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487260Y1 -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 - Google Patents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487260Y1
KR200487260Y1 KR2020180000855U KR20180000855U KR200487260Y1 KR 200487260 Y1 KR200487260 Y1 KR 200487260Y1 KR 2020180000855 U KR2020180000855 U KR 2020180000855U KR 20180000855 U KR20180000855 U KR 20180000855U KR 200487260 Y1 KR200487260 Y1 KR 200487260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everage
lid
sound
expanded
ope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80000855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민철
Original Assignee
장민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민철 filed Critical 장민철
Priority to KR202018000085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7260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7260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7260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17/00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 B65D17/28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 B65D17/401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 B65D17/4012Rigid or semi-rigid containers specially constructed to be opened by cutting or piercing, or by tearing of frangible members or portions at lines or points of weakness characterised by having the line of weakness provided in an end wall for opening partially by means of a tearing tab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GHOUSEHOLD OR TABLE EQUIPMENT
    • A47G19/00Table service
    • A47G19/22Drinking vessels or saucers used for table service
    • A47G19/2205Drinking glasses or vessels
    • A47G19/2266Means for facilitating drinking, e.g. for infants or inval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7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5D85/72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edible or potable liquids, semiliquids, or plastic or pasty materials

Abstract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에 관한 고안이다. 본 고안의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은, 음료수가 내장되는 캔 바디; 상기 캔 바디의 상면에 결합되는 캔 뚜껑; 상기 캔 뚜껑에 형성되되 기존 음용구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확장 음용구; 상기 확장 음용구를 커버링하는 확장 음용구 커버; 및 상기 캔 뚜껑에 마련되며, 상기 확장 음용구 커버를 상기 캔 뚜껑에서 분리시켜 상기 확장 음용구가 개방되게 하는 개폐용 플립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BEVERAGE CAN}
본 고안은,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단위 시간당 많은 양의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에 관한 것이다.
음료 캔은 탄산음료, 알코올음료 등의 음료수를 저장하는 용도로 사용되는 저장용기 중의 하나로서 유리 재질의 병과 함께 가장 널리 활용된다.
다만, 유리 재질과 달리 쉽게 파손되지 않는 강한 강성을 가져야 함은 물론이거니와 무엇보다도 휴대성이 좋아야 하기 때문에 음료 캔은 얇은 박막의 알루미늄 캔으로 제작된다.
알루미늄 캔으로 음료 캔이 제작됨으로써 열전도도 높아질 수 있어 쉽게 차가워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한다.
음료 캔의 뚜껑에는 개폐용 플립이 마련되는데, 이러한 개폐용 플립을 일측으로 제침으로써 음용구를 손쉽게 개방할 수 있다.
그런데, 현존하는 음료 캔의 경우, 음용구가 획일적으로 다소 좁을 수 있고, 입 닿는 쪽에 테두리 부분이 있음으로 인해 음료가 좁은 공간으로 배출되면서 꿀렁꿀렁 소리가 나는 등 음용감이 떨어지고 옆으로 샐 수 있다는 점을 고려해볼 때, 이러한 점을 개선하기 위한 신개념의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에 대한 필요성이 대두된다.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1999-0036240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10-2000-0015698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1-0031601호 대한민국특허청 출원번호 제20-2004-0005725호
본 고안의 목적은, 캔에 담긴 음료 음용시 컵에 따라 마시는 것과 같이 자연스럽게 음용하고 옆으로 새지 않도록 함으로써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은, 음료수가 내장되는 캔 바디; 상기 캔 바디의 상면에 결합되는 캔 뚜껑; 상기 캔 뚜껑에 형성되되 기존 음용구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확장 음용구; 상기 확장 음용구를 커버링하는 확장 음용구 커버; 및 상기 캔 뚜껑에 마련되며, 상기 확장 음용구 커버를 상기 캔 뚜껑에서 분리시켜 상기 확장 음용구가 개방되게 하는 개폐용 플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에 의해 달성된다.
