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3594A - 음향 포착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음향 포착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3594A
KR20000023594A KR1019997000040A KR19997000040A KR20000023594A KR 20000023594 A KR20000023594 A KR 20000023594A KR 1019997000040 A KR1019997000040 A KR 1019997000040A KR 19997000040 A KR19997000040 A KR 19997000040A KR 20000023594 A KR20000023594 A KR 2000002359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microphone
body portion
crystal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700004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더글러스 피터 마그야리
데이비드 케이스 마그야리
Original Assignee
더글라스 피터 마리야그
비주얼 사운드 리미티드 파트너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더글라스 피터 마리야그, 비주얼 사운드 리미티드 파트너십 filed Critical 더글라스 피터 마리야그
Publication of KR200000235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359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0/00Signal processing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Circuits therefor
    • G11B20/02Analogue recording or reproduc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5/00Stereophonic arrangements
    • H04R5/027Spatial or constructional arrangements of microphones, e.g. in dummy heads

Abstract

재생중 개량의 삼차원 상을 가진 기록을 만드는 데 사용하는 음향 포착 방법 및 장치. 진동 정보는, 수신 음파에 응하여 본체부의 진동 주파수에 상응하는 제 1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크리스탈 마이크로폰(78)의 이용을 통해 본체부(26)으로부터 탐지된다. 직접 음향 정보는, 수신 음파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제 2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 2의 위치의 그에 부착된 컨덴서 마이크로폰(82)의 이용을 통해 본체부로부터 탐지된다. 제 1 및 제 2의 위치는 상호에 근접 상태이어서 음파는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대신, 어느 것의 위치에나 수신된 신호들은 처리되거나 시간 지연시킬 수 있어서 음파들은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로부터 기록된다. 결과의 제 1 및 제 2의 신호들은 믹서의 이용을 통해 통합시켜진 다음 종래의 음향 기록 장치에 넣어진다.

Description

음향 포착 방법 및 장치 {SOUND CAPTURING METHOD AND DEVICE}
이중채널 또는 "스테레오" 전송장치의 개발이래, 음향장치 디자이너들은 원시 레코드 작성의 차원수를 개량하는 방법을 추구하여 왔다. 현재로는 이 목표를 달성하는 방법을 생각한 두 파: 즉 앨고리듬식 조작; 및 양귀식 기록이 있다. 앨고리듬의 접근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높이와 깊이의 환상을 만들어내도록 이상(phase shifting)과 EQ 지연을 포함하는 정교한 처리법을 활용한다. 그러나 이 접근에 있어서의 출력신호의 질은 입력데이터의 질에 직접 의존한다. 고품질의 삼차원 상은 따라서, 고품질의 입력데이터가 활용되는 경우에만 달성된다. 그러나, 기술에 숙련한 이들이 인정하게 되는 바와 같이, 이는 일반적으로 종래의 기록법의 경우는 아니다. 또한, 가장 적은 과처리 조차도 청취자를 불쾌하게 하도록 출력신호를 충분히 왜곡한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한편, 양귀식 기록법은 원시 기록 차원수를 개량하는 방법으로서의 대단한 약속을 보여왔다. 양귀식 음향 적용과 처리법의 역사적인 기사가 1986년 판, 3월 간행 오디오 매거진의 "양귀식 음향의 역사"라는 존 서니어의 글에 발견되기도 한다. 거기에 기술 된 바와 같이, 양귀식 장치와 처리법은 대략 1936년부터 1983년까지 비교적 변함없이 남아 있었다. 작업중에는 우측과 좌측 채널을 형성하도록 방해물에 의해 분리된 한쌍의 마이크로폰을 가진 음향기록장치로서 마네킹이나 또는 유사한 모조의 머리를 활용하였다.
1980년대는, 예를 들어, 과다한 복잡을 창출한 풀 이어 커낼(full ear canals)을 포함하는 이 전통적인 장치에 변화를 가져왔다. 즉, 듣는 사람 자신의 풀 이어 커낼과 연결된 음향 기록 장치에 있어서 풀 이어 커낼의 사용은 수신 신호를 대단히 왜곡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다른 변화는, 예를 들어, 다수의 마이크로폰의 사용을 포함하였다. 이 접근은, 그러나, 테마 공원등에서 발견되는 360°포위 음향 극장에서와 같이 다수의 스피커가 역시 사용되고 있는 그런 상황하에서 만 가장 적합함을 알았다. 양귀식 접근에 관한 다른 변화는, 예를 들어, 월레이스 쥬니어에게 부여된 미국특허 제 3,985,960 호; 반 덴 베르그에게 부여된 미국특허 제 4,074,084 호; 숀 및 그 외에게 부여된 미국특허 제 4,388,494 호; 반 덴 베르그에게 부여된 미국특허 제 4,393,270 호; 제뉴이트에게 부여된 미국특허 제 4,741,035 호; 및 스티븐즈 및 그 외에게 부여된 미국특허 제 5,105,822 호에서 또한 발견되기도 한다. 각각의 이들 특허는 양귀식 접근을 활용하는 음향 재생의 방법을 기술하고 있다.
이들 변화가 전통적 양귀식 기록법 이상의 현저한 개량을 보이면서도, 그들은 완전한 삼차원 상을 성취하는 데 바람직한 높이/깊이 구성요소 필요를 결핍하는 음향기록게 귀착하고 있다. 출원인은, 선행기술의 장치들은 인간이 듣는 방법에 관한 근본적인 오해 때문에 이 요소를 결핍하고 있음을 알았다. 전통적인 장치들이, 인간들은 일반적으로 그들의 귀로 듣는다는 이해를 토대로 하여 개발되었지만, 출원인은 실제로, 인체와, 특히 신체 진동 성분이 중요한 역할을 한다는 것을 발견하였다. 이 진동성분은 적절히 이용하는 경우 현저하게 개량된 원시 차원의 수를 가진 음향 기록에 귀착할 것이다.
