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868U -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7868U KR20000017868U KR2019990003549U KR19990003549U KR20000017868U KR 20000017868 U KR20000017868 U KR 20000017868U KR 2019990003549 U KR2019990003549 U KR 2019990003549U KR 19990003549 U KR19990003549 U KR 19990003549U KR 20000017868 U KR20000017868 U KR 20000017868U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casing
- cover
- housing assembly
- vibration
- outer periphery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3466 welding Method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28
- 230000002093 peripheral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10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0000004308 accommod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8000010276 constru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463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7789 sea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29920003002 synthetic resin Polymer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0057 synthetic resi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593 Epoxy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336 crack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2950 deficient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2768 molten material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29910052710 silicon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1
- 239000010703 silicon Substanc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4804 win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Classifications
-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38/00—Adaptation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or functions
- H01F38/12—Ignition, e.g. for IC engi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Ignition Installations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Abstract
본고안은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점화코일어셈블리를 수납하기 위하여 박스형상의 케이싱(1)과 커버(10)로서 구성되고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한 용착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의 하우징어셈블리(H)는,박스형상의 케이싱(1)의 상방외주연부을 따라서 외측면에서 내방으로 함입하여 개략 계단형상의 단부면을 가지는 커버결합외주연부(3)와,상기 케이싱(1)의 형상과 일치하는 개략 판상체이며 그 외주연 단부에 상기 케이싱(1)측으로 연장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테두리부인 플래시트랩부(11)및 그 중앙부측에 함입하여 초음파용착기의 헤드가 안착되어 진동을 수평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걸림부인 헤드수용함입부(12,13)를 1 개소 이상 평면으로부터 함입형성한 커버(10)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싱(1)과 커버(10)의 수평진동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싱(1)의 커버결합외주연부(3)의 외경면까지의 치수(G1)는 커버(10)의 플래쉬트랩부(11)의 내경면까지의 치수(G2)보다 근소하게 크게 함으로서 수평진동에 의한 용착시에 발생되는 플래쉬를 수납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본 고안은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자동차의 엔진계통에 있어서 점화전압을 배분하는 점화코일을 수납하는 하우징부의 개선을 도모하여 진동에 의한 용착이 효율적으로 수행되도록 구성한 것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의 점화코일은 하우징형상의 플라스틱케이싱을 상방개방체로서 구성하고 그 내방에는 코어및 코일권선체인 점화코일을 배설하고 각각의 인출터미날로 단자를 배출하는 구성을 가진다.
이러한 구성에서 케이싱의 상방에는 별도로 분리된 커버를 하우징형상에 일치하도록 구성하여 구비하고, 커버와 케이싱은 상호 접속하여 진동용접으로서 접한하여 밀봉을 구성하였다.
그러나, 상기하는 종래로부터의 구성의 경우,
커버와 케이싱의 접속면에서의 초음파용접시에 별다른 형상 고려없이 설계됨에 기인하여 통상 수직방향의 진동용접을 수행하는 용접과정에서 용융된 찌꺼기인 플래쉬가 외방으로 돌출하여 미관이 좋지않게 됨으로서 이의 제거를 위한 부가적인 작업이 요구되고,
또한, 상당한 크기의 케이싱과 커버의 초음파접합에서 전 접속면이 골고루 용착되지 않음으로 인하여 밀봉효과가 저하되는 한편, 수직방향의 단시간의 진동은 박판체인 케이싱 벽면에 크랙을 유발하여 불량품이 발생하게 하는 요인이 되는 등의 문제점을 가지고 있었다.
도 1 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3 의 케이싱부의 종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 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의 구성의 커버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 는 K-K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B 는 커버의 평면도, C 는 커버의 사시도. D 는 N-N 단면도및 P-P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 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의 구성이 적용된 점화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 는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의 구성이 적용된 점화장치의 일실시예에서 케이싱에 커버를 부가,장착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 케이싱
10: 커버
11: 플래시트랩부
12,13: 헤드수용함입부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는 상기하는 종래 구성의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수평방향의 용착을 수행하는 구성의 케이싱-커버어셈블리를 제공함으로서 상술하는 문제점을 일소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하는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안출된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는;
점화코일어셈블리를 수납하기 위하여 박스형상의 케이싱과 커버로서 구성되고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한 용착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점화장치의 하우징어셈블리는,박스형상의 케이싱의 상방외주연부을 따라서 외측면에서 내방으로 함입하여 개략 계단형상의 단부면을 가지는 커버결합외주연부와,
상기 케이싱의 형상과 일치하는 개략 판상체이며 그 외주연 단부에 상기 케이싱측으로 연장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테두리부인 플래시트랩부및 그 중앙부측에 함입하여 초음파용착기의 헤드가 안착되어 진동을 수평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걸림부인 헤드수용함입부를 1 개소 이상 평면으로부터 함입형성한 커버를 구비하여,
상기 케이싱과 커버의 수평진동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싱의 커버결합외주연부의 외경면까지의 치수는 커버의 플래쉬트랩부의 내경면까지의 치수보다 근소하게 크게 함으로서 수평진동에 의한 용착시에 발생되는 플래쉬를 수납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의 부수된 도면과 함께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은 본 고안의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하는 도 3 의 케이싱부의 종단면을 도시하는 단면도, 도 2 는 커버부를 도시하는 도면으로서 A 는 K-K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B 는 커버의 평면도, C 는 커버의 사시도. D 는 N-N 단면도및 P-P 선을 따라 취한 단면도, 도 3 은 점화장치의 일실시예의 사시도, 도 4 는 본고안 구성의 점화장치의 일실시예에서 케이싱에 커버를 부가한 상태에서의 사시도이다.
