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764A - 노루궁뎅이버섯의 인공재배법 - Google Patents

노루궁뎅이버섯의 인공재배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764A
KR20000021764A KR1019980041026A KR19980041026A KR20000021764A KR 20000021764 A KR20000021764 A KR 20000021764A KR 1019980041026 A KR1019980041026 A KR 1019980041026A KR 19980041026 A KR19980041026 A KR 19980041026A KR 20000021764 A KR20000021764 A KR 200000217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dium
mycelium
artificial cultivation
weeks
primordia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1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동명
Original Assignee
임양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양빈 filed Critical 임양빈
Priority to KR101998004102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1764A/ko
Publication of KR200000217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764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8/00Cultivation of mushrooms
    • A01G18/20Culture media, e.g. compos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00Methods or apparatus for disinfecting 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other than foodstuffs or contact lenses; Accessories therefor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yc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Mushroom Cultiv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노루궁뎅이 버섯의 인공재배법을 제공하며 특히 자실체 형성을 위한 HL 기초배지와 고체 배지원료로서 톱밥 80중량%에 미강 20중량%를 혼합하여 15 ~ 18℃에서 상대습도 85 ~ 95%의 저온스트레스가 유효함을 확인한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노루궁뎅이버섯의 인공재배법
본 발명은 노루궁뎅이(학명:Hericium erinaceus)의 인공재배법에 관한 것이다. 더욱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심산에서만 생육하는 노루궁뎅이 버섯의 원균을 분리하여 이를 액체 배지에서 배양한 균사체를 HL 배지에 다시 배양하여 이를 고체배지에 접종후 자실체를 생산하는 노루궁뎅이 버섯의 인공재배법에 관한 것이다. 지금까지 노루궁뎅이 버섯의 균사체나 자실체를 대량으로 인공재배한 결과는 없었고 단지 학술연구 목적으로만 일부 기관에서 실험실내에서 소량 배양한 적은 있다. 그러나 노루궁뎅이 버섯은 그 생태적 특성으로 인하여 환경 적응능력이 매우 약하므로 인공환경하에서 대량 인공재배가 거의 이루어지지 않았다.
본 발명자는 이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비닐하우스내에서도 이 버섯의 균사체나 자실체를 인공대량배양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분리된 원균은 고체배지에서 균사체를 배양하고 이 배양물을 HL 액체배지상에서 접종배양한 후 균사체액체 종균은 액체배지에서 더 배양한 후 별도의 고체배지상에서 자실체를 재배하므로써 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 노루궁뎅이 버섯 자실체의 인공재배법은 분리한 원균을 소정의 고체배지에서 균사체가 형성될 때까지 배양하는 단계; HL 액체배지상에서 상기 제 1단계 배양물을 접종하여 액체배양하는 단계; 제 2단계에서 배양된 균사체 액체종균을 의 액체배지에서 더 배양한 후 별도의 고체배지에서 자실체를 재배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구성 및 작용을 실시예를 들어 상세히 설명하고자 하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1: 원균의 분리 및 공시재료
1996년 10월 오대산 기슭에서 노루궁뎅이 버섯을 발견하고 그 포자(spores)를 채취하여 원균을 분리하고 이를 버섯도감 및 Bergy's manual에 의거 동정한 결과 Hericium erinaceus로 확인되었다. 원균의 보관배지는 PDA배지로 하고 25℃ 항온기에서 균사를 활착시킨 후 4℃로 보관하여 두고 인공재배실험에 제공하였다.
실시예 2: 균사체 배양
상기 실시예 1에서 배양·냉장된 균사체 액체종균 4 ~ 5mL를 900mL 삼각플라스크에 멸균된 HL(Hericium Liquid medium) 배지 400mL와 함께 투입하였다. 균사체 배양을 위한 HL 배지 조성은 멸균수 1dm3에 대하여 다음 표 1과 같이 하였고 배양액의 산도를 pH 4.5 ~ 5.5로 조정하였다.
