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60024600A -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60024600A
KR20060024600A KR1020040073404A KR20040073404A KR20060024600A KR 20060024600 A KR20060024600 A KR 20060024600A KR 1020040073404 A KR1020040073404 A KR 1020040073404A KR 20040073404 A KR20040073404 A KR 20040073404A KR 20060024600 A KR20060024600 A KR 200600246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terminal
terminal
remote control
communication
ke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400734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신환욱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400734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60024600A/ko
Publication of KR200600246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6002460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66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with means for preventing unauthorised or fraudulent calling
    • H04M1/663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 H04M1/665Preventing unauthorised calls to a telephone set by checking the validity of a cod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with interactive means for internal management of messag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6Communication-related supplementary services, e.g. call-transfer or call-hol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복합주파수 부호를 이용하여 통화중인 상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1 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 단말기의 통화 중에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대한 원격제어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에 따른 복합주파수 부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키에 따른 기능을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수행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복합주파수 부호, 원격제어, 보이스 트래픽,

Description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CONTROL METHOD OF ANOTHER TERMINAL IN COMMUNICATION SYSTEM}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의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기능의 실시 예를 LCD 화면 구성상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복합주파수 부호(DTMF : dual tone multi-frequency)를 이용하여 통화중인 상대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사용이 보편화됨에 따라 다양한 기능과 디자인의 단말기가 등장하고 있다. 특히, 최근의 휴대용 통신 단말기는 개인 휴대 통신기기로서의 역할과 개인 정보 관리기기와 같은 정보처리기기로서의 역할이 보다 더 증대되는 방향으로 구현되고 있으며, 그러한 특성을 만족하도록 다양한 부가 기능들의 구현이 휴대용 통신 단말기에 제안되고 있다.
그러나 시각 장애자를 포함한 일부 계층에서는 통신 단말기에서 제공되는 많은 기능을 거의 사용하지 못한 채 오로지 전화기능만을 간신히 사용하고 있는 실정이다. 특히, 시각 장애자의 경우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이를 확인할 수가 없는 불편함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통신 단말기의 기능을 충분히 활용하지 못하는 사용자가 소유한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통화중인 타측 통신단말기를 통해 제어하는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통화중인 상대방의 통신 단말기에서 지원하지 않는 기능을 타측 통신 단말기를 통해 간접수행 하도록 하는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은 제1 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 단말기의 통화 중에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대한 원격제 어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에 따른 복합주파수 부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키에 따른 기능을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수행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제1 과정의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대한 원격제어신호의 수신은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에 구비된 원격제어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키 입력에 따른 복합주파수 부호(DTMF : dual tone multi-frequency)의 검출에 의해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일반적으로 통신 단말기상에서 통화중 상태에 사용자가 임의의 키를 누르면 CEPT recommendation T/CS 46-02에 따라 DTMF 신호가 발생된다. 키 입력에 따라 발생되는 해당 주파수는 표 1에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 개의 주파수의 혼합으로 구 성된다.
1209 Hz 1336 Hz 1477 Hz 1633 Hz
697 Hz 1 2 3 A
770 Hz 4 5 6 B
852 Hz 7 8 9 C
941 Hz * 0 # D
표 1에서 나타내는 DTMF 신호는 통화중 상태에서 보이스 트래픽 채널(voice traffic channel)에 믹스되어 전송되며, 수신측에서는 DTMF 신호의 주파수를 검출함으로써 표 1을 역으로 추적하여 송신측 단말기에서 어떠한 키가 입력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 단말기의 사용에 있어서 제조업체에 따라 또는 단말기 고유의 특정 기능에 따라 사용되는 키의 종류가 다양하겠지만, 기본적인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서 요구되는 키는 숫자키, 메뉴키, 확인키, 송신키, 종료키 등 제조업체 및 단말기 종류에 관계없이 동일하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키에 할당된 고유의 DTMF 주파수가 정의되어 있고 피제어측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측 단말기에서 확인이 가능하면, DTMF 신호를 이용함으로써 피제어측 단말기에서 키를 직접 입력한 것과 동일하게 피제어측 단말기의 일부 기능을 제어측 단말기에서 제어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되는 통신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를 나타낸 도면으로, 상기 통신 단말기(100)는 제어부(101), 키 입력부(102), 표시부(103), DTMF 신호 발생부(104), 모뎀, RF부, DTMF 신호 검출부, 안테나장치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101)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휴대용 통신 단말기의 원격제 어방법을 수행하도록 통신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상기 키 입력부(102)는 전화번호를 다이얼링하기 위한 숫자키들과 다수의 기능키를 구비하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키에 대응되는 키 데이터를 발생하여 제어부(101)로 출력한다.
상기 표시부(103)는 LCD로 구현될 수 있으며 상기 제어부(101)의 제어하에 통신 단말기의 동작상태에 따른 메시지를 표시하여 준다. 그리고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 표시부(103)는 무선신호 수신 및 발신을 사용자에게 알리기 위한 발광 표시등인 LED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DTMF 신호 발생부(104)는 통화중 상태에서 키 입력에 따른 DTMF 신호의 주파수를 전술한 표 1의 예와 같이 발생하여 보이스 트래픽 채널에 믹스하여 도 1의 화살표가 나타내는 송신경로를 통해 전송한다.
