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4084A - 방범장치 - Google Patents

방범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4084A
KR20000014084A KR1019980033294A KR19980033294A KR20000014084A KR 20000014084 A KR20000014084 A KR 20000014084A KR 1019980033294 A KR1019980033294 A KR 1019980033294A KR 19980033294 A KR19980033294 A KR 19980033294A KR 20000014084 A KR20000014084 A KR 2000001408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ustomer
data
controller
base station
dedicated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2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성주
Original Assignee
배동만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배동만,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배동만
Priority to KR10199800332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4084A/ko
Publication of KR200000140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4084A/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04Alarm propagated along alternative communication path or using alternative communication medium according to a hierarchy of available ways to communicate, e.g. if Wi-Fi not available use GSM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08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communication transmission line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5/0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 G08B25/01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 G08B25/10Alarm systems in which the location of the alarm condition is signalled to a central station, e.g. fire or police telegraphic systems characterised by the transmission medium using wireless transmission system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가.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
본 발명은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나.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
센터 머신과 고객의 콘트롤러간에 무선의 우회경로를 구비하여 센터 머신과 고객의 콘트롤러간을 연결하는 회선이 단선되더라도 고객의 콘트롤러로부터의 데이타가 센터 머신으로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다. 발명의 해결방법의 요지
고객의 상태를 감지하며, 그 감지된 고객측의 데이타를 전용회선으로 전송하며, 전용회선에 이상이 발생하면 유선의 우회경로로 전송하며, 유선의 우회경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무선의 우회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고객의 콘트롤러와, 상기 고객의 콘트롤러로부터 전용회선 또는 유선의 우회경로를 통하여 상기 고객측의 데이타를 제공받는 센터머신과, 상기 센터머신을 통하여 고객측의 데이타를 전용회선으로 제공받거나, 상기 고객의 콘트롤러로부터 무선의 우회경로를 통하여 고객측의 데이타를 제공받는 메인 다중화기와, 상기 메인 다중화기로부터 고객측의 데이타를 제공받아 관제원에게 안내하는 관제 호스트 컴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라. 발명의 중요한 용도
본 발명은 방범장치에 사용된다.

