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1070A -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 Google Patents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1070A
KR20000021070A KR1019980040004A KR19980040004A KR20000021070A KR 20000021070 A KR20000021070 A KR 20000021070A KR 1019980040004 A KR1019980040004 A KR 1019980040004A KR 19980040004 A KR19980040004 A KR 19980040004A KR 20000021070 A KR20000021070 A KR 20000021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ing
titanium
annealing
oxide film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400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근
Original Assignee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환, 현대전자산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영환
Priority to KR10199800400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21070A/ko
Publication of KR20000021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1070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409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 H01L29/66477Unipolar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an insulated gate, i.e. MISFET
    • H01L29/66568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 H01L29/66575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 H01L29/6659Lateral single gate silicon transistors where the source and drain or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re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with both lightly doped source and drain extensions and source and drain self-aligned to the sides of the gate, e.g. lightly doped drain [LDD] MOSFET, double diffused drain [DDD] MOSFE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or capacitors or resistors with at least one potential-jump barrier or surface barrier, e.g. PN 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6Unipolar devices, e.g. 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72Field effect transistors
    • H01L29/78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 H01L29/7833Field effect transistors with field effect produced by an insulated gate with lightly doped drain or source extension, e.g. LDD MOSFET's; DDD MOSF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 Electrodes Of Semiconduc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스형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반도체기판에 필드산화막을 형성한 후 게이트산화막, 폴리게이트막을 적층하여 식각으로 게이트전극을 형성하고, 그 결과물 전면에 산화막을 적층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게이트전극의 활성영역에 이온을 주입하여 LDD이온주입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 전면에 산화막을 적층한 후에 식각공정을 통하여 게이트전극 양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결과물 전면에 티타늄층을 적층한 후 제1어닐링을 하여 티타늄실리사이드층으로 성장시킨 후 잔류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LDD이온주입영역에 고농도의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한 후 티타늄실리사이드층의 안정화를 위한 제2어닐링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인 바, 티타늄실리사이드층을 형성시킨 후에 LDD이온주입영역에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하므로 티타늄실리사이드층의 성장을 안정화시켜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Description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본 발명은 모스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활성영역에 이온을 주입하여 LDD영역을 형성한 후 게이트전극에 스페이서를 형성하고 티타늄층을 전면에 적층한 후 어닐링하여 티타늄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고, 그 후에 LDD이온주입영역에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하므로 티타늄실리사이드층의 성장을 안정화시켜 반도체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도체장치의 종류에는 여러 가지가 있으며, 이 반도체장치 내에 형성되는 트랜지스터 및 커패시터등을 구성시키는 방법에는 다양한 제조기술이 사용되고 있으며, 최근에는 반도체기판 상에 산화막을 입혀 전계효과를 내도록 하는 모스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MOSFET; metal oxide semiconductor field effect transistor)를 점차적으로 많이 사용하고 있는 실정에 있다.
상기한 모스형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반도체 기판상에 형성된 게이트가 반도체층에서 얇은 산화 실리콘막에 의해 격리되어 있는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로서 접합형 트랜지스터와 같이 임피던스가 저하되는 일이 없으며, 확산 공정이 1회로 간단하고, 소자간의 분리가 필요 없는 장점을 지니고 있어서, 고밀도 집적화에 적합한 특성을 지니고 있는 반도체 장치이다.
도 1(a) 내지 도1(g)는 종래의 일반적인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1(a)는 반도체기판(1)에 필드산화막(3)을 형성한 후 게이트산화막(5) 및 폴리게이트막(7)을 적층하여 게이트전극을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b)는 상기 결과물의 전면에 식각으로 인한 손상을 치유하도록 하는 박막의 산화막(9)을 적층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c)는 트랜지스터의 활성영역에 낮은 농도의 이온을 주입하여 LDD이온주입영역(10)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1(d)는 상기 결과물 상의 전면에 산화막을 적층 한 후 전면 식각을 통하여 게이트전극의 양측면에 스페이서(12)를 형성한 후 LDD이온주입영역(10)에 높은 농도의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14)/드레인(16)영역을 형성한 후 불순물의 활성화를 위한 어닐링을 실시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e)는 상기 결과물의 전면에 티타늄층(17)을 적층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1(f)는 상기 티타늄층(17)을 저온으로 질소가스 분위기에서 1차적으로 어닐링하여 티타늄실리사이드층(18)을 성장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1(g)는 티타늄실리사이드층(18)을 형성시킨 후에 미처 제거되지 않은 불필요한 티타늄층(17)을 제거한 후 고온으로 2차 어닐링을 실시하여 완전한 티타늄실리사이드층(18')을 성장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티타늄실리사이드층(18)을 형성하기 이전에 LDD이온주입영역(10)에 고농도의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14)/드레인(16)영역을 형성하는 데, 이때, 이온 불순물의 표면농도가 큰 경우에 티타늄층(17)을 적층하여 티타늄실리사이드층(18)으로 어닐링하는 경우 불순물의 표면농도가 크면 실리콘(Si)이 티타늄층(17)으로 확산(Diffusion)되는 것을 방해하여 티타늄실리사이드층(18)의 성장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서 트랜지스트터의 불량을 초래하여 소자의 수율을 저하시키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활성영역에 이온을 주입하여 LDD영역을 형성한 후 게이트전극에 스페이서를 적층하고 티타늄층을 전면에 적층한후 어닐링하여 티타늄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고, 그 후에 LDD이온주입영역에 고농도의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하므로 티타늄실리사이드층의 성장을 안정화시켜 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것이 목적이다.
