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925996B1 -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 Google Patents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925996B1
KR100925996B1 KR1020080012495A KR20080012495A KR100925996B1 KR 100925996 B1 KR100925996 B1 KR 100925996B1 KR 1020080012495 A KR1020080012495 A KR 1020080012495A KR 20080012495 A KR20080012495 A KR 20080012495A KR 100925996 B1 KR100925996 B1 KR 1009259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mote control
information
mobile terminal
content
transmit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8001249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90087197A (ko
Inventor
김민우
김태환
김철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휴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휴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휴원
Priority to KR102008001249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925996B1/ko
Publication of KR200900871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871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9259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9259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04Protective covers for the grinding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4GRINDING; POLISHING
    • B24BMACHINES, DEVICES, OR PROCESSES FOR GRINDING OR POLISHING; DRESSING OR CONDITIONING OF ABRADING SURFACES; FEEDING OF GRINDING, POLISHING, OR LAPPING AGENTS
    • B24B55/00Safety devices for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Accessories fitted to grinding or polishing machines for keeping tools or parts of the machine in good working condition
    • B24B55/12Devices for exhausting mist of oil or coolant; Devices for collecting or recovering materials resulting from grinding or polishing, e.g. of precious metals, precious stones, diamonds or the 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은, 송신측 휴대 단말기가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와,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와, 화면 또는 오디오 출력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에 포함된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가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가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기의 정보인지 체크하고,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기의 정보이면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가 상기 원격제어 허여정보가 수신되면, 동영상 및 정지화상 및 오디오 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콘텐츠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콘텐츠와 상기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를 결합하여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가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수신받아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를 출력 화면 또는 출력 오디오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화면

Description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REMOTE CONTROL METHOD FOR MOBILE TERMINAL AND SYSTEM THEREFOR}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부가 서비스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휴대 단말기의 화면 또는 오디오 출력 상태를 다른 휴대 단말기를 통해 원격 제어할 수 있게 하는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기술의 발달과 더불어 휴대 단말기를 위한 서비스는 음성 위주의 서비스에서 고속데이터와 영상 서비스까지도 가능한 무선 멀티미디어 서비스로 확대되어 감은 물론이고, 컬러 디스플레이, 대용량 메모리, 디지털 카메라, 무선 인터넷 플랫폼, 다중화음, MP3 기능, VOD 기능 등 첨단 기능들이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이 휴대 단말기 기술이 급진적으로 발달됨에 따라 고객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서비스가 제안되고 있다.
예를 들어, 종래에는 휴대 단말기에서 대기 화면에 특정 이미지나 애니메이션(Animation) 등을 넣거나 친한 사이나 연인들이 서로의 사진을 교환하여 이동통신 단말기의 대기화면에 설정하여 이용할 수 있게도 하였다.
상기한 기술은 사진 정보를 수신받은 고객이 상기 사진 정보를 화면 정보로 설정하여야 했으나, 이를 노년층 등과 같이 새로운 매체에 익숙하지 않은 고객이 직접 이행하는 것은 매우 어려운 문제가 있었다.
또한 오디오 정보를 수신받더라도 노년층 고객이 상기 오디오 정보를 자신의 벨소리나 효과음으로 설정하는 것 역시, 용이하지 않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종래에는 다른 휴대 단말기의 화면이나 오디오 설정 상태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히 요망되었다.
