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759A -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759A
KR20000015759A KR1019980050736A KR19980050736A KR20000015759A KR 20000015759 A KR20000015759 A KR 20000015759A KR 1019980050736 A KR1019980050736 A KR 1019980050736A KR 19980050736 A KR19980050736 A KR 19980050736A KR 20000015759 A KR20000015759 A KR 200000157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de
signal
mode switching
portable communication
switch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507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봉래
Original Assignee
박봉래
박노현
주식회사 컴트루테크놀로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KR1019980034681A external-priority patent/KR20000022857A/ko
Application filed by 박봉래, 박노현, 주식회사 컴트루테크놀로지 filed Critical 박봉래
Priority to KR10199800507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5759A/ko
Priority to GB0104262A priority patent/GB2358112A/en
Priority to AU55307/99A priority patent/AU5530799A/en
Priority to JP2000568265A priority patent/JP2002524940A/ja
Priority to PCT/KR1999/000491 priority patent/WO2000013428A2/en
Publication of KR200000157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75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40Circui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9/00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 H04M19/02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 H04M19/04Current supply arrangements for telephone systems providing ringing current or supervisory tones, e.g. dialling tone or busy tone the ringing-current being generated at the substations
    • H04M19/047Vibrating means for incoming cal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환경에 따라 적합한 호출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기기는 호출모드를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전환신호를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된 외부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를 검출하여, 현재의 호출모드가 소리모드인 경우 이를 사용환경에 적합한 환경친화모드(진동모드, 광모드, 미약소리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수단을 포함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출입하는 모든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자동 전환시키기 때문에 호출음으로 인한 주변사람들의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본 발명은 휴대용 통신단말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사용환경에 따라 적합한 호출모드를 설정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빛이나 봉화를 통신수단으로 이용하던 시대로부터 현재와 같이 전기를 통신에 이용하기 까지는 여러 가지 변모를 거쳐서 발전하여 왔다. 통신의 기본적인 목적은 사회 구성 요소에서 발생하는 여러 가지의 정보를 상호간 매개하는 것이므로 통신의 기본적인 조건은 신속과 정확으로서 일반대중이 많이 이용하기 위해서는 경제성이 따라야 할 것이다. 특히, 통신기술의 발달에 따라 통신의 기본적인 조건들인 신속과 정확이 어느정도 대중의 요구를 만족시키면서 통신기기의 편리성과 유용성 증대에 대한 관심이 보다 증가되고 있는 실정이다.
휴대용 통신기기를 크게 대별하면 페이저(pager)와 휴대용 통신단말(예를들어, 셀룰러폰, PCS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페이저와 휴대용 통신단말은 가입자가 특정한 상대방 가입자의 다이얼을 호출하면, 상대방 가입자의 휴대용 통신기기가 소리나 진동을 통해 그 호출을 알리도록 되어 있다. 따라서, 상대방 가입자는 이러한 호출음이나 진동으로부터 자신이 호출되었음을 알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휴대용 통신기기가 대중적으로 보급됨에 따라 호출음이 소음으로 변해가고 있으며, 특히 소음과 친숙하지 않는 장소인 극장, 도서관, 교실, 사무실, 연구실, 회의실, 교회, 사찰, 영안실, 응급실, 공항 등의 장소에서 페이저나 휴대전화기의 호출음은 주변사람들에게 큰 불쾌감을 안겨주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통신기기에 있어서는 사용자가 사용환경에 따라 수동으로 페이저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호출모드를 진동모드나 소리모드로 전환할 수 있는 장치가 구비되어 있었다.
그러나, 이러한 수동전환 방식은 사용자가 소음에 친숙하지 않는 장소에 입실할 때 마다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를 일일이 확인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한다. 특히, 사용자가 실수로 소음에 친숙하지 않는 장소에 소리모드 상태의 휴대용 통신기기를 소지한채 입실할 경우 호출음으로 인해 주변 사람들에게 불쾌감을 안겨준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많은 노력과 연구가 수행되어 왔다. 그러한 노력중의 하나로서 1998년 학생과학발명품 경진대회 대상 수상작(1998년 7월 23일자 중앙일보 참조)인 호출기를 뉘어 놓으면 소리모드로 바뀌고 세워 놓으면 저절로 진동모드로 바뀜으로서 몸에 부착된 경우(일반적으로, 무선호출기는 세워진 상태에서 몸에 부착된다)에는 진동모드로 바뀌고, 몸에서 분리되면 소리모드로 바뀌는 무선호출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무선호출기는 아래와 같은 문제점을 갖는다. 즉, 첫번째, 핸드백이나 가방에 세워둔 경우, 호출기가 들어있는 옷을 옷걸이 등에 걸어둔 경우, 두터운 겨울옷 바깥 주머니에 놓여진 경우와 같이 몸에 붙어 있지 않아도 세워져 있는 경우가 있을 수 있다.
두 번째, 몸에 붙어 있어도 소리모드가 자연스러운 경우가 있을 수 있다. 즉, 진동모드가 필요없는 곳이나 신체내 진동을 싫어하는 여성들의 경우에는 몸에 부착된 상태에서도 소리모드를 허용해야 할 경우가 있다.
세 번째, 책상위에 호출기를 뉘어놓고 자명종 효과를 얻고자 하는 상당수의 사용자에게는 오히려 불편할 수 있다.
또한, 이스라엘 벤처기업인 넷라인사가 개발한 극장, 교회, 도서관, 병원등에 전파차단장치를 설치하여 휴대폰을 무용지물로 만드는 경우를 들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는 휴대폰 자체의 통신을 불가능하게 만들어 무선통신기기 사용자의 통신권을 침해할 위험이 존재한다.
본 발명자는 사용환경에 따라 휴대용 통신기기가 스스로 자신의 호출모드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이를 환경에 적합한 모드로 전환시킬 수 있다면 종래의 모든 문제점을 해소할 수 있다는 판단을 하였다. 즉, 조용한 분위기를 요구하는 장소(즉, 소음을 꺼리는 장소)에서는 환경친화모드로 전환되고, 그렇지 않은 장소에서는 사용자가 요구하는 모드로 자동적으로 전환되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 1의 목적이다.
여기서, 환경친화모드라 함은 저음소리모드(타인에게 불편함을 주지 않을 정도의 미약한 세기의 호출음을 발하는 것, 이하에서는 미약소리모드로 약칭한다), 진동모드 또는 광모드(호출시 휴대용 통신기기가 빛을 발하는 것) 등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특히, 최광의의 의미에 있어서, 상기 환경친화모드에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놓여져 있을 때 통화를 차단할 수 있도록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는 전력차단모드를 포함한다.
본 발명자는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개발함에 있어 하드웨어적 변경과 소프트웨어적 변경이 모두 가능함을 인식하였다. 하지만, 휴대용 통신기기의 소형화를 추구하는 현재의 발전경향에 비추어 볼 때 하드웨어적 변경 보다는 소프트웨어적 변경이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사용환경에 따라 적합한 호출모드를 자동으로 선택하는 기능을 가지면서도 소형화와 경량화를 훼손하지 않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 2 의 목적이다.
또한, 극히 정숙을 요하는 장소(강의실, 병원 등)나 통화가 금지되는 장소(비행기안 등)에서는 단순히 호출모드를 전환하는 것만으로는 불충분하고, 휴대용 통신기기의 사용을 억제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한, 소음을 꺼리는 장소에서 호출모드의 전환 및 휴대용 통신기기의 사용 억제 기능을 택일적으로 선택할 수 있다면 휴대용 통신기기가 좀더 편리해 질 것이다.
따라서, 극히 정숙을 요하는 장소나 통화가 금지되는 장소에서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력을 통신이 불가능한 최소의 필요전력으로 낮출수 있는 휴대용 통신기기 를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 3 의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자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사용환경을 인식하기 위해서는 외부에서 호출모드의 전환에 대한 정보를 송신하는 장치와 이 모드전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존재하여야 함을 알았다.
따라서, 조용한 분위기를 요구하는 장소에 출입하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자동 설정할 수 있는 환경친화적 통신시스템을 개발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 4 의 목적이다.
또한, 본 발명은 모드전환 기능의 실현이 간단하고, 실시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제 5 의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은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를 전환시키기 위하여 소정 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주변환경에 적합한 환경친화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의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통신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특수주파수대(저 주파수, 초 고주파수)의 전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는 이 특수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수신수단을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의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는 할당된 주파수에 따라 무선기지국과 제어신호 및 음성신호를 송, 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와; 호출모드를 전환시키기 위한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와; 상기 제 2 안테나로부터의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자동 전환시키는 모드전환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에 관한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휴대용 통신기기의 통신용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수신 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특히, 이 모드전환신호는 CDMA 순방향 채널과 동일한 주파수대를 가지며, 파일롯 채널을 통해 전송되고, 다른 기지국에서 사용하지 않는 특별한 PN시퀀스 옵셋값을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에 관한 제 2 양태에 있어서, 휴대용 통신기기는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순방향 신호 및 송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장치와; 모드전환용 PN시퀀스 옵셋값을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안테나 장치로부터 수신한 수신신호가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모드전환용 옵셋값과 일치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에 관한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휴대용 통신기기의 통신용 수신 주파수대와 유사한 공용 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이 제 3 양태의 휴대용 통신기기는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순방향 신호 및 송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 장치와; 상기 안테나 장치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중 모드전환신호를 그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신호여과수단과; 상기 신호여과수단에 의해 추출된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에 관한 제 4 양태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신호 또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공급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력차단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으로 부터의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할 때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하고, 전력차단신호를 수신할 때 배터리로부터의 공급전원을 차단하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포함한다.
또한, 이 제 4 양태의 휴대용 통신기기는 기지국으로 부터의 통신용 신호와 상기 송신수단으로 부터의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용 신호,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으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검색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으로부터 전력차단신호가 검색되면 배터리로부터의 공급전원을 차단하는 전력차단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는 CDMA의 파일롯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에는 타 기지국에서 사용하지 않는 특별한 PN시퀀스 옵셋값이 주어지고, 그 옵셋값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송신수단은 모드전환신호 송신모드와 전력차단신호 송신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은 소리모드와 환경친화모드(진동모드, 미약소리모드, 광모드)를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있어서, 호출모드를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전환신호를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된 외부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를 검출하여, 현재의 호출모드가 소리모드인 경우에는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고, 현재의 호출모드가 환경친화모드인 경우에는 현재의 호출모드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모드전환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제 1 양태는 상기 모드전환신호가 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신용 제어신호와 동일 주파수대역을 갖고, 상기 수신수단은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한다.
또, 상기 모드전환수단은 모드전환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수단과;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수단과; 상기 안테나 장치로 부터 수신한 수신신호가 상기 제 1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모드전환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제 2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를 판독하여 판독된 호출모드가 소리모드인 경우에는 이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 모드전환코드는 CDMA의 파일롯 채널에 할당되는 512개의 PN시퀀스 옵셋값중 다른 기지국에서 사용되지 않는 모드전환용으로만 특별하게 할당된 옵셋값을 갖는다.
상기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제 2 양태는, 상기 모드전환신호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신용 제어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유사한 주파수대역을 가지며, 상기 수신수단은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와, 이 수신신호를 그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로 분리하는 스위칭 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제 3 양태는, 상기 모드전환신호가 휴대용 통신기기가 사용하지 않는 특수주파수대(저 주파수, 초 고주파수)의 신호이고, 상기 수신수단은 이러한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안테나 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제 2 양태 및 제 3 양태의 모드전환수단은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으로 부터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검출하고, 현재의 호출모드가 소리모드인 경우에는 그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출모드로서 소리모드와 환경친화모드를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있어서, 호출모드를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전환신호를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된 외부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모드전환신호에 근거하여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로 입실할때는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하고, 퇴실할때는 입실전의 호출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수단을 포함하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상기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제 1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신용 제어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대역을 갖고, 상기 수신수단은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를 포함한다.
또, 상기 모드전환수단은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가 통신용 제어신호인지 모드전환신호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수단과;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이 상기 안테나 장치로부터의 수신신호가 모드전환신호인 것으로 판별하면,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판독하여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소리모드인 경우 이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안테나 장치로부터 모드전환신호로 판별되는 수신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고,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환경친화모드인 경우 이를 소리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판별수단은 CDMA의 파일롯 채널에 할당되는 512개의 PN시퀀스 옵셋값중 다른 기지국에서 사용되지 않는 모드전환용으로만 특별하게 할당된 옵셋값을 갖는 파일롯 신호를 모드전환신호로 판별한다.
