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5698A -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5698A
KR20000015698A KR1019980035735A KR19980035735A KR20000015698A KR 20000015698 A KR20000015698 A KR 20000015698A KR 1019980035735 A KR1019980035735 A KR 1019980035735A KR 19980035735 A KR19980035735 A KR 19980035735A KR 20000015698 A KR20000015698 A KR 2000001569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rrent
laser diode
temperature
voltage
err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57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0272403B1 (ko
Inventor
강선모
Original Assignee
강선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강선모 filed Critical 강선모
Priority to KR10199800357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272403B1/ko
Publication of KR2000001569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569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724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72403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4Arrangements for thermal management
    • H01S5/02407Active cooling, e.g. the laser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a thermo-electric cooler or water cooling
    • H01S5/02415Active cooling, e.g. the laser temperature is controlled by a thermo-electric cooler or water cooling by using a thermo-electric cooler [TEC], e.g. Peltier elem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2Structural details or components not essential to laser action
    • H01S5/022Mountings; Housings
    • H01S5/02208Mountings; Housings characterised by the shape of the housings
    • H01S5/02212Can-type, e.g. TO-CAN housings with emission along or parallel to symmetry ax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SDEVICES USING THE PROCESS OF LIGHT AMPLIFICATION BY STIMULATED EMISSION OF RADIATION [LASER] TO AMPLIFY OR GENERATE LIGHT; DEVICES USING STIMULATED EMISSION OF ELECTROMAGNETIC RADIATION IN WAVE RANGES OTHER THAN OPTICAL
    • H01S5/00Semiconductor lasers
    • H01S5/06Arrangements for controlling the laser output parameters, e.g. by operating on the active medium
    • H01S5/068Stabilisation of laser output parameters
    • H01S5/06825Protecting the laser, e.g. during switch-on/off, detection of malfunctioning or degrad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Semiconductor Las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애노드(-)접지 방식을 이용하여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류 및 출력을 안정화시키도록 한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입력전류를 조절하여 안정된 전류원을 출력하는 전류조절부와, 상기 안정된 전류원으로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와, 상기 전류의 안정화를 위해 레이저 다이오드에 흐르는 오차전류를 검출하는 제 1 오차전류검출부와, 상기 제 1 오차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와 원신호를 적분하여 안정된 전류를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하는 제 1 적분기와, 원하는 온도로 조절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내의 서미스터의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변화를 검출하고 검출한 저항변화를 전압변화로 변환시키는 서미스터 검출부와,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에 대한 오차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오차전류검출부와,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의 차전압(오차전압)을 이용하여 TEC에 전류를 공급하는 TEC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애노드측을 접지방식으로 사용하고 캐소드측을 공급전원방식으로 사용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의 몸체가 접지되어도 레이저 다이오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켜 주는 효과가 제공된다.

Description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
본 발명은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LD:Laser Diode)의 안정화 구동 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레이저 다이오드의 애노드(-)접지 방식을 이용하여 레이저 다이오드의 전류 및 출력을 안정화시키도록 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반도체 레이저의 기본적인 전류-광 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도체 레이저는 전류가 증가함에 따라서 광 출력이 증가하게 되는데 도 1의 특성곡선에서 보는 바와 같이 전류가 어느 정도 증가할 때 까지는 레이저 출력이 나오지않는데 레이저 출력이 나오기 시작할때의 전류를 문턱전류(Threshold current)라 한다.
이 문턱전류를 기준으로하여 레이저가 발진하기 전의 자연광은 반도체레이저의 자연방출에 의한 광이다. 그리고 문턱전류는 활성영역의 체적, 거울의 반사율, 활성영역과 닫혀진 층의 밴드캡, 굴절률 차이에 의존한다.
이 문턱전류는 낮은것일수록 좋다. 또한 레이저의 구동전류를 증가시켜 가면 출력이 갑자기 낮아지든지, 혹은 포화로 인한 출력감소가 일어난다. 전자의 경우는 열화로 인한 임시 광학손상이라 부르며 후자의 현상은 활성영역의 온도상승에 의해서 일어난다.
