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6351A - 구강 위생물용 항균제 - Google Patents

구강 위생물용 항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6351A
KR20000016351A KR1019980709925A KR19980709925A KR20000016351A KR 20000016351 A KR20000016351 A KR 20000016351A KR 1019980709925 A KR1019980709925 A KR 1019980709925A KR 19980709925 A KR19980709925 A KR 19980709925A KR 20000016351 A KR20000016351 A KR 2000001635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imicrobial agent
oil
oral
group
toothpas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9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로카나탄 엠. 이예르
제임즈 알. 스코트
더글라스 에프. 휘트필드
Original Assignee
기울리아니 데이비드
옵티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기울리아니 데이비드, 옵티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기울리아니 데이비드
Publication of KR20000016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6351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 A61K8/922Oils, fats or waxes; Derivatives thereof, e.g. hydrogenation products thereof of vegetable orig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7/00Barrier preparations; Preparations brought into direct contact with the skin for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external influences, e.g. sunlight, X-rays or other harmful rays, corrosive materials, bacteria or insect stings
    • A61Q17/005Antimicrobial preparation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구강 위생 조성물은 삼나무유, 클로람페니콜, 시트로넬라유,Glycyrrhiza glabra추출물, 다즙과일바질유, 레몬바질유 및Rosmarinus officinalis유로부터 선택되는 항균제를 포함한다. 이들 구강 위생 조성물의 구강으로의 적용은Actinomyces viscosus,Campylobacter rectus,Fusobacterium nucleatum,Porphyromonas gingivalis,Streptococcus mutans, 및Streptococcus sanguis와 같은 치태, 충치 및/또는 치주질환과 관련된 박테리아의 성장을 효과적으로 감소시키거나 방지한다.

Description

구강 위생물용 항균제
치주질환 및 충치는 전세계적으로 주요한 대중건강과 경제적인 관심사이다. 이들 두가지 구강질환은 치아상과 잇몸부위에 집단으로 성장하는 박테리아에 의해 야기된다고 현재 광범위하게 인식되고 있다. 이들 박테리아 집단에 대하여 통상 사용되는 기술적인 용어는 "치태(dental plaque)"이다. 치주질환의 경우, 슐루거 등(Schluger, Yuodelis, Page & Johnson,Periodontal Diseases, 2판, pp. 153-262, Lea & Febiger, 1990)은 치아와 잇몸조직이 만나는 부위에서 성장하는 치태박테리아가 "치은염"이라고 하는 잇몸의 염증을 유발한다고 보고하였다. 이것은 쉽게 붉어지고 피가나는 부은 부종의 잇몸("gum")을 특징으로 한다. 치태제거가 부적절하다면, 치은염은 "치주염" 또는 다수의 개별적인 치주질환으로 진행할 것이다. 일반적으로 치주염은 치아주변의 조직의 만성염증을 특징으로 하는데, 이는 지탱하는 골질의 재흡수를 초래한다. 치주질환은 성인에게서 치아손실의 주요원인이다. 또한 충치(의 구멍)도 박테리아에 의해 유발되며,Streptococcus mutans가 주요한 병인체이다(McGhee, Michalek & Cassell, Dental Microbiology, p. 279, Harper & Row, 1982).
충치예방 또는 그것의 제거는 오랫동안 개발의 초점이자 충치와 치주질환 모두를 억제하는 궁극적인 목표가 되어 왔다. 치태의 형성이 자주 간격을 두고 이를 닦음으로써 어느 정도 억제될 수 있는 반면에, 칫솔질 만으로는 치태 형성을 효과적으로 방지하거나 치아에 형성된 치태를 실질적으로 모두 제거하기에는 충분하지 않다.
칫솔질만으로는 플라크를 방지하거나 제거하기에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클로로헥시딘, 염화벤즈알코늄 및 염화세틸피리디늄과 같은 항균물질을 사용하는 화학적 방법이 제안되었다. 또한 치아 및 치은의 치료를 위한 천연생성물의 사용은 이 분야에서는 오래되었으며, 1880년대 중반이래로 실행되고 문헌에도 기록되어 왔다. 그 이래로 많은 특허들이 천연생성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구생성물의 조성물을 개시하였다. 수많은 유용한 천연 정유가 있다. 대부분의 이들 오일은 KIRKOTHMER ENCYCLOPEDIA OF CHEMICAL TECHNOLOGY, 4판, 17권, pp. 603-674, John Wiley & Sons, Inc에 기재되어 있다. 모튼 페이더(Morton Pader)의 "Oral Hygiene Products and Practice",Cosmetic Science and Technology Series, 6권, pp. 356-373. Marcel Dekker, Inc는 항균성을 가진 항 플라크제로서 상귀나리아 추출물을 기술한다. 또한 페이더는 유칼립톨, 멘톨, 티몰, 메틸살리실레이트와 같은 휘발성오일이 다양한 항균활성도를 가지며, 항 플라크 활성이 적당한 테스트 조건하에서 보고되었다고 기술한다. 페이더는 계피유가 매우 약한 방부제이고 유칼립터스유와 유칼립톨이 방부성이라고 기술한다. 페이더는 일부 정유가 주로 향미를 위한 다른 생성물에 사용된다고 기록한다. 그 가운데에는 계피,카시아, 정향, 백리향, 페퍼민트, 아니스 및 아네톨이 있다. 또한 페이더는 이들 정유가 검출가능한 항균활성을 가지고 있다고 기술한다.
예를들면, 코카미도프로필 베타인, 히노키티올과 베르베린 및 정유들, 시트랄, 게라니올 및 쥬니퍼 베리유 각각이 일정한 박테리아에 대하여 항균성을 나타낸다고 알려져 있다.
미국특허 제 3,940,476호는 활성성분으로서 (a) 알릴 이소티오시아네이트, (b) 우라닌, (c) 옵투사스티렌, (d) 시트랄, (e) 시트로넬올, (f) 네롤, 또는 (g) 게라니올 단독 또는 조합의 일정량을 치아에 국소도포하는 것으로 이루어진 치태형성의 억제방법을 기술한다.