상기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제 2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신용 제어신호와 유사한 주파수대역을 가지며, 상기 수신수단은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와, 이 수신신호를 그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로 분리하는 스위칭 장치로 이루어진다.
상기한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사용하지 않는 특수주파수대(저 주파수, 초 고주파수)의 신호이고, 상기 수신수단은 이러한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안테나 장치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모드전환수단은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모드전환용 안테나 장치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판독하여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소리모드인 경우 이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모드전환용 안테나 장치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고,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환경친화모드인 경우 이를 소리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상기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제 2 및 제 3 양태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수단은 현재의 호출모드상태, 이전의 호출모드상태 및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를 판독하여 입실상태와 퇴실상태를 판별하고, 입실시에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진동모드로 전환시키고, 퇴실시에는 진동모드를 이전의 호출모드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어수단은 판독된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가 짝수번째이면 입실상태로 판단하고, 홀수번째이면 퇴실상태로 판단한다.
본 발명은 호출모드로서 소리모드와 환경친화모드를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있어서, 기지국으로 부터의 통신용 신호 및 외부송신수단으로부터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전환신호와 배터리로 부터의 공급전력을 차단하기 위한 전력차단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용 신호,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를 서로 식별하기 위한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으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검색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으로부터 전력차단신호가 검색되면 배터리로부터의 공급전원을 차단하는 전력제어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는 CDMA의 파일롯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상기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에는 타 기지국에서 사용하지 않는 특별한 PN시퀀스 옵셋값이 주어지고, 그 옵셋값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를 전환시키기 위하여 소정 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주변환경에 적합한 호출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에 대한 다른 일 특징은 소음에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출입구에 설치되어 출입하는 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 이상의 출입물체 감지수단과; 상기 출입물체 감지수단으로부터 출입감지신호를 전달받아 휴대용 통신기기가 인식할 수 있는 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발생시키는 신호발생수단과; 상기 신호발생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를 주변환경에 적합한 호출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 및 장점들은 하기에 설명될 것이며,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알게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 및 장점들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낸 수단 및 조합에 의해서 실현될수 있다.
명세서내에 통합되어 있고 명세서의 일부를 구성하는 첨부도면은 발명의 현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며, 다음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과 함께 본 발명의 원리를 설명하는 역할을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의 일 실시예의 개략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의 다른 일 실시예의 개략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3은 상기 도 2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화기의 제 1 실시예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제 2 실시예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상기 도 5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적용되는 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의 일 실시예에 대한 플로챠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상기 도 5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적용되는 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플로챠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저의 제 1 실시예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저의 제 2 실시예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은 상기 도 9의 페이저에 적용되는 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의 일 실시예에 대한 플로챠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1은 상기 도 9의 페이저에 적용되는 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플로챠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2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제 3 실시예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페이저의 제 3 실시예의 블록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 4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 15는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환경친화적 통신시스템의 블록 구성도를 도시한 것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 5 실시예의 전력차단 처리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플로챠트를 도시한 것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출입구 2, 14: 외부송신장치
3: 제 1 광센서 4: 제 2 광센서
5: 셀룰러 이동전화기 6: 페이저
21, 56, 121, 156: 안테나 35, 135: 제어부
36, 136: ROM 37, 137: RAM
41, 141: 모드전환부 43, 143: 링거용 스피커
45, 145: 진동모터 101: 전력제어부
102: 배터리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도면 전체를 통하여 동일한 부분을 나타낸다.
첨부도면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의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의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외부구성을 나타낸다.
도 1에는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조용한 분위기를 요구하는 장소, 소음을 꺼리는 장소를 포함한다)의 출입구(1)와 이 출입구에 근접한 휴대용 통신기기(5, 6)가 도시되어 있다.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로서는 도서관, 극장, 강의실, 사무실, 연구실, 회의실, 교회, 사찰, 음악감상실, 미술관, 응급실, 영안실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는 극히 정숙을 요하는 장소(강의실, 중환자실 등)나 통화가 금지되는 장소(비행기안)도 포함한다.
또한, 상기 출입구(1)는 각 장소마다 복수개(예를들어, 정문과 후문 등) 존재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5, 6)는 무선호출기, 셀룰러 이동전화단말 및 PCS폰(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개인휴대전화단말) 등을 포함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기기가 반드시 상술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휴대하기에 간편하고 이동성이 보장되는 모든 이동용 통신단말에 미치는 것은 물론이다.
상기 출입구(1)의 안쪽 상단에는 외부송신장치(2)가 설치되어 있다. 이 외부송신장치(2)는 휴대용 통신기기(5, 6)가 인식할 수 있는 주파수대역의 신호를 발생시키는 모드전환신호 발생수단이다. 도 1의 경우 상기 외부송신장치(2)가 출입구(1)의 안쪽 상단에 설치된 예가 도시되어 있지만, 출입구(1)의 바깥쪽 상단이나 하단 및 측면에도 설치 가능하다.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5, 6)는 도 4, 도 5 및 도 12의 구성을 갖는 휴대용 통신단말(5)과, 도 8, 도 9 및 도 13의 구성을 갖는 페이저(6)를 포함한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기기(5, 6)가 도 4 및 도 8과 같이 모드전환신호만을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하는 경우, 상기 외부송신장치(2)는 음성 및 데이터 정보를 송, 수신하기 위한 통신용 주파수와는 다른 저주파수대 또는 초 고주파수대의 전파를 발생시킨다.
또한, 휴대용 통신기기(5, 6)가 도 5, 도 9, 도 12 및 도 13과 같이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한 하나의 안테나만을 구비하고 있는 경우 상기 외부송신장치는 각 휴대용 통신기기의 통신용 수신주파수에 대응하는 전파를 발생시킬 수 있도록 복수개 존재하여야 한다. 이는 셀룰러 폰, PCS 폰 및 페이저 등의 기종과 통신사업자에 따라 그 수신 주파수대가 각기 다르기 때문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의 다른 일 실시예에 대한 개략적인 외부구성을 나타낸다.
도 2의 시스템은 상술한 도 1의 시스템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도 2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출입구(1)의 측면에 대상물체의 출입상태를 감지하기 위한 광센서(3, 4)가 복수개 설치된 것이 특징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같이, 광 센서(3, 4)는 출입구(1)의 측면 상, 하단에 각기 하나씩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광 센서(3, 4)는 투광부와 수광부로 이루어져 대상물체가 출입구를 통해 지나가게 되면 광이 차단된다. 이와같이, 수광부로 입사되는 빛이 차단되면, 상기 수광부는 대상물체에 대한 감지신호를 도 3의 제어부(13)에 인가한다. 이에따라, 제어부(13)는 외부송신장치(14)에 전파의 발생을 명령한다.
상기 광 센서(3, 4)는 대상물체를 감지하기에 적당하다면, 반드시 도 2와 같이 측면 상, 하단에만 부착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출입구(1)의 대각선 모서리 지점에 각기 설치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광 센서의 설치위치는 당업자의 평균적 지식으로 충분히 설계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도 2의 경우에는 출입하는 대상물체를 감지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투광부와 수광부를 갖는 투과형 광 센서의 예를 들었다. 하지만, 감지수단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사형 광 센서나 다른 균등수단으로 치환 가능하다.
또한, 상기 제 1 및 제 2 광센서(11, 12)와 제어부(13) 사이에는 A/D변환기(15)가 개재된다. 즉, 제 1 및 제 2 광 센서(3, 4)에서 감지된 아날로그 신호는 A/D변환기(15)를 통해 제어부(13)가 인식할 수 있는 디지털 신호로 전환된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기기를 휴대한 사용자가 도 2의 출입구를 통과하게 되면 제 1 및 제 2 광 센서(3, 4)가 작동하게 되어 출입구(1) 상단에 있는 외부송신장치(2)는 소정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방사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어부(13)는 상기 제 1 및 제 2 광 센서(3, 4)중 어느 하나가 작동되더라도 외부송신장치(2)를 구동시킨다. 즉, 반드시 제 1 및 제 2 광 센서(3, 4)가 동시에 작동될 필요는 없을 것이다.
또한, 상기 외부송신장치(2)는 출입구(1)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기 설치되어 모드전환시 휴대용 통신기기(5, 6)가 사용자의 입실과 퇴실의 상태를 파악하게 할 수도 있다. 즉, 출입구(1) 안쪽과 바깥쪽에 설치된 외부송신장치(2)로부터 발생되는 전파의 주파수대를 달리하거나 동일한 주파수대로 설정하더라도 그 전파에 실리는 모드전환코드를 달리함으로써 휴대용 통신기기(5, 6)가 입실상태인지 퇴실상태인지를 스스로 인식하게 할 수 있다. 이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 후술하도록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송신장치(2)는 출입구 근처에 설치되는 것이 아니라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천장에 설치되어 일정한 반경에 걸쳐 전파를 송신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때, 외부송신장치는 천장의 중심부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외부송신장치의 송신강도는 모드전환제어를 실시하고자 하는 장소의 면적보다 더 넓은 범위를 포괄할 수 있도록 충분한 세기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본 발명의 모드전환제어시스템은 외부송신장치와 휴대용 무선통신기기로 구성된다. 아래에서는 외부송신장치와 휴대용 무선통신기기를 분리하여 하나하나 살펴보도록 한다.
A. 외부송신장치
본 발명의 외부송신장치(2)는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내에 존재하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소음공해를 일으키지 않도록 제어하기 위한 제어신호를 송신하는 장치이다.
일반적으로, 휴대용 통신기기로 인해 발생하는 소음공해는 크게 두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첫 번째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음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이다. 두 번째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사용하는 사용자의 통화음성이 지나치게 크기 때문이다.
첫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를 소리모드에서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두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윤리나 도덕성에 맡기거나 휴대용 통신기기의 통화자체를 차단시키는 방법만이 존재할 뿐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외부송신장치는 상술한 첫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하기 위한 모드전환신호를 송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외부송신장치는 상술한 두 번째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차단신호를 송출하거나 문자통신만이 가능하도록 음성통화채널을 차단하는 채널차단신호를 송출한다.
먼저,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하기 위한 본 발명의 외부송신장치의 구체적인 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1. 휴대용 통신기기가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대역(특수 주파수대)의 전파를 송신하는 경우
일반적으로 휴대용 무선통신기기가 통신용으로 사용하는 주파수 대역은 표준으로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이 경우의 외부송신장치는 현재 무선통신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저주파수 혹은 초고주파수대의 전파를 발생하여야 한다. 물론, 이 경우 대응하는 휴대용 무선통신기기는 외부송신장치의 저주파수 혹은 초고주파수대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수신수단을 포함하고 있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휴대용 통신기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한 상태인지 아니면 퇴실한 상태인지를 구별하기 위하여 출입구의 바깥쪽과 안쪽에 각기 하나씩의 외부송신장치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쪽과 바깥쪽에 설치된 외부송신장치의 송신주파수대역은 서로 상이해야 할 것이다. 또는 안쪽과 바깥쪽에 설치된 외부송신장치의 송신주파수 대역은 동일하게 설정하고 그 송신신호에 실린 코드를 달리하여 구분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 외부송신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동통신 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가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도면의 첨부와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2. 휴대용 통신기기의 수신주파수 대역과 유사한 주파수 대역의 전파를 송출하는 경우
이 경우 외부송신장치는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의 수신주파수 대역과 유사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하여야 한다. 이 외부송신장치는 수신 주파수 대역이 다른 복수의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셀룰러 이동전화, 페이저, PCS폰 등)에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복수개 설치될 수 있다. 또는 하나의 외부송신장치가 일정한 주기별로 해당 주파수 대역별 모드전환신호를 연속적으로 송신할 수 있도록 설계할 수도 있을 것이다.
이 외부송신장치의 구체적인 구성은 이동통신 분야의 당업자라면 충분히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도록 설계가 가능하므로 구체적인 도면의 첨부와 구성의 설명은 생략한다.
3.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의 통신용 수신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를 갖는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하는 경우
이 경우 외부송신장치는 대응하는 휴대용 무선통신기기(특히, 셀룰러 이동전화의 경우)가 TDMA방식을 사용하는가 혹은 CDMA방식을 사용하는 가에 따라 송신하는 모드전환신호도 달라질 것이다.
