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602A - 자동응답 시스템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이를이용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방법 - Google Patents

자동응답 시스템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이를이용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602A
KR20000018602A KR1019980036251A KR19980036251A KR20000018602A KR 20000018602 A KR20000018602 A KR 20000018602A KR 1019980036251 A KR1019980036251 A KR 1019980036251A KR 19980036251 A KR19980036251 A KR 19980036251A KR 20000018602 A KR20000018602 A KR 200000186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communication
communication terminal
voice
charging device
me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석
Original Assignee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용,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윤종용
Priority to KR1019980036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602A/ko
Publication of KR200000186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60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7/00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 H02J7/0042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 H02J7/0044Circuit arrangements for charging or depolarising batteries or for supplying loads from batteries characterised by the mechanical construction specially adapted for holding portable devices containing batter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4Automatic arrangements for answering calls; Automatic arrangements for recording messages for absent subscribers; Arrangements for recording convers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가.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발명이 해결하려고 하는 기술적 과제
자동응답 시스템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와 이를 이용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방법을 제공한다.
다.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본 발명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에 자동응답 시스템을 구비시키고, 상기 충전장치와 단말기를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상기 충전장치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함은 물론 자동응답 시스템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라.발명의 중요한 용도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에 이용한다.

Description

자동응답 시스템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방법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자동응답 시스템이 내장된 충전장치 및 이를 이용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방법에 관한 것이다.
근래에 들어 이동통신단말기의 서비스 사업자는 많은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그 대표적인 것이 음성사서함 서비스이다. 이것은 사용자가 전화를 받을 수 없거나 응답하지 않는 경우 서비스 사업자가 발신측으로부터의 음성메시지를 녹음하여 사용자에게 알려주는 서비스이다.
그런데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상기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는 서비스 이용 수수료를 부담해야하며, 또한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사업자에게로 전화를 하여야 함으로 통신료도 부담해야 하는 등 사용자의 부가서비스 이용 수수료에 대한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는 이동통신단말기 서비스 사업자가 제공하는 상기 각종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서 서비스 이용 수수료를 부담해야하며, 또한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서비스 사업자에게로 전화를 하여야 함으로 통신료도 부담해야 하는 등 사용자의 부가서비스 이용 수수료에 대한 부담이 커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이동통신단말기 사용자가 서비스 사업자와 무관하게 각종 부가 서비스를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 및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장치에 내장된 자동응답 시스템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자동응답 시스템에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처리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에에 따라 자동응답 시스템에서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출력시키는 처리 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종래의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에 자동응답 시스템을 구비시키고, 상기 충전장치와 단말기를 내부 인터페이스를 통해 연결함으로써 상기 충전장치가 단말기의 배터리를 충전함은 물론 자동응답 시스템을 이용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도 수행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구체적인 회로 구성과 같은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다. 이들 특정 상세들없이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할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장치에 내장되는 자동응답 시스템의 블록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1을 참조하면, 제어부(110)는 충전장치내 자동응답 시스템(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한다. 상기 제어부(110)는 원칩 마이크로프로세서(One chip microprocessor)로서,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롬 및 상기 프로그램 수행중에 발생되는 데이터를 일시 저장하기 위한 램 등을 구비한다. 