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847A - 측면으로 통공이 관통된 운동화 밑창 및그 제조금형 - Google Patents

측면으로 통공이 관통된 운동화 밑창 및그 제조금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847A
KR20000018847A KR1019980036643A KR19980036643A KR20000018847A KR 20000018847 A KR20000018847 A KR 20000018847A KR 1019980036643 A KR1019980036643 A KR 1019980036643A KR 19980036643 A KR19980036643 A KR 19980036643A KR 20000018847 A KR20000018847 A KR 200000188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idsole
mold
die
mid
protru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영설
Original Assignee
박영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영설 filed Critical 박영설
Priority to KR10199800366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847A/ko
Publication of KR200000188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84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3FOOTWEAR
    • A43DMACHINES, TOOLS, EQUIPMENT OR METHODS FOR MANUFACTURING OR REPAIRING FOOTWEAR
    • A43D8/00Machines for cutting, ornamenting, marking or otherwise working up shoe part blanks
    • A43D8/02Cutting-out
    • A43D8/04Stamping-out
    • A43D8/06Die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DPRODUCING PARTICULAR ARTICLES FROM PLASTICS OR FROM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 B29D35/00Producing footwear
    • B29D35/12Producing parts thereof, e.g. soles, heels, uppers, by a moulding technique
    • B29D35/128Moulds or apparatus therefor

Landscapes

  • Footwear And Its Accessory, Manufacturing Method And Apparatuses (AREA)
  • Moulds For Moulding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
본 발명은 측면으로 관통되는 통공이 형성되는 운동화 밑창 및 그 금형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려는 기술적 과제.
종래의 운동화 밑창은 중량을 경량화 하면서 쿠션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미드솔을 제조할 경우에는 에어백을 이용하기 때문에 이를 제조할 경우에는 반듯이 별도의 에어백을 미드솔이 성형되는 금형에 고정시키는 작업이 필요하고 또한 이러한 에어백은 공기나 가스가 주입된 상태에서 별도의 작업으로 제조된 것을 사용하기 때문에 제조원가의 상승은 물론 제품의 불량률이 증가되는 원인이 되었던 것이고 또한 착용후에 에어백이 터질 경우에는 운동화로서 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등의 단점이 있는 것이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의 해결을 위한 것으로, 통상 아웃솔과 미드솔로 구성되어지는 운동화 밑창의 미드솔에 측면으로 관통되는 통공을 형성하기 위하여 미드솔의 저면과 측면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개구부가 서로 만나도록 함으로서 결국에는 측면으로 통공이 형성토록 하고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마개를 접착시킴으로서 통공이 형성토록 한 것이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운동화의 밑창