Description

방범장치
본 발명은 방범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우회경로를 가지는 방범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방범장치는 전용회선 또는 공중회선인 우회경로를 통하여 고객으로부터의 데이타를 관제센터에 제공하였다. 이를 종래의 방범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다수의 고객의 콘트롤러(1001∼100N)와 센터 머신(102)은 굵은 실선으로 도시한 전용회선 및 점선으로 도시한 유선의 우회경로로 연결된다. 통상적으로 상기 우회경로로는 공중회선을 사용한다. 상기 센터 머신(102)은 전용회선으로 메인 다중화기(104)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다중화기(104)는 전용회선으로 중앙관제센터의 관제 호스트 컴퓨터(106)와 연결된다.
상기 다수의 고객의 콘트롤러(1001∼100N)는 고객측에 설치된 모든 감지기가 감지한 데이타를 수집하며, 그 데이타를 전용회선을 통하여 센터 머신(102)에 전송한다. 상기 센터 머신(102)은 그 데이타를 메인 다중화기(104)를 통해 관제 호스트 컴퓨터(106)에 제공한다. 상기 관제 호스트 컴퓨터(106)는 그 데이타를 디스플레이하여 관제원 등이 그 데이타에 따른 사실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한다.
그런데, 상기 고객의 콘트롤러(1001∼100N)와 센터 머신(102)간을 연결하는 전용회선에 이상이 발생하면, 고객의 콘트롤러(1001∼100N)는 우회경로를 통하여 센터 머신(102)으로 데이타를 전송한다. 이와같이 종래에는 전용회선의 이상에 무관하게 고객측의 데이타를 센터 머신(102)에 제공 가능하게 하였다.
그러나, 상기 전용회선이나 우회경로는 모두 유선으로 이루어져 두 회선이 다 단선될 경우에는 고객측의 데이타를 센터 머신에 제공할 수 없는 곤란한 점이 있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 방범 장치에서는 고객측과 센터간을 유선의 전용회선과 유선의 우회경로로 연결함으로써, 전용회선이나 우회경로의 선로가 단선될 때에는 고객측으로부터의 데이타를 센터 머신에 제공할 수 없는 곤란한 점이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고객측과 센터간을 무선으로 연결하여 유선 단선시 무선의 우회경로를 통해 고객측으로부터의 데이타가 센터로 제공되지 않는 경우를 최소화하는 방범장치를 제공한다.
도 1은 종래의 방범장치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범장치의 구성도,
도 3은 도 2의 고객의 콘트롤러의 구성도,
도 4는 도 3의 무선 인터페이스부중 신호송출부의 구성도.
도 5 내지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처리흐름도.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고객의 상태를 감지하며, 그 감지된 고객측의 데이타를 전용회선으로 전송하며, 전용회선에 이상이 발생하면 유선의 우회경로로 전송하며, 유선의 우회경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무선의 우회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고객의 콘트롤러와, 상기 고객의 콘트롤러로부터 전용회선 또는 유선의 우회경로를 통하여 상기 고객측의 데이타를 제공받는 센터머신과, 상기 센터머신을 통하여 고객측의 데이타를 전용회선으로 제공받거나, 상기 고객의 콘트롤러로부터 무선의 우회경로를 통하여 고객측의 데이타를 제공받는 메인 다중화기와, 상기 메인 다중화기로부터 고객측의 데이타를 제공받아 관제원에게 안내하는 관제 호스트 컴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 및 첨부 도면에서 많은 특정 상세들이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나타나 있으나, 이들 특정 상세들은 본 발명의 설명을 위해 예시한 것으로 본 발명이 그들에 한정됨을 의미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방범 장치의 구성도를 도시한 도 2를 참조하면, 다수의 고객의 콘트롤러(2001∼200N)와 센터 머신(202)은 전용회선 및 제1우회경로인 공중회선으로 연결된다. 상기 센터 머신(202)은 전용회선으로 메인 다중화기(204)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메인 다중화기(204)는 전용회선으로 중앙관제센터의 관제 호스트 컴퓨터(206)와 연결된다. 또한 상기 다수의 고객의 콘트롤러(2001∼200N)와 메인 다중화기(204)간에는 CT-2 기지국(208)과 전화국(210)을 통해 무선인 제2우회경로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고객의 콘트롤러(2001∼200N)는 구성과 동작이 동일하므로, 이하 어느 한 고객의 콘트롤러를 예를 들어 구성과 동작을 설명한다. 고객의 콘트롤러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도 3을 참조하면, 콘트롤러(300)는 고객측에 설치된 감지기의 신호를 수집하며, 그 데이타를 통신제어부(302)를 통해 센터머신(204)에 제공한다. 상기 콘트롤러(300)는 전용회선에 이상이 없으면 상기 데이타를 전용회선을 통해 센터머신(204)에 전송한다. 그러나 전용회선에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콘트롤러(300)는 제1우회경로를 통해 상기 데이타를 센터머신(204)에 전송한다. 그런데, 상기 제1우회경로마저 이상이 발생되면, 상기 콘트롤러(300)는 제2우회경로로 상기 데이타를 전송한다. 상기 콘트롤러(300)는 제2우회경로로 데이타를 송신하기 위하여 통신제어부(302)를 통해 무선 인터페이스부(304)가 무선으로 CT-2 기지국(208)으로 데이타를 전송하도록 제어한다. 상기 무선 인터페이스부(304)는 CT-2 단말로서 통신 제어부(302)의 제어에 따라 무선으로 CT-2 기지국(208)에 데이타를 전송한다.