따라서, 재생중 개량의 삼차원 상을 제공하도록 원시 기록에 사용하기 위해 직접 음향과 신체 진동 정보의 양자를 활용하는 음향 포착 방법 및 장치에 대한 필요가 존재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재생시 향상된 삼차원 상을 가지는 음성레코드, 콤팩트 디스크 따위의 음향기록에 기록함에 사용하는 음향 포착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방법의 단계들의 블록도;
도 2는 보호피복과 함께 보인 본 발명의 음향 기록 장치의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음향 기록 장치의 헤드부의 제 1의 우선 실시양태의 우 측면도;
도 4는, 도 3의 음향 기록 장치의 헤드부의 정면도;
도 5는, 도 3 및 도 4의 음향 기록 장치 헤드부의 배면도;
도 6은, 도 3에 보인 헤드부의 단면도;
도 7은, 도 1에 보인 음향 기록 장치의 장착판의 상면도;
도 8은, 도 3-6에 보인 음향 기록 장치의 헤드부의 실시양태의 평면도;
도 9는, 10-10 선을 따라 절단한 도 3에 보인 헤드부의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헤드부의 제 1의 우선 실시양태에 사용된 마이크로폰, 앰플리파이어, 및 믹서의 상호접속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11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사용되어도 좋은 대표적 프리앰프의 회로도;
도 12는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사용되어도 좋은 대체 프리앰프의 회로도;
도 13은 본 발명의 음향 기록 장치의 헤드부의 제 2의 우선 실시양태의 정면도;
도 14는 본 발명의 헤드부의 제 2의 우선 실시양태에 사용된 마이크로폰, 앰플리파이어, 및 믹서의 상호접속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15는 본 발명의 헤드부의 제 3의 우선 실시양태의 정면도;
도 16은 본 발명의 제 3의 우선 실시양태에 사용된 마이크로폰, 앰플리파이어, 및 믹서의 상호접속을 예시하는 블록도;
도 17은 본 발명의 교시에 따라 사용되어 본체 진동 정보를 탐지하게 되는 대표적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의 분해 사시도;
도 18은 보호 커버가 사실상 제거된, 도 1의 음향 기록 장치의 몸통부의 좌측 요소의 정면도; 그리고
도 19는 선 20-20을 따라 절단한 도 6에 보인 몸통부의 단면도이다.
인간의 음향 포착 방법을 모방하는 음향 포착 방법 및 장치를 마련함에 의하여 선행기술의 한정을 극복하려는 것이 본 발명의 하나의 목적인 것이다.
본 발명의 더 구체적인 목적은 신체 부분상의 각각의 제 1 및 제 2의 위치에서 수신된 진동 정보와 직접 음향 정보를 탐지하여 결합시키는 음향 포착 방법 및 장치의 마련으로, 그 위치는 상호에 충분한 근접이어서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그 위치들이 사실상 동시에 음파가 도달하게 하는 충분한 근접에 있을 수 없으면, 어느 것이나의 위치에 수신한 신호가 처리되거나 또는 시간 지연될 수 있어서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로부터 기록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더 구체적인 목적은 진동체에 부착된 적어도 하나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컨덴서 마이크로폰의 사용을 통하여 진동 정보와 직접 음향 정보를 탐지하여 결합시키는 음향 포착 방법 및 장치의 마련이고, 그 구성요소들은 상호 충분한 근접에 위치되어서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크리스탈 마이크로폰과 컨덴서 마이크로폰에 도달하게 된다. 다시, 만약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이 컨텐서 마이크로폰에 사실상 동시에 음파가 도달하게 충분한 근접에 설치될 수 없으면 어느 것이나의 위치에 수신된 신호가 처리되거나 또는 시간 지연될 수 있어서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로부터 기록된다.
본 발명의 여전히 또하나의 목적은, 중대한 발진없이 전범위의 주파수를 넘어 진동시키게 적합된 한쌍의 판을 포함하여 그 것을 직접 음향 정보와 결합시키는 음향 포착 방법 및 장치의 마련이다.
본 발명의 그 이상의 목적은 실체적인 매체에 새겨진 통합의 진동 정보와 직접 음향 정보를 포함하고 있는 기록을 제공하는 데 있고, 양 진동 정보와 음향 정보는 음파에 응하여 발생되며, 진동 정보는 제 1의 위치의 진동체의 진동 주파수에 상응하며 직접 음향 정보는 제 2의 위치의 음파로부터 직접 발생되고, 제 2의 위치는 제 1의 위치에 충분한 근접에 있어서 음파는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에 도달하게 되는 것이다. 만약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에 도달하게 함에 충분한 근접에 있을 수 없으면, 어느 것이나의 위치에 수신한 신호가 처리되거나 또는 시간 지연될 수 있어서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로부터 기록된다.
본 발명에 따라, 제 1의 위치의 본체부로부터의 진동 정보를 탐지하여 수신한 음파에 응하여 본체의 진동 주파수에 상응하는 제 1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단계들을 포한하는 음향 포착 방법이 마련된다. 직접 음향 정보가 제 2의 위치의 본체부로부터 또한 탐지되어 수신한 음파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제 2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제 2의 위치는 제 1의 위치에 대한 충분한 근접에 있어서 음파는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대신, 어느 것이나의 위치에 수신된 신호는 처리되거나 시간 지연될 수 있어서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로부터 기록된다.
우선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진동 정보는 크로스탈 마이크로폰의 이용을 통하여 탐지되며 직접 음향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릿(electret) 마이크로폰의 이용을 통하여 탐지된다. 적어도 하나의 일렉트릿 마이크로폰은 바람직하지만, 크리스탈 마이크로폰과 필연적으로 공동 위치시키지는 않는다. 일단 진동 정보와 직접 음향 정보가 탐지되면, 그 것은 믹서를 통하여 통합된다. 스테레오 판에 있어서는, 복합 채널 출력을 마련하도록 진동 정보와 직접 음향 정보는 진동체의 각 측으로부터 탐지되어 통합된다.
상기의 방법을 실행함에 있어서, 음향 포착 장치는 전자식 카세트, LP, 콤팩트 디스크 등과 같은 음성레코트 기록에 더 대비돼 있다. 가장 간단한 형태에서, 음향 포착 장치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 따위의 그에 부착된 제 1의 마이크로폰을 가진 본체부를, 수신한 음파에 응하여 본체부의 진동 주파수에 상응하는 제 1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 1의 위치에 함유하고 있다. 컨텐서 마이크로폰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마이크로폰이 수신 음파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제 2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 2의 위치의 본체부에 부착돼 있다. 발명과 어울리게, 제 2의 위치가 제 1의 위치에 충분한 근접이어서 음파는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 대신, 어느 것이나의 위치에 수신된 신호는 처리되거나 또는 시간 지연시켜질 수 있어서 음파들은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로부터 기록된다.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이, 크리스탈 마이크로폰과 적어도 하나의 제 2의 마이크로폰이 바람직하나, 필연적으로 공동 위치시켜지지는 않는다. 결과의 제 1 및 제 2의 신호는 믹서의 이용을 통하여 통합되게 된다.
음향 기록 장치의 우선 실시양태에 있어서, 본체부는 일체로 기하학적으로 구성되어 인간의 머리와 몸통을 흉내내게 돼 있다. 그 몸통부는 변화하는 양의 복수의 리브를 각각 가진 한쌍의 외향으로 연장하는 판을 포함하여 중대한 발진없이 음향 주파수의 범위를 넘어 진동시키게 적합돼 있다.
