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43454B1 - 롤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롤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43454B1
KR102243454B1 KR1020190173510A KR20190173510A KR102243454B1 KR 102243454 B1 KR102243454 B1 KR 102243454B1 KR 1020190173510 A KR1020190173510 A KR 1020190173510A KR 20190173510 A KR20190173510 A KR 20190173510A KR 102243454 B1 KR102243454 B1 KR 1022434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er
shaft
rolling
inner ring
roller assemb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용운
Original Assignee
(주)청호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청호시스템 filed Critical (주)청호시스템
Priority to KR102019017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34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34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34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CSHAFTS; FLEXIBLE SHAFTS; ELEMENTS OR CRANKSHAFT MECHANISMS; ROTARY BODIES OTHER THAN GEARING ELEMENTS; BEARINGS
    • F16C13/00Rolls, drums, discs, or the like; Bearings or mountings therefor
    • F16C13/006Guiding rollers, wheels or the like, formed by or on the outer element of a single bearing or bearing unit, e.g. two adjacent bearings, whose ratio of length to diameter is generally less than on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5/00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 F25D25/02Charging, supporting, and discharging the articles to be cooled by shelves
    • F25D25/024Slidable shelves
    • F25D25/025Dra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Rolling Contact Bearing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정확한 형상 및 치수로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조립 작업 또한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제품에 적용되어 구름 작용시에 유동 및 소음이 최소화되어 원활한 구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롤러 어셈블리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롤러 어셈블리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구름부재는 롤러 아웃터와 이에 결합되는 롤러 이너와, 상기 롤러 아웃터와 롤러 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이너링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링에 일체로 형성된 접촉베어링돌기가 상기 샤프트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부재의 구름을 지지하도록 구성된다.

Description

롤러 어셈블리{Roller Assembly}
본 발명은 롤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정확한 형상 및 치수로의 제작이 용이하면서도 조립 작업이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구름 작용시에 유동 및 소음이 최소화되어 원활한 구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롤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롤러 어셈블리는 하중을 지지하면서 회전이 필요한 곳에 적용되는 것으로, 예컨대, 공기조화기의 셔터부의 작동을 위해서 설치되거나, 냉장고의 야채박스와 같은 수납장치의 원활한 이동 동작을 위해서 설치된다.
그리고 통상 상기 롤러 어셈블리는 제품 본체 등의 고정부위에 결합 고정되는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의 외측 끝단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롤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 기술 구성에 따른 롤러 어셈블리는 롤러로부터 샤프트에 가해지는 하중이 클 경우, 상기 롤러와 샤프트의 특정 부위에 하중이 집중되는 현상이 발생되어 구름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할 뿐 아니라 소음 발생이 야기되었던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전술된 문제를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롤러와 샤프트 간의 접촉면 사이에 내륜 및 외륜을 가지는 구름 베어링을 설치하게 되었으며, 이에 관련하여는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325호, 공개특허 제10-2014-0088395호, 등록특허 제10-0159907호, 등록특허 제10-0402487호 등의 선행기술문헌에 개시된 바와 같다.
하지만, 전술된 선행기술문헌에서 제시된 바와 같은 구름 베어링을 추가로 설치하는 롤러 어셈블리의 경우, 상기 구름 베어링은 롤러와 샤프트 사이로 압입하는 방식을 통해 그 조립을 수행하였으므로 상기 구름 베어링을 이루는 외륜의 외경 크기가 정밀한 크기로 형성되지 않거나 혹은, 롤러의 내주면이나 샤프트의 외주면이 정밀한 크기로 형성되지 않을 경우에 상기 구름 베어링의 압입 설치를 위한 작업이 극히 어려울 수밖에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더욱이 전술된 바와 같은 구름 베어링의 압입 설치가 정확히 이루어지지 못한다면 롤러의 구름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문제 발생이 야기되었다.
또한, 전술된 선행기술문헌에 따른 구름 베어링을 갖는 롤러 어셈블리는 외부 충격이나 과도한 하중 등이 지속적으로 가해지거나 혹은, 롤러가 어느 한 측으로 기울어져 구르는 등의 정확하지 못한 형태로 동작될 경우 상기 구름 베어링이 정위치를 이탈하여 빠져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되었다.
