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74662B1 -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슈도모나스 푸티다 미생물 및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버섯재배 방법 - Google Patents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슈도모나스 푸티다 미생물 및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버섯재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74662B1
KR100474662B1 KR10-2003-0013168A KR20030013168A KR100474662B1 KR 100474662 B1 KR100474662 B1 KR 100474662B1 KR 20030013168 A KR20030013168 A KR 20030013168A KR 100474662 B1 KR100474662 B1 KR 1004746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ushroom
mushrooms
growth
pseudomonas putida
microorganis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3-001316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0078027A (ko
Inventor
조익현
조영섭
Original Assignee
조영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섭 filed Critical 조영섭
Priority to KR10-2003-001316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74662B1/ko
Publication of KR2004007802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007802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746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746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NMICROORGANISMS OR ENZYMES; COMPOSITIONS THEREOF; PROPAGATING, PRESERVING, OR MAINTAINING MICROORGANISMS;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CULTURE MEDIA
    • C12N1/00Microorganisms, e.g. protozoa;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opagating, maintaining or preserving microorganisms or compositions thereof; Processes of preparing or isolating a composition containing a microorganism;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Bacteria; Culture media therefor
    • C12N1/205Bacterial isol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38Pseudomonas
    • C12R2001/40Pseudomonas putida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Genetics & Genom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Zo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Vir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ropical Medicine & Parasitology (AREA)
  • Micro-Organisms Or Cultivation Processes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신규한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신규한 형광성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버섯류의 배양배지에 접종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신규한 미생물을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면 버섯 재배 비용이 절감되고 자실체를 단시간 내에 고수율로 형성시키고 원기형성 및 균사 생장을 촉진시켜 버섯 재배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으며, 버섯에게 심각한 병원성을 일으키는 갈반 현상을 보이는 유해성 미생물에 대한 방재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슈도모나스 푸티다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버섯재배 방법{Microorganism of Pseudomonas putida which stimulates the growth of mushroom and method for culturing mushroom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신규한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신규한 형광성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버섯류는 육류를 대체할 수 있는 고단백 식품으로, 미래의 인류 생활에 있어 주곡 다음가는 주요 농산물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특히, 버섯류는 버섯에 함유되어 있는 다당류인 글루칸(glucan) 유도체들에 의한 항암, 항균 및 항바이러스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어, 건강식품 및 의약적 용도로서 전세계적인 각광을 받고 있다(Miyazaki and Nishijima, Chem. Phar. Bull., 1981, 29:3611; 김병각 등, 한국균학회지, M., Chem, Phar, Bull., 1981, 29:3611; Nomoto, K., J. Clin. Med., 1981, 39:1868; Tsukahoshi, et al., Cancer Treat. Rev., 1984, 11:56).
현재, 우리나라에서 생산되는 버섯은 생산방법에 따라 다음의 4종류로 분류할 수 있다. 첫째, 균사생장에 적당한 물리적 조건을 갖추고 있으면서 버섯의 생육조건을 만족시키는 활엽수 등의 원목을 이용한 재배방법은 표고버섯 및 영지버섯 재배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둘째 배지원으로 볏짚과 폐면을 이용한 균상재배법은 느타리버섯 재배에 사용되고 있다. 셋째, 배지원인 톱밥에 미강, 밀기울 및 옥배아백 등의 영양분을 1종 이상 혼합하고 물을 첨가한 다음, 살균·냉각 후 무균적으로 종균을 접종하고 균사를 충분히 활착시켜 자실체를 형성시키는 시설재배법은 팽이버섯, 느타리버섯, 만가닥 버섯, 버들 송이 및 영지버섯 재배에 사용되고 있으며, 넷째 전기 시설재배의 배지원 및 영양분을 이용한 블록(block)재배법은 표고버섯 및 잎새버섯의 재배에 사용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버섯 재배방법 중에서, 원목재배법은 원목의 고갈로 인한 자연환경의 파괴위험이 있고, 원목의 공급에 많은 인력과 설비가 요구되어 비경제적이라는 단점이 있고, 균상재배법은 이중 배지원의 침수, 야적, 살균 및 발효과정에 장시간을 요하고, 재배시의 해균 및 잡균 발생으로 버섯 수확을 현격히 감소시키는 단점이 있으며, 시설재배법은 종균을 접종하여 균사가 배지 전체에 활착할 때까지 장시간을 필요로 하고, 살균, 냉각 및 접종과정 뿐만 아니라, 균사활착 과정에서도 해균 및 잡균에 의한 오염이 발생하기 쉬우며, 이러한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매우 숙련된 인력을 요구하는 단점이 있고, 블록재배법 역시 상압 또는 고압멸균의 살균과정을 거치더라도 해균 및 잡균에 의한 오염이 쉬워, 버섯의 수확을 격감시키는 단점을 가지고 있었다.