본 발명의 스테레오 판에 있어서는, 상기 설명의 음향 기록 장치의 본체부가, 예를 들어, 내측의 방해물에 의해 윤곽이 그려지게 되는 우측과 좌측을 포함하고 있다. 제 1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이 제 1의 위치의 본체부의 우측에 부착돼 있고 제 1의 컨덴서 마이크로폰이 제 2의 위치의 본체부의 우측에 부착돼 있다. 더 나아가, 제 2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이 제 1의 위치의 본체부의 좌측에 부착돼 있고 제 2의 컨덴서 마이크로폰이 제 2의 위치의 본체부의 좌측에 부착돼 있다. 본체부의 각 측 상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컨덴서 마이크로폰 쌍은 상호에 관해 배치돼 있어서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쌍을 이루는 각각의 마이크로폰에 도달하게 된다. 대신, 어느 것이나의 위치에 수신된 신호는 처리되거나 시간 지연시켜질 수 있어서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로부터 음파가 기록된다. 본체부의 각각의 측 상의 진동 및 직접 음향 정보를 통합하기 위해 믹서를 또한 마련하게 된다.
우선의 스테레오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다수(둘 이상)의 컨덴서 마이크로폰이 각각의 제 3, 제 4, 등등의 위치의 헤드부의 우측과 좌측에 집단으로 부착되어도 좋다. 컨덴서 마이크로폰의 집단은 그들의 상응하는 (우측이나 좌측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에 관하여 배치돼 있어서 음파는 컨덴서 마이크로폰의 집단과 상응하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에 사실상 동시에 도달하게 된다. 대신, 어느 것이나의 위치에 수신된 신호는 처리되거나 시간 지연시켜질 수 있어서 음파는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로부터 기록된다. 다시, 본 발명과 어울리게, 컨덴서 마이크로폰의 집단이 바람직하나 그들의 상응하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과 필연적으로 공동 위치시키지는 않는다.
본 발명의 이들 목적과 특징 및 장점은 하기의, 본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양태의 상세한 설명의 재검토에서 첨부의 도면과 관련하여 행해지는 경우 보다 용이하게 명료해지게 된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양태)
본 발명의 음향 포착 방법은 전자식 카세트, LP, 콤팩트 디스크 등과 같은 음향기록을 기록하는 데 특별히 지향하고 있다. 그 방법은 일반적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될 수 있으며 좌측 및 우측을 가진 진동체를 마련하는 단계들(10)을 포함한다. 진동 정보는, 제 1의 위치의 진동체의 우측으로부터의 음파에 응하여 본체로부터 포착되거나 탐지되어(12) 제 1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음향 정보는 제 2의 신호를 발생시키도록 제 2의 위치의 진동체의 우측으로 부터의 음파에 응하여 또한 직접 탐지(14)되게 된다.
본 발명과 어울리어, 제 2의 위치는 제 1의 위치에 충분한 근접이어서 음파는 각 위치에 사실상 동시에 도달하게 된다. 제 1의 위치의 진동체의 좌측으로부터의 음파에 응하여 진동 정보가 또한 탐지되어(16) 제 3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더 나아가, 음향 정보가 제 2의 위치의 진동체의 좌측으로부터의 음파로부터 직접 탐지되어(18) 제 4의 신호를 발생시키게 된다. 다시, 제 2의 위치는 제 1의 위치에 충분한 근접이어서 음파는 각 위치에 사실상 동시에 도달하게 된다.
제 1의 위치에 대한 제 2의 위치의 근접에 관하여는,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에 도달하게 된다는 것이 의도되어 있다. 만약 음파를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에 도달하기에 위치들이 충분한 근접에 있을 수 없으면, 어느 것의 위치에나 수신된 신호는 처리되거나 시간 지연시켜져서 음파들은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로부터 기록된다.
상기에 기술한 방법은, 물론 스테레오 기록에 향해져 있다. 1본 기록이 향해져 있으면, 우 및 좌 채널로부터의 출력신호는 기술에 숙련한 이들에게 알려져 있는 종래의 신호 가법을 이용하여 1본에 합해지게 되어 여기에 더 상세히 설명할 필요가 없다. 대신, 작접 음향 정보와 본체 진동 정보는 단일의 채널로부터 탐지되게 된다. 예를 들어, 단일의 클리스탈 마이크로폰/컨덴서 마이크로폰 쌍은 바람직한 기록과 적당한 변수에 의존하여 헤드부나 또는 다른 적당한 위치의 전면에 장착될 수가 있다.
도면의 도 2에 돌리면, 상기 설명의 발명의 방법을 실행하는 음향 기록 장치의 스테레오 실시양태를 보이고 있다. 일반적으로 참조숫자 22로 지정된 그 장치는 헤드부(26)와 몸통부(28)를 포함하는 본체 진동장치(24)를 함유하고, 그의 양자는 내부 구성요소를 보호하는 보호 피복(29)과 함께 나타내 있다. 물론, 진동장치(24)는, 예를 들어, 폴리에틸렌, 폴리우레탄, 나일론, 플라스틱 등등을 포함하는 어떤 적당한 재료로 전체적으로나 부분적으로 피복되어도 좋다. 장치(24)는 또한 음향 엔지니어의 필요, 및 적용가능의 기록과 환경상태에 의존하여 피복하지 않고 둘 수도 좋다.
헤드부(26)는 스크루(도시되지 않음)나 또는 나일론 볼트 등과 같은 타의 적당한 고정수단에 의해 댐프닝 판(30)이나 타의 적당한 플랫폼에 장착되어도 좋다. 보인 바와 같이, 댐프닝 판(30)은 바람직하나, 조정가능한 삼각대에 필연적으로 부착되지는 않는다. 판(30)은 도 7에 상세하게 나타내져 있으며 고무 장착된 충격 흡수기인 복수의 진동억제요소(34)를 포함하고 있다.
장치(22)는 입력 케이블(37)을 경유하여 믹서(36)에 접속되게 적합돼 있다. 믹서(36)은 진동장치(24)에 의해 탐지된 직접 음향 정보와 본체 진동 정보를 불연속의 우 및 좌 채널(즉, 우 채널: 우측 직접 음향 정보와 우측 본체 진동 정보; 및 좌 채널: 좌측 직접 음향 정보와 좌측 본체 진동 정보)에 통합시키게 작용할 수 있다. 믹서(36)은 입력 케이블(39 및 41)(좌 및 우 채널)을 을 경유하여 종래의 음향 기록 장치(38)와 차례로 접속돼 있다.
