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91039Y1 -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 - Google Patents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91039Y1
KR200491039Y1 KR2020190001876U KR20190001876U KR200491039Y1 KR 200491039 Y1 KR200491039 Y1 KR 200491039Y1 KR 2020190001876 U KR2020190001876 U KR 2020190001876U KR 20190001876 U KR20190001876 U KR 20190001876U KR 200491039 Y1 KR200491039 Y1 KR 200491039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astic
pressing portion
elastic pressing
hard hat
cli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9000187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영순
Original Assignee
김영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영순 filed Critical 김영순
Priority to KR202019000187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91039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9103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9103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2HEADWEAR
    • A42BHATS; HEAD COVERINGS
    • A42B3/00Helmets; Helmet covers ; Other protective head coverings
    • A42B3/04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helmets
    • A42B3/0406Accessories for helmets
    • A42B3/0433Detecting,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 A42B3/0453Signalling devices, e.g. auxiliary brake or indicator lights

Landscapes

  • Helmets And Other Head Covering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활선접근경보기의 안전모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내기 위한 것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한 본 고안은, 안전모(100)의 측벽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안전모 체결홈(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활선접근경보기(20)의 착탈을 위한 탄성돌부(12,13)가 2개가 쌍을 이루어 일정 간격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안전모 체결홈(11)의 가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부에는 손잡이부(14)가 2개가 쌍을 이루어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APPROACHING ANNOUNCEMENT FIXING CLIP FOR SAFTY CAP}
본 고안은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에 관한 것으로서, 활선접근경보기를 안전모에 부착 사용함에 있어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도록 하는 고정클립 구조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발전소나 변전소와 같은 전력공급설비의 송배전라인을 개보수하는 작업과정에서 감전과 같은 인적사고를 방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안전모의 둘레면에 활선접근경보기를 밴드식으로 설치하여 경보하게 된다.
즉, 도 10에서와 같이, 안전모(100)의 둘레면에 유연한재질의 고정띠(110)와 연결되는 활선접근경보기(120)를 밴드식으로 설치하여 안전모(100)를 착용한 상태에서 송배전라인의 개보수작업을 수행하면, 활선접근경보기(120)에 의해 경보되어 작업자와 부대설비가 보호되는 것이다.
그러나, 안전모(100)는 그 외관이 상부측이 하부측에 비해 직경이 상대적으로 작은 상태로서, 예컨대 고정띠(110)의 유연성이 저하되어 헐거워진 경우 활선접근경보기(120)가 벗겨져 손쉽게 이탈되므로, 활선접근경보기(120)로서의 자체기능을 상실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272403호(2002.04.04.등록) 대한민국실용신안등록 제170734호(1999.11.30.등록)
본 고안은 상기한 종래 기술에서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제안된 것으로서, 안전모와의 착탈이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고정상태가 안정적으로 유지되어질 수 있는 클립 형태의 고정부품을 개발함으로서 작업현장에서 활선접근경보기의 이용 편의성을 향상시키도록 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이루기 위한 본 고안의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은, 안전모의 측벽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안전모 체결홈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활선접근경보기의 착탈을 위한 탄성돌부가 2개가 쌍을 이루어 일정 간격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안전모 체결홈의 가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부에는 손잡이부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러한 본 고안의 고정클립은, 활선접근경보기의 안전모 설치 및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됨과 함께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는 효과를 나타낸다.
특히, 안전모의 측면에 장착이 이루어짐으로서 경보음의 청취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고안 고정클립과 활선접근경보기 분리 상태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 고정클립과 활선접근경보기 분리 상태 정면도.
도 3은 본 고안 고정클립과 활선접근경보기 결합 상태 사시도.
도 4는 본 고안 고정클립과 활선접근경보기 결합 상태 정면도.
도 5는 본 고안 제품이 안전모에 장착된 상태 사시도.
도 6은 본 고안 제품이 안전모에 장착된 상태 정면도.
도 7은 본 고안 제품의 응용된 안전모 장착 상태도.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클립 부품 상세 구조도.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고정클립 부품 사시도.
도 10은 종래 기술에서의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사용 상태도.
