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8252A -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겸용 전화기 - Google Patents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겸용 전화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8252A
KR20000018252A KR1020000003665A KR20000003665A KR20000018252A KR 20000018252 A KR20000018252 A KR 20000018252A KR 1020000003665 A KR1020000003665 A KR 1020000003665A KR 20000003665 A KR20000003665 A KR 20000003665A KR 20000018252 A KR20000018252 A KR 200000182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elephone
internet
signal
trunk line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036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석윤
Original Assignee
박하구
우진전자통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하구, 우진전자통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박하구
Priority to KR102000000366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8252A/ko
Publication of KR200000182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8252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7/00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 H04M7/12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 H04M7/1205Arrangements for interconnection between switching centres for working between exchanges having different types of switching equipment, e.g. power-driven and step by step or decimal and non-decimal where the types of switching equipement comprises PSTN/ISDN equipment and switching equipment of networks other than PSTN/ISDN, e.g. Internet Protocol networks
    • H04M7/1295Details of dual tone multiple frequency signal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247Telephone sets including user guidance or feature selection means facilitating their use
    • H04M1/2473Telephone terminals interfacing a personal computer, e.g. using an API (Application Programming Interfa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Computer Vision & Pattern Recogni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요금이 저렴한 인터넷 전화를 국선 전화와 같이 직접 다이얼링 방식으로 편리하고 간편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겸용 전화기를 제공하는 것으로서, 컴퓨터와 겸용 전화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수단; 공중전화 교환망과 겸용 전화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국선 접속수단; 인터넷 전화모드 및 국선 전화모드를 설정하고 원하는 다이얼링(Dialing)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입력수단에 의해 인터넷 전화모드가 설정되면, 전화를 인터넷망 경로로 접속시켜 인터넷 전화를 직접 다이얼링 방식으로 제어하고, 입력수단에 의해 인터넷 전화모드가 해제되면, 전화를 공중전화 교환망으로 접속시켜 국선 전화를 직접 다이얼링 방식으로 제어하고, 컴퓨터로부터 접속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신호에 따라 인터넷 전화와 부가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국선 접속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링신호를 입력받아 수신 표시음을 발생하거나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수신 표시음을 발생하는 표시음 발생수단; 입력수단으로부터 다이얼링신호를 입력받아 이중음다주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이중음다주파신호 발생수단; 송수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이중음다주파신호를 증폭하고, 스위칭되는 신호 및 인터넷 접속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송수화기로 전달하는 증폭 처리수단; 및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증폭 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국선 접속수단이나 인터넷 접속수단으로 스위칭하고, 국선 접속수단이나 인터넷 접속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신호를 증폭 처리수단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 겸용 전화기{TELEPHONE SET USABLE BOTH AS AN EXTENSION TELEPHONE AND AS AN INTERNET PHONE CAPABLE OF DIRECT DIALING}
본 발명은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 겸용 전화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공중전화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인터넷망에 접속된 개인용 컴퓨터(PC : Personal Computer)에 공통 연결하여 상용 국선 전화와 개인용 컴퓨터 대 전화(PC To Phone) 방식의 인터넷 전화를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겸용 전화기에 관한 것이다.