더욱이 상기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사양에 따라 화면으로 설정될 콘텐츠를 자동으로 변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량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이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또한 상기 휴대 단말기의 오디오 출력장치의 사양에 따라 벨소리나 효과음으로 설정될 콘텐츠를 자동으로 변환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량을 최적화할 수 있는 기술의 개발도 절실하게 요망되었다.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 상태를 원격에서 제어할 수 있는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사양에 따라 화면으로 설정될 콘텐츠를 가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량을 최적화하거나, 오디오 출력장치의 사양에 따라 벨소리 또는 효과음으로 설정될 콘텐츠를 가공하여 데이터량을 최적화하는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르는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은, 송신측 휴대 단말기가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와,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와, 화면 또는 오디오 출력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에 포함된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를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가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가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기의 정보인지 체크하고,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기의 정보이면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가 상기 원격제어 허여정보가 수신되면, 동영상 및 정지화상 및 오디오 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콘텐츠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콘텐츠와 상기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를 결합하여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단계;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가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수신받아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를 출력 화면 또는 출력 오디오로 설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은,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 및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원격제어 허여정보가 수신되면 동영상 및 정지화상 및 오디오 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콘텐츠를 송신하는 송신측 휴대 단말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정해진 휴대 단말기 정보인지 체크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송신측 휴대 단말기이면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송신하고,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수신받아,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를 출력 화면 또는 출력 오디오로 설정하는 수신측 휴대 단말기;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에 포함된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에 포함된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 원격제어 허여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콘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와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에 포함된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를 결합하여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 상태를 원격에서 제어 가능하게 함으로써, 고객에게 차별화된 서비스를 제공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사양에 따라 화면으로 설정될 콘 텐츠를 가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량을 최적화하거나, 오디오 출력장치의 사양에 따라 벨소리 또는 효과음으로 설정될 콘텐츠를 가공하여 송수신되는 데이터량을 최적화하는 효과가 있다.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
상기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을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상기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은 원격 제어를 이행하는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와, 원격 제어를 받는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 상기 송수신측 휴대 단말기(100,110)와 서비스 서버(122)간의 통신 경로를 형성하는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120), 본 발명의 바람직한 원격 제어 서비스를 제공하는 서비스 서버(122)로 구성된다.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 및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에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모듈(102,112)이 설치된다.
상기 원격제어모듈(102,112)은 전송 관리 모듈(104,114), 처리 모듈(106,116), 서버 체크 모듈(108,118)로 구성된다.
상기 원격제어모듈(102,112)의 각부는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로 동작하는 경우와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로 동작하는 경우에 그 동작상태가 상이하므로, 이를 구분하여 설명한다.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에서의 원격제어모듈(102)의 동작>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에서 동작하는 원격제어모듈(102)의 상기 전송 관리 모듈(104)은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12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원격제어모듈(102)의 처리 모듈(106)은 미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입력되는 고객의 원격제어 요청에 따라 원격제어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122)로 전송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122)로부터의 원격제어 허여통지에 따라 컨텐츠를 분할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는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컨텐츠에는 정지영상정보, 동영상정보 등이거나, 오디오 정보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서버 체크 모듈(108)은 원격 제어 모듈의 업데이트 등을 위해 서비스 서버(122)와 접속한다.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에서의 원격제어모듈(112)의 동작>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에서 동작하는 원격제어모듈(112)의 상기 전송 관리 모듈(114)은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12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처리 모듈(116)은 상기 서비스 서버(122)와 접속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122)로 자신의 사양정보를 송신함과 아울러, 상기 서비스 서버(122)로부터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가 미리 설정해둔 원격 제어 허여 휴대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지 여부를 체크하고,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가 미리 설정해둔 휴대 단말기이면,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 에 대한 원격 제어 허여 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22)로 전송한다.
또한 상기 처리 모듈(116)은 상기 서비스 서버(122)로부터 원격 제어용 콘텐츠가 다운로드되면,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콘텐츠와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에 따라 화면을 설정하거나, 벨소리 또는 효과음을 설정한다. 여기서,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는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정보 등의 콘텐츠 정보와 바탕화면 또는 전화올때 화면, 전화 걸때 화면 등으로 설정하기 위한 화면 설정 정보로 구성되거나, 오디오 정보 등의 콘텐츠 정보와 벨소리 또는 효과음 등으로 설정하기 위한 오디오 설정 정보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서버 체크 모듈(118)은 원격 제어 모듈의 업데이트를 개시할 수 있도록 서비스 서버(122)와 접속한다.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120)는 이동통신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송수신측 휴대 단말기(100,110)와 서비스 서버(122)간의 통신 경로를 형성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12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를 위해 전송관리모듈(124), 처리모듈(126),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28)을 구비한다.
상기 전송관리모듈(124)은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120)를 통해 송수신측 휴대 단말기(100,110)와의 통신을 담당한다.