이에 본 출원인은 구름 동작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있으면서도 조립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새로운 형태의 베어링 적용형 롤러 어셈블리를 안출하여 특허출원(출원번호: 10-2017-0168928, 발명의 명칭: 수납장치용 롤러 어셈블리)하였으며, 그 구체적 기술 내용은 2019년 07월 31일자 등록특허 10-2008004호(이하, '선행발명'이라 한다)에 개시된 바와 같다.
그러나, 본 출원인의 선행발명에 따른 롤러 어셈블리는 그 특유의 장점에도 불구하고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제조 및 조립에 있어 몇 가지 문제점을 야기함으로써, 개선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즉, 선행발명에 따른 롤러어셈블리는, 그 구성품인 내측롤러의 형상이 구조적으로 복잡하여 사출성형시 설계된 대로의 정확한 형상으로 제작하는데 어려움이 따르며, 이에 제조된 내측롤러의 형상 및 치수의 부정확함으로 인해 롤러 어셈블리의 조립에 있어서도 작업상 큰 어려움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부언컨대, 도 1을 참조하면, 선행발명에 따른 롤러어셈블리는, 내측롤러(220)의 외부돌출단(221) 및 내부돌출단(222)이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내부돌출단(222)에는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베어링돌기(230)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인해, 복잡한 형상적 특성상 사출성형시 변형 및 뒤틀림이 수반되는 경우가 발생함으로써 원하는 정확한 형상 및 치수로의 제작에 어려움이 따르며, 이로 인해 조립에 있어서도 곤란함을 겪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나아가, 이러한 제작 및 조립상의 문제는 롤러 어셈블리의 구름 동작에 있어서의 유동 및 소음으로 이어지게 되며, 따라서 이들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는 기술적 개선에 대한 필요성이 요구되는 실정이다.
등록특허 10-2008004호 공개실용신안 제20-2010-0000325호 공개특허 제10-2014-0088395호 등록특허 제10-0159907호 등록특허 제10-0402487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정확한 형상 및 치수로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조립 작업 또한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지며, 제품에 적용되어 구름 작용시에 유동 및 소음이 최소화되어 원활한 구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롤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의 롤러 어셈블리는, 샤프트와, 구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구름부재는, 롤러 아웃터(roller outer)와, 상기 롤러 아웃터에 결합되는 롤러 이너(roller inner)와, 상기 롤러 아웃터와 롤러 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이너링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링에 일체로 형성된 접촉베어링돌기가 상기 샤프트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부재의 구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는 상기 구름부재의 구름 동작을 지지하는 부위로서, 헤드부 및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헤드부는 구름부재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는 작업툴이 형합되는 툴홈이 형성되고, 헤드부의 외주면 상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안착홈이 요입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선단부 모서리는 경사지거나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체결부는 고정상대물에 체결되도록 그 외주면에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샤트프의 헤드부와 체결부의 경계 부위에는 반경 방향으로 확장된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 아웃터의 외주면 상에는 구름을 위한 상대물과 맞물리는 가이드홈이 외주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롤러 아웃터의 중앙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헤드부의 전방측 일부를 감싸는 헤드 삽입공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롤러 아웃터는 외주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롤러 이너를 향해 돌출되는 제1외벽과, 상기 제1외벽과 동심원을 이루며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롤러 이너를 향해 돌출되는 제1내벽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외벽 및 제1내벽 사이의 부위는 수용홈으로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 이너에는 상기 롤러 아웃터의 수용홈 내로 수용되도록 상기 롤러 아웃터를 향해 돌출되는 외부리브와, 상기 외부리브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너링을 샤프트의 축방향에 대해 지지하는 링안착부가 구비됨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용홈 입구측의 롤러 아웃터와 롤러 이너 사이에는 롤러 아웃터와 롤러 이너를 한몸으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융착시 발생하는 플래시를 수용하여 플래시 발생을 숨길 수 있는 플래시 수용공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롤러 아웃터의 제1외벽의 내측 단부에 샤프트의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롤러 이너의 외부리브 외측 단부에 샤프트 축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챔버링면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경사면과 챔버링면 사이의 공간이 플래시 수용공간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상기 이너링은 고리모양으로서 원주상의 일부 영역이 절개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이너링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샤프트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맞물려 접촉되는 접촉베어링돌기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롤러 어셈블리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롤러 어셈블리는 정확한 형상 및 치수로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고, 그 조립 작업 또한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즉, 선행발명에 따르면 롤러 이너에 일체로 내부돌출단이 형성되고, 내부돌출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베어링돌기가 형성되어 형상적 복잡성으로 인해 사출시 정확한 형상의 제작이 어려웠지만, 본 발명에서는 선행발명의 롤러 이너로부터 내부돌출단에 해당하는 부위를 분할하여 원주상 절개된 부위를 갖는 링형태로 별도 제작함으로써 각 구성요소의 정확한 형상 및 치수로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그 조립 작업 또한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롤러 어셈블리는, 제품의 요구 부위에 적용되어 구름 작용시에 유동 및 소음이 최소화되어 원활한 구름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기기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선행발명)에 따른 롤러 어셈블리의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도 2의 분해 사시도.