상기 확장 음용구는 상기 기존 음용구의 면적보다 2배 넓게 형성되며,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확장 음용구 영역의 상기 캔 뚜껑의 둘레벽에 형성되되 상기 음료수가 배출되는 배출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로는 주변보다 낮은 위치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배출로는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더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음용구가 넓고 입 닿는 쪽에 테두리 부분이 남지않도록 함으로써 캔에 담긴 음료 음용시 컵에 따라 마시는 것과 같이 자연스럽게 음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옆으로 새지 않아 깔끔하게 음용할 수 있어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확장 음용구를 개방한 상태의 도면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의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9의 동작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고안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고안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예는 본 고안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고안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고안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고안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한편,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는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이웃하는"과 "~에 직접 이웃하는" 등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설시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고안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고안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의 설명 중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도록 하며, 경우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제1 실시예)
도 1은 본 고안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의 사시도, 도 2는 도 1의 평면도, 그리고 도 3은 도 2에서 확장 음용구를 개방한 상태의 도면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100)은 단위 시간당 많은 양의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와 같은 효과를 제공할 수 있는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100)은 탄산음료, 알코올음료 등의 음료수가 내장되는 캔 바디(110)와, 캔 바디(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캔 뚜껑(120)을 포함한다.
캔 뚜껑(120)을 비롯하여 음료 캔(100)은 통상적인 알루미늄 캔일 수 있는데, 이의 재질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다만, 이들이 알루미늄 재질로 제작될 경우, 가볍기 때문에 휴대성이 뛰어나고, 열전도도가 높아 쉽게 차가워질 수 있는 장점을 제공할 수 있다.
캔 뚜껑(120)에는 확장 음용구(130)가 형성된다. 확장 음용구(130)는 도 3에 점선으로 도시된 기존 음용구(30)보다 훨씬 넓은 공간을 이룬다.
예컨대, 본 실시예에서 확장 음용구(130)는 기존 음용구(30)의 면적보다 2배 넓게 형성되며, 부채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와 같은 형상으로 인해 한정된 공간에 넓은 면적의 확장 음용구(130)를 형성시킬 수 있다.
이처럼 기존과 달리 확장 음용구(130)가 적용되면 이곳을 통해 배출되는 음료수의 양이 많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확장 음용구(130)를 통해서 단위 시간당 많은 양의 음료가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컵에 음료를 빨리 부어야 하거나 운동 후 갈증이 매우 심한 경우 등 다양한 상황 하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하다.
이러한 확장 음용구(130)는 평상 시 개방되어서는 아니 되므로 확장 음용구(130)에는 확장 음용구(130)를 커버링하여 덮는 확장 음용구 커버(132)가 마련된다.
그리고 확장 음용구 커버(132)의 주변에는 개폐용 플립(140)이 마련된다. 개폐용 플립(140)은 캔 뚜껑(120)의 중심부에 마련되되 확장 음용구 커버(132)를 캔 뚜껑(120)에서 분리시켜 확장 음용구(130)가 개방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개폐용 플립(140)은 중심축부(141)를 기준으로 해서 일측의 커버 가압부(142)가 확장 음용구 커버(132)에 배치되고, 타측의 손잡이부(143)는 커버 가압부(142)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손잡이부(143)에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위해 통공(144)이 형성된다.
이에, 손잡이부(143)를 약간 들어 손잡이부(143)와 캔 뚜껑(120) 사이에 손가락을 넣어 손잡이부(143)를 제치면 커버 가압부(142)가 확장 음용구 커버(132)를 강하게 가압하게 되고, 이러한 힘에 의해 확장 음용구 커버(132)의 둘레 라인(133)이 캔 뚜껑(120)으로부터 박리되면서 확장 음용구(130)가 도 3처럼 개방될 수 있다.
확장 음용구(130)가 개방되면 확장 음용구(130)를 통해 캔 바디(110) 내의 음료수를 음용하면 된다.