상기 처리모듈(126)은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와 접속하여 원격제어 요청정보를 수신받으며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와 접속하여 사양정보를 제공받는다. 또한 상기 처리모듈(126)은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에 포함된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에 대응되는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로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를 전송하고,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가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제공하면, 상기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로 전송하고, 그에 따라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로부터 컨텐츠가 분할 송신되면 이를 수신받아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의 사양정보에 따라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정보들을 원격제어용 콘텐츠로 생성하여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로 분할 전송한다.
여기서, 상기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에 대한 콘텐츠의 가공은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사양정보, 즉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화소수 정보에 따라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 정보의 크기 또는 화소수를 변환하는 것을 일컫는다. 또한 오디오 정보에 대한 가공은 오디오 출력장치의 음원 사양정보에 따라 오디오 데이터를 변환하는 것을 일컫는다.
이는 노년층이 구비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양이 높지 않음을 고려하여 고품위의 정지영상 또는 동영상정보를 저품위로 가공하거나, 고품위의 오디오 정보를 저품위의 오디오 정보로 가공하여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함으로써, 데이터베이스를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함은 물론이며, 휴대 단말기와 송수신하는 데이터량을 급격하게 감소시킬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처리모듈(126)은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의 송신을 실패하면, 미 리 정해둔 시간이 경과할 때마다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에 재접속을 시도하여, 상기 송신 실패한 원격제어용 콘텐츠의 송신을 재시도한다.
또한 상기 처리모듈(126)은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로의 원격제어용 콘텐의 송신성공 또는 송신실패를 지시하는 안내정보를 SMS 메시지로 구성하여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로 통지한다.
상기 데이터베이스 관리모듈(128)은 상기 원격제어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 및 관리하며, 상기 원격제어정보는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 송신측 휴대 단말기 식별정보, 송신측 휴대 단말기의 사양정보,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의 사양정보에 따라 가공된 콘텐츠로 구성되며, 해당 원격제어정보에 따른 원격제어용 콘텐츠의 다운로드가 완료되면 삭제된다.
<원격 제어 방법>
이제 원격 제어 시스템에 적용 가능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 제어 방법을 도 2 내지 도 4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는 미도시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고객이 원격 제어를 위해 원격제어를 위해 원격제어 요청정보를 입력하면,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 중 수신측 휴대 단말기(100)의 번호정보를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120)로 제공한다(200단계).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120)는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의 번호에 대한 유효성을 인증하고, 상기 인증결과를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로 통지한다. 또한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120)는 상기 인증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 버(122)에 제공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122)는 상기 인증정보에 따라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모듈의 설치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원격제어모듈이 설치되지 않았으면 원격제어모듈을 로드하여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에 송신하여 설치하고 실행한다(202,220단계).
상기 인증결과를 수신한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인증결과가 인증 실패를 나타내면, 인증실패를 안내하고 종료한다(204,210단계).
상기 인증결과가 인증 성공을 나타내면,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120)를 통해 상기 서비스 서버(122)에 접속한다(206단계). 상기 접속에 실패하면,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는 미리 정해진 횟수만큼 상기 접속 시도를 반복할 수 있다(208,210단계).
상기 접속에 성공하면,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는 원격제어 요청정보를 서비스 서버(122)로 전송한다(212단계).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는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 정보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122)는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에 포함된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의 접속상태를 체크한다(214단계).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가 접속되어 있지 않으면(216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122)는 이동통신 사업자 서버(120)를 통해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에 접속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원격제어모듈의 설치상태를 체크하고, 상기 원격제어모듈이 설치되지 않았으면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에 송신 및 설치하여 실행한 다(218,220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122)와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가 접속되었거나(216단계), 상기 원격제어모듈의 설치완료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모듈에 의한 상기 서비스 서버(122)와의 접속시도가 성공하면(222단계),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는 수신측 휴대 단말기 사양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22)로 송신한다(224단계).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 사양정보는 수신측 휴대 단말기에 구비된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정보 및 화소수 정보이거나, 오디오 출력장치의 사양정보가 될 수 있다.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 사양정보를 수신받은 서비스 서버(122)는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 사양정보를 데이터베이스에 저장한다(226단계).
