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20738A -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 - Google Patents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20738A
KR20000020738A KR1019980039479A KR19980039479A KR20000020738A KR 20000020738 A KR20000020738 A KR 20000020738A KR 1019980039479 A KR1019980039479 A KR 1019980039479A KR 19980039479 A KR19980039479 A KR 19980039479A KR 20000020738 A KR20000020738 A KR 2000002073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criber
board
data
control interface
lin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94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88752B1 (ko
Inventor
오태환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947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88752B1/ko
Publication of KR200000207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07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87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8752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3/00Automatic or semi-automatic exchanges
    • H04M3/005Interface circuits for subscriber l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Interface Circuits In Exchang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을 연결하는 라인의 사용율을 극대화시킨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동기신호가 제1상태일 때에는 라인을 통해 제어 데이타를 송신하고, 제2상태일 때에는 상기 라인을 통해 데이타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동기신호가 제1상태일 때에는 상기 라인을 통해 제어 데이타를 수신하고, 제2상태일 때에는 상기 라인을 통해 데이타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가입자 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교환기에 사용된다.

Description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
본 발명은 교환기에 관한 것으로, 특히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교환기의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는 가입자 보드를 제어하거나, 가입자 보드의 데이타를 읽어가기 위하여 정합되어 있다.
종래의 교환기의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상태를 도시한 도 1과 그에 따른 타이밍도인 도 2를 참조하여 종래의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 정합장치를 설명한다.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100)와 다수의 가입자 보드(102)는 제1 내지 제6라인으로 연결된다. 상기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100)는 제1라인을 통해 가입자회로 제어클럭인 1.25[MHz]의 PCLK를 가입자 보드(102)에 제공하고, 제2라인을 통해 상기 PCLK의 동기신호인 SFS를 가입자 보드(102)에 제공하고, 제3라인을 통해 어드레스인 SCONA를 가입자 보드(102)에 제공하고, 제4라인을 통해 제어데이타인 어드레스 데이타인 SCONB를 가입자 보드(102)에 제공하고, 제5라인을 통해 제어 데이타 등을 가입자 보드(102)에 제공한다. 그리고 가입자 보드(102)는 제6라인을 통해 가입자 데이타를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100)에 제공한다.
상기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100)는 SFS가 로우일 때에 어드레스 데이타인 SCONA, SCONB를 가입자 보드(102)에 송신하고, SFS가 하이일 때에 가입자 제어 데이타를 가입자 보드(102)에 송신한다. 그리고 가입자 보드(102)는 SFS가 하이일 때에 가입자 데이타를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100)에 제공한다.
상기 어드레스 데이타인 SCONA, SCONB는 가입자 보드(102) 및 가입자 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 및 가입자 회로의 동작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어드레스로 구성된다. 상기 SCONA, SCONB는 T0, T1, B5, B6, B7, B8, A0, A1, A2, A3, A4, BR로 구성된다. 상기 T0, T1은 모드 선택 어드레스로서, 상기 T0, T1이 나타내는 기능 모드를 나타낸 것이 표 1이다.
T1 T0 모드
0 0 0 가입자 루프백/식별 데이타 읽기
0 1 1 훅크 온/오프 검출
1 0 2 가입자 제어 데이타 쓰기