예를들어, 모드전환의 대상이 되는 셀룰러 이동전화가 CDMA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송신장치는 순방향 CDMA채널과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특히, CDMA 이동전화시스템의 경우 외부송신장치는 이동국과의 초기 동기를 이루기 위해 64개의 0비트열로 이루어진 파일롯(pilot)채널을 사용하여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이 파일롯(pilot)채널은 이동국이 시스템 획득, 타이밍 및 코히런트 변조를 위한 위상 기준으로 사용하는 기준채널이다.
이 경우 모드전환신호는 512개의 PN 시퀀스 옵셋중 모드전환신호용으로 특별히 할당된 옵셋 인덱스를 사용함으로써 다른 기지국으로 부터의 파일롯 신호와 구별된다.
또한, 주파수 재사용 개념에 따라 현재 이동국이 위치하는 셀에서는 도저히 수신할 수 없는 PN 시퀀스 옵셋을 사용함으로써 휴대용 통신기기가 현재의 파일롯 신호가 모드전환신호임을 인식하게 하는 방법도 가능할 것이다. 이 경우 외부송신장치는 현재 외부송신장치가 위치하는 셀에서는 도저히 수신할 수 없는 옵셋값을 갖는 파일롯 신호를 모드전환신호로 할당하여 송신할 수도 있을 것이다.
물론, 본 발명의 외부송신장치가 파일롯 채널이 아닌 동기채널이나 호출채널등을 통해서도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할 수 있으나 이는 외부송신장치의 제작비용을 고려할 때 바람직하지 않다.
만약, 모드전환의 대상이 되는 셀룰러 이동전화가 TDMA방식을 사용하는 경우 외부송신장치는 제어채널(control channels)을 통해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결국, 외부송신장치는 모드전환의 대상이 되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신호처리방식과는 상관없이 휴대용 통신기기가 수신 대기상태(idle mode: 유휴모드)에서 기지국과의 동기를 위해 항상 체크하는 초기접속채널을 통해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외부송신장치가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차단신호를 송출하거나 문자통신만이 가능하도록 음성통화채널을 차단하는 채널차단신호를 송신하는 예를 설명한다.
4.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력을 제어하기 위한 전력차단신호를 송출하는 경우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가 강의실, 회의실, 중환자실 및 비행기안과 같이 극히 정숙을 요하거나 통화의 차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단순히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하는 것만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이 경우에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외부송신장치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력을 제어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이때, 전력차단의 대상이 되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외부송신장치로부터 전력차단신호를 수신하면 그 내부 ROM내에 기입되어 있는 전력차단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전력차단기능을 수행한다.
5. 문자통신만이 가능하도록 음성통화채널을 차단하는 채널차단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가 강의실, 회의실, 중환자실과 같이 극히 정숙을 요하거나 음성통화의 차단이 필요한 경우에는 단순히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하는 것만으로는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없다.
또한, 상기 4와 같이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력을 차단하는 경우에는 통신차체가 불가능하므로 휴대용 통신기기 사용자에게 불편을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이경우에는 외부송신장치가 음성채널차단신호를 포함하는 전파를 송신하고, 대응 휴대용 통신기기는 이 신호를 수신함에 따라 음성채널이나 통화채널을 차단하도록 하면 된다.
상술한 외부송신장치와 결합되어 소음공해에 유효적절하게 대처할 수 있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을 구축하는 휴대용 통신단말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가 아래에 설명된다.
B. 휴대용 통신기기
본 발명의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에 적용되는 휴대용 통신기기(5, 6)의 구성 및 동작을 첨부도면 도 4 내지 도 16을 참조하여 살펴보면 아래와 같다.
실시예 1
본 실시예는 모드전환신호를 특수주파수대의 신호로 설정하고, 휴대용 통신단말은 이 특수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한 경우이다. 따라서, 간단한 외부송신장치의 설치와 휴대용 통신단말의 간단한 하드웨어적 변경을 통해 호출음으로 인한 소음공해를 차단함으로써 새로운 통신문화를 선도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외부송신장치(2)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데이터 및 음성정보의 수신을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하지 않는 저 주파수대 또는 초 고주파수대의 전파를 발생시키는 장치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휴대용 통신기기는 상기 저 주파수대 또는 초 고주파수대의 전파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에 관한 휴대용 통신기기의 구성 및 동작을 도 4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다.
여기서, 도 4는 본 실시예의 셀룰러 이동전화에 대한 개략적인 블록구성도를 나타낸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셀룰러 이동전화기는 안테나(21), 액정표시부(22), 키입력부(23), 스피커(24), 마이크(25), 스위치(SW)(27), 수신부(28), 송신부(29), 음성합성장치(30), 디지털변복조부(31), 신호처리부(32), 스피치코덱부(33), 음성변환회로부(34), 제어부(35), ROM(36), RAM(37)으로 구성되는 통신처리부와, 안테나(56), 수신부(52)로 구성되는 모드전환처리부(50)로 이루어진다.
통신처리부의 안테나(21)는 할당된 주파수대역에 따라 무선기지국(도시하지 않음)과 음성 및 데이터 정보를 송, 수신한다.
이때, 안테나(21)는 스위치(27)를 통하여 수신한 수신신호는 수신부(28)에 출력하고, 스위치(27)를 통하여 송신부(29)에서 입력되는 송신신호는 무선기지국으로 송출한다.
모드전환처리부(50)의 안테나(56)는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출입구나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송신장치에서 저 주파수대 또는 초 고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수신부(52)에 출력한다.
여기서, "저 주파수대 또는 초 고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라 함은 페이저, 셀룰러 이동전화 및 PCS폰 등의 휴대용 통신기기가 통신용으로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대의 신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이 주파수대역의 신호는 기지국과의 신호 송, 수신을 위해, 휴대용 무선통신기기에 부착되는 안테나(21)로는 수신하기가 곤란하다.
또한, 상기 모드전환처리부(50)의 안테나(56)는 휴대용 통신단말과는 분리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안테나가 단말기와 분리설치된 경우에는 통신용 선로와 커넥터를 통해 단말기의 이어폰 단자를 연결함으로써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휴대용 무선통신기기가 무선기지국으로부터 데이터 및 음성정보를 수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대역을 "일반주파수"로, 외부송신장치(2)가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대역을 "특수주파수"로 정의한다. 또한, 일반주파수대의 신호는 통신용 신호로, 특수주파수대의 신호는 모드전환신호로 정의한다.
상기 스위치(27)는 제어부(35)에 의해 전환 제어되고, 안테나(21)에 대하여 수신부(28) 및 송신부(29)를 전환하여 접속하고, 통상은 안테나(21)와 수신부(28)를 접속하고 송신시에 안테나(21)와 송신부(29)를 접속한다.
상기 수신부(28)는 음성합성장치(30)에 의해 설정된 수신주파수대의 수신신호를 스위치(27)를 통하여 안테나(21)에서 수신하여 그 수신신호를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하여 디지털변복조부(31)에 출력한다.
또한, 모드전환처리부(50)의 수신부(52)는 설정되어 있는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 신호를 안테나(56)에서 수신하여, 그 수신신호를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한 후, 디지털신호로 전환하여 제어부(35)로 출력한다.
송신부(29)는 디지털변복조부(31)에서 송신신호가 입력되면 음성합성장치(30)에 의해 설정된 송신주파수로 스위치(27)를 통해 안테나(21)에서 송신한다.
음성합성장치(30)는 제어부(35)에 의해 발진주파수대가 지시되면 그 주파수대를 수신부(28) 및 송신부(29)에 설정한다.
디지털변복조부(31)는 수신부(28)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변조된 수신신호를 디지털 복조하여 신호처리부(32)에 출력함과 동시에 신호처리부(32)에서 입력되는 송신신호를 디지털 변조하여 송신부(29)에 출력한다.
신호처리부(32)는 디지털복조부(31)와 스피치코덱부(33)의 사이에서 송, 수신 음성신호를 교환하고, 제어부(35)와의 사이에서 통신용 제어신호를 교환하며, 소정의 타임슬롯으로 수신된 디지털 데이터의 실제 데이터를 추출함과 동시에 무선전화기 내부에서 작성되는 디지털 데이터에 제어부(35)에서 입력되는 헤드부를 부가하여 소정의 데이터 형식으로 전환하고, 소정의 타임슬롯에 삽입하여 디지털변복조부(31)에 출력한다. 상기한 신호처리부(32)의 처리방식은 TDMA방식에 적용되는 것으로서 CDMA방식의 경우에는 그 신호처리방식이 달라질 것이다.
스피치코덱부(33)는 신호처리부(32)에서 입력되는 APPCM방식 등으로 압축된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신장하여 음성변환회로부(34)에 출력함과 동시에 음성변환회로부(34)에서 입력되는 디지털음성데이터를 ADPCM 방식 등으로 압축하여 신호처리부(32)에 출력한다.
음성변환회로부(34)는 A/D변환기, D/A변환기 등으로 구성되고, 스피치코덱부(33)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전환하여 스피커(24)에 출력함과 동시에 마이크(25)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전환하여 스피치코덱부(33)에 출력한다.
제어부(35)는 CPU 등으로 구성되고, ROM(36)내에 격납되어 있는 통신제어 처리프로그램이나 호출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에 따라 통신제어처리나 호출모드전환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부(35)는 키입력부(23)에서 입력되는 전화번호의 액정표시부(22)로의 표시, 안테나(56)로부터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ROM(36)내에 격납되어 있는 후술하는 호출모드전환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호출모드의 전환을 실행한다.
ROM(36)은 제어부(35)가 실행하는 통신제어 처리프로그램 및 호출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 등을 격납한다.
RAM(37)은 제어부(37)가 통신제어처리 및 호출모드전환처리를 실행할 때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데이터 영역을 형성한다. 특히, RAM(37)내의 특정 저장영역이나 호출레지스터(도면에 미도시)에는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가 기억된다.
예를들어, 소리모드인 경우에는 "11"을, 진동모드인 경우에는 "0"을, 광모드인 경우에는 "1"을, 미약소리모드인 경우에는 "10"을 기억한다. 여기서, 상기 "광모드"는 휴대용 통신단말이 기지국에 의해 호출되면 휴대용 통신단말의 외부 케이스면에 설치된 램프가 빛을 발함으로써 현재의 호출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호출모드 상태를 말한다. 또한, 상기 "미약소리모드"는 휴대용 통신단말이 호출되었을 때 주위의 타인에게 불쾌감을 주지 않을 정도의 미약한 호출음이 울리는 호출모드 상태를 말한다.
따라서, 제어부(35)에 모드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35)는 RAM(37)이나 호출레지스터내에 기억되어 있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 데이터를 확인하여 그 데이터가 "11"이면 모드전환부(41)에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0", "1", "10"이면 현재의 모드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액정표시부(22)는 제어부(35)에서 입력되는 각종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모드전환부(41)는 제어부(35)에서 인가되는 모드전환 제어신호에 따라 링거용 스피커(43), 진동용 모터(45) 및 호출용 램프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한다.
링거용 스피커(43)는 착신호시 호출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호출상태를 알리고, 진동용 모터는 착신호시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호출상태를 알린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휴대용 통신단말을 소지한 상태에서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하면 그 출입구나 천장에 설치된 외부송신장치(2)는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이 모드전환신호는 본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단말의 안테나(56)을 통해 수신된다. 안테나(56)를 통해 수신된 모드전환신호는 수신부(52)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전환된 후 제어부(35)에 입력된다. 이때, 제어부(35)는 통신용 제어신호나 음성신호가 아닌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된 것을 감지하고, ROM(36)내에 격납되어 있는 아래와 같은 호출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제어부(35)는 수신부(52)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RAM(37)이나 호출레지스터내에 저장된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확인한다. 여기서,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라 함은 수신부(52)를 통해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될 당시의 호출모드상태를 의미한다.
이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가 소리모드인 경우에는 호출모드의 전환을 명령하는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모드전환부(41)에 출력하고, 환경친화모드(광모드, 미약소리모드, 진동모드)인 경우에는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를 유지하라는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모드전환부(41)에 출력한다.
이때, 모드전환부(41)에 호출모드의 전환을 명령하는 모드전환 제어신호가 입력되면, 모드전환부(41)는 링거용 스피커(43), 진동용 모터(45) 및 호출용 램프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구동한다. 이때, 특히 모드전환부(41)가 미약소리모드를 선택하는 경우에는 링거용 스피커의 볼륨을 호출에 필요한 정도의 최소크기로 조정한다.