한편, 도 2,3은 종래의 캐소드(-)접지 방식의 전류 안정화 도면으로서, 도 2는 캐소드 접지방식을 나타내고, 도 3은 캐소드 접지방식을 이용한 레이저 다이오드(LD)의 전류제어도면을 각각 나타낸다. 도 2의 레이저 다이오드(2)의 애노드 단자는 레이저 다이오드(LD)의 몸체(case)와 연결되어 +전원을 인가해 주어야 동작한다.
그리고 레이저 다이오드(2)의 캐소드 단자와 연결된 접지(3)에 레이저 다이오드(LD)의 몸체가 닿을 경우 단락되어 레이저 다이오드의 손상이 일어난다.
따라서 레이저 다이오드(LD)의 몸체를 항상 접지와 절연시켜야 안정된 동작을 하게 된다. 도 3의 레이저 다이오드(2)의 애노드 단자는 레이저 다이오드(LD)의 몸체와 구동회로(1)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레이저 다이오드(2)의 몸체가 다른 접지(3)에 접속되면 단락되어 구동회로(1)의 고장이 발생한다.
그러나 이런 종래의 캐소드 접지 방식은 통신장비에서 사용되는 -V 전원으로 구동하기에는 어려움이 있다. 또한 상대적인 +V 전원을 접지로 하는 애노드 접지 방식은 전원자체에서의 노이즈 문제와 선로의 침식등을 해결할 수 있고 접지효과가 뛰어난 현재 기존의 통신선로 및 통신기기가 모두 +V전원 접지방식으로 이루어져있으며 이에 사용이 용이하도록 반도체 레이저도 애노드 단자와 몸체가 연결되어 애노드 접지방식에 용이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또한 몸체가 애노드 단자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캐소드 접지로 할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LD)의 몸체가 접지(케이스등과 닿을 경우)되면 단락현상이 발생되어 레이저 다이오드(LD)의 손상이 일어나 사용이 불가능 하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애노드측(+)을 접지방식으로 하고 그의 캐소드측(-)을 공급전원방식으로 이용하여 레이저 다이오드(LD)의 전류 및 출력을 안정화시킴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의 몸체가 접지되어도 레이저 다이오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킬 수 있게 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고자 본 발명의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는, 입력전류를 조절하여 안정된 전류원을 출력하는 전류조절부와, 상기 안정된 전류원으로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와, 상기 전류의 안정화를 위해 레이저 다이오드에 흐르는 오차전류를 검출하는 제 1 오차전류검출부와, 상기 제 1 오차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와 원신호를 적분하여 안정된 전류를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하는 제 1 적분기와, 원하는 온도로 조절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내의 서미스터의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변화를 검출하고 검출한 저항변화를 전압변화로 변환시키는 서미스터 검출부와,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에 대한 오차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오차전류검출부와,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의 차전압(오차전압)을 이용하여 TEC에 전류를 공급하는 TEC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류조절부는 기준전압을 원하는 전류로 조절하는 전류조절증폭기와, 상기 기준전압과 외부 입력전압을 가산하여 가산한 값을 출력하는 가산증폭기와, 모니터 PD를 이용하여 LD의 광출력을 증폭하고 증폭한 광출력을 APC회로에 출력하는 PD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류조절부는 가산증폭기로부터 가산된 값과 오차검출기로부터 검출한 전압을 적분하여 안정된 전류를 출력하는 적분기와, 상기 적분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아 LD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류드라이버와, 상기 전류드라이버로부터 출력 전류를 공급받아 반도체 레이저의 전류원에서 사용할 음(-)전압발생과 순간적인 과도전압으로 인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손상을 방지시키기 위한 슬로우 스타트 회로부와, 전류/전압을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원하는 전류로 제한시키는 전류제한부와, 상기 전류제한부로부터 제한된 전류에 의해 구동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전류조절부는, 많은 