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909A - 교류발전기 - Google Patents

교류발전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909A
KR20000013909A KR1019980033046A KR19980033046A KR20000013909A KR 20000013909 A KR20000013909 A KR 20000013909A KR 1019980033046 A KR1019980033046 A KR 1019980033046A KR 19980033046 A KR19980033046 A KR 19980033046A KR 20000013909 A KR20000013909 A KR 20000013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enerator
intake manifold
housing
pulley
mounting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304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연준
Original Assignee
에릭 발리베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릭 발리베, 발레오만도전장시스템스코리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릭 발리베
Priority to KR101998003304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909A/ko
Publication of KR20000013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909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9/00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 H02K9/02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 H02K9/04Arrangements for cooling or ventilating by ambient air flowing through the machine having means for generating a flow of cooling medium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1/00Structural association of dynamo-electric machines with electric components or with devices for shielding, monitoring or protection
    • H02K11/0094Structural association with other electrical or electronic device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10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 H02K7/1004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 H02K7/10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clutches, brakes, gears, pulleys or mechanical starters with pulley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the machine rot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otor Or Generator Cooling System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에 전력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교류발전기에 있어서, 이 교류발전기를 엔진의 흡기메니홀드내에 장착하도록 하고 상기 교류발전기의 풀리는 흡기메니홀드의 외부로 노출되도록하여 이의 구동수단과 연결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흡기메니홀드로 흡입되는 흡입공기에 의해 상기 교류발전기의 냉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교류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발전기의 장착볼트(101)를 설치한 하우징(1)내의 회전축(2)상에, 입력 기자력을 발생시키는 로터(3)와, 전기를 발생시키는 3상의 스테이터(4)를 설치하고 이의 일측에는 레귤레이터(5)와 출력단자(6)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축(2)의 일단에는 풀리(7)를 설치하고 흡기메니홀드(8)의 일방에는 설치부(9)를 형성하여 이에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1)이 내장되도록 하며 흡기메니홀드(8)의 일측에는 요부(10)를 형성하여 이 요부(10)에 상기 풀리(7)가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으로 상기 흡기메니홀드(8)의 설치부(9)에 설치되는 발전기는 상기 설치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설치부(9)의 양측을 밴드로 체결시켜 상기 발전기를 흡기메니홀드(8)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설치부(9)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발전기를 고정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Description