또한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는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를 서비스 서버(122)에 요청하며(228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122)는 상기 요청에 따라 상기 접속된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에 대한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를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로부터 추출하여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로 송신한다(230단계).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는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가 미리 설정된 원격 제어 허여 단말기 정보와 동일한지 여부에 따라 원격제어 허여 또는 불허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122)로 송신한다(232단계).
상기 원격 제어허여 또는 불허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122)는 원격 제어허여 또는 불허 정보를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로 송신한다(236,238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는 상기 원격제어 불허정보가 수신되면, 원격제어 불가를 안내한다(240,242단계).
상기한 바와 달리 상기 원격제어 허여정보가 수신되면(240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는 컨텐츠를 분할하여 상기 서비스 서버(122)로 송신하고, 상기 서비스 서버(122)는 상기 컨텐츠를 수신받고, 상기 수신이 완료되면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와의 접속을 해제한다(244단계).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22)는 상기 콘텐츠 수신이 완료되면(246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와의 접속을 해제하고(248단계), 상기 콘텐츠를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 사양정보에 따라 가공하며, 상기 가공된 컨텐츠를 데이터베이스에 등록한다(250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122)는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등록된 컨텐츠와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된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를 결합하여 원격제어용 컨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원격제어용 컨텐츠를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로 분할하여 송신한다(252단계).
상기한 원격제어용 컨텐츠의 송수신이 정상적으로 이행되면, 상기 서비스 서버(122)는 수신측 휴대 단말기와의 연결을 해제함과 아울러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로 송신성공을 통지한다(256~260단계). 또한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 역시, 서비스 서버(122)와의 연결을 해제함과 아울러, 수신된 원격제어 컨텐츠에 포함된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를 출력 화면 또는 출력 오디오로 설정한다(262~266단계).
상기한 바와 다르게 연결해제 또는 착신 등의 이벤트 발생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용 컨텐츠의 송수신이 완료되지 못하고 실패하면,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는 일부 수신되었던 컨텐츠를 삭제한다(270단계). 또한 상기 서비스 서버(122)는 상기 원격 제어용 컨텐츠의 송신실패를 안내하는 정보를 포함하는 SMS 메시지를 생성하고, 상기 SMS 메시지를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 전송한다(268단계).
이후, 상기 서비스 서버(122)는 송신실패한 원격제어용 컨텐츠가 존재하면(272단계), 미리 정해둔 주기가 도래될 때마다(276단계), 해당되는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에 접속시도하여(278단계), 상기 송신실패한 원격제어용 컨텐츠를 재송신한다(280,282단계).
이러한 과정을 거쳐 상기 원격제어용 컨텐츠를 수신받은 수신측 휴대 단말기(110)는 서비스 서버(122)와의 연결을 해제함과 아울러(284단계), 수신된 원격제어 컨텐츠에 포함된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를 출력 화면 또는 출력 오디오로 설정한다(286단계).
한편,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100)는 서비스 서버(122)가 전송한 송신성공, 송신실패, 송신불가 등을 안내하는 SMS 메시지가 수신되면, 이를 미도시한 디스플레이 장치를 통해 출력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안내한다.
상기한 본 발명에 따른 원격제어 서비스의 사용예를 도 5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한다.
먼저, 장년의 자녀는 아이가 커가는 모습 등을 촬상하여 저장해둔다. 이후 상기 자녀는 부모님의 휴대 단말기 번호, 자신의 휴대 단말기의 번호, 그리고 직접 대기화면 또는 전화 걸 때 화면, 전화 올 때 화면, 전화번호의 대표 이미지 등 다양한 화면 메뉴에 대한 설정정보를 포함하여 원격 제어 요청 정보를 입력하여 서비스 서버로 전송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원격 제어 요청 정보에 따라 부모님의 휴대 단말기로 상기 자녀의 휴대 단말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부모님의 휴대 단말기는 상기 자녀의 휴대 단말기가 미리 설정된 휴대 단말기인지 판별하여 원격 제어 허여 정보를 송신한다.
