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7137A - 백미러 - Google Patents
백미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000017137A KR20000017137A KR1019990032254A KR19990032254A KR20000017137A KR 20000017137 A KR20000017137 A KR 20000017137A KR 1019990032254 A KR1019990032254 A KR 1019990032254A KR 19990032254 A KR19990032254 A KR 19990032254A KR 20000017137 A KR20000017137 A KR 2000001713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mirror
- mirror assembly
- rearview mirror
- assembly
- lead screw
- Prior art date
Link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00—Optical viewing arrangements; Real-time viewing arrangements for drivers or passengers using optical image capturing systems, e.g. cameras or video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or on vehicles
- B60R1/0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 B60R1/06—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 B60R1/06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 B60R1/07—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 B60R1/072—Rear-view mirror arrangements mounted on vehicle exterior with remote control for adjusting position by electrically powered actuators for adjusting the mirror relative to its housing
-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7/00—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 G02B7/18—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 G02B7/182—Mountings, adjusting means, or light-tight connections, for optical elements for prisms; for mirrors for mirr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48/00—Supports
- Y10S248/90—Movable or disengageable on impact or overloa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ar-View Mirror Devices That Are Mounted On The Exterior Of The Vehicl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 몸체에 장착되도록 적용된 브라켓(12)과, 케이스(10)를 갖추고 있고, 반사 부재(16)가 피봇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백미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브라켓(12)내에는 리드 스크류(30)가 장착되어 있다. 한쌍의 아암(32,34)은 그의 둘레부를 초과하여 반사 부재(16)로부터 횡방향으로 돌출해 있고 리드 스크류(30)와 결합하는 홈영역(38.40)을 갖춤으로써, 리드 스크류(30)의 회전이 반사 부재(16)를 각운동시키게 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백미러 조립체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외부에 백미러 조립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와, 이러한 부착부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미러 케이스와, 측부 둘레부를 갖춘 외부 둘레 및 편평한 표면을 갖춘 반사 부재와, 그리고 케이스에 대해 반사 부재의 각운동시키기 위해 설치된 구동 유닛을 포함하고 있으며, 반사 부재는 미러 케이스에 대해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미러 케이스내에 장착되어 있고, 반사 부재의 각도를 조절하는 동안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반사 부재의 측부 둘레부가 부착부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백미러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케이스가 브라켓 상에 견고하게 장착된 형태의 백미러 조립체와 유럽 특허 공개 제 039272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충격을 받았을 때 백미러의 통상적인 사용 위치로부터 변위될 수 있도록 케이스가 브라켓 상에 피봇식으로 장착된 형태의 백미러 조립체 모두에 적용할 수 있다.
이러한 공지된 형태의 백미러 조립체에서, 실질적으로 모든 구동 수단은 반사 부재 뒤의 케이스 내에(즉, 미러를 사용자가 볼 때 미러의 반대 측부 상에) 위치되어 있다. 예컨대, 유럽 특허 공개 제 0272047호에는 두 개의 전기 모터가 반사 부재 뒤에 장착되어서 각각의 나사형 잭 드라이브에 의해 반사 부재에 연결되어 있는 형태의 미러가 개시되어 있다. 유럽 특허 공개 제 0860323호에는 단일 모터와 나사형 잭 드라이브가 단일 축선을 중심으로 반사 부재의 각위치를 변화시키기 위해 사용되는 유사한 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들 두 가지 형태의 백미러 조립체에서, 모터 또는 모터들 및 드라이브는 미러 케이스의 무게에 현저한 영향을 미치며, 따라서 이러한 무게는 백미러 조립체가 진동하게되는 범위로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백미러 조립체가 차량 몸체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장착되도록 구동 기구의 적어도 일부분이 미러 브라켓 내에 위치하는 상기한 형태의 백미러 조립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도 1은 차량의 후방에서 본 본 발명의 제 1실시예에 따른 백미러 조립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선 2-2를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3은 도 2의 선 3-3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4는 차량의 정면에서 본 도 1의 백미러 조립체에 사용된 백미러 유리 캐리어의 평면도.
도 5는 정상 위치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변위된 미러 케이스를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이 선 6-6을 따라 취한 부분 단면도.