Description

측면으로 통공이 관통된 운동화 밑창 및 그 제조 금형.
본 발명은 미드솔의 측면으로 통공이 관통된 운동화 밑창과 그 제조 금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미드솔의 측면과 저면에 개구부를 형성하여 상기 개구부가 서로 만나도록 함으로서 미드솔의 측방으로 통공이 관통되도록 함으로서 운동화를 경량화 하면서 에어백의 사용이 없이 쿠션을 증대시키며 또한 운동화의 착용 후 통공에 의하여 지면과의 분리토록 됨으로서 보온효과를 우수하게 할 수 있는 것이다.
현재 운동화 밑창으로 사용되는 미드솔의 경량화와 더불어 쿠션력의 향상을 위하여 미드솔의 측면으로 통공을 관통시키기 위한 제조 금형에 있어서는, 미드솔을 2등분하여 수직으로 세워서 성형한 후 이를 접착하여 제조되는 방식과 금형이 좌우로 절첩되면서 통공을 형성하는 방식이 제안되고 있는 것이고 이러한 것에 대하여는 본 발명자가 이미 출원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반듯이 별도의 금형이 필요하기 때문에 종래의 금형을 이용하여 원가를 절감시키기 위한 방식이 요구되었던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상단과 중단 및 하단 금형으로 3단으로 구분되어 상단과 중단 금형이 상부로 들어올려지도록 되는 금형에 있어서 중단 금형에는 좌우측으로 돌출되는 돌출부를 형성하고, 하단 금형에는 중단금형의 좌우측 돌출부와 맞닿도록 원통형 돌출부를 형성하여 이러한 금형에서 성형되는 미드솔은 측면과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가 서로 만나도록 함으로서 미드솔의 측방으로 통공이 관통되도록 하고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에는 마개를 형성함으로서 통공이 형성되는 미드솔을 제공하게 되면서 이러한 마개를 미끄럼 방지를 위한 특수 제작토록 함으로서 다기능의 미드솔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미드솔을 성형하기 위한 금형의 일례를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중단금형의 돌출부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 3은 하단금형의 돌기부가 중단금형의 돌출부와 밀착된 상태의 단면도.
도 4는 성형된 미드솔의 단면도.
도 5는 미드솔에 마개가 형성된 상태의 단면도.
<도면의주요부분에대한부호의설명>
1: 미드솔 2: 통공
3,3a: 개구부 4: 마개
11: 중단금형 12: 하단금형
13: 내벽 14: 돌출부
15: 돌기부
이하에서는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제 1도 내지 제 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미드솔 제조 금형은 공지의 3단으로 구성되는 금형에 있어서, 미드솔(1)의 외형에 따른 형상을 갖는 중단 금형(11)의 내벽(13)에 미드솔(1)의 앞꿈치와 뒤꿈치에 형성되는 통공(2)의 형상이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된 돌출부(14)를 좌우로 돌설하고, 하단금형(12)에는 중단금형(11)의 돌출부(14)와 밀착될 수 있는 높이로 돌기부(15)가 형성되는 구성이다.
이때 중단 금형(11)의 내벽(13)에 형성되어 미드솔(1)의 좌우에 개구부(3)를 형성하는 돌출부(14)는 중단 금형(11)을 상부로 들어올릴 때 쉽게 빠질 수 있도록 미드솔(1)을 대략 1/3로 구획한 길이 만큼 돌설하여야 중단 금형(11)을 들어올릴 때 미드솔(1)의 탄성에 의하여 돌출부(14)가 개구부(3)에서 쉽게 빠지게 되는 것이고, 또한 돌출부(14)의 선단은 호형으로 만곡지게 형성하면 하단 금형(12)에 돌설된 돌기부(15)와 정확한 밀착을 유도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중단금형(11)의 돌출부(14)는 중단금형(11)을 수지금형으로 하여 코아의 원리를 이용하여 나사결합토록 할 경우에는 돌출부(14)의 크기에 따라 코아의 교환이 가능한 것이고 중단금형(11)을 들어올릴 경우에 돌출부(14)가 미동토록 되기 때문에 성형된 미드솔(1)의 빠짐이 용이토록 되는 것이다.
또한 하단 금형(12)에 돌설되어 중단금형의 돌출부(14)와 밀착되는 돌기부(15)는 미드솔이 성형된 후에 마개(4)의 결합이 용이토록 하기 위하여 하단에는 단턱(16)을 형성하면 마개(4)의 결합이 용이토록 되는 것이다.
따라서 미드솔(1)을 성형할 경우에는 상단금형(10)을 들어올린 후 성형을 위한 발포수지를 주입한 후 일정온도로 가열하면 발포수지가 성형되면서 미드솔(1)이 성형되어지고 그후 상단금형(10)과 중단금형(11)을 들어올리게 되면 미드솔(1)이 성형되는 것이다.
이와 같이 성형된 미드솔(1)은 측면과 저면으로 개구부(3,3a)가 형성되어 결국에는 미드솔(1)의 측방으로 관통되는 통공(2)이 형성토록 되는 것이다.
그후 미드솔(1)의 하방에 개구된 개구부(3a)에는 마개(4)를 접착시킴으로서 완벽한 통공(2)이 형성토록 되는 것이다.
이때 마개(4)는 하방의 개구부(3a)를 형성할 경우에 하단금형(12)의 돌기부(15)에 단턱(16)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성형되는 미드솔(1)의 하방에 형성되는 개구부(3a)에도 단턱이 형성되기 때문에 단턱을 이용하여 마개(4)를 접착시킬 경우에는 미드솔(1)의 저면에서 마개(4)가 돌출되지 않고 수평상태로 접착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때 마개(4)를 특수한 형상으로 제조할 경우에는 마개(4)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미끄럼의 방지는 물론 다양한 디자인의 제품을 제공하게 되는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하면 미드솔의 측면과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가 서로 만나 미드솔의 측방으로 통공이 관통되도록 함으로서 종래의 금형을 이용하여 미드솔의 측방으로 통공이 관통되어지도록 제조할 수 있는 것이다.