최근, 인터넷 전화와 같은 소프웨어의 급증에 따라 인터넷을 통하여 매우 저렴한 가격으로 국외에 있는 사람과도 음성 통화가 가능하고, 이러한 인터넷 전화를 일반 전화기에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전화기와 개인용 컴퓨터를 물리적으로 연결시키거나 또는 전화기에 인터넷 전화 기능을 탑재시키고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터넷 전화 기능을 갖는 다용도 전화기의 구성도로서, 개인용 컴퓨터와 연결된 전화기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다용도 전화기는, 공중 전화망 라인을 통해 외부 전화선이나 모뎀에서 입력되는 전화선을 연결하는 공중 전화망 연결부(111)와, 외부 전화선이나 모뎀을 통해 공중 전화망 라인으로 출력되는 전화선을 연결하는 출력부(112)와, 공중 전화망 연결부(111)와 출력부(112)를 통해 입출력되는 신호를 접속시키는 인터페이스(113)와, 전화기의 동작을 총괄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부(114)와, 제어부(114)의 링 발생신호에 따라 링신호를 발생하는 링거부(115)와, 송수화기(116)의 온/오프(ON/OFF)에 따른 스위칭 신호를 출력하는 훅 스위칭부(117)와, 송수화기(116)와 전화기를 연결하는 전화 접속부(118)와, 제어부(114)의 제어신호에 따라 스피커 폰이나 무선 핸드셋 기능을 수행하는 스피커폰/무선 핸드셋부(119)와, 개인용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와 접속하기 위한 제 1 접속부(120)와, 제 1 접속부(120)의 출력신호를 증폭하는 증폭부(121)와, 전화기의 전면 소정 위치에 형성되어 제 1 내지 제 3 모드를 선택하기 위한 모드 선택부(122)와, 모드 선택부(122)의 선택에 의한 제어부(114)의 제어신호에 따라 각 모드의 통신 라인을 절환하기 위한 모드 절환부(123)와, 제어부(114)의 제 1 내지 제 3 바이패스 신호에 따라 각각 스위칭되는 제 1 내지 제 3 스위칭부(124 내지 126)들과, 모드 절환부(123)의 출력을 스피커(127)로 송출하고 마이크(128)의 오디오 신호를 입력하기 위한 제 2 접속부(129)로 구성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의 인터넷 전화 기능을 갖는 전화기의 경우, 인터넷 전화를 국선 전화와 같이 직접 다이얼링(Dialing) 방식으로 사용할 수 없어, 인터넷 전화 사용시 많은 시간이 소요될 뿐만 아니라, 사용자들이 사용하기에는 실질적으로 많은 어려움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요금이 저렴한 인터넷 전화를 국선 전화와 같이 직접 다이얼링(Dialing) 방식으로 이용할 수 있는 겸용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별도의 헤드폰이나 마이크를 사용하지 않고도 개인용 컴퓨터를 이용하여 직접 다이얼링 인터넷 전화를 할 수 있고, 개인용 컴퓨터의 사운드 청취를 할 수 있는 겸용 전화기를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도 1은 종래의 인터넷 전화 기능을 갖는 다용도 전화기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 전화 시스템의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 겸용 전화기의 구성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 겸용 전화기의 회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210: 전화기 220: 인터넷망
230: 컴퓨터 241 내지 24n, 260: 공중전화 교환망
251 내지 25n: 게이트웨이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공중전화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인터넷망에 접속된 컴퓨터에 공통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국선 전화 및 인터넷 전화 통화를 하는 겸용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와 상기 겸용 전화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수단; 상기 공중전화 교환망과 상기 겸용 전화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국선 접속수단; 인터넷 전화모드 및 국선 전화모드를 설정하고 원하는 다이얼링(Dialing)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인터넷 전화모드가 설정되면, 전화를 상기 인터넷망 경로로 접속시켜 인터넷 전화를 직접 다이얼링 방식으로 제어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인터넷 전화모드가 해제되면, 전화를 상기 공중전화 교환망으로 접속시켜 국선 전화를 직접 다이얼링 방식으로 제어하고,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신호에 