1 1 3 COMBO II FOCL 데이타 리드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T0, T1은 가입자 루프백/식별 데이타 읽기 및 훅크 온/오프 검출 등의 가입자 회로의 동작 모드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B5, B6, B7, B8은 가입자 보드 선택 어드레스로서 0∼15까지의 16개의 가입자 보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데이타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A0, A1, A2, A3, A4는 선택된 가입자 보드내에 있는 32개의 가입자 회로중 어느 한 가입자회로를 선택하기 위한 데이타를 나타낸다. 그리고 상기 BR은 선택된 가입자 보드내의 모든 가입자 회로에 동일한 제어 데이타를 쓰고자 할 때에 1로 셋트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100)와 가입자 보드(102)간의 SCONA, SCONB와 DOUT, DIN을 송수신하기 위한 라인이 각각 구비되었다. 상기 SCONA, SCONB은 SFS가 로우일 때에만 송수신되고, DOUT, DIN는 SFS가 하이일 때에만 송수신된다. 이에따라 SFS가 하이일 때 SCONA, SCONB를 송수신하기 위한 라인은 사용되지 않고, SFS가 로우일 때에 DOUT, DIN를 송수신하기 위한 라인은 사용되지 않는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에는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와 가입자 보드간의 어드레스와 데이타 송수신을 위한 라인이 각각 구비되었으나, 어드레스 송수신시에는 데이타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고, 데이타 송수신시에는 어드레스 송수신이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에따라 어드레스 송수신시에는 데이타 송수신을 위한 라인이 사용되지 않고, 데이타 송수신시에는 어드레스 송수신을 위한 라인이 사용되지 않아 라인이 비효율적으로 사용되는 곤란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어드레스와 데이타를 한 라인으로 송수신할 수 있도록 하여 라인을 효율적으로 사용되도록 하는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종래의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2 및 도 5는 도 1의 타이밍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상태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도 3의 타이밍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동기신호가 제1상태일 때에는 라인을 통해 제어 데이타를 송신하고, 제2상태일 때에는 상기 라인을 통해 데이타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동기신호가 제1상태일 때에는 상기 라인을 통해 제어 데이타를 수신하고, 제2상태일 때에는 상기 라인을 통해 데이타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가입자 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상태를 도시한 도 3과 그에 따른 타이밍도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200)와 다수의 가입자 보드(202)는 제1 내지 제6라인으로 연결되어 있다. 상기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제1라인을 통하여 가입자회로 제어클럭인 2.5[MHz]의 LCLK를 다수의 가입자 보드(202)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제2라인을 통하여 상기 LCLK의 동기신호인 LFS를 다수의 가입자 보드(202)에 제공한다. 그리고 상기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200)와 가입자 보드(202)는 상기 제3 내지 제6라인을 통하여 어드레스 및 데이타를 송수신한다. 상기 제3라인으로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LD0이라 하고, 상기 제4라인으로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LD1이라 하고, 상기 제5라인으로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LD2이라 하고, 상기 제6라인으로 송수신되는 데이타를 LD3이라 한다. 상기 LD0은 M0, A8, A4, A0, A0 및 D4, D0으로 이루어지고, LD1은 M1, A9, A5, A1, A1 및 D5, D1로 이루어지고, LD2는 M2, BR, A6, A2, A2 및 D6, D2로 이루어지고, LD3은 R/W, A7, A3, A3 및 D7, D3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M0, M1, M2는 가입자 회로의 동작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모드 선택 어드레스이다. 그리고 A8, A7, A6, A5는 0에서 15까지의 16개의 가입자 보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가입자 보드 선택 어드레스이다. 그리고 A4, A3, A2, A1, A0은 가입자 보드내 32개의 가입자 회로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기 위한 가입자 선택 어드레스이다. 그리고 A9는 가입자보드가 32개로 확장될 때에 가입자 보드 선택 어드레스로서 추가하기 위한 예비 어드레스이다. BR은 선택된 가입자보드의 가입자회로에 한번에 동일한 제어 데이타를 쓰고자 할 때에 셋트된다. R/W는 가입자 회로의 보드의 동작이 읽기인지 쓰기인지를 나타낸다. 예를들어, R/W가 0이면 쓰기이고, 1이면 읽기가 될 수 있다. D0 내지 D7은 쓰기일 때에는 가입자회로(202)를 제어하기 위한 데이타이고, 읽기일 때에는 가입자회로(202)로부터의 데이타를 읽어오는 것이다. 가입자회로의 동작모드를 기존의 구조보다 확장하여 보다 다양한 기능을 구현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동작모드별로 어드레스를 선택하여 보드별로 레지스터 선택 어드레스를 설정하게 한다.
상기 LFS가 로우일 때에 상기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200)는 제3 내지 제6라인을 통해 M0, A8, A4, A0, A0, M1, A9, A5, A1, A1, M2, BR, A6, A2, A2, R/W, A7, A3, A3을 가입자보드(102)에 제공하고, LFS가 하이일 때에 상기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200)와 가입자 보드(202)는 제3 내지 제6라인을 통해 D4, D0, D5, D1, D6, D2, D7, D3을 송수신한다.
이와같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라인을 통하여 LFS가 로우일 때에는 어드레스를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200)가 가입자 보드(202)에 제공하고, LFS가 하이일 때에는 가입자 보드(202)가 가입자 데이타를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200)에 제공한다.
여기서,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와 가입자 회로의 공통부를 정합하는 것은 가입자 훅크 데이타나 보드 식별데이타, 버스 루프백 데이타, PCM 루프백 데이타, 실패상태 알람상태 등을 각각의 레지스터로 설정하여 각 레지스터를 리드하거나 라이트하여 가입자 회로의 데이타를 읽어가거나 초기 데이타를 세트할 수 있다.