헤드부(26)의 제 1의 우성 실시양태를 도 3-6 및 9에 보이고 있다. 헤드부(26)는, 예를 들어, 잉글먼 스프러스 우드와 같은 크게 공명하는 재료로 바람직하게 제조된다. 그러나, 적용에 따라서는, 예를 들어 타의 형식의 목재와 합성재료는 물론, 플라스틱, 세라믹을 포함하는 어떤 적당한 재료를 사용하여도 좋다. 헤드부(26)은 또한 바람직하나, 우측(40)과 좌측(42)을 가진 두 조각의 사실상 고형 구조로 필연적으로 이루어지지는 않으며, 나일론 스크루(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함께 부착되어 둘의 별개의 좌 및 우 장치를 만들도록 내부 방해물(44)에 의해 분리돼 있다. 방해물(44)은 폴리우레탄이나 또는 이 특정한 목적에 적합될 수 있는 어떤 다른 재료로 이루어진다. 비록 바람직하게 고형 구조의 것일지라도, 헤드부(26)의 우측(40 및 42)의 각각은 이하에 더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내부의 전기 구성요소를 받아들여 수용하기 위해, 중공으로 한 캐비티(46 및 48)를 각각 포함하고 있다. 캐비티들(46 및 48)은 폴리에틸렌 등의 보호 피복(50)에 의해 또한 피복되어 오염물질의 침입을 방지하게 되나, 필연적르로 피복되지는 않는다. 일 이상의 캐비티(도시되지 않음)가 헤드부(26)의 밖에 또한 새겨져 인간 머리의 진동성 특성을 더 밀접하게 모사하게 폴리폼 따위의 타의 밀집상태의 재료의 삽입을 허용하게 되어도 좋다.
헤드부(26)은 인간의 음향 포착 과정을 흉내내게 고안돼 있으며 따라서 인간 머리를 닮게 형상지어져 있다. 발명과 어울리도록, 헤드부(26)의 기하학은 음향 포착 장치(22)를 공간의 매 점과는 다른 음파의 데이터를 해석함에 의하여 음향을 국지화하게 한다. 물론, 음향 포착 장치(22)는 각종 치수로 제조되어도 좋다. 그러나, 각 경우에 있어서, 각종 치수 간의 관계는 완전히 일정하게 남아 있어야 한다. 도 5에 보인 바와 같이, 헤드부(20)는 대략 8 인치의 높이와 대략 3.85 인치의 기부 폭을 가지고 있다. 높이/기부폭 비는 대략 2:1이다. 큰 판이 필요한 경우, 이를 테면 예를 들어 높이 12 인치는, 높이 폭 간의 관계가 같이 남아있게 되어 대략 6 인치(12/2)의 기부 폭을 가진 큰 판을 결과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보다 큰 치수의 헤드부이를 테면, 높이 16 인치가 요구되면, 대략 8 인치(16/2)의 기부 폭이 필요하게 된다.
도면의 도 3을 다시 참조하면, 헤드부(26)는 그의 상부 구획(56)에서 가장 멀리(대략 4.2 인치) 연장하고, 그의 기부 구획(58)에사 다음으로 멀리(대략 3.75 인치) 연장하며, 그의 중간 구획(60)에서 가장 좁은(대략 2.85 인치) 것을 알 수 있다. 중간 구획은 본 발명에 의해 활용되는 컨덴서 및 일렉트릿 마이크로폰들이 부착되어야 하도록 의도된 헤드부)26)의 구역이다. 상부 구획(56)이 대략 5 인치의 높이에서 시작하여 대략 7.35 인치의 높이에서 끝나는 곡률의 외측 반경을 가지고 있음이 더 분명하다. 다시, 헤드부(26)의 사이즈는 변경되어도 좋지만, 헤드부(26)의 구획들 간의 기하학적 관계는 비교적으로 불변하여 남아 있게 된다. 예를 들어, 기부 구획(58)(3.75 인치)의 폭의 중간 구획(60)에 대한 폭(2.85 인치) 간의 비는 대략 1.33:1 이다. 따라서, 기부 구획이 5.625 인치 연장하려는 의도의 큰 치수의 헤드부에 있어서는, 예를 들어, 중간 구획은 대략 4.2 인치(5.625/1.33) 연장하게 된다. 마찬가지로, 기부가 7.5 인치 연장하게 의도된 큰 판에 있어서, 중간 구획은 대략 5.6 인치(7.5/1.33)연장하게 된다.
상부 구획(56)의 곡률의 시작과 끝 간의 비는 사이즈에 불구하고 비교적 일정하게 또한 남아 있게 된다. 위에 가리킨 바와 같이, 도 3-6에 보인 실시양태에 있어서, 상부 구획은 대략 5 인치의 높이에서 대략 7.35 인치의 높이까지, 대략 .68:1의 비로 연장하는 곡률 반경을 가지고 있다. 곡률 시점의 높이(5 인치)의 기부 구획(58)의 폭(3.75 인치)에 대한 비는 1.33:1 이다. 큰 사이즈의 판에 있어서는, 위에 가리킨 바와 같이, 기부에 대하여 5.625 인치 연장하려는 의도이면, 곡률 점은, 따라서 대략 7.5 인치(5.625×1.33)의 높이에서 시작하여 대략 6.45 인치(7.5/.68)의 높이까지 연장하여야 한다. 마찬가지로, 기부를 폭 7.5 인치와 거의 비슷하게 할 예정의 큰 판에 있어서는 중간 구획은 대략 5.7 인치(7.5/1.3)의 폭이 되게 된다. 쉽사리 이해되는 바와 같이, 수많은 기하학적 관계와 상응하는 비는 도 3과 도 5를 참고로 하여 산정할 수 있다. 그러나 이들 비는 헤드부(26)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게 남아있게 된다.
이제 도면의 도 8을 참조하면, 도3-6에 보인 헤드부(26)의 평면도를 보이고 있다. 이 평면도는 기부 구획(58)이 수평 기준선으로부터 대략 5°그리고 수직 기준선(70)으로부터 85°의 각도로 연장하는 배후 경계선을 가지고 있음을 예증하고 있다. 참조숫자(68)에 의해 지정된 기부 구획의 측면은 배후 경계선(62)에 직각을 이루어 그려져 있는 기준선(66)으로부터 15°의 각도로 연장하고 있다. 기부 구획의 측면 경계선(68)은 또한 기준선(64)에 직각을 이룬 기준선(70)으로부터 20°의 각도로 연장된 듯 관찰된다.
여전히 도 8을 참조하면, 상부 구획(56)이, 기준선(66)으로부터 10°그리고 기준선(70)으로부터 15°의 각도로 연장하고 있는 측면 경계선(72)를 가지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마지막으로, 중간 구획(60)의 단면의 측면 경계선(74)은 기준선(66)으로부터 30°그리고 기준선(70)으로부터 35°의 각도로 연장하고 있다.
