냉온수관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이중 원통 관 중 외관에 체결되는 수관 체결용 원통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황토패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이중 원통 관 중 외관은 바깥 테두리에 좌, 우 대칭되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으로는 좌, 우 대칭되게 내관을 향해 전방으로 가며 하향 경사진 형상을 하고, 상기 수관 체결용 원통은 내측 전방에 상기 외관의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 후방으로 가며 하향 경사진 형상을 하고, 상기 압박용 원통 관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관 삽입용 원통은 상기 후방 압박 부재의 압박에도 부피가 변하지 않는 강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관 체결용 원통의 외면은 길이방향의 수직단면이 다각형 형상을 한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황토패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상기 중심 몸체의 상부에는 길이방향과 수직 되게 힌지 축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 축에는 좌, 우로 2 개 이상의 회전 꺾쇠가 체결되고, 상기 회전 꺾쇠가 회전되며 수관 체결용 원통의 후방을 밀어 체결하는 것을 본 발명에 의한 황토패널의 다른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황토패널은 냉온수관을 단위 패널 내에 구비하고, 패널 사이에 구비된 냉온수관 연결구의 간단한 조작으로 얼마든지 용이하게 확장 가능하며 난방용은 물론 냉방용으로도 사용될 수 있고, 바닥과 덮개패널의 구성 성분을 달리함으로써, 결로방지 및/또는 층간/방 사이의 소음방지용으로도 사용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각각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의한 황토패널이 체결되는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1의 실시 예에 의한 황토패널이 냉온수관 연결구를 통하여 확장하며 체결되는 모습을 보여주는 평면도이다.
도 6 내지 도 7은 각 실시 예에 따른 도 4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8 및 도 12는 도 4에 도시된 냉온수관 연결구의 각 실시 예에 따른 사시도이다.
도 9는 도 8의 냉온수관 연결구를 분해한 모습을 보여주는 분해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의 냉온수관 연결구를 사용한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8의 냉온수관 연결구를 사용한 도 4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냉온수관 연결구를 사용한 도 4의 BB'선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며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황토패널은 기본적으로, 도 1 내지 도 4에 공통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황토로 제작되고, 상면에 수관 삽입 홈(120) 및 양측에 연결 홈(140)이 각각 형성된 바닥패널(100); 상기 수관 삽입 홈(120, 121)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홈(140)에 양단이 노출되도록 구비된 냉온수관(200); 및 상기 연결 홈(140)에 노출된 상기 냉온수관(200)의 일단에 부착된 냉온수관 연결구(4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황토란 선행기술 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7236호 및 한국 공개실용신안 제20-1999-001234호 등에서 개시된 것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조성물을 갖는 것으로, 크기가 0.005-0.1mm로 고른 모래와 실트가 대부분을 차지하며, 칼슘과 마그네슘의 탄산염 성분이 제일 큰 부분을 형성하고 탄산염을 제외한 나머지 화학조성은 SiO 72-82중량%, AlO 6-10중량%, FeO 1-6중량%, CaO 0.8-1중량%, NaO 0-1중량%, KO 1-2중량%, PO 0.1-0.4중량% 등으로 구성된다(한국 등록실용신안 제20-0417236호 참조).
상기 바닥패널(100)은 실내바닥이나 벽면에 1차로 시공하는 것으로, 황토 반죽을 압축틀이나 금형을 이용하여 성형한 다음 불에 굽지않거나 저온소성(850℃ 이하)으로 소성 하여 제작할 수 있다.
상기 바닥패널(100) 성형시 두께는 수관 삽입 홈(120)의 깊이에 1.5배 이상 되도록 하고(예컨대, 2~3cm), 상면에는, 도 1과 같이, 수관 삽입 홈(120)이 지그재그로 형성되도록 하고, 양측에 반달 형 등으로 연결 홈(140)을 형성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된 바닥패널(100)의 상부에는, 도 1과 같이, 상기 수관 삽입 홈(120)을 따라 상기 냉온수관(200)이 배치된다. 이때, 상기 냉온수관(200)의 양단은 상기 연결 홈(140)에 노출되도록 하여, 도 3과 같이, 냉온수관 연결구(400)를 통하여 이웃 패널의 냉온수관들(210, 220)과 서로 연결되도록 함으로써, 시공 공간에 맞추어 황토패널을 설치할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나 또는 복수 개의 바닥패널(100)을 시공하고, 상기 바닥패널(100) 상부의 수관 삽입 홈(120)에 냉온수관(200)이 배치하고, 연결 홈(140)에서 냉온수관 연결구(400)를 통하여 냉온수관들(210, 220)을 연결한 다음, 도 2와 같이, 상기 바닥패널(100)의 두께로 황토 모르타르(반죽)를 덮어 한번에 하나의 덮개패널(300')로 황토패널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는 실내바닥 시공시 유용하다.