미국특허 제 4,913,895호는 수성매질내에 선형 폴리포스페이트, 또는 환상 폴리포스페이트 및 멘톨, 아네톨, 또는 그들의 혼합물을 포함하는 경구조성물을 기술한다. 그 조성물은 항균효과를 가지며 치석 및 치주질환으로의 발전을 예방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미국특허 제 4,966,754호는 일정한 정유와 그들의 조합이Aspergillus niger,Candida albicans,Staphylococcus aureusPseudomonas aeruginosa에 대한 항균성질을 가지고 따라서 화장품 조성물의 방부제로서 적합하다고 기술한다. 14가지의 정유의 혼합물은 상기 미생물에 대하여 원하는 항균성질을 제공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4,999,184호는 항치석 잇점을 제공하는 것으로 보고된 일정한 피로인산염을 함유하는 유성조성물을 기술한다.
미국특허 제 5,316,760호는Urtica dioica추출물과Juniperus communis의 추출물의 조합을 함유하는 구강보호용 생성물을 기술한다. 이들 추출물의 조합은 치태와 잇몸의 출혈 또는 감염 모두의 상승적인 감소를 초래하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또한Achillaea millefolium추출물은Urtica dioicaJuniperus communis추출물의 조합에 적당한 첨가제인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미국특허 제 5,472,684호는 전하는 바에 의하면 항플라크 및 항치주염효과를 가진다고 하는 티몰 및 유게놀, 그리고 선택적으로 파르네솔과 같은 세스키테르펜 알코올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기술한다. 호주산 차나무유, 세이지유, 및 유칼립톨은 개시된 조성물로부터 조제되는 구강린스제의 항플라크 및 항치주염 활성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기재되어 있다.
항플라크 및 항치석제로서 항균제의 효험을 특징짓는 한가지 성질은 항균제의 최소 저해 농도, 또는 MIC이다. MIC는 박테리아 성장이 관찰되지 않는 항균제의 밀리리터당 마이크로그램으로 나타내는 최소농도이다. MIC이하의 농도에서 항균제는 박테리아의 사멸 또는 성장과 번식을 저해하기에는 비효과적이다. MIC이상의 농도에서 항균제는 박테리아의 사멸 또는 성장과 번식을 저해하는데 효과적이다.
통상, 항균제는 초기농도에서 구강으로 도입된다. 거의 즉시 초기 농도는 구강의 동태에 기인하여 감소되기 시작한다. 결국, 구강내 항균제의 농도는 MIC아래로 떨어질 것이다. 따라서 이들 연구의 목표는 항플라크 및 항치석 항균제를 개발하여 저 MIC를 갖는 항균제를 사용하는 것이다.
클로로헥시딘은 약 1㎍/ml의 MIC를 가지며 다른 항균제를 측정하기 위한 표준이다. 클로로헥시딘은 원하는 MIC를 갖지만, 또한 좋지않은 맛을 나타내며 치아를 얼룩지게하는 바람직하지 않은 부작용을 가진다.
본 발명은 구강 위생물용 항균제 및 그러한 항균제를 사용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한가지 양태에서, 본 발명은 삼나무유, 클로람페니콜, 시트로넬라유,Glycyrrhiza glabra추출물, 다즙과일바질유, 레몬바질유 및Rosmarinus officinalis유로부터 선택되는 항균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 조성물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이들 항균제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 조성물은Actinomyces viscosus,Fusobacterium nucleatum,Porphyromonas gingivalis,Streptococcus mutans, 및Streptococcus sanguis와 같이 구강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의 성장을 저해하고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형성되는 구강 위생 조성물은 항균제가 박테리아의 성장을 지연시키거나 박테리아를 사멸시키기에 충분한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항균제는 치약과 같은 구강 위생물에서 통상 발견되는 성분과 조합될 수 있다. 이들 성분은 마모제, 습윤제,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를 포함한다. 다른 치약 성분은 향미제 및 농화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조성물과 생성물은 삼나무유, 클로람페니콜, 시트로넬라유,Glycyrrhiza glabra추출물, 다즙과일바질유, 레몬바질유 또는Rosmarinus officinalis유로부터 선택되는 항균제로 구강을 접촉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구강 위생의 실행방법에 사용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체예의 상세한 설명
여기서 사용되는 바의 다음 용어들은 다음과 같은 의미를 갖는다.
"삼나무유"는 주로Juniperus virginiana또는Juniperus ashei의 심재로부터 유도되는 휘발성 전유(全油)를 말한다. 전유추출물의 구성성분은 투좁센, 세드롤, 알파-코파엔, 알파-세드렌, 베타-세드렌 및 위드롤을 포함한다. 삼나무유의 CAS번호는 8000-27-9이다.
"클로람페니콜"은 2,2-디클로로-N-[2-히드록실-1-(히드록시메틸)-2-(4-니트로페닐)에틸]아세트아미드를 말한다. 클로람페니콜은Streptomyces venezuelae로부터 또는 유기합성에 의해 유도된다. 클로람페니콜의 CAS번호는 56-75-7이다.
"시트로넬라유"는Cymbopogon nardus또는Cymbopogon winterianus의 증기증류에 의해 생성되는 시중구입 가능한 오일이다. 시트로넬라유의 CAS번호는 8000-29-1이다.
감초뿌리 추출물로도 알려진 "Glycyrrhiza glabra추출물"은Glycyrrhiza glabra L.로부터의 조분말 추출물을 말한다.G.typicaG. glandulifera를 포함하여 몇가지 변종이 존재한다.Glycyrrhiza glabra추출물은 구성성분으로서 글리시리즈산과 글리시레틴산을 포함한다. 전(全)추출물은 시중구입 가능하여 또는 후술되는 에탄올 추출과 같은 용매추출에 의해 수집될 수 있다.
"다즙과일바질유"는 다즙과일 성분을 가진 바질의 선택된 변종의 전 추출물을 말한다. 다즙과일바질은Ocimum bascilicum L.의 재배종이다.