모드전환처리시 모드전환부가 여러 가지 환경친화모드중 어느 것을 선택할 것인가는 사용자가 미리 수동으로 무선통신단말에 입력시켜야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 1 실시예가 페이저에 적용된 경우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의 페이저는 안테나(121), 수신부(128), 디코더부(131), 제어부(135), ROM(136), RAM(137), 액정표시부(122)로 구성되는 호출처리부와 안테나(156), 수신부(152), 제어부(135), 모드전환부(141), 링거용 스피커(143) 및 진동용 모터(145)로 구성되는 모드전환처리부를 포함한다.
안테나(131)는 페이저용 무선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일반주파수대의 호출신호를 수신하고, 이 수신신호를 수신부(128)에 출력한다.
안테나(156)는 도 1 및 도 2의 외부송신장치에서 송신되는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수신부(152)에 출력한다.
수신부(128)는 설정되어 있는 수신주파수대의 수신신호를 안테나(131)에서 수신하면 그 수신신호를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한 후, 디지털 복조하여 디코더부(131)에 출력한다.
수신부(152)는 설정되어 있는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안테나(156)에서 수신하면, 그 수신신호를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한 후, 디지털 신호로 전환하여 제어부(135)로 출력한다.
디코더부(131)는 수신부(128)에서 디지털 복조된 수신신호를 해독하고, 그것이 자기에 대하여 보내져 온 것일 때, 즉, ROM(136)에서 받아들인 ID코드와 일치할 때는 일치검출신호 및 계속해서 수신되는 메시지신호를 제어부(135)에 보낸다.
ROM(136)은 ID코드와 후술하는 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 등을 기억한다.
RAM(137)은 제어부(135)가 호출제어처리 및 모드전환처리를 실행할 때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데이터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RAM(137)내의 특정 저장영역이나 호출레지스터(도면에 미도시)에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기억된다. 예를들어, 소리모드인 경우에는 "11"을 진동모드인 경우에는 "0"을 기억한다. 따라서, 제어부(135)에 모드전환 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135)는 RAM(137)이나 호출레지스터내에 기억되어 있는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가 "11"이면 모드전환부(141)에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0"이면 현재의 모드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액정표시부(122)는 제어부(135)에서 입력되는 각종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모드전환부(141)는 제어부(135)에서 인가되는 모드전환 제어신호에 따라 링거용 스피커(143)나 진동용 모터(145)를 선택, 구동한다.
링거용 스피커(143)는 착신호시 호출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호출상태를 알리고, 진동용 모터(145)는 착신호시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호출상태를 알린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페이저를 소지한 상태에서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출입구를 통해 입십하면 이 출입구 상단에 설치된 외부송신장치는 통과물체를 감지하여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이 모드전환신호는 페이저의 안테나(156)을 통해 수신된다. 안테나(156)를 통해 수신된 모드전환신호는 수신부(152)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전환된 후 제어부(135)에 입력된다. 이때, 제어부(135)는 ROM(136)내에 격납되어 있는 아래와 같은 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제어부(135)는 수신부(152)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RAM(137)내에 저장된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확인한다. 이때,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소리모드인 경우에는 호출모드의 전환을 명령하는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모드전환부(141)에 출력하고, 진동모드인 경우에는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를 유지하라는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모드전환부(141)에 출력한다.
이 모드전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드전환부(141)는 링거용 스피커(143)나 진동용 모터(145)를 선택, 구동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휴대용 통신기기를 소지한 상태에서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할 경우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는 자동으로 환경친화모드로 전환되어 착신호시 발생하는 불쾌한 호출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상술한 제 1 실시예는 당업자에 의해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한바, 이하에서 그 변형예를 살펴보기로 한다.
실시예 1 - 1(변형예 1)
본 변형예 1(실시예 1-1)은 휴대용 무선전화기나 페이저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적용한 경우만을 설명한다.
실시예 1의 경우에는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한 경우 그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실시예 1은 사용자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를 나올 경우에도 여전히 환경친화모드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소리모드를 원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호출모드를 전환시켜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 1은 사용자가 퇴실할 경우 입실전에 사용했던 호출모드로 되돌아 가는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이 변형예 1의 경우에는 외부송신장치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출입구에 설치된 경우에만 적용된다.
본 변형예 1은 실시예 1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ROM(36)과 RAM(37)에 저장된 정보와 제어부(35)의 제어방식만이 아래와 같이 실시예 1과 차이난다.
변형예 1의 RAM(37)에는 실시예 1의 RAM(37)에 저장된 데이터 외에 "이전의 호출모드상태"와,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를 나타내는 데이터가 저장되어 있다.
여기서, "이전의 호출모드상태"라 함은 호출모드가 전환되기 직전의 호출모드 상태를 말한다. 즉, 입실전 모드가 소리모드이고, 입실후 모드가 진동모드일 경우 퇴실시에 이전의 호출모드상태는 입실전의 모드인 소리모드가 된다. 또한, 재입실시에 이전의 호출모드 상태는 입실후 모드인 진동모드가 된다.
또한,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는 아래와 같이 두가지의 방법을 통해 저장될 수 있다.
첫 번째는,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에 관한 데이터에 2비트를 할당(최초에는 "0"이다)하고, 모드전환이 이루어질 때 마다 1을 증분하는 경우이다. 이 경우에는 4의 배수에 해당하는 모드전환이 이루어질 때 마다 자리올림이 발생하고 동시에 리셋된다. 예를들어, 7번째 모드전환이 이루어지는 경우 RAM내에 저장된 모드전환 신호의 수신횟수에 관한 데이터는 "10"을 나타낸다.
두 번째는,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에 관한 데이터에 1비트를 할당(최초에는 "1"이다)하고, 모드 전환이 이루어질 때 마다 자리올림수(carry)의 발생여부를 체크하는 경우이다.
상술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경우 모두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가 짝수번째인지 홀수번째인지를 쉽게 알아낼 수 있다. 즉, 첫 번째의 경우에는 저장된 2비트의 데이터를 10진수로 환산함으로써 쉽게 알아낼 수 있다. 또 두 번째의 경우에는 자리올림수의 발생 여부를 체크하여 자리올림이 발생하면 홀수번째이고, 자리올림이 발생하지 않으면 짝수번째로 판단하면 된다.
또한, 본 변형예 1의 ROM(36)에 저장된 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과 제어부(35)의 제어방식은 아래와 같이 실시예 1과 차이점을 가진다.
다음에 본 변형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변형예의 휴대용 무선전화기(5)를 소지한 상태에서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출입구(1)를 출입하게 되면 이 출입구 상단에 설치된 전파발생장치(2)는 통과물체를 감지하여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이 모드전환신호는 본 변형예의 휴대용 무선전화기(5)의 안테나(56)를 통해 수신된다. 안테나(56)를 통해 수신된 모드전환신호는 수신부(52)를 거쳐 디지털 신호로 전환되어 제어부(35)에 입력된다. 이때, 제어부(35)는 ROM(36)내에 격납되어 있는 아래와 같은 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을 실행한다.
즉, 제어부(35)는 수신부(52)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RAM(37)내에 저장된 현재의 호출모드상태와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를 확인한다.
이때, RAM(37)내에 저장된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가 짝수번째이고,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소리모드인 경우 제어부(35)는 호출모드의 전환을 명령하는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모드전환부(41)에 출력한다. 또, RAM(37)내에 저장된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가 짝수번째이고, 현재 호출모드상태가 환경친화모드인 경우 제어부(35)는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를 유지하라는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모드전환부(41)에 출력한다.
반면에, RAM(37)내에 저장된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가 홀수번째인 경우에는 RAM(37)내에 저장된 이전의 호출모드상태를 판독하여 이전의 호출모드상태와 동일한 모드로 전환하라는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모드전환부(41)에 출력한다.
이 모드전환 제어신호에 따라 모드전환부(41)는 링거용 스피커(43)나 진동용 모터(45)를 선택함으로써 사용환경에 적합한 호출모드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들어, 사용자가 소리모드(진동모드) 상태에서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최초로 입실하면 제어부는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가 짝수번째임을 파악하여 현재의 호출모드상태인 소리모드(진동모드)를 진동모드로 전환한다(그대로 유지한다). 사용자가 퇴실할 경우 제어부는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가 홀수번째임을 파악하고 이전의 호출모드상태인 소리모드(진동모드)를 판독하여 현재의 진동모드를 소리모드로 전환한다(그대로 유지한다). 사용자가 재입실할 경우 제어부는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가 짝수번째임을 파악하여 현재의 호출모드상태인 소리모드(진동모드)를 진동모드로 전환한다(그대로 유지한다). 이와같은 방법에 의해 입실과 퇴실시에 적합한 호출모드를 간단한 방법으로 전환할 수 있다.
또한, 본 변형예 1의 경우에도 상기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환경친화모드로서 진동모드 뿐만 아니라 광모드나 미약소리모드를 모두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 1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소음에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할 경우에는 언제나 그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가 환경친화모드로 전환되지만, 퇴실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최초 설정한 모드(환경친화모드 혹은 소리모드)로 되돌아 가게 되는 특장점을 갖는다.
실시예 1-2(변형예 2)
본 변형예는 휴대용 무선전화기나 페이저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적용한 경우만을 설명한다.
상기 실시예 1은 사용자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출입구를 통해 입실할 경우 그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사용자가 출입구를 통해 퇴실할 경우 여전히 환경친화모드가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소리모드를 원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호출모드를 전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 2는 사용자가 퇴실할 경우 입실전에 사용했던 호출모드(원래의 모드)로 되돌아 가는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변형예 2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다만 아래와 같은 구성만이 서로 다르다.
본 변형예 2는 상기 변형예 1과는 달리 출입구의 안쪽과 바깥에 각기 외부송신장치를 설치하고, 안과 밖의 외부송신장치가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갖거나 또는 동일한 주파수를 갖되 서로 다른 2진 코드를 갖는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하는 것이 특징이다.
예를들어, 바깥쪽 외부송신장치는 6비트의 모든 자리가 0인 신호 "0"를 송신하고, 안쪽 전파발생장치는 6비트의 모든 자리가 1인 신호 "111111"을 송신한다. 따라서, 본 변형예의 제어부는 최종적으로 수신된 모드전환신호가 "0"인지 "111111"인지를 판별하여 "111111"인 경우에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판독하여 소리모드인 경우에는 환경친화모드(특히, 진동모드)로 전환하고, 환경친화모드인 경우에는 현재의 모드를 그대로 유지한다. 또한, 제어부는 최종적으로 수신된 모드전환신호가 "0"인 경우에는 이전의 호출모드상태를 판독하여 현재의 모드를 이전모드로 전환한다.
따라서, 본 변형예 2의 경우에도 사용자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할 경우에는 언제나 그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가 환경친화모드로 전환되지만, 퇴실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최초 설정한 모드(환경친화모드 혹은 소리모드)로 되돌아 가는 장점을 가진다.
실시예 1-3(변형예 3)
본 변형예는 휴대용 무선전화기나 페이저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적용한 경우만을 설명한다.
실시예 1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소음에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할 경우 그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사용자가 소음에 친숙하지 않은 장소를 퇴실할 경우 여전히 환경친화모드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소리모드를 원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호출모드를 전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 3은 사용자가 퇴실할 경우 입실전에 사용했던 호출모드로 되돌아 가는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변형예 3의 구성은 실시예 1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다만 아래와 같은 구성만이 서로 다르다.
본 변형예 3은 상기 변형예 1 및 2와는 달리 외부송신장치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고, 그 장소내에 있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기기는 일정한 주기로 송신되는 모드전환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하는 상태에 놓여있다. 따라서,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내에 휴대용 통신기기가 놓여 있을 경우에는 외부송신장치로부터 모드전환신호를 계속 수신하는 상태에 있고, 그 장소를 퇴실할 경우에는 더 이상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인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단말의 제어부는 모드전환신호가 수신되다가 모드전환신호가 일정한 시간동안(1분정도) 계속 수신되지 않으면 휴대용 무선단말이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를 퇴실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변형예 1 및 2와 동일한 과정을 통해 현재의 환경친화모드를 원래의 호출모드로 전환한다.
실시예 2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1-3은 다같이 휴대용 통신기기에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하고 있는 경우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와같이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안테나를 구비할 경우에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소형화나 경량화라는 과제는 효율적으로 달성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 2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모드전환신호와 통신용 신호를 함께 수신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소형화, 경량화를 달성함과 동시에 모드전환기능도 가질 수 있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구현함이 특징이다.