도 7은 정상 위치로부터 차량의 전방을 향해 변위된 미러 케이스를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8은 외부를 향해 최대로 경사진 위치에 있는 백미러의 반사 부재를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9는 내부를 향해 최대로 경사진 위치에 있는 반사 부재를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의 제 2실시예에 따른 백미러 조립체를 도시한 도 2와 유사한 단면도.
도 11은 차량의 후방에서 본 본 발명의 제 3실시예에 따른 백미러 조립체의 평면도.
도 12는 도 10의 선 12-12를 따라 취한 단면도.
도 13은 차량의 전방에서 본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백미러 유리 캐리어의 평면도.
도 14는 케이스가 제거된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실시예의 브라켓의 측면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50,60 : 미러 케이스 12,62 : 브라켓
14,64 : 부착부 16,66 : 반사 부재
18,68 : 미러 캐리어 20,22 : 힌지
26,74,76 : 구동 유닛 30,82,84 : 리드 스크류
32,34,86,88,90,92 : 아암 36,96 : U형 스프링
38,40 : 아암의 홈영역 42,98 : 정지 바아
78,80 : 감속 기어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한 형태의 백미러 조립체에서, 구동 유닛은 부착부에 장착되고 아치형 경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축선을 갖는 회전가능한 축을 갖추고 있고, 반사 부재는 상기 축과 결합하는 측부 둘레부를 초과하여 외부로 연장하는 종동자(follower)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축과 종동자는 반사 부재를 각운동시키기 위해 축의 회전 운동을 종동자의 운동으로 변화시키도록 공동 작용한다.
이하에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4을 참조하면, 백미러 조립체는 자동차 몸체(도시되지 않음)에 접촉하도록 적용된 내면(14)을 갖춘 브라켓(12) 상에 장착된 케이스(10)를 갖추고 있다. 케이스(10)는 유럽 특허 공개 제 0392721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전방 및 후방으로 상대적인 각운동을 허용하는 기구에 의해 브라켓(12)에 연결되어 있다. 반사 부재(16), 예컨대 은빛 유리는 미러 캐리어(18)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이러한 미러 캐리어(18)는 케이스(10)내에서 힌지(20,22)에 의해 지지 부재(24)에 연결되어 있다. 도 4에는 두 개의 힌지(20,22)가 도시되어 있지만, 도 2, 도 5, 도 9, 및 도 10에는 하나의 힌지(20)만이 도시되어 있다. 힌지(20,22)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경사진 축선(25)을 중심으로 미러 캐리어(18)가 각운동할 수 있도록 하며, 미러 캐리어의 방향은 유럽 특허 공개 제 0860323호에 개시된 방법으로 결정된다.
전기 모터(26)는 브라켓(12)내에 장착되어 있고, 감속 기어(28)에 의해 리드 스크류(30)에 연결된 출력축을 갖추고 있다. 리드 스크류(30)는 케이스(10)가 전방 또는 후방으로 피봇될 때 케이스(10)와 브라켓(12) 사이의 분리된 평면에 그의 축선이 놓이도록 장착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미러 캐리어(18)는 후방을 향해 횡방향으로 돌출해 있는 한쌍의 평행한 아암(32,34)을 갖추고 있는데, 이들 아암의 단부는 리드 스크류(30)를 둘러싸고 있고, U형 스프링(36)에 의해 리드 스크류(30)와 접촉하여 가압한다. 아암(32,34)의 단부의 대향면은 리드 스크류(30)와 동일한 피치(pitch)의 홈영역(38,40)을 갖추고 있다. 결과적으로, 리드 스크류(30)가 모터(26)에 의해 회전될 때, 아암(32,34)은 리드 스크류(30)를 따라 종방향으로 변위되어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미러 캐리어(18)가 힌지(20,22)의 축선(25)을 중심으로 피봇되도록 한다. 