상기 버섯 재배 방법의 단점을 극복할 수 있는 대안으로 미생물을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이 있다. 작물의 생장에 있어서 미생물에 의한 촉진효과에 대해 점차 알려지고 있는데, 그 중에서 작물의 근권에 정착하여 작물의 생육을 촉진시켜 수확량의 증대를 보이는 근권세균인 PGPR(plant growth promoting rhizobacteria; 식물성장 촉진 리조박테리아)이 알려져 있다. 슈도모나스(Pseudomonas) 균은 작물의 근권과 근면에 정착하여 생장하는 그램(Gram) 음성균으로, 상기 균들을 이용한 생물학 방제에는 슈도모나스 플로레슨스(P. flurorescens), 슈도모나스 푸티다(P. putida) 및 슈도모나스 세파시아(P. cepacia) 등이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Howell, C.R.D., Phytopathology, 1979, 69:480-482; Thomasshow, L. S. and Weller, D.M., J. Bacteriol., 1988, 170:3499-3508).
근권세균에는 병원균이 아니지만 식물에 유해한 작용을 하는 것이 있다. PGPR 및 DRB(deletetious rhizobacteria; 유해 리조박테리아)를 혼합하여 접종하면, 병원균이 아니지만 식물에 유해한 작용을 하는 근권세균 DRB의 뿌리로의 착생이 저해된다는 보고가 있다(Suslow, T.V. and Schroth, M.N., Phtopathology, 1982, 72:111-115). 슈도모나스 세균이 생산하는 물질인 슈도박틴(pseudobactin)은 PGPR의 생장이 같은 배지상의 조건에서 병원균의 생육을 억제시키고 식물생육을 촉진시키는 효과를 보인다고 보고되었다(Kloepper, J.W. et al., Nature, 1980, 286:885-886).
양송이버섯은 느타리버섯과는 달리 재배 역사가 길고 서양에서 예전부터 활발한 연구로 인하여 수확량에 있어서 균일함을 보이지만, 느타리버섯은 재배 역사가 짧을 뿐만 아니라 재배 기술의 방법적인 면에서도 체계적이지 못하다. 그로 인하여 느타리버섯은 일정치 않은 생산량과 병해에 약한 면을 보인다.
느타리버섯은 섬유소와 각종 유기물을 분해하여 생장을 한다. 느타리버섯의 재배에는 주로 폐면이나 볏짚을 배지로 이용하는데, 느타리버섯의 재배에 쓰이는 배지는 섬유소와 유기물이 풍부하기 때문에 다른 미생물에게도 적절한 영양 공급원이 되고 있다. 이런 미생물 중에는 느타리버섯의 균사면에 정착하여 생장을 촉진시키고 자신도 버섯 생장의 영양원으로 작용하는 미생물이 있는 반면, 느타리버섯에 병원균으로서 작용하여 느타리버섯의 생육을 저해시키는 미생물도 있다.