이들 각도는 발명과 어울리게, 헤드부(26)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비교적 일정하게 남아있게 된다. 사이즈들 간의 기하학적 관계도 비교적 일정하게 남아있게 된다. 예를 들어, 배후 경계선(62)의 폭(1.935 인치)과 기부 구획(76)(.55 인치) 간의 비가 대략 3.5:1임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이, 예를 들어, 길이가 대략 2.89 인치의 배후 경계선을 가지게 할 생각의 큰 판에 있어서는, 기부 구획의 전방 경계선이 대략 .82 인치(2.89/3.5)로 되게 된다. 도 9에 예시된 헤드부는 마찬가지로 대략 2:1(1.935/.950)의 헤드 폭 대 배후 기부 경계선의 비를 가지고 있다. 따라서, 위에 언급한, 배후 경계선이 2.9 인치의 길이를 가지고 있게 의도되는 큰 판에 있어서는, 헤드 폭이 대략 1.4 인치(2.89/2)가 되게 된다. 여전히, 또한 예증의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전방 헤드 폭 대 기부 폭의 비가 대략 1.73:1이다. 따라서, 헤드 폭이 대략 1.4 인치의 폭이 되게 된다고 산정되는 큰 판에 있어서는, 대략 .8 인치(1.4/1.73)의 상응하는 전방 기부 폭이 되게된다. 다시, 수많은 기하학적 관계는, 본 발명과 어울리게, 설계의 헤드부의 사이즈에 관계없이 유지되어야하게 산정된다.
도면의 도 3-5 및 9를 참조하면, 도 2의 스테레오 실시양태를 더 상세히 설명하게 된다. 도시와 같이, 헤드부(26)는 좌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78)과 우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80)을 포함하고 있고, 그 각각은 도 7에 예증된 방식으로 그에 직접 끼워 넣어져 있다. 적어도 하나의 컨덴서(바람직하나, 필수적으로 일렉트릿은 아닌) 마이크로폰(82)이 우측에 더 부착돼 있고 또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로폰(바람직하나, 필수적으로 일렉트릿은 아닌)(84)이 좌측에 부착돼 있다. 본 발명과 어울리게, 컨덴서 마이크로폰(82와 84)은 그들의 상응하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78과 80)에, 각각, 충분한 근접으로 배치돼 있어서 음파는 각각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사실상 동시에 수신되게 된다.
크리스탈 마이크로폰(78과 80)은 수신의 음파에 응하여 본체부(26)의 진동 주파수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적합돼 있다. 커덴서 마이크로폰(82와 84)은 수신 음파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또한 적합돼 있다. 도 2에 예증된 바와 같이, 헤드부(26)의 각 측(40과 42)으로부터의 진동 정보와 직접 음향 정보는 케이블(37)을 경유하여 믹서(36)에 입력되고, 차례로, 케이블(39와 41)을 경유하여 종래의 음향 기록 장치(38)에 입력하기 위한 우 및 좌의 채널을 발생시킨다.
상기 설명의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크리스탈 및 컨덴서 마이크로폰과 연합된 내부의 전기적 구성요소는 도 10에 상세하게 나타내 있다. 참조의 목적을 위해, C1은 크리스탈 마이크로폰(78)에 해당하고 C2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80)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E1과 E2는 컨덴서(일렉트릿) 마이크로폰(82와 84)에 해당한다. 컨덴서 마이크로폰(78과 80)은, 참조숫자 86과 88로 각각 지정한 상응하는 프리앰프 A-B와 전기적 연락상태에 각각 마련돼 있다. 각각의 프리앰프는, 차례로, 믹서(36)와 전지적 연락상태에 마련돼 있어 믹서(36)에 MIC 수준 입력을 제공하고 있다. 프리앰프(86과 88)는 어떤 적당한 구성으로 돼 있어 바람직한 증폭 목적을 실행하게 돼 있다. 설명한 실시양태에 있어서, 프리앰프(86) A에 대한 대표적인 회로도는, 예를 들어, 도 11에 나타내어 있다. 마찬가지로, 프리앰프(88) B에 대한 대표적 회로도는 도 12에 나타내어 있다.
크리스탈 마이크로폰(78과 80)(C1과 C2)의 각각은 그의 양 및 음 터미널을 건너 접속된 상응하는 저항체를 가지고 있으며 상응하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으로하여금 그의 최대감도에 도달하게 전환시키도록 선택된 인피던스 치를 가지고 있다. 적용에 의존하여 다양한 저항치를 사용할 수 있지만, 출원인은, 상기 설명의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390K??-1M?? 범위의 값이 바람직한 목적을 달성한다는 것을 알았다. 그렇지만, 전환 과정이 크리스탈의 작용이기 때문에, 상이한 종류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은 상이한 R 값을 필요로하게 되는 것은 물론이다.
도 10에 참조숫자 90과 92를 부여한 각각의 저항요소들은, 상응하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78 및 80)의 고 임피던스 입력을 믹서(36)에 의해 수신되게 되는 라인 수준 출력에 각기 변환시키기 위해, 고 임피던스 프리앰프(94 및 92)와의 전기적인 연락상태로 마련돼 있다.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믹서(36)는 넷의 입력선(98, 100, 102 및 104)과 둘의 출력선(106 및 108)을가지고 있다. 믹서(36)는, 예를 들어, 스튜어트 4 마이크 입력 믹서로 이루어지기도 하며, 크리스탈 마이크로폰(80)으로 탐지한 좌측 신체 진동 정보와 동시에 컨덴서 마이크로폰(84)으로 탐지한 좌측 직접 음향 정보(좌 채널)를 크리스탈 마이크로폰(78)으로 탐지한 우측 신체 진동 정보와 동시에 컨덴서 마이크로폰(82)으로 탐지한 우측 직접 음향 정보(우 채널)와 통합하게 설계돼 있다.
이제 도면의 도 13에 의하면, 본 발명의 헤드부(26)의 제 2의 우선 실시양태를 보이고 있다. 이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각각의 우 및 좌측의 헤드부(26)가 단일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10(우측)과 112(좌측)〕과 한쌍의 컨덴서(바람직하나, 필수적으로 일렉트릿은 아닌) 마이크로폰〔(114와 116)(우측) 및 (118과 120)(좌측)〕을 포함하고 있다. 헤드부(26)는, 물론 여전히, 예를 들어 잉글먼 스프러스 우드 따위의 고 공명 재료로 만들어지며, 위에 기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 함께 부착돼 있는 우측(122)과 좌측(124)를 가진 두조각의 고형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발명과 어울리게, 컨덴서 마이크로폰(114와 116)은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10)에 대해 충분한 근접으로 배치돼 있어서 음파는 각각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사실상 동시에 수신되게 된다. 컨덴서 마이크로폰(118과 120)도 마찬가지로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12)에 대해 충분한 근접으로 배치돼 있으므로 음파는 각가의 마이크로폰에 의해 사실상 동시에 수신되게 된다. 상기에 기술한 제 1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처럼,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10 및 112)은 수신 음파에 응하여 본체부(26)의 진동 주파수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적합돼 있다. 다시, 헤드부(26)의 각 측(122와 124)으로부터의 진동 정보와 직접 음향 정보는 믹서에 입력되고, 차례로, 종래의 음향 기록 장치에 입력하기 위한 우 및 조 채널 정보를 발생시키게 된다.