리드 스크류는 작은 피치를 가지며, 각을 형성하도록 개방되어 있다(예컨대, 0.5mm 피치 및 45°의 플랭크각). 결과적으로, 미러 캐리어(18)가 축선(25)을 중심으로 변위되도록 힘을 받는 경우, 아암(32,34)의 홈영역(38,40)은 스프링(36)의 작용에 대항하여 리드 스크류(30)의 나사부를 위로 점프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기구의 손상이 방지되고, 구동 모터의 파손시에 반사 부재(16)를 수동으로 조절할 수 있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10)가 정상 위치로부터 차량의 후방을 향해 변위되도록 힘을 받는 경우, 케이스(10)는 도 5에 도시된 위치로 피봇된다. 아암(32,34)은 리드 스크류(30)로부터 분리되고, 케이스(10)가 정상 위치에 있을 때 리드 스크류(30)에 인접하여 평행하게 연장하는 케이스(10) 상의 정지 바아(42)(도 3 및 도 6 참조)와 결합하도록 가압된다. 정지 바아(42)는 아암(32,34)의 홈영역(38,40)을 향하는 면 상에 리드 스크류와 동일한 피치의 홈형상을 갖추고 있다. 홈영역(38,40)이 리드 스크류(30)로부터 분리될 때, 홈영역은 분리되기 바로 직전에 설정되었던 방향으로 미러 캐리어(18)를 유지하는 키퍼(keeper)로서 역할하는 정지 바아(42) 상의 홈형상과 결합하게 된다. 케이스(10)가 정상 위치로 복귀될 때, 아암(32,34)의 단부 상의 경사면(44,46)은 스프링(36)의 작용에 대항하여 아암(32,34)을 분리시키는 힘을 가하기 위해 리드 스크류(30)와 결합되며, 이에 의해 홈영역(38,40)이 정지 바아(42)상의 홈형상으로부터 분리될 때 홈영역(38,40)이 리드 스크류(30)의 나사부와 결합하게 된다. 아암(32,34)이 리드 스크류(30)로부터 분리될 때 정지 바아(42)는 케이스에 대한 미러의 이동을 방지하는 키퍼를 효과적으로 형성한다.
도 7은 정상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변위되어 있는 케이스(10)를 도시하고 있다. 아암(32,34)은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기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리드 스크류(30)로부터 분리되고, 케이스(10)가 정상 위치로 복귀될 때 서로 재결합한다.
도 8은 케이스(10)가 정상 위치에 있고 미러 캐리어(18)가 리드 스크류(30)에 의해 외부를 향해 최대로 뻗어 있는 상태의 백미러 조립체를 도시하고 있다. 도 9는 내부를 향해 최대로 변위된 미러 캐리어(18)를 도시하고 있다.
도 10은 미러 케이스(10)와 브라켓(12)이 차량 몸체에 견고하게 고정되는 단일 조합식 케이스(50)로 대체되는 본 발명의 제 2실시예를 도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변위가능한 케이스가 없기 때문에, 아암(32,34)은 리드 스크류(30)로부터 분리되지 않는다. 결과적으로, 제 1실시예이 정지 바아(42)와 동등한 정지 바아가 존재하지 않는다. 한편, 메카니즘은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기술된 바와 같으며, 대응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 부호를 병기하였다.
도 11 내지 도 14는 자동차 몸체(도시되지 않음)에 접촉하도록 적용된 내면(64)을 갖춘 브라켓(62) 상에 장착된 케이스(60)를 갖춘 다른 백미러를 도시하고 있다. 도 1 및 도 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케이스(60)는 전방 및 후방으로 상대적인 각운동을 허용하는 기구에 의해 브라켓(62)에 연결되어 있다. 반사 부재(66)는 도 1 내지 도 4의 미러 캐리어와 상이한 미러 캐리어(68) 상에 장착되어 있는데, 이러한 미러 캐리어(68)는 볼 및 소켓형 조인트(70)에 의해 지지 부재(72)에 연결되어 있으며, 이에 의해 미러 캐리어(18)는 제 1 및 제 2 직교 축선으로 언급될 수도 있는 수직 및 수평 축선 모두를 중심으로 각운동될 수 있다.
도 14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브라켓(62)내에는 두 개의 전기 모터(74,76)가 장착되어 있으며, 각각의 모터의 출력축은 각각의 감속 기어(78,80)에 의해 상부 및 하부 리드 스크류(82)에 연결되어 있다.