대릴 등은 양송이의 생식생장시 형광성 슈도모나스인 P. 푸티다를 이용하면 양송이 버섯의 원기를 촉진시키며, 발아 과정에 영향을 준다고 보고하였으며( Darryl, P. Hume et al., Mushroom Science, 1972, 527-532), 반면에 나이르 등은 형광성 슈도모나스인 P. 토라시(P. tolassii)가 느타리버섯에 갈반병을 일으켜 느타리버섯의 생장을 저해시킨다고 보고하였다.
아울러, 현재 통상적인 버섯재배의 경우에 배지에서 영양생장인 균사의 생장만이 계속 지속됨으로 인하여 생식 생장으로 전환되어야 이루어질 수 있는 버섯수확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이로 인한 경제적인 피해 또한 심각하다.
이에, 본 발명자는 버섯의 생장을 촉진시키는 신규한 형광성 미생물인 슈도모나스 균주를 발견하고, 상기 미생물을 버섯 배양배지에 접종하여 버섯을 재배하면 단시간 내에 자실체를 얻을 수 있고 원기 형성과 균사 생장을 촉진시킬 수 있음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신규한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신규한 슈도모나스 푸티나 미생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 "균사"란 버섯포자가 발아하여 선단생장에 의해 유기물을 분해하여 양분을 흡수하는 버섯균류의 영양생장 단계를 가리키고, "균사면"은 생장하고 있는 균사의 실모양의 표면을 가리키는 것으로, 식물뿌리에서는 등가 부위를 "근면"이라고 정의한다.
한편, "자실체"는 균류에 있어서 포자를 만드는 영양체를 가리키는 것으로, 본 발명에서는 통상 "버섯"이라 칭하는 부위와 자실체를 동일한 대상으로 간주해도 무방하다. 또한, "원기"는 버섯의 한 기관으로서 버섯이 발생하기 전에 2핵 균체의 밀도가 높아지면서 생성하는 버섯이 발생하기 전의 모양, 발생상태를 가리킨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형광성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CI-9 균주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서는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신규한 형광성 슈도모나스 균주를 찾기 위하여, 우선 균사면에 정착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고 이들을 형광성 슈도모나스 분리 배지에서 단일 콜로니로 순수 분리하여 상기 단일 콜로니를 버섯 배양배지에 접종하였을 때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형광성 슈도모나스를 동정하기 위하여, 다양한 분류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구체적으로, 균의 형태, 편모의 개수, 그람 염색, 형광성 등의 형태학적 특성과 다양한 탄소원 및 질소원의 이용여부, 분류에 널리 이용되는 효소의 생성 여부 등의 생리학적 특성을 조사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상기 균주를 순수분리 배양하여 DNA를 추출하고,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하고 이를 기존의 슈도모나스 종의 16S rDNA 서열과 비교분석하여 상동성을 비교한 결과, 상기에서 분리한 형광성 슈도모나스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신규한 슈도모나스 푸티다 균주로 밝혀졌다(표 1 서열목록 3 참조). 따라서,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특성으로부터 상기에서 분리한 신규한 형광성 슈도모나스 균주를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CI-9"라 명명하고, 이를 2001년 9월 15일 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0075BP).