따라 인터넷 전화와 부가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국선 접속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링신호를 입력받아 수신 표시음을 발생하거나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수신 표시음을 발생하는 표시음 발생수단;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다이얼링신호를 입력받아 이중음다주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이중음다주파신호 발생수단; 송수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이중음다주파신호를 증폭하고, 스위칭되는 신호 및 상기 인터넷 접속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송수화기로 전달하는 증폭 처리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증폭 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국선 접속수단이나 상기 인터넷 접속수단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국선 접속수단이나 상기 인터넷 접속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신호를 상기 증폭 처리수단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은, 전화 국선과 개인용 컴퓨터에 공통 연결하여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상용 유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선택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복합 단말기와 같은 것으로서, 기본기능은 상용 전화기이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인터넷 전화모드로 변경하여 인터넷 전화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개인용 컴퓨터의 직렬포트 및 사운드 카드(sound card)와 함께 연결하여 전화기로 직접 인터넷 전화 다이얼링이 가능하며, 메시지의 수신을 알리는 기능도 있고 부가적으로 헤드폰이나 마이크 없이 컴퓨터 사운드를 청취하거나 녹음을 할 수 있는 다용도 전화기이다. 그리고, 본 발명의 기본 기능은 전화선을 연결하여 전화의 착/발신이 되도록 되어 있고, 인터넷 전화모드로 변경하면 전화선을 차단하고 컴퓨터의 사운드 카드와 연결되어 음성 신호를 보내고 받을 수 있으며,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겸용 전화기는 마이컴(MICOM)(즉, 제어소자 임)을 내장하고 있어 컴퓨터의 직렬포트(RS-232)와 연결되어 직접 인터넷 전화를 다이얼링하도록 데이터 통신용 프로토콜이 게이트웨이(Gateway)와 인터페이스되도록 독자적인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되어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은 전화 국선과 개인용 컴퓨터 간의 전압 유도를 막기 위하여 전화 국선측과 컴퓨터간의 회로 연결은 광 커플러(photo coupler), 트랜스포머(transformer) 및 릴레이(relay) 등을 사용하여 전화 국선과 컴퓨터의 전원 간에 분리가 되도록 절연(isolation) 기법으로 구현하였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이 적용되는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 전화 시스템의 구성도로서, 국선 전화 및 인터넷 전화을 선택적으로 할 수 있는 전화기(210)와, 전화기(210)에 접속하기 위한 직렬포트(RS-232)와 사운드 카드를 구비하고 겸용 전화기(210)와 인터넷망(220)을 접속하여 주는 컴퓨터(230)와, 인터넷망(220)과 공중전화 교환망(241 내지 24n)을 접속하여 주는 게이트웨이(Gateway)(251 내지 25n)들로 구성된다.
전화기(210)는 본 발명에 따른 겸용 전화기로서, 보통때에는 공중전화 교환망(260)을 통해 일반전화 가입자와의 국선 전화에 이용되고,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모드를 설정하면, 인터넷망(220)을 통해 공중전화 교환망(241 내지 24n)들에 접속된 일반전화 가입자들과의 인터넷 전화에 이용된다. 또한, 전화기(210)는 컴퓨터(230)의 사운드 카드로부터 제공되는 사운드를 사용자가 청취할 수 있도록 수화기를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전화기(210)는 마이컴(MICOM)(즉, 제어소자 임)을 내장하고 있어, 컴퓨터(230)의 직렬포트(RS-232)에 연결되서 직접 인터넷 전화를 다이얼링하도록 데이터 통신용 프로토콜이 게이트웨이(251 내지 25n)들과 인터페이스되도록 독자적인 데이터 포맷으로 구성되어 있다.