이 실시양태에서 크리스탈 및 컨덴서 마이크로폰과 연합된 내부의 전기적 구성요소는 도 14에 상세하게 나타내 있다. 참조의 목적을 위해, C1은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10)에 해당하고 C2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12)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E1과 E2는 컨덴서(일렉트릿) 마이크로폰(114와 116)에 해당하며 E3과 E4는 컨덴서(일렉트릿) 마이크로폰(118와 120)에 해당한다. 컨덴서 마이크로폰(114-120)은 각기 참조숫자(126, 128, 130 및 132)로 지정한 상응하는 프리앰프 A-D와 전기적 연락상태에 각각 마련돼 있다. 각각의 프리앰프는, 차례로, 믹서(36)와 전기적 연락상태에 마련돼 있으며 그에 MIC 수준 입력을 제공한다. 프리앰프(126-132)는 어떤 적당한 구성으로 이루어지어 바람직한 증폭 목적을 실행하게 된다. 여기에 기술한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프리앰프〔126(A)와 132(D)〕에 대한 대표적인 회로도는 도 11에 나나태 있다. 마찬가지로, 프리앰프〔128(B)와 132(C)〕에 대한 대표적인 회로도는 도 12에 나나태 있다.
제 1의 우선 실시양태의 경우에 있어서 처럼, 각각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10과 112(C1과 C2)〕은 마찬가지로 그의 양 및 음 터미널을 건너 접속되고 상응하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으로 하여금 그의 최대감도에 도달하게 전환시키게 하는 선택된 임피던스 값을 가진 상응하는 저항체를 포함하고 있다. 상기의 기재와 같이, 적용에 따라서는 다양한 저항치를 이용할 수 있다. 저항요소(134와 136)도 각기 상응하는 고 임피던스 프리앰프(138과 140)과 전기적 연락상태로 마련돼 있다. 고 임피던스 앰프는 상응하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10 및 112)의 고 임피던스 입력을 믹서(36)에 의해 수신되게 되는 라인 수준 출력에 변환시키는 작용을 한다. 믹서(36)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10)에 의해 탐지된 좌측 본체 진동 정보를 컨덴서 마이크로폰(114 및 116)에 의해 탐지된 좌측 직접 음향 정보(좌 채널)와 통합시는 작용을 한다. 믹서(36)는 또한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12)에 의해 탐지된 우측 본체 진동 정보를 컨덴서 마이크로폰(120)에 의해 탐지된 우측 직접 음향 정보(우 채널)와 통합시는 작용을 한다.
도 1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헤드부(26)의 제 3의 우선 실시양태를 또한 나타내 있다. 이 실시양태에 있어서는, 각각의 우측 및 좌측의 헤드부(26)은 단일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42(우측)와 144(좌측)〕과 그들의 상응하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과 공동 위치돼 있는 일단의 일렉트릿 마이크로폰〔146, 148 및 150(우측)과 152, 154 및 156(좌측)〕을 포함하고 있다. 다시, 헤드부(26)는 바람지하나, 예를 들어 잉글먼 스프러스 우드와 같은 고 공명 재료로, 필수적으로 만들어지지는 않으며, 상기에 기술한 바와 같은 방식으로상호에 부착돼 있는 우측(158)과 좌측(160)을 가진 두 조각의 고형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발명과 어울리게,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42와 144)은 수신 음파에 응하여 본체부(26)의 진동 주파수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적합돼 있다. 컨덴서 마이크로폰〔146-150(우측)과 152-156(좌측)〕은 수신 음파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신호를 발생시키게 또한 적합돼 있다. 헤드부(26)의 각 측(158과 160)으로부터의 진동 정보와 직접 음향 정보는 믹서에 입력되게 되며, 차례로, 종래의 음향 기록 장치에 입력하기 위한 우 및 좌 채널 정보를 발생시킨다.
본 설명의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크리스탈 및 컨덴서 마이크로폰과 연합된 내부의 전기적 구성요소는 도 16에 상세히 나타내 있다. 참조 목적을 위하여, C1은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42)에 해당하?? C2는 크리스탈 마이크폰(144)에 해당한다. 마찬가지로, E1, E2 및 E3은 컨덴서(일렉트릿) 마이크로폰(146, 148 및 150)에 해당한다. E4, E5 및 E6은 컨덴서(일렉트릿) 마이크로폰(152, 154 및 156)에 해당한다. 컨덴서 마이크로폰(146, 148 및 150)은 각기 참조숫자 158, 160 및 162로 지정한 상응하는 프리앰프 A-C와 전기적 연락상태로 각각 마련돼 있다. 각각의 프리앰프는, 차례로, 믹서(36)와 전기적 연락상태로 마련돼 있으며 그에 마이크 수준 입력을 제공한다. 컨덴서 마이크로폰(152, 154 및 156)은 마찬가지로, 각기 참조숫자164, 166 및 168로 지정한 상응하는 프리앰프 D-F와 전기적 연락상태에 마련돼 있다. 각각의 프리앰프(164-168)는 믹서(36)와 또한 전기적 연락상태로 마련돼 있으며 그에 마이크 수준 입력을 제공한다. 프리앰프(158-168)는 어떤 적당한 구성으로 되어 있어 바람직한 증폭 목적을 실행하게 된다. 설명한 실시양태에 있어서의 프리앰프(158, 162, 166 및 168)(A, C, E, F)의 대표적인 회로도는 도 11에 나타내 있다. 마찬가지로, 프리앰프〔160(B), 164(D)〕에 대한 대표적인 회로도는 도 12에 나타내 있다.
앞서의 실시양태에 있어서 처럼, 각각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42와 144)(C1과 C2)은 양 및 음 단자를 건너 접속되어 상응하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으로 하여금 그의 최대감도에 도달하게 전환시키게 선택된 임피던스 치를 가진 상응하는 저항체를 가지고 있다. 상기의 기재와 같이, 적용에 따라서는 다양한 저항치를 이용할 수 있다. 각각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42와 144)는 마찬가지로 각기 저항요소(170와 172)에 접속돼 있으며, 차례로, 고 임피던스 프리앰프(174와 176)과 전기적 연락상태로 마련돼 있다. 고 임피던스 프리앰프는 상응하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42 및 144)의 고 임피던스 입력을 믹서(36)에 의해 수신되게 되는 라인 수준 출력에 변환시키게 작용한다.