전류를 흘러서 열을 적게 발생시키기 위한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제 1 저항을 통해 검출된 피드백 전압을 증폭시키기 위한 제 1 증폭기와, 상기 제 1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전압을 다시 증폭하여 반도체 레이저의 전류를 얻게 하는 제 2, 제 3 증폭기와, 상기 전류를 제한시키기 위한 제 4 증폭기와, 상기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조절부는 서미스터와, 상기 서미스터의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변화를 검출하고 검출한 저항변화를 전압변화로 변환시키는 저항/전압변환기와,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와,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감산하여 오차전압을 출력하는 감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조절부는 감산기로부터 감산한 오차전압을 원하는 온도로 제한시키는 온도제한부와, 상기 오차전압을 TEC에 공급하기 위한 TEC구동부와, 상기 TEC전류를 제한시키는 TEC전류제한부와, 상기 TEC전류를 증폭하고 증폭한 TEC전류를 출력하는 버퍼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온도조절부는,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에 대한 오차신호를 TEC에 공급하기위한 제 5 피드백 증폭기와,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 2. 제 3 상보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제 3 상보형 트랜지스터로 원하는 값이상의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최대전류를 제한시키기 위한 제 4, 제 5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애노드측(+)을 접지시키고, 그의 캐소드측(-)은 -전원단자에 각각 접속하여 상기 애노드측(+)을 접지방식으로 사용하고 상기 캐소드측(-)을 공급전원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애노드측(+)이 접지된 그의 캐소드측(-)은 적분기를 통하여 LD구동부의 출력단과 오차신호검출기의 입력단에 각각 접속하고, 상기 LD구동부의 입력단은 전류조절기의 출력단에 접속하고, 상기 오차신호검출기의 출력단은 상기 전류조절기와 LD구동부사이에 연결시켜서 구성한 것을 그 특징으로 한다.
도 1은 반도체 레이저의 기본적인 전류-광 출력 특성을 나타낸 도면.
도 2,3은 종래의 캐소드(-)접지 방식의 전류 안정화 도면.
도 4,5는 본 발명의 애노드(+)접지 방식의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애노드(+)접지 방식을 이용한 전류 안정화 도면,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를 위한 블록 구성도.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레이저 다이오드 전류 및 온도 부분의 상세 구성도,
도 9는 레이저 다이오드 전류제어 부분의 상세 회로도.
도 10은 레이저 다이오드 온도제어 부분의 상세 회로도.
도 11은 슬로우 스타트 부분의 상세 회로도 이다.
*도면의 주요 부분에 사용된 부호의 설명*
1:접지 2:레이저 다이오드(LD)
4:-전원 5,104,400,605,900:적분기
6,200:LD구동부 7:오차신호검출기
8,100:전류조절부 300:제 1 오차전류검출부
500:기준전압발생부 600:온도조절부
700:서미스터검출부 800:제 2 오차전류검출부
1000:TEC구동부 101:전류조절증폭기
102:가산증폭기 103:PD증폭기
105:오차검출부 106:전류드라이버
107:슬로우 스타트 회로부 108:전류/전압변환부
109:전류제한부 601:저항/전압변환부
602:온도설정부 603:감산기
604:온도제한부 606:TEC구동부
607:TEC전류제한부 608:버퍼증폭기
TH:서미스터 Amp1:제 1 증폭기
Amp2:제 2 증폭기 Amp3:제 3 증폭기
Amp4:제 4 증폭기 Amp5:제 5 증폭기
FET:전계효과트랜지스터 Q1:제 1 트랜지스터
Q2:제 2 상보형트랜지스터 Q3:제 3 상보형트랜지스터
Q4:제 4 트랜지스터 Q5:제 5 트랜지스터
Q6:제 6 트랜지스터 C1:제 1 적분콘덴서
C2:제 2 콘덴서 D1:다이오드
R1:제 1 저항 R2:제 2 저항
R3:제 3 저항