특히, 본 실시예 2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통신용 신호와 모드전환신호를 동시에 수신 가능하도록 하기 위해 모드전환신호의 주파수대가 통신용 신호의 수신주파수대와 동일한 것이 특징이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와 페이저의 블록구성도가 도 5 및 도 9에 도시된다.
먼저, 도 5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구성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실시예 2의 휴대용 무선전화기는 상기 실시예 1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구성과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예 1과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어부(35)는 CPU 등으로 구성되고, ROM(36)내에 격납되어 있는 통신제어 처리프로그램이나 호출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에 따라 통신제어처리나 호출모드전환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35)는 키입력부(23)에서 입력되는 전화번호의 액정표시부(22)로의 표시, 안테나(21)로부터 설정된 수신 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ROM(36)내에 격납되어 있는 도 6의 호출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에 따라 호출모드의 전환을 실행한다.
ROM(36)은 제어부(35)가 실행하는 통신제어 처리프로그램, 호출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 및 모드전환코드 등을 격납한다. 여기서, 상기 호출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은 도 6의 플로챠트를 따른다. 상기 모드전환코드는 외부송신장치(2)에서 송신하는 모드전환신호와 통신용 신호를 서로 구별하기 위한 식별코드이다.
예를들어, 모드전환코드는 사용자들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통신용 ID코드와 명확히 구별될 수 있도록 설정된다.
RAM(37)은 제어부(37)가 통신제어처리 및 호출모드전환처리를 실행할 때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데이터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RAM(37)이나 호출레지스터(도면에는 미도시)내에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기억된다.
다음에 도 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6을 참조하면,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소지한 상태에서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하게 되면 그 장소의 천장에 설치된 외부송신장치(2)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이 모드전환신호는 본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안테나(51)을 통해 수신된다. 안테나(51)를 통해 수신된 모드전환신호는 수신부(52)를 거쳐 디지털 복조된 후 제어부(35)에 입력된다.
이때, 제어부(35)는 도 6에 도시되는 플로챠트의 호출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을 수행한다.
먼저, 제어부(35)는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
단계 S1에서 수신신호의 존재가 확인되면 제어부(35)는 이 수신신호가 통신용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수신신호가 ROM(36)내에 격납된 통신용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2)
이때, 수신신호가 통신용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단계 S7로 넘어가 ROM(36)내에 격납되어 있는 통신제어 처리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상기 단계 S2에서 수신신호가 통화호출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즉, 수신신호가 통화용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35)는 수신신호가 모드전환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가 ROM(36)내에 격납된 모드전환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3)
상기 단계 S3에서 수신신호와 모드전환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35)는 RAM(37)내에 격납되어 있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판독한다.(단계 S4)
이때,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소리모드이면(단계 S5), 호출모드는 환경친화모드로 전환된다. (단계 S6)
반면에,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환경친화모드이면(단계 S5), 호출모드는 환경친화모드를 그대로 유지한채 모드전환처리는 종료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동일한 주파수의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가 수신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외부송신장치는 각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기종에 따른 다양한 주파수대의 전파를 발생시킬 수 있어야 한다. 예를들어, 셀룰러 이동전화기의 경우에는 011과 017, PCS폰의 경우에는 016, 018 및 019에 대응하는 주파수대역의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나의 안테나(21)를 통해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가 함께 수신되기 때문에 제어부(35)는 ROM(36)내에 내장되어 있는 통신용 코드와 모드전환코드를 통해 현재 수신되는 신호가 통신용 제어신호인지 모드전환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안테나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소형화, 경량화할 수 있는 특장점을 갖는다.
도 9에는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페이저의 블록구성도가 도시되고, 도 10에는 상기 도 9의 페이저에서 실행되는 호출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의 플로챠트가 도시되어 있다.
페이저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이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상기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갈음하여 생략한다.
실시예 2-1(변형예 1)
본 변형예의 경우 휴대용 무선전화기나 페이저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도 5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변형예가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적용된 경우만을 설명한다. 페이저의 경우에는 도 9 및 도 11을 참조함으로써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실시예 2와 마찬가지로 페이저의 경우도 휴대용 무선전화기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갖기 때문에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갈음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한 경우 그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사용자가 퇴실할 경우 여전히 환경친화모드가 유지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소리모드를 원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호출모드를 전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본 변형예 1은 사용자가 퇴실할 경우 입실전에 사용했던 호출모드로 되돌아 가는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변형예 1은 실시예 2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다만, ROM(36)과 RAM(37)에 저장된 정보와 제어부(35)의 제어방식만이 아래와 같이 실시예 2와 차이난다.
변형예 1의 RAM(37)에는 실시예 2의 RAM(37)에 저장된 데이터 이외에 이전의 호출모드상태와,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가 저장된다.
여기서, "이전의 호출모드상태"라 함은 호출모드가 전환되기 직전의 호출모드 상태를 말한다. 즉, 입실전 모드가 소리모드이고, 입실후 모드가 진동모드일 경우 퇴실시에 이전의 호출모드상태는 입실전의 모드인 소리모드가 된다. 또한, 재입실시 이전의 호출모드상태는 입실후 모드인 진동모드가 된다.
또한,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저장된다.
또한, 본 변형예 1의 ROM(36)에 저장된 호출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과 제어부(35)의 제어방식은 아래와 같이 실시예 2와 차이점을 가진다.
다음에 도 7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도 7에 도시된 바와같이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소지한 상태에서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하게 되면 천장에 설치된 외부송신장치(2)는 그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수신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이 모드전환신호는 본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안테나(51)을 통해 수신된다. 안테나(51)를 통해 수신된 모드전환신호는 수신부(52)를 거쳐 디지털 복조된 후 제어부(35)에 입력된다.
이때, 제어부(35)는 도 7에 도시되는 호출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제어부(35)는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1)
단계 S11에서 수신신호의 존재가 확인되면 제어부(35)는 이 수신신호가 통신용 제어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즉, 수신신호가 ROM(36)내에 격납된 통신용 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2)
이때, 수신신호가 통신용 코드와 일치하는 경우에는 단계 S21로 넘어가 ROM(36)내에 격납되어 있는 통신제어 처리프로그램을 수행한다.
상기 단계 S12에서 수신신호가 통신용 제어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면(즉, 수신신호가 통신용 코드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상기 제어부(35)는 수신신호가 모드전환신호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즉, 안테나(21)를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가 ROM(36)내에 격납된 모드전환코드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단계 S13)
상기 단계 S13에서 수신신호와 모드전환코드가 일치하면, 상기 제어부(35)는 RAM(37)내에 격납되어 있는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를 판독하여 그것이 짝수번째인지 홀수번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단계 S14)
이때,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가 짝수번째이면 제어부(35)는 RAM(37)내에 격납되어 있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판독한다. (단계 S15)
단계 S15에서 판독한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소리모드이면(단계 S16),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한다. (단계 S17)
반면에,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환경친화모드이면(단계 S16),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그대로 유지하고 모드전환처리를 종료한다. (단계 S18)
단계 S14에서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가 홀수번째이면 제어부(35)는 RAM(37)내에 격납되어 있는 이전의 호출모드상태를 판독하여(단계 S19),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이전모드상태로 전환한다. (단계 S20)
따라서, 본 변형예 1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할 경우에는 언제나 그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가 환경친화모드로 전환되지만, 퇴실할 경우에는 사용자가 최초 설정한 모드(입실전의 호출모드)로 되돌아 가게 된다.
실시예 2-2(변형예 2)
본 변형예 2의 경우 휴대용 무선전화기나 페이저에 모두 적용할 수 있다. 여기서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적용한 경우만을 설명한다.
실시예 2의 경우에는 사용자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할 경우 그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사용자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를 통해 퇴실할 경우 여전히 환경친화모드를 유지하게 되어 사용자가 소리모드를 원할 경우에는 수동으로 호출모드를 전환하여야 하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본 변형예 2는 사용자가 퇴실할 경우 입실전에 사용했던 호출모드로 되돌아 가는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변형예 2의 구성은 실시예 2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다만 아래와 같은 구성만이 서로 다르다.
본 변형예 2는 상기 변형예 1과는 달리 외부송신장치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고, 그 장소내에 있는 사용자의 휴대용 통신기기는 일정한 주기로 송신되는 모드전환신호를 계속적으로 수신하는 상태에 놓여있다. 따라서,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내에 휴대용 통신기기가 놓여 있을 경우에는 외부송신장치로부터 모드전환신호를 계속 수신하는 상태에 있고, 그 장소를 퇴실할 경우에는 더 이상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할 수 없는 상태에 놓인다.
따라서, 휴대용 통신단말의 제어부는 모드전환신호가 수신되다가 일정한 시간동안(1분정도) 계속 수신되지 않으면 휴대용 무선단말이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를 퇴실한 것으로 판단하여 상기 변형예 1과 동일한 과정을 통해 현재의 환경친화모드를 원래의 호출모드로 전환한다.
실시예 3
상기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 2 내지 실시예 2-2는 다같이 휴대용 통신기기의 안테나에 수신되는 모드전환신호와 통신용 제어신호의 주파수대가 동일한 경우를 나타낸다. 하지만, 이와같이 모드전환신호를 통신용 제어신호의 수신 주파수대역과 동일하게 송신하기 위해서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사용 주파수대역 마다 별도의 외부송신장치를 구비하여야 하기 때문에 비용부담이 증가되는 단점이 존재한다. 즉, 한국의 경우 모드전환이 가능하게 하기 위해서는 011, 017의 셀룰러 이동전화기와 016, 018, 019의 PCS폰에 대해 각기 대응하는 외부송신장치를 설치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통신용 수신신호와 모드전환신호를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수신하되, 셀룰러폰과 PCS폰, 페이저를 하나의 그룹(즉; 012, 015그룹, 011, 017그룹, 016, 018, 019그룹)으로 묶어 각 그룹에 공통되는 주파수대역(즉, 셀룰러 폰의 주파수대역 또는 페이저의 주파수대역)을 결정하고 이 주파수대역에 해당하는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하고, 이를 휴대용 통신기기내에서 통신용 제어신호와 분리해내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12는 본 실시예가 적용된 휴대용 통신기기의 블록구성도이다.
이 실시예 3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구성은 상기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구성과 거의 동일하다. 따라서, 실시예 1 및 실시예 2와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한다.
안테나(221)는 휴대용 통신기기와 무선기지국 사이에서 소정 주파수대의 데이터 및 음성신호를 송, 수신하고, 제 1 스위치(227)를 통하여 수신한 수신신호를 제 2 스위치(251)에 출력함과 동시에 제 1 스위치(227)를 통하여 송신부(229)에서 입력되는 송신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외부송신장치(2)로부터 송신되는 소정 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여 이를 제 1 스위치(227)를 통해 제 2 스위치(251)에 출력한다.
제 1 스위치(227)는 제어부(235)에 의해 전환 제어되고, 안테나(221)에 대하여 제 2 스위치(251) 및 송신부(229)를 전환하여 접속하고, 통상은 안테나(221)와 제 2 스위치(251)를 접속하고 송신시에 안테나(221)와 송신부(229)를 접속한다.
제 2 스위치(251)는 제 1 스위치(227)를 통해 입력되는 수신신호중 음성합성장치(230)를 통해 설정되는 제 1 수신 주파수대와 일치하는 신호는 제 1 수신부(231)로 전환하여 접속하고, 음성합성장치(230)를 통해 설정되는 제 2 수신 주파수대와 일치하는 신호는 제 2 수신부(252)로 전환하여 접속한다.
상기 제 1 수신 주파수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기지국으로부터 제어신호와 음성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설정되는 통신용 신호의 수신주파수대를 의미한다. 상기 제 2 수신 주파수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기 위해 설정되는 주파수를 의미한다. 이 제 2 수신 주파수는 셀룰러폰(011, 017)과 PCS폰(016, 018, 019)에 각기 공용하는 주파수를 나타낸다.
예를들어, 셀룰러폰의 안테나로 수신할 수 있는 011과 017의 공용 주파수와 PCS폰의 안테나로 수신할 수 있는 016, 018, 019의 공용주파수가 제 2 수신 주파수가 될 수 있다. 따라서, 이 제 2 수신 주파수대의 신호는 일반 셀룰러폰이나 PCS폰의 경우에도 수신할 수는 있지만 일반 셀룰러폰이나 PCS폰에서는 잡음으로 취급되어 차단된다. 페이저의 경우에도 012와 015의 공용 주파수를 결정함으로써 이 제 2 수신 주파수대역이 설정된다.