이때, 본 실시예에 따른 확장 음용구(130)는 앞서도 기술한 것처럼 기존 음용구(30)보다 훨씬 넓은 공간을 이루기 때문에 확장 음용구(130)를 통해 배출되는 음료수의 양이 많아질 수 있다.
다시 말해, 확장 음용구(130)를 통해서 단위 시간당 많은 양의 음료가 배출될 수 있기 때문에 컵에 음료를 빨리 부어야 하거나 운동 후 갈증이 매우 심한 경우 등 다양한 상황 하에서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에 충분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구조와 작용을 갖는 본 실시예에 따르면, 단위 시간당 많은 양의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제2 실시예)
도 4는 본 고안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평면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200) 역시, 캔 바디(110)와, 캔 바디(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캔 뚜껑(220)을 포함한다.
캔 뚜껑(220)에는 확장 음용구(130)가 마련되되 확장 음용구(130)에는 개폐용 플립(140)에 의해 개계가 가능한 확장 음용구 커버(132)가 마련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확장 음용구(130) 영역의 캔 뚜껑(220)의 둘레벽에는 음료수가 배출되는 배출로(250)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로(250)는 주변보다 낮은 위치를 형성한다.
이에 대해 부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200)에도 기존보다 넓은 확장 음용구(130)가 형성되는데, 이러한 확장 음용구(130)를 통해 음료수를 마시다보면 확장 음용구(130)가 너무 넓어서 음료수가 주변으로 샐 수 있다.
따라서 확장 음용구(130)가 넓더라도 음료수가 주변으로 새지 않도록 음료수의 배출을 가이드해줄 필요가 있는데, 이의 역할을 배출로(250)가 담당한다. 배출로(250)는 마치 도랑과 같은 역할을 담당하면서 배출되는 음료를 일측으로 가이드하는 역할을 담당한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단위 시간당 많은 양의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3 실시예)
도 6은 본 고안의 제3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300) 역시, 캔 바디(110)와, 캔 바디(110)의 상면에 결합되는 캔 뚜껑(320)을 포함한다.
캔 뚜껑(320)에는 확장 음용구(130)가 마련되되 확장 음용구(130)에는 개폐용 플립(140)에 의해 개계가 가능한 확장 음용구 커버(132)가 마련된다.
그리고 확장 음용구(130) 영역의 캔 뚜껑(320)의 둘레벽에는 음료수가 배출되는 배출로(350)가 형성된다. 이때, 배출로(350)는 주변보다 낮은 위치를 형성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배출로(350)는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더 낮아지는 경사면(351)을 형성한다. 이처럼 배출로(350)에 경사면(351)이 형성되면 경사진 중앙으로 음료가 모아져 배출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단위 시간당 많은 양의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4 실시예)
도 7은 본 고안의 제4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400) 역시, 캔 뚜껑(120)에는 확장 음용구(130)가 마련되되 확장 음용구(130)에는 개폐용 플립(440)에 의해 개계가 가능한 확장 음용구 커버(132)가 마련된다.
그리고 개폐용 플립(440)은 중심축부(141)를 기준으로 해서 일측의 커버 가압부(142)가 확장 음용구 커버(132)에 배치되고, 타측의 손잡이부(143)는 커버 가압부(142)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손잡이부(143)에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위해 통공(144)이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개폐용 플립(440)의 커버 가압부(142) 영역에는 확장 음용구(130)와 대응되는 사이즈를 갖는 가압력 제공 스커트부(445)가 더 마련된다.
본 실시예처럼 커버 가압부(142) 영역에 가압력 제공 스커트부(445)가 더 마련되면 가압력 제공 스커트부(445)가 넓은 면적으로 확장 음용구 커버(132)를 가압할 수 있기 때문에 손쉽게 확장 음용구 커버(132)를 분리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단위 시간당 많은 양의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5 실시예)
도 8은 본 고안의 제5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의 평면도이다.