교류발전기
본 발명은 차량에 전력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교류발전기에 있어서, 이 교류발전기를 엔진의 흡기메니홀드내에 장착하도록 하고 상기 교류발전기의 풀리는 흡기메니홀드의 외부로 노출되도록하여 이의 구동수단과 연결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흡기메니홀드로 흡입되는 흡입공기에 의해 상기 교류발전기의 냉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교류발전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용 교류발전기는 하우징내에, 입력 기자력을 발생시키는 휠드코일과, 전기를 발생시키는 3상의 스테이터 코일, 자기회로를 구성하는 휠드코어, 스테이터 코어를 설치하고 폴과 스테이터 코어 사이에 공극을 형성하며 교류를 직류로 변환시키는 정류기와 밧데리의 전압을 감지하여 발전상태를 조절하는 레귤레이터를 설치하여 구성되어 있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의 교류발전기는 하우징내에 설치된 휠드코일의 전류와 권선수에 의하여 발생되는 입력 기자력은, 휠드코어, 폴, 스테이터 코어, 공극으로 이루어지는 자기회로의 저항에 의해서 자속(Flux)를 만들게 되고 이 자속을 3상 스테이터 코일과 쇄교하여 3상 유기전압을 발생하게 되며, 이 3상 유기전압은 3상 전파 정류회로에 의하여 직류로 변환되고 밧데리 전압과 동일하게 되는 발전기의 충전 개시 회전수 이상에서는 정격출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충전 개시 회전수에서의 발전기 출력전압은 3상 스테이터 코일의 성간전압이기 때문에 120°씩 위상차를 가지는 유기전압 즉, 상(相) 전압은 상기 충전 개시 회전수에 큰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 상전압의 파형은 스테이터 코일에서 쇄교하는 자속에 의하여 결정되고, 이 쇄교자속은 공극을 통과하는 폴의 자속분포에 의해 결정되도록 되어 있었다.
한편, 상기와 같이 작용하여 발전작용을 하는 발전기에 있어서, 종래의 것은 상기 발전기를 엔진의 외측 일방에 설치하고 이 발전기에 설치된 풀리는 엔진의 구동수단과 벨트로 연결하여 설치하고 있었으며 이는 상기 발전기의 자체열과 엔진의 열을 모두 하우징에서 받도록 되어 있었고 상기 고열은 하우징내에 설치되는 각 단자는 물론, 코일과 레귤레이터등에도 영향을 미치게 되며 이 열에 의하여 발전기의 동작이 원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고 발전기의 출력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발전기에 전달되는 열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상기 발전기의 후방에 리어브라켓트를 설치하고 이에 냉각팬을 설치하며 상기 레귤레이터에는 방열판을 설치하여 상기 발전기를 냉각시키도록 하고 있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발전기는 상기 냉각수단을 발전기 자체에 설치해야 하므로써 상기 냉각수단을 설치하기 위한 구조가 복잡하게 되면서 상기 발전기의 부피가 크게되는 폐단이 있었고, 특히, 상기 냉각팬에 의하여 발전기내에서 풍음이 발생하게 되고 이에 따른 소음이 발생하게 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본 발명은 차량에 전력공급을 위하여 설치되는 교류발전기에 있어서, 이 교류발전기를 엔진의 흡기메니홀드내에 장착하도록 하고 상기 교류발전기의 풀리는 흡기메니홀드의 외부로 노출되도록하여 이의 구동수단과 연결하도록 하므로써 상기 흡기메니홀드로 흡입되는 흡입공기에 의해 상기 교류발전기의 냉각을 도모할 수 있도록 한 교류발전기를 제공하려는 것인바, 이를 이하에서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발명의 설치상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설치상태 일측면도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하우징 101 : 장착볼트
3 : 로터 4 : 스테이터
5 : 레귤레이터 6 : 출력단자
7 : 풀리 8 : 흡기메니홀드
9 : 설치부 10 : 요부
발전기의 장착볼트(101)를 설치한 하우징(1)내의 회전축(2)상에, 입력 기자력을 발생시키는 로터(3)와, 전기를 발생시키는 3상의 스테이터(4)를 설치하고 이의 일측에는 레귤레이터(5)와 출력단자(6)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축(2)의 일단에는 풀리(7)를 설치하고 흡기메니홀드(8)의 일방에는 설치부(9)를 형성하여 이에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1)이 내장되도록 하며 흡기메니홀드(8)의 일측에는 요부(10)를 형성하여 이 요부(10)에 상기 풀리(7)가 위치하도록 구성된 것이다.
상기 흡기메니홀드(8)의 설치부(9)에 설치되는 발전기는 상기 설치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설치부(9)의 양측을 밴드로 체결시켜 상기 발전기를 흡기메니홀드(8)에 고정시킬 수도 있으며 상기 설치부(9)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발전기를 고정할 수도 있도록 구성된 것이다.
이상과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발전기의 장착볼트(101)를 설치한 하우징(1)내의 회전축(2)상에, 로터(3)와, 이에 대응되는 스테이터(4)를 설치하고 이의 일측에는 레귤레이터(5)와 출력단자(6)를 설치한 상태에서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1)을 흡기메니홀드(8)의 일방에 형성된 설치부(9)에 내장시켜 상기 발전기가 흡기메니홀드(8)내에 설치되도록 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발전기를 상기 흡기메니홀드(8)의 설치부(9)의 양측을 밴드로 체결시켜 상기 발전기를 흡기메니홀드(8)에 고정시키거나, 상기 설치부(9)에 고정볼트를 체결하여 발전기를 고정설치하며 이 상태에서 상기 흡기메니홀드(8)의 요부(10)를 통하여 외부로 노출된 발전기의 회전축(2)에 발전기 구동용 풀리(7)를 설치하고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1) 일측에 설치된 장착볼트(101)로써 상기 발전기를 차량의 엔진 일방에 설치하도록 된 것이다.
상기와 같이 발전기를 흡기메니홀드(8)내에 설치한 상태에서 엔진을 구동시키게 되면, 엔진의 구동수단에 연결된 상기 풀리(7)가 회전하여 흡기메니홀드(8) 내에 설치된 발전기를 작동시키게 되며 이와 동시에 상기 흡기메니홀드(8)는 에어크리너에 의하여 정화된 신선한 공기를 상기 발전기를 통과시키면서 엔진의 실린더로 공급하게 되고 이 공기와 더불어 연료가 상기 실린더에 공급되어 엔진이 기동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흡기메니홀드로 흡입되는 공기가 상기 발전기를 냉각시키게 되고 이 발전기에는 엔진의 자체열이 직접 미치지 않게 되므로 공냉에 의한 냉각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이 발전기를 에어클리너의 직하방에 설치되는 흡기메니홀드(8)내에 장착하므로써 상기 흡기메니홀드(8)의 흡입공기에 의하여 자연스러운 냉각작용이 이루어지게 되며 이에 따라 상기 발전기에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하지 않아도 되고, 상기 흡기메니홀드(8)를 통하여 흡입되는 공기에 이물질등이 포함되지 않고 깨끗하므로 발전기에 설치되는 레귤레이터를 밀폐시킬 필요가 없게 된다.
따라서, 상기 발전기에 종래와 같이 별도의 냉각수단을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고 또 리러브라켓트를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므로써 상기 발전기 자체의 부피를 크게 줄일 수 있게 되고 발전기의 구조를 보다 간단하게 할 수 있으며 상기 발전기를 설치하기 위한 공간을 엔진룸에 별도로 구비할 필요가 없게 되는 점 등의 특징을 지닌 것이다.