상기 DTMF 신호 검출부(105)는 보이스 신호를 수신할 때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상대 단말기로부터 어떠한 키가 입력되었는가의 정보를 제어부(101)로 전송한다.
상기 모뎀(106)은 송수신 신호를 무선 채널 환경으로 전송하기 위한 부호화/복조화 및 변조/복조 기능을 수행한다.
상기 RF부(107)는 송신하는 신호의 주파수를 상승변환 및 증폭하여 안테나(108)를 통해 전송하는 RF 송신부 및 안테나(108)를 통해 수신된 무선신호를 저잡음으로 증폭하고 주파수를 하강 변환하는 RF 수신부를 포함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의 제어과정을 나타내는 순서 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원격제어를 수행하는 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201 단계는 제어측 통신 단말기와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간의 통화중 상태를 나타내는 단계이다.
202 단계는 통화중에 DTMF 신호 검출부(105)에서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키 입력에 따른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01)로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 어떠한 키가 입력되었는지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203 단계는 상기 DTMF 신호의 검출을 통해 원격제어신호의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203 단계에서만일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제어를 위한 다음 단계로의 과정을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201 단계의 통화중 상태를 유지한다. 203 단계의 실시 예로서는 원격제어 기능을 위해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를 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 입력함으로써 구현될 수 있다.
204 단계는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여 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에 나타내는 단계이다. 적절한 실시예로는 화상전화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MMS : multimedia messaging service)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204 단계에서 수신된 디스플레이 화면을 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 확인하고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메뉴 기능을 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을 통해 수행함으로써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동작 제어가 가능하다.
205 단계는 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에 대응하는 DTMF 신호를 발생시켜 보이스 트래픽 채널에 실어 상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전송된 DTMF 신호는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 어떤 키에 해당되는지 검출됨으로써 해당키에 대한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 해당 기능이 수행되면, 기능수행 과정은 204 단계에서 다시 화상 데이터를 수신함으로써 확인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의 동작 수행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조하여 원격제어가 수행되는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301 단계는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와 제어측 통신 단말기간의 통화중 상태를 나타내는 단계이다.
302 단계는 원격제어신호의 수신여부를 판단하는 단계이다. 202 단계에서 만일 원격제어신호가 수신된 경우 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제어명령을 수행하기 위한 다음 단계로의 과정을 수행하며, 그렇지 않은 경우 301 단계의 통화중 상태를 유지한다. 302 단계는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에 구비된 키 입력부(102)에서 발생된 키 데이터를 제어부(101)로 전송함으로써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 어떠한 키가 입력되었는지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303 단계는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제어측 통신 단말기로 전송하는 단계이다. 적절한 실시예로는 화상전화방식 또는 MMS 서비스를 이용하여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송수신하는 방법 등 여러 가지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304 단계는 제어측 통신 단말기로부터의 키 입력에 따른 DTMF 신호를 검출하여 제어부(101)로 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 어떠한 키가 입력되었는지의 정보를 전송하는 단계이다.
305 단계는 304 단계에서 검출된 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을 마치 자신의 키 입력부에서 키 입력이 발생한 것과 동일하게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수행하는 단계이다. 기능수행의 진행상황은 다시 303 단계를 통해 피제어측 통신 단말에서 화상 데이터를 전송함으로써 제어측 통신 단말에서 확인이 가능하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안하는 원격제어 기능의 실시 예를 LCD 화면 구성상에서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401 단계는 원격제어 기능을 사용하기 전의 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의 통화중 상태를 나타내는 화면이며, 402 단계는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사용자가 원격 제어 기능을 사용하기 위해 메뉴로 진입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이다.
403 단계는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 원격 제어 기능을 허가하기 위해 설정한 비밀 번호를 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내는 화면이며, 404 단계는DTMF 신호분석을 통해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로부터 인증을 받는 과정을 나타낸다. 인증에 실패하면 인증실패를 나타내는 405 단계를 거쳐 406 단계에서 3회 연속 실패시 원격제어 기능으로부터 빠져 나와 통화중 상태인 401 단계로 돌아가게 된다. 인증에 성공하면 인증 완료를 나타내는 407 단계를 거쳐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현재 LCD 화면 구성을 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 나타내는 408 단계로 접어들어 원격 제어 기능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통신 단말기간 통화중 상태에서 전송되는 DTMF 신호를 이용하여 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따라서, 통신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의 사용이 어려운 계층의 사용자라도 다른 사람과의 통화를 통해 통신 단말기의 간접조작이 가능하다.