컴퓨터(230)는 사운드를 제공하기 위한 사운드 카드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 직렬포트(RS-232)를 구비하고 있는데, 즉 전화기(210)는 사운드 카드에 연결되어 컴퓨터(230)로부터 사운드를 제공받고, 또한 직렬포트에 연결되어 인터넷 전화를 한다. 여기서, 컴퓨터(230)는 전화기(210)가 인터넷 전화를 할 수 있도록 하는 소프트웨어를 내장하고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 겸용 전화기의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 겸용 전화기의 회로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겸용 전화기는, 인가되는 교류전원 220V를 직류전원 9V로 전환하기 위한 어답터(Adapter)(311)와, 어답터(311)로부터 인가되는 직류전원을 안정화시키기 위한 전원 조절부(312)와, 전화 국선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링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링신호 발생부(313)와, 전화 국선을 통해 송수신되는 신호의 방향을 정방향으로 교정하여 주기 위한 신호방향 교정부(314)와, 컴퓨터와 겸용 전화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페이스(315)와, 인터넷 전화모드 및 국선 전화모드를 설정하고 원하는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키패드(316)와, 키패드(316)를 통해 입력되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국선 전화 및 인터넷 전화를 직접 다이얼링 방식으로 제어하고, 인터페이스(315)를 통해 접속되는 신호에 따라 인터넷 전화를 제어하는 제어부(317)와, 링신호 발생부(313)로부터 링신호를 입력받아 수신 표시음을 발생하거나 제어부(317)의 제어를 받아 수신 표시음을 발생하는 부저(Bzzer)(318)와, 키패드(316)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입력받아 이중음다주파(DTMF : Dual Tone Multi Frequency)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이중음다주파신호 발생부(319)와, 전달되는 음성신호 및 이중음다주파신호를 증폭시켜 전달하는 증폭 처리부(320)와, 제어부(317)의 제어에 따라, 증폭 처리부(320)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신호방향 교정부(314)나 인터페이스(315)로 스위칭하고 신호방향 교정부(314)나 인터페이스(315)로부터 전달되는 신호를 증폭 처리부(320)로 스위칭하는 스위칭부(321)와, 증폭 처리부(320)로부터 전달되는 음성신호를 외부로 출력하고 외부로부터 입력되는 신호를 증폭 처리부(320)로 전달하는 송수화기(322)를 구비한다.
여기서, 링신호 발생부(313)와 신호방향 교정부(314)는 공중전화 교환망과 본 발명의 겸용 전화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접속시켜 주기 인터페이스 소자이다.
전원 조절부(312)는 어답터(311)로부터 전화기의 내부회로로 공급되는 직류전압 9V를 안정화시킨다.
신호방향 교정부(314)는 전화 국선과 스위칭부(321) 사이에 연결된 브릿지회로로서, 사용자가 전화 국선의 음(-)방향과 양(+)방향을 엇갈려 연결할 경우, 엇갈려 연결된 전화 국선의 방향을 자동으로 교정해서 양(+)방향의 전화 국선을 통해 수신되는 신호가 증폭 처리부(320)로 전달되도록 한다. 만일, 신호방향 교정부(314)가 없는 상태에서, 전화 국선의 음(-)방향과 양(+)방향을 엇갈려 연결하게 되면, 양(+)방향의 전화 국선을 통해 전달되는 음성신호는 접지로 인가되고 증폭 처리부(320)에는 음(-)방향의 전화 국선을 접지 신호가 인가된다.
키패드(316)는 기존의 전화기에 부착된 다이얼 버튼들과 통화(send) 버튼 및 재다이얼 버튼 등으로 이루어지고, 또한 인터넷 전화모드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넷 전화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자가 인터넷 전화 버튼을 한번 누르면, 전화기는 인터넷 전화모드로 설정되고, 이 상태에서 인터넷 전화 버튼을 다시 한번 누르면, 인터넷 전화 모드가 해제된다. 이때, 키패드(316)는 버튼들을 통해 입력되는 신호들을 병렬로 출력한다.
스위칭부(321)는 일반 전화모드 상태에서는, 신호방향 교정부(314) 방향으로 스위칭되어 있는 릴레이로서, 인터넷 전화모드가 설정되면, 제어부(317)의 제어를 받아 인터페이스(315) 방향으로 스위칭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발명의 겸용 전화기의 동작을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인터넷망을 거치지 않고 공중전화 교환망만을 통해서 통화가 이루어지는 일반 전화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일반 전화모드 상태에서, 공중전화 교환망으로부터 전화 국선을 통해 신호가 수신되면, 링신호 발생부(313)는 링신호를 발생하고, 이어 부저(318)는 이 링신호를 입력받아 벨소리 등과 같은 수신 표시음을 발생한다.