도 13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미러 캐리어(68)는 상호 평행한 한쌍의 상부 아암(86,88)과 도 3에 도시된 아암(32,34)과 유사한 상호 평행한 한쌍의 하부 아암(90,92)을 포함하고 있다. 한쌍의 상부 아암(86,88)은 상부 리드 스크류(82)와 결합하기 위한 홈영역을 갖추고 있는 반면, 한쌍의 하부 아암(90,92)은 하부 리드 스크류(84)와 결합하기 위한 홈영역을 갖추고 있다. 각쌍의 아암들은 아암의 단부가 각각의 리드 스크류(82,84)와 결합하도록 가압하기 위한 U형 스프링(96)을 갖추고 있다.
각각의 리드 스크류는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기술한 방식과 유사하게 작동한다. 두 개의 리드 스크류(82,84)의 동일한 방향으로의 회전은 수직 축선을 중심으로 미러 캐리어(68)의 방위를 조절한다. 두 개의 리드 스크류(82,84)의 반대 방향으로의 회전은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미러 캐리어(68)의 방위를 변화시킨다.
케이스(60)는 한쌍의 정지 바아를 갖추고 있는데, 정지 바아 중 하나(98)는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케이스(60)가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기술한 방식과 동일하게 전방 또는 후방으로 변위될 때 각쌍의 아암(86,88;90,92) 사이를 결합시킨다. 이러한 정지 바아의 수직 두께는 리드 스크류(82,84)의 직경 보다 실질적으로 작으며, 이에 의해 수평 축선을 중심으로 미러 캐리어(68)의 방위를 조절하는 동안 정지 바아의 홈형상이 아암(88∼92)의 홈영역(38,40)과 결합하는 위험을 방지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미러 캐리어(18)는 외부 둘레를 갖추고 있으며, 이러한 외부 둘레는 상부 및 바닥 둘레부(120,122)와, 서로 대향하고 있는 측부 둘레부(124,126)를 갖추고 있다. 미러 캐리어(18)의 둘레부들은 또한 반사 부재의 대응하는 둘레부를 한정한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사 부재(66)의 둘레부들과 캐리어(68)들은 참조 부호 220,222,224, 및 226으로 표시되어 있다.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반사 부재(66)와 미러 캐리어(68)는 제 1 및 제 2직교 축선으로 언급될 수도 있는 수직 및 수평 축선(230,232; 도 13 참조)을 중심으로 각운동할 수 있다.
일반적인 수직 축선(25)은 수직 평면 내로 및/또는 수직 평면 밖으로 수직하게 경사질 수도 있다. 이미 언급한 바와 같이, 수직 축선(25)의 바람직한 경사각를 결정하는 한방법은 유럽 특허 공개 제 9272047호에 개시되어 있다. 그렇지만, 바람직한 각도를 결정하는 다른 방법이 사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반사 부재(16)와 미러 캐리어(18)는 축선(25)을 중심으로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이동의 중심 위치는 도 2 및 도 10에 도시되어 있으며, 시계방향 이동의 한계 위치는 도 9에 도시되어 있다. 반시계방향 이동의 한계 위치는 도 2 및 도 10의 중심 위치로부터 반시계방향에 위치하며, 도 9의 시계방향 한계 위치와 비교할 때 아암(32,34)의 단부는 리드 스크류(30)의 대향 단부에 인접하여 위치된다.
도시된 배열에서, 반사 부재(16)의 측부 둘레부(124)와 미러 캐리어(18)는 브라켓 또는 부착부(12)에 인접한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한다. 도시된 배열에서, 아치형 경로는 도 2 및 도 10의 중심 위치로부터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10°정도 이동한 20°정도이다. 아치형 경로는 도 2 및 도 10의 중심 위치로부터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5 내지 20°정도 이동한 대략 10 내지 40°로 연장할 수 있다.
축선(25)의 방위에 따라, 측부 둘레부(124) 상의 주어진 지점은 수평한 평면 또는 수평한 평면에 대해 경사진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도 있다. 리드 스크류(30)는 측부 둘레부(124)의 일반적인 이동 방향 또는 아치형 경로의 일반적인 방향을 따라 연장한다. 아치형 경로는 미러의 중심 위치에서 리드 스크류에 가장 근접하게 되며, 미러의 한계 위치에서 리드 스크류로부터 멀리 떨어지게 된다. 도 2 및 도 10이 중심 위치에서 리드 스크류(30)의 종방향 축선과 수평하게 정렬하는 측부 둘레부(124)상의 주어진 지점을 고려하면, 리드 스크류의 축선은 주어진 지점이 진행하는 아치형 경로에 접하는 선에 통상적으로 평행하다.