상기 원격 제어 허여 정보를 수신한 서비스 서버는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 원격 제어 허여 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원격 제어 허여 정보를 수신한 자녀의 휴대 단말기는 상기 촬상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한다.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촬상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화면설정정보를 결합하여 원격제어용 콘텐츠를 생성하여 상기 부모님의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며, 상기 휴대 단말기는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따라 촬상정보를 장년의 자녀가 선택한 화면으로 설정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원격제어를 받는 수신측 휴대 단말기의 경우에는 어떠한 작업 없이도 송신측 휴대 단말기가 보내주는 촬상정보를 대기화면 등으로 설정하므로, 노년의 부모님이 자녀가 보낸 손자의 사진 등을 쉽게 확인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시스템의 구성도.
도 2 내지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의 흐름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서비스의 이용예를 도시한 도면.

Claims (12)

  1.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에 있어서,
    송신측 휴대 단말기가,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와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와 화면 또는 오디오 출력상태를 설정하기 위한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제1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에 포함된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에 따라 수신측 휴대 단말기로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를 송신하는 제2단계;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가,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를 수신받아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가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기의 정보인지 체크하고,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기의 정보이면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상기 서비스 서버로 송신하는 제3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수신받으면, 상기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4단계;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가, 상기 원격제어 허여정보가 수신되면, 동영상 및 정지화상 및 오디오 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콘텐츠를 상기 서버로 전송하는 제5단계;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콘텐츠와 상기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를 결합하여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제6단계;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가,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수신받아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를 출력 화면 또는 출력 오디오로 설정하는 제7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는,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한 콘텐츠를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의 사양정보에 따라 가공하는 것을 더 포함하며,
    상기 사양정보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 미리 수신받아 등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화소수 및 음원 사양이며,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의 사양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가공하는 것은,
    상기 콘텐츠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또는 화소수에 대응되게 상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의 크기 또는 화소수를 변환하는 것이고,
    상기 콘텐츠가 오디오 정보인 경우에,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의 음원 사양에 대응되게 변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수신측 휴대 단말기로 다운로드하는 중에,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와의 연결이 해제되는지를 체크하고,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와의 연결이 해제되면,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의 저장상태를 유지한 상태에서,
    미리 정해둔 주기마다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에 접속시도하고,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와 접속되면,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로 다시 송신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미리 정해둔 주기가 도래할 때마다,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와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로 미리 정해둔 주기마다 접속시도하여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모듈을 다운로드하는 단계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6단계는,
    상기 서비스 서버가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수신측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고, 그 결과를 지시하는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하여,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것을 더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7.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에 있어서,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 및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를 포함하는 원격제어 요청정보를 생성하여 전송하며, 원격제어 허여정보가 수신되면 동영상 및 정지화상 및 오디오 정보 중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 콘텐츠를 송신하는 송신측 휴대 단말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가 수신되면 미리 정해진 휴대 단말기 정보인지 체크하여, 상기 미리 정해진 송신측 휴대 단말기이면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송신하고,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수신받아,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를 출력 화면 또는 출력 오디오로 설정하는 수신측 휴대 단말기;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에 포함된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에 포함된 수신측 휴대 단말기 정보를 송신하고,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 원격제어 허여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원격제어 허여정보를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의 콘텐츠가 수신되면, 상기 콘텐츠와 상기 원격제어 요청정보에 포함된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를 결합하여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생성하고,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는 서비스 서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가 상기 서비스 서버로 사양정보를 송신하며,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송신측 휴대 단말기로부터 제공받은 콘텐츠를 상기 사양정보에 따라 가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사양정보는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및 화소수 및 음원 사양이며,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의 사양정보에 따라 콘텐츠를 가공하는 것은,
    상기 콘텐츠가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인 경우에,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크기 또는 화소수에 대응되게 상기 동영상 또는 정지영상의 크기 또는 화소수를 변환하는 것이고,
    상기 콘텐츠가 오디오 정보인 경우에,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의 음원 사양에 대응되게 변환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10.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의 다운로드 중에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와의 연 결이 해제되면,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의 저장상태를 유지하였다가, 미리 정해둔 주기마다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에 접속시도하고,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와의 접속에 성공하면,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로 송신하고,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가,
    상기 원격 제어용 콘텐츠를 수신받아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화면 또는 오디오 설정정보에 따라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에 포함된 상기 콘텐츠를 출력 화면 또는 출력 오디오로 설정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11.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미리 등록된 휴대 단말기에 대해 미리 정해둔 주기마다 접속시도하여 원격제어를 위한 원격제어모듈을 갱신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12.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서비스 서버가,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의 송신성공 또는 송신실패가 발생되면, 상기 원격제어용 콘텐츠의 송신성공 또는 실패를 지시하는 안내정보를 포함하는 메시지를 생성 하여, 상기 수신측 휴대 단말기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시스템.