상기와 같은 방범 장치의 동작을 고객의 콘트롤러의 무선 인터페이스부(304), CT-2 기지국(208), 관제 호스트 컴퓨터(206)에서의 처리 흐름도인 도 5 내지 도 7를 참조하며 설명한다.
상기 도 5의 (500)단계에서 전용회선 및 제1우회경로에 이상이 발생하여 제2우회경로인 무선 인터페이스부(304)를 통한 데이타 송신이 요구되면 무선 인터페이스부(304)는 (502)단계로 진행하여 CT-2 기지국(208)과의 접속을 시도한다. 상기 접속시도중 무선 인터페이스부(304)는 (504)단계로 진행하여 CT-2 기지국(208)과의 접속이 이루어졌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CT-2 기지국(208)과의 접속이 이루어졌으면 무선 인터페이스부(304)는 (506)단계로 진행하여 CT-2 기지국(208)으로부터 CT-2 가입자가 아닌 것으로 판단되어 통화접속 불가능이 통보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무선 인터페이스부(304)는 통화접속 불가능이 통보되면 (514)단계로 진행하여 CT-2 기지국(208)과의 접속을 해제하고 종료한다. 그리고 무선 인터페이스부(304)는 통화접속 불가능이 통보되지 않으면 (508)단계로 진행하여 CT-2 기지국(208)으로부터 CT-2 기지국(208)의 번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무선 인터페이스부(304)는 CT-2 기지국(208)의 번호가 수신되면 (510)단계로 진행하여 CT-2 기지국(208)으로부터 메인 다중화기(204)의 연결을 나타내는 사용허가신호가 수신되는지를 검색한다. 이때 무선 인터페이스부(304)는 사용허가신호가 수신되면 (512)단계로 진행하여 CT-2 기지국(208) 및 전화국(210)을 통해 메인 다중화기(204)로 고객측으로부터의 데이타 및 CT-2 기지국(208)의 번호를 송신한다. 그후 (514)단계로 진행하여 CT-2 기지국(208)과의 접속을 해제하고 종료한다.
그리고, 도 6의 (600)단계에서 CT-2 기지국(208)은 무선 인터페이스부(304)가 접속을 시도하는지를 검색한다. 상기 CT-2 기지국(208)은 무선 인터페이스부(304)가 접속을 시도하면 (602)단계로 진행하여 그 접속을 시도한 무선 인터페이스부(304)가 CT-2 가입자인지를 검색한다. 이때 CT-2 기지국(208)은 해당 무선 인터페이스부(304)가 CT-2 가입자이면 (606)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604)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04)단계에서 CT-2 기지국(208)은 무선 인터페이스부(304)에 접속 불가능을 통보한 후에 종료한다.
상기 (606)단계에서 CT-2 기지국(208)은 무선 인터페이스부(304)에 CT-2 기지국(208)의 번호를 송신한 후에 전화국(210)을 통해 메인 다중화기(204)와 연결한다. 이에따라 무선 인터페이스부(304)와 메인 다중화기(204)간의 경로가 형성된다. 이와같이 경로가 형성되면 CT-2 기지국(208)은 (608)단계로 진해아여 무선 인터페이스부(304)에 사용허가신호를 제공한 후에 (610)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0)단계에서 CT-2 기지국(208)은 무선 인터페이스부(304)가 접속을 해제하면 (614)단계로 진행하여 전화국(210)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종료하고, 그렇지 않으면 (612)단계로 진행한다. 상기 (612)단계에서 CT-2 기지국(208)은 전화국(210) 및 메인 다중화기(204)를 통해 관제 호스트 컴퓨터(206)가 서비스 불가를 통보하는지를 검색하여, 서비스 불가를 통보하면 (614)단계로 진행하여 전화국과의 연결을 해제하고 종료한다.
그리고, 도 7의 (700)단계에서 관제 호스트 컴퓨터(206)는 메인 다중화기(204)를 통해 고객측으로부터 데이타가 제공되면 (702)단계로 진행하여 서비스 가능한 데이타인지를 검색한다. 이때 관제 호스트 컴퓨터(206)는 고객측으로부터의 데이타가 서비스 가능한 데이타이면 (704)단계로 진행하여 그 데이타에 따라 고객의 자료 및 대처사항을 표시하여 관제원에 안내한다. 이와달리 고객측으로부터의 데이타가 서비스 가능한 데이타가 아니면 (706)단계로 진행하여 CT-2 기지국에 서비스 불가를 통보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객의 콘트롤러와 관제 호스트 컴퓨터(206)를 연결하는 경로로서, 유선의 전용회선과 유선의 제1우회경로와 무선인 제2우회경로를 구비하여 유선의 전용회선과 제1우회경로의 선로가 단선되더라도 고객의 콘트롤러로부터의 데이타가 무선의 제2우회경로를 통하여 관제 호스트 컴퓨터(206)에 제공되도록 한다.
상기 고객의 콘트롤러의 무선 인터페이스부(304)의 데이타 송신과정을 무선 인터페이스부(304)의 개략적인 구성도를 도시한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통신제어부(300)의 데이타가 입력되면 제어부(400)는 전원부(404)와 발진부(406)를 구동한다. 상기 발진부(406)는 소정의 발진주파수의 출력하며, 그 발진주파수는 체배부(408)에 입력되어 캐리어 주파수로서 출력된다. 상기 캐리어 주파수는 믹서(410)에 제공된다. 상기 통신 제어부(300)가 제공하는 데이타는 변조부(402)에 의해 변조되어 믹서(410)에 제공된다. 상기 믹서(410)는 캐리어 주파수와 변조된 데이타를 믹싱하여 출력하며, 그 출력은 증폭부(412)에 의해 증폭된 후에 송신부(414)에 제공된다. 상기 송신부(414)는 그 증폭된 믹서(410)의 출력을 안테나를 통해 CT-2 기지국(208)에 전송한다.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무선 인터페이스부로서 CT-2 단말을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이는 휴대폰이나 개인 휴대 통신장치를 사용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고객의 콘트롤러와 관제 호스트 컴퓨터를 연결하는 경로로서 무선의 우회경로를 구비하여 고객의 콘트롤러로부터의 데이타가 관제 호스트 컴퓨터에 제공되지 않는 경우를 최소화한다.