또한, 본 발명은 상기 형광성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수탁번호: KCTC 10075BP) 균주를 배양배지에 접종하여 버섯을 배양하는 버섯재배 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 균주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농축상 또는 분말상으로 상기 배양배지에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버섯은 느타리버섯 또는 양송이버섯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에서, 유용미생물인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 균주를 배지에 첨가하는 시기나 위치에는 특별히 제한이 있는 것은 아니나, 버섯의 자실체가 형성되기 이전의 균사면에 상기 균주를 분사(spray)하거나 버섯의 종균배양시에 미리 혼합 처리하는 것이 버섯의 균사 생장에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형광성 슈도모나스 푸티다 균주를 버섯 배양배지에 접종하는 경우, 상기 균주 주위에 버섯의 균사가 집중되는 현상을 나타내었다(도 1 참조). 또한, 상기 균주를 버섯 배양배지에 접종하였을 때 버섯의 원기 형성 및 자실체의 발생을 촉진시킨다(도 2도 3 참조). 아울러, 상기 균주를 포함한 배양액은 버섯에게 심각한 병원성을 일으키는 갈반 현상을 보이는 유해성 미생물에 대한 방재효과도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느타리버섯의 재배
본 발명자들은 야외 발효를 수행한 폐면배지를 사용하여 느타리버섯을 재배하였다. 폐면은 재배상에 입상을 하여 배지를 재배사에 골고루 편 후, 활대와 비닐을 사용하여 터널 모양으로 폐면 위를 덮어서 열처리를 하였다. 이후, 버섯 재배 전용 습열 보일러를 이용하여 온도를 서서히 올리고, 배지의 온도가 55℃로 상승시 비닐 내부에 공기를 주입시킨 후 배지의 온도를 65℃로 올려서 열처리 작업을 12시간 동안 한 후, 배지온도를 25℃로 내려 느타리버섯(춘추느타리 2호)을 접종하였다. 상기 접종한 것에 비닐을 덮은 후 배양 온도를 25℃로 유지하여 15일간 배양(영양생장)을 시키고 육안으로 균사의 생장상태를 확인하였다. 온도를 2-3℃ 낮추어 균사의 영양생장 단계를 생식 생장 상태로 전환함과 동시에 분무기로 관수하고 토양을 두께가 2-3 ㎝ 정도로 배지 표면 전면에 고르게 뿌려서 신문지를 올려놓아 물을 뿌리면서 복토의 수분 증발을 억제시키고 버섯의 발아를 유도하였다.
야외 발효를 수행한 폐면 배지를 사용한 경우에는 배양 20일 만에 1주기를 수확 후 5일이 지난 배지를 사용하여 그 중 수확량이 많은 배지를 확인 후 수거하여 당일 실험에 사용하였다.
<실시예 2> 균사면에 정착하는 미생물의 분리
본 발명자들은 균사면에 정착하는 미생물을 분리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에서 재배한 느타리버섯을 사용하여 미생물을 분리하였다. 구체적으로, 일주기 수확 후의 배지 표면에서 3-7 ㎝의 윗부분을 채취하여 배지로부터 폐면과 균체를 분리하여 느타리버섯 균사를 분리하였다.
분리한 균사 0.2 g을 50 ㎖의 10 mM 인산칼륨 버퍼(61.5 ㎖의 1 M K2HPO4에 38.5 ㎖의 1 M KH2PO4를 혼합하여 pH 7.0인 100 mM 인산칼륨 버퍼를 스톡 용액으로 제조하고, 상기 스톡 용액을 증류수에 희석하여 10 mM 농도로 멸균하여 사용한다)에 20분간 담가두어 균체 주위에 정착하는 미생물을 제거시켰다. 상기 균사를 다시 3 ㎖의 10 mM 인산칼륨 버퍼와 글래스 비드(glass bead, 106 ㎛; Sigma 사)를 담아 놓은 튜브(Teflon-lined screw cap tube, 13 x 100 ㎜)에 옮겨놓고 가볍게 3분간 흔든(vortexing) 후, 이를 다시 초음파 균질기(sonic and material Inc)를 이용하여 얼음에 담근 상태에서 3분간 초음파 처리(sonication)하여 느타리버섯의 균사면의 미생물체를 분리하였다(도 1).
<실시예 3> 형광성 슈도모나스의 분리
본 발명자들은 상기에서 균사에서 분리한 미생물을 형광성 슈도모나스 분리배지(전체 1 ℓ, KH2PO4 1 g, MgSO47H2O 0.5 g, KCl 0.2 g, NaNO3 5 g, 페옥시콜레이트(Peoxycholate) 1 g, 베타인(Betain) 5 g, 한천(Agar) 15 g, pH 7)에 희석평판한 후 18시간 동안 28℃에서 배양시켜 자외선을 조사하여 발광성을 띠는 콜로니를 분리하였다.