"레몬바질유"는 시트랄 성분을 가진 바질의 선택된 변종으로부터의 휘발성 전유 추출물을 말한다. 레몬바질은 고함량의 시트랄을 가진Ocimum bascilicum L. 재배종이다.
"레몬유"는Citrus limon의 신선한 껍질로부터의 휘발성 전유추출물을 말한다. 레몬유는 또한 레몬의 오일 또는 시트러스리몬유로 알려져 있다. 레몬유의 CAS번호는 8008-56-8이다.
"Rosmarinus officinalis유"는 "Rosmarinus officinalis의 꽃이피는 부분(flowering tops)으로부터의 전유추출물을 말한다.Rosmarinus officinalis유는 로즈메리의 추출물, 또는Rosmarinus officinalis유의 추출물로도 알려져 있다.Rosmarinus officinalis유의 CAS 번호는 84604-14-8이다.
상기 모든 것은 시중구입 가능하다.
"최소 저해 농도 또는 MIC"는 박테리아 성장이 관찰되지 않는 항균제의 밀리리터당 마이크로그램으로 나타내는 최소농도이다. MIC이하의 농도에서 항균제는 박테리아를 사멸시키거나 그 성장과 번식을 저해하는데 비효과적이다. MIC 이상의 농도에서 항균제는 박테리아를 사멸시키거나 그 성장과 번식을 저해하는데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형성되는 구강 위생 조성물은 삼나무유, 클로람페니콜, 시트로넬라유,Glycyrrhiza glabra추출물, 다즙과일바질유, 레몬바질유 및Rosmarinus officinalis유로부터 선택되는 항균제를 포함한다. 이들 구강 위생 조성물은 치약, 구강 세정제 및 구강 린스제와 같이,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되는 구강 위생물로 포함될 수 있다.
바람직한 구강 위생 조성물은 삼나무유, 클로람페니콜 및Glycyrrhiza glabra추출물로부터 선택되는 항균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라서 제조되는 구강 위생 조성물로의 통합을 위해 특히 바람직한 것은 삼나무유와Glycyrrhiza glabra추출물로부터 선택된 항균제이다. 이 바람직한 항균제들은 이들 항균제가Actinomyces viscosus,Fusobacterium nucleatum,Porphyromonas gingivalis,Streptococcus mutansStreptococcas sanguis와 같은 대표적인 그램-양성 및 그램-음성 구강 병원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지연시키고/또는 방지하는데 놀라울정도로 효과적이기 때문에 선택된다. 하기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항균제가 특정 박테리아에 대하여 갖는 유효성을 예시한다. 바람직하게는 항균제는 상기한 하나 이상의 박테리아, 바람직하게는 상기한 모든 박테리아에 대하여 효과적이다.
본 발명에 따라서 형성되는 조성물내에 존재하는 항균제의 특정량은 그 존재량이 박테리아의 성장을 지연시키거나 또는 박테리아의 성장을 방지하는데 효과적이라면, 즉 특정 박테리아에 관한 항균제의 MIC보다 더 크게하는 양이라면 어떤 특정한 값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 실시예에 예시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항균제는 대표적인 구강 병원성Actinomyces viscosus,Fusobacterium nucleatum,Porphyromonas gingivalis,Streptococcus mutansStreptococcus sanguis에 대하여 약 3.1 내지 약 156범위의 MIC를 나타낸다.
일반적으로 치약은 수성 습윤제 시스템내 마모광택물질의 농축슬러리이다. 통상, 치약은 착색된 균막을 제거하기 위한 마모제, 향미를 위한 매개체를 제공하는 습윤제, 치약을 구성하고 안정화시키는 농화제, 주로 사용시 거품을 공급하는 계면활성제, 충치예방을 위한 플루오르화물, 및 생성물의 미감을 쾌적하게 만드는 향미료를 포함한다.
여러가지 마모제가 치약용으로 사용가능하며 예를들면 실리카 크세로겔, 실리카 침전물, 인산이칼슘, 인산이칼슘 이수화물, 알루미나 삼수화물, 피로인산 칼슘, 탄산칼슘 및 불용성 메타인산나트륨을 포함한다.
적당한 습윤제의 예로는 소르비톨, 글리세린, 및 폴리에틸렌글리콜을 포함한다.
실리카 에어로겔, 발열성 실리카, 실리카 침전물,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카르복시비닐 폴리머, 크산탄검 및 카라기난이 농화제로서 적당한 물질의 예이다.
계면활성제의 예로는 라우릴 황산나트륨 및 도데실벤젠 술포네이트를 포함한다.
여러가지 향미제가 박하향 또는 통상 사용되는 계피와 같은 다른 청량향미를 제공하는 것들로 시중구입 가능하다.
구강 린스제 또는 구강 세척제는 대부분의 경우에서 항균제가 포함되어 있는 향미제를 가진, 일반적으로 수성의 주입가능한 에멀션이다. 구강 린스제의 전형적인 성분은 생성물을 쾌적하게 만들어 사용하고 치료도 또는 신선도를 강조할 수 있는 향미제, 적당한 분산제내에 향미를 유지시키는 계면활성제, 구강의 느낌을 개선하는 습윤제, 농화제 및 활성제를 포함한다. 종종 계면활성제는 가벼운 거품성질을 구강린스제에 부여하는 데 사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내 박테리아의 성장을 저해하기 위한 항균제를 포함하는 치약 및 구강 린스제는 치약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약 0.001중량% 내지 약 5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하는 항균제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조제된다. 바람직하게는 항균제는 약 0.01중량% 내지 약 2.5중량% 범위의 양으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항균제를 포함하는 치약 및 구강 린스제에 사용되는 특정 성분들은 상술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으나; 바람직하게는 선택되는 성분들은 선택된 항균제의 항균성에 상반되는 효과를 가지지 않는다.
다음 실시예들은 구강내에 존재하는 박테리아에 대한 본 발명의 구강 위생 조성물의 유효성, 그러한 박테리아에 대한 조성물내 항균제의 MIC, 본 발명의 항균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제물, 그러한 치약 조제물에 대한 소비자 선호도, 및 그러한 치약 조제물에 대한 시험관내 유효성 데이타를 예시한다.
