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182966Y1 -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 - Google Patents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182966Y1
KR200182966Y1 KR2019990028331U KR19990028331U KR200182966Y1 KR 200182966 Y1 KR200182966 Y1 KR 200182966Y1 KR 2019990028331 U KR2019990028331 U KR 2019990028331U KR 19990028331 U KR19990028331 U KR 19990028331U KR 200182966 Y1 KR200182966 Y1 KR 200182966Y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ignal
frequency
broadcast
tuning
out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9990028331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고권식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9990028331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182966Y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18296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82966Y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3ELECTRONIC CIRCUITRY
    • H03GCONTROL OF AMPLIFICATION
    • H03G7/00Volume compression or expansion in amplifiers

Landscapes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튜너장치를 통한 방송 수신 중, 수신 감도의 불량 유무에 따라 스피커를 통한 음 출력을 자동 제어하도록 하는 오디오 신호의 수신 감도에 따른 자동 뮤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안테나(21)를 통하여 수신된 고주파 방송 신호 중 선택된 방송 채널의 해당 주파수를 튜닝하기 위한 튜닝부(22)와, 상기 튜닝된 고주파 방송 신호를 중간주파 방송 신호로 변조하고 음성신호로 처리하여 스피커(25)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부(23)를 구비하는 오디오 방송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방송채널의 기 설정 주파수와 상기 튜닝된 고주파 방송신호 주파수간의 상호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른 2진 신호를 출력하는 튜닝 검증부(26); 상기 음성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단속하는 단속부(27); 및 상기 출력된 2진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음성신호의 단속을 제어하는 제어부(29)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수신신호의 불량시 음 출력을 제거하고, 양호해지면 원상태로 복원하여 사용자에게 편리성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An automatic mute apparatus of audio signal}
본 고안은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mute)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튜너장치를 통한 방송 수신 중, 수신 감도의 불량 유무에 따라 스피커를 통한 음 출력을 자동 제어하도록 하는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오디오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로서, 고주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11); 상기 안테나(11)를 통하여 수신된 고주파 방송 신호 중 선택된 방송 채널의 주파수를 튜닝(Tuning)하기 위한 튜닝부(12); 상기 튜닝부(12)에 의해 튜닝된 고주파 방송 신호를 중간주파 방송 신호로 변조하고 음성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음성신호 처리부(13);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13)를 통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15)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신호 증폭부(14); 채널 선택 등 각종 기능 설정을 위한 기능 설정부(16); 및 총괄적인 제어를 수행함과 아울러 상기 설정부(16)를 통해 선택된 채널에 의거하여 상기 튜닝부(12)의 튜닝을 제어하는 제어부(17)로 구성되어 있다.
도 1의 종래 오디오 수신장치의 동작을 설명하면, 먼저 상기 기능 설정부(16)를 통해 사용자가 청취하기 원하는 방송의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제어부(17)는 상기 튜닝부(12)를 제어하여 상기 선택된 채널의 고주파 방송신호가 선국되도록 하고, 상기 음성신호처리부(13)는 상기 선국된 채널의 고주파 방송신호를 중간주파 방송신호로 변환하고 음성신호로 처리하며, 상기 처리된 음성신호는 상기 음성신호 증폭부(14)를 통해 증폭된 후 스피커(15)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오디오 수신장치는, 동작모드 온(ON) 상태에서 상기 기능 설정부(16)를 통한 별도의 수동적인 조작이 없을 경우, 방송 수신 중 수신감도의 양호/불량 상태에 관계없이 계속적으로 상기 스피커(15)를 통해 방송음을 출력하기 때문에, 난청지역 등에서는 잡음에 가까운 방송음이 출력되게 되고, 일시적 또는 간헐적 난청 요인이 발생될 경우에는, 그 때마다 세밀한 선국 조정을 하거나 볼륨 등을 줄이게 되는 등 조작상의 많은 불편함이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그 목적은 이동간 난청 지역 등에서의 수신 감도 불량으로 인한 잡음 출력 시, 출력되는 음성 신호를 자동으로 제거하되, 수신감도가 다시 양호해 지면 원상 복구하여 정상적으로 음성이 출력되도록 하기 위한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mute) 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도 1은 종래의 오디오 수신장치의 개략적인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를 포함하는 오디오 방송신호 수신장치의 구성도이고,
도 3의 (a) 및 (b)는 각각 도 2의 튜닝 검증부 및 제어부의 출력 신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21 : 안테나 22 : 튜닝부
23 : 음성신호 처리부 24 : 음성신호 증폭부
25 : 스피커 26 : 튜닝 검증부
27 : 기능 설정부 28 : 제어부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는,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고주파 방송 신호 중 선택된 방송 채널의 주파수를 튜닝하기 위한 튜닝수단과, 상기 튜닝된 고주파 방송 신호를 중간주파 방송 신호로 변조하고 음성신호로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수단을 구비하는 오디오 방송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되는 기 설정 방송채널의 주파수와 상기 튜닝되는 고주파 방송신호의 상호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른 2진 신호를 출력하는 튜닝 검증수단; 상기 음성신호 처리수단에서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차단하는 차단수단; 및 상기 출력된 2진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음성신호의 차단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와 같은 본 고안은, 상기 튜닝 검증수단에 의해 튜닝된 주파수가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기설정 방송채널의 주파수와 일치하지 않을 경우, 상기 튜닝 검증수단은 이를 검출함과 아울러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에 의한 상기 차단수단의 동작을 통해 상기 튜닝된 주파수 신호를 제거함으로서 잡음 청취를 방지할 수 있다.