본 발명과 사용하기 적당한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의 상세한 구성는 예를 들어, 도 17에 나타내 있다. 마이크로폰(178)은 트랜스듀서 원리를 작용하도록 설계돼 있어 그의 치수들이 도 7에 보인 바와 같이 연장하도록 알루미늄 다이어프램(180)은 헤드부(26)에 직겁 기계적으로 결합돼 있다. 종래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들은 실질적인 진동 격리 구성요소를 포합하고 있으므로 수신 음향 정보는, 이동, 즉 마이크로폰의 진동으로 영향받지 않는다. 그렇지만, 이 진동 정보는 본 발명으로 탐지하려 추구하는 것인 것이다. 따라서, 진동 격리 구성요소류 제품화가 제거돼 있어서 모든 진동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도 17을 여전히 참조하면,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78)은, 참조숫자 184로 일반적으로 지정되고, 리셉터클(186), 다이어프램(180) 및 커버(188)을 포함하는, 종래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의 구성요소를 받이들이게 적합돼 있다.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78)의 기능성 및 동작은 기술에 숙련한 이들에게 알려져 있어 여기서 더 상세히 논할 필요가 없다. 진동장치, 즉, 크리스탈 마이크로폰(178)은, 베이스 부재(126)과 합치되게 적합돼 있는 커버(190)와 커플링(192)를 또한 포함하고 있다.
위에 논의한 컨덴서 마이크로폰들은 모두가 종래의 형식의 것이므로 상세히 나타내 있지 않다. 그렇지만, 배경의 대신, 일렉트릿이 영구 전기분극을 유지하여서 양으로 대전된 일단과 음으로 대전된 타 단을 가지고 있는 재료임은 말할 나위도 없다. 일렉트릿 마이크로폰은 보통, 위에 금속 증착시켜 금속판 위로 늘인 홀수의 얇은 층을 가진, 얇은 플라스틱 막인 전박(electric foil)으로 이루어져 있다. 그 판은 일반적으로 천공돼 있으며 선택된 점들에서만 포일에 닿고 포일을 전후로 움직이게하는 에어의 얇은 포킷들을 남기고 있다. 포일은 그에 영구 대전을 가지고 있어, 포일과 판의 사이에 전계를 생성한다. 포일을 때리는 음파는 그 것을 진동시키며 따라서 전계를 대전하여 대전 음향 압력파에 정비례로 파동시키는 소전류를 생성시키는 것이다.
이제 도면의 도 18과 19를 참조하면, 몸통부(28)의 좌측요소를 상세하게 나타내 있다. 같은 헤드부(26), 몸통부(28)가 바람직하나, 필연적으로 좌측 및 우측 판으로는 이루어지지 않으며 잉글먼 스프러스나 타의 적당한 재료 또는 합성으로 만들어진다. 몸통부(28), 그리고 특히, 그의 우 및 좌 요소들은 나일론 볼트(도시되지 않음)나 타의 적당한 수단에 의해 헤드부(26)에 부착시키게 된다.
본 발명의 특징으로서, 각각의 판은, 공통의 고정된 가장자리(196)와 자유 가장자리(198)을 각각 가진 복수의 리브(194)를 포함하고 있다. 리브들(194)은 질량을 변하게 구성돼 있어서 만약 있다면, 중대한, 발진없이 그들은 진동한다.
인간의 음향 포착 방법을 모방하는 음향 포착 방법 및 장치를 마련함에 의하여 선행기술의 한정을 극복하게 된다.

Claims (5)

  1. 하나의 음향 포착 장치로서,
    본체부;
    수신 음파에 응하여 상기 본체부의 진동 주파수에 상응하는 제 1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 1의 위치의 본체부에 연결돼 있는 제 1의 마이크로폰; 및
    상기 수신 음파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제 2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 2의 위치의 본체부에 부착되어 있고, 제 2의 위치가 제 1의 위치에 충분한 근접에 있어서 상기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에 이르게 되는 제 2의 마이크로폰,
    으로 이루어지는 음향 포착 장치.
  2. 하나의 음향 포착 장치로서,
    본체부;
    수신 음파에 응하여 상기 본체부의 진동 주파수에 사실상 상응하는 제 1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 1의 위치의 본체부에 연결돼 있는 크리스탈 마이크로폰; 및
    상기 수신 음파의 주파수에 사실상 상응하는 제 2의 신호를 발생시키기 위해 제 2의 위치의 본체부에 부착되고, 제 2의 위치가 제 1의 위치에 충분한 근접에 있어서 상기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에 이르게 되는 컨덴서 마이크로폰,
    으로 이루어지는 음향 포착 장치.
  3. 하나의 음향 기록 방법으로서,
    본체부를 마련하고;
    수신 음파에 응하여 본체부의 진동 주파수에 상응하는 제 1의 신호를 발생시킬 본체부 상의 제 1의 위치의 진동 정보를 탐지하며;
    수신 음파의 주파수에 상응하는 제 2의 신호를 발생시킬 본체부 상의 제 2의 직접 음향 정보를 탐지하는 것,
    으로 이루어지는 음향 기록 방법.
  4. 실체적인 매체에 정착된 진동 정보와 직접 음향 정보를 통합시키고, 상기 진동 정보와 상기 음향 정보의 양자는 음파에 응하여 발생시켜지어, 진동 정보는 제 1의 위치의 진동체의 진동 주파수에 상응하고 직접 음향 정보는 제 2의 위치의 상기 음파로부터 직접 발생시켜지고, 제 2의 위치가 제 1의 위치에 충분한 근접에 있어서 상기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각 위치에 도달하게 되는, 기록.
  5. 본체부가 인간의 머리와 몸통을 흉내내게 형상지어지고, 그 본체부는 우측 및 좌측과, 본체부의 우측에 부착된 제 1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 및 본체부의 좌측에 부착된 제 2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을 가진, 본체 진동 장치;
    제 1의 일렉트릿 마이크로폰이 제 1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에 충분한 근접으로 본체부의 우측에 부착되어서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제 1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과 제 1의 일렉트릿 마이크로폰에 도달하게 되며, 제 2의 일렉트릿 마이크로폰이 제 2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에 충분한 근접으로 본체부의 좌측에 부착되어서 제 2의 음파가 사실상 동시에 제 2의 일렉트릿 마이크로폰과 제 2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에 도달하게 되는, 직접 음향 수신 장치;
    제 1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 및 제 1의 일렉트릿 마이크로폰과 전기적 연락상태에 있어 제 1의 혼합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제 1의 믹서; 및
    제 2의 크리스탈 마이크로폰 및 제 2의 일렉트릿 마이크로폰과 전기적 연락상태에 있어 제 2의 혼합 신호를 발생시키게 되는 제 2의 믹서,
    로 이루어지는 음향 기록 장치.
