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00013731A -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 - Google Patents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00013731A
KR20000013731A KR1019980032766A KR19980032766A KR20000013731A KR 20000013731 A KR20000013731 A KR 20000013731A KR 1019980032766 A KR1019980032766 A KR 1019980032766A KR 19980032766 A KR19980032766 A KR 19980032766A KR 20000013731 A KR20000013731 A KR 200000137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und output
noise
user
call
telepho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327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경환
Original Assignee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구자홍,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구자홍
Priority to KR10199800327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00013731A/ko
Publication of KR200000137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13731A/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3/00Gain control in amplifiers or frequency changers
    • H03G3/20Automatic control
    • H03G3/30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 H03G3/32Automatic control in amplifiers having semiconductor devices the control being dependent upon ambient noise level or sound level

Landscapes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 For Audible Band Transduc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부 요인에 의해 시스템의 음출력이 장해가 되면 그 음출력 레벨을 낮추거나 음소거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Method of audio-volume control for noise prevention of audio system)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외부 요인에 의해 시스템에 잡음이 발생되면 그에 따라 시스템의 음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낮추거나 음소거 상태를 유지시키는 동시에 잡음의 원인이 제거되면 다시 이전 상태의 음출력 레벨로 복귀시키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효과적으로 잡음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화기가 장착된 시스템에서 장시간 통화상태가 지속되면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시키고, 통화가 완료되면 다시 이전 상태의 음출력을 유지시키도록 하여 시스템의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제공하게 된다.

Description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
본 발명은 외부 요인에 의해 시스템의 음출력이 장해가 되면 그 음출력 레벨을 낮추거나 음소거 상태를 유지시키기 위한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전화가 장착되거나 자동차에 설치된 오디오 시스템에서 단시간 통화 상태나 방송주파수 차단된 경우에 음출력 레벨을 낮추거나 음소거 상태를 유지시키고, 장시간 통화상태에서는 전력 절감을 위해 전원을 차단시킴으로써 잡음을 제거하는 동시에 소비전력을 절감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오디오 시스템의 사운드 기능이 입체 음향화 되면서 사용자는 보다 현장감 있는 음악 감상 또는 방송 청취를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시스템에는 전화와 같은 각종 장치가 설치되어 음악감상과 더불어 사용자의 편리함을 증대시킬 수 있게 된다. 또한, 상기 오디오 시스템은 자동차에 장착되어 사용자는 운전 중에 뉴스를 비롯한 기호에 맞는 여러 종류의 음악을 다양하게 즐기 수도 있다.
그런데, 자동차에 장착된 오디오 시스템을 비롯하여 각종 오디오 시스템은 사용자가 튜너(Tuner, FM/AM) 방송을 듣고 있는 중에, 자동차의 상공으로 비행기가 지나갈 경우 또는 자동차가 안테나가 설치되어 있지 않은 터널을 주행중일 경우에는 현재 듣고 있던 방송주파수가 차단되게 된다.
이때, 상기 방송주파수가 차단되면 시스템에서 '치-' 소리를 갖는 잡음이 들리게 된다, 그러면, 사용자는 인위적으로 시스템의 음량 레벨을 낮춘 상태에서 일정 시간경과 후에 상기 잡음이 제거되었다고 판단되면 다시 사용자는 음량 레벨을 적절하게 조정하여 방송을 청취하여야 한다.
그러므로, 외부 요인에 의해 잡음이 발생되면 사용자의 인위적인 조작으로 시스템의 음량을 조정하던지 잡음이 제거될 때까지 '치-' 소리를 들어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전화가 장착된 오디오 시스템 또는 카폰(car-phone)이나 핸드프리(handfree) 무선전화가 장착된 자동차의 오디오 시스템은, 튜너방송이나 콤팩트 디스크(Compact Disc), 테이프(Tape), 그 외의 외부 소스(Source)를 통해 음악 또는 방송을 청취하던 중에 전화를 사용하게 되면 현재 출력되고 있는 음량에 따라 잡음처럼 통화에 장해가 될 수 있다.