도 4는 도 2의 배면에서 바라본 상태의 사시도.
도 5는 도 4의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2의 측면도.
도 7은 도 2의 단면도로서, 본 발명의 롤러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단면도.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
이하,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 및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어셈블리의 결합 상태를 각기 다른 방향에서 바라보고 나타탠 사시도이고, 도 3 및 도 5는 도 2 및 도 4에 각각 대응하는 분해 사시도이다.
그리고 도 6은 도 2의 측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롤러 어셈블리의 내부 구조를 보여주는 도 2의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A”부 확대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롤러 어셈블리은 크게 샤프트(10)와, 구름부재(2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특히, 상기 구름부재(20)는 롤러 아웃터(roller outer, 210)와 이에 결합되는 롤러 이너(roller inner, 220)와, 상기 롤러 아웃터(210)와 롤러 이너(220) 사이에 배치되는 이너링(230)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링(230)에 일체로 형성된 접촉베어링돌기(230a)가 볼베어링을 대신하여 상기 샤프트(10)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부재(20)의 구름을 지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상기 샤프트(10) 및 구름부재(20) 각각의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히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상기 샤프트(10)는 공기조화기의 셔터부나 수납장치(예컨대, 냉장고의 선반)에 결합되면서 구름부재(20)의 구름 동작을 지지하는 부위로서, 헤드부(110) 및 체결부(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헤드부(110)는 구름부재(20)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헤드부(110)의 전면에는 드라이버나 육각렌치와 같은 작업툴이 형합되는 툴(tool) 홈(111)이 요입형성되고, 헤드부(110)의 외주면 상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안착홈(112)이 요입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샤프트(10)를 이루는 헤드부(110)의 선단부 모서리는 경사지거나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된다.
또한, 상기 체결부(120)는 고정상대물에 체결되는 부분으로서, 체결부(120) 외주면에는 나사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된다.
한편, 상기 샤트프의 헤드부(110)와 체결부(120)와의 경계 부위에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된 플랜지부(130)가 형성되며, 상기 플랜지부(130)는 샤프트(10)의 헤드부(110)가 구름부재(20)에 삽입될 때, 삽입 위치를 한정함과 아울러 해당 부위를 통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며, 또한 내부구조의 노출을 방지하여 외관을 깨끗하게 보이게 한다.
다음으로, 상기 구름부재(20)는 구름 운동하는 부위로서, 레일 등의 구름을 위한 상대물과 맞물리는 가이드홈(215)이 외주면 상에 형성되는 롤러 아웃터(210)와, 상기 롤러 아웃터(210)에 융착되어 일체를 이루는 롤러 이너(220)와, 상기 롤러 아웃터(210)와 롤러 이너(220) 사이에 배치되는 이너링(2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즉, 본 실시예에서는 구름부재(20)가 고정상대물과 마주보게 위치되는 롤러 이너(220) 및 그 외측으로 노출되게 위치되는 롤러 아웃터(210), 그리고 롤러 이너(220)와 롤러 아웃터(210) 사이에 베어링 역할을 하도록 설치되는 이너링(230)의 세부분으로 분할 형성되는 구성임을 제시한다.