본고안의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는,
기본적으로 용접으로 케이싱과 커버가 용착되는 부착방법에 적용하기에 적합한 구성이며 종래 수직방향의 바이브레이션을 수평방향으로 인가하여 용착을 수행하는 수평의 진동용접장치에 국한되어 적용된다.
도 3 내지 4 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본고안의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H)는;
하방이 밀폐된 박스형상의 케이싱(1)을 가지고 이 케이싱(1)에 부가되어 밀폐를 도모하는 커버(10)를 가진다.
케이싱(1)의 측벽측으로는 단자터미날용 터미날돌출관체(2)가 다수개 돌출성형되고 그 내방에 코일어셈블리(C)가 수납된다.
따라서 코일어셈블리(C)와 케이싱(1) 간에는 상당한 정도의 여유공간(S)이 존재하게 되고 이 여유공간(S)에는 본고안에서는 종래의 에폭시대신 실리콘을 충진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케이싱(1)의 상방 외주연부에는 외측면에서 내방으로 함입하여 개략 계단형상의 단부면을 가지는 커버결합외주연부(3)를 일체로 성형하여 가진다.
상기의 케이싱(1)과 결합용착되고 본고안의 주요한 요부인 커버(10)가 도 2 에 도시된다.
커버(10)는 역시 합성수지재로서 성형되는 것으로서 평판형상을 구비하고 외주연 단부에는 하방(케이싱(1)측)으로 연장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플래시트랩부(11)가 하방돌출외주연부로서 구비된다.
플래쉬트랩부(11)는 하방으로 연장되고 케이싱(1)의 커버결합외주연부(3)와 협동하여 본고안의 효과를 달성하게 되며 후술한다.
상기의 커버(10)의 중앙부측에는 함입하여 진동용착기의 헤드(도시하지 아니함)이 안착되어 진동을 효율적으로 수평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헤드수용함입부(12,13)가 1 개소 이상 평면으로부터 함입하여 형성되어 있다.
상기의 커버(10)의 플래쉬트랩부(11)와 케이싱(1)의 커버결합외주연부(3) 사이에는 하기와 같은 치수관계가 유지되어야 한다.
케이싱(1)과 커버(10)의 수평진동방향(L)으로 보아서, 케이싱(1)의 커버결합외주연부(3)의 대향하는 외경면까지의 치수(G1)는 커버(10)의 플래쉬트랩부(11)의 대향하는 내경면까지의 치수(G2)보다 근소하게 크게 하여,
용착시에 유발되는 합성수지재의 용융찌꺼기인 플래쉬가 수용되는 공간으로서 사용하고,
케이싱(1)의 커버결합외주연부(3)의 단부(3')의 높이(H)는 커버(10)의 플래쉬트랩부(11)의 높이 (h)보다 크게 하여 그 차이가 진동용착시에 용융되는 용융재로서 사용하게 하여 구성하는 것이다.
본고안의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의 가공은 케이싱(1)상에 커버(10)를 안치하고 커버(10)의 중앙부측에 함입한 헤드수용함입부(12,13)에 진동용착기의 헤드를 위치한 상태에서 수평진동을 부여하게 되면;
커버(10)의 플래쉬트랩부(11)와 케이싱(1)의 커버결합외주연부(3) 사이에서의 마찰열의 유발로서 커버결합외주연부(3)의 상단부가 용착하여 커버(10)의 접속면 (S)에서의 용착이 이루어지면서 자연스럽게 플래쉬트랩부(11)에 플래쉬가 갇혀버리면서 외관상으로는 미려한 용착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고안의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는;
용착가공시에 유발되는 찌꺼기를 내방에 수용하여 버리는 구성의 케이싱-커버를 제공하고 수평방향의 진동에 의한 용착을 수행하게 함으로서 케이싱의 크랙의 유발을 방지하고 접속외주연면을 따라서 균일하게 용착이 수용되는 등의 유용성을 가진다.