이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을 보다 잘 이해할 수 있게 된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의한 피디피의 구동 방법 및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5는 본 발명의 애노드(+)접지 방식의 도면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2)의 애노드측(+)을 접지시키고, 그의 캐소드측(-)은 -전원단자(4)에 접속시켜서 구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애노드(+)접지 방식을 이용한 전류 안정화 도면으로서, 레이저 다이오드(2)의 애노드측(+)이 접지된 그의 캐소드측(-)은 적분기(5)를 통하여 LD구동부(6)의 출력단과 오차신호검출기(7)의 입력단에 각각 접속되고, 상기 LD구동부(6)의 입력단은 전류조절기(8)의 출력단에 접속되고, 상기 오차신호검출기(7)의 출력단은 상기 전류조절기(8)와 LD구동부(6)사이에 연결시켜서 구성된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를 위한 블록 구성도로서, 입력전류를 조절하여 안정된 전류원을 출력하는 전류조절부(100)와, 상기 안정된 전류원으로 레이저 다이오드(LD)의 구동을 제어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200)와, 상기 전류의 안정화를 위해 레이저 다이오드(LD)에 흐르는 오차전류를 검출하는 제 1 오차전류검출부(300)와, 상기 제 1 오차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와 원신호를 적분하여 안정된 전류를 레이저 다이오드(LD)에 공급하는 제 1 적분기(400)와, 원하는 온도로 조절하는 온도조절부(600)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LD)내의 서미스터(TH)의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변화를 검출하고 검출한 저항변화를 전압변화로 변환시키는 서미스터 검출부(700)와,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에 대한 오차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오차전류검출부(800)와,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의 차전압(오차전압)을 이용하여 TEC에 전류를 공급하는 TEC구동부(10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8은 본 발명에서의 레이저 다이오드 전류제어 및 온도제어 부분의 상세 구성도로서, 상기 전류조절부(100)는 기준전압을 원하는 전류로 조절하는 전류조절증폭기(101)와, 상기 기준전압(ref)과 외부 입력전압을 가산하여 가산한 값을 출력하는 가산증폭기(102)와, 모니터 PD를 이용하여 LD의 광출력을 증폭하고 증폭한 광출력을 APC(Auto Power Control)회로에 출력하는 PD증폭기(103)와, 상기 가산증폭기(102)로부터 가산된 값과 오차검출기(105)로부터 검출한 전압을 적분하여 안정된 전류를 출력하는 적분기(104)와, 상기 적분기(104)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아 LD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류드라이버(106)와, 상기 전류드라이버(106)로부터 출력 전류를 공급받아 반도체 레이저의 전류원에서 사용할 음(-)전압발생과 순간적인 과도전압으로 인한 레이저 다이오드(LD)의 손상을 방지시키기 위한 슬로우 스타트 회로부(107)와, 전류/전압을 변환기(108)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원하는 전류로 제한시키는 전류제한부(109)와, 상기 전류제한부(109)로부터 제한된 전류에 의해 구동하는 트랜지스터(11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온도조절부(600)는 서미스터(TH)와, 상기 서미스터(TH)의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변화를 검출하고 검출한 저항변화를 전압변화로 변환시키는 저항/전압변환기(601)와,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602)와,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감산하여 오차전압을 출력하는 감산기(603)와, 상기 감산기(603)로부터 감산한 오차전압을 원하는 온도로 제한시키는 온도제한부(604)와, 상기 오차전압을 TEC에 공급하기 위한 TEC구동부(606)와, 상기 TEC전류를 제한시키는 TEC전류제한부(607)와, 상기 TEC전류를 증폭하고 증폭한 TEC전류를 출력하는 버퍼증폭기(608)를 포함하여구성된다.
도 9는 레이저 다이오드 전류제어 부분의 상세 회로도이고, 도 10은 레이저 다이오드 온도제어 부분의 상세 회로도이며, 도 11은 슬로우 스타트 부분의 상세 회로도를 각각 나타내고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효과를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도 6의 구성에서와 같이 애노드측(+)을 접지로 사용하는 레이저 다이오드(LD)는 전류조절기(8)로부터 LD구동부(6)를 제어하여 안정된 전류원으로 레이저 다이오드(2)를 제어하게 된다.
이때 오차신호검출기(7)에서는 전류의 안정화를 위해 레이저 다이오드(2)에 흐르는 전류를 검출하여 원하는 값을 유지하기 위해 피드백시킨 후 원신호와 비교하여 안정된 전류를 레이저 다이오드(2)에 공급하게 된다.
