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488A - 피부용 약제 - Google Patents

피부용 약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488A
KR20000018488A KR1019980036091A KR19980036091A KR20000018488A KR 20000018488 A KR20000018488 A KR 20000018488A KR 1019980036091 A KR1019980036091 A KR 1019980036091A KR 19980036091 A KR19980036091 A KR 19980036091A KR 20000018488 A KR20000018488 A KR 200000184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vitamin
glycolic acid
composition
ag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609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92143B1 (ko
Inventor
김성우
Original Assignee
김성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성우 filed Critical 김성우
Priority to KR101998003609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92143B1/ko
Publication of KR200000184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4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214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214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6Carboxylic acids; Salts or anhydrides thereof
    • A61K8/365Hydroxycarboxylic acids; Ketocarboxyl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4Topical preparations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sunlight or other radiation; Topical sun tann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글리콜산 및 비타민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글리콜산과 비타민C의 혼합 중량비가 1: 0.5 내지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제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피부용 약제 조성물은 피부 잔주름 제거, 색소 침착의 제거, 모공 축소, 여드름 치료 및 피부탄력의 회복 효과를 가지고 있다.

Description

피부용 약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인간의 피부에 적용되는 외용제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화장품 기제 또는 연고기제등의 의약품용 기제에 배합되어 사용되고 피부 노화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그을림 등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한 신규의 피부용 약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피부 노화란, 연령이 높아짐에 따라 나타나는 현상으로서 피부가 건조해지고 탄력성이 떨어지며 주름이 생기는 현상을 말한다. 의학의 발달로 인간의 수명이 증가하면서 피부를 건강하고 젊게 유지하고자 하는 욕구가 증가되어 피부 미용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다. 그러나 피부는, 관리하지 않으면 탄력성이 떨어지고 피부에 함유되어 있는 지방과 수분이 부족해진다.
피부 주름은 자연적인 노화 및/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의 손상에서 비롯된다. 얼굴에 있는 대부분의 미세한 주름이 자연적인 노화에서 기인한다면, 거친 주름은 자외선 또는 화학물질에 의한 손상에서 기인한다. 피부에 주름이 형성되는 정확한 기전은 밝혀져 있지 않지만, 눈에 보이는 잔주름은 진피에 있는 엘라스틴의 양과 직경의 감소 및 피하지방조직의 감소 때문이다. 조직검사나 전자현미경적 검사에 의하면 얼굴의 거친 주름은 비정상적으로 진피층의 섬유조직이 퇴화하고 불규칙하게 배열되며 얇아지기 때문이다.
최근에는 피부노화의 예방 및 치료에 레틴산(Retinoic acid)이 사용되고 있다. 레틴산은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 손상에서 기인하는 피부노화와 관련된 여러 증상에 효과를 보이기는 하지만 국소 피부 주름을 제거하는 효과는 그리 좋지 못하며, 사용할 때 피부가 건조해지고 심하게 붉어지는 등 부작용이 크다.
레틴-A의 경우 독성이 강하고 이를 주성분으로 하는 연고는 원칙적으로 의사의 처방을 필요로하므로 환자가 자유로이 사용하기가 불편하다는 문제가 있다. 이외에도 비타민A 아세테이트, 비타민A 알콜 등도 사용되고 있으나, 그리 좋은 효과를 나타내지는 않는다.
글리콜산은, 피부상태를 부드럽게해주고 피부의 잡티 및 색소침착 등을 없애주는 등 노화방지제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고농도로 피부에 사용하거나 반복해서 사용하는 경우, 정상피부의 표피층의 pH가 4.2 내지 5.6인데 반해 7.6%의 글리콜산(1M)의 경우 pH가 1.9정도로 낮으므로, 피부자극과 통증을 유발한다.
피부자극등의 부작용을 피하기위하여, 글리콜산을 염화합물로 만들기도 하는데 글리콜산의 염화합물들은, 피부각질층을 통과하지 못해 효과를 발휘할 수 없거나(예: 글리콜산나트륨과 같이 무기염의 경우), 건조한 피부 등에는 효과가 있다해도 피부잔주름, 각질화, 또는 피부잡티 등과 같은 피부질환에는 효과가 없는(예: 글리콜산수산화암모늄 또는 글리콜산의 다른 유기염 화합물) 단점이 있다.