실시예 1
항균제의 최소 저해 농도의 측정
다음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유용한 항균제가 구강내에 존재하는 치태 박테리아의 성장을 어떻게 지연시키거나 방지하는지를 예시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특정 박테리아의 가시적인 시험관내 성장을 저해하는 여러가지 항균제의 최저 농도를 예시한다.
분석은 MIC를 측정하기 위하여 마이크로타이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항균제를 여러가지 농도로 희석하였다.
하기 표 1은 본 실시예에서 사용되는 항균제와 이들을 위한 약어의 리스트를 제공한다.
항균제 및 약어
삼나무유(RC1)클로람페니콜(CR1)시트로넬라유(CTR1)Glycyrrhiza glabra추출물(GLY)다즙과일 바질유(JFB1)레몬 바질유(LMB1)Rosmarinus officinalis유(ROF1)
박테리아 배양물을 37℃에서 밤새도록 배양하였다. 후술되는 바의 항균제의 희석전에, 박테리아 배양물을 2000rpm에서 회전시켜서 펠릿으로 하고 인산염완충액으로 재현탁하였다. 접종물(innoculum)을 분광광도계로 5.0×107콜로니 형성 유니트(밀리리터당 CFU)에 해당하는 0.18 내지 0.22 사이의 550nm에서의 광학밀도로 정규화하였다. 접종물을 항균제 희석이 종결될 때까지 방치하였다.
무균 폴리스티렌 96-웰 플레이트를 사용하여 항균제를 희석하였다. 방부기술을 사용하여 증류수 100㎕를 각 테스트 웰에 넣었다. 각 컬럼의 첫번째 웰에 항균제 100㎕를 가하였다. 항균제 원액을 항균제가 용액이 되도록 용매로서 메탄올로 제조하였다. 이것은 원액의 1/2희석액을 초래하였다. 그 다음 이들 웰로부터 100㎕를 칼럼내 그다음 웰들로, 계속해서 각 칼럼으로 아래쪽으로 옮겼다. 각 이전물은 선행 웰에서의 농도의 1/2희석액이었다. 항균제 희석이 종결된 후, 연구중인 박테리아에 특이한 성장 배지 80㎕를 각 웰에 가하였다. 소정 박테리아에 대한 특정 성장 배지는 표 2에 나타낸다.
그다음 접종물 20㎕를 각 웰에 가하였다. 이것으로 각 칼럼의 첫번째 웰은 원액의 1/4의 최종희석액을 갖게되었다. 나머지 웰들은 각 이전물에 대해 선행 웰의 1/2희석액이었다.
96-웰 플레이트를 특정 미생물에 따라서 변화된 조건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조건은 표 2에 나타내었다. 호기성 박테리아는 정상 실내 조건하에서 배양하였고 혐기성 박테리아는 10% 수소가스, 5% 이산화탄소가스 및 나머지 질소가스 분위기하에서 배양하였다. 배양 48시간 후, 배양플레이트를 분광광도계로 미생물 성장에 대해 광학밀도 (OD)로 판독하였다. 0.05 OD 이하로 판독하는 분광광도계로 달성가능한 최저희석액(즉, 검출불가능한 미생물 성장)을 함유하는 웰을 항균제의 표본으로 하였다. 항균제의 MIC는 출발 원액농도와 96-웰 플레이트에서 얻어진 희석액을 평가하여 측정하였다.
96-웰 플레이트에서 배양된 특정 박테리아를 성장배지 및 미생물에 대한 배양조건과 함께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미생물/성장배지/배양조건
미생물 ATCC번호 성장배지 배양조건
Campylobacter rectus 33238 CR media4 48hrs/37℃/혐기성
Actinomyces viscosus(AV) 19246 TSB1 48hrs/37℃/호기성
Fusobacterium nucleatum(FN) 10933 FN media3 48hrs/37℃/혐기성
Porphyromonas gingivalis(PG) 33277 PG media2 48hrs/37℃/혐기성
Streptococcus mutans(SM) 25175 TSB1 48hrs/37℃/호기성
Streptococcus sanguis(SS) 49295 TSB1 48hrs/37℃/호기성
1. 트립신 작용 콩즙 3.0w/v%, 효모추출물 0.1% 및 999ml 증류수2. 트립신 작용 콩즙 3.0w/v%, 효모추출물 0.5%, L-시스테인 0.05%, 헤민 0.0005%, 메나디온 0.00002% 및 990ml 증류수3. 트립신 작용 콩즙 3.0w/v%, 효모추출물 0.5%, 펩톤 1.0%, L-시스테인 추출물, 헤민 0.0005%, 메나디온 0.00002% 및 990ml 증류수4. 뇌 심장 혼합즙 0.74w/v%, 효모추출물 0.01%, 포름산 나트륨 0.2%, 푸메르산 나트륨 0.03%, 헤민 0.005% 및 990ml 증류수
하기 표에서 항균제는 표 1에 나타낸 약어에 관하여 표기한다. 또한, 표 2에 나타낸 다섯가지 미생물도 표 2에 나타낸 약어로 언급한다.
지시된 박테리아에 대한 항균제의 MIC(㎍/ml)
항균제 AV CR FN PG SM SS
RC1 31.3 31.3 31.3 7.8 31.3 15.6
CR1 3.1 - 3.1 6.3 3.1 3.1
CTR1 62.5 125 31.3 31.3 62.5 31.3
GLY 15.6 15.6 15.6 7.8 15.6 7.8
JFB1 156.3 156.3 156.3 62.5 156.3 156.3
LMO1 312.5 125 62.5 31.3 125 125
LCC1 312.5 125 156.3 78.1 156.3 156.3
ROF1 125 125 62.5 62.5 125 125
이 실시예는 기재된 항균제의 최소 저해 농도와 특정 박테리아의 성장을 저해할 수 있는 항균제의 능력을 예시한다.
실시예 2
치약 조제물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항균제로 이루어진 치약 조제물을 기술한다. 조제 18-88은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를 포함하지 않는다.