이때, 스위칭부(321)는 신호방향 교정부(314) 방향으로 스위칭되어 있으므로, 사용자가 부저(318)로부터 발생되는 수신 표시음을 듣고 나서 전화를 받으면, 공중전화 교환망으로부터 전화 국선을 통해 수신되는 음성신호는 스위칭부(321)에 의해 증폭 처리부(320)로 스위칭된 후 증폭 처리부(320)에 의해 충분한 신호레벨로 증폭되어 송수화기(322)를 통해 출력된다.
또한, 사용자가 상대측에게 응답을 하면, 송수화기(322)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증폭 처리부(320)로 전달하고, 이어 증폭 처리부(320)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충분한 신호레벨로 증폭하여 출력한다. 여기서, 증폭된 음성신호는 스위칭부(321)와 신호방향 교정부(314)를 통해 전화 국선에 연결된 공중전화 교환망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일반 전화모드 상태에서, 사용자가 키패드(316)의 버튼을 눌러서 상대측의 전화번호를 입력하면, 이중음다주파신호 발생부(319)는 키패드(316)를 통해 입력된 상대측의 전화번호를 공중전화 교환망에게 알려주기 위한 이중음다주파신호를 증폭 처리부(320)로 출력한다.
이렇게, 발생된 이중음다주파신호는 증폭 처리부(320)에 의해 충분한 신호레벨로 증폭된 후 스위칭부(321)와 신호방향 교정부(314)를 통해 전화 국선에 연결된 공중전화 교환망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대측에서 전화를 받으면, 사용자는 전술한 바와 같이 송수화기(322)를 통해 상대측과 통화를 한다.
다음은, 인터넷망과 공중전화 교환망을 통해 통화를 하는 인터넷 전화모드에 대하여 설명한다.
사용자가 키패드(316)의 인터넷 전화 버튼을 눌러서 인터넷 전화모드를 설정하면, 제어부(317)는 실시간으로 인터페이스(315)와 컴퓨터 간의 접속을 인에이블(Enable)시키면서, 동시에 스위칭부(321)를 인터페이스(315) 방향으로 스위칭시킨다. 이어서, 제어부(317)는 키패드(316)를 통해 입력되는 상대측의 전화번호를 일시 저장한 후, 키패드(316)의 통화 버튼을 통해 통화 명령이 입력되면, 저장한 상대측의 전화번호를 인터페이스(315)를 통해 컴퓨터로 전달한다.
이렇게, 컴퓨터로 전달된 전화번호는 인터넷망과 공중전화 교환망으로 전달된다.
이때, 상대측에서 전화를 받아 응답하면, 상대측의 음성신호는 공중전화 교환망과 인터넷망을 통해 컴퓨터로 전달된 후 인터페이스(315)를 통해 증폭 처리부(320)로 접속된다. 이어서, 증폭 처리부(320)는 접속되는 음성신호를 충분한 신호레벨로 증폭한 후 송수화기(322)를 통해 출력시킨다.
또한, 사용자가 상대측의 응답에 대해 답변을 하면, 송수화기(322)는 사용자의 음성신호를 증폭 처리부(320)로 전달하고, 이어 증폭 처리부(320)는 입력되는 음성신호를 충분한 신호레벨로 증폭한 후 스위칭부(321)를 통해 인터페이스(315)로 전달한다.
이와 같이, 인터페이스(315)로 전달된 사용자의 음성신호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대측의 전화기로 전달된다.
그리고, 본 발명의 겸용 전화기가 인터넷 전화모드로 설정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 인터넷 전화가 걸려오면, 제어부(317)는 실시간으로 스위칭부(321)를 인터페이스(315) 방향으로 스위칭시키면서, 동시에 부저(318)를 제어하여 수신 표시음을 발생시킨다.
이어서, 사용자는 부저(318)로부터 발생되는 수신 표시음에 의해 인터넷 전화가 왔음을 확인하고 나서, 전술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대측과 통화한다.
만일, 본 발명의 겸용 전화기가 인터넷 전화모드로 설정되어 있는 상태에서 인터넷 전화가 걸려오더라도, 사용자는 상기한 바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대측과 통화한다.