즉, 도 9의 구성에서와 같이 TP2에 입력되는 전압에 의해서 전계효과트랜지스터(FET)가 턴온되어 상기 전계효과트랜지스(FET)의 내부전압강하가 적게되고, 따라서 적은 전압으로도 많은 전류를 흘러 주므로써 전류에 따른 내부손실이 적어 열이 적게 발생한다.
한편, R1은 피드백 전압검출용 저항으로서, 제 1 저항(R1)을 통해 검출된 피드백 전압은 제 1 증폭기(Amp1)에 의해 증폭되고 증폭된 전압은 제 2 증폭기(Amp2)와 제 3 증폭기(Amp3)로 피드백된다. 이때 제 1 증폭기(Amp1)의 이득은 약 10배로서 반도체 레이저에 100 mA가 흐르므로써 제 1 저항(R1)양단에는 0.1V의 전압강하가 발생되고 따라서 제 1 증폭기(Amp1)의 출력단에는 1V의 전압이 걸리게 되어 TP5에는 1V/100 mA의 반도체 레이저의 전류를 얻을 수 있다.
그러나 C1는 제 1 적분콘덴서로서, 이 값이 너무 크면 입력전압에 따른 전류조절이 늦어지고 안정도가 낮아지게 되고, 값이 너무 작게되면 내부 발진이 일어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제 4 증폭기(Amp4)를 구성한다. 제 4 증폭기(Amp4)는 전류를 제한하는 증폭기로서, 기준전압(ref)과 제 1 증폭기(Amp1)의 출력전압과 비교하여 제 1 증폭기(Amp1)의 출력전압이 기준전압보다 크면 +5V의 출력을 갖게되어 제 3 증폭기(Amp3)의 입력단 전류조절 입력을 제어하는 제 1 트랜지스터(Q1)가 턴온상태가 되어 제 3 증폭기(Amp3)의 전류조절입력이 0V가 되어 결과적으로 레이저 다이오드(2)에 전류는 흐르지 않게 되고, 따라서 전류를 제 2 저항(R2)으로 조절하여 원하는 전류를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도 10은 레이저 다이오드 온도제어 부분의 상세 회로도로서, 온도를 검출하기 위해서는 레이저 다이오드(2)내의 서미스터(TH)의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변화를 검출하여 선형적인 전압변화로 변환시킨 후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에 대한 오차신호를 발생한다.
이렇게 발생된 오차전압은 제 5 피드백 증폭기(Amp5)와 제 2 상보형 트랜지스터(Q2) 및 제 3 상보형 트랜지스터(Q3)구성된 전류증폭부를 통하여 TEC(Thermo Electric Cooler)에 전류를 공급하게 된다.
그리고 제 2, 제 3 상보형 트랜지스터(Q2),(Q3)로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여 온도를 올리거나 내리는 조정이 가능하다. 또한 TEC에 흐르는 전류값을 전압으로 증폭 및 환산하여 TEC에 가해지는 전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렇게 검출된 전압을 기준으로 하여 최대전류를 제한하기 위해 제 4 트랜지스터(Q4)와 제 5 트랜지스터(Q5)의 동작전압(0.6-0.7V)이 검출되면 제 2, 제 3 상보형 트랜지스터(Q2),(Q3)의 전류방향을 접지로 향해 원하는 값이상의 전류가 인가되지 않는다.
한편, 도 11은 반도체 레이저의 전류원에서 사용할 음(-)전압발생과 순간적인 과도전압으로 인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손상을 방지시키기 위한 슬로우 스타트(slow start) 부분의 상세 회로도로서, 슬로우 스타트 회로부(107)는 다이오드(D1), 콘덴서(C2), 제 6 트랜지스터(Q6), 제 3 저항(R3)으로 구성되고, 상기 슬로우 스타트 회로부(107)는 AC전원이 인가되면 순간적으로 제 2 콘덴서(C2)가 단락상태에서 서서히 충전상태로 되면서 제 6 트랜지스터(Q6)의 바이어스 전압을 서서히 증가시키고 따라서 레이저 마운트(LM)의 ADJ 단자전압을 서서히 증가시키는 결과로 반도체 레이저에 인가되는 전압은 서서히 증가하여 과전류를 방지시키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애노드 접지방식을 사용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를 구성함에 따라 레이저 다이오드의 몸체가 접지되어도 레이저 다이오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상술한 설명으로부터 분명한 것은, 본 발명의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에 의하면, 기존의 캐소드 접지 방식은 레이저 다이오드의 몸체가 +V에 접속되어 있으므로 만일 레이저 다이오드의 몸체가 다른 접지(-V)에 접속될 경우 레이저 다이오드가 치명적인 손상을 입게 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애노드측을 접지방식으로 사용하고 캐소드측을 공급전원방식으로 사용함으로써 레이저 다이오드의 몸체가 접지되어도 레이저 다이오드의 손상을 미연에 방지시켜 주는 효과가 있다는 것이다.