이하, 본 고안의 구체적인 실시 예를 첨부도면을 통해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먼저, 본 고안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의 구조를 도 1 내지 도 4를 통해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본 실시 예에서의 고정클립(10)은 안전모(100)의 측벽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안전모 체결홈(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활선접근경보기(20)의 착탈을 위한 탄성돌부(12,13)가 2개가 쌍을 이루어 일정 간격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안전모 체결홈(11)의 가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부에는 손잡이부(14)가 구비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안전모 체결홈(11) 내에는 제1탄성 가압부(11a)와 제2탄성 가압부(11b)가 구비되되, 상기 제1탄성 가압부(11a) 및 제2탄성 가압부(11b)는 2개가 쌍을 이루어 상호 대칭형태로 이격된 구조를 이루며, 내측에는 탄성력 증대를 위한 완충홈부(11c)가 형성된다.
또한, 양측 손잡이부(14)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위에 양측의 이격 거리를 유지시킴과 함께 선택적으로 안전모(100)에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걸림돌부(14a)가 돌출 구비된다.
도면 중 미설명 후보 21은 착탈홈이고, 22는 밴드 연결고리부를 각각 나타낸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는 본 고안 고정클립의 사용에 따른 작용효과를 살펴보기로 한다.
본 고안의 고정클립(10)은 활선접근경보기(20)를 안전모(100)에 착탈 가능하게 고정시키는 기능으로 활용이 이루어지게 된다.
즉, 고정클립(10)의 탄성돌부(12,13) 부위에 활선접근경보기(20)를 고정시킨 상태에서, 고정클립(10)을 도 5 및 도 6에서와 같이 안전모 체결홈(11)을 이용하여 안전모(100)에 조립시킴으로서 신속한 고정이 이루어지게 된다.
특히, 이때에는 안전모 체결홈(11) 부위에 안전모(100)가 결합된 상태에서 제1탄성 가압부(11a) 및 제2탄성 가압부(11b)의 탄성 지지력이 가해지게 됨으로 안정적인 체결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본 고안의 고정클립(10)을 이용하여 활선접근경보기(20)의 안전모(100) 고정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짐과 함께, 안정적인 고정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됨을 알 수 있다.
그리고, 활선접근경보기(20)를 분리시키고자 하는 경우에는 손잡이부(14)를 양측에서 가압하여 눌러주게 되면, 안전모 체결홈(11)이 벌어지게 됨으로서 안전모(100)로 부터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고안의 고정클립(10)을 사용하면 다른 형태로 안전모(100)에 고정이 가능하게 되는데, 이때는 도 7에서와 같이 손잡이부(14)에 구비된 걸림돌부(14a)를 이용하여 안전모(100)에 걸이식으로 걸어주는 형태로 사용이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은 형태로의 장착이 이루어지면, 활선접근경보기(20)가 안전모의 측면에 위치되어짐으로서 작업자로 하여금 경보음의 청취가 보다 신속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이점을
따라서, 본 고안의 고정클립(10)을 이용하여 활선접근경보기(20)의 안전모(100) 탈착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며, 필요에 따라서는 고정클립(10)을 행거형태의 걸이식으로 안전모(100)에 결합이 가능하게 됨으로 활선접근경보기(20)의 높이 조절이 가능한 이점을 나타낸다.
한편, 도 8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구조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1탄성 가압부(11a)와 제2탄성 가압부(11b) 상호간에는 탄성스프링(15)이 연결 구성되고, 상기 완충홈부(11c)에는 스펀지 재질의 완충패드(16)가 삽입 구성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고정클립(10)을 안전모(100)에 결합시켰을 때 탄성스프링(15)의 탄성 가압력 작용으로 인해 결합력이 증대되어 더욱 안정적인 탄성 체결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스펀지 재질의 완충패드(16)는 활선접근경보기(20)에 대한 탄성 지지력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됨으로, 작업 과정에서 활선접근경보기(20)가 이탈되는 현상을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9는 본 고안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탄성돌부(12,13) 측에는 활선접근경보기(2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절개홈(12a,13a)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활선접근경보기(20)와의 밀착력 증대를 위한 밀착솔(17)이 구성되며, 상기 완충홈부(11c)에는 스펀지 재질의 완충패드(16)가 삽입 구성되고, 상기 완충패드(16) 양측에는 판 형태의 날개부(18)가 돌출 구비되되, 상기 날개부(18)는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18)는 완충패드(16)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구성을 이루게 되면, 절개홈(12a,13a)의 구성으로 인해 탄성돌부(12,13)의 탄성력이 증대되어 활선접근경보기(20)의 체결 또는 분리동작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되고, 결합상태에서는 밀착솔(17)과의 마찰 작용으로 인해 안정적인 결합상태가 유지되어질 수 있게 된다.
또한, 완충패드(16)는 탄성지지력 보강을 위해 필요에 따라 완충홈부(11c)에 삽입하거나 분리시키게 되는데, 이때 완충패드(16)에는 판스프링 재질의 날개부(18)가 일체로 구비되어져 있기 때문에 삽입 또는 분리작업이 보다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즉, 사용자가 날개부(18)를 잡고 완충패드(16)를 완충홈부(11c)로 부터 분리시키거나 삽입시키는 작업이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상기에서 본 발명의 특정한 실시 예가 설명 및 도시되었지만 본 발명의 안전모 고정클립 구조가 당업자에 의해 다양하게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자명한 일이다.
그러나,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되며, 이와 같은 변형된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첨부된 특허청구범위 내에 포함된다 해야 할 것이다.
10 : 고정클립 11 : 안전모 체결홈
11a: 제1탄성 가압부 11b: 제2탄성 가압부
11c: 완충홈부 12,13: 탄성돌부
14 : 손잡이부 14a: 걸림돌부
20 : 활선접근경보기 100 : 안전모

Claims (5)