HL 배지조성(g/dm3)
medium component Quantity 비 고
Glucose 50.0
Yeast Extract 10.0
Peptone 10.0
MnSO4·7H2O 0.5
FeSO4·7H2O 0.02
ZnSO4·7H2O 0.004
NaNO3 0.87 Ammonium acetate가 더 양호하였음
CaCl2 0.3
MnCl2·4H2O 0.007
CuSO4·5H2O 0.001
pH 4.5 ~ 5.5
삼각 플라스크에 접종된 HL 배지 균사체 혼합물은 품온 28℃ ~ 30℃, 진탕속도 150 ~ 200r.p.m에서 2 ~ 3주간 진탕배양기에서 배양하였다. 진탕배양은 균사체 성장속도와 오염(contamination) 여부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3: 균사체의 대량 배양
상기 실시예 1에 따라 배양하여 냉장 보관중인 균사체 액체종균 4 ~ 5mL를 HL 액체배지 120mL에 접종하여 24시간 배양하였다. 이 배양액 10mL를 HL 액체 배지 400mL에 Transfer하여 분병배양하되 1 ~ 2주간 실시하였다. 이때, 배양온도는 30℃로 하고 진탕속도는 200r.p.m으로 하면서 에어필터(air filter)가 삽입된 side armed flask를 사용하여 진탕배양중 공기가 계속 공급되도록 하였다. 균사체의 성장속도와 오염여부를 4시간 간격으로 조사하였으며 실험결과, 상기 실시예 2에 비하여 균사체 성장속도가 300 ~ 450% 촉진되었다.
실시예 4: 자실체의 인공배양 및 수확
노루궁뎅이 버섯의 자실체를 인공배양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3을 통하여 얻은 균사체 액체종균을 톱밥(Saw dust) 80중량%, 미강(rice bran) 20중량% 비율로 정제수와 혼합하여 121℃에서 15분간 autoclave에서 멸균한 고체배지에 접종하였다. 이때 자실체배지는 500mL 또는 1000mL 플라스틱 또는 P.P배양병에 2/3 정도 넣고 잘 혼합한 뒤 고압멸균처리한 것을 사용하였다. 균사체 액체 종균은 Vacuum pump를 사용하여 접종하였다. 균사체(mycelium) 액체종균의 접종 후 배양병을 25℃ 항온기에서 투입하여 4주간 배양시킨 다음 균사체가 상기 배양병에 균일하게 하얗게 퍼지게 되면 상기 배양병을 발이실(發茸室)로 옮긴 다음 온도 15℃ ~ 18℃, 상대습도 85 ~ 95%를 유지하면서 2주간 배양하였다. 이때, 저온 Stress에 의하여 버섯의 자실체(Primordia)가 형성된 다음 2주간 더 배양하여 뭉게구름 같은 털모양의 자실체가 종균 덩어리에서 발이되어 나왔다.
수확은 포자(sporulation)가 형성되기 전에 실시하고 전량수확이 마치면 다시 배양하여 3차까지 재수확을 할 수 있었다. 수확된 생버섯 자실체는 저온실에 보관하여 유통하거나 수분함량 6% 이하로 건조시킨 뒤 포장제품화하였다.
실시예 5: Hericium erinaceus의 균사체(mycelium) 배양
본 실시예에서는 노루궁뎅이 버섯의 자실체 형성에 미치는 탄소원(Carbon source)과 질소원(Nitrogen source)의 효과에 대하여 표 1의 기초배지를 기준으로 실시하였다. 무기질소원으로 NaNO3를 사용하고 탄소원을 Glucose, Sucrose, Galactose, Mannose, Starch, Maltose, Fructose, Lactose, Dextrin을 사용하였다. 이때, 자실체 성장정도는 +(thin), ++(medium), +++(thick)로 하고 Starch와 Dextrin은 15g/L를 사용하고 배양은 25℃에서 20일간 3회 수행한 값을 평균하였다(표 2).
균사체 성장의 탄소원의 효과
Carbohydrate(0.1M) Radius ofcolony(mm) Density of mycelium
Glucose 36.5±3.3 +++
Sucrose 30.5±2.5 +++
Galactose 29.0±2.0 +++
Mannose 28.5±3.0 ++
Starch 19.3±2.5 +
Maltose 21.2±1.9 ++
Fructose 24.3±3.5 ++
Lactose 18.8±3.2 +
Dextrin 13.0±2.5 +
실험결과, 노루궁뎅이 버섯 자실체 형성을 위하여 가장 적합한 탄소원은 Glucose, Sucrose, Galactose 임이 확인되었다.
한편, Hericium erinaceus의 균사체 배양에 적합한 질소원을 찾기 위하여 sodium nitrate, potassium nitrate, Ammonium bicarbonate, Ammonium acetate를 공시재료로 사용하여 실험한 결과는 표 3과 같다(모든 실험조건과 평가는 탄소원 실험과 동일하다).
균사체 성장의 질소원 효과
Nitrogen(20mM) Radius of colony(mm) Density of mycelium
sodium nitrate 0 +
potassium nitrate 4.3±0.9 ++
Ammonium bicarbonate 10.3±2.2 ++
Ammonium acetate 35.5±2.7 +++
상기 실험결과, 노루궁뎅이 버섯의 자실체 형성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무기 질소원은 Ammonium acetate로 나타났다.