Claims (3)

  1. 발전기의 장착볼트(101)를 설치한 하우징(1)내의 회전축(2)상에, 입력 기자력을 발생시키는 로터(3)와, 전기를 발생시키는 3상의 스테이터(4)를 설치하고 이의 일측에는 레귤레이터(5)와 출력단자(6)를 설치하며 상기 회전축(2)의 일단에는 풀리(7)를 설치하고 흡기메니홀드(8)의 일방에는 설치부(9)를 형성하여 이에 상기 발전기의 하우징(1)이 내장되도록 하며 흡기메니홀드(8)의 일측에는 요부(10)를 형성하여 이 요부(10)에 상기 풀리(7)가 위치하도록 설치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발전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메니홀드(8)의 설치부(9)에 설치되는 발전기는 상기 설치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설치부(9)의 양측을 밴드로 체결시켜 상기 발전기를 흡기메니홀드(8)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발전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흡기메니홀드(8)의 설치부(9)에 설치되는 발전기는 상기 설치부에 삽입시킨 상태에서 설치부(9)의 양측을 고정볼트로 상기 발전기를 흡기메니홀드(8)에 고정시키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교류발전기.
KR1019980033046A 1998-08-14 1998-08-14 교류발전기 KR2000001390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046A KR20000013909A (ko) 1998-08-14 1998-08-14 교류발전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3046A KR20000013909A (ko) 1998-08-14 1998-08-14 교류발전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909A true KR20000013909A (ko) 2000-03-06

Family

ID=19547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3046A KR20000013909A (ko) 1998-08-14 1998-08-14 교류발전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90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412A (ko) * 2000-12-04 2002-06-10 이계안 자동차용 알터네이터의 냉각구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3412A (ko) * 2000-12-04 2002-06-10 이계안 자동차용 알터네이터의 냉각구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612807B2 (ja) ウォータポンプ一体型車両用回転電機
US8820286B2 (en) Lightweight portable electric generator with integrated starter/alternator
JP3985760B2 (ja) 回転電機システム
CN201904687U (zh) 一种与发动机连接成一体的发电机
US6995477B2 (en) Multi-functional power source
US20050006975A1 (en) Twin coil claw pole rotor with dual internal fan configuration for electrical machine
US6979919B2 (en) Electrical machine having centrally disposed stator
US20060017334A1 (en) Electrical machine having centrally disposed stator
RU2224348C2 (ru) Индукционная электрическая машина
US6362550B1 (en) Electric machine, especially a three-phase generator, with an exciter
KR20000013909A (ko) 교류발전기
KR100369079B1 (ko) 자동차용 발전기의 히트싱크플레이트
JP6890651B1 (ja) 回転電機
RU2105405C1 (ru) Одноименнополюсный индукторный генератор с встроенным силовым выпрямителем
US7211988B2 (en) Method for constant-current generation and device used to carry out said method
JPH0937519A (ja) 車両用交流発電機
JP6995163B2 (ja) 発電電動機
CN207910637U (zh) 一种高效汽车发电机设备
KR100268099B1 (ko) 차량용 회전 전기장치
KR20000039207A (ko) 차량용 수냉식 교류발전기
KR200173195Y1 (ko) 차량용 발전기의 커버 조립구조
JP2818065B2 (ja) 車両用交流発電機
KR100245593B1 (ko) 브러쉬레스 발전기
KR200174493Y1 (ko) 구동축을 이용한 알터네이터(Alternator)
JPS6377357A (ja) 誘導子形交流発電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