도 1(a) 내지 도1(g)는 종래의 일반적인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고,
도 2(a) 내지 도2(h)는 본 발명에 따른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0 : 반도체기판 22 : 필드산화막
24 : 게이트산화막 26 : 폴리게이트막
28 : 산화막 30 : LDD이온주입영역
32 : 스페이서 34 : 티타늄층
36 : 실리사이드층
이러한 목적은 반도체기판에 필드산화막을 형성한 후 게이트산화막, 폴리게이트막을 적층하여 식각으로 게이트전극을 형성하고, 그 결과물 전면에 얇은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게이트전극의 활성영역에 이온을 주입하여 LDD이온주입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 전면에 산화막을 적층한 후에 식각공정을 통하여 게이트전극 양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결과물 전면에 티타늄층을 적층한 후 제1어닐링을 하여 티타늄실리사이드층으로 성장시킨 후 잔류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LDD이온주입영역에 고농도의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한 후 불순물을 위한 어닐링을 실시하여 티타늄실리사이드층의 안정화를 위한 제2어닐링을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그리고, 상기 제2어닐링공정을 고농도 소오스/드레인 이온주입직 후 실시하는 활성화 어닐링과 동시에 수행하도록 할 수 있으며, 상기 티타늄층(34)의 티타늄 대신에 코발트, 니켈 및 플라티늄중에 어느 한 금속원소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도록 하며, 상기 티타늄층(34)의 제1차어닐링공정은 650∼750℃, 질소가스 분위기에서 RTP공정을 진행하며, 상기 제2어닐링공정은 800∼900℃온도로 RTP공정으로 진행하는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을 제공함으로써 달성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도 2(a) 내지 도2(h)는 본 발명에 따른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을 순차적으로 보인 도면이다.
도 2(a)는 반도체기판(20)에 필드산화막(22)을 형성한 후 게이트산화막(24), 폴리게이트막(26)을 적층하여 식각으로 게이트전극을 형성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b)는 상기 결과물 전면에 데미지를 치유하기 위한 박막의 산화막(28)을 형성시킨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 2(c)는 상기 단계 후에 게이트전극의 활성영역에 이온을 주입하여 LDD이온주입영역(30)을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도 2(d)는 상기 결과물 전면에 산화막을 적층한 후에 식각공정을 통하여 게이트전극 양측면에 스페이서(32)를 형성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잇다.
도 2(e)는 상기 단계 후에 상기 결과물 전면에 티타늄층(34)을 적층한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그리고, 도2(f) 및 도 2(g)는 상기 단계 후에 제1어닐링을 하여 티타늄층(34)을 실리사이드층(36)으로 형성한 후 화학용액을 사용하여 잔류물질을 제거한 상태를 순차적으로 보이고 있다.
도 2(h)는 상기 단계 후에 상기 LDD이온주입영역(30)에 고농도의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38)/드레인(40)영역을 형성한 후 불순물을 위한 어닐링을 실시하여 티타늄실리사이드층(36)의 상 변이를 위한 제2어닐링을 추가로 수행하는 상태를 도시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제2어닐링공정을 제1어닐링공정에 포함시켜 동시에 진해할 수도 있으며, 상기 티타늄층(34)의 티타늄 대신에 코발트(Co), 니켈(Ni) 및 플라티늄(Pt)중에 어느한 금속원소를 선택적으로 이용하여도 무방하다.