조제 5-82: 0.1% 삼나무유 (w/w)
성분 중량%
소르비톨 70% 37.00
폴록사머 407 (PLURONICRF127) 9.50
탈이온수 24.50
카보머 940 (CARBOPOLR940) 0.30
수산화나트륨 0.20
크산탄검 0.40
글리세린 4.75
플루오르화나트륨 0.25
사카린나트륨 0.30
SYLODENTR750 (실리카) 9.50
SYLODENTR15 (실리카) 9.50
삼나무유 0.50
향미제 0.90
FD & C 청색 1호 1%용액 0.10
이산화티탄 0.90
라우릴황산나트륨 1.40
조제 5-81: 0.1% 삼나무유 (w/w)
성분 중량%
소르비톨 70% 58.63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나트륨 0.35
탈이온수 3.00
폴리에틸렌 글리콜 600 5.00
글리세린 10.00
플루오르화나트륨 0.22
사카린나트륨 0.30
벤조산나트륨 0.50
SYLODENTR700 (실리카) 15.00
AEROSILR200 (실리카) 3.00
향미제 0.80
에탄올 1.50
삼나무유 0.10
FD & C 청색 1호 1%용액 0.10
라우릴황산나트륨 1.50
조제 5-108: 0.4% 삼나무유 (w/w)
성분 중량%
소르비톨 70% 50.00
탈이온수 24.63
카보머 940 (CARBOPOLR940) 0.30
수산화나트륨 0.20
크산탄검 0.500
플루오르화나트륨 0.22
사카린나트륨 0.55
SYLODENTR750 (실리카) 10.00
SYLODENTR15 (실리카) 10.00
삼나무유 0.40
향미제 0.80
이산화티탄 1.00
라우릴황산나트륨 1.40
조제 18-87: 0.5% Glycyrrhiza glabra 추출물 (w/w)
성분 중량%
소르비톨 70% 50.00
탈이온수 24.53
카보머 940 (CARBOPOLR940) 0.30
수산화나트륨 0.20
크산탄검 0.50
플루오르화나트륨 0.22
사카린나트륨 0.55
SYLODENTR750 (실리카) 10.00
SYLODENTR15 (실리카) 10.00
Glycyrrhiza glabra추출물 0.50
향미제 0.80
이산화티탄 1.00
라우릴황산나트륨 1.40
조제 18-90: 1% 삼나무유 (w/w)
성분 중량%
소르비톨 70% 50.00
탈이온수 24.03
카보머 940 (CARBOPOLR940) 0.30
수산화나트륨 0.20
크산탄검 0.50
플루오르화나트륨 0.22
사카린나트륨 0.55
SYLODENTR750 (실리카) 10.00
SYLODENTR15 (실리카) 10.00
삼나무유 1.00
향미제 0.80
이산화티탄 1.00
라우릴황산나트륨 1.40
조제 18-25: 0.1% 히노키티올
성분 중량%
탈이온수 92.02
카보머 940 (CARBOPOLR940) 1.00
수산화나트륨 0.75
사카린나트륨 0.50
플루오르화나트륨 0.23
향미료 0.80
히노키티올 0.10
에탄올 3.50
라우릴황산나트륨 1.10
조제 18-88: 대조
성분 중량%
소르비톨 70% 37.70
폴록사머 407 (PLURONICRF127) 9.50
탈이온수 25.50
카보머 940 (CARBOPOLR940) 0.30
수산화나트륨 0.20
크산탄검 0.40
글리세린 4.75
플루오르화나트륨 0.25
사카린나트륨 0.40
SYLODENTR750 (실리카) 9.50
SYLODENTR15 (실리카) 9.50
이산화티탄 1.00
라우릴황산나트륨 1.00
"카보머"는 CARBOPOLR940으로 시중구입 가능한 알릴수크로스로 가교결합된 아크릴산으로 구성되는 폴리머를 말한다. CARBOPOLR940은 B.F. Goodrich사제이다. SYLODENTR750 및 700은 실리카겔(이산화규소)이고 SYLODENTR15는 실리카겔(이산화규소)이다. SYLODENTR는 W.R. Grace & Co. Conn. Davison Chemical Division사제이다.
상술된 조제물들은 진공을 유지하면서 탈이온수를 가하고 카보머를 분산시킴으로써 진공믹서내에서 형성된다. 카보머를 잘 분산시켰을때 수산화나트륨을 가하였다. 70% 소르비톨과 폴록사머를 다른 용기내에서 가열하고 혼합하였다. 그 다음 폴록사머 혼합물을 진공믹서에 가하고 카보머 혼합물과 혼합하였다. 크산탄검을 글리세린과 혼합한 다음 진공믹서내 용액에 가하고 거기서 통합하였다. 그 다음 염을 진공믹서에 가하고 이어서 실리카를 가하였다. 이들 성분을 천천히 혼합하였다. 그 다음, 활성화제, 향미제, 라우릴황산나트륨 및 색소를 첨가하고 이어서 잘 섞일때까지 혼합하였다.
이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항균제를 포함하는 몇가지 치약조제물을 예시한다.
실시예 3
소비자 허용도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항균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제물의 소비자 허용도를 예시한다.
표 4 내지 9에 기재된 조제물을 소비자 허용도에 대해 평가하였다. 비교용으로 몇가지 시판 치약도 평가하였다. 이들은 Viadent, Inc.제의 Viadent Gel(조제 5-35), Proctor & Gamble Company제의 Crest Regular Blue Paste(조제 5-97), 및 Warner Wellcome제의 Listerine Teal Gel(조제 5-99)을 포함한다.
대략 20명의 군으로 선호도 연구를 실행하였다. 치약 조제물 한개를 각각의 사람들에게 제공하여 일주일의 기간에 걸쳐 사용하게 하였다. 그 주의 말에 참가자들을 설문조사하였고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요약하였다. 점수범위는 1 내지 10이고, 1은 "불량"이고 10은 "양호"이다. 점수를 합산하여 평균하였다.