따라서,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출입구 또는 천장에 설치되는 외부송신장치는 적어도 페이저, 셀룰러폰, PCS폰의 공용 주파수대역에 해당하는 모드전환신호를 각기 송신할 수 있어야 할 것이다.
상기 제 2 스위치(251)는 통상은 제 1 스위치(227)와 제 1 수신부(231)를 접속하고 모드전환신호의 수신시에만 제 1 스위치(227)와 제 2 수신부(252)를 접속한다.
제 1 수신부(231)는 음성합성장치(230)에 의해 설정되는 제 1 수신주파수대의 수신신호를 제 2 스위치(251)를 통하여 안테나(221)에서 수신하면 그 수신신호를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하여 디지털변복조부(232)에 출력한다.
제 2 수신부(252)는 음성합성장치(230)에 의해 설정되는 제 2 수신주파수대의 수신신호를 제 2 스위치(251)를 통하여 안테나(221)에서 수신하면 그 수신신호를 소정의 증폭율로 증폭한 후, 디지털 복조하여 제어부(235)로 출력한다.
송신부(229)는 디지털변복조부(232)에서 송신신호가 입력되면 음성합성장치(230)에 의해 설정되는 송신주파수대에서 제 1 스위치(227)를 통하여 안테나(221)에서 송신한다.
음성합성장치(230)는 제어부(235)에 의해 발진주파수대가 지시되면 그 주파수대를 제 1 및 제 2 수신부(231, 252) 및 송신부(29)에 설정한다.
디지털변복조부(232)는 제 1 수신부(231)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변조된 수신신호를 디지털 복조하여 신호처리부(233)에 출력함과 동시에 신호처리부(233)에서 입력되는 송신신호를 디지털 변조하여 송신부(229)에 출력한다.
신호처리부(233)는 디지털변복조부(232)와 스피치코덱부(234)의 사이에서 송, 수신 음성신호를 교환하고, 제어부(235)와의 사이에서 통신용 제어신호를 교환하고, 소정의 타임슬롯으로 수신한 디지털 데이터의 실제 데이터를 추출함과 동시에 무선전화기 내부에서 작성되는 디지털데이터에 제어부(235)에서 입력되는 헤드부를 부가하여 소정의 데이터 형식으로 전환하고, 소정의 타임슬롯에 삽입하여 디지털변복조부(232)에 출력한다. 이 경우는 휴대용 무선단말이 TDMA방식을 적용하는 예를 나타내는 것으로서 휴대용 무선단말이 CDMA방식을 적용하는 경우에는 달라질 수 있다.
스피치코덱부(234)는 신호처리부(233)에서 입력되는 APPCM방식 등으로 압축된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신장하여 음성변환회로부(228)에 출력함과 동시에 음성변환회로부(228)에서 입력되는 디지털음성데이터를 ADPCM 방식 등으로 압축하여 신호처리부(233)에 출력한다.
음성변환회로부(228)는 A/D변환기, D/A변환기 등으로 구성되고, 스피치코덱부(234)에서 입력되는 디지털 음성데이터를 아날로그 음성신호로 전환하여 스피커(224)에 출력함과 동시에 마이크(225)에서 입력되는 아날로그 음성신호를 디지털 음성데이터로 전환하여 스피치코덱부(234)에 출력한다.
제어부(235)는 CPU 등으로 구성되고, ROM(236)내에 격납되어 있는 통신제어 처리프로그램이나 호출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에 따라 통신제어처리나 호출모드전환처리를 실행하고, 상기 각부의 동작을 제어하고, 키입력부(223)에서 입력되는 전화번호의 액정표시부(222)로의 표시, 제 2 수신부(252)로부터 제 2 수신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ROM(236)내에 격납되어 있는 후술하는 호출모드전환 처리 프로그램에 따라 호출모드의 전환을 실행한다.
ROM(236)은 제어부(235)가 실행하는 통신제어 처리프로그램 및 호출모드전환 처리프로그램 등을 격납한다.
RAM(237)은 제어부(235)가 통신제어처리 및 모드전환처리를 실행할 때에 필요한 각종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격납하는 데이터 영역을 형성한다. 또한, RAM(235)내에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기억된다. 예를들어, 소리모드인 경우에는 "11"을 진동모드인 경우에는 "0"을 기억한다. 따라서, 제어부(235)에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제어부(235)는 RAM(237)내에 기억되어 있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판독하여 그것이 "11"이면 모드전환부(241)에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인가하고, "0"이면 현재의 모드상태를 그대로 유지한다.
액정표시부(222)는 제어부(235)에서 입력되는 각종 표시데이터를 표시한다.
모드전환부(241)는 제어부(235)에서 인가되는 모드전환 제어신호에 따라 링거용 스피커(243)나 진동용 모터(245)를 선택, 구동한다.
링거용 스피커(243)는 착신호시 호출음을 통해 사용자에게 호출상태를 알리고, 진동용 모터(245)는 착신호시 진동을 통해 사용자에게 호출상태를 알린다.
다음에 본 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전화기를 소지한 상태에서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하게 되면 이 출입구(1) 상단이나 천장에 설치된 외부송신장치(2)는 통과물체를 감지하여 휴대용 통신기기의 공용 주파수대(제 2 수신주파수대)에 해당하는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한다.
이 모드전환신호는 본 실시예의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안테나(221)를 통해 수신된다. 안테나(221)를 통해 수신된 제 2 수신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는 제 2 스위치(251)를 거쳐 제 1 수신주파수대의 통신용 제어신호와 분리되고, 제 2 수신부(252)를 거쳐 디지털 복조된 후 제어부(235)에 입력된다.
모드전환신호가 제 2 수신부(252)를 통해 제어부(235)에 입력되면, 제어부(235)는 RAM(237)내에 격납되어 있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판독한다.
이때,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소리모드이면, 호출모드는 환경친화모드로 전환된다. 반면에,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환경친화모드이면, 호출모드는 환경친화모드를 그대로 유지한채 모드전환처리는 종료한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나의 안테나를 통해 서로 다른 주파수대(유사한 주파수대역)의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가 수신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외부송신장치는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공용 주파수대의 전파를 발생시킬 수 있어야 한다. 예를들어, 셀룰러폰의 경우에는 011과 017의 공용 주파수, PCS폰의 경우에는 016, 018 및 019의 공용 주파수에 대응하는 주파수대역의 모드전환신호를 발생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하나의 안테나(221)를 통해 서로 다른 주파수 대역의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기 때문에 그 휴대용 통신기기의 내부에는 이 수신신호를 서로 분리해 낼 수 있는 수단이 내재되어 있어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기존의 휴대용 통신기기 내부에 일정한 회로변경이 불가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는 별도의 안테나를 설치할 필요가 없기 때문에 실시예 1에 비해 제작비용이 절감되고, 실시예 2에 비해 외부송신장치가 송신해야 하는 주파수대역의 수가 줄어들기 때문에 설치비용을 줄일 수 있다.
도 13에는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페이저의 블록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
페이저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휴대용 무선전화기의 경우와 동일한 구성 및 동작을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페이저의 구성 및 동작에 대한 설명은 상기 휴대용 무선전화기에 갈음하여 생략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를 제어부에 구별하여 인식시키는 방법만 상기 실시예 1과 상이할 뿐 제어부가 모드전환신호를 인식한 후 호출모드전환처리를 실행하는 과정은 동일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상기 실시예 1의 변형예인 실시예 1-1 및 실시예 1-2 및 실시예 1-3과 동일한 변형예가 당업자의 평균적 지식으로 쉽게 창안될 수 있다.
실시예 4
본 실시예는 상기 실시예 2의 변형예의 일종으로서 외부송신장치에 의해 송신되는 모드전환신호가 CDMA 이동전화시스템의 순방향(기지국에서 이동국으로 송신되는 경우) 파일롯 채널에 적용되는 경우를 나타낸다.
즉,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천장에 설치되어 있는 외부송신장치는 CDMA 시스템의 기지국에서 송신되는 순방향 채널의 주파수와 동일한 주파수 대역의 신호를 송신한다. 특히, 상기 순방향 채널중 파일롯 채널을 통해 모드전환신호를 전송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상기 모드전환신호는 기지국으로 전송되는 512개의 파일롯 PN시퀀스 옵셋중 타 기지국에서 전혀 사용하지 않는 PN시퀀스 옵셋값을 사용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휴대용 통신단말은 자신이 위치하는 셀에서 수신되는 여러 파일롯 신호를 탐색하여 모드전환신호용으로 할당된 옵셋값을 갖는 파일롯 신호가 수신되면 도 14와 같은 모드전환처리 프로그램을 실행한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통신기기는 도 5와 동일한 내부 구성을 갖는다. 다만, 그 내부 ROM(36)에 격납되는 모드전환처리 프로그램(도 14의 플로챠트를 따른다)과 현재의 모드상태를 나타내는 내부 검색 플래그(flag)를 추가로 구비한 점만이 서로 다르다. 이 검색플래그는 제어부내에 내장되어 있다.
상기 검색 플래그는 현재 통신단말의 호출모드 상태를 제어부의 CPU에 인식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서,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가 소리모드인 경우에는 "1"을 설정하고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가 환경친화모드(특히, 진동모드인 경우)인 경우에는 "0"을 설정한다.
이하에서,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모드전환처리 과정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통신단말을 소지한 사용자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하면, 그 장소의 천장에 설치된 외부송신장치로부터 모드전환용 파일롯 신호를 수신한다.
상기 모드전환용 파일롯 신호는 무선기지국이 가질 수 없는 PN시퀀스 옵셋값(512개의 파일롯 PN옵셋 인덱스중 모드전환용으로 특별히 할당된 유일값)을 갖기 때문에 상기 휴대용 통신단말의 제어부(35)는 그 옵셋값으로부터 현재의 파일롯 신호가 모드전환신호임을 인식하게 된다.
즉, 휴대용 통신단말의 제어부(35)가 모드전환신호의 검색에 성공(단계 S52)하면, 제어부(35)는 검색플래그(도면에 미도시)를 탐색하여 그 값이 "1"이면 모드전환신호의 검색단계인 단계 S 51로 복귀하고, 그 값이 "0"이면 모드전환부(41)에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할 것을 명령한다. (단계 S 53)
제어부로부터 모드전환제어신호를 입력받음에 따라, 상기 모드전환부(41)는 제어부(35)의 모드전환 제어명령에 따라 현재의 모드상태를 환경친화모드(진동모드, 광모드, 미약소리모드)로 전환하고, 제어부는 내부 검색플래그의 값을 "1"로 셋팅한다. (단계 S 54)
상기 단계 S 52에서 제어부(35)가 모드전환신호의 검색에 실패하면 제어부는 검색플래그를 탐색하여 그 값이 "1"인지 여부를 확인한다. 이때, "1"인 경우에는 현재의 환경친화모드를 소리모드로 복원하고, 검색 플래그를 "0"으로 재셋팅한다. (단계 S 56)
상술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의 모드전환 제어시스템은 CDMA 시스템에 적용되는 예로서 특히, 모드전환신호가 순방향 파일롯 채널에 실리는 경우를 설명한 것이다. 하지만, 본 실시예의 모드전환신호가 반드시 파일롯 채널에만 실리는 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른 순방향 채널인 동기채널이나 호출채널을 통해서도 충분히 동일한 방법을 통해 동일한 기능과 효과를 달성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본 실시예의 기본원리를 헤치지 않는 범위내에서 본 실시예는 TDMA 시스템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5
상기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4는 휴대용 통신단말이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놓여져 있을 때, 외부송신장치로부터 모드전환신호를 입수하게 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발명에 관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실시예 1 내지 4는 그 호출모드의 전환에 대해서만 언급하고 있어 극도의 정숙을 요하는 장소나 통화가 금지되는 장소에서는 사실상 그 효용성이 떨어짐을 알 수 있다.
즉, 병원(특히, 중환자실 등), 강의실 등과 같이 극도의 정숙을 요하는 장소나 공항과 같이 통화가 금지되는 장소에서는 호출모드의 전환이 아니라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자체를 금지시킬 필요가 있다.