이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500) 역시, 캔 뚜껑(520)에는 확장 음용구(130)가 마련되되 확장 음용구(130)에는 개폐용 플립(140)에 의해 개계가 가능한 확장 음용구 커버(132)가 마련된다.
그리고 개폐용 플립(140)은 중심축부(141)를 기준으로 해서 일측의 커버 가압부(142)가 확장 음용구 커버(132)에 배치되고, 타측의 손잡이부(143)는 커버 가압부(142)의 반대측에 배치된다. 손잡이부(143)에는 사용상의 편의성을 위해 통공(144)이 형성된다.
한편, 이와 같은 구조에서 캔 뚜껑(520)에는 확장 음용구(130)보다 넓게 더미 절취선(560)이 더 형성된다.
개폐용 플립(140)의 작용으로 더미 절취선(560)이 절취되지는 않지만 더미 절취선(560)이 형성되면 별도의 공구를 이용해서 더미 절취선(560)를 절취시킴으로써 확장 음용구(130)보다 넓은 개구를 형성시켜 사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단위 시간당 많은 양의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6 실시예)
도 9는 본 고안의 제6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의 평면도이고, 도 10은 도 9의 동작도이다.
이들 도면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600) 역시, 캔 뚜껑(120)에는 확장 음용구(130)가 마련되되 확장 음용구(130)에는 개폐용 플립(640)에 의해 개계가 가능한 확장 음용구 커버(132)가 마련된다.
한편, 본 실시예의 경우에는 확장 음용구(130)의 반대측에 확장 음용구(130)보다 작은 사이즈, 즉 기존 음용구(630)가 형성되며, 기존 음용구(630)는 기존 음용구 커버(632)에 의해 커버링된다.
그리고 개폐용 플립(640)의 중심에는 개폐용 플립(640)을 회전시키는 회전지지부(641)가 마련된다. 회전지지부(641)를 통해 개폐용 플립(640)을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도 9처럼 개폐용 플립(640)의 커버 가압부(642)가 확장 음용구 커버(132) 영역에 배치되어 확장 음용구 커버(132)를 개방하면 넓은 확장 음용구(130)가 열릴 수 있으며, 반대로 도 10처럼 개폐용 플립(640)의 커버 가압부(642)가 기존 음용구 커버(632) 영역에 배치되어 기존 음용구(630)를 개방하면 다소 좁은 기존 음용구(630)가 열릴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음용구의 사이즈를 선택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실시예가 적용되더라도 단위 시간당 많은 양의 음료를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경우에 따라 사용상의 편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고안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고안의 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100 : 음료 캔 110 : 캔 바디
120 : 캔 뚜껑 130 : 확장 음용구
132 : 확장 음용구 커버 133 : 둘레 라인
140 : 개폐용 플립 141 : 중심축부
142 : 커버 가압부 143 : 손잡이부
144 : 통공

Claims (4)

  1. 음료수가 내장되는 캔 바디; 상기 캔 바디의 상면에 결합되는 캔 뚜껑; 상기 캔 뚜껑에 형성되되 기존 음용구보다 상대적으로 넓게 형성되는 확장 음용구; 상기 확장 음용구를 커버링하는 확장 음용구 커버; 및 상기 캔 뚜껑에 마련되며, 상기 확장 음용구 커버를 상기 캔 뚜껑에서 분리시켜 상기 확장 음용구가 개방되게 하는 개폐용 플립을 포함하는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에 있어서,
    상기 개폐용 플립의 커버 가압부 영역에는 상기 확장 음용구와 대응되는 사이즈를 갖는 가압력 제공 스커트부가 마련되어 상기 가압력 제공 스커트부가 상기 개폐용 플립의 커버 가압부보다 넓은 면적으로 확장 음용구 커버를 가압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음용구는 상기 기존 음용구의 면적보다 2배 넓게 형성되며, 부채꼴 형상을 가지며,
    상기 캔 뚜껑에는 상기 확장 음용구보다 넓게 더미 절취선이 더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음용구 영역의 상기 캔 뚜껑의 둘레벽에 형성되되 상기 음료수가 배출되는 배출로를 더 포함하며,
    상기 배출로는 주변보다 낮은 위치를 형성하면서 중심부로 갈수록 높이가 더 낮아지는 경사면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 음용구의 반대측에 상기 확장 음용구보다 작은 사이즈를 갖는 기존 음용구가 형성되며, 상기 기존 음용구는 기존 음용구 커버에 의해 커버링되고,