Claims (2)

  1. 방범장치에 있어서,
    고객의 상태를 감지하며, 그 감지된 고객측의 데이타를 전용회선으로 전송하며, 전용회선에 이상이 발생하면 유선의 우회경로로 전송하며, 유선의 우회경로에 이상이 발생하면 무선의 우회경로를 통해 전송하는 고객의 콘트롤러와,
    상기 고객의 콘트롤러로부터 전용회선 또는 유선의 우회경로를 통하여 상기 고객측의 데이타를 제공받는 센터머신과,
    상기 센터머신을 통하여 고객측의 데이타를 전용회선으로 제공받거나, 상기 고객의 콘트롤러로부터 무선의 우회경로를 통하여 고객측의 데이타를 제공받는 메인 다중화기와,
    상기 메인 다중화기로부터 고객측의 데이타를 제공받아 관제원에게 안내하는 관제 호스트 컴퓨터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의 우회경로가,
    상기 고객의 콘트롤러로부터의 데이타를 무선으로 제공받는 무선 기지국과,
    상기 무선기지국과 메인 다중화기간을 연결하는 전화국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범장치.
KR1019980033294A 1998-08-17 1998-08-17 방범장치 KR20000014084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294A KR20000014084A (ko) 1998-08-17 1998-08-17 방범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294A KR20000014084A (ko) 1998-08-17 1998-08-17 방범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4084A true KR20000014084A (ko) 2000-03-06

Family

ID=1954743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294A KR20000014084A (ko) 1998-08-17 1998-08-17 방범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4084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44384A (ko) * 2001-02-15 2001-06-05 송호종 무인경비 시스템의 전용선 대체 공중회선 전환장치
KR20010055067A (ko) * 1999-12-09 2001-07-02 배동만 무선망을 이용한 경비 시스템 구현 방법
KR20050115171A (ko) * 2004-06-03 2005-12-07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경보장치 및 그 방법
KR100672924B1 (ko) * 2006-05-25 2007-01-24 주식회사 훠엔시스 원격 감시 장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3201B1 (ko) * 2009-05-06 2011-08-01 주식회사 모빌리언스 무선 인터넷을 활용하여 전용회선을 대체하는 백업라인 제공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0055067A (ko) * 1999-12-09 2001-07-02 배동만 무선망을 이용한 경비 시스템 구현 방법
KR20010044384A (ko) * 2001-02-15 2001-06-05 송호종 무인경비 시스템의 전용선 대체 공중회선 전환장치
KR20050115171A (ko) * 2004-06-03 2005-12-07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가정 자동화 시스템의 경보장치 및 그 방법
KR100672924B1 (ko) * 2006-05-25 2007-01-24 주식회사 훠엔시스 원격 감시 장치, 원격 감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1053201B1 (ko) * 2009-05-06 2011-08-01 주식회사 모빌리언스 무선 인터넷을 활용하여 전용회선을 대체하는 백업라인 제공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441007C (zh) 移动通信终端设备和服务器设备
US20090203349A1 (en) Wireless security system
JPH09214627A (ja) 無線ユニット、コードレス・データ/ファクス・モデム及びデータ伝達方法
KR20000014084A (ko) 방범장치
KR100703297B1 (ko) 위치정보서비스 장치 및 방법
JP2638562B2 (ja) デジタル携帯電話機データ通信用データ変換装置
JP3012606B1 (ja) 基地局装置、移動局装置及びこれらを用いた移動通信システム、並びに移動通信方法
JPH01282950A (ja) 通信装置
JP3142219B2 (ja) 無線電話システム
KR20060024600A (ko)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EP0930591A1 (en) Automatically locating individuals utilizing a combination of wireless media
KR20000044068A (ko) 이동 통신 시스템의 긴급 상황 처리 방법
KR20010017992A (ko) 중계기 무선 감시 시스템
KR0119196B1 (ko) 다중 시리얼 인터페이스 기능을 갖는 무선공중전화기
KR20010055067A (ko) 무선망을 이용한 경비 시스템 구현 방법
JP6737113B2 (ja) 通信システム
JP2654392B2 (ja) 無線通信装置
JP3289757B2 (ja) コードレス電話機
JP2872164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
KR100764353B1 (ko) 메시지 처리 기능을 구비한 무선 통신 모듈과 이를 이용한시스템
JP2984605B2 (ja) 携帯無線電話システム
EP0670650A1 (en) Portable communications interface network
JP2001230737A (ja) 無線装置の故障診断方法
JP2003219042A (ja) プロセス監視システムおよび送受信装置
JPH08265821A (ja) 無線通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