리드 스크류(30)의 종방향 축선은 브라켓의 내면(14)의 평면에서 25 내지 45°의 경사진 각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40°의 각도로 경사져 있다. 도시된 배열에서, 각도는 약 35°이다. 리드 스크류(30)는 또한 수평 평면 위 또는 아래에서 수평하거나 경사질 수도 있다. 수평 평면에 대해 경사질 때, 경사 각도는 수평 평면 위 또는 아래로 수평 평면으로부터 각각 대향하는 방향으로 20°이내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이내이다.
반사 부재 또는 미러(16)는 매우 큰 반경으로 만곡된 외부면을 갖는 것을 도시되어 있지만, 편평할 수도 있다. 즉, 미러의 외부면은 곡률이 편평하게 되거나 제거된 편평한 표면을 가질 수도 있다. 따라서, 편평한 표면을 갖추고 있는 미러에 대한 기술은 미러 표면이 반드시 편평하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도 2 및 도 10에 도시된 미러 및 캐리어의 중심 위치에서, 리드 스크류(30)의 종방향 축선은 미러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하거나 미러 평면에 대해 경사질 수 있다. 경사질 때, 경사 각도는 바람직하게는 수평 또는 수직 평면에서 35°이하이다. 즉, 리드 스크류(30)의 축선은 미러 평면에 수직한 선으로부터 대향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수평 평면에서 35°까지 경사질 수 있으며, 미러 평면에 수직한 선으로부터 대향하는 어느 한 방향으로 수직 평면에서 35°까지 경사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경사진 리드 스크류에 있어서, 미러 평면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리드 스크류의 돌출 길이는 리드 스크류의 길이에 0 내지 35°각의 코사인(cosine)값을 곱한 것과 같다. 코사인 35°는 0.18915이므로, 리드 스크류가 35°로 경사질 때, 리드 스크류의 길이의 대략 82%가 미러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한다. 이를 위해, 리드 스크류의 길이는 미러의 중심에서 미러 평면과 평행한 성분과 미러 평면에 수직한 성분으로 분해될 수도 있다. 평행한 성분은 리드 스크류의 길이에 경사각의 싸인(sine)값을 곱한 것과 같으며, 수직한 성분은 전체 리드 스크류 길이의 80 내지 100%이다.
미러에 대한 리드 스크류의 위치, 경사 또는 경사의 결여는 방향 성분에 대해서 고려될 수도 있다. 리드 스크류의 종방향 축선이 대향하는 미러의 한계 위치 사이의 미러의 중심에서 미러 평면에 수직한 방향으로 연장할 때, 미러 평면에 수직한 축선의 방향 성분은 100%이다. 나사의 종방향 축선이 미러의 편평한 표면에 수직한 선과 35°의 경사각도를 형성하는 방향에서 미러의 중심 위치에서 미러의 편평한 표면에 대해 경사질 때, 미러 평면에 수직한 방향 성분은 코사인 35°또는 약 82%와 같다. 즉, 미러의 대향하는 한계 위치 사이의 중심 위치에서, 리드 스크류의 종방향 축선은 미러 평면에 수직한 리드 스크류의 종방향 성분이 80 내지 100% 또는 80% 보다 크도록 배향된다.
축이 연장하는 방향의 주방향 성분은 미러의 편평한 표면에 대해 수직하게 연장하는 성분이다. 이러한 주방향 성분은 미러의 편평한 표면에 대해 평행하게 연장하는 성분과 수직하게 연장하는 성분으로 분해할 수 있는 방향의 80%이상이다.
리드 스크류와 결합하는 아암 상에 리지(ridge)를 갖춘 배열은 아암이 리드 스크류를 따라 이동하는 동안 리드 스크류와 아암 사이의 결합 지점과 미러 축선(25) 사이의 거리가 변할 때 아암과 리드 스크류 사이에 상대적인 횡방향 이동을 허용한다.