그 결과, 상기에서 10개의 형광성 슈도모나스 콜로니를 분리하였고, 이를 다시 1차, 2차, 3차의 순수배양을 거쳐 단일 콜로니를 분리하였다.
<실시예 4> 형광성 슈도모나스의 동정
본 발명자들은 상기 균주를 순수분리한 후, DNA를 추출하여 16S r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구체적으로, 상기 균주로부터 글래스 비드를 이용한 방법으로 DNA를 추출하였다. 추출한 DNA를 주형 DNA로 사용하고 16S rDNA 유전자를 증폭하기 위하여, 서열번호 1로 기재되는 9F 프라이머(위치 9-27)와 서열번호 2로 기재되는 1542R 프라이머(위치 1542-1525)를 사용하여 PCR 반응을 수행하였다(Stakebrandt, E. et al., FASEB J., 1993, 7:232-236). 증폭된 PCR 산물은 PCR 정제 키트(QIAquick PCR purification kit, Qiagen)를 사용하여 정제하였고, 이를 자동염기서열 분석기(model 377, Applied Biosystems)를 사용하여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그 결과, 상기 형광성 슈도모나스는 서열번호 3으로 기재되는 염기서열을 갖는 16S rDNA를 갖고 있었다.
상기에서 분석한 16S rDNA의 서열을 CLUSTAL W 소프트웨어(Thompson et al., 1994)을 이용하여 슈도모나스 종의 16S rDNA 서열과 비교 분석하였다. 유전자 은행(Gene bank; NCBI)에 등록된 슈도모나스의 염기서열과 비교분석한 결과,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의 16S rDNA의 서열과 99%에서 유사함이 확인되어, 슈도모나스 푸티다에 속하는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3에서 분리한 형광성 슈도모나스 균주가 하기 표 1과 같은 분류학적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생리화학적 특성을 분석함으로써 확인하고, 상기 유전자 은행에 등록된 슈도모나스 푸티다와는 다른 균주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형광성 슈도모나스 균주는 형태학적 특성으로 균의 형태는 간균이고, 편모는 1 개 이상이어서 운동성을 나타내며, 그람 염색(-)이고, 형광성을 나타내었다. 또한 생리학적 특성으로 생장온도 범위는 4 내지 41℃에서 나타내며, 통성혐기성(facultative anaerobe)로써 카탈라제(catalase)를 생성하며, 젤라틴(gelatin) 가수분해 능력이 있으며, 탄소원으로 포도당(glucose), 말토오스(maltose)는 이용가능하지만, 다당류 중 녹말(starch)은 이용하지 못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우레아제(urease)를 생성하지 못하므로 질소원으로 우레아를 이용할 수 없는 것을 확인하였다(표 1).
균주의 분류학적 특성
성 상 성 질 성 상 성 질
균의 형태 간균 편모의 개수 1개 이상
형태학적 특성 그람 염색 (-) 형광성(fluorescence) +
운동성 +
산소 이용 여부 통성 혐기성 말토오스 이용 +
생리학적 특성 생장온도 범위 4-41℃ 젤라틴 가수분해 -
포도당의 이용 + 카탈라제 생성 +
녹말 가수분해 - 우레아제 생성 -
그 결과, 상기에서 분리한 형광성 슈도모나스는 지금까지 밝혀지지 않은 신규한 형광성 슈도모나스 균으로 밝혀졌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형광성 슈도모나스 균주를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CI-9"라 명명하고, 이를 2001년 9월 15일 자로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유전자은행에 기탁하였다(수탁번호: KCTC 10075BP)
<실시예 5>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에 의한 버섯 균사 생장의 촉진
<5-1>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를 포함하는 한천 블록의 제조
본 발명자들은 상기 실시예 3에서 분리한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 콜로니를 멸균된 이쑤시게를 이용하여 균을 취한 후 다시 시험관에 들어 있는 3 ㎖의 P1 배지에 접종을 하고 28℃에서 200 rpm으로 18시간 진탕배양하여 미리 준비한 19 ㎖의 멸균된 한천에 상기 균주의 균수를 2 x 104개로 맞춘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 배양액 1 ㎖를 한천이 응고하기 직전에 혼합하여 굳힌 후 코르크 보러(No. 4 Cork borer)를 사용하여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가 포함된 한천 블록(Agar block)을 제조하였다.