그리고, 가입자 회로의 개별제어정합에 있어서는 가입자 회로를 각각 억세스하거나 또는 BR로 전체를 억세스하여 제어 데이타를 라이트하여 제어를 할 수가 있다. 데이타를 세트하여 가입자회로를 파워 온/오프(Power on/off). 액티베이션(Activation), 스텐바이(Stand-By), 링(Ring), 인 테스트(In-Test), 아웃 테스트(Out-Test) 등을 설정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어드레스와 데이타를 동일한 라인으로 송수신하도록 하여 라인의 사용율을 증대한다. 또한 한 싸이클의 동작을 실행하는 데 있어서 소비되는 시간을 3.6[ μ s]로 줄이며, 클럭의 레이트 2.5[MHz]로하여 보다 빠르게 가입자회로를 어세스할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예를 들어 설명한다. 1.25[MHz]의 PCLK를 사용하던 종래방식에 따라 32개의 가입자 회로의 훅크 데이타를 스캔하는 데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은 워드 오퍼레이션을 두번 수행하여야 하므로 40[ μ s]가 소요되었다. 이에따라 상위 프로세서가 한 쉘프내에 있는 가입자의 훅크 데이타를 스캔하기 위해서는 수학식 1과 같이 640[ μ s]가 소요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르면 32가입자의 훅크 데이타 스캔시간은 수학식 2에 따라 14.4[ μ s]가 되며, 한 쉘프내에 있는 가입자의 훅크 데이타를 스캔하는 데에 소요되는 시간은 수학식 3에 따라 230.4[ μ s]가 된다.
이와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한 쉘프내에 있는 가입자의 훅크 데이타를 스캔하는 데에는 230.4[ μ s]가 소요되므로, 종래 640[ μ s]에 대해 절반이하로 스캔소요시간이 단축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동일라인으로 데이타 및 어드레스를 송수신하도록 함으로써, 라인이 사용되지 않는 시간을 최소화하여 사용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Claims (2)

  1.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에 있어서,
    동기신호가 제1상태일 때에는 라인을 통해 제어 데이타를 송신하고, 제2상태일 때에는 상기 라인을 통해 데이타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동기신호가 제1상태일 때에는 상기 라인을 통해 제어 데이타를 수신하고, 제2상태일 때에는 상기 라인을 통해 데이타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가입자 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
  2.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에 있어서,
    동기신호가 제1상태일 때에는 다수의 라인을 통해 병렬로 어드레스 데이타를 송신하고, 제2상태일 때에는 상기 다수의 라인을 통해 병렬로 데이타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와,
    상기 동기신호가 제1상태일 때에는 상기 다수의 라인을 통해 병렬로 어드레스 데이타를 수신하고, 제2상태일 때에는 상기 다수의 라인을 병렬로 데이타를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가입자 보드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
KR1019980039479A 1998-09-23 1998-09-23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 KR1002887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479A KR100288752B1 (ko) 1998-09-23 1998-09-23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9479A KR100288752B1 (ko) 1998-09-23 1998-09-23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0738A true KR20000020738A (ko) 2000-04-15
KR100288752B1 KR100288752B1 (ko) 2001-05-02

Family

ID=1955164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9479A KR100288752B1 (ko) 1998-09-23 1998-09-23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88752B1 (ko)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60009534B1 (en) * 1993-06-30 1996-07-20 Daewoo Electronic Component Serial interface circuit for controlling subscriber's board in full electronics exchan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88752B1 (ko) 2001-05-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25081A (en) Inter-configuration changing controller based upon the connection and configuration information among plurality of clusters and the global storage
JPH07105813B2 (ja) 分散型パケット交換システム
US4345325A (en) Message-interchange circuitry for microprocessors linked by synchronous communication network
US6215817B1 (en) Serial interface device
JPS63116258A (ja) デ−タ処理システム
KR100288752B1 (ko) 가입자 보드와 가입자 제어 인터페이스 보드간의 정합장치
US4630197A (en) Anti-mutilation circuit for protecting dynamic memory
US4569040A (en) Electronic switching system having a time division multiplex switch controller address by central control unit
EP0325080B1 (en) Protocol and apparatus for the selective scanning of a plurality of lines connected to a communication device
AU736765B2 (en) Method and arrangement for connecting processor to ASIC
GB2214334A (en) Integrated circuit
JPH0618373B2 (ja) データ伝送方法及び装置
KR920001859B1 (ko) 타임 스위치 제어 메모리장치
US6216194B1 (en) Information processing unit for separately controlling a plurality of shared buses
KR100295683B1 (ko) 인터아이씨의 제너럴콜 어크날리지장치및 방법
KR100258354B1 (ko) 소용량 에이티엠 교환기용 스위치 제어장치
US5357619A (en) Paged memory scheme
KR100323910B1 (ko) 데이터인터페이스 및 이를 사용한 고속통신시스템
KR0169789B1 (ko) 클럭주기가 다른 블럭들의 데이타 전송방법 및 회로
GB2134753A (en) Electronic switching system
KR950004509B1 (ko) 장거리 인터페이스 장치의 버스 중계 회로
KR100210815B1 (ko) 안내방송 메시지용 메모리에 대한 읽기 모드 제어신호 발생장치
KR100314657B1 (ko) 유토피아에서의 오 동작 방지장치
KR0121973B1 (ko) 전전자 교환기에 있어서 프로세서 보드간의 공통버스 중재회로
JPH11242651A (ja) インターフェース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1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