Claims (2)
- 점화코일어셈블리를 수납하기 위하여 박스형상의 케이싱(1)과 커버(10)로서 구성되고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한 용착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에 있어서;상기 점화장치의 하우징어셈블리(H)는,박스형상의 케이싱(1)의 상방외주연부을 따라서 외측면에서 내방으로 함입하여 개략 계단형상의 단부면을 가지는 커버결합외주연부(3)와,상기 케이싱(1)의 형상과 일치하는 개략 판상체이며 그 외주연 단부에 상기 케이싱(1)측으로 연장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테두리부인 플래시트랩부(11)및, 그 중앙부측에 함입하여 진동용착기의 헤드가 안착되어 진동을 수평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걸림부인 헤드수용함입부(12,13)를 1 개소 이상 평면으로부터 함입형성한 커버(1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
- 점화코일어셈블리를 수납하기 위하여 박스형상의 케이싱(1)과 커버(10)로서 구성되고 수평방향으로의 진동에 의한 용착을 수행하기에 적합한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에 있어서;상기 점화장치의 하우징어셈블리(H)는,박스형상의 케이싱(1)의 상방외주연부을 따라서 외측면에서 내방으로 함입하여 개략 계단형상의 단부면을 가지는 커버결합외주연부(3)와,상기 케이싱(1)의 형상과 일치하는 개략 판상체이며 그 외주연 단부에 상기 케이싱(1)측으로 연장하여 일체로 성형되는 테두리부인 플래시트랩부(11)및 그 중앙부측에 함입하여 진동용착기의 헤드가 안착되어 진동을 수평방향으로 전달하기 위한 걸림부인 헤드수용함입부(12,13)를 1 개소 이상 평면으로부터 함입형성한 커버(10)를 구비하여;상기 케이싱(1)과 커버(10)의 수평진동방향으로의 상기 케이싱(1)의 커버결합외주연부(3)의 외경면까지의 치수(G1)는 커버(10)의 플래쉬트랩부(11)의 내경면까지의 치수(G2)보다 근소하게 크게 함으로서 수평진동에 의한 용착시에 발생되는 플래쉬를 수납하는 구성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3549U KR20000017868U (ko) | 1999-03-06 | 1999-03-06 |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2019990003549U KR20000017868U (ko) | 1999-03-06 | 1999-03-06 |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7868U true KR20000017868U (ko) | 2000-10-05 |
Family
ID=54760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2019990003549U KR20000017868U (ko) | 1999-03-06 | 1999-03-06 |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17868U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3454B1 (ko) * | 2019-12-23 | 2021-04-23 | (주)청호시스템 | 롤러 어셈블리 |
-
1999
- 1999-03-06 KR KR2019990003549U patent/KR20000017868U/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243454B1 (ko) * | 2019-12-23 | 2021-04-23 | (주)청호시스템 | 롤러 어셈블리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477483B1 (ko) | 구동 장치 | |
EP2432047B1 (en) | Battery pack and electrically powered vehicle provided with same | |
JP7053177B2 (ja) | 電子制御装置及び同製造方法 | |
KR101968343B1 (ko) | 커넥터 및 이를 포함하는 배터리 팩 | |
US6145691A (en) | Fuel tank | |
US20080022880A1 (en) | Gas generator | |
CN101594460B (zh) | 摄像机装置 | |
CN109818198B (zh) | 密封电线线束 | |
US6019628A (en) | Electric-wire connection structure of connector | |
KR20010042646A (ko) | 초음파 센서용 콘택 엘리먼트 | |
MX2013013335A (es) | Resonador. | |
KR20000017868U (ko) |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 | |
JP2004142136A (ja) | 樹脂パッケージの超音波溶着方法 | |
CN110831362A (zh) | 电子设备及其制造方法 | |
JP2007038441A (ja) | インサート成形品 | |
KR19990082044A (ko) | 전기 장치 | |
US5246132A (en) | Motor vehicle fuel tank filler neck blanking cover with a detachable grip web | |
JPS61225027A (ja) | 合成樹脂製燃料タンクにおける別体部品の取付方法 | |
KR100622778B1 (ko) | 차량의 와이어하네스용 프로텍터 | |
JP3129668B2 (ja) | 電気二重層コンデンサの外装容器溶着部構造 | |
JP4086591B2 (ja) | 燃料タンクのサブタンク | |
JP7236978B2 (ja) | 射出成形体及びその製造方法 | |
CN116348784A (zh) | 超声波收发器及其生产方法 | |
JP2008515304A (ja) | アンテナハウジング並びにアンテナハウジングを製造するための方法 | |
JPH0727830U (ja) | 容器の溶着部構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