리드 스크류 또는 워엄 기어(30)로는 축의 회전 운동을 축을 따라 선형으로 행해지는 아암 운동으로 변환시키기 위해 아암(32,34)에 의해 한정된 종동자와 상호 작용하는 회전가능한 신장형 축이 고려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의 운동 변환 구성으로는 종동자 아암에 부착되는 경사진 로울러와 상호 작용하는 평탄한 축(smooth shaft) 또는 종동자 아암에 부착되는 작은 볼(ball)과 상호 작용하는 홈이 형성된 축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서, 로울러 또는 볼은 아암이 부착되는 부분 상에 위치되어서, 상기 부분이 축을 따라 이동할 때 아암을 회전 운동시키는 반면, 축의 종방향 축선을 가로지르는 방향으로 상기 부분과 아암 사이에서 상대 이동을 허용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의하면, 구동 유닛의 적어도 일부분을 브라켓 내에 장착시킴으로써 백미러 조립체가 차량 몸체에 보다 가까운 위치에 장착되므로, 구동 유닛에 의한 미러 케이스의 하중이 현저하게 감소되고, 이에 의해 백미러 조립체가 진동하는 것이 방지된다.
Claims (11)
- 백미러 조립체로서,차량의 외부에 상기 백미러 조립체를 부착하기 위한 부착부(14,64)와, 상기 부착부(14,64)로부터 외부로 연장하는 미러 케이스(10,50,60)와, 측부 둘레부(124,224)를 갖춘 외부 둘레 및 편평한 표면을 갖춘 반사 부재(16,66)와, 그리고 상기 미러 케이스(10,50,60)에 대해 상기 반사 부재(16,66)를 각운동시키기 위해 설치된 구동 유닛(26,74,76)을 포함하고 있으며,상기 반사 부재(16,66)는 상기 미러 케이스(10,50,60)에 대해 각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미러 케이스(10,50,60)내에 장착되어 있고, 상기 반사 부재(16,66)의 각도를 조절하는 동안 아치형 경로를 따라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반사 부재(16,66)의 측부 둘레부(124,224)가 상기 부착부(14,64)에 인접하여 위치되어 있는 백미러 조립체에 있어서,상기 구동 유닛(26,74,76)은 상기 부착부(14,64)에 장착된 회전가능한 축(30,82,84)를 포함하고 있고, 상기 회전가능한 축(30,82,84)이 상기 아치형 경로의 방향으로 연장하는 종방향 축선을 갖추고 있으며, 상기 반사 부재(16,66)는 상기 축(30,82,84)과 결합하는 상기 둘레부(124,224)를 초과하여 외부로 연장하는 종동자(32,34,86,88,90,9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축(30,82,84)과 상기 종동자(32,34,86,88,90,92)는 상기 반사 부재(16,66)를 각운동시키기 위해 상기 축(30,82,84)의 회전 운동을 상기 축(30,82,84)에 따른 상기 종동자(32,34,86,88,90,92)의 운동으로 변화시키도록 공동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14)와 상기 미러 케이스(50)가 단일 조립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조립체.
-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부착부(14)가 브라켓부(12,62)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브라켓부(12,62)와 상기 미러 케이스(10,60)는 분리형 부재이고, 상기 미러 케이스(10,60)는 미리 결정된 힘에 대응하여 상기 브라켓부(12,62)에 대해 변위하도록 상기 브라켓부(12,62) 상에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미러 케이스(10,60)가 상기 브라켓부(12,62)에 대해 변위될 때, 상기 종동자(32,34,86,88,90,92)가 상기 축(30,82,84)으로부터 분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조립체.
-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자(32,34,86,88,90,92)가 상기 축(30,82,84)으로부터 분리될 때, 상기 미러 케이스(10,60)는 상기 반사 부재(16,66)의 각운동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종동자(32,34,86,88,90,92)에 의해 연결가능한 키퍼(42,98)를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조립체.
-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30,82,84)과 결합하는 상기 종동자(32,34,86,88,90,92)를 가압하는 탄성 부재(36,94,96)를 더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조립체.
-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종동자(32,34,86,88,90,92)가 한쌍의 아암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아암들 사이로 상기 축(30,82,84)이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조립체.