그래서, 시스템에서는 통화 상태를 감지하여 음량의 레벨을 낮추거나 음소거(mute)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게 된다. 그런데, 상기 통화 상태가 장시간 지속되면 필요 이상의 전력이 소비되게 되므로 사용자는 이를 방지하기 위해 시스템의 전원을 인위적으로 오프(off)시킨 후에, 통화가 완료되면 다시 시스템의 전원을 온(on)시켜 방송이나 음악을 청취해야 한다.
그러므로, 전화가 장착된 오디오 시스템은 장시간 통화시 소비전력이 낭비되기 때문에 사용자가 인위적으로 시스템의 전원을 오프 시킨 후에, 다시 방송이나 음악을 청취하기 위해 시스템의 전원을 온 시켜야 하므로 상당히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외부 요인에 의해 시스템에 잡음이 발생되면 그에 따라 시스템의 음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낮추거나 음소거 상태를 유지시킨 후에, 잡음의 원인이 제거되면 시스템이 다시 이전 상태의 음출력 레벨로 복귀되어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효과적으로 잡음이 방지될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전화기가 장착된 시스템에서 장시간 통화상태가 지속되면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시킨 후에 통화가 완료되면 다시 이전 상태의 음출력으로 복귀되도록 하여 시스템의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장치가 도시된 블록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3은 본 발명의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 중에서, 특히 전화가 장착된 오디오 시스템의 음량조절 방법이 도시된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각 부에서 발생된 신호 파형이 도시된 도면.
<도면의 주요 부분에 관한 부호의 설명>
1 : 안테나 2 : 채널선택부
3 : 음량조절부 4 : 음량증폭부
5 : 전화감지부 6 : 마이컴
SP : 스피커 P1,P2 :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의 제1 특징에 따르면, 특정 방송을 청취하던 중에 그 방송주파수가 외부 요인에 의해 차단되는지를 계속적으로 감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감시결과가 상기 방송주파수가 차단된 경우에는 잡음제거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잡음제거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음출력 레벨을 낮추거나 음소거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방송주파수의 차단 상태가 해제되는지를 감지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감지결과 방송주파수 차단 상태가 해제되면 시스템을 이전의 음출력 레벨로 복귀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특징에 따르면, 음출력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시스템에 장착된 전화를 사용하는지를 계속적으로 감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감시결과 사용자의 전화 사용이 감지되면 음출력 레벨을 낮추거나 음소거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 단계와, 사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전화 사용을 감시하여 그 감시결과 일정 시간 이상 전화 사용이 감지되면 전력 절감을 위해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전화 사용 완료가 감지되면 시스템의 이전 음출력 레벨을 복귀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사용자의 전화 사용은 전화벨의 울림이나 수화기가 업/다운(UP/DOWN)되면 온/오프(ON/OFF) 동작되는 훅 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지한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장치를 살펴보면, 각 방송 채널에서 송신하는 방송주파수를 안테나(1)를 통해 수신하여 사용자가 원하는 방송 채널이 선택되도록 하는 채널선택부(2)와, CD나 테이프, 그 외의 외부 소스를 포함하여 상기 채널선택부(2)에서 특정 방송주파수가 선택되면 사용자의 조작으로 그 음량이 조절되는 음량조절부(3)와, 상기 음량조절부(3)의 조작에 따라 사용자가 들을 수 있을 정도로 그 음량을 증폭 변환하는 음량증폭부(4)와, 상기 음량증폭부(4)에서 증폭 변화된 음량을 사용자가 들을 수 있도록 출력하는 스피커(SP)가 포함된다
또한, 방송을 비롯한 각 외부 소스로부터 음악을 청취하던 중에 사용자의 전화 사용 여부를 감지하여 그 감지결과를 시스템에 전달하는 전화감지부(5)와, 상기 안테나(1)를 통해 현재 청취하고 있던 방송주파수가 일정 시간동안 차단되는지, 또는 상기 전화감지부(5)의 감지결과 사용자가 전화를 사용하고 있다면 이를 일정 시간 이상 계속적으로 감시하여 그 감시결과가 전화 사용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에 시스템의 음량 레벨을 다운(down)시키는 음출력제어 상태로 판단하고 상기 음량조절부(3)의 음량 레벨을 낮추거나 음소거 상태를 유지시키는 음량제어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동시에 상기 음출력제어 상태가 해제된 경우에 시스템이 이전의 음량 레벨로 복귀되도록 음량복귀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마이컴(6)과, 상기 마이컴(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공급부(P1)와, 상기 마이컴(6)에서 장시간 전화 사용이 지속된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상기 제1 전원공급부(P1)를 제외한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2 전원공급부(P2)가 포함된다.