한편, 피부그을림 또는 색소침착 등은 자외선 노출에 의해 피부에서의 멜라닌 생성에 의한 것이다. 이를 예방하는 하나의 방법은 피부에 닿는 자외선을 차단하거나 미리 흡수하는 자외선 차단제 등을 바르는 것이다. 그러나, 자외선에 노출되기전에 매번 발라야하고 물로 쉽게 씻겨나가므로 자주 발라야 하는등 사용할 때 번거로우며 특히 이러한 제제들의 장기사용에 대한 안정성이 확립되어 있지 않다는 단점이 있다.
비타민C는 효소의 조인자(enzymatic co-factor)로 작용하고 비타민E의 사용량을 줄여주며 항산화제로서 작용하는 등 다양한 생리기능을 가진 것으로 알려져있다. 특히, 비타민 C는 다량으로 사용하면 미백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있는데 고용량으로 사용되는 경우 수퍼옥시드 및 하이드록실 라디칼과 반응한다.
수퍼옥시드와 하이드록실 라디칼은, 산소를 함유하는 활성기 산소로서 정상 상태 또는 질병 상태에서 생성될 수 있는데, 피부가 햇빛에 타는 경우나 피부 노화의 경우에 있어서 원인물질로서 작용한다. 비타민C는 이러한 물질과 반응하므로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그을림 또는 피부노화를 방지할 수 있다.
그러나, 비타민C는 2번 탄소와 3번 탄소사이에 이중결합이 있고, 물 존재하에서 산-이온화 반응이 일어날 수 있는 수소(pK=4.2)를 갖는다. 또한 자신이 쉽게 산화되는 강한 환원제이므로 pH가 높은 조건하에서는 불안정한 음이온형태의 화합물로 된다. 비타민C의 이러한 불안정성은 비타민C를 용액으로 제제화하려는 경우 문제점으로 작용하는데, 극성반발력에 의한 입체화학적 응력, 아스코르빈산 음이온에 의한 산화적 분해 및 물의 공격으로 인한 분해등이 그 원인으로 생각된다.
비타민C를 안정화시키려는 종래의 방법으로는 극히 낮은 농도의 비타민C를 사용하는 방법, 비수용성 용매를 사용하는 방법, 또는 비타민C의 여러 유도체를 사용하는 방법등이 있다.
본 발명자는, 글리콜산을 고용량으로 사용할 때 나타나는 단점이 없으면서도 피부에 잘 흡수되어 생체이용율이 높은 제제를 얻기 위하여 글리콜산을 기본으로하여 유도체를 합성한다든지 다른 약제와의 조합을 시도한 결과, 놀랍게도 비타민C를 배합하여 조성물로 만드는 경우 상기한 글리콜산의 단점이 극복될 뿐 아니라 높은 pH에서 극히 불안정한 비타민C가 안정화되어, 피부노화 및 자외선으로 인한 피부그을음 등에 상승적인 효과를 나타내는 것을 발견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글리콜산으로 인한 피부자극성이 적고 비타민C가 쉽게 산화되지 않으면서도 피부노화 방지 및 피부 미백화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상호 보완적인 피부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상기 글리콜산과 비타민C의 혼합 중량비가 1: 0.5 내지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와 같이, 노화방지제(antiaging agent)인 글리콜산과 항산화제(antioxidant)인 비타민 C를 배합함으로써, 글리콜산의 피부자극 및 통증이 경감되고 글리콜산의 피부 흡수가 원활하게 되어 피부재생 및 노화 방지 효과가 극대화될 뿐 아니라, 비타민C가 안정화된다.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함께 사용함으로써 생기는 효과에 있어서의 상승 작용은, 그 작용기전은 명백하지 않으나, 예컨대 글리콜산이 비타민C에 영향받아, 낮은 pH를 갖는 유기산의 단점이 극복되고 흡수가 증가하여 효과가 증대될 뿐 아니라, 비타민C는 글리콜산에 의해 안정화되는 등, 일방의 약리작용에 있어 극복되지 않은 부분을 타방이 보완하는 상보적 작용 등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글리콜산은, 사탕수수(sugarcane)로부터 유래하는 천연 생성물로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글리콜산은 생체에 대해 레틴-A보다 더 안전하며, 콜라겐을 생합성함으로써 피부를 재생시키고 노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유효성분인 비타민 C는 항산화제로서 글리콜산과 마찬가지로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글리콜산과 비타민 C를 배합함에 있어서, 그 혼합 중량비는 1:0.5 내지 1:1.5인 것이 바람직하고 더욱 바람직하기로는 1:0.5 내지 1:1이며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1:0.6 내지 1:0.7 이다.