Claims (3)

  1. 공지의 3단으로 구성되는 금형에 있어서, 미드솔(1)의 외형에 따른 형상을 갖는 중단 금형(11)의 내벽(13)에 미드솔(1)의 앞꿈치와 뒤꿈치에 형성되는 통공(2)의 형상이나 위치에 따라 선택적으로 돌출된 돌출부(14)를 좌우로 돌설하고, 하단금형(12)에는 중단금형(11)의 돌출부(14)와 밀착될 수 있는 높이로 돌기부(15)가 형성되는 운동화 밑창의 제조금형.
  2. 발포 성형되는 미드솔(1)의 측면과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3,3a)가 서로 만나 미드솔(1)의 측방에 통공(2)이 천공되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드솔.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미드솔(1)의 저면에 형성된 개구부(3a)에 마개(4)를 접착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미드솔.
KR1019980036643A 1998-09-05 1998-09-05 측면으로 통공이 관통된 운동화 밑창 및그 제조금형 KR2000001884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643A KR20000018847A (ko) 1998-09-05 1998-09-05 측면으로 통공이 관통된 운동화 밑창 및그 제조금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643A KR20000018847A (ko) 1998-09-05 1998-09-05 측면으로 통공이 관통된 운동화 밑창 및그 제조금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847A true KR20000018847A (ko) 2000-04-06

Family

ID=195497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643A KR20000018847A (ko) 1998-09-05 1998-09-05 측면으로 통공이 관통된 운동화 밑창 및그 제조금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84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2622A1 (en) * 2005-03-28 2006-10-26 Tunnel Corporation Co., Ltd Midsole of shoes and midsole manufacturing device
KR101358402B1 (ko) * 2013-03-28 2014-02-05 (주) 나이스테라 신발밑창 성형용 금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6112622A1 (en) * 2005-03-28 2006-10-26 Tunnel Corporation Co., Ltd Midsole of shoes and midsole manufacturing device
KR101358402B1 (ko) * 2013-03-28 2014-02-05 (주) 나이스테라 신발밑창 성형용 금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08518698A (ja) 靴及び靴製造方法
WO2005006903A1 (en) Injection molded phylon midsole
JP2006341597A (ja) 浸入防止リブを備えたオーバーモールド
EP1120056A3 (en) Shock-absorbing sole structure
KR20000018847A (ko) 측면으로 통공이 관통된 운동화 밑창 및그 제조금형
US5933982A (en) Midsole construction with a resilient shock-absorbing block
KR100516102B1 (ko) 운동화의 미드솔에 측방으로 관통되어진 통공을 갖는 미드솔
TWI617254B (zh) Toe shoe and integrated molding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KR950007742A (ko) 운동화용 신발창 및 그의 제조방법
JP4001266B2 (ja) 発泡樹脂製ブーツの製造方法
KR101743857B1 (ko) 2개의 사전형성물로 형성되는 신발류 물품 그리고 이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및 몰드
KR100515505B1 (ko) 운동화의 미드솔에 관통되어진 통공을 갖도록 하는 제조금형
KR19990062037A (ko) 운동화 밑창
KR20130027610A (ko) 측방으로 관통되는 통공을 갖는 완충체가 미드솔의 바닥면에서 일체로 돌출되는 미드솔 및 그 제조장치
KR100485758B1 (ko) 신발
JPH0638804A (ja) 靴の表底の成形法
GB2374515A (en) Sandal with integrally formed sole
JP3910061B2 (ja) 射出成形靴
CN215270867U (zh) 一种结构改进的运动鞋底
KR102005090B1 (ko) 신발용 쿠션재 및 그 제조금형
KR100430881B1 (ko) 사출발포용 금형장치
JP4588372B2 (ja) 靴底の製造方法
KR100428868B1 (ko) 구두 밑창 제조방법
JPH0241104A (ja) 履物のクッション体、およびクッション体を有する履物、およびクッション体を有する履物の製造方法
CN209053911U (zh) 一种防缩痕塑料件卡扣结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