다음, 자동차를 비롯하여 다양하게 사용되는 각 종 오디오 시스템에서 잡음 발생시 음량을 조절하는 방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단계는 사용자가 튜너(AM/FM) 방송을 청취하던 중에, 특히 자동차가 터널을 통과하거나 자동차의 상공으로 비행기가 주행중일 경우 또는 그 외의 외부 요인으로 인하여 방송주파수가 차단되어 안테나(1) 및 채널선택부(2)를 통해 상기 방송주파수가 감지되지 않고 '치-'음, 즉 잡음이 발생되는지를 마이컴(6)에서 계속적으로 감시하게 된다.(S11 참조)
이때, 제2 단계에서는 상기 제1 단계(S11)의 감시결과 잡음이 발생된 경우, 즉 음출력제어 상태인 경우에는 잡음을 제거하기 위하여 음량조절부(3)에 음량제어신호를 생성 출력하게 된다.(S12 참조) 그러면, 제3 단계에서는 상기 음량조절부(3)가 현재 출력중인 음량 레벨을 낮추거나 음소거 상태가 유지되도록 함으로써 잡음을 방지하게 된다.(S13 참조)
그리고, 제4 단계에서는 일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안테나(1) 및 채널선택부(2)에서 청취 중이던 방송주파수가 감지되는지, 즉 상기 방송주파수의 차단 상태가 해제되는지를 감지하게 된다.(S14 참조)
이때, 상기 제4 단계(S14)의 감지결과가 상기 방송주파수의 차단 상태가 해제된 경우에는, 제5 단계에서는 이를 상기 마이컴(6)에 전달하게 되고 상기 마이컴(6)은 상기 음출력제어 상태가 해제되었다고 판단하여 시스템이 이전의 음량 레벨로 복귀되도록 음량복귀신호를 상기 음량조절부(3)에 전달하게 된다. 그러면, 상기 음량조절부(3)는 처음 상태로 음량을 복귀시켜 음량증폭부(4) 및 스피커(SP)를 통해 사용자가 방송을 청취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S15 참조)
그러나, 상기 제4 단계(S14)의 감지결과가 상기 방송주파수의 차단 상태가 해제되지 않은 경우에는 상기 제3 단계(S13)로 되돌아가 음출력제어 상태가 계속해서 유지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특히 전화가 장착된 오디오 시스템이나 자동차에 카폰이나 핸드프리 무선전화기가 장착된 오디오 시스템은, 제1 단계에서 사용자가 방송이나 그 외의 외부 소스를 통해 음악을 청취하던 중에 그 방송주파수가 차단되는지 또는 사용자의 전화 사용 여부를 상기 마이컴(6)에서 계속적으로 감시하게 되는데, 사용자의 전화 사용 여부를 감지하기 위해 전화벨의 울림이나 전화감지부(5)에서는 전화를 걸때나 전화가 걸려 올 때 사용자가 수화기를 들면 온(ON) 동작되는 반면에 통화가 완료되어 상기 수화기를 내리면 오프(OFF) 동작되는 훅 스위치(hook switch)(미도시)를 감시하게 된다.(S21 참조)
그래서, 상기 훅 스위치(미도시)가 온 동작되거나 전화벨이 울리면 현재 전화가 사용되고 있다고 판단하고, 상기 훅 스위치가 오프 동작되면 통화가 완료되었다고 판단하게 된다.