상기 글리콜산에 대한 비타민 C의 혼합 중량비가 1:0.5보다 작으면, 글리콜산과 비타민 C의 상보 작용이 충분히 일어날 수가 없어서 사용할 때 피부 자극 또는 통증이 생길 수 있고, 상기 중량비가 1:1.5보다 큰 경우에는 상보작용이 충분치 않아서 불안정한 상태의 비타민 C가 존재하므로 제제의 변색 속도가 빨라진다.
또한 상기 양 유효성분의 함유량은 사용형태, 사용목적, 사용방법, 제제형 등에 따라 다르나, 예컨대 화장제로서는 0.01 내지 8중량%, 바람직하기로는 0.5 내지 5중량% 함유되며, 연고제 또는 크림제로서는 0.01 내지 12중량%, 바람직하기로는 5내지 12중량%이고, 나머지는 각 제제에 필요한 첨가제 및 용매 등으로 채워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글리콜산과 비타민C 외에도, 연고기제 및 보습제, 연화제, 습윤제, 활택제, 보존제 등의 각종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경랍, 스테아릴알콜,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글리세린, 세탄올, 라우릴황산나트륨,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이 포함되며, 이러한 첨가제는 각각 첨가하거나 또는 상업적으로 구입가능한 기제에 포함되어 있는 성분의 형태로 첨가될 수 있다.
경랍(sperm wax)은 고래의 두부에 있는 납질의 고형성분을 정제하여 얻은 것으로 다른 기제에 첨가되어 연고에 적당한 조도를 부여하며 적정량 첨가될 수 있다.
스테아릴알콜(stearyl alcohol)은 활택제로서 작용하며 적정량 첨가될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은 대표적인 수용성 기제로서 산화에틸렌과 물과의 중합체이며 물에 잘 녹고 대부분의 의약품과의 혼합성이 좋고 주약의 흡수가 우수한 것으로 적정량 사용될 수 있다.
글리세린은 연화제 및 흡습제로서 적정량 사용될 수 있다.
세탄올은 유화제 및 증점제로서 적정량 사용될 수 있다.
라우릴황산나트륨(sodium lauryl sulfate)은 조성물의 혼합을 돕기위한 습윤연화제로서 적정량 사용될 수 있다.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및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은 제제의 유효성을 지속시키는 보존제로서 유효량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보존제들은 넓은 pH영역에서 활성을 보이며 2종류의 병용에 의해 유효성이 증대된다.
프로필렌글리콜은 계면활성제로서 5 내지 10중량% 사용될 수 있으며,글리콜산과 비타민 C의 피부 흡수를 도와준다.