Claims (8)

  1. 입력전류를 조절하여 안정된 전류원을 출력하는 전류조절부와;
    상기 안정된 전류원으로 레이저 다이오드의 구동을 제어하는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부와;
    상기 전류의 안정화를 위해 레이저 다이오드에 흐르는 오차전류를 검출하는 제 1 오차전류검출부와;
    상기 제 1 오차전류검출부로부터 검출된 전류와 원신호를 적분하여 안정된 전류를 레이저 다이오드에 공급하는 제 1 적분기와;
    원하는 온도로 조절하는 온도조절부와;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내의 서미스터의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변화를 검출하고 검출한 저항변화를 전압변화로 변환시키는 서미스터 검출부와;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에 대한 오차신호를 발생시키는 제 2 오차전류검출부와;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의 차전압(오차전압)을 이용하여 TEC에 전류를 공급하는 TEC구동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조절부는,
    기준전압을 원하는 전류로 조절하는 전류조절증폭기와, 상기 기준전압과 외부 입력전압을 가산하여 가산한 값을 출력하는 가산증폭기와, 모니터 PD를 이용하여 LD의 광출력을 증폭하고 증폭한 광출력을 APC회로에 출력하는 PD증폭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조절부는,
    가산증폭기로부터 가산된 값과 오차검출기로부터 검출한 전압을 적분하여 안정된 전류를 출력하는 적분기와, 상기 적분기로부터 출력되는 전압을 인가받아 LD의 구동을 제어하는 전류드라이버와, 상기 전류드라이버로부터 출력 전류를 공급받아 반도체 레이저의 전류원에서 사용할 음(-)전압발생과 순간적인 과도전압으로 인한 레이저 다이오드의 손상을 방지시키기 위한 슬로우 스타트 회로부와, 전류/전압을 변환기로부터 출력되는 전류값을 원하는 전류로 제한시키는 전류제한부와, 상기 전류제한부로부터 제한된 전류에 의해 구동하는 트랜지스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서미스터와, 상기 서미스터의 온도변화에 따른 저항변화를 검출하고 검출한 저항변화를 전압변화로 변환시키는 저항/전압변환기와, 온도를 설정하는 온도설정부와, 상기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감산하여 오차전압을 출력하는 감산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감산기로부터 감산한 오차전압을 원하는 온도로 제한시키는 온도제한부와, 상기 오차전압을 TEC에 공급하기 위한 TEC구동부와, 상기 TEC전류를 제한시키기위한 TEC전류제한부와, 상기 TEC전류를 증폭하고 증폭한 TEC전류를 출력하는 버퍼증폭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전류조절부는, 많은 전류를 흘러서 열을 적게 발생시키기 위한 전계효과트랜지스터와, 제 1 저항을 통해 검출된 피드백 전압을 증폭시키기 위한 제 1 증폭기와, 상기 제 1 증폭기로부터 증폭된 전압을 다시 증폭하여 반도체 레이저의 전류를 얻게 하는 제 2, 제 3 증폭기와, 상기 전류를 제한시키기 위한 제 4 증폭기와, 상기 전류를 조절하기 위한 제 2 저항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온도조절부는, 설정온도와 현재온도를 비교하여 그 차에 대한 오차신호를 TEC에 공급하기위한 제 5 피드백 증폭기와, 전류의 방향을 제어하는 제 2. 제 3 상보형 트랜지스터와, 상기 제 2, 제 3 상보형 트랜지스터로 원하는 값이상의 전류가 인가되지 않도록 최대전류를 제한시키기 위한 제 4, 제 5 트랜지스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레이저 다이오드의 애노드측(+)을 접지시키고, 그의 캐소드측(-)은 -전원단자에 각각 접속하여 상기 애노드측(+)을 접지방식으로 사용하고 상기 캐소드측(-)을 공급전원방식으로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 장치.