이때, 상기 롤러 아웃터(210)는 샤프트(10)의 헤드부(110)가 삽입되도록 내부가 개방된 원통형상으로서, 상기 롤러 아웃터(210)의 중앙부에는 상기 샤프트(10)의 헤드부(110)의 전방측 일부를 감싸는 헤드 삽입공(214)이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롤러 아웃터(210)는 외주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롤러 이너(220)를 향해 돌출되는 제1외벽(211)과, 상기 제1외벽(211)과 동심원을 이루며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롤러 이너(220)를 향해 돌출되는 제1내벽(212)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이때 상기 제1외벽(211) 및 제1내벽(212) 사이의 부위는 수용홈(213)으로 제공된다.
그리고, 상기 제1외벽(211)의 외주면 상에는, 예컨대 사다리꼴 단면의 레일과 같은, 구름을 위한 상대물에 맞물리는 사다리꼴의 가이드홈(215)이 형성되며, 이로써 구름 동작시 상대물에 대한 유동이 최소화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롤러 이너(220)는, 상기 롤러 아웃터(210)의 수용홈(213) 내로 수용되도록 상기 롤러 아웃터(210)를 향해 돌출되는 외부리브(221)와, 상기 외부리브(221)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너링(230)을 샤프트(10)의 축방향에 대해 지지하는 링안착부(222)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롤러 아웃터(210)의 수용홈(213)에 롤러 이너(220)의 외부리브(221)가 삽입된 상태를 기준으로, 상기 수용홈(213) 입구측의 롤러 아웃터(210)와 롤러 이너(220) 사이에는 롤러 아웃터(210)와 롤러 이너(220)를 한몸으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융착시 발생하는 플래시(flash)를 수용하여 플래시 발생을 숨길 수 있는 플래시 수용공간(F/S)이 구비된다.
도 8을 참조하면, 상기 롤러 아웃터(210)의 제1외벽(211)의 수용홈 입구측 내측부에 샤프트(10)의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경사면(216)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216)에 대응하는 롤러 이너(220)의 외부리브(221) 외측 단부에 샤프트(10) 축방향과 일치하는 챔버링면(223)이 형성됨으로써, 상기 경사면(216)과 챔버링면(223) 사이의 공간이 플래시 수용공간(F/S)을 이루도록 구성된다.
또한, 상기 이너링(230)은 고리모양으로서 원주상의 일부 영역이 절개된 형태를 이루어 샤프트(10)의 헤드부(110)에의 조립이 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상기 이너링(230)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샤프트(10)의 헤드부(110)에 형성되는 안착홈(112)에 맞물려 접촉되는 접촉베어링돌기(230a)가 돌출 형성된다.
특히, 상기 접촉베어링돌기(230a)는 이너링(230)의 내주면 상에 원주 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됨과 아울러 원주 방향을 따라 소정의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어 샤프트(10)의 헤드부(110)에 형성된 안착홈(112)의 내면에 면접촉을 하게 되는데, 상기 접촉베어링돌기(230a)는 반원 형상(도 3, 도 5 및 도 7 참조)을 이루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롤러 어셈블리은 다음과 같이 조립될 수 있다.
먼저, 샤프트(10)의 헤드부(110)에 롤러 이너(220)를 삽입한다.
이때, 롤러 이너(220)는 상기 샤프트(10)의 헤드부(110)와 체결부(120)의 경계 부위에 구비된 플랜지부(130)에 걸려 삽입 위치가 자연적으로 결정된다.
다음으로, 상기 샤프트(10)의 헤드부(110)에 이너링(230)을 조립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이너링(230)은 원주상에 절개된 부위를 갖는 구조이므로 샤프트(10) 헤드부(110)에 조립함에 있어 상기 절개된 부위로 인해 쉽게 벌어질 수 있어 헤드부(110)의 치수(즉, 직경)에 구애받지 않고 쉽게 조립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상기 이너링(230)은 상기 샤프트(10) 헤드부(110)의 안착홈(112)에 이너링(230)의 접촉베어링돌기(230a)가 수용되도록 조립되며, 이때 상기 이너링(230)은 자연적으로 상기 롤러 이너(220)의 이너링 안착부에 안착된 상태가 된다.
한편, 이너링(230)의 샤프트 헤드부(110)에 대한 조립이 완료된 후에는, 이너링(230)과 롤러 이너(220)와 샤프트(10)의 세가지 구성품의 조립체를 롤러 아웃터(210)에 삽입한다.