KR1020080012495A 2008-02-12 2008-02-12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KR1009259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495A KR100925996B1 (ko) 2008-02-12 2008-02-12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80012495A KR100925996B1 (ko) 2008-02-12 2008-02-12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197A KR20090087197A (ko) 2009-08-17
KR100925996B1 true KR100925996B1 (ko) 2009-11-09

Family

ID=41206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80012495A KR100925996B1 (ko) 2008-02-12 2008-02-12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92599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09790B1 (ko) 2013-12-06 2014-06-24 알서포트 주식회사 이동통신단말기 탑재 프로그램을 이용한 이동통신단말기간 원격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493A (ko) * 2000-09-06 2000-12-05 임동희 무선인터넷 기반에서 개인휴대용단말기를 사용자 컴퓨터의터미널로 이용하여 원격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
KR20040023426A (ko) * 2002-09-11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정보 입력 방법
KR20060024600A (ko) * 2004-09-14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0688177B1 (ko) 2004-12-3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00072493A (ko) * 2000-09-06 2000-12-05 임동희 무선인터넷 기반에서 개인휴대용단말기를 사용자 컴퓨터의터미널로 이용하여 원격 제어하여 사용할 수 있는 방법
KR20040023426A (ko) * 2002-09-11 2004-03-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통신 단말기의 원격 정보 입력 방법
KR20060024600A (ko) * 2004-09-14 2006-03-17 삼성전자주식회사 상대 단말기의 제어방법
KR100688177B1 (ko) 2004-12-31 2007-03-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격제어 기능이 구비된 이동통신 단말기 및 그 동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87197A (ko) 2009-08-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25515B1 (ko) 이동-대-이동 비디오 능력을 네트워크에 제공하기 위한방법 및 장치
US7493139B2 (en) Receiving and sending method of mobile TV phone and mobile TV phone terminal
EP1653693B1 (en) File transmission method in instant messaging service
US20090275349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providing idle mode service
KR20090004474A (ko) 영상 메시지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925996B1 (ko) 휴대 단말기 원격 제어 방법 및 그에 따른 시스템
JP2010057113A (ja) 通信処理システム、サーバ及び通信端末装置
KR100438540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이미지 송수신 방법 및 시스템
KR20050041742A (ko) 문자 메시지를 음성으로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221885B1 (ko) 단문 문자 서비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의 사진 공유방법 및 장치
KR100724429B1 (ko) 수신측 클라이언트에서의 메시지 전달을 제어하는휴대단말기 및 그 방법
KR20070088083A (ko) 휴대용 단말기에서 멀티미디어 메시지 수신 방법
KR101030418B1 (ko) 미리 준비된 미디어 데이터를 전송하는 화상통화 방법
KR100594465B1 (ko)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한 화면 제어 사진 송신 방법
KR102242590B1 (ko) 엠엠에스를 이용한 이동통신 단말기에서의 팩스 시스템
KR100637561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 대한 멀티미디어 채팅 시스템 및 서비스방법
KR20050014110A (ko) Mm3 인터페이스를 통해 메시지 유니크를 보장하는mms 시스템 및 방법
KR100667341B1 (ko) 양방향 그룹 메시지 서비스 방법 및 장치
KR100619381B1 (ko) 이동 통신망에서의 효 사랑 서비스 방법 및 그에 대한시스템
JP2002281180A (ja) テレビドアホン装置
KR100547221B1 (ko) 웹 서버에서 제공한 멀티미디어 메시지에 대한 멀티미디어메시징 서비스 방법
KR100762085B1 (ko) 무선 통신 망에서의 자동 통화 연결 방법 및 시스템
KR10080077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에서 메시지 확인 방법
KR101016118B1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KR100986264B1 (ko) 이동단말기에 저장된 멀티미디어 데이터 전송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105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101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