다른 실시 예로, 도 3과 같이, 상기 바닥패널(100) 상부에는 냉온수관(200)이 완전히 삽입 배치되도록 앞의 실시 예보다 깊은 수관 삽입 홈(121)을 형성하고, 상기 수관 삽입 홈(121)에 냉온수관(200)이 배치한 다음, 상기 바닥패널(100) 위로 대응되는 위치에 연결 홈(340)만 형성된 덮개패널(310)을 단순히 덮는 방법으로 시공할 수도 있다. 본 실시 예의 응용된 예로, 본 실시 예와 반대로, 바닥패널에는 수관 삽입 홈 형성 없이 연결 홈만 형성되어 있고, 덮개패널에 깊은 수관 삽입 홈과 연결 홈이 형성되어, 수관 삽입 홈에 냉온수관이 배치된 덮개패널을 상기 바닥패널에 덮어 시공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1과 같이, 상기 바닥패널(100) 상부에 상기 바닥패널과 대응되는 크기, 수관 삽입 홈(320) 및 연결 홈(340)이 형성된 덮개패널(300)이 체결된 것으로 하여 황토패널이 구현될 수 있다. 이때, 상기 덮개패널(300)의 두께도 상기 바닥패널(100)의 두께와 동일하게 할 수 있다. 이는 실내바닥뿐만 아니라 벽면 시공 등에도 다양하게 시공장소에 맞추어 황토패널 시공을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술한 덮개패널은 상기 바닥패널(100)과 동일한 황토 조성물로 형성할 수도 있으나, 황토 1 중량부에 닥나무 또는 볏짚 분쇄물 0.5~1 중량부로 배합하여 불에 굽지 않고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 닥나무와 볏짚 분쇄물은 1~2cm 크기로 절단 또는 가공된 것으로, 결로방지 및/또는 층간/방 사이의 소음방지용 배합하는 것이어서, 닥나무 또는 볏짚 분쇄물이 황토의 배합 중량보다 0.5배 미만으로 배합되면, 덮개패널 내에 기공형성이 충분히 되지 않아 결로방지 및/또는 층간/방 사이의 소음방지 효과가 떨어지고, 그렇다고 황토의 배합 중량보다 초과하는 비율로 배합되면 소성 하지 않은 상태서 덮개패널의 강도가 너무 약해지는 문제점이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상기 바닥패널(100) 및 상기 덮개패널(300)에는,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소정의 체결수단(500, 510, 520, 530)이 삽입되어 체결될 수 있다. 즉, 도 5 및 도 6의 실시 예와 같이, 너트(520)보다 큰 와셔(510)를 사이에 두고 체결공에 양단으로 나사산이 형성된 체결봉(500)을 삽입하여 양측의 너트(520)를 조여 바닥패널(101) 및 덮개패널(301)만 체결될 수도 있고, 도 7의 실시 예와 같이, 장 볼트(530) 및 와셔(510)로 바닥패널(101)과 덮개패널(301)을 벽체(10)에 동시에 체결 고정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6과 같이, 상기 바닥패널(101)의 수관 삽입 홈(120)과 상기 냉온수관(210) 사이에는 열 차단 물질(110)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열 반사 물질(110)은 온수관으로 사용시 냉온수관(210)의 열이 바닥패널(101)로 나가는 것을 막고, 반대로 냉수관으로 사용시에는 바닥패널(101)에서 전달되는 열을 차단하는 것으로, 알루미늄 호일과 같이 열복사(전자기파)를 막거나, 스티로폼과 같이 열전도율이 낮은 물질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냉온수관 연결구(400)는, 도 4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이웃한 황토패널(301, 302) 사이의 연결 홈(140, 340)으로 노출된 냉온수관(210, 220)을 서로 연결하는 것으로, 도 8과 도 12의 실시 예로 실시함이 체결에 용이하여 바람직하다.