실시예 6: 자실체형성용 고체배지의 substrate별 효과
노루궁뎅이 버섯의 효과적인 자실체 형성과 재배횟수 및 수확증대를 위한 substrate별 자실체 형성효과를 실험하기 위하여 몇가지 비교실험을 실시한 결과 표 4와 같았다.
고체배지 원료의 자실체 형성효과
Substrate 자실체 형성기간(days) 자실체무게(g)
톱밥 100% 10 17.2
톱밥 80% + 쌀겨 20% 5 35.7
톱밥 50% + 쌀겨 50% 8 23.2
쌀겨 100% 15 12.5
[주] %:중량
상기 실험결과에서 알 수 있듯이 노루궁뎅이 버섯의 자실체 형성을 위한 가장 효과적인 고체배지 원료는 톱밥 80%에 쌀겨 20%를 혼합한 것이었다.
본 발명은 실시예들을 통하여 확인되는 바와 같이 지금까지 인공재배된 바 없는 노루궁뎅이 버섯의 자실체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더욱이 노루궁뎅이 버섯을 제공하되 가장 효과적인 인공재배 방법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므로 약용버섯재배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2)

  1. HL 기초배지에 톱밥 80%와 미강 20% 비율로 혼합한 배지를 멸균하여 플라스틱 또는 P.P 배양병에 투입하여 균사체 액체 종균을 Vacuum pump로 접종한 다음 25℃의 항온기에서 4주간 배양한 후 이를 다시 발이실로 옮겨 15 ~ 18℃, 상대습도 85 ~ 95%를 유지하여 2 ~ 4주 저온 스트레스를 부여하므로써 자실체를 형성시킴을 특징으로 하는 노루궁뎅이 버섯(Hericium erinaceus)의 인공재배법
  2. 제 1항에 있어서, 균사체 액체종균 배양 또는 자실체 인공재배시에 액체배지의 탄소원을 Glucose, Sucrose, Galactose 중 어느하나 그리고 질소원은 Ammonium acetate를 선택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노루궁뎅이 버섯의 인공재배법.
KR1019980041026A 1998-09-30 1998-09-30 노루궁뎅이버섯의 인공재배법 KR2000002176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026A KR20000021764A (ko) 1998-09-30 1998-09-30 노루궁뎅이버섯의 인공재배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1026A KR20000021764A (ko) 1998-09-30 1998-09-30 노루궁뎅이버섯의 인공재배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764A true KR20000021764A (ko) 2000-04-25

Family

ID=195526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1026A KR20000021764A (ko) 1998-09-30 1998-09-30 노루궁뎅이버섯의 인공재배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1764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360B1 (ko) * 2001-03-13 2004-05-20 에이치엔엠바이오(주) 약용식물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균사체 및 자실체의 고체배양방법 및 이 균사체 및 자실체의 추출물을 함유한건강보조식품
KR100481696B1 (ko) * 2002-10-01 2005-04-11 김기웅 미생물 고체배양용 신규배지와 배양장치 및 그들을 이용한 미생물 고체배양 방법
KR100826446B1 (ko) * 2006-11-22 2008-04-29 씨제이제일제당 (주) 미강 또는 홍삼을 기질로 한 노루궁뎅이버섯의 기능성균사체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미강 또는홍삼의 유효성분을 함유한 노루궁뎅이버섯의 기능성 균사체
KR101066429B1 (ko) * 2011-01-24 2011-09-21 장효준 항산화 활성과 면역활성 및 항암효과가 향상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및 자실체 제조 방법
CN103224422A (zh) * 2013-04-28 2013-07-31 邬金飞 一种猴头菇栽培料配伍及此栽培料的制作方法
CN104429621A (zh) * 2014-12-25 2015-03-25 皖南大鹏天然产物有限公司 一种用于提取猴头菇多糖的猴头菇菌丝体的生产方法
CN104756757A (zh) * 2015-03-09 2015-07-08 邬方成 一种猴头菇栽培方法
CN104774068A (zh) * 2015-04-03 2015-07-15 韦双梅 一种猴菇菌培养料

Cited B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360B1 (ko) * 2001-03-13 2004-05-20 에이치엔엠바이오(주) 약용식물을 이용한 노루궁뎅이 버섯의 균사체 및 자실체의 고체배양방법 및 이 균사체 및 자실체의 추출물을 함유한건강보조식품
KR100481696B1 (ko) * 2002-10-01 2005-04-11 김기웅 미생물 고체배양용 신규배지와 배양장치 및 그들을 이용한 미생물 고체배양 방법
KR100826446B1 (ko) * 2006-11-22 2008-04-29 씨제이제일제당 (주) 미강 또는 홍삼을 기질로 한 노루궁뎅이버섯의 기능성균사체 생산 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생산된 미강 또는홍삼의 유효성분을 함유한 노루궁뎅이버섯의 기능성 균사체