<5-2>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에 의한 원기 형성 및 자실체 발생 촉진 분석
본 발명자들은 상기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가 포함된 한천 블록을 이용하여, 균사면에서 분리한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에 의한 버섯의 원기 형성 및 자실체 발생 촉진 효과를 알아보았다.
영양물들이 풍부하게 혼합된 영양배지(퇴비배지)와 영양물이 부족한 생식배지(복토)에서 생식생장으로의 전환에서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의 접종으로 느타리버섯의 원기발생에 촉진여부를 실험하였다. 페트리 디쉬는 9 ㎝ 수직 분할된 페트리 디쉬를 이용하여 영양생장기의 배양에서의 배지는 PDA 배지(감자 혼합물(Potatoes infusion) 200 g, 박토 덱스트로스(Bacto Dextrose) 20 g, 박토 아가(Bacto Agar) 15 g, 증류수 1 ℓ)를 이용하였고, 생식생장의 유도에서는 물-한천 배지(1.5% 한천, pH 7.0)를 이용하여 원기형성의 여부를 관찰하였다.
증류수에 녹여 멸균한 PDA 배지를 페트리-플레이트에 1/2을 넣고 굳힌 후, 느타리버섯이 접종된 한천 블록을 대략 5 ㎝ 정도 사이를 두고 두 지점에 접종하였다. 분할된 중앙 가까이 콜로니가 자랄 때까지 25℃에서 배양시켰다. 그리고 플레이트의 1/2을 다른 생식배지에 물-한천 배지를 분주하여 굳힌 후,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의 현탁액이 들어있는 한천 블록을 생식배지 위의 느타리 균사의 콜로니 근처 5 ㎝ 간격으로 각각 접종을 시키고 생식생장에 필요한 온도를 16-18℃로 조정하여 생식생장을 유도하였다.
그 결과, 생식배지상에서 상기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 균을 접종한 한천 블록 부위에 균사가 집중되는 현상을 보였다(도 1). 생식배지상에서 한천 블록 부위에서만 원기의 발생이 나타났으며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 균을 접종하지 않은 부분에서는 같은 시기에 버섯의 원기형성이 관찰되지 않았다.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 균의 접종이 안된 배지에서는 오랜 시간이 지난 뒤에야 느타리버섯의 원기가 발생된 것으로 미루어 상기에서 동정한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가 느타리버섯의 생육을 촉진시키는 유용세균이라는 것이 확인되었다.
또한, 상기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를 포함하는 한천 블록의 접종을 통하여 느타리버섯이 한천 블록 근처에서 자실체의 발생과 균사 생장이 촉진되는 효과를 보였다(도 2 도 3). 따라서, 본 발명의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는 버섯의 원기 형성을 촉진시키고 자실체의 발생과 균사 생장을 촉진시키는 것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상기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를 포함한 배양액은 슈도모나스 톨라시드나 P. 마가라씨 등 버섯에게 심각한 병원성을 일으키는 갈반 현상을 보이는 유해성 미생물에 대한 방재효과도 가짐을 확인하였다.