도 8과 도 12의 실시 예에 의한 냉온수관 연결구(400, 400')는 기본적으로, 도 9와 같이, 좌, 우 양측에 반경을 달리하며 돌출된 이중 원통 관(422, 424)을 구비하고 가운데 관통된 중심 몸체(420); 상기 중심 몸체(420)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상기 이중 원통 관 사이에 체결되는 압박용 원통 관(416, 436); 상기 압박용 원통 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냉온수관(210, 220)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수관 삽입용 원통(414, 434); 상기 압박용 원통 관(416, 436)의 양단에 끼워져 반경이 줄어들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가며 복수 개의 절개홈이 원주방향과 수직 된 방향으로 형성된 링 형상의 전, 후방 압박 부재(418, 438; 412, 432) 및 상기 수관 삽입용 원통(414, 434), 상기 압박용 원통 관(416, 436) 및 상기 후방 압박 부재(412, 432)를 내장하며 상기 냉온수관(210, 220)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이중 원통 관 중 외관(422)에 체결되는 수관 체결용 원통(410, 411; 430, 431)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여기서, 전방이라 함은 중심 몸체(420)를 향하는 방향을 말하고, 후방이라 함은 중심 몸체(420)에서 멀어지는 방향을 말한다.
도 8 내지 도 11에 도시된 냉온수관 연결구(400)의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 이중 원통 관 중 외관(422)은 바깥 테두리에 좌, 우 대칭되게 나사산이 형성되어 있고, 내측으로는 좌, 우 대칭되게 내관(424)을 향해 전방으로 가며 하향 경사진 형상을 한다.
상기 수관 체결용 원통(410, 430)은 내측 전방에 상기 외관(422)의 나사산과 치합되도록 나사산이 형성되고, 내측 후방으로 가며 하향 경사진 형상을 한다.
상기 압박용 원통 관(416, 436)은 고무와 같은 탄성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수관 삽입용 원통(414, 434)은 상기 후방 압박 부재(412, 432)의 압박에도 부피가 변하지 않는 금속이나 PE, PVC와 같은 강성 재질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수관 체결용 원통(410, 430)의 외면은, 도 11과 같이, 길이방향의 수직단면이 다각형 형상을 하여, 이웃한 바닥패널(101, 102)의 연결 홈(140)을 매운 바닥 부재(600)의 홈에 삽입되어, 눌러진 상태에서 중심 몸체(420) 회전시 고정될 수 있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0 및 도 11은 각각 도 8의 냉온수관 연결구(400)를 사용한 도 4의 BB'선 및 CC'선 단면도이다. 도 10 및 도 11에 의하면, 수관 삽입용 원통(414, 434)에 냉온수관(210, 220)의 일단이 각각 삽입된 다음, 중심 몸체(420)만 하향으로 힘을 주며 돌려줌으로써, 외관(422)에 좌, 우 대칭으로 형성된 나사산에 의하여 좌, 우 수관 체결용 원통(410, 430)은 서로 반대 방향으로 이동하며 전, 후방 압박 부재(418, 438; 412, 432)로 수밀하게 되면서 간단하게 체결하게 된다.
도 10(a)는 체결되는 과정(원리)을 도시한 것이고, 도 10(b)는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분리할 경우에는 중심 몸체(420)만 하향으로 힘을 주며 전과 반대 방향으로 돌려주면 된다.
중심 몸체(420)를 하향으로 힘을 주며 돌릴 때, 하향으로 가해진 힘은, 도 10(a) 및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관 체결용 원통(410, 430)에 전달되어 눌려지고, 다각형 형상을 한 수관 체결용 원통의 외면이 바닥 부재(600)의 홈(610)에 삽입된 상태에 있게 되므로, 중심 몸체(420) 회전시 좌, 우 수관 체결용 원통(410, 430)은 고정되고, 중심 몸체(420)만 회전하게 된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냉온수관 연결구(400')의 실시 예에 의하면, 중심 몸체(420)의 외관(422)의 바깥 테두리와 수관 체결용 원통(410, 430)의 내측 전방에는 앞의 실시 예와 달리 나사산이 형성됨이 없이 서로 슬라이딩 되도록 형성되고, 중심 몸체(420')의 상부에는 길이방향과 수직 되게 힌지 축(424')이 구비되고, 힌지 축에는 좌, 우로 2 개 이상의 회전 꺾쇠(428)가 체결됨으로써, 좌, 우 회전 꺾쇠를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시켜 좌, 우 수관 체결용 원통(411, 431)의 후방을 밀어 체결하게 된다.