  1. 안전모(100)의 측벽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일측에는 안전모 체결홈(11)이 형성되고;
    타측에는 활선접근경보기(20)의 착탈을 위한 탄성돌부(12,13)가 2개가 쌍을 이루어 일정 간격을 이루어 구비되며;
    상기 안전모 체결홈(11)의 가변 조절이 가능하도록 하부에는 손잡이부(14)가 2개가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상기 양측 손잡이부(14)에는 상호 대향되는 부위에 선택적으로 안전모(100)에 걸림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걸림돌부(14a)가 돌출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
  2. 삭제
  3. 삭제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체결홈(11) 내에는 제1탄성 가압부(11a)와 제2탄성 가압부(11b)가 구비되되, 상기 제1탄성 가압부(11a) 및 제2탄성 가압부(11b)는 2개가 쌍을 이루어 상호 대칭형태로 이격된 구조를 이루며, 내측에는 탄성력 증대를 위한 완충홈부(11c)가 형성되고, 상기 제1탄성 가압부(11a)와 제2탄성 가압부(11b) 상호간에는 탄성스프링(15)이 연결 구성되고, 상기 완충홈부(11c)에는 스펀지 재질의 완충패드(16)가 삽입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안전모 체결홈(11) 내에는 제1탄성 가압부(11a)와 제2탄성 가압부(11b)가 구비되되, 상기 제1탄성 가압부(11a) 및 제2탄성 가압부(11b)는 2개가 쌍을 이루어 상호 대칭형태로 이격된 구조를 이루며, 내측에는 탄성력 증대를 위한 완충홈부(11c)가 형성되고, 상기 탄성돌부(12,13) 측에는 활선접근경보기(20)의 착탈이 용이하도록 다수의 절개홈(12a,13a)이 형성되고, 내측에는 활선접근경보기(20)와의 밀착력 증대를 위한 밀착솔(17)이 구성되며, 상기 완충홈부(11c)에는 스펀지 재질의 완충패드(16)가 삽입 구성되고, 상기 완충패드(16) 양측에는 판 형태의 날개부(18)가 돌출 구비되되, 상기 날개부(18)는 탄성력을 갖는 판스프링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날개부(18)는 완충패드(16) 내부를 관통하는 형태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
KR2020190001876U 2019-05-08 2019-05-08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 KR20049103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76U KR200491039Y1 (ko) 2019-05-08 2019-05-08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90001876U KR200491039Y1 (ko) 2019-05-08 2019-05-08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91039Y1 true KR200491039Y1 (ko) 2020-02-10

Family

ID=694940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90001876U KR200491039Y1 (ko) 2019-05-08 2019-05-08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91039Y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557B1 (ko) * 2021-02-22 2022-02-1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통신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모 조립체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4776U (ja) * 1992-05-28 1993-12-24 有限会社ハルヒ電工 ヘルメットに付ける検電器
KR100272403B1 (ko) 1998-08-31 2000-12-01 강선모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장치
US20100237208A1 (en) * 2009-03-20 2010-09-23 Stefano Di Lollo Holder for receiving a lid or a cover
JP5610274B2 (ja) * 2010-05-28 2014-10-22 山本光学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の保護具用クリップ
KR101951703B1 (ko) * 2017-07-03 2019-02-25 유재역 밴드홀더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94776U (ja) * 1992-05-28 1993-12-24 有限会社ハルヒ電工 ヘルメットに付ける検電器
KR100272403B1 (ko) 1998-08-31 2000-12-01 강선모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장치
US20100237208A1 (en) * 2009-03-20 2010-09-23 Stefano Di Lollo Holder for receiving a lid or a cover
JP5610274B2 (ja) * 2010-05-28 2014-10-22 山本光学株式会社 ヘルメットの保護具用クリップ
KR101951703B1 (ko) * 2017-07-03 2019-02-25 유재역 밴드홀더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557B1 (ko) * 2021-02-22 2022-02-14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통신장치와 이를 포함하는 안전모 조립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58100B1 (en) Football helmet with raised plateau
KR200321913Y1 (ko) 헤드밴드용 쿠션패드의 구조
KR200491039Y1 (ko) 안전모용 활선접근경보기 고정클립
US8850622B2 (en) Deformable safety helmet
US2585937A (en) Safety hat
US20130111648A1 (en) Cushion for headband
BRPI0520352A2 (pt) cabo de barbeador dotado de punho aperfeiçoado
USD867856S1 (en) Fastening clip for cables
US3613115A (en) Detachable face shield support for a helmet
KR101951703B1 (ko) 밴드홀더
US20100024097A1 (en) Protective Headgear System
KR20130000250U (ko) 방진 마스크
JP2009258627A (ja) 吊具
KR101521749B1 (ko) 위험구역 표시벨트용 거치홀더
KR101215583B1 (ko) 가발
US1738295A (en) Cushion for office furniture
KR200352866Y1 (ko) 인조 손톱
KR200465702Y1 (ko) 고글의 렌즈착탈용 클립조립체
CN109805518B (zh) 可便捷松紧的束紧带
KR101938546B1 (ko) 고정끈을 사용하는 수목 보호 지지대
KR101397142B1 (ko) 안전모
US2631468A (en) Automobile horn ring press button
CN204073170U (zh) 一种可脱卸的安全带腰托
JP3598471B2 (ja) 肘かけ椅子における肘当てパッド取付装置
CN213667614U (zh) 一种呼吸器附接装置和一种防护组件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