소비자 평가
조제 5-82 5-81 5-108 5-35 5-97 5-99
6.61 8.00 6.75 2.72 6.64 7.25
외관 6.42 7.90 6.90 3.16 6.62 6.75
미감 5.80 6.20 7.15 3.72 6.27 4.00
사용후 미감 6.80 5.85 6.05 3.38 6.09 3.85
향기 7.19 6.79 7.05 4.33 6.32 4.55
세정 7.38 5.95 7.00 3.94 6.41 6.10
거품 6.42 5.10 7.55 3.66 6.05 5.85
점조성 7.23 5.95 7.70 4.00 6.14 5.75
구강건조 8.14 6.90 7.10 3.89 7.91 5.70
다음 아침 느낌 7.00 6.16 7.05 3.39 5.50 5.15
전체 구강 느낌 7.33 6.16 7.05 3.11 6.09 4.45
전체 만족도 6.90 6.10 6.90 3.05 5.95 4.20
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활성화제와의 조제물에 대한 전체 소비자 만족도가 일정한 시판 제품에 대한 전체 소비자 만족도 보다 얼마나 더 큰지를 예시한다.
실시예 4
생체내 치은연 박테리아 감소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치약 조제물이 치은연내 박테리아 레벨을 얼마나 감소시키는지 예시한다.
본 실시예에서, 대상자의 칫솔질 습관을 일정하게 하였다. 샘플링하는 날 대상자들은 테스트전 16-18시간(하룻밤)동안 이를 닦지 않았다. 생체내 샘플을 회수하고 48시간후 아가르에서 형성된 세균집락의 수를 카운트함으로써 박테리아의 레벨을 세었다.
대상자들은 18내지 65세였고 최소 20개의 치아를 가졌으며 정상적인 타액분비를 가졌다. 대상자들은 그들이 당뇨병, 혈구비정상, 다운증후군 또는 알려진 HIV-감염과 같은 구강 조직에 영향을 주는 전신 질환이 있거나; 설염, 경증 내지 중증 치은염, 치주염 또는 다른 구강 감염이 있거나 또는 전신항생제를 취하고 있거나 테스트 개시 2주전 이내에 그러하다면 제외되었다.
각각의 조제물을 대략 20명의 대상자들에 대한 항균성 유효도에 관하여 분석하였다. 대상자들로부터 조제물의 "1회 칫솔질 효과"를 위해 샘플링한 날 아침에 대상자들에게 하룻밤 플라크를 갖도록 하였다.
베이스라인으로서 치은연 플라크 샘플을 무균면봉으로 취하고 무균 인산염완충염수(PBS)1ml에 넣었다. 면봉을 앞니 사이의 아랫턱 구강 표면의 치은연을 따라서 부드럽게 문질렀다. 그 다음 대상자들은 2분동안 전기 칫솔을 사용하여 치약 조제물로 베이스라인 샘플후 즉시 칫솔질하였다. 칫솔질 완료후 1 내지 2시간 간격을 두고 치은 플라크 샘플을 상술된 면봉으로 회수하였다.
임상 계획은 다기간 크로스오버 연구였다. 다기간 크로스오버 연구란 대상자들이 첫번째 한 치료를 받은다음 "바꾸어서" 두번째 치료를 받고, 그 다음 세번째 마지막으로 네번째 치료를 받는 실험을 의미한다. 그 실험계획은 각 대상자들이 그들 자신이 대조로서 역할을 할 수 있게 한다. 다른 항균조제물을 테스트하는 사이에 2일의 "세척"기간을 두었다.
치은 샘플을 시험관에 넣고 1시간이 경과될 때까지 실온에서 방치하였다. 시험관 샘플을 무균 PBS내에서 Spiral Plater(Spiral Systems, Cincinnati, Ohio)로 연속적으로 희석하고, 5% 양 혈액으로 보충된 혈액아가르(BBL, Becton Dickinson, Cockeysville, Maryland)상에 플레이트하였다. 그 다음 플레이트된 샘플을 37℃에서 48시간동안 초기배양하였다. 박테리아를 전체 호기성 콜로니 형성 유니트에 대하여 카운트하였다.
박테리아 카운트를 log10유니트로 변환하였다. 각 테스트 조건에 대한 평균과 표준편차를 얻었다. 데이타를 적절한 비교를 위해 대상별로 짝을 짓고 유의 수준을 위해 비매개연수 윌콕슨 사인랭크 테스트(nonparametric Wilcoxon sign-rank test)에 의해 분석하였다. 가설테스트는 임상연구의 다단계 크로스오버 계획을 이용하는 통계에 의존하였다.
데이타를 하기 표 12에 나타낸다. 조제 18-25, 18-87 및 18-90은 표 9, 7 및 8 각각에 나타낸 성분을 포함하였다. 조제 18-88은 표 10에 나타낸 성분(항균제 없음)을 포함하였으며 조제 18-25, 18-87 및 18-90에 대하여 비교용을 위한 대조로서 사용하였다.
생체내 박테리아 레벨에 대한 항균제 함유 치약 조제물의 효과
조제 활성성분 %농도(w/w) 1×106CFU/ml시간 %박테리아감소대 대조 유의 수준 시험대상자수
베이스라인 2시간
18-25 히노키티올 0.1 33.11 4.47 49.8% ** 17
18-87 Glycyrrhizaglabra 추출물 0.5 39.81 2.14 76.0% *** 17
18-90 삼나무유 1.0 31.62 3.16 64.5% *** 17
18-88 대조 -- 33.88 8.91 NA NA 17
통계결과: 유의 수준 테스트는 대조(조제 18-88)에 대하여 2시간에서 행하였다.윌콕슨 사인 랭크는 log10변형 데이타와의 쌍을 조합하였다.***p〈0.01, **p〈0.05, *p〈0.1 NA=적용불가능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항균제를 포함하는 치약 조제물이 치은 생체내 박테리아 레벨을 얼마나 감소시키는지를 예시한다.