이때, 회전 꺾쇠(428)는 강철과 같이 변성이 되지 않은 소재로 만들어지고, 모양은 다양하게 할 수 있다. 힌지 축(424')에는 스프링과 같은 탄성 부재(426)가 더 삽입되어 회전 꺾쇠(428)의 회전 후 역회전 등이 일어나지 않도록 함이 바람직하다.
도 13(a)는 체결되는 과정(원리)을 도시한 것이고, 도 13(b)는 체결된 모습을 도시한 것이다. 분리할 경우에는 회전 꺾쇠(428)만 전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시켜주면 된다.
마지막으로, 도 10, 도 11 및 도 13에 미도시 되었으나, 덮개패널(301, 302)의 연결 홈(340)에도 상기 바닥 부재와 상하 대칭되게 홈이 만들어진 뚜껑 부재(미도시)가 냉온수관 연결구(400, 400')에 덮어질 수 있다.
이상으로 첨부된 도면을 중심으로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기술의 편의상 도면에 도시된 좌, 우 대칭인 구성은 일측 구성만으로 기술되어 있다 하더라도, 도면에 도시된 것과 같이, 좌, 우 대칭 구성을 갖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100, 101, 102: 바닥패널 110: 열 차단 물질
120, 121: 수관 삽입 홈 140: 연결 홈
200, 210, 220: 냉온수관 300, 300' 301, 302, 310: 덮개패널
400, 400': 냉온수관 연결구 410, 430: 수관 체결용 원통
412, 432: 후방 압박 부재 414, 434: 수관 삽입용 원통
416, 436: 압박용 원통 관 418, 438: 전방 압박 부재
420, 420': 중심 몸체 422: 외관
424: 내관 424': 힌지 축
426: 탄성 부재(스프링) 428: 회전 꺾쇠
500: 체결봉 510: 와셔
520: 너트 530: 장 볼트
600: 바닥 부재 610: 바닥 부재 홈

Claims (9)

  1. 황토로 제작되고, 상면에 수관 삽입 홈 및 양측에 연결 홈이 각각 형성된 바닥패널;
    상기 수관 삽입 홈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홈에 양단이 노출되도록 구비된 냉온수관; 및
    상기 연결 홈에 노출된 상기 냉온수관의 일단에 부착된 냉온수관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냉온수관 연결구는 좌, 우 양측에 반경을 달리하며 돌출된 이중 원통 관을 구비하고 가운데 관통된 중심 몸체;
    상기 중심 몸체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상기 이중 원통 관 사이에 체결되는 압박용 원통 관;
    상기 압박용 원통 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냉온수관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수관 삽입용 원통;
    상기 압박용 원통 관의 양단에 끼워져 반경이 줄어들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가며 복수 개의 절개홈이 원주방향과 수직 된 방향으로 형성된 링 형상의 전, 후방 압박 부재; 및
    상기 수관 삽입용 원통, 상기 압박용 원통 관 및 상기 후방 압박 부재를 내장하며 상기 냉온수관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이중 원통 관 중 외관에 체결되는 수관 체결용 원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심 몸체의 상부에는 길이방향과 수직 되게 힌지 축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 축에는 좌, 우로 2 개 이상의 회전 꺾쇠가 체결되고,
    상기 회전 꺾쇠가 회전되며 수관 체결용 원통의 후방을 밀어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패널.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의 상부에는 상기 바닥패널과 대응되는 크기, 수관 삽입 홈 및 연결 홈이 형성된 덮개패널이 체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패널.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덮개패널은 황토 1 중량부에 닥나무 또는 볏짚 분쇄물 0.5~1 중량부로 배합하여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패널.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 및 상기 덮개패널에는 복수 개의 체결공이 형성되고,
    상기 체결공에는 소정의 체결수단이 삽입되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패널.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패널의 수관 삽입 홈과 상기 냉온수관 사이에는 열 차단 물질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패널.