이하,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에 대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를 포함하는 오디오 방송신호 수신장치의 구성도로서, 고주파 방송 신호를 수신하는 안테나(21); 상기 안테나(21)를 통하여 수신된 고주파 방송 신호 중 선택된 방송 채널의 해당 주파수를 튜닝(Tuning)하기 위한 튜닝부(22); 상기 튜닝부(22)에 의해 튜닝된 고주파 방송 신호를 중간주파 방송 신호로 변조하고 음성신호로 처리하기 위한 음성신호 처리부(23);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23)를 통해 처리된 음성신호를 증폭하여 스피커(25)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신호 증폭부(24); 상기 선택된 방송채널의 기 설정 주파수와 상기 튜닝된 고주파 방송신호 주파수간의 상호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른 2진 신호를 출력하되,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23)로부터 입력된 상기 튜닝된 고주파 방송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튜닝부(22)로부터 입력된 상기 선택된 방송채널의 기 설정 주파수의 각 주파수를 카운트하고 주파수 카운트값이 상호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 주파수 카운터(Frequency Counter)(26a)와, 상기 주파수 카운터(26a)의 비교 결과에 따라 2진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26b)를 구비하는 튜닝 검증부(26);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23)로부터 상기 스피커(25)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단속하되, 상기 증폭부(24)의 출력단에 콜렉터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으며, 베이스는 제어부(29)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동되는 NPN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Q2)로 구성된 음성신호 단속부(27); 채널 선택 등 각종 기능 설정을 위한 기능 설정부(28); 상기 기능 설정부(28)를 통한 각종 기능의 설정에 따라 총괄적인 제어를 수행하고, 상기 튜닝 검증부(26)로부터 출력되어 입력된 2진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음성신호 단속부(27)의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Q2)를 온/오프 제어함으로서, 상기 스피커(25)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단속하는 마이콤과 같은 제어부(29)로 구성되어 있다.
이어 도 2와 같이 구성된 본 고안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먼저, 상기 기능 설정부(28)를 통해 청취를 원하는 특정 채널이 선택되면, 상기 튜닝부(22)는 상기 안테나(21)를 통하여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23)에 수신된 고주파 방송 신호 중 상기 선택된 방송 채널의 해당 주파수를 튜닝(Tuning)한다. 상기 튜닝된 고주파 방송 신호는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23)를 통하여 중간주파 신호로 변조되고 음성신호로 처리된 후, 상기 증폭부(24)에서 증폭되어 상기 스피커(25)를 통해 외부로 출력된다. 이때, 상기 튜닝 검증부(26)의 상기 주파수 카운터(26a)는 상기 음성신호 처리부(23)로부터 입력되는 상기 튜닝된 고주파 방송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튜닝부(22)로부터 입력된 상기 선택된 방송채널의 기 설정 주파수의 각 주파수를 카운트하고 주파수 카운트값이 상호 일치하는가를 비교하는 데, 만일 일치하면, 도 3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신호 발생부(26b)를 통해 '로우(L)' 신호가, 일치하지 않으면 '하이(H)' 신호가 발생되어 상기 제어부(29)에 제공된다. 상기 제어부(29)는 상기 신호 발생부(26b)로부터 제공된 2진 신호('L' 또는 'H'신호)에 의거하여, 도 3의 (b)와 같은 신호를 출력하여 상기 음성신호 단속부(27)의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Q2)를 온/오프 제어한다. 상기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Q2)의 턴-온시에는 상기 증폭부(24)로부터 출력된 좌우(L,R) 음성신호가 상기 턴-온된 바이폴라 트랜지스터(Q1,Q2)를 통해 접지로 흐르게 되어 상기 스피커(25)를 통해서는 아무런 음도 출력되지 않는 뮤트 상태가 되는 것이다.