이때, 상기 샤프트(10)를 이루는 헤드부(110)의 선단부 모서리는 경사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되어 있어 상기 롤러 아웃터(210)의 헤드 삽입공(214)으로 샤프트(10)의 헤드부가 원활히 삽입되며, 또한 상기 롤러 이너(220)의 외부리브(112)는 상기 롤러 아웃터(210)의 수용홈(213) 내에 삽입되어 위치하게 된다.
이후, 초음파 융착 방식을 통해 상기 롤러 이너(220)의 외부리브(221)와 상기 롤러 아웃터(210)의 수용홈(213)의 서로 접하는 대향면의 융착에 의한 접합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초음파 융착 방식에 의해 초음파 진동을 롤러 아웃터(210)와 롤러 이너(220)의 대향면으로 전달하여 접하는 대향면을 융착시켜 일체를 이루도록 함으로써, 구름부재(20)를 완성하게 된다.
한편, 전술된 바와 같은 조립이 완료된 롤러 어셈블리는 샤프트(10)를 체결부(120)을 공기조화기의 셔터부나 수납장치 등과 같은 고정상대물에 체결시켜 사용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롤러 어셈블리에 따른 작용은 다음과 같다.
먼저, 본 발명에서는 선행발명의 내측롤러로부터 내부돌출단에 해당하는 부위를 분할하여 원주상 절개된 부위를 갖는 링형태로 별도 제작함으로써 각 구성요소의 정확한 형상 및 치수로의 제작이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되고, 그 조립 작업 또한 쉽고 간단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선행발명에서는 롤러 이너(220)에 일체로 내부돌출단이 형성되고, 내부돌출단에 반경방향으로 돌출된 접촉베어링돌기(230a)가 형성되어 형상적 복잡성으로 인해 사출시 정확한 형상의 제작이 어려웠지만, 본 발명에서는 이러한 문제가 해소된다.
부언컨대, 본 발명은 이너링(230)이 롤러 이너(220)와는 별도로 분리된 구조로 제작되어, 선행발명에 따를 경우에 사출 성형시 겪던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고, 이너링(230)의 원주 방향을 따른 일측이 절개되어 이너링(230)이 샤프트(10)의 헤드부(110)의 치수에 무관하게 쉽게 조립되며, 이너링(230) 내측의 접촉베어링돌기(230a)에 의해 회전 마찰을 최소화할 수 있다.
다음, 본 발명은 구름부재(20)를 구성하는 이너링(230)에 일체로 형성되는 접촉베어링돌기(230a)가 종래의 각 베어링볼(ball)의 역할을 대신하기 때문에 각 베어링볼의 삽입을 위한 조립 작업이 생략될 수 있으며, 종래 각 베어링볼이 구름부재(20)의 구름 동작시 구름부재(20)와 샤프트(10) 사이로부터 이탈되는 문제점이 미연에 방지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롤러 어셈블리의 제작시, 롤러 아웃터(210)와 롤러 이너(220)가 초음파 융착을 통해 접합되어 일체화되는데, 수용홈(213) 입구측의 롤러 아웃터(210)와 롤러 이너(220) 사이에는 플래시 수용공간(F/S)이 형성되어 있어, 초음파 융착시 발생하는 플래시는 상기 플래시 수용공간(F/S) 내에 수용되어 외부로 노출되지 않는다.