실시예 5
Glycyrrhiza glabra의 에탄올추출
Glycyrrhiza glabra로부터의 분말 식물성물질 25g을 95:5 에탄올/물 혼합물 250g과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실온에서 밤새도록 교반하였다. 고형분을 교반혼합물로부터 부흐너 깔때기에서 4호 와트만 필터로 제거하였다. 부흐너 깔때기에서 5호 와트만 필터로 고형분을 더 제거하였다. 부흐너 깔때기에서 와트만 1마이크로미터 필터로 고형분을 추가로 제거하였다. 진공여과장치와 0.2마이크로미터 필터를 사용하여 마지막으로 용액을 세정하였다. 그 다음 세정액을 회전증발기를 사용하여 고형분으로 농축시켰다. 대략 2.5g의 녹빛 고형분을Glycyrrhiza glabra의 조 추출물로서 모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구체예를 예시하고 기술하였지만 여러가지 변형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주를 이탈하지 않고 그 안에서 이루어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Claims (27)

  1. 삼나무유, 클로람페니콜, 시트로넬라유,Glycyrrhiza glabra추출물, 다즙과일바질유, 레몬바질유 및Rosmarinus officinalis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균제로 이루어지는 구강 위생 조성물.
  2. 제 1 항에 있어서, 항균제가 삼나무유, 클로람페니콜, 및Glycyrrhiza glabr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조성물.
  3. 제 2 항에 있어서, 항균제가 삼나무유 및Glycyrrhiza glabr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조성물.
  4. 제 1 항에 있어서, 항균제가 구강 병원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지연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조성물.
  5. 제 4 항에 있어서, 구강 병원성 박테리아는Actinomyces viscosus,Campylobacter rectus,Fusobacterium nucleatum,Porphyromonas gingivalis,Streptococcus mutans, 및Streptococcus sangui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조성물.
  6. 제 1 항에 있어서, 항균제가 박테리아를 사멸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조성물.
  7. 제 6 항에 있어서, 박테리아가Actinomyces viscosus,Campylobacter rectus,Fusobacterium nucleatum,Porphyromonas gingivalis,Streptococcus mutans, 및Streptococcus sangui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조성물.
  8. 제 1 항에 있어서, 항균제는 치태의 형성을 저해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조성물.
  9. 제 1 항에 있어서, 항균제는 항균제의 최소 저해 농도 보다 더 큰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위생 조성물.
  10. 삼나무유, 클로람페니콜, 시트로넬라유,Glycyrrhiza glabra, 다즙과일바질유, 레몬바질유, 레몬유 및Rosmarinus officinalis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균제;
    마모제;
    습윤제;
    결합제; 및
    계면활성제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11. 제 10 항에 있어서, 항균제는 삼나무유, 클로람페니콜 및Glycyrrhiza glabr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12. 제 11 항에 있어서, 항균제는 삼나무유 및Glycyrrhiza glabr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13. 제 10 항에 있어서, 항균제는 구강 병원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지연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14. 제 13 항에 있어서, 박테리아는Actinomyces viscosus,Campylobacter rectus,Fusobacterium nucleatum,Porphyromonas gingivalis,Streptococcus mutans, 및Streptococcus sangui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15. 제 10 항에 있어서, 항균제는 구강 병원성 박테리아를 사멸시키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16. 제 15 항에 있어서, 구강 병원성 박테리아는Actinomyces viscosus,Campylobacter rectus,Fusobacterium nucleatum,Porphyromonas girgivalis,Streptococcus mutans, 및Streptococcus sangui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17. 제 10 항에 있어서, 항균제는 치태의 형성을 저해하는데 효과적인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18. 제 10 항에 있어서, 항균제는 항균제의 최소 저해 농도보다 더 큰 양으로 존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약.
  19. 구강을 삼나무유, 클로람페니콜, 시트로넬라유,Glycyrrhiza glabra, 다즙과일바질유, 레몬바질유, 레몬유 및Rosmarinus officinalis유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항균제로 접촉시키는 단계로 이루어지는 구강 위생의 실행방법.
  20. 제 19 항에 있어서, 항균제는 삼나무유, 클로람페니콜 및Glycyrrhiza glabr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 18 항에 있어서, 항균제는 삼나무유 및Glycyrrhiza glabra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 19 항에 있어서, 접촉단계는 구강을 구강 병원성 박테리아의 성장을 지연시키는데 효과적인 항균제 양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 22 항에 있어서, 구강 병원성 박테리아는Actinomyces viscosus,Campylobacter rectus,Fusobacterium nucleatum,Porphyromonas gingivalis,Streptococcus mutans, 및Streptococcus sangui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 19 항에 있어서, 접촉단계는 구강을 구강 병원성 박테리아를 사멸시키는데 효과적인 항균제 양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제 24 항에 있어서, 구강 병원성 박테리아는Actinomyces viscosus,Campylobacter rectus,Fusobacterium nucleatum,Porphyromonas gingivalis,Streptococcus mutans, 및Streptococcus sanguis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6. 제 19 항에 있어서, 접촉단계는 구강을 치태의 형성을 저해하는데 효과적인 항균제 양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7. 제 19 항에 있어서, 접촉단계는 구강을 항균제의 최소 저해 농도보다 더 큰 항균제 양으로 접촉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KR1019980709925A 1997-04-04 1998-04-01 구강 위생물용 항균제 KR2000001635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82552597A 1997-04-04 1997-04-04
US8/825,525 1997-04-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6351A true KR20000016351A (ko) 2000-03-25

Family

ID=252442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9925A KR20000016351A (ko) 1997-04-04 1998-04-01 구강 위생물용 항균제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EP (1) EP0921784A1 (ko)
JP (1) JP2000512660A (ko)
KR (1) KR20000016351A (ko)
CN (1) CN1225576A (ko)
AU (1) AU6877398A (ko)
BR (1) BR9804814A (ko)
CA (1) CA2257596A1 (ko)
CZ (1) CZ384898A3 (ko)
HU (1) HUP0001257A2 (ko)
IL (1) IL127259A0 (ko)
NO (1) NO985644L (ko)
NZ (1) NZ333146A (ko)
SK (1) SK162898A3 (ko)
WO (1) WO199804490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48309B1 (en) 1997-04-04 2001-06-19 Optiva Corporation Gums containing antimicrobial agents
KR100414548B1 (ko) * 2000-08-28 2004-01-07 황재관 약용식물 추출물을 이용한 구강 미생물에 대한 항균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US6531115B1 (en) * 2001-01-03 2003-03-11 Council Of Scientific & Industrial Research Analgesic and refreshing herbal composition and a process for preparing the same
JP4944309B2 (ja) * 2001-05-18 2012-05-30 花王株式会社 歯周病による炎症の改善治療剤
US6787675B2 (en) 2002-07-29 2004-09-07 Warner-Lambert Company Substituted tropolone compounds, oral care compositions containing the same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6689342B1 (en) 2002-07-29 2004-02-10 Warner-Lambert Company Oral care compositions comprising tropolone compounds and essential oils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US7037535B2 (en) 2002-11-19 2006-05-02 Kimberly-Clark Worldwide, Inc. Method and composition for neutralizing house dust mite feces
US20050019379A1 (en) 2003-07-22 2005-01-2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Wipe and methods for improving skin health
US8110215B2 (en) 2004-04-30 2012-02-07 Kimberly-Clark Worldwide, Inc. Personal care products and methods for inhibiting the adherence of flora to skin
JP4669683B2 (ja) * 2004-09-09 2011-04-13 高砂香料工業株式会社 抗菌剤組成物
JP5294536B2 (ja) * 2005-03-31 2013-09-18 小林製薬株式会社 歯肉上皮細胞伸展阻害剤
BE1017325A3 (nl) * 2006-09-27 2008-06-03 Siera Alexander Tandpasta en nieuw gebruik van tandpasta als therapeutisch middel.