한편, 컴퓨터에 전자메일(E-mail)이나 메시지 등이 수신되면, 제어부(317)는 부저(318)를 동작시켜 사용자에게 알려준다.
또한, 컴퓨터에 내장된 사운드 카드로부터 사운드가 제공되면, 제어부(317)는 이 사운드를 인터페이스(315)를 통해 증폭 처리부(320)로 접속시키고, 이어 증폭 처리부(320)는 전달되는 사운드 신호를 충분한 신호레벨로 증폭시킨 후 송수화기(322)를 통해 출력시킨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은 상기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예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의 범위에서 다양한 실시예가 가능함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선택적으로 사용하고 직접 다이얼링 방식으로 인터넷 전화를 하므로써, 인터넷 전화를 국선 전화와 같이 편리하고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고, 또한 요금이 비싼 국선 전화 대신 요금이 저렴한 인터넷 전화를 이용하여 전화 요금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Claims (4)

  1. 공중전화 교환망(PSTN : Public Switched Telephone Network)과 인터넷망에 접속된 컴퓨터에 공통 연결하여 선택적으로 국선 전화 및 인터넷 전화 통화를 하는 겸용 전화기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와 상기 겸용 전화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인터넷 접속수단;
    상기 공중전화 교환망과 상기 겸용 전화기 간에 송수신되는 신호를 접속하기 위한 국선 접속수단;
    인터넷 전화모드 및 국선 전화모드를 설정하고 원하는 다이얼링(Dialing) 번호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수단;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인터넷 전화모드가 설정되면, 전화를 상기 인터넷망 경로로 접속시켜 인터넷 전화를 직접 다이얼링 방식으로 제어하고, 상기 입력수단에 의해 인터넷 전화모드가 해제되면, 전화를 상기 공중전화 교환망으로 접속시켜 국선 전화를 직접 다이얼링 방식으로 제어하고, 상기 컴퓨터로부터 상기 접속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신호에 따라 인터넷 전화와 부가정보의 출력을 제어하는 제어수단;
    상기 국선 접속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링신호를 입력받아 수신 표시음을 발생하거나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를 받아 수신 표시음을 발생하는 표시음 발생수단;
    상기 입력수단으로부터 다이얼링신호를 입력받아 이중음다주파신호를 발생하기 위한 이중음다주파신호 발생수단;
    송수화기를 통해 입력되는 음성신호와 상기 이중음다주파신호를 증폭하고, 스위칭되는 신호 및 상기 인터넷 접속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신호를 증폭시켜 상기 송수화기로 전달하는 증폭 처리수단; 및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상기 증폭 처리수단으로부터 출력되는 신호를 상기 국선 접속수단이나 상기 인터넷 접속수단으로 스위칭하고, 상기 국선 접속수단이나 상기 인터넷 접속수단을 통해 접속되는 신호를 상기 증폭 처리수단으로 스위칭하는 스위칭수단
    을 포함하는 겸용 전화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입력수단은,
    다수의 다이얼 버튼, 통화(send) 버튼, 재다이얼 버튼 및 인터넷 전화모드 설정를 설정하기 위한 인터넷 전화 버튼을 포함하여 이루어진 키패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전화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에 전자메일 및 메시지와 같은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어수단은 상기 표시음 발생수단을 제어하여 수신 표시음을 발생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전화기.
  4. 제 1 항 내지 제 3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로부터 제공되는 사운드신호와 같은 부가정보가 전달되면, 상기 접속수단은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따라 사운드신호를 접속시켜 상기 송수화기를 통해 출력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겸용 전화기.