이로써, 본 발명은 롤러 어셈블리의 제작시 외관을 깨끗하게 성형 및 유지할 수 있으며, 외부로 누설될 경우에 수반되는 플래시 제거 작업을 피할 수 있으므로, 플래시 제거에 따른 작업성의 저하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부언컨대, 본 발명은 롤러 아웃터(210)와 롤러 이너(220)의 일체화를 위한 초음파 융착시에 발생하는 플래시를 수용할 수 있는 플래시 수용공간(F/S)이 구비됨에 따라, 플래시의 노출을 방지하여 롤러 어셈블리 제작시의 작업성 저하를 방지하고 제작된 제품의 외관미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롤러 아웃터(210)와 롤러 이너(220)의 결합이 완료되면, 롤러 아웃터(210)의 제1내벽(212)은 그 내측에 위치된 이너링(230)을 받쳐주는 역할을 수행하여, 구름부재(20)의 롤링 도중 발생되는 충격 혹은 큰 하중으로부터 이너링(230)의 유동을 완충시킬 수 있으며, 이로써 상기 구름부재(20)는 빠르게 원위치로 복귀될 수 있음으로 인해 안정적인 롤링 동작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샤프트(10)와 이너링(230) 간의 결합에 있어서 접촉베어링돌기(230a)가 안착홈(112)에 맞물림으로써 흔들림이 최소화 되고, 상기 롤러 아웃터(210)가 이너링(230)의 외측을 받쳐서 유동을 최소화 되며, 롤러 아웃터(210)의 외주면에 사다리꼴의 가이드홈(215)이 구비되어 이에 형합하는 동일 단면 형상의 상대물이 맞물림으로써 유동이 최소화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롤러 어셈블리는 구름부재(20)의 구조적 개선을 통해 제작 및 조립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면서도 제품에 적용시 안정적인 구름 작용이 가능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한 다양한 형태로의 변경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예컨대, 위의 실시예에서는 롤러 아웃터(210)의 제1외벽(211)과 제1내벽(212)이 동심원을 이루는 원형이고, 이에 대응하여 롤러 이너(220)의 외부리브(221)도 원형을 이루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들 구성 요소들은 예를 들어 육각형과 같은 다각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10: 샤프트 110: 헤드부
111: 툴 홈 112: 안착홈
120: 체결부 130: 플랜지부
20: 구름부재 210: 롤러 아웃터
211: 제1외벽 212: 제1내벽
213: 수용홈 214: 헤드 삽입공
215: 가이드홈 216: 경사면
220: 롤러 이너 221: 외부리브
222: 링안착부 223: 챔버링면
230: 이너링 230a: 접촉베어링돌기
F/S: 플래시 수용공간

Claims (8)

  1. 샤프트와, 상기 샤프트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구름부재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롤러 어셈블리에 있어서;
    상기 구름부재는,
    롤러 아웃터(roller outer)와,
    상기 롤러 아웃터에 내측으로 삽입되도록 결합되는 롤러 이너(roller inner)와,
    상기 롤러 아웃터와 롤러 이너 사이에 배치되는 이너링을 포함하며,
    상기 이너링에 일체로 형성된 접촉베어링돌기가 상기 샤프트에 접촉된 상태로 구름부재의 구름을 지지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롤러 아웃터의 외주면 상에는 구름을 위한 상대물과 맞물리는 가이드홈이 외주면 상에 형성되고,
    상기 롤러 아웃터의 중앙부에는 상기 샤프트의 헤드부의 전방측 일부를 감싸는 헤드 삽입공이 제공되고,
    상기 롤러 아웃터는,
    외주면을 형성하면서 상기 롤러 이너를 향해 돌출되는 제1외벽과,
    상기 제1외벽과 동심원을 이루며 이격되게 위치되면서 상기 롤러 이너를 향해 돌출되는 제1내벽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제1외벽과 제1내벽 사이에는 수용홈이 제공되고,
    상기 롤러 이너는,
    상기 롤러 아웃터의 수용홈 내로 수용되도록 상기 롤러 아웃터를 향해 돌출되는 외부리브와,
    상기 외부리브로부터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 형성되어 이너링을 샤프트의 축방향에 대해 지지하는 링안착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셈블리.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는 상기 구름부재의 구름 동작을 지지하는 부위로서, 헤드부 및 체결부를 포함하여 구성되고,
    상기 헤드부는 구름부재의 중앙부에 삽입되어 수용되는 부분으로서,
    상기 헤드부의 전면에는 작업툴이 형합되는 툴(tool) 홈이 요입형성되고, 헤드부의 외주면 상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안착홈이 요입형성되며, 상기 헤드부의 선단부 모서리는 경사지거나 혹은 라운드지게 형성되고,
    상기 체결부는 고정상대물에 체결되도록 외주면에는 나사방식으로 체결하기 위한 나사산이 형성되며,
    상기 샤프트의 헤드부와 체결부의 경계 부위에는 플랜지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셈블리.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 입구측의 롤러 아웃터와 롤러 이너 사이에는,
    상기 롤러 아웃터와 롤러 이너를 한몸으로 만들기 위한 초음파 융착시 발생하는 플래시를 수용하여 플래시 발생을 숨길 수 있는 플래시 수용공간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셈블리.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롤러 아웃터의 제1외벽의 내측부에 샤프트의 축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경사면이 형성되고, 상기 경사면에 대응하는 롤러 이너의 외부리브 외측 단부에 샤프트 축방향과 일치하는 방향의 챔버링면이 형성되어, 상기 경사면과 챔버링면 사이의 공간이 플래시 수용공간을 이루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셈블리.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이너링은 고리모양으로서 원주상의 일부 영역이 절개된 형태를 이루고,
    상기 이너링의 내주면 상에는 상기 샤프트의 헤드부에 형성되는 안착홈에 맞물려 접촉되는 접촉베어링돌기가 돌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롤러 어셈블리.