이때, 상기 제1 단계(S21)의 감시결과가 상기 마이컴(6)에서 방송주파수가 차단되어 잡음이 발생되었거나 현재 사용자가 전화를 사용하고 있다고 판단된 경우에는, 제2 단계에서는 현재 출력중인 음량 레벨이 통화시 잡음처럼 장해가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제거하기 위해 상기 음량조절부(3)에 잡음제거신호를 생성 출력하게 된다. (S2 참조)
그러면, 제3 단계에서는 상기 제2 단계(S2)의 잡음제거신호에 따라 상기 음량조절부(3)에서는 음출력 레벨을 낮추거나 음소거 상태를 유지시키게 된다.(S3 참조) 그 후, 제4 단계에서는 상기 마이컴(6)에서 소정 시간 경과 후에 상기 방송주파수의 차단 상태가 해제됨이 감지되거나 일정 시간 이내에 전화 통화가 완료되었는지를 감지하게 된다. 특히, 상기 훅 스위치(미도시)가 오프 동작되면 사용자가 통화를 완료하였다고 판단하게 된다.(S24 참조)
여기서, 상기 제4 단계(S24)의 감지결과 일정 시간 이내에 전화 통화가 완료되지 않으면, 제5 단계 및 제6 단계에서는 상기 마이컴(6)에서 시스템의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절감하기 위해 제2 전원공급부(P2)의 전원을 차단시키게 된다. 그러나, 상기 마이컴(6)은 전화 통화가 완료되었는지를 계속해서 감지해야 하므로 상기 마이컴(6)에 전원을 공급하는 제1 전원공급부(P1)의 전원은 계속해서 공급되게 된다.(S25, S26 참조)
한편, 상기 제4 단계(S24) 또는 제6 단계(S26)의 감지결과 상기 방송주파수의 차단 상태가 해제되거나 전화 통화 완료가 감지되면, 제7 단계에서는 시스템이 이전 상태의 음량 레벨로 복귀되도록 상기 마이컴(6)에서는 음량복귀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음량조절부(3)에 전달하고, 이를 통해 상기 음량조절부(3)는 시스템의 처음 음량 상태로 음출력 레벨을 복귀시킨다.(S27 참조)
그러나, 상기 제6 단계(S26)의 감지결과가 통화완료가 계속해서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5 단계(S25)로 되돌아가 전원차단 상태가 지속되도록 한다.
또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마이컴(6)은 방송주파수의 차단 및 그 해제를 상기 안테나(1) 및 채널선택부(2)에서 전달되는 신호 레벨을 통해 감지하게 되고, 상기 훅 스위치(미도시)의 온/오프 동작이나 전화벨의 울림을 통해 감지되면 이에 따라 사용자의 전화 사용 여부를 감지하게 되어 상기 제1 및 제2 전원공급부(P1, P2)의 동작 및 상기 음량조절부(3)에 의한 시스템의 음량 레벨을 조절이 가능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의한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은 외부 요인에 의해 시스템에 잡음이 발생되면 그에 따라 시스템의 음출력 레벨을 자동으로 낮추거나 음소거 상태를 유지시키는 동시에 잡음의 원인이 제거되면 다시 이전 상태의 음출력 레벨로 복귀시키도록 하여 사용자에게 편리함을 제공하는 동시에 효과적으로 잡음이 방지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전화기가 장착된 시스템에서 장시간 통화상태가 지속되면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시키고, 통화가 완료되면 다시 이전 상태의 음출력을 유지시키도록 하여 시스템의 불필요한 소비전력을 절감시킬 수 있는 효과도 있다.