상기에서 살펴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슈도모나스 푸티다 미생물 및 상기 미생물을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면 버섯의 균사 생장을 촉진시키고 자실체 발생 및 원기 형성을 촉진시키고, 특히 버섯이 생성되지 못하는 균사의 자실체 발아를 촉진시킬 수 있으므로, 이를 이용하여 버섯을 재배하면 버섯 재배 기간을 단축시킬 수 있고 버섯 수확량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버섯에게 심각한 병원성을 일으키는 갈반 현상을 보이는 유해성 미생물에 대한 방재효과를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가운데가 분할된 페트리 플레이트(왼쪽; 영양생식배지, 오른쪽; 생식생장배지)에서 자라는 본 발명의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CI-9를 접종한 느타리버섯 균사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를 접종한 플레이트(왼쪽)와 접종하지 않은 플레이트(오른쪽)에서 느타리 균사의 생장 촉진 효과를 나타낸 사진(A) 및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를 접종한 한천 블록에서의 원기형성을 나타낸 사진(B)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 접종에 의한 느타리버섯 자실체의 생장 촉진 효과를 나타낸 사진이다.
A :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를 접종하지 않은 플레이트,
B, C, D :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를 접종한 플레이트.
<110> CHO, YoungSup <120> Microorganism of Pseudomonas putida which stimulates the growth of mushroom and method for culturing mushrooms using the same <130> 1p-09-20 <160> 3 <170> KopatentIn 1.71 <210> 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9F primer <400> 1 gagtttgatc ctggctcag 19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1542R primer <400> 2 agaaaggagg tgatccagcc 20 <210> 3 <211> 750 <212> DNA <213> Pseudomonas putida CI-9 <400> 3 gctggcggca ggcctaacac atgcaagtcg agcggatgac gggagcttgc tcctggattc 60 agcggcggac gggtgagtaa tgcctaggaa tctgcctggt agtgggggac aacgtttcga 120 aaggaacgct aataccgcat acgtcctacg ggagaaagca ggggaccttc gggccttgcg 180 ctatcagatg agcctaggtc ggattagcta gttggtgggg taatggctca ccaaggcgac 240 gatccgtaac tggtctgaga ggatgatcag tcacactgga actgagacac ggtccagact 300 cctacgggag gcagcagtgg ggaatattgg acaatgggcg aaagcctgat ccagccatgc 360 cgcgtgtgtg aagaaggtct tcggattgta aagcacttta agttgggagg aagggcagta 420 agcgaatacc ttgctgtttt gacgttaccg acagaataag caccggctaa ctctgtgcca 480 gcagccgcgg taatacagag ggtgcaagcg ttaatcggaa ttactgggcg taaagcgcgc 540 gtaggtggtt cgttaagttg gatgtgaaag ccccgggctc aacctgggaa ctgcatccaa 600 aactggcgag ctagagtatg gtagagggtg gtggaatttc ctgtgtagcg gtgaaatgcg 660 tagatatagg aaggaacacc agtggcgaag gcgaccacct ggactgatac tgacactgag 720 gtgcgaaagc gtggggagcc aacaggatta 750

Claims (5)

  1.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형광성 슈도모나스 푸티다(Pseudomonas putida) CI-9(수탁번호: KCTC 10075BP) 균주.