KR1019997000040A 1996-07-07 1999-01-07 음향 포착 방법 및 장치 KR20000023594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08/660,526 US5793873A (en) 1996-07-07 1996-07-07 Sound capturing method and device
US8/660,526 1996-07-07
CA002253039A CA2253039A1 (en) 1996-07-07 1998-11-06 Sound capturing method and devic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3594A true KR20000023594A (ko) 2000-04-25

Family

ID=320313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7000040A KR20000023594A (ko) 1996-07-07 1999-01-07 음향 포착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2) US5793873A (ko)
EP (1) EP1016315A4 (ko)
JP (1) JP2000514617A (ko)
KR (1) KR20000023594A (ko)
AU (1) AU722074B2 (ko)
BR (1) BR9710232A (ko)
CA (1) CA2253039A1 (ko)
IL (1) IL127933A0 (ko)
WO (1) WO199800201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936B1 (ko) * 2006-06-15 2008-05-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휴머노이드용 음원 위치 측정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E271748T1 (de) * 1998-12-31 2004-08-15 Arkamys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tonaufnahme und wiedergabe mit natürlichen gefühl von schallfeld
DE10133103A1 (de) * 2001-07-12 2003-01-30 Daimler Chrysler Ag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Messung und Nachbildung einer von einer Person subjektiv wahrgenommenen Umgebung
ITMI20020566A1 (it) * 2002-03-18 2003-09-18 Daniele Ramenzoni Dispositivo per captare movimenti anche piccoli nell'aria e nei fluidi adatto per applicazioni cibernetiche e di laboratorio come trasduttor
CA2603471C (en) * 2005-04-14 2013-07-23 Douglas P. Magyari Acoustic scatterer
JP6352678B2 (ja) * 2013-08-28 2018-07-04 京セラ株式会社 耳型部、人工頭部及びこれらを用いた測定装置ならびに測定方法
IT201600085931A1 (it) * 2016-08-18 2018-02-18 Lando Santerini Microfono binaurale con sensibilità aumentata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NL69032C (ko) * 1943-05-17
US3870820A (en) * 1972-06-30 1975-03-11 Victor Company Of Japan Microphone with different directional modes
US3985960A (en) * 1975-03-03 1976-10-12 Bell Telephone Laboratories, Incorporated Stereophonic sound reproduction with acoustically matched receiver units effecting flat frequency response at a listener's eardrums
US4074084A (en) * 1975-11-05 1978-02-14 Berg Johannes C M Van D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eiving sound intended for stereophonic reproduction
NL7713076A (nl) * 1977-11-28 1979-05-30 Johannes Cornelis Maria Van De Werkwijze en inrichting voor het opnemen van geluid en/of voor het bewerken van geluid voor- afgaande aan het weergeven daarvan.
IT1112691B (it) * 1978-07-12 1986-01-20 Sits Soc It Telecom Siemens Microfono a condensatore
US4388494A (en) * 1980-01-12 1983-06-14 Schoene Peter Process and apparatus for improved dummy head stereophonic reproduction
JPS5852780Y2 (ja) * 1980-07-19 1983-12-01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マイクロホン
IT8025248A0 (it) * 1980-10-09 1980-10-09 Hugo Zuccarelli Sistema di registrazione olofonico.
JPS5986998A (ja) * 1982-11-11 1984-05-19 Cosmo Kogyo Kk 振動ピツクアツプ
EP0126783A1 (de) * 1983-05-25 1984-12-05 Head Stereo GmbH , Kopfbezogene Aufnahme- und Wiedergabetechnik & Co. Messtechnik KG Ein breitbandiger rauscharmer Kunstkopf mit hoher Dynamik und der Eigenschaft der originalgetreuen Übertragung von Hörereignissen
US4741035A (en) * 1983-06-01 1988-04-26 Head Stereo Gmbh Wide band, low noise artificial head for transmission of aural phenomena
AT386504B (de) * 1986-10-06 1988-09-12 Akg Akustische Kino Geraete Einrichtung zur stereophonen aufnahme von schallereignissen
US5105822A (en) * 1988-02-16 1992-04-21 Sensimetrics Corporation Apparatus for and method of performing high frequency audiometry
JPH0456531A (ja) * 1990-06-26 1992-02-24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音声入力装置
JPH0626328U (ja) * 1992-08-31 1994-04-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トランシーバ
GB2276298A (en) * 1993-03-18 1994-09-21 Central Research Lab Ltd Plural-channel sound process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31936B1 (ko) * 2006-06-15 2008-05-26 한국과학기술연구원 휴머노이드용 음원 위치 측정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253039A1 (en) 2000-05-06
AU722074B2 (en) 2000-07-20
US5793873A (en) 1998-08-11
WO1998002015A1 (en) 1998-01-15
EP1016315A4 (en) 2003-04-09
AU3594297A (en) 1998-02-02
IL127933A0 (en) 1999-11-30
EP1016315A1 (en) 2000-07-05
JP2000514617A (ja) 2000-10-31
US6714653B1 (en) 2004-03-30
BR9710232A (pt) 2000-01-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86192A (en) Soundstage boundary expansion system
US4037064A (en) Stereo microphone apparatus
CN106465009B (zh) 耳插入设备
US4347405A (en) Sound reproducing systems utilizing acoustic processing unit
WO2012140435A1 (en) Microphone assembly
CA1068612A (en) Headphone circuit simulating reverberation signals
WO1996033591A1 (en) An acoustical audio system for producing three dimensional sound image
CN105659628A (zh) 测量装置和测量系统
JPH09505702A (ja) バイノーラル信号処理装置
WO1995020866A1 (fr) Dispositif de reproduction du son et casque a ecouteurs
TW201306609A (zh) 具有電活性聚合物致動器之音訊裝置
JPH01117599A (ja) 収音装置
KR20000023594A (ko) 음향 포착 방법 및 장치
US4658932A (en) Simulated binaural recording system
JP2004221742A (ja) 圧電スピーカと、これを用いたスピーカシステムと、この圧電スピーカを用いた電子機器
JPH06217400A (ja) 音響装置
JP3374731B2 (ja) バイノーラル再生装置、バイノーラル再生用ヘッドホンおよび音源評価方法
JPH0795876B2 (ja) インナーイヤー型ヘッドホン
MXPA99000347A (en) Method and device of captation of son
JPH01272299A (ja) 小音像複合スピーカシステム
JP2947235B2 (ja) ヘッドホン装置
CA1251740A (en) Soundstage boundary expansion system
JP3470582B2 (ja) スピーカ
JP2765651B2 (ja) ステレオスピーカ装置
JP4530423B2 (ja) 立体音用マイクロフォンおよび立体音再生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