KR1020190173510A 2019-12-23 2019-12-23 롤러 어셈블리 KR1022434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510A KR102243454B1 (ko) 2019-12-23 2019-12-23 롤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3510A KR102243454B1 (ko) 2019-12-23 2019-12-23 롤러 어셈블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3454B1 true KR102243454B1 (ko) 2021-04-23

Family

ID=757380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3510A KR102243454B1 (ko) 2019-12-23 2019-12-23 롤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3454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907B1 (ko) 1995-08-01 1999-03-30 박동주 산업기계용 롤러 베어링
KR20000017868U (ko) * 1999-03-06 2000-10-05 배길훈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
KR100402487B1 (ko) 2001-09-07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롤러장치
KR20100000325U (ko) 2008-07-02 2010-01-12 이광형 롤러조립체
KR20140088395A (ko) 2013-01-02 2014-07-1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롤러장치 및 조립방법
KR102008004B1 (ko) 2017-12-11 2019-08-06 (주)청호시스템 수납장치용 롤러 어셈블리
KR102011739B1 (ko) * 2017-08-14 2019-08-19 (주)청호시스템 수납장치용 롤러 어셈블리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59907B1 (ko) 1995-08-01 1999-03-30 박동주 산업기계용 롤러 베어링
KR20000017868U (ko) * 1999-03-06 2000-10-05 배길훈 자동차용 점화장치하우징어셈블리
KR100402487B1 (ko) 2001-09-07 2003-10-22 주식회사 엘지이아이 냉장고의 롤러장치
KR20100000325U (ko) 2008-07-02 2010-01-12 이광형 롤러조립체
KR20140088395A (ko) 2013-01-02 2014-07-10 동부대우전자 주식회사 냉장고용 롤러장치 및 조립방법
KR102011739B1 (ko) * 2017-08-14 2019-08-19 (주)청호시스템 수납장치용 롤러 어셈블리
KR102008004B1 (ko) 2017-12-11 2019-08-06 (주)청호시스템 수납장치용 롤러 어셈블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08004B1 (ko) 수납장치용 롤러 어셈블리
JP5757703B2 (ja) 円すいころ軸受
US9464705B2 (en) Ball screw with an improved end deflector
JP2007198583A (ja) 合成樹脂製玉軸受用保持器及び玉軸受
US9768651B2 (en) Motor with thrust bearing
JP2009103299A (ja) ピニオンシャフト及びキャリアを含む遊星ギヤセット
CN110023702B (zh) 收纳装置用滚轮组件
KR102243454B1 (ko) 롤러 어셈블리
JP2014029196A (ja) 取付板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とその製造方法
KR101838029B1 (ko) 수납장치용 롤러어셈블리
US11274702B1 (en) Roller bearing assembly
US10533651B2 (en) Gap adjustment member, method to assemble gap adjustment member, and transmission
US20180010285A1 (en) Drum washing machine
JP3124045U (ja) ボールねじ装置とその循環コマ
JP6332520B2 (ja) 取付板付転がり軸受ユニット
JPS5836922Y2 (ja) ボ−ルねじ
RU2333115C1 (ru) Опорная втулка рычага механизма продольного перемещения сиденья
WO2023145150A1 (ja) 軸受ユニット及び減速機付きモータ
US9097260B2 (en) Fan bearing retaining structure
JP5226990B2 (ja) ブラシレスモータ
JP6812686B2 (ja) ボールねじ装置
KR20230137828A (ko) 낚시용 스피닝 릴
JPH09264266A (ja) ギヤポンプ
US20090028715A1 (en) Impeller
JPH052936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