상기 성분들은 본 발명의 유효성분인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피부에 적용하기 편리하게 할 뿐 아니라 그 자체로서도 피부표면의 수분과 지질의 조절, 피부의 보호, 정화작용등의 피부에 유리한 효과를 갖는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성물을 제조함에 있어서는, 먼저 설탕과 같이 흰색의 분말로 되어 있는 글리콜산(글리콜산 99%)과 비타민C(L-아스코르빈산) 미세 분말을 소정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여기에 상기 각 첨가제가 포함되어 있는 약제용 기제(삼아베이스)를 혼합한다. 여기에 프로필렌 글리콜을 조성물의 총 중량에 대하여 약 5 내지 10중량% 혼합한다음, 필요시 적정량의 정제수를 부가한다. 다음, 상기 혼합물이 완전히 균일하게 될 때까지 상온에서 교반시키면 사용한 함량에 따라 다양한 제형의 전질균등한 피부용 약제가 얻어진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노화방지(잔주름 방지), 피부의 재생, 자외선 차단, 여드름 및 그 흉터의 개선, 햇볕에 그을린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등을 목적으로 하는 용도라면, 연고, 용액제, 로션제, 겔제 등 여러 가지 외용제로 제조될 수 있으며, 상기 첨가제 외에도 각 제제에서 요구되는 부형제, 안정제, 안료, 향료, 자외선흡수제, 산화방지제, 방부제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외용약제는, 얼굴등에 1일 1회 내지 3회 고루 펴바른다.
본 발명의 글리콜산 및 비타민C는 어느 것도 피부에 도포하는 경우 전신작용에 의한 부작용을 나타내지 않으며 상기 두 성분을 병용하여 사용하는 경우라도 인체에 급성 또는 만성 독성을 나타내지 않는다.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하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로서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 크림제
하기 성분으로 이루어진 약제용기제(삼아베이스, 삼아약품공업주식회사) 450g에 글리콜산(글리콜산 99%, Aldrich사 제품) 45g 및 비타민C(L-Ascorbic acid, Sigma)30g 을 잘 혼합한 후 여기에 프로필렌글리콜(Sigma사 제품) 50㎖를 부가한 다음, 전질균등한 연고제가 될 때까지 상온에서 교반하였다.
연고기제 구성 성분 1g중 함량 (mg)
경납 35
스테아릴알콜 116
폴리에틸렌글리콜 4000 38
농·글리세린 192
세탄올 23
정제수 적량
라우릴황산나트륨 9
파라옥시안식향산에틸 0.87
파라옥시안식향산부틸 0.12
실시예 2 : 크림제
글리콜산을 약 45g, 비타민 C를 약 67g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크림타입의 피부용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3 : 크림제
글리콜산을 약 45g, 비타민 C를 약 22.5g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크림타입의 피부용 제제를 얻었다.
실시예 4: 로션제
실시예 1에서의 연고기제 450g대신, 연고기제 (삼아베이스, 삼아약품공업주식회사)를 150g 사용하고 여기에 정제수를 300g 부가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각 성분을 상온에서 균일하게 혼합, 교반하여 피부 외용 로션제를 얻었다.
실시예 5 : 용액
실시예 1에서의 연고기제를 사용하지 않고 대신 정제수를 부가하여 용액의 총량이 500g이 되도록 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1에서와 같은 조성으로 이루어진 각 성분을 상온에서 균일하게 혼합하여 피부 외용 용액을 얻었다.
실시예 6 : 겔제(gelly form)
실시예 5에서 만든 용액에 하이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분자량 300,333, Sigma)을 1중량% 부가하여 혼합함으로써 겔형의 피부 외용제를 얻었다.
비교예 1
글리콜산 45g만을 실시예 1의 연고기제와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피부 외용 연고를 얻었다.
비교예 2
비타민C 30g만을 실시예 1의 연고기제와 혼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피부 외용 연고를 얻었다.
비교예 3
글리콜산을 약 45g, 비타민C를 90g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피부 외용 연고를 얻었다.
비교예 4
글리콜산을 약 45g, 비타민C를 약 13g 사용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에 의해 피부 외용 연고를 얻었다.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은 본 발명의 피부용 약제 조성물과 비교예 1 내지 4에서 얻은 조성물을 가지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효과 측정 및 글리콜산의 자극성과 비타민C의 불안정성을 평가하는 시험을 하였다.
효과에 대한 평가 시험
색소 침착을 제거하는 효과 시험
눈가 및 뺨 등에 색소 침착이 심한 건강한 남녀 자원자 50명씩 세그룹을 피험자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의 조성물 및 비교예에서 얻은 조성물을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4개월 동안 색소 침착 부위에 적용하게 하였다. 일주일마다 색소 침착이 제거되는 정도와 피부에 대한 자극이 일어나는 정도를 관찰하여 기록하였다.