WO2008062983A1 (en) * 2006-11-22 2008-05-29 Cj Cheiljedang Corporation Hericium erinaceus mycelium comprising rice bran and ginseng steamed red and cultivation method thereof
JP2010510305A (ja) * 2006-11-22 2010-04-02 シージェイ チェイルジェダン コープ. 米糠又は紅参を基質にしたヤマブシタケの機能性菌糸体の生産方法、及びこれを用いて生産された米糠又は紅参の有効成分を含有したヤマブシタケの機能性菌糸体
KR101066429B1 (ko) * 2011-01-24 2011-09-21 장효준 항산화 활성과 면역활성 및 항암효과가 향상된 노루궁뎅이버섯 균사체 및 자실체 제조 방법
CN103224422A (zh) * 2013-04-28 2013-07-31 邬金飞 一种猴头菇栽培料配伍及此栽培料的制作方法
CN103224422B (zh) * 2013-04-28 2015-02-25 邬金飞 一种猴头菇栽培料配伍及此栽培料的制作方法
CN104429621A (zh) * 2014-12-25 2015-03-25 皖南大鹏天然产物有限公司 一种用于提取猴头菇多糖的猴头菇菌丝体的生产方法
CN104429621B (zh) * 2014-12-25 2016-08-31 皖南大鹏天然产物有限公司 一种用于提取猴头菇多糖的猴头菇菌丝体的生产方法
CN104756757A (zh) * 2015-03-09 2015-07-08 邬方成 一种猴头菇栽培方法
CN104774068A (zh) * 2015-04-03 2015-07-15 韦双梅 一种猴菇菌培养料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62392B1 (ko) 흰목이 버섯 재배용 배지 및 흰목이 버섯 재배방법
KR20000021764A (ko) 노루궁뎅이버섯의 인공재배법
US5349121A (en) Biologically pure mushroom culture and method for mushroom cultivation
EP0634893A1 (en) Process for the development of novel type of plants with nitrogen-fixing capacity also in their leaves
CN110754299A (zh) 一种瓶栽培育茯苓菌核的方法
ZHONGZE et al. Biologic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of the effective Frankia strain HFPCcl3 (Actinomycetales) from Casuarina cunninghamiana (Casuarinaceae)
RU2639516C1 (ru) ШТАММ КЛУБЕНЬКОВЫХ БАКТЕРИЙ Sinorhizobium fredii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БАКТЕРИАЛЬНОГО УДОБРЕНИЯ ПОД СОЮ
WO2022100701A1 (zh) 一种罗伯茨虫草的培养方法
CN113025505B (zh) 一种莱氏绿僵菌及其在草地贪夜蛾蛹期的生物防治方法与应用
CN110106115B (zh) 一种枯草芽孢杆菌增效剂及其在制备枯草芽孢杆菌菌剂中的应用
JP2850080B2 (ja) 菌根性茸類菌糸の培地
JPS62248432A (ja) 食用キノコ類の培養基
RU2493247C1 (ru) Ингибитор возбудителя бактериального ожога плодовых культур (erwinia amylovora)
JP2637470B2 (ja) きのこの人工栽培方法
Smith Nutritional study of Pisolithus tinctorius
KR100474662B1 (ko)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슈도모나스 푸티다 미생물 및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버섯재배 방법
CN110972806A (zh) 朱红硫磺菌菌株培育方法、人工栽培方法
Okon et al. Cultural and symbiotic properties of Rhizobium strains isolated from nodules of Cicer arietinum L
KR0134131B1 (ko) 세파로스포린 c를 생산하는 미생물 및 이를 이용한 세파로스포린 c의 제조방법
Cheong et al. Cultural Characteristics of Veiled Lady Mushroom, Dictyophora spp.
KR19990078866A (ko) 건조누에를 이용한 동충하초의 인공재배방법
SU1555320A1 (ru) Штамм бактерий RнIZовIUм тRIFоLII, используемый дл получени нитрагина под луговой клевер
SU1698242A1 (ru) Штамм клубеньковых бактерий ВRаDYRнIZовIUм Sp. (GLYcYRRIZa) дл производства бактериального удобрени под солодку голую
SU1631083A1 (ru) Штамм актиномицета SтRертомYсеS LaVeNDULae SUвSр.аRUртINI дл получени аруптина
JP2001025320A (ja) ハタケシメジの人工栽培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