  6. 황토로 제작되고 양측에 연결 홈이 형성된 바닥패널;
    상기 바닥패널 위에 놓여 지는 것으로, 황토 1 중량부에 닥나무 또는 볏짚 분쇄물 0.5~1 중량부로 배합하여 제작되고, 하면에 수관 삽입 홈 및 양측에 연결 홈이 각각 형성된 덮개패널;
    상기 수관 삽입 홈에 배치되고, 상기 연결 홈에 양단이 노출되도록 구비된 냉온수관; 및
    상기 연결 홈에 노출된 상기 냉온수관의 일단에 부착된 냉온수관 연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되,
    상기 냉온수관 연결구는 좌, 우 양측에 반경을 달리하며 돌출된 이중 원통 관을 구비하고 가운데 관통된 중심 몸체;
    상기 중심 몸체의 양측으로 대칭되게 상기 이중 원통 관 사이에 체결되는 압박용 원통 관;
    상기 압박용 원통 관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냉온수관의 일단에 삽입 체결되는 수관 삽입용 원통;
    상기 압박용 원통 관의 양단에 끼워져 반경이 줄어들 수 있도록 원주방향으로 가며 복수 개의 절개홈이 원주방향과 수직 된 방향으로 형성된 링 형상의 전, 후방 압박 부재; 및
    상기 수관 삽입용 원통, 상기 압박용 원통 관 및 상기 후방 압박 부재를 내장하며 상기 냉온수관의 일단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중심 몸체의 일측에 형성된 이중 원통 관 중 외관에 체결되는 수관 체결용 원통을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중심 몸체의 상부에는 길이방향과 수직 되게 힌지 축이 구비되고,
    상기 힌지 축에는 좌, 우로 2 개 이상의 회전 꺾쇠가 체결되고,
    상기 회전 꺾쇠가 회전되며 수관 체결용 원통의 후방을 밀어 체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황토패널.
  7. 삭제
  8. 삭제
  9. 삭제
KR1020160048888A 2016-04-21 2016-04-21 황토패널 KR1018356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888A KR101835638B1 (ko) 2016-04-21 2016-04-21 황토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48888A KR101835638B1 (ko) 2016-04-21 2016-04-21 황토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423A KR20170120423A (ko) 2017-10-31
KR101835638B1 true KR101835638B1 (ko) 2018-03-07

Family

ID=603014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48888A KR101835638B1 (ko) 2016-04-21 2016-04-21 황토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83563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482Y1 (ko) * 2003-09-23 2003-12-31 최재진 조립식 온수 온돌판넬
KR200342095Y1 (ko) * 2003-11-26 2004-02-14 이수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JP4953463B2 (ja) * 2008-07-14 2012-06-13 株式会社テスク プラスチック樹脂パイプ用の管継手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7482Y1 (ko) * 2003-09-23 2003-12-31 최재진 조립식 온수 온돌판넬
KR200342095Y1 (ko) * 2003-11-26 2004-02-14 이수 온수파이프 시공용 바닥판넬
JP4953463B2 (ja) * 2008-07-14 2012-06-13 株式会社テスク プラスチック樹脂パイプ用の管継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20423A (ko) 2017-10-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35638B1 (ko) 황토패널
KR20180133149A (ko) 이동식 건물의 단위 구들체 및 단위 구들의 시공방법
CN115427645A (zh) 利用骨架板体的多用途砖
KR101846304B1 (ko) 다공성 경량 불연성 구조체
KR102151232B1 (ko) 조립식 황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바닥시공 방법
CN206053411U (zh) 一种铝合金拼装式集装箱房
CN203716389U (zh) 多孔砖
KR200407881Y1 (ko) 조립 건축자재
KR101788214B1 (ko) 조립식 황토패널 및 이를 이용한 공동주택의 바닥시공 방법
CN206616736U (zh) 集成房通用十字柱
CN207453160U (zh) 一种多功能高强保温隔热隔声板及基本构造系统
KR200265998Y1 (ko) 조립식 황토 패널
KR100646052B1 (ko) 방음용 실내의 바닥 시공방법 및 구조
KR200195501Y1 (ko) 황토 세라믹 압축 온돌 패널구조
KR20000024267A (ko) 황토를 이용한 건축자재
KR20220081933A (ko) 황토를 주성분으로 하는 황토블록 및 이를 이용한 벽체 시공방법
KR200481633Y1 (ko) 철골구조를 이용한 황토방
CN211341229U (zh) 一种分仓式防火保温板
KR200318884Y1 (ko) 조립식 바닥재
KR101729451B1 (ko) 단열재가 구비된 황토벽돌
KR100797777B1 (ko) 담장
KR200305343Y1 (ko) 황토모르타르를 이용한 온돌패널
KR19990039126U (ko) 황토 보일러 바닥재
CN204676764U (zh) 烧结注孔自保温砌块
KR20160115618A (ko) 건축용 단열재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