또한,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에 제공되지 않는 기능이라 하더라도 제어측 통신 단말기에 구비되어 있다면, 제어측 통신 단말기의 원격제어를 통해 피제어측 통신 단말기에서 간접적으로 수행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시각 장애자나 단말기의 다양한 기능의 사용이 어려운 계층의 사용자가 소유한 단말기에 문자 메시지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에 다른 사 람의 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그 내용을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Claims (6)

  1. 제1 통신 단말기와 제2 통신 단말기의 통화 중에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대한 원격제어신호의 수신이 감지되면, 상기 제1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송신하며, 상기 제2 통신 단말기는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화면의 화상 데이터를 수신하는 제1 과정과
    상기 제1 통신 단말기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의 키 입력에 따른 복합주파수 부호를 검출하여 검출된 키에 따른 기능을 상기 제1 단말기를 통해 수행하는 제2 과정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의 상기 제1 통신 단말기에 대한 원격제어신호의 수신은
    상기 제1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에 구비된 원격제어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며,
    상기 제2 단말기는 상기 제1 단말기의 키 입력에 따른 복합주파수 부호(DTMF : dual tone multi-frequency)의 검출에 의해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말기에 구비된 원격제어기능키의 입력에 따라 원격제어신호를 수신한 후
    상기 제2 단말기에 의한 원격 제어 기능을 허가하기 위한 인증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과정은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서 비밀번호를 입력하는 과정과,
    상기 제2 통신 단말기에 의해 입력된 비밀번호와 원격제어 기능을 허가하기 위해 상기 제1 단말기에 의해 설정된 비밀번호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는 과정임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비밀번호가 일치하는가를 판단하여 일치하지 않을 경우 소정 회수만큼 상기 제 2 단말기측에서 비밀번호를 재입력하는 과정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6.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과정은
    화상전화방식 또는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에 의해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20040073404A 2004-09-14 2004-09-14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KR2006002460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404A KR20060024600A (ko) 2004-09-14 2004-09-14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40073404A KR20060024600A (ko) 2004-09-14 2004-09-14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60024600A true KR20060024600A (ko) 2006-03-17

Family

ID=371303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40073404A KR20060024600A (ko) 2004-09-14 2004-09-14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60024600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177B1 (ko) * 2004-12-3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784971B1 (ko) * 2006-07-06 200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간 원격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방법
KR100823131B1 (ko) * 2006-02-20 2008-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가 가능한 화상 전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925996B1 (ko) * 2008-02-12 2009-11-09 주식회사 휴원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KR101335840B1 (ko) * 2007-02-09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디스포지션 제어 방법 및 단말기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88177B1 (ko) * 2004-12-3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KR100823131B1 (ko) * 2006-02-20 2008-04-21 삼성전자주식회사 원격 제어가 가능한 화상 전화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784971B1 (ko) * 2006-07-06 2007-12-1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 단말기 간 원격 제어 시스템과 이를 이용한업그레이드 시스템 및 방법
US7925288B2 (en) 2006-07-06 2011-04-12 Samsung Electronics Co., Ltd. Data sharing system and method for handheld terminals over mobile communication network
KR101335840B1 (ko) * 2007-02-09 2013-12-02 엘지전자 주식회사 메시지 디스포지션 제어 방법 및 단말기
KR100925996B1 (ko) * 2008-02-12 2009-11-09 주식회사 휴원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10031581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심 카드를 선택하는 장치 및 방법
KR10059034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전화 잠금 제어 방법
US20020042288A1 (en) Multiple-channel portable wireless communication apparatus and method
KR100725449B1 (ko) 개선한 서버연결 장치를 가지는 휴대용 단말기 및 이의서버연결 방법
KR100642683B1 (ko) 블루투스 자동 연결 방법
KR20060024600A (ko)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JPH07321936A (ja) エレベータの呼出し方法および呼出し装置
KR20110045154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억세스 포인트와 연결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0408814B1 (ko) 발신자 번호 표시 기능을 이용한 문자 및 음성 메시지원격 출력장치 및 방법
KR100664192B1 (ko) 피티티 이동통신단말기의 통신완료 메시지 전송장치 및 방법
KR100594010B1 (ko) 쇼트메시지를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의 원격 잠금 제어장치 및 방법
JP3056869B2 (ja) 移動無線通信装置
KR1003877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상대단말 상태정보 제공장치 및 방법
US7301556B2 (en) Image signal transmitting/receiving apparatus and method based on a cut-off mode
KR20130054575A (ko)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대용 단말기의 분실을 확인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20020093253A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발신 번호 설정방법
KR100851307B1 (ko) 이동통신 단말기와 이동통신 시스템에서의 착신호 처리방법
KR20060007283A (ko) 이동단말기의 오통화 예방 방법
KR20050023853A (ko) 타인의 단말을 이용한 지정번호 표시 서비스 제공방법
KR100460487B1 (ko) 방범기능이 구비된 무선전화기 및 그 제어방법
KR100664559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포즈기능을 이용한 번호 다중선택방법
KR20060028275A (ko) 외부 이동통신망을 이용한 잠금해제기능이 구비된이동통신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JPH01212061A (ja) ポケットベル用文字情報送信装置
KR100276812B1 (ko) 통신 단말기에서 라스트콜 차단방법
JPH10307979A (ja) 警備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