  2. 제 1항의 상기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 균주를 배양배지에 접종하여 버섯을 배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버섯재배 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 균주를 포함하는 배양액을 농축상 또는 분말상으로 상기 배양배지에 첨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버섯은 느타리버섯 또는 양송이버섯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슈도모나스 푸티다 CI-9 균주의 접종은 버섯의 자실체가 형성되기 이전의 균사면에 상기 균주를 분사하거나 버섯의 종균 배양시에 미리 혼합 처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2003-0013168A 2003-03-03 2003-03-03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슈도모나스 푸티다 미생물 및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버섯재배 방법 KR10047466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168A KR100474662B1 (ko) 2003-03-03 2003-03-03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슈도모나스 푸티다 미생물 및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버섯재배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3-0013168A KR100474662B1 (ko) 2003-03-03 2003-03-03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슈도모나스 푸티다 미생물 및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버섯재배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027A KR20040078027A (ko) 2004-09-08
KR100474662B1 true KR100474662B1 (ko) 2005-03-10

Family

ID=373634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3-0013168A KR100474662B1 (ko) 2003-03-03 2003-03-03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슈도모나스 푸티다 미생물 및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버섯재배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7466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49B1 (ko) * 2007-01-11 2009-03-0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생육촉진 기능을 가지는 슈도모나스속 p7014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속성 재배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HUP1100496A2 (en) 2011-09-08 2013-03-28 Univ Szegedi Substances against pseudemonas species causing symptoms of rot in mushroom production, their use and compounds containing the same
BE1028124B1 (nl) 2020-03-05 2021-10-05 Karel Sterckx NV Werkwijze voor het controleren van pathogene groei in paddenstoelenkweek
EP3874953A1 (en) 2020-03-05 2021-09-08 Avecom NV Method for controlling pathogenic growth in mushroom culture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86749B1 (ko) * 2007-01-11 2009-03-04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생육촉진 기능을 가지는 슈도모나스속 p7014 균주 및 이를 이용한 버섯 속성 재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0078027A (ko) 2004-09-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2458012A (zh) 一种贝莱斯芽孢杆菌微生物菌剂及其应用
JP2011518545A (ja) 植物における真菌病の生物防除のためのトリコデルマ・アトロビリデsc1
CN103642734B (zh) 一种甜菜内生微杆菌及其用于甜菜病害生物防治中的应用
CN108220210B (zh) 一株防治棉花黄萎病的拮抗菌z-18及应用
CN103109870B (zh) 一种假单胞菌发酵上清液的应用
CN110343621A (zh) 一种棘孢木霉菌株及其应用
CN107325980B (zh) 一种耐辐射类芽孢杆菌kh9及其在生物抗蒸腾剂中的应用
CN111849837A (zh) 一种促进植物种子萌发和/或幼苗生长的方法
KR100474662B1 (ko) 버섯 생장을 촉진시키는 슈도모나스 푸티다 미생물 및상기 미생물을 이용한 버섯재배 방법
CN1594541A (zh) 一种虫草真菌及其分离方法
CN107841474B (zh) 一种池生代尔夫特菌及其在水稻稻曲病防治中的应用
Mehmood et al. In vitro maize growth promotion by endophytic Fusarium oxysporum WLW
CN103045500B (zh) 中慢生根瘤菌kdrm295及其应用
KR100690816B1 (ko) 신규 미생물 마이크로박테리움 아우룸 ma-8 및 이를 이용한 마 영양번식체 생산방법
CN116179399A (zh) 根际促生菌及其应用
CN112640916B (zh) 微生物制剂在防治番茄青枯病中的应用
KR100460633B1 (ko) 토양의 불용성 인산염을 가용화하는 신규의 균주 레클레르시아 아데카르복실라타 케이에스제이8
CN102978128A (zh) 一种与amf协同抗病促生的拮抗菌及其应用
CN106701867A (zh) 一种提高尼可霉素产量的方法
CN106701612B (zh) 一株荧光假单胞菌菌株及其应用
KR102597882B1 (ko) 진균에 대한 선택적 항균 활성을 갖는 바실러스 소노렌시스 ffb415 균주 (kacc92332p)
KR101527428B1 (ko) 라이조푸스 오라이지에 cs108 및 이를 포함한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KR100445199B1 (ko) Bacillus thuringiensis.MH-1001(KFCC-11311)및Rhodobacter sphaeroides MH-1002(KFCC-11312)균을 이용한나무뿌리의 치료 및 토양환경 개선을 통한 생육장해나무의정상화 방법
CN103045501B (zh) 中慢生根瘤菌kdrm283及其应用
CN112980724B (zh) 一种花生内生洋葱伯克霍尔德氏菌及其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G170 Publication of correc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90224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