잔주름 제거 효과
얼굴에 잔주름이 있는 40대 이상의 건강한 남녀 자원자 50명씩을 세 그룹으로 나누어,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얻은 조성물을 1일 2회 아침 저녁으로 12개월동안 주름부위에 적용하게 하였다. 피험자들은 환부가 가급적 햇빛에 노출되지 않도록하였고 2내지 3개월 간격으로 그 개선 정도를 사진을 찍어 비교하였다. 사진을 찍을때는 전혀 화장하지 않은 상태로 동일 조건하에서 찍었으며, 주름이 개선된 정도를 현저한 효력이 있는 경우, 유효, 무효의 경우로 나누어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여드름 자국에 대한 효과
이마, 빰 및 등에 농포성 여드름이 있는 남녀 환자 50명씩 세그룹을 피험자로 하여 상기 실시예 1 내지 3 및 비교예에서 얻은 조성물을 1일 2회 환부에 바르도록 하고, 피부에 적용시 자극이 있는 지와 그 개선된 정도를 육안으로 관찰하여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글리콜산의 피부자극성 시험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얻은 본 발명의 조성물과 비교예 1의 조성물에 대하여, 상기 효과 시험중 나타나는 글리콜산의 피부 자극 정도를 관찰하여, 통증 또는 피부발적 등이 나타나는 유무를 하기 표에 나타내었다.
비타민C의 산화성 시험
비타민C의 공기중 산소에 의한 산화 정도를, 비타민C 분말자체(L-Ascorbic acid, Sigma)(비교예 2)와 상기 실시예에서 얻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대하여 상온에서 육안으로 관찰하였다. 비타민C가 산화되는지의 기준은 흰색이 황색으로 변색되는 정도로써 평가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중량비(글리콜산:비타민C) 침착된 색소 제거(명) 잔주름 제거 (명) 여드름 치료및 모공축소 (명) 글리콜산의 피부자극(명) 비타민C산화정도
현저 유효 무효 현저 유효 무효 현저 유효 무효 황색화되는 시간
실시예 1 1:0.7 28 15 7 18 23 9 40 9 1 2 48 60일 이상
실시예 2 1:1.5 30 15 5 16 23 11 38 9 3 2 48 약20일
실시예 3 1:0.5 21 16 13 13 25 12 32 17 1 11 39 60일 이상
비교예 1 글리콜산 *- - - - - - - - - 41 9 -
비교예 2 비타민C 17 22 11 9 13 27 5 13 32 0 50 약 6일
비교예 3 1:2.0 29 13 8 14 20 13 36 11 3 1 49 약 10일
비교예 4 1:0.3 9 11 30 14 24 12 31 15 4 19 31 60일 이상
· 각 시험 물질에 대한 피시험자 수는 각각 50명으로 하였다.
* 글리콜산의 자극으로 인해 일주일 이상 계속 시험하지 못하였다.
상기 표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조성물을, 환자에게 적용한 결과 얼굴의 잔주름 제거, 모공 축소, 여드름 치료, 햇볕에 그을린 피부에 대한 미백 효과 등을 보였다.
효과를 나타내는 중량비에 있어서는, 글리콜산과 비타민C가 1: 0.5 내지 1: 1.5인 경우(실시예)에 효과가 좋았고 그 중에서도 중량비가 1:0.7인 실시예 1의 경우가 글리콜산에 의한 자극, 비타민 C의 산화 및 효과면에서 볼 때 가장 바람직하였다. 이외의 범위인 1:0.3(비교예 4)의 경우에는 효과도 떨어지고 또 글리콜산으로 인한 피부 자극이 많았고, 1:2.0(비교예 2)의 경우에는 효과는 비슷하였으나 비타민 C의 산화로 인해 제제가 쉽게 황색화되었다.