또,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서도 상황에 따라 호출모드의 전환이 아니라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을 금지시키는 것이 요구될 때도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는 이러한 요청에 따라 창안된 것으로서 사용환경에 따라 호출모드의 전환 뿐만 아니라 휴대용 통신단말의 사용을 불가능하게 하는 것이 가능한 환경친화적 통신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5는 본 실시예의 환경친화적 통신시스템에 대한 블록구성도를 나타낸다.
본 실시예는 크게 외부송신장치(200)와 이 외부송신장치에 대응하는 휴대용 통신단말(100)로 구성된다.
상기 외부송신장치(200)는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된다. 외부송신장치(200)는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천장에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외부송신장치(200)는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를 택일적으로 선택하여 송신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모드전환신호는 휴대용 통신단말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는 신호를 의미하고, 상기 전력차단신호는 휴대용 통신단말의 구동전력을 제어하는 신호를 의미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외부송신장치(200)에 부착되어 있는 사용상태 선택스위치(201)를 간단히 조작하는 것에 외부송신장치(200)는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를 택일적으로 송신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휴대용 통신단말(100)은 호출모드의 전환에 있어서는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하다. 다만, 전력차단신호의 수신에 따른 처리 알고리즘에 있어 다음과 같은 차이점을 갖는다.
즉, 본 실시예의 휴대용 통신단말(100)의 제어부(35)는 도 16과 같은 전력차단처리 프로그램을 수행한다. 또한, 휴대용 통신단말(100)의 내부 ROM(36)에는 도 16과 같은 전력차단처리 프로그램이 격납된다. 휴대용 통신단말(100)은 모드전환부(41)와 더불어 전력제어부(101)를 추가로 포함한다.
상기 전력제어부(101)는 배터리(102)로부터 인가되는 전력을 차단하거나 개방하는 역할을 수행한다. 따라서, 전력제어모드 상태에서 통신단말(100)이 외부송신장치(200)로부터 전력차단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전력제어부(101)는 배터리(102)로부터의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통신단말의 구성요소에 공급되는 전력을 차단한다.
이하에서, 도 16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전력차단 처리과정을 설명한다.
사용자가 본 실시예의 외부송신장치(200)가 설치된 장소에 들어가면, 통신단말(100)의 안테나(21)는 외부송신장치(200)로부터 모드전환신호 또는 전력차단신호를 수신하게 된다. CDMA시스템의 경우 이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는 파일롯 채널을 통해 전송된다. 따라서,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는 서로 다른 PN시퀀스 옵셋값이 할당된다. 상기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에 할당되는 옵셋값은 CDMA시스템의 기지국에서는 사용하지 않는 특별히 할당된 파일롯 신호이다.
CDMA 순방향 채널의 주파수에 동조된 통신단말의 안테나(21)는 512개의 파일롯 채널을 검색한다.(단계 S 61)
이렇게 검색된 파일롯 신호중 모드전환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탐색하여(단계 S 52) 모드전환신호와 동일한 옵셋값을 갖는 파일롯 신호가 있으면 모드전환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 63)
이 모드전환처리 수행과정은 상기 실시예 4와 동일하다.
만약, 상기 단계 S 62에서 모드전환신호가 검색되지 않으면 전력차단신호가 있는지 여부를 검색한다. (단계 S 64)
상기 단계 S 64에서 전력차단신호가 검색되면 제어부(35)는 전력제어처리를 수행한다. (단계 S 65)
즉, 제어부(35)는 전력제어부(101)에 명령을 하달하여 배터리(102)로부터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하도록 한다. 이때, 물론 통신단말에 있어 기본적으로 필요한 최소전력은 남겨둔다.
이와같이, 본 실시예는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된 외부송신장치를 통해 호출모드의 전환처리 뿐만 아니라 휴대용 통신단말의 사용을 제어함으로써 보다 환경친화적인 통신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는 장점을 갖는다.
실시예 6
본 실시예는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 특히 병원과 같이 극히 정숙을 요구하는 장소나 공항과 같이 통화가 금지되는 장소에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및 휴대용 통신기기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의 외부송신장치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기지국과의 통신을 위해 사용하지 않는 주파수대의 신호를 송신한다. 즉, 특수주파수대의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본 실시예의 외부송신장치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배터리 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력차단신호를 송신한다. 이 외부송신장치는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출입구나 천장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출입구 안쪽과 바깥쪽에 각기 설치되어 서로 다른 주파수대의 신호를 송신하거나 동일 주파수대를 갖지만 서로 다른 코드를 갖는 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이 외부송신장치에 대응하는 휴대용 통신기기는 입실과 퇴실상태를 판별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전력차단신호를 송신하는 외부송신장치는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하는 외부송신장치와 구별되기 위하여 서로 다른 주파수를 가질 수 있다. 비록 이경우에도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는 특수주파수대를 갖는 점에서는 서로 동일하다. 다만, 휴대용 통신기기의 수신신호가 호출모드의 전환을 명령하는 모드전환신호인지 전원공급의 차단을 명령하는 전력차단신호인지를 구분할 수 있도록 그 중심주파수를 달리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또한,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는 동일 주파수의 반송파에 실리는 신호의 코드를 달리함으로써 서로 구분할 수도 있다. 이때, 신호의 코드는 가장 간단한 형태의 2진코드에서 각 신호수신 방식에 따른 다양한 코드를 가지는 것도 가능할 것이다.
즉, 본 실시예의 외부송신장치는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의 특징에 따라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하거나 전력차단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또한, 입실과 퇴실 상태를 간단히 구분하기 위해 출입구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기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적용되는 휴대용 통신기기는 첨부도면 도 17과 같은 내부 구성을 가진다.
도 17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실시예는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나 전력차단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안테나장치(56)와 수신부(52)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의 ROM(36)에는 모드전환처리 프로그램 뿐만 아니라 도 18에 도시된 바와같은 전력차단처리 프로그램을 격납한다. 따라서, 제어부는 ROM에 격납된 프로그램에 따라 도 18과 같이 모드전환처리 및 전력차단처리를 수행한다.
또한, 본 실시예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의 전환을 위한 모드전환부 (41) 뿐만 아니라 배터리(302)로 부터의 공급전원을 차단하기 위한 전력제어부(301)를 포함한다.
이 전력제어부(301)는 제어부(35)로부터 전력차단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배터리(302)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휴대용 통신기기의 통신을 억제한다.
또한, 제어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되는 특수주파수대의 수신신호가 모드전환신호인지 또는 전력차단신호인지를 구별하는 판별처리를 수행한다. 이 판별처리는 두 신호의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두 신호가 동일 주파수를 갖는 경우에는 그 신호에 포함되어 있는 코드로부터 신호의 판별을 수행한다.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든 코드 차이를 이용하든 제어부는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신호가 모드전환신호인지 전력차단신호인지를 판별할 수 있어야 한다.
상술한 구성상의 특징을 기본으로 본 실시예의 휴대용 통신기기는 실시예 1의 휴대용 통신기기와 동일한 구성 및 작용을 수행한다. 따라서, 나머지 구성요소에 대한 설명은 실시예 1의 휴대용 통신기기에 갈음하여 생략한다.
이하에서, 도 1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의 모드전환처리 및 전력차단처리의 수행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7의 구성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소지한 사용자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입실하면 그 장소의 출입구나 천장에 설치된 외부송신장치는 모드전환신호 또는 전력차단신호를 송신한다.
호출모드의 전환을 필요로 하는 장소에는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하는 외부송신장치가 설치되고, 병원과 같이 극히 정숙을 요하는 장소나 공항과 같이 전파의 송, 수신이 금지되는 장소에는 전력차단신호를 송신하는 외부송신장치가 설치된다.
이때의 외부송신장치는 특수주파수대의 신호를 송신하며, 휴대용 통신기기가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를 구분할 수 있도록 그 중심주파수가 서로 상이한 신호를 송신한다. 만약, 동일 주파수대의 신호를 송신하는 경우에는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를 서로 구분할 수 있도록 코드를 달리하는 신호를 송신한다.
휴대용 통신기기의 안테나(56)는 특수주파수대의 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색한다.(S 71) 만약, 모드전환처리부의 안테나(56)가 특수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면(S 72), 제어부(35)는 이 수신신호가 모드전환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S 73)
즉, 제어부(35)는 수신신호의 중심주파수를 검색하거나 제어부의 내부 레지스터에 내장되어 있는 코드와 비교하여 현재 수신된 신호가 모드전환신호인지 전력차단신호인지를 판별한다.
제어부(35)가 수신신호를 모드전환신호로 판별하면, 모드전환부(41)에 모드전환 제어신호를 인가하여 도 6과 같은 모드전환처리를 수행한다. (S 74)
즉,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를 탐색하여 소리모드인 경우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한다.
상기 S 73에서 제어부가 수신신호를 모드전환신호가 아닌 것으로 판별하면, 수신신호가 전력차단신호인지 여부를 판별한다. (S 75)
S 75에서 수신신호가 전력차단신호인 것으로 판별되면 제어부(35)는 전력제어부(301)에 전력차단 제어신호를 인가한다. 제어부(35)로부터 전력차단 제어신호가 인가되면 전력제어부(301)는 배터리(302)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원을 끈다. (S 76)
본 실시예의 경우 휴대용 통신기기가 입실과 퇴실상태를 판정하여 원래의 호출모드로 복원하거나 전원을 켜는 과정은 상기 실시예 1의 변형예들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을 생략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본 실시예는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를 송신하는 외부송신장치를 설치하고, 휴대용 통신기기에는 이 외부송신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안테나를 설치함으로써 보다 환경친화적인 통신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는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만을 단순히 전환시키는 것이 아니라 휴대용 통신기기의 통신을 차단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장소에 따라 인공지능적인 환경친화상태를 구현할 수 있다.
최광의의 의미에 있어서 환경친화모드는 소리모드를 진동모드, 광모드, 미약소리모드로 전환하는 것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전력차단모드 까지를 포함하므로써 휴대용 통신기기로 인해 발생하는 모든 불쾌감으로부터 타인을 보호할 수 있는 특유한 효과를 가지게 된다.
추가의 이점 및 변형이 이 분야의 지식을 가진자에게는 용이하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광범한 양태에 있어, 본 발명은 본 명세서에 표시, 설명된 특정 상세 및 대표적 장치에 한정되지 않는다.
따라서, 여러 변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및 그 대등물에 의해 정의된 전반적 발명 개념의 정신 또는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도 가능할 것이다.