Claims (3)

  1. 특정 방송을 청취하던 중에 그 방송주파수가 외부 요인에 의해 차단되는지를 계속적으로 감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감시결과가 상기 방송주파수가 차단된 경우에는 잡음제거신호를 생성 출력하는 제2 단계와, 상기 잡음제거신호에 따라 시스템의 음출력 레벨을 낮추거나 음소거 상태를 유지시키면서 상기 방송주파수의 차단 상태가 해제되는지를 감지하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의 감지결과 방송주파수 차단 상태가 해제되면 시스템을 이전의 음출력 레벨로 복귀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
  2. 음출력이 진행되고 있는 경우에 사용자가 시스템에 장착된 전화를 사용하는지를 계속적으로 감시하는 제1 단계와, 상기 제1 단계의 감시결과 사용자의 전화 사용이 감지되면 음출력 레벨을 낮추거나 음소거 상태를 유지시키는 제2 단계와, 사용자가 일정 시간동안 전화 사용을 감시하여 그 감시결과 일정 시간 이상 전화 사용이 감지되면 전력 절감을 위해 시스템의 전원을 차단시키는 제3 단계와, 상기 제3 단계에서 전화 사용 완료가 감지되면 시스템의 이전 음출력 레벨을 복귀시키는 제4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사용자의 전화 사용은 전화벨의 울림이나 수화기가 업/다운(UP/DOWN)되면 온/오프(ON/OFF) 동작되는 훅 스위치를 이용하여 감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
KR1019980032766A 1998-08-12 1998-08-12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 KR20000013731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766A KR20000013731A (ko) 1998-08-12 1998-08-12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80032766A KR20000013731A (ko) 1998-08-12 1998-08-12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13731A true KR20000013731A (ko) 2000-03-06

Family

ID=1954707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32766A KR20000013731A (ko) 1998-08-12 1998-08-12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0001373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5993A1 (ko) * 2014-02-18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25993A1 (ko) * 2014-02-18 2015-08-27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이동 단말기의 제어방법
US10102719B2 (en) 2014-02-18 2018-10-16 Lg Electronics Inc. Mobile terminal and control method thereof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H07106989A (ja) 受信装置
KR20040024453A (ko) 다중선택 기능을 갖는 음향 장치 및 사운드 신호 제어 장치
JP2009111663A (ja) スピーカシステムの消費電力低減方法およびスピーカシステム
JP5211684B2 (ja) 音声出力装置およびノイズ防止方法
KR20000013731A (ko) 오디오 시스템의 잡음방지를 위한 음량조절 방법
US5220685A (en) Mute and automatic restore device for communications receivers
JP7407249B1 (ja) 無線通信機における送受信切り替え方法及び無線通信機
WO2005027471A3 (en) Multifunction telephone
JP4202883B2 (ja) 携帯電話機及び携帯電話機の音量制御方法
JPS593632Y2 (ja) 受信装置
KR100360615B1 (ko) 이동 무선 전화기의 착신 감지장치
KR980009532U (ko) 차량의 카폰 사용시 오디오 볼륨 자동 차단장치
JP2002191074A (ja) 移動通信端末、及び音楽再生装置
KR0182461B1 (ko) 무신호시 무선헤드폰의 전원제어장치
KR200221134Y1 (ko) 자동 출력 뮤트 제어가 가능한 무선 헤드폰 시스템
KR0180321B1 (ko) 무선헤드폰비착용시 음량검출에 의한 경고장치
JPH0741210Y2 (ja) 音響装置
KR200182966Y1 (ko)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
KR100252587B1 (ko) 음성 출력 레벨 제어 시스템
KR200255751Y1 (ko) 휴대및 헬멧라디오의 핸즈프리장치
KR100216133B1 (ko) 라디오방송수신용 안테나의 작동제한방법
JPH1188979A (ja) 音響再生装置
KR20080062488A (ko) 블루투스 단말기의 호 착신 알림 장치 및 방법
KR0136701B1 (ko) 오디오 시스템의 초기 증폭 레벨 조정 방법
KR0166224B1 (ko) 텔레비전의 무선헤드폰을 이용한 전화통화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011221

Effective date: 2003101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