JP2008161188A (ja) * 2006-12-07 2008-07-17 Getto Chaya:Kk 機能性飲料
CN109381384A (zh) * 2017-12-26 2019-02-26 李文婷 一种含有摩擦因子的口腔护理剂
CN108904347A (zh) * 2017-12-26 2018-11-30 李文婷 一种具有摩擦功能的口腔护理剂
CN108904345A (zh) * 2017-12-26 2018-11-30 李文婷 一种具有摩擦因子的口腔护理剂
CN108904346A (zh) * 2017-12-26 2018-11-30 李文婷 一种含有摩擦因子的止血口腔护理剂
KR102079529B1 (ko) * 2018-07-02 2020-02-20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102123321B1 (ko) * 2018-07-02 2020-06-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오일 조성물
KR102123327B1 (ko) * 2018-07-02 2020-06-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세정용 혼합 오일 조성물
KR102123325B1 (ko) * 2018-07-02 2020-06-16 동의대학교 산학협력단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JP2019131619A (ja) * 2019-05-16 2019-08-08 株式会社日健総本社 抗菌剤
CN114869931A (zh) * 2022-05-09 2022-08-09 浙江欣瑞达康生物医学技术有限公司 鼠尾草花提取物的应用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57320A (ja) * 1981-10-01 1983-04-05 Tsurui Yakuhin Kogyo Kk 歯苔形成抑制剤
JPS59175410A (ja) * 1983-03-26 1984-10-04 Kanebo Shokuhin Kk 抗齲蝕性組成物
JPS63198616A (ja) * 1987-02-13 1988-08-17 Yasutake Hichi 抗齲蝕剤
JPH03109314A (ja) * 1989-09-21 1991-05-09 Maruzen Kasei Co Ltd 抗う蝕剤
JPH03199314A (ja) * 1989-12-27 1991-08-30 Masanori Iwase 鉄屑脱銅法
JPH03255031A (ja) * 1990-03-02 1991-11-13 Taiyo Koryo Kk 歯周病予防組成物
JP2996838B2 (ja) * 1993-07-12 2000-01-11 株式会社ポッカコーポレーション 抗菌剤
JP3614479B2 (ja) * 1993-11-10 2005-01-26 森下仁丹株式会社 歯周病原因菌又はう蝕原因菌抑制剤及びこれらを含有する口腔用組成物及び食品
JPH07309733A (ja) * 1994-05-19 1995-11-28 Kanebo Ltd 口腔用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K162898A3 (en) 1999-06-11
JP2000512660A (ja) 2000-09-26
EP0921784A1 (en) 1999-06-16
CZ384898A3 (cs) 1999-04-14
HUP0001257A2 (hu) 2000-09-28
NZ333146A (en) 2000-05-26
BR9804814A (pt) 2000-01-25
NO985644L (no) 1999-02-02
WO1998044901A1 (en) 1998-10-15
CN1225576A (zh) 1999-08-11
NO985644D0 (no) 1998-12-03
IL127259A0 (en) 1999-09-22
AU6877398A (en) 1998-10-30
CA2257596A1 (en) 1998-10-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727242B2 (en) Antimicrobial compositions
KR20000016351A (ko) 구강 위생물용 항균제
KR101480690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한 구강용 조성물
KR20170141053A (ko) 치자나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00012181A (ko) 생약추출 혼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치약 조성물
Teke et al. In vitro antimicrobial activity of some commercial toothpastes
Suriamah et al. Effectiveness of toothpaste containing propolis, tea tree oil, and sodium monofluorophosphate against plaque and gingivitis
KR20170103476A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JP6291151B2 (ja) 口腔用組成物
JP6574150B2 (ja) 口腔用組成物
Fareen et al. Evalu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of commercially available herbal toothpaste-An in vitro study.
KR20200003607A (ko) 치주질환 예방 및 개선용 오일 조성물
KR20140055885A (ko) 구강 위생 증진용 조성물
MXPA98010243A (en) Antimicrobial agents for oral hygiene products
KR20170103494A (ko) 과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1818211B1 (ko) 우방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XPA98010244A (es) Composiciones antimicrobianas
KR20170142975A (ko) 익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20405A (ko) 악틴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20416A (ko) 마타이레시놀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20404A (ko) 2-메톡시신남알데하이드를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20414A (ko) 에스쿨레틴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480A (ko) 지부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20411A (ko) 스코폴레틴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