상술한 실시예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의 균등범위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출입하는 모든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를 진동모드로 자동 전환시키기 때문에 호출음으로 인한 주변사람들의 불쾌감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Claims (41)

  1. 휴대용 통신단말의 호출모드를 사용환경에 적합한 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하여 휴대용 통신단말이 인식할 수 있는 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하는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으로부터 송신되는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여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주변환경에 적합한 환경친화모드로 자동 전환하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이 통신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특수주파수대의 전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는 이 특수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가
    할당된 주파수에 따라 무선기지국과 제어신호 및 음성신호를 송, 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와;
    호출모드를 전환시키기 위한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와;
    상기 제 2 안테나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판별하고, 현재의 호출모드가 소리모드 상태일 때 이를 환경친화모드로 자동전환 하는 모드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친화모드가 진동모드, 광모드 및 미약소리모드중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이 휴대용 통신단말의 통신용 수신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가 CDMA 순방향 채널과 동일한 주파수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는 파일롯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른 무선기지국에서 사용하지 않는 모드전환용으로만 특별히 할당된 PN시퀀스 옵셋값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가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순방향 신호 및 송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모드전환용 PN시퀀스 옵셋값을 기억하기 위한 기억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의 수신신호의 옵셋값이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모드전환용 옵셋값과 일치하는지 여부를 판별하여, 일치하는 경우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이 휴대용 통신단말의 통신용 수신주파수와 유사한 공용 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가
    기지국에서 전송되는 순방향 신호 및 송신수단으로부터 전송되는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을 통해 수신된 수신신호중 모드전환신호를 그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신호여과수단과;
    상기 신호여과수단에 의해 추출된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11.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신호 및 휴대용 통신기기의 전원을 끊는 전력차단신호중 어느 하나를 송신하기 위한 송신수단과;
    상기 송신수단으로 부터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하고, 전력차단신호를 수신하면 배터리로부터의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단말기의 전원을 파워다운(Power down)하는 휴대용 통신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이 통신용으로 사용되지 않는 특수주파수대(저 주파수, 초 고주파수)의 전파를 발생시키고,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는 이 특수주파수대의 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별도의 수신수단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가
    할당된 주파수에 따라 무선기지국과 제어신호 및 음성신호를 송, 수신하기 위한 제 1 안테나와;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제 2 안테나와;
    상기 제 2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가 호출모드의 전환을 지시하는 모드전환신호인지, 공급전원을 끊기 위한 전력차단신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한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이 수신신호를 모드전환신호로 인식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판별하여 소리모드 상태일 때 이를 진동모드로 자동전환 하는 모드전환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이 수신신호를 전력차단신호로 인식하면, 배터리로부터 공급되는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단말기의 전원을 파워다운(Power down)하는 전력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이 중심주파수의 차이를 이용하여 수신신호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15.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를 표상하는 코드를 저장하는 내부 기억소자를 포함하고,
    이 내부 기억소자에 격납되어 있는 코드의 차이를 이용하여 수신신호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16.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이 휴대용 통신단말의 통신용 수신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를 송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17. 제 1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가 CDMA 순방향 채널과 동일한 주파수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는 파일롯 채널을 통해 전송되며, 다른 무선기지국에서 사용하지 않는 외부송신용으로만 특별히 할당된 PN시퀀스 옵셋값을 가지며, 그 옵셋값이 양 신호에 있어 서로 상이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휴대용 통신기기가
    기지국으로 부터의 통신용 수신신호와 상기 송신수단으로 부터의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를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통신용 신호,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를 서로 판별하기 위한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으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검색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하는 모드전환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으로부터 전력차단신호가 검색되면 배터리로부터의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휴대용 통신기기의 통신을 억제하기 위한 전력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20.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송신수단은 모드전환신호 송신모드와 전력차단신호 송신모드를 선택적으로 전환하기 위한 스위칭 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21. 호출모드로서 소리모드와 환경친화모드(진동모드, 미약소리모드, 광모드)를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있어서,
    휴대용 통신기기의 호출모드를 사용환경에 적합한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전환신호를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된 외부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기 위한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를 검출하여, 현재의 호출모드가 소리모드인 경우 이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고, 현재의 호출모드가 환경친화모드인 경우 이를 그대로 유지시키는 모드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22.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가 기지국으로부터 전송되는 통신용 제어신호와 동일 주파수대역을 갖고, 상기 수신수단은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23. 제 22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수단이
    모드전환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제 1 저장수단과;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저장하기 위한 제 2 저장수단과;
    상기 안테나 장치로 부터 수신한 수신신호가 상기 제 1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모드전환코드와 일치하면 상기 제 2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의 호출모드 상태를 판독하여 판독된 호출모드가 소리모드인 경우에는 이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24. 제 2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코드가 CDMA의 파일롯 채널에 할당되는 512개의 PN시퀀스 옵셋값중 다른 기지국에서 사용되지 않는 모드전환용으로만 특별하게 할당된 옵셋값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25.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신용 제어신호의 수신 주파수와 유사한 주파수대역을 가지며,
    상기 수신수단은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와, 이 수신신호를 그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로 분리하는 스위칭 수단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26. 제 2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가 휴대용 통신기기가 사용하지 않는 특수주파수대(저 주파수, 초 고주파수)의 신호이고, 상기 수신수단은 이러한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안테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27. 제 25 항 또는 제 2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수단이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저장하는 저장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으로 부터 모드전환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된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검출하고, 현재의 호출모드가 소리모드인 경우에는 그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28. 호출모드로서 소리모드와 환경친화모드를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있어서,
    휴대용 통신단말의 호출모드를 사용환경에 적합한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전환신호를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에 설치된 외부 송신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모드전환신호에 근거하여 소음과 친숙하지 않은 장소로 입실할때는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하고, 퇴실할때는 입실전의 호출모드로 전환시키는 모드전환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29.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가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신용 제어신호와 동일한 주파수대역을 갖고, 상기 수신수단은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30. 제 2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수단이
    안테나로부터 수신된 수신신호가 통신용 제어신호인지 모드전환신호인지를 판별하기 위한 판별수단과;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이, 상기 안테나 장치로부터의 수신신호가 모드전환신호인 것으로 판별하면,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판독하여 소리모드인 경우 이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안테나 장치로부터 모드전환신호로 판별되는 수신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고,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환경친화모드인 경우 이를 원래의 호출모드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31. 제 30 항에 있어서,
    상기 판별수단은 CDMA의 파일롯 채널에 할당되는 512개의 PN시퀀스 옵셋값중 다른 기지국에서 사용되지 않는 모드전환용으로만 특별하게 할당된 옵셋값을 갖는 파일롯 신호를 모드전환신호로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32.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는 무선기지국으로부터 송신되는 통신용 제어신호와 유사한 주파수대역을 가지며,
    상기 수신수단은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를 동시에 수신할 수 있는 안테나 장치와, 이 수신신호를 그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통신용 제어신호와 모드전환신호로 분리하는 스위칭 장치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33. 제 28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가 휴대용 통신기기가 사용하지 않는 특수주파수대(저 주파수, 초 고주파수)의 신호이고, 상기 수신수단은 이러한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안테나 장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34.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수단이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모드전환용 안테나 장치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수신되면, 상기 기억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판독하여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소리모드인 경우 이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고,
    상기 모드전환용 안테나 장치로부터 모드전환신호가 일정시간 이상 수신되지 않고, 현재의 호출모드상태가 환경친화모드인 경우 이를 원래의 호출모드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35. 제 32 항 또는 3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송신장치는 출입구의 상단에 설치되고,
    상기 모드전환수단은
    현재의 호출모드상태, 이전의 호출모드상태 및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를 저장하기 위한 저장수단과;
    상기 저장수단에 저장되어 있는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를 판독하여 입실상태와 퇴실상태를 판별하고, 입실시에는 현재의 호출모드상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고, 퇴실시에는 환경친화모드를 이전의 호출모드상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36. 제 2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수단은 판독된 모드전환신호의 수신횟수가 짝수번째이면 입실상태로 판단하고, 홀수번째이면 퇴실상태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37.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송신장치는 출입구의 안쪽과 바깥쪽을 향해 각각 서로 다른 주파수대의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모드전환수단은
    상기 특수주파수용 안테나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주파수대를 검색하여 입실과 퇴실상태를 결정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이 입실상태를 결정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고, 퇴실상태를 결정하면 환경친화모드를 이전의 호출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38. 제 33 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송신장치는 출입구의 안쪽과 바깥쪽에 각기 설치되고, 상기 안쪽과 바깥쪽의 외부송신장치는 서로 다른 코드를 갖는 동일한 주파수대의 신호를 송신하며,
    상기 모드전환수단은
    상기 특수주파수용 안테나 장치로부터 수신된 신호의 코드를 검색하여 입실과 퇴실상태를 결정하는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이 입실상태를 결정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고, 퇴실상태를 결정하면 환경친화모드를 이전의 호출모드로 전환시키는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39. 호출모드로서 소리모드와 환경친화모드를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에 있어서,
    외부 송신장치로부터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시키기 위한 모드전환신호와 배터리로 부터의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단말기의 전원을 파워다운(Power down)하기 위한 전력차단신호를 수신하는 수신수단과;
    상기 수신수단으로부터 수신된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를 서로 식별하기 위한 판별수단과;
    상기 판별수단이 모드전환신호를 결정하면, 현재의 호출모드를 환경친화모드로 전환하고, 상기 판별수단이 전력차단신호를 결정하면, 배터리로부터의 공급전원을 차단하여 휴대용 통신단말의 통신을 억제하기 위한 제어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40.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사용하지 않는 특수주파수대의 신호이고, 상기 수신수단은 이러한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안테나 장치이며,
    상기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는 서로 상이한 중심주파수를 갖고,
    상기 판별수단은 이러한 주파수 차이를 이용하여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를 식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41. 제 39 항에 있어서,
    상기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는 휴대용 통신기기가 사용하지 않는 특수주파수대의 신호이고, 상기 수신수단은 이러한 특수주파수대의 모드전환신호 및 전력차단신호를 수신할 수 있는 별도의 안테나 장치이며,
    상기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는 서로 상이한 코드를 갖는 동일 주파수대역의 신호이고,
    상기 판별수단은 모드전환신호와 전력차단신호를 표상하는 코드를 저장하기 위한 내부 기억소자를 포함하고, 이 내부 기억소자에 격납되어 있는 코드의 차이를 이용하여 수신신호를 판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용 통신기기.
KR1019980050736A 1998-08-26 1998-11-25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KR20000015759A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50736A KR20000015759A (ko) 1998-08-26 1998-11-25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GB0104262A GB2358112A (en) 1998-08-26 1999-08-26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with mode conversion property and mode conversion control system
AU55307/99A AU5530799A (en) 1998-08-26 1999-08-26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with mode conversion property and mode conversion control system
JP2000568265A JP2002524940A (ja) 1998-08-26 1999-08-26 モード変換機能を持つ携帯用通信機器及びモード変換制御システム
PCT/KR1999/000491 WO2000013428A2 (en) 1998-08-26 1999-08-26 Portable communication equipment with mode conversion property and mode conversion control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4681 1998-08-26
KR1019980034681A KR20000022857A (ko) 1998-08-26 1998-08-26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KR1019980050736A KR20000015759A (ko) 1998-08-26 1998-11-25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759A true KR20000015759A (ko) 2000-03-15

Family

ID=266340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50736A KR20000015759A (ko) 1998-08-26 1998-11-25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2002524940A (ko)
KR (1) KR20000015759A (ko)
AU (1) AU5530799A (ko)
GB (1) GB2358112A (ko)
WO (1) WO20000134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3199B2 (en) 2001-06-29 2004-11-23 Intel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a wireless device notification alert
JP2003023489A (ja) * 2001-07-08 2003-01-24 Koji Yamamoto 携帯端末の記録内容消去装置
US7073083B2 (en) * 2001-07-18 2006-07-04 Thomas Licensing Method and system for providing emergency shutdown of a malfunctioning device
EP2485363B1 (en) * 2011-02-08 2019-06-19 BlackBerry Limited Disabling a power pack from a host device
CN105323362A (zh) 2014-06-27 2016-02-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终端工作模式调整方法和装置
CN109743760B (zh) * 2018-12-27 2020-11-27 深圳市万普拉斯科技有限公司 游戏干扰处理方法、装置及移动终端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97900A (ja) * 1994-04-26 1995-11-10 Mitsubishi Electric Corp 騒音対策通話機
JPH08331212A (ja) * 1995-06-01 1996-12-13 Nec Corp バイブレータ付携帯電話端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GB0104262D0 (en) 2001-04-11
GB2358112A (en) 2001-07-11
AU5530799A (en) 2000-03-21
WO2000013428A2 (en) 2000-03-09
WO2000013428A3 (en) 2000-06-29
JP2002524940A (ja) 2002-08-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205581C (en) Incoming calling system
KR100879539B1 (ko) 헤드셋의 스테레오 지원 시스템 및 방법
US20110230209A1 (en) Method and Mobile Device for Automatic Activation of Applications
JP2011124953A (ja) 無線通信端末及びその制御方法
KR20000015759A (ko)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JP2009055326A (ja) 通信装置
KR20000022857A (ko)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 제어시스템
KR20010015492A (ko)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제어시스템
KR20020008229A (ko) 모드전환 기능을 갖는 휴대용 통신기기 및 모드전환제어시스템
JP3925430B2 (ja) 電話装置
KR19980014249A (ko) 송수화기 기능이 분리된 데이터 정보 검색용 이동전화장치
JP3859188B2 (ja) 携帯用通信機器
JP3845393B2 (ja) 携帯電話機、該携帯電話機に用いられる通信状態通知方法及び通知制御プログラム
JP4152219B2 (ja) 携帯電話システム
JPH11187084A (ja) 呼出音登録方法、受信装置、及び呼出音登録装置
JP4207057B2 (ja) 電話装置
JP2000069563A (ja) 移動無線機
JPH11154992A (ja) 無線通信装置
KR20000039567A (ko) 휴대용 통신기기를 위한 호출용 악세사리 및 호출용 악세사리의호출모드 전환 제어시스템
KR100248217B1 (ko) 배터리 절약 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KR100249673B1 (ko) 링소리를 이용한 배터리 잔량 표시기능을 갖춘 이동단말기
JP3049930U (ja) 携帯電話の呼出し装置
JP3133223B2 (ja) 携帯電話装置
JP4702692B2 (ja) 無線電話機及びその圏内判定方法
KR20020001345A (ko) 수신감도 표시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