KR1020000003665A 2000-01-26 2000-01-26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겸용 전화기 KR2000001825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665A KR20000018252A (ko) 2000-01-26 2000-01-26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겸용 전화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03665A KR20000018252A (ko) 2000-01-26 2000-01-26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겸용 전화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8252A true KR20000018252A (ko) 2000-04-06

Family

ID=196415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03665A KR20000018252A (ko) 2000-01-26 2000-01-26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겸용 전화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8252A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74A (ko)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에서의 호 절취 처리 방법
KR20020048175A (ko)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구조 및 그 호 전환 방법
KR20020048236A (ko) * 2000-12-18 2002-06-22 윤성식 전화 절환장치
KR100393633B1 (ko) * 2001-02-21 200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웹폰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호와 전화망 호 간의 외부 호포워딩방법
KR20030082722A (ko) * 2002-04-18 2003-10-23 이앤텔 주식회사 전용 단말기에서 통합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장치
KR20030089264A (ko) * 2002-05-17 2003-11-21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인터넷망과 공중전화망 겸용 영상전화기
KR100418350B1 (ko) * 2001-06-22 2004-02-11 허정회 전자화폐 공중전화기를 이용한 인터넷 구내 전화망 시스템
KR100448704B1 (ko) * 2002-07-08 2004-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음성 서비스 단말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8174A (ko)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전화기에서의 호 절취 처리 방법
KR20020048175A (ko) * 2000-12-16 2002-06-22 박원배 공중 회선 교환망과 인터넷 전화 연결을 병행하는 전화기구조 및 그 호 전환 방법
KR20020048236A (ko) * 2000-12-18 2002-06-22 윤성식 전화 절환장치
KR100393633B1 (ko) * 2001-02-21 2003-08-02 삼성전자주식회사 웹폰시스템에 있어서 인터넷 호와 전화망 호 간의 외부 호포워딩방법
KR100418350B1 (ko) * 2001-06-22 2004-02-11 허정회 전자화폐 공중전화기를 이용한 인터넷 구내 전화망 시스템
KR20030082722A (ko) * 2002-04-18 2003-10-23 이앤텔 주식회사 전용 단말기에서 통합 메시지 서비스를 수행하는 방법 및장치
KR20030089264A (ko) * 2002-05-17 2003-11-21 (주)씨앤에스 테크놀로지 인터넷망과 공중전화망 겸용 영상전화기
KR100448704B1 (ko) * 2002-07-08 2004-09-16 삼성전자주식회사 복합 음성 서비스 단말 장치 및 이를 사용하는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838665A (en) Data network telephone adaptor device
US5524047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emulating telephonic communications with a modem and headset
JPH07235968A (ja) 無線電話器用アダプター
KR20000018252A (ko) 직접 다이얼링 방식의 국선 전화와 인터넷 전화를 위한겸용 전화기
KR100221772B1 (ko) 네트워크용 전화기
US20030032393A1 (en) Personal computer phone patch
JP2888517B2 (ja) コードレス電話装置
JPH10126466A (ja) 携帯電話機
TW200845717A (en) Telephone system and fill-duplex speakerphone adapter
US7564963B2 (en) Multi-handset telephone system
JPH0537571Y2 (ko)
JPS6394748A (ja) コ−ドレス通話装置
KR20050072986A (ko) 인터넷 전화 및 전화망을 이용한 전화의 송수신이가능케하는 중계장치
JP2534209Y2 (ja) 補聴器対応式コードレス電話機
JP3803517B2 (ja) 多機能電話機及び多機能電話機交換システム
TW591929B (en) Bluetooth wireless phone set
KR200193536Y1 (ko) 인터넷 전화를 위한 컴퓨터와 전화기간의 연결장치
JP2582909B2 (ja) Irレス電話装置
JPS61281656A (ja) 電話機システム
WO2001097492A1 (fr) Support de terminal de communication mobile
KR20000030396A (ko) 일반전화기로 pc를 통한 인터넷 폰을 하기 위한 교환기
JP2002300622A (ja) 構内電話システム及び固定電話機
JP3631684B2 (ja) 電話切り替えシステム及びそれに用いる端末装置
JP2586722Y2 (ja) 電話機
JPH10155027A (ja) ページング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