KR1019980035735A 1998-08-31 1998-08-31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장치 KR1002724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735A KR100272403B1 (ko) 1998-08-31 1998-08-31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5735A KR100272403B1 (ko) 1998-08-31 1998-08-31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5698A true KR20000015698A (ko) 2000-03-15
KR100272403B1 KR100272403B1 (ko) 2000-12-01

Family

ID=195490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5735A KR100272403B1 (ko) 1998-08-31 1998-08-31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272403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22B1 (ko) * 2003-08-08 201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레이저다이오드 제어 장치
CN107562087A (zh) * 2016-06-30 2018-01-09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基于加热器的温度控制方法及装置、光模块
KR200487260Y1 (ko) 2018-02-26 2018-08-29 장민철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
CN109638636A (zh) * 2017-10-09 2019-04-16 科大国盾量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半导体激光器控制和状态监测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1201684B (zh) * 2017-12-15 2023-07-25 株式会社堀场制作所 半导体激光装置及其驱动方法、气体分析装置和存储介质
KR200491039Y1 (ko) 2019-05-08 2020-02-10 김영순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70722B1 (ko) * 2003-08-08 2010-07-16 삼성전자주식회사 레이저 다이오드 구동 회로 및 그를 포함하는 레이저다이오드 제어 장치
CN107562087A (zh) * 2016-06-30 2018-01-09 南京中兴软件有限责任公司 基于加热器的温度控制方法及装置、光模块
CN107562087B (zh) * 2016-06-30 2024-04-02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加热器的温度控制方法及装置、光模块
CN109638636A (zh) * 2017-10-09 2019-04-16 科大国盾量子技术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半导体激光器控制和状态监测装置
KR200487260Y1 (ko) 2018-02-26 2018-08-29 장민철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0272403B1 (ko) 2000-1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0535B2 (ja) 発光素子の駆動回路
JP5035054B2 (ja) 半導体レーザ駆動回路
US4484331A (en) Regulator for bias current of semiconductor laser diode
US20050052222A1 (en) Output control device for electric power source
TW201332391A (zh) Dc-結合型雷射驅動電路及半導體雷射元件之驅動方法
US6229833B1 (en) Laser diode protecting circuit and laser driving current control circuit
JP2006054507A (ja) 光受信回路
JP3320900B2 (ja) レーザダイオードの自動温度制御回路及びこれを用いた電気/光信号変換ユニット
CN112397985A (zh) 一种泵浦激光器驱动稳定系统
KR100272403B1 (ko)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장치
JP2006041628A (ja) 光受信回路
US7711021B2 (en) Laser driver circuit able to compensate a temperature dependence of the laser diode
JP2008205634A (ja) オートパワーコントロール回路及び光送信器
US20020093999A1 (en) Laser diode drive circuit and optical transmission system
CN109088306B (zh) 激光二极管驱动器消光比控制的控制电路及其方法
JPS6190487A (ja) 半導体レ−ザ駆動回路
US4594541A (en) Switching regulator using dual slope sawtooth generator
CN112436378B (zh) 一种激光器驱动电流扩流系统
JP4125723B2 (ja) 定電流駆動回路
JP3130825B2 (ja) Ld駆動回路
KR100665454B1 (ko) 스위칭 제어 정전압 발생회로
JPH11121851A (ja) 発光素子駆動回路及びこれを有する発光装置
KR0144327B1 (ko) 레이저 다이오드의 직류바이어스 회로
JP4803005B2 (ja) 光受信器
KR20040103289A (ko) 레이저다이오드 보호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824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823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824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812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824

Year of fee payment: 18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827

Year of fee payment: 19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