    상기 개폐용 플립의 중심에는 개폐용 플립을 회전시키는 회전지지부가 마련되어 상기 회전지지부를 통해 개폐용 플립을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
KR2020180000855U 2018-02-26 2018-02-26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 KR200487260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55U KR200487260Y1 (ko) 2018-02-26 2018-02-26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80000855U KR200487260Y1 (ko) 2018-02-26 2018-02-26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7260Y1 true KR200487260Y1 (ko) 2018-08-29

Family

ID=63405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80000855U KR200487260Y1 (ko) 2018-02-26 2018-02-26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7260Y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15698A (ko) 1998-08-31 2000-03-15 강선모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장치
KR200209044Y1 (ko) * 2000-06-30 2001-01-15 정한성 뚜껑에 오프너와 흡입구가 장착된 식,음료용 캔의 접구부
KR20010031601A (ko) 1997-10-28 2001-04-16 삐에르 레꾸르 디지털 디코더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딩
KR20040005725A (ko) 2001-09-28 2004-01-16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사용자 장치 버스트 검출기
JP2005343536A (ja) * 2004-06-04 2005-12-15 Kirin Brewery Co Ltd 缶蓋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31601A (ko) 1997-10-28 2001-04-16 삐에르 레꾸르 디지털 디코더에서 애플리케이션의 다운로딩
KR20000015698A (ko) 1998-08-31 2000-03-15 강선모 반도체 레이저 다이오드의 안정화 구동장치
KR200209044Y1 (ko) * 2000-06-30 2001-01-15 정한성 뚜껑에 오프너와 흡입구가 장착된 식,음료용 캔의 접구부
KR20040005725A (ko) 2001-09-28 2004-01-16 인터디지탈 테크날러지 코포레이션 사용자 장치 버스트 검출기
JP2005343536A (ja) * 2004-06-04 2005-12-15 Kirin Brewery Co Ltd 缶蓋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60705B1 (ko) 컵 뚜껑 및 그 휴대용 보호 케이스
JP4883942B2 (ja) 飲料容器及び飲み口付蓋体
JP4764218B2 (ja) 開封刃を有するオーバーキャップ付き容器
KR200487260Y1 (ko) 음용구가 넓은 음료 캔
US20140065276A1 (en) Muddler aid devices and related methods
US20150183547A1 (en) Shotgun accessible beer can
KR200488128Y1 (ko) 음료컵용 컵 뚜껑
TWM580068U (zh) Eco-cup structure device without straw
CN205525685U (zh) 核桃乳包装盒
TWM573609U (zh) Container with straw function
RU149264U1 (ru) Крышка контейнера
TWI822626B (zh) 防漏易開之飲料容器
CN214258868U (zh) 一种便携保温杯
KR200292047Y1 (ko) 마개를 구비한 캔
KR20210090855A (ko) 스마트 음료수 팩
CN209769931U (zh) 一种多功能杯盖及使用该杯盖的杯子
KR101896378B1 (ko) 개방이 용이한 대용량 맥주용기
JP2001278313A (ja) 飲料缶用キャップ
TWI636929B (zh) Accompanying cup lid
KR200400841Y1 (ko) 공기주입구가 구비된 음료용 캔
JP3081667U (ja) 飲料用容器
KR200174444Y1 (ko) 토출구 경사각을 갖는 음료 용기
KR200482280Y1 (ko) 텀블러 캡
KR960003632Y1 (ko) 원뿔형 토출구가 내장된 음료수 캔
TWM460845U (zh) 杯蓋結構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