단말기 인터페이스부(106)는 이동통신단말기(118)와 자동응답 시스템(100)간에 송/수신되는 통화 음성 신호들을 인터페이스한다. 조작패널(Operating Pannel:이하 "OPE"라 함)(112)은 충전장치에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위한 자동응답 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자동응답 모드키를 포함한 다수의 기능키들을 구비하며, 사용자의 키입력에 의해 발생되는 키데이터를 제어부(112)로 출력한다. 또한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하여 상기 제어부(110)로부터 제공되는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의 동작상태를 표시한다. 마이크(114)는 사용자로부터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코덱(102)으로 인가하며, 스피커(116)는 코덱(102)으로부터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시킨다. 코덱(102)은 디지털신호처리부(Digital Signal Processor: 이하 "DSP"라 함)(104)에 연결되어 아날로그 신호를 디지털화하여 신호처리에 용이한 데이터로 변환하거나 디지털화된 데이터를 아날로그 신호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DSP(104)는 상기 코덱(102)으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수치데이터로 변환한다. 오디오 메모리(108)은 자동응답 기능을 위한 음성안내메시지 및 발신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메시지를 저장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동응답 시스템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장치에서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수행하는 처리 흐름도를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2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 도 1의 제어부(110)에 의해 수행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장치가 사용자에 의해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된 상태에서 사용자가 이동통신단말기(118)를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100)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장치에 장착시키는 경우 자동응답 시스템(100)의 제어부(110)는 (200)단계에서 이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18)의 배터리 전원을 충전시킴과 아울러 (202)단계롤 진행하여 임의의 발신측으로부터의 콜(Call)요구에 따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118)로 링신호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상기 자동응답 모드라 함은 상기 충전장치에 자동응답 시스템(100)을 내장함에 따라 상기 충전장치가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위한 자동응답 기능을 수행하도록 미리 설정된 모드를 의미한다. 이때 만일 상기 (202)단계에서 이동통신단말기(118)로 링신호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204)단계로 진행하여 현재 충전장치가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어 제어부(110)는 상기 (204)단계에서 현재 충전장치가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206)단계로 진행하여 미리 설정된 일정회수의 링신호 수신시까지 이동통신단말기(118)가 "후크-온" 되지 않을 경우 자동으로 발신측과 통화로를 형성한다. 그리고 제어부(110)는 (208)단계로 진행하여 오디오 메모리(108)로부터 사용자에 의해 음성사서함 서비스를 위해 미리 저장된 음성안내메시지를 독출하여 상기 (206)단계에서 형성된 통화로를 통해 발신측으로 송출시킨다. 이어 제어부(110)는 (210)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안내메시지에 응답한 발신측으로부터의 음성메시지가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한다. 이때 만일 상기 (210)단계에서 발신측으로부터 음성메시지가 수신되면 제어부(110)는 (212)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오디오 메모리(108)에 저장시키고, (214)단계에서 OPE(112)의 액정표시장치로 발신측으로부터 음성메시지가 수신됐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표시시킨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자동응답 시스템이 구비된 이동통신단말기 충전장치에서 상기 도 2의 처리 흐름에서 발신측으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사용자의 요구에 따라 스피커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시키는 처리 흐름을 도시한 것이다. 상기 도 3의 흐름도에 따른 동작은 상기 도 1의 자동응답 시스템(100)의 제어부(110)에 의해 수행되도록 한다. 이하 상기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사용자가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100)의 오디오 메모리(108)에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자동응답 시스템(100)의 OPE(112)를 통해 음성메시지 재생을 위한 키를 입력시키는 경우 제어부(110)는 이에 응답하여 (300)단계에서 (302)단계로 진행하여 발신측으로부터 가장 최근에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우선하여 오디오 메모리(108)로부터 독출한다. 이어 제어부(110)는 (3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오디오 메모리(108)로부터 독출된 음성메시지를 스피커(116)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시킨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충전장치의 자동응답 시스템(100)에 발신측으로부터 수신되어 저장된 음성메시지를 확인할 수 있게되며, 다음 음성메시지를 확인하고 싶은 경우에는 상기 음성메시지 재생을 위한 키를 다시 한번 입력시키게 된다. 그러면 제어부(110)는 (306)단계에서 상기 사용자로부터 다음 음성메시지 재생을 위한 키입력을 인식하는 경우 (308)단계로 진행하여 오디오 메모리(108)로부터 상기 (302)단계에서 독출된 음성메시지 다음으로 최근에 수신된 음성메시지를 독출한 후, 다시 상기 (304)단계로 진행하여 상기 음성메시지를 스피커(116)를 통해 음성신호로 출력시키게 된다.
이와 달리 상기 (306)단계에서 사용자로부터 더 이상의 재생키 입력이 없는 경우 제어부(110)는 음성메시지 재생동작을 종료한다.
따라서 자동응답 시스템이 내장된 충전장치를 이용하여 자동응답 기능과 같은 서비스의 구현이 가능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에 자동응답 시스템을 내장하여 이동통신단말기 서비스 사업자와 연계하지 않고도 음성사서함 서비스 등과 같은 각종 부가 서비스가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각종 부가서비스에 대한 이용요금을 절약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Claims (2)