더욱이,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글리콜산을 단독으로 사용하는 경우(비교예 1)에 환자들이 흔히 호소하는 통증 또는 피부 발적 등이 없었으며, 비타민 C를 단독 사용하는 경우에는(비교예 2) 일주일 정도 지나면 비타민C의 산화로 인한 변색(황색화) 현상을 보였으나, 본 발명 조성물의 경우에서는(실시예 1내지 3) 한 달이상 지난 후에 황색화 현상을 보였다. 이때 냉장 보관을 하면, 약 3내지 4개월 이상 경과한 후에야 산화(황색화 현상)를 보였다.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유효성분으로 하여 1:0.5 내지 1:1.5의 혼합 중량비로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피부용 외용약제는, 피부자극과 불안정성이라는 글리콜산과 비타민C의 단점이 최소화되며, 상호 작용의 결과 잔주름 제거, 모공 축소, 침착된 색소의 제거및 여드름 상처자국의 치유 등에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Claims (5)

  1. 글리콜산 및 비타민C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고, 글리콜산과 비타민C의 혼합 중량비가 1: 0.5 내지 1:1.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제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글리콜산과 비타민C의 혼합 중량비가 1:0.7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제 조성물.
  3. 제 1항에 있어서, 약제용 기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제 조성물.
  4. 피부의 잔주름 제거, 모공 축소, 색소 침착의 제거 및 여드름 치료를 위한 피부용 약제에 있어서 제 1항의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제.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약제가 크림제, 로션제, 용액제, 겔제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용 약제.
KR1019980036091A 1998-09-02 1998-09-02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KR10029214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091A KR100292143B1 (ko) 1998-09-02 1998-09-02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6091A KR100292143B1 (ko) 1998-09-02 1998-09-02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488A true KR20000018488A (ko) 2000-04-06
KR100292143B1 KR100292143B1 (ko) 2001-07-12

Family

ID=19549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6091A KR100292143B1 (ko) 1998-09-02 1998-09-02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92143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2050B1 (ko) 2020-04-22 2022-01-17 지에스칼텍스 주식회사 2,3-부탄다이올을 포함하는 분산제 또는 분산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79809A (ja) * 1986-09-22 1988-04-09 Shiseido Co Ltd 皮膚外用剤
JPH05112422A (ja) * 1991-10-21 1993-05-07 Noevir Co Ltd 皮膚化粧料及び皮膚外用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92143B1 (ko) 2001-07-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339413B1 (en) Compositions comprising complexes of phosphate derivatives of tocopherol
JP2731705B2 (ja) 化粧料組成物及び皮膚科用医薬組成物
EP1391194B1 (en) Preparation for hair and/or scalp
KR101186081B1 (ko) 기능성 분체
EP2498783B1 (en) Compositions and methods for stimulating hair growth
RU2381022C2 (ru) Средство наружного применения для кожи
KR20190013101A (ko) 흉터의 예방 또는 치료를 위한 조성물
JPH027287B2 (ko)
JPH04124122A (ja) 白髪防止黒化剤
WO2001019365A1 (en) Pharmaceutical and/or cosmetical compositions
JPH08133952A (ja) 皮膚外用剤
KR20130055182A (ko) 여드름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여드름 개선용 키트
KR19990036233A (ko) 피부 노화의 증상을 치료 및 방지하기 위한 커즈메틱 방법
KR100292143B1 (ko) 글리콜산과 비타민c를 함유하는 화장용 조성물
JP2002370962A (ja) 美白用化粧料および皮膚老化防止・改善用化粧料
JPH08104635A (ja) フィチン酸亜鉛を有効成分とする外用製剤
JPH11222412A (ja) 皮膚外用剤
JPH11302133A (ja) 頭皮頭髪用化粧料
JPH06172150A (ja) 皮膚化粧料
KR100282822B1 (ko) 경구용 피부미용 식품조성물(An oral food-composition for protecting and combating blemishes and aging of the skin)
JPH0692833A (ja) 皮膚外用剤
KR101661694B1 (ko) 히드로퀴논을 포함하는 저자극성 피부 미백용 조성물
EP1996514B1 (en) Removal of skin changes
JP4889069B2 (ja) 保湿剤、美白剤および皮膚化粧料
JPS60116616A (ja) 化粧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3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29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3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309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6

Year of fee payment: 17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