한편, 방송 수신상태가 양호해져서 상기 튜닝된 고주파 방송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선택된 방송채널의 기 설정 주파수가 상호 일치하게 되면 정상 상태로 복원하게 되어 상기 뮤트 상태가 해제되지만, 만일 상기와 같은 뮤트 상태가 길어질 경우 즉, 상기 신호 발생부(26b)로부터 기 설정된 시간 이상으로 '하이'신호가 발생될 경우에, 상기 제어부(29)는 상기 튜닝부(22)를 제어하여 자동으로 다른 방송 채널을 탐색함으로서, 양질의 타 방송이 출력되도록 한다.
이상 상세히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mute) 장치에 의하면, 방송 수신 중 수신 불량의 경우 음 출력을 자동으로 제거함으로서 잡음을 청취하게 되는 불편함을 없애고, 방송 수신이 다시 양호해지면 원 상태로 복원하여 자동으로 방송음이 출력되도록 함으로서 사용자에게 양질의 서비스 및 편리성을 제공한다. 또한, 포터블용 또는 카오디오의 경우 이동간 난청지역 진입시 자동으로 음 출력을 제어함으로서 잡음에 의한 사용자의 불쾌감을 방지하며, 튜너 방송을 녹음장치에 실시간 녹음할 때 수신 불량을 감지하여 잡음 녹음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Claims (3)

  1. 안테나를 통하여 수신된 고주파 방송 신호 중 선택된 방송 채널의 해당 주파수를 튜닝하기 위한 튜닝수단과, 상기 튜닝된 고주파 방송 신호를 중간주파 방송 신호로 변조하고 음성신호로 처리하여 스피커를 통해 출력하는 음성신호 처리수단을 구비하는 오디오 방송신호 수신장치에 있어서,
    상기 선택된 방송채널의 기 설정 주파수와 상기 튜닝된 고주파 방송신호 주파수간의 상호 일치 여부를 비교하여 그 비교 결과에 따른 2진 신호를 출력하는 튜닝 검증수단;
    상기 음성신호 처리수단으로부터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를 단속하는 단속수단; 및
    상기 출력된 2진 신호에 의거하여 상기 음성신호의 단속을 제어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닝 검증수단은 상기 튜닝된 고주파 방송신호의 주파수와 상기 선택된 방송채널의 기 설정 주파수의 카운트 값을 비교하는 주파수 카운터와, 상기 비교 결과에 따라 2진 신호를 출력하는 신호 발생부를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단속수단은 상기 음성신호 처리수단에서 상기 스피커로 출력되는 음성신호 라인에 콜렉터가 연결되어 있고, 에미터는 접지되어 있으며, 베이스는 상기 제어수단의 제어신호에 따라 가동되는 바이폴라 트랜지스터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
KR2019990028331U 1999-12-15 1999-12-15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 KR20018296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331U KR200182966Y1 (ko) 1999-12-15 1999-12-15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9990028331U KR200182966Y1 (ko) 1999-12-15 1999-12-15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82966Y1 true KR200182966Y1 (ko) 2000-05-15

Family

ID=196015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9990028331U KR200182966Y1 (ko) 1999-12-15 1999-12-15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182966Y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020072341A1 (en) Radio receiver that changes function according to the output of an internal voice-only detector
JPH07106989A (ja) 受信装置
US20060002573A1 (en) Radio receiver volume control system
US6553215B1 (en) Weather radio control
KR200182966Y1 (ko) 오디오 신호의 자동 뮤트 장치
US7693290B2 (en) Sound reproduction device
US6452919B1 (en) Assessment of digital signals, especially radio data signals
KR0174470B1 (ko) 알디에스 방송을 이용한 라우드니스 제어 방법
JPH02194736A (ja) Fmラジオ受信機
KR100478413B1 (ko) 오디오신호의기록및재생장치
KR20050000087A (ko) 자동이득제어에 의한 볼륨 균일화장치
JP2603113Y2 (ja) Rds受信機
JPS5832361Y2 (ja) Fmステレオ受信回路
KR19980050322U (ko) 자동차 오디오 음량 자동 조절장치
KR950001229Y1 (ko) Rds신호수신장치
JPH02134029A (ja) 音量調整装置
KR0182461B1 (ko) 무신호시 무선헤드폰의 전원제어장치
JPS5846587Y2 (ja) Fm受信機
KR20000013598U (ko) 스테레오/모노 모드에 따른 오디오 볼륨 자동 조정장치
JP2002135141A (ja) 受信機
JPS6223500B2 (ko)
KR20050027419A (ko) 오디오 장치의 뮤트 회로
JPH034624A (ja) ラジオ受信機
KR19980058129A (ko) 카오디오의 방송채널 자동전환방법
KR20000033671A (ko) 카 오디오의 방송 채널 탐색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125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