  1.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에 있어서,
    자동응답 모드키를 포함한 다수의 기능키와 액정표시장치를 구비한 조작패널과,
    상기 이동통신단말기와 상기 충전장치간에 송/수신되는 데이터를 인터페이스하는 단말기 인터페이스부와,
    미리 설정된 음성안내메시지와 상기 음성안내메시지에 응답하여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전화를건 발신측으로부터 수신되는 음성메시지를 저장하는 오디오 메모리와,
    상기 오디오 메모리로부터 독출되어 인가되는 상기 음성안내메시지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로 출력하고, 상기 단말기 인터페이스부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발신측으로부터의 음성메시지를 디지털 신호처리하여 상기 오디오 메모리에 저장시키는 디지털신호처리부와,
    상기 충전장치에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장착된 상태에서 사용자로부터의 자동응답 모드 키입력을 인식하면 상기 충전장치에 자동응답 모드를 설정한 후, 상기 발신측으로부터 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오디오 메모리로부터 상기 음성안내메시지가 독출되어 상기 발신측으로 송출되도록 하고, 상기 발신측으로부터 상기 음성안내메시지에 응답된 음성메시지가 수신되면 상기 디지털신호처리부를 제어하여 상기 음성메시지가 상기 오디오 메모리에 저장되도록 한 후, 상기 조작패널을 제어하여 상기 음성메시지가 수신됐음을 알리는 메시지가 상기 조작패널의 액정표시장치에 표시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에 내장되는 자동응답 시스템.
  2.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에 내장된 자동응답 시스템에서 음성사서함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통신단말기가 상기 충전장치에 장착되면 임의의 발신측으로부터의 콜요구에 따른 링신호가 상기 이동통신단말기로 수신되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상기 링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충전장치에 자동응답 모드가 설정되어 있는지 여부를 검사하는 과정과,
    상기 검사결과 상기 충전장치가 상기 자동응답 모드로 설정되어 있으면 미리 설정된 일정회수의 링신호 수신시 자동으로 상기 발신측과 통화로를 형성하고, 음성안내메시지를 송출하는 과정과,
    상기 음성안내메시지에 응답한 상기 발신측으로부터의 음성메시지를 수신하여 메모리에 저장시키고, 상기 음성메시지가 수신됐음을 알리는 메시지를 조작패널의 액정표시장치에 표시시키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음성사서함 서비스 방법.
KR1019980036251A 1998-09-03 1998-09-03 자동응답 시스템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이를이용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방법 KR200000186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251A KR20000018602A (ko) 1998-09-03 1998-09-03 자동응답 시스템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이를이용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251A KR20000018602A (ko) 1998-09-03 1998-09-03 자동응답 시스템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이를이용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602A true KR20000018602A (ko) 2000-04-06

Family

ID=195494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251A KR20000018602A (ko) 1998-09-03 1998-09-03 자동응답 시스템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이를이용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602A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5733A1 (en) * 1999-04-24 2000-11-02 Idea Park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ndirect audio response function
KR20010069037A (ko) * 2000-01-11 2001-07-23 이종철 비서 기능 음성 사서함
KR101022332B1 (ko) * 2008-02-26 2011-03-25 주식회사 케이티 능동형 통합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그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65733A1 (en) * 1999-04-24 2000-11-02 Idea Park Co., Ltd. Communication terminal with indirect audio response function
KR20010069037A (ko) * 2000-01-11 2001-07-23 이종철 비서 기능 음성 사서함
KR101022332B1 (ko) * 2008-02-26 2011-03-25 주식회사 케이티 능동형 통합사서함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이동 단말기 및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147110B2 (ja) 着信不能案内システム
JPH0773315B2 (ja) 電話装置
US6038291A (en) Call forwarding via a 2-line phone
US20050170817A1 (en) Communication apparatus and reception history deleting method
EP1028576A2 (en) Message transmission method for digital portable terminal
KR20000018602A (ko) 자동응답 시스템이 내장된 이동통신단말기의 충전장치 및 이를이용한 음성사서함 서비스방법
KR19990001882A (ko) 전화기에서 발신자의 전화번호를 안내하는 방법
JPH03289244A (ja) 複合電話機
KR20000002587A (ko) 전화 단말 장치의 안내 전화 번호 디스플레이 방법
KR100237643B1 (ko) 키폰시스템의 호출자 데이타 확인방법
KR100265427B1 (ko) 자동수신 기능을 구비한 디지탈 셀룰러 휴대용전화기의 자동응답방법
US7499697B2 (en) Portable terminal device for diverting one-time only calls
KR100229883B1 (ko) 키폰시스템에서 자동발신 및 음성정보 송출방법
US20040042594A1 (en) Telephone unit and method of transmitting the received information about callers
JPS61206355A (ja) 選択着信方式
KR20010037171A (ko) 이동통신시스템의 음성사서함 서비스 구현 방법
KR100206172B1 (ko) 내선 자동접속 기능을 가지는 키폰시스템의 음성 부재메시지 안내방법
KR100246764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호출자 전화번호를 이용한 음성메시지수신여부 확인방법
KR100242316B1 (ko) 자동응답 전화기에서 발신자 추적 재다이얼링방법
KR19990074831A (ko) 종합통신망 무선전화기에서 발신자에 따른 무선 핸드셋 착신링 발생 방법
KR100255617B1 (ko) 자동중계시스템의내선상태확인음자동등록방법
KR100251720B1 (ko) 페이징 음성사서함시스템에서 연락전화번호 자동 호출 방법
KR100713522B1 (ko) 사설교환시스템에서 과금코드 자동 다이얼 방법
JP2003219444A (ja) ボタン電話主装置、ボタン電話システム
JPH0818670A (ja) 構内交換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