그리고, 상기 티타늄층(34)의 제1차어닐링공정은 650∼750℃, 질소가스 분위기에서 RTP(Rapid Thermal Procesing)공정을 진행하고, 상기 제2어닐링공정은 800∼900℃온도로 RTP공정으로 진행하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을 이용하게 되면,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전극의 활성영역에 이온을 주입하여 LDD영역을 형성한 후 게이트전극에 스페이서를 적층하고 티타늄층을 전면에 적층하여 어닐링하여 티타늄실리사이드층을 형성하고, 그 후에 LDD이온주입영역에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하므로 티타늄실리사이드층의 성장을 안정화시켜 반도체소자의 성능을 향상시키도록 하는 매우 유용하고 효과적인 발명이다.

Claims (5)

  1. 반도체기판에 필드산화막을 형성한 후 게이트산화막, 폴리게이트막을 적층하여 식각으로 게이트전극을 형성하고, 그 결과물 전면에 박막의 산화막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게이트전극의 활성영역에 이온을 주입하여 LDD이온주입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결과물 전면에 산화막을 적층한 후에 식각공정을 통하여 게이트전극 양측면에 스페이서를 형성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결과물 전면에 티타늄층을 적층한 후 제1어닐링을 하여 티타늄실리사이드층으로 성장시킨 후 잔류물질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 후에 상기 LDD이온주입영역에 고농도의 이온을 주입하여 소오스/드레인영역을 형성한 후 불순물의 활성화를 위한 어닐링과 티타늄실리사이드층의 안정화를 위한 제2어닐링을 차례로 수행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어닐링공정을 고농도의 소오스/드레인 이온주입 후 실시하는 불순물 활성화 어닐링공정과 동시에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층(34)의 티타늄 대신에 코발트, 니켈 및 플라티늄중에 어느 한 금속원소를 선택적으로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티타늄층(34)의 제1차어닐링공정은 650∼750℃, 질소가스 분위기에서 RTP공정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어닐링공정은 800∼900℃온도로 RTP공정으로 진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1019980040004A 1998-09-25 1998-09-25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KR2000002107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004A KR20000021070A (ko) 1998-09-25 1998-09-25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40004A KR20000021070A (ko) 1998-09-25 1998-09-25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1070A true KR20000021070A (ko) 2000-04-15

Family

ID=19551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40004A KR20000021070A (ko) 1998-09-25 1998-09-25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2107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789B1 (ko) * 2002-07-04 2004-05-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40438B1 (ko) * 2002-12-18 2010-02-1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2789B1 (ko) * 2002-07-04 2004-05-24 주식회사 하이닉스반도체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KR100940438B1 (ko) * 2002-12-18 2010-02-10 매그나칩 반도체 유한회사 반도체 소자의 제조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87234A (en) Method of forming a self-aligned silicide MOSFET with an extended ultra-shallow S/D junction
JPH0870053A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6413881B1 (en) Process for forming thin gate oxide with enhanced reliability by nitridation of upper surface of gate of oxide to form barrier of nitrogen atoms in upper surface region of gate oxide, and resulting product
TW201030818A (en) Metal oxide semiconductor devices having implanted carbon diffusion retardation layers and methods for fabricating the same
JPH0845875A (ja) 半導体デバイスおよびその形成方法
JPH06310719A (ja) Ge−SiのSOI型MOSトランジスタ及びその製造方法
US20080176399A1 (en) Metallic silicide forming meth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CN112151367B (zh) 半导体器件及其形成方法
KR20000021070A (ko) 모스형 트랜지스터 형성방법
JP2002518827A (ja) Mosトランジスタを含む半導体デバイスの製造方法
US5970350A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a thin gate oxide and method of manufacture thereof
JPH0738113A (ja) 薄膜トランジスタの製造方法
US20050112830A1 (en) Ultra shallow junction formation
US20040115889A1 (en) Ultra shallow junction formation
US6312999B1 (en) Method for forming PLDD structure with minimized lateral dopant diffusion
JP3033525B2 (ja) 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7923359B1 (en) Reduction of sheet resistance of phosphorus implanted poly-silicon
KR100204015B1 (ko) 모스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237024B1 (ko) 반도체 소자의 접합 영역 형성 방법
KR100429864B1 (ko) 금속 샐리사이드층을 갖는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KR0167667B1 (ko) 반도체 제조방법
KR100333647B1 (ko) 반도체소자의자기정렬실리사이드막을이용한전계효과트랜지스터제조방법
KR100228334B1 (ko) 반도체 장치의 전계효과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0309137B1 (ko) 반도체소자제조방법
KR100274341B1 (ko) 반도체소자의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