-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아암 내부에는 상기 아암을 서로를 향해 가압하도록 상기 아암 내에 수용되어 있는 U형 스프링이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조립체.
-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축(30,82,84)이 리드 스크류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종동자(32,34,86,88,90,92)가 상기 리드 스크류와 결합하는 홈형상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조립체.
-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축(30,82,84)의 종방향 축선은 상기 아치형 경로의 방향의 80% 이상인 주방향 성분을 갖는 방향으로 연장하며, 상기 반사 부재(16,66)가 상기 아치형 경로를 따라 중심 위치에 있을 때, 상기 축(30,82,84)의 종방향 축선이 상기 반사 부재(16,66)의 편평한 표면에 수직하게 연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조립체.
- 상기 항들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 부재(66)가 상기 제 1 및 제 2직교 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미러 케이스(60)에 대해 각운동하도록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구동 유닛이 한쌍의 회전가능한 축(82,84)을 포함하고 있고, 상기 종동자(86,88,90,92)가 서로 이격된 위치에서 상기 축(82,84)과 결합하는 한쌍의 아암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축(82,84)이 상기 제 1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반사 부재(66)가 각운동하는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함과 동시에 상기 제 2축선을 중심으로 상기 반사 부재(66)가 각운동하는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조립체.
-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축(82,84)이 서로 평행한 종방향 축선을 갖추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백미러 조립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GB9817205.9 | 1998-08-08 | ||
GBGB9817205.9A GB9817205D0 (en) | 1998-08-08 | 1998-08-08 | Rear view mirror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000017137A true KR20000017137A (ko) | 2000-03-25 |
Family
ID=108368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19990032254A KR20000017137A (ko) | 1998-08-08 | 1999-08-06 | 백미러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KR (1) | KR20000017137A (ko) |
DE (1) | DE69917843D1 (ko) |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2704B1 (ko) * | 2004-09-21 | 2006-08-16 | 김종호 | 자동차용 미러유니트 |
-
1999
- 1999-08-02 DE DE69917843T patent/DE69917843D1/de not_active Expired - Lifetime
- 1999-08-06 KR KR1019990032254A patent/KR20000017137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Cited By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0612704B1 (ko) * | 2004-09-21 | 2006-08-16 | 김종호 | 자동차용 미러유니트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DE69917843D1 (de) | 2004-07-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EP2110283A1 (en) | Pivoting Detent Joint | |
NZ222870A (en) | Pivotable screw jack drive for vehicle rear view mirror | |
JPH0428570B2 (ko) | ||
MXPA00008856A (es) | Conjunto de montaje de espejo con ajuste biaxial. | |
JP3128617B2 (ja) | 車輌用灯具のレベリング調整装置 | |
JP4225637B2 (ja) | バックミラー組立体 | |
KR101619625B1 (ko) | 자동차용 인사이드 미러 조립체 | |
KR100612704B1 (ko) | 자동차용 미러유니트 | |
CN1364124A (zh) | 刮水器驱动装置 | |
US6189399B1 (en) | Adjustment device for motor vehicle seats | |
US20050068647A1 (en) | Rear view mirror assembly | |
KR20000017137A (ko) | 백미러 | |
KR20050018142A (ko) | 차량용 전동 틸트 조향컬럼 | |
KR20210102702A (ko) | 차량용 거치대 | |
JP4632158B2 (ja) | ウイングミラーユニット | |
KR200295981Y1 (ko) | 엘씨디 모니터의 이중힌지의 연동구조 | |
KR200164956Y1 (ko) | 자동차용 룸미러의 일체형 경사각절환장치 | |
JP2563999B2 (ja) | 自動車用アウターミラー | |
EP3647132B1 (en) | Windshield wiper with adaptable attack angle | |
KR200153103Y1 (ko) | 스토퍼 겸용의 회전축을 갖는 자동차의 아웃사이드 미러 | |
KR100429562B1 (ko) | 운전석 전방에 장착된 룸미러 | |
KR100323421B1 (ko) | 토션 바 지지구조 | |
JPH0542669Y2 (ko) | ||
KR200214001Y1 (ko) | 차량용 사이드미러의 미러글래스 | |
JP3287993B2